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장애평가 기준과 장애인거주시설서비스 욕구

        김용득,송남영,장기성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10 한국장애인복지학 Vol.- No.1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needs and their filling up ratios of disabled people on the residential care services related to the severity of their disabilities. In this study, residential care services include respite care services, small group homes and long-stay institution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national survey data which produced by the prior national survey for estimating needed amounts of national social service provisions. This study found out three major characteristics of the residential care services needs of disabled people. The first is that the severer group of disabled people revealed the higher ratio of the needs on the services of respite care homes. small group homes and long-stay institutions. The second is that the filling up ratios of residential care service needs showed significantly low. The third is that the severer group of disabled people who have needs on the residential care services showed the lower filling up ratios. By the results of this study, government policy on residential care services for disabled people should consider setting up public assessment systems on the needs for residential care services, inter-related provision schemes among respite care homes, small group homes and large institutions and transitional services for the residential service users being preferred to live independently with community support services.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거주시설서비스에 대한 장애인의 욕구와 욕구의 미충족 정도를 살펴보는 데 있다. 장애인거주시설은 원래의 가정에서 생활하기 어려운 사람들에게 가정을 대신할 수 있는 생활 장소를 제공하고, 개인의 욕구에 기초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회복지시설로서, 우리나라 시설유형 중에서는 단기보호시설, 공동생활가정, 생활시설 등이 포함된다.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의 생활기능을 평가하는 다양한 기준을 적용하여 장애정도에 따른 거주시설서비스 욕구와 미충족 정도를 다차원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거주시설서비스 수요 파악을 위한 합리적 기준 적용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이를 토대로 욕구에 기반한 서비스 공급정책 수립의 필요성을 제기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단일 장애평가 기준과 복합적 평가 기준 모두에서 거주시설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비율은 장애정도가 중증인 장애인이 현저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런 경향은 단기보호시설, 공동생활가정, 생활시설에서 동일하게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서 볼 때 정부의 거주시설서비스 정책은 세 가지 과제에 직면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첫째, 중증장애인에 초점을 맞추는 방향으로 서비스 이용자격 기준을 보다 명확히 해야 한다. 둘째, 단기보호시설, 공동생활가정, 생활시설의 상호연계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통합적인 거주시설서비스 정책이 수립되어야 한다. 셋째, 현재 거주시설을 이용하고 있는 장애인 중 지역사회서비스 이용을 통해 자립생활이 가능한 장애인에 대한 이주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 KCI등재

        장애인거주서비스의 현실과 발전 방안에 대한 탐색적 고찰

        장기성 한국장애인개발원 2013 장애인복지연구 Vol.4 No.1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거주서비스의 원칙에 대해 논의하고, 장애인거주서비스의 현실을 장애인 거주시설에 대한 법적, 정책적, 행정적 접근을 중심으로 문제점을 살펴보고, 장애인거주서비스의 발전방안을 모색해 봄으로써, 거주서비스를 이용하는 장애인이 이 사회의 ‘존중 받는 구성원’으로 인식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도적 관점에서의 접근을 시도해 보았다. 이론적 고찰을 통한 문제점은 첫째, 장애인거주시설 인력지원기준은 장애인에게 충분한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으며, 둘째, 연장근로수당, 야간근로수당 등에 대한 부담으로 인해 종사자 대비 장애인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에서 제기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장애인거주서비스의 원칙은 1) 지역사회 생활중심, 자립생활 중심으로 제공되어져야 하며, 2) 이용자의 자유와 자기결정권의 보장, 3) 집과 같거나 최대한 유사한 주거공간의 제공, 4) 이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적절한 수준의 서비스 제공, 5) 이용자의 장애특성에 기초한 지원, 6) 보편적인 접근성 보장이다. 또한, 장애인거주서비스 재구조화를 위해서는 현행 장애인복지법 상장애인거주서비스의 범위를 보다 포괄적으로 확대하고, 각 단위의 시설 유형별로 장애인에게 제공되어야 하는 서비스를 연결하는 방법으로 제도를 개선할 필요가 있고, 각 단위의 시설 유형을 이용하는 장애인은 개인의 발달과 재활의 정도에 따른 더 높은 수준 또는 더 낮은 수준의 시설 유형으로의 이동이 자유로워야 하며, 이동의 결정은 정기적 재심사를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

      • KCI등재

        장애인 거주시설 이용적격성 심사도구 평가영역과 항목, 시설배치 방안에 관한 탐색적 연구

        윤상용(Yoon, Sang-Yong),서동명(Seo, Dong-Myung)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16 비판사회정책 Vol.- No.51

        본 연구는 원가정에서 생활할 수 없는 장애인이 대안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적합한 장애인거주시설유형을 결정하는 합리적 방안이 부재한 상황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으로 장애인복지법에서 장애인 거주시설의 이용 절차로 규정하고 있는 ‘장애인거주시설 이용적격성 심사도구’의 개발에 필요한 평가 영역과 항목, 그리고 심사 결과에 따른 합리적인 시설 배치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 장애인거주시설 서비스 이용은 해당 시군구에서 입소 희망 장애인의 욕구조사와 적격성여부 심사를 한 후 대상 시설에 입소 의뢰를 하도록 하는 규정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시군구가 아닌 장애인거주시설이 대행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거주시설이 이용적격성 심사도구가 없거나, 심사도구가 있는 경우에도타당성과 신뢰성 측면에서 매우 미흡한 초보적인 수준의 도구를 가지고 제한적으로 활용하는 상황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에서는 홍콩의 장애인 거주시설 사정 도구와 다른 주요 국가에서 활용하고 있는 장애인 돌봄 및 지원서비스 욕구 사정도구를 기반으로, 장애인 거주시설 실무자 대상 설문조사와 초점집단인터뷰 결과 등을 종합하여 우리나라 장애인 거주시설 이용적격성 심사도구의 평가영역 및 항목을 제안하고, 평가 결과에 따른 합리적 시설 배치 방안을 제안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거주시설 이용적격성 심사도구의 평가영역은 개인적 특성, 장애특성, 간호서비스 욕구, 기능손상 정도(일상생활기능), 문제행동, 보호자(가족)지원체계, 지역사회지원체계 등 7개 영역으로 제안하였으며, 이용적격성 평가에 따른 거주시설 배치방안을 신체적 장애인과 발달장애인으로 구분하여 제안하였다. 나아가 이용적격성 심사도구의 효과적 적용을 위한 장애인 거주시설의 합리적 유형 개편 등 장애인 거주시설 관련 정책의 개선방안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is to suggest an eligibility screening tool that can be used to determine appropriate type of residential facility for the disabled. In this study, while based on the standardized assessment tool for residential servic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Hong Kong turn out to be best practices in international comparative perspective, along with considering disability care and support needs assessment tools that are utilized in the major countries and results of surveys and focus group interviews for practitioners of Korean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disabled, we proposed assessment areas and items and a rational placement process in accordance with the evaluation results. Specifically, assessment areas are composed of personal characteristics, disability characteristics, nursing service needs, degree of impairment(activities of daily living), problem behavior, caregivers(family) support systems, community support systems. Also for the effective application of eligibility screening tool, we suggested restructuring Korean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disabled.

      • KCI등재후보

        장애인거주시설 생활지도원이 지각한 직무만족도가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및 조직 네트워크의 조절효과

        김태형,손인봉 한국장애인개발원 2019 장애인복지연구 Vol.10 No.1

        본 연구는 장애인거주시설에 근무하고 있는 생활지도원이 지각한 직무만족도가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조직 네트워크 수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조사 기간은 2015년 8월 27일부터 9월 14일까지이며, 대전 지역의 장애인거주시설 20개소, 생활지도원 251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자료는 우편조사로 진행되었고, SPS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장애인거주시설 생활지도원이 지각하고 있는 직무만족도는 서비스 질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그러한 영향은 조직 네트워크 수준에 따라서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직무만족도가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직 네트워크 수준의 조절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거주시설 생활지도원의 서비스 질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정책적·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networking levels on the associations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service quality perceived by care workers in the residential facilit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For this purpose, 251 care workers in 20 residential facilit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Daejeon were surveyed from August 27 to September 14, 2015. This study conducte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4.0 to examine moderating effects of networking levels. The analysis showed that job satisfaction had positive effects on service quality and the effects were moderated by networking levels.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for policy and practice were suggested to improve service quality of care workers.

      • KCI등재

        발달장애인의 법적 지위와 주거지 결정권— 발달장애인의 탈시설화를 중심으로 —

        조성혜 한국사회법학회 2023 社會法硏究 Vol.- No.51

        The basis for the deinstitutionalization theory is that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are involuntarily admitted to the facility, isolated from the local community, deprived of their freedom, and live helplessly for a long time: such isolated facility life itself violates the human dignity and right to pursue happiness of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However, a sudden turn to deinstitutionalization without a complete support system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in the community is tantamount to driving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ir families to their limbs. If deinstitutionalization proceed without sufficient preparation, the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ir parents who must protect them will suffer the most.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cannot live their daily lives without the help of others, and in particula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are violent and aggressive do not know when and in what circumstances they will take unexpected actions. Above all, since the direct parties to deinstitutionalization are the parents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first thing to do is to listen to them to decide whether to deinstitutionalization should be made. In the case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y cannot escape the facility environment in that they must always be cared for by others at group homes. Therefore, rather than forcing the deinstitutionalization of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through legislation,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who need care of the facilities should choose facilities, and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who prefer group homes should be guaranteed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the developmental people with disabilities (guardians) to move to group homes. However, since it is not desirable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be continuously isolated from the community, it is worth considering how to transfer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to the community. 최근 장애인 정책에 가장 큰 갈등을 불러일으킨 이슈는 장애인의 탈시설화이다. 탈시설론의 근거는 장애인을 비자발적으로 시설에 입소시킨 후 지역사회로부터 격리시켜 장기간 수용생활을 하도록 하는 것이 인간의 존엄성과 행복추구권을 침해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탈시설화가 충분한 준비가 없이 진행될 경우 가장 큰 피해를 입는 사람은 당사자인 발달장애인과 그들을 보호해야 하는 부모이다. 탈시설 후 발달장애인이 가정으로 돌아갈 경우 자녀를 시설에 맡겼던 부모는 자녀를 돌보기가 어렵고, 대안으로 그룹홈 등을 이용한다 해도 발달장애인은 항시 다른 사람으로부터 돌봄을 받아야 한다는 점에서 시설적 환경을 벗어날 수 없다. 지역사회에 장애인 지원체계가 완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무작정 탈시설로 급선회하는 것은 발달장애인과 그 가족을 사지로 내모는 것과 다름 없다. 무엇보다 탈시설의 직접적 당사자가 발달장애인과 시설 이용장애인의 부모라는 점에서 탈시설 여부를 결정할 때는 가장 먼저 그들의 의견을 경청하여야 한다. 따라서 장애인의 탈시설을 입법으로 강제할 것이 아니라 시설의 돌봄이 필요한 장애인에게는 시설을 선택하도록 하고, 그룹홈을 선호하는 장애인에게는 그룹홈으로 이전하도록 발달장애인(보호자)의 자기결정권을 보장해야 할 것이다. 다만 발달장애인이 지역사회로부터 지속적으로 격리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점에서 장애인거주시설을 지역사회로 이전시키는 방안은 검토할 가치가 있다.

      • KCI등재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과 서비스 질의 관계에서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 장애인거주시설을 중심으로

        손인봉 ( Son¸ In-bong ) 동의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 2020 공공정책연구 Vol.37 No.2

        본 연구는 장애인거주시설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 정도가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과 양자의 관계에서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조사는 장애인거주시설의 사회복지사 221명을 대상으로 2015년 8월부터 9월까지 자기기입식 설문으로 실시되었다. 자료는 우편조사로 진행되었으며,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과 양자의 관계에서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SPSS 22.0 프로그램으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장애인거주시설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이 조직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고, 조직몰입은 서비스 질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동시에 직무만족도가 서비스 질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직무만족과 서비스 질 간의 관계에서 조직몰입은 부분매개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거주시설 사회복지사의 서비스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service quality among social workers working at residential facilit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data of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221 social workers from August to September 2015. Multiple regression was employed for the mediation analysis using SPSS 22.0. The findings showed that job satisfaction had positive effects on service quality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via organizational commitment. Give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service quality improvement were suggested.

      • KCI등재

        장애인 거주시설 종사자의 직무분석에 따른 인력배치에 관한 연구

        김진우,서동명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12 한국장애인복지학 Vol.- No.19

        Allocation criteria for Residential Facilities for disabled people have been improved and the transition from the way of administrative order for the entry to the way of contract-based service use according to the paradigm shifts such as service users-oriented, selection right in the provision of social welfare services. Under the contexts, there needs to calculate residential care service unit price for one disabled person. This research analyzed 214 employees in the 12 facilities which embody different kinds of disabilities.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the employees work 14.28 hours in average a day on the basis of 210 average working hours in Korea. This means they overwork 6.28 hours a day, which tells us that they overwork more than 31 hours in comparison to the standard working hours per a week. Therefore, there needs to employ 79% of employees additionally in that one employee in a facility almost works as much as 179% of general one employee. Among them, especially carers work longer than other posts in the facilities. 128 carers work 15.63 hours a day in average and overwork 7.63 hours a day under the same logic as applied above, which means that there needs employ workforce almost double times so as to follow labour law. The research results are to be utilized in assuming how many employees should be drafted in the residential care facilities before the government calculate residential care service unit price for a disabled person. 사회복지서비스 제공에 있어서의 이용자중심, 이용에 있어서의 선택권보장 등의 패러다임 하에 최근 장애인복지법이 개정됨에 따라 장애인거주시설 이용대상 확대 및 입소조치방식에서의 이용계약방식으로의 전환이 이루어졌다. 이에 따라 1인당 서비스 이용단가 산정이 필요한데, 산정에의 핵심인 적정 인력배치수준을 가늠하기 위해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에 대한 직무를 12개 시설 내 종사자 214명에 대한 자료수집결과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시설종사자들은 평균 179,922분을 근무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연간 210일을 근무한다고 가정할 때, 하루 평균 14.28시간 근무, 6.28시간의 초과근무를 하는 것으로 표준근무시간 40시간 대비 주 31시간 이상 초과근무 하는 것이다. 이는 기관의 직원 1명이 1.79명분 시간의 근무를 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현재보다 79%의 인력이 더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생활재활분야 종사자가 근무시간이 긴 것으로 조사되었다. 128명의 생활재활분야 종사자가 평균적으로 196,882분을 근무하는 것으로 조사되어 하루 평균 15.63시간 근무, 7.63시간의 초과 근무하는 것으로 표준근무시간 40시간 대비 주 38.2시간 초과근무하며, 이는 현재 인력보다 약 2배(1.95배)의 인력이 투입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정부가 이용계약방식으로 전환하여 1인당 서비스 이용단가 「1인당 서비스 이용단가」라 함은 장애인거주시설을 운영하는데 필요한 연간 총 비용을 정원 숫자로 나눈 값을 말하는 것으로 이는 정부부담금과 본인부담금으로 구성된다. 를 계산할 때 고려해야 하는 인력배치수준이 어느 정도까지여야 하는지를 알려주는 준거점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정신요양시설 기능전환과 정체성 확립 방안 모색 연구

        이수진(Soo-jin Lee) 한국복지경영학회 2022 복지경영학연구 Vol.11 No.-

        정신요양시설은 정신보건법, 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자 복지서비스 지원에 관한 법률의 제정과 개정의 과정에서 사회복지기능보다는 의료적 기능으로 인식되었다. 정부의 지역사회중심의 커뮤니티케어정책 발표는 정신요양시설의 존재적 위기감을 가져왔고, 거주이용인의 요양과 사회복귀 목적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신요양시설은 발전적 미래를 위하여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여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정신요양시설 미래의 방향성을 설정하기 위해 기존의 문헌과 자료를 탐색하여 정신요양시설의 일반적 현황과 거주이용인의 특성 변화에 따라 제공된 현재의 정신요양시설 서비스가 거주이용인의 이용만족, 거주이용인 회복의 성과에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거주이용인의 회복지향을 위한 정신요양시설의 정체성 확립과 기능전환의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거주이용인의 특성을 반영한 지역사회 거주환경으로 인식제고, 둘째 지원주택의 특성을 적용한 거주지원시설로 변화 지향, 셋째 사회복지성격의 지원서비스의 명시로 차별성과 정체성 확립, 넷째 거주이용인 회복지향 서비스의 충분한 제공이다. 연구의 한계점으로 나타난 정신요양시설의 물리적 환경, 중점 서비스 방향, 지역사회의 특성이 정신요양시설 운영에 미치는 영향정도와 정신요양시설과 정신재활시설이 차별성과 통합여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Mental care facilities were recognized as medical functions rather than social welfare functions in the process of enacting and revising the Mental Health Act, Mental Health Promotion, and Welfare Service Support for Mental Ill Persons. The government's announcement of community-centered community care policies brought about a sense of crisis in the existence of mental care facilities, and the need to present new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al future for mental care facilities that provide services for residential users and social return purposes. In order to set the future direction of mental care facilities, we explored the existing literature and data to examine whether the current mental care facility service provided according to the general status of mental care facilities and changes in the characteristics of residents affected the satisfaction of residents and the recovery of residents. As a way to change the function of mental care facilities First, it proposes to raise awareness as a community living environment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residents, second, change to a residential support facility applying the characteristics of supported housing, third, establish differentiation and identity, and fourth, provide sufficient recovery-oriented support services.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physical environment of mental care facilities, the direction of focus services, the effect of community characteristics on the operation of mental care facilities, and whether mental care facilities and mental rehabilitation facilities are differentiated and integrated.

      • KCI등재

        생활재활교사의 감정노동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하송범,강흥구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20 한국장애인복지학 Vol.48 No.48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emotional labor on the quality of servic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The subject of this survey were 255 care workers of residential facility for the disabled in Jeollabuk-do. The result of analysis shows that the surface acting of emotional labor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service quality, whereas deep acting of emotional labor is tied positively to the quality of service. Second, there is a moderating effect of the supervisor and agency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rface acting of emotional labor and quality of service. However, there is no meaningful moderating effect of PO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ep acting of emotional labor and quality of service. According to the survey, the resul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o enhance the quality of service, active organizational supports, especially the supervisory and agency supports, which can resolve employees’ negative emotional labor are essential. So, this study suggests several policies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alleviating emotional labor and improving quality of service in residential facilities. 본 연구는 장애인거주시설 생활재활교사의 감정노동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의 관계에서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연구로 전북지역 생활재활교사 255명이 응답한 결과에 기초하고 있다. 연구결과 첫째, 감정노동의 표면행동은 서비스 질에 부(-)적 영향을 주었으며, 내면행동은 정(+)적 영향을 주었다. 둘째, 조직지원인식의 상사지원과 시설지원이 표면행동과 서비스 질을 조절하였으며 동료지원은 조절효과가 없었다. 내면행동과 서비스 질 간에서 조직지원인식은 조절효과가 없었다. 연구결과 서비스의 질 향상과 종사자의 부정적 감정노동 해결을 위해서는 조직차원의 지원이 적극적으로 필요하며, 특히 상사의 지원과 시설의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거주시설 서비스 질을 높이기 위한 조직차원의 지원과 실천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장애인 거주시설 종사자가 인식하고 있는 인권의식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몰입의 조절효과 연구

        손인봉,김승태,김동기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19 한국장애인복지학 Vol.43 No.4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human rights consciousness perceived by workers on service quality an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To do this, self-report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for 20 residents and 450 workers in Daejeon from August 27 to September 14, 2015.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human consciousness perceived by workers has an influence on the quality of service. Especially,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he quality of service has been verified. Based on these results, practical and policy interventions to improve the quality of service by worker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장애인 거주시설 종사자가 인식하고 있는 인권의식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조직몰입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15년 8월 27일부터 9월 14일까지 약 3주에 걸쳐, 대전 소재 장애인 거주시설 20개소, 종사자 450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자료는 우편조사로 진행되었으며, SPS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위계적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장애인 거주시설 종사자가 인식하고 있는 인권의식은 서비스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특히, 인권의식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직몰입의 조절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 거주시설 종사자의 서비스 질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실천적·정책적 개입방안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