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후기 명문 괘불궤 연구

        허상호 불교미술사학회 2019 불교미술사학 Vol.28 No.-

        조선후기 괘불궤는 목재로 만들어진 불전(佛殿) 장엄구(莊嚴具) 외에 사찰에 남아 있는 유일한 대형 불교용 가구이다. 괘불을 봉안하는 용도의 일차적인 목적으로 제작되었지만 불탁처럼 기물을 보관하는 수장구(修粧具)로써의 역할도 수행하며, 괘불 반·출입을 위한 수납 용구밑 야외 설단을 위한 재단의 역할도 겸했다. 현재 남아 있는 명문 괘불궤는 소수지만 괘불의 화기처럼 제작 경위를 기록하고 있어 조선후기 괘불의 가치를 짐작하게 한다. 또한 명문 괘불궤에는 괘불의 화기처럼 제작 연대와 제작 기간, 제작자, 시주 물품 및 시주자 등이 기록되어 있어 불교 목공예의 편년자료로써의 가치가 높다. 명문 분석을 통해 17-18세기 괘불궤는 ‘ 樻 櫃’, ‘掛佛 樻 ’ ‘掛佛欌’, ‘ 樻 欌’, ‘靈山廓’ 으로 기록되어 있어 함보다는 ‘괘불궤’라는 명칭을 선호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기록을 통해 괘불궤를 제작한 이는 나무를 다루는 ‘목수’, ‘목편수’, ‘작궤편수’이며, 철물을 다루는 이는 ‘야장 야공 야철편수 로야장’, 그리고 궤를 꾸미는 장인은 ‘궤장편수 장식편수 은장편수’ 등으로 소임을 통해 대형 사찰용 가구 제작에 장인들의 역할 분담을 확인할 수 있다. 괘불궤의 구조는 앞뒷 널, 좌우측 널의 사면을 상자형태로 결구한 긴 장방형의 몸체에 덮개와 바닥이 결합된 것으로, 덮개가 분리되는 분리형과 경첩이 달린 개폐형이 있다. 또한 표면 장식의 유무에 따라 기능적 철물을 가진 기본형과 장식형, 그리고 짜임은 앞뒷 널과 좌우측 널의 결구 방식에 따라 사개짜임과 맞짜임으로 구분된다. 특히 괘불궤 관련시설로 불전에 고정된 반·출입 문 외에 금탑사 극락전에는 조선후기 유일하게 남아 있는 굴림대 장치가 발굴되어 대형 괘불과 괘불궤의 야외 이동을 위한 설비를 확인할 수 있다. 이상 17-18세기 명문 괘불궤를 통해 명칭과 구조, 유형을 분류할 수 있으며, 특징과 표면 장식은 아래와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첫째, 명칭은 묵서를 통해 조선후기 괘불궤를 ‘함’이라 부르지 않고 ‘궤’라고 칭했으며, 제작 장인 역시 ‘작궤편수’라고 부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구조와 형태는 문양과 재료의 구분 없이 괘불을 수납하는 용도의 일차적인 목적을 위해 장방형 상자의 기본 틀을 유지한다. 하지만 17세기 괘불궤가 몸체에 소수의 기본형 철물만 부착했다면, 18세기는 화원들의 참여로 체계적인 설계가 이루어진다. 화원의 역량 차이는 있지만 이 시기 괘불궤는 균형과 비례감이 정착되며, 철물을 다루는 야장, 야철, 장식편수 등의 참여로 공정의 분업화에 따른 수준 높은 불교식 가구 철물이 부착된다. 셋째, 구조와 표면 장식은 시대적·지역적 성향과 상관없이 불사에 동원된 재료 수급과 시주 물목, 그리고 제작에 참여한 제작자의 전문성에 따라 문양과 장식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여겨진다. 특히 장식형 괘불궤인 흥국사, 금탑사, 법주사, 운흥사, 은해사는 목수와 화원이 제작한 괘불궤에 비해 전문 야장들의 참여로 철물의 장식성과 재단 기법의 세밀함이 돋보이며, 철물의 공간적 배치와 비례, 표면 도금 등 철물의 다양성을 엿 볼 수 있다. 넷째, 표면 채색 장식은 수도사노사나불괘불탱 괘불궤처럼 옻칠 바탕 후 문양을 시문한 유일한 사례가 있다. 시문된 문양은 사경 변상도처럼 연꽃, 보상화, 모란 등 불교적 길상화가 모본으로 쓰이며, 도상화되고 패턴화되... Wooden container for gwebul of late Joseon Period is the unique large-sized buddhist furniture besides the wooden ornamental objects. It has been made for the use of preserving gwebul painting but has been used for keeping buddhist objects as well as protective box for bring gwebul from a main hall. In addition it has been used for outdoor altar during a ritual. Remaining inscribed gwebul container are rare, however they have high value considering that it has recorded aims, year, and period of production, painter, donated offerings and donors as it did in scroll painting. Inscription analysis has informed that the 17th and 18th century container recorded ‘ 樻‧櫃’, ‘掛佛樻 ’ ‘掛佛欌’, ‘ 樻欌’, ‘靈山廓’, which indicates that crate is more popular terminology to call it rather than container. The records provides an information on carpenters, metal craftsmen, and decorative craftsmen and their responsibilities in its production. A container is combined of a front and rear, left and right, and top and botton plank board forming the shape of long in left and right. The structure of a container. There are two types of a container : 1. a container of a separated lid ; 2. a container of a lid connected to the body. In addition its type can be categorised by the existence of surface decoration. Other than a smaller door of a hall for moving a gwaebul, there is a rolling wheel in Amitabha hall of Geumtapsa temple to bring out it to the courtyard. The 17th and 18th century containers can be categorised by name, structure, and types. Following is the summary on distinctive characteristics and surface decoration during the period. Firstly, it was called ‘gwae’, which means crate without calling it ‘harm’, which means container. A craftsman who make it has been called ‘jakgwaepyeonsu’. Secondly, it has long container in left and right because its main function is to keep gwaebul. The 17th century container has a lid of few hinges whereas the 18th century one has been carefully designed due to the participation of painters. Proportion and balance as a artwork has been culminated in this period. Also role of metal craftsmen has been settled by the participation of related craftsmen in production. Thirdly, types of structures and surface decorative elements has affected to the design and ornamental forms, which has reflected artistic capability of painters, quality of materials, and list of offerings, regardless of historic or regional characteristics. In particular container of Heunguksa, Geumtapsa, Beopjusa, Woonheungsa, and Eunhaesa temple which are much decorative, dispays ornamental quality of metal objects through careful choice of location, proportions, and surface gilt skills of metal objects. Fourthly, the 17th and 18th century container has used the same types of metal objects which were used for furniture of daily use and similar wooden materials for body board of a container from pines, Tilia, soft pines, Pyrus. Fifthly, the container of Sudosa temple is the only remaining example, which has been carved after lacquer paintings examples surface decoration. Carved design includes buddhist ornamental flowers such as lotus, floral medallions, Peony, for line-drawings and settled into popular iconography and patterns. It also copies that of the painting, which shows the exchanges between craftsman and painters and the significant role of painters in making a container. This paper has exmined and analysed some distinctive aspects of the 17th and 18th container for large-sized buddhist paintings. Inscribed containes among 118 remaining containers would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on periodic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s of temple furniture as well as symbolic meaning of them. This paper has provided a platform to recognise a container as a religious objects for worship but also as a sacred space for buddha.

      • KCI등재

        일본의 불교의례 연구 동향

        김성순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2 동아시아불교문화 Vol.- No.50

        본 논문은 최근에까지 일본 학계에서 진행된 불교의례 관련 연구동향에 대해 알아보고, 그러한 연구가 이루어진 배경과 축적된 연구 결과물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문에서는 일본의 불교의례 관련 연구동향을 크게 죽음의례와 사원의 법회의례, 그리고 의례이론 연구의 세 영역으로 나누어 서술했다. 첫 번째 죽음의례 관련 연구에서는 상장례를 포괄하는 임종행의(臨終行儀), 망혼들에 대한 천도의식인 시아귀(施餓鬼), 생전의 왕생의식인 역수(逆修)의 세 항목으로 나누어 정리했다. 첫 번째 죽음과 천도 관련 의례에서는 기존의 장례불교가 사회의 변화로 인해 서서히 도전에 부딪치게 되면서 관련 의례연구 역시 시대적 변화를 반영하는 현상을 보여준다. 두 번째 사원의 법회의례에서는 불교의례가 세속화되면서 민간사회에까지 확장되는 현상인 불교민속, 법회에서 행해지는 불교음악의 연주와 성명(聲明; 범패), 각 종단별 사원제도와 법회 등으로 세분화하여 살펴보았다. 특히 불교민속 연구는 사원에서 특정 기일에 행해지는 법회나, 수행의례 등이 민간사회로까지 확장·수용되면서 점차 세속화되는 현상을 반영하고 있다. 세 번째, 의례이론 연구에서는 불교의례에 관한 역사학적/사회학적/문화인류학적 연구들을 비롯하여, 의례연구의 방법론을 구축하기 위해 시도하는 연구들을 찾아보았다. 이러한 일본불교 의례연구의 데이터를 수집·분석한 자료들은 한국의 불교의례 연구자들에게도 참고할만한 연구 대조군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조선후기 장식문양의 화상어(和尙魚)

        김용덕(Kim, Yong-deok) 한국민화학회 2021 한국민화 Vol.- No.15

        조선후기 장식문양의 화상어(和尙魚)라는 주제로 진행된 본 연구는 조선후기 사찰 장식문양으로 표현되는 독특한 도상에 대한 의문점에서 출발하였으며, 그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화상어는 사람 얼굴에 거북의 몸이 합쳐진 상상 속 동물이다. 조선후기 불교미술에 표현되는 화상어는 약 17세기부터 조선사회에 보급 및 유통된 도설백과사전 『삼재도회(三才圖會)』와 『화한삼재도회(和漢三才圖會)』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이며, 불교미술의 사례보다 그 시기는 늦으나 조선후기 실학자 서유구(徐有榘, 1764-1845)가 편찬한 어보(魚譜)인 『전어지(佃漁志)』에서도 그 기록을 찾아볼 수 있었다. 현재까지 확인된 조선후기 미술 속 화상어는 사찰의 수미단, 단청 별지화 등 세 곳의 장식문양에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총 다섯 마리가 관찰된다. 이 도상들이 화상어라는 것은 인두구신이라는 고유의 특징을 충분히 반영하고 있는 것과 화상어와 함께 표현된 다른 불교미술 속 소재들도 위에서 언급한 『삼재도회』와 『화한삼재도회』에서도 확인된다는 것이었다. 그리고 화상어가 표현된 수미단과 벽화 모두 『삼재도회』와 『화한삼재도회』 속 삽화들이 불교미술에 영향을 주기 시작한 17세기에서 18세기에 제작되었으니, 이와 같은 도상을 화상어라고 지칭하는 것에 대해 큰 문제는 없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조선후기 화상어의 특징은 그 고유의 도상을 반영하면서 동시기 불교미술에 등장하는 여타 요소들을 차용하여 독특하고 개성 있는 모습을 하고 있다는 것이었다. 특히, 불교미술 속 화상어 대부분은 보주(寶珠)를 들고 있었는데 이는 보주를 높이 받들어 부처에게 바치는 공양도상(供養圖像)이라는 것을 경전 내용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현재까지 확인된 조선후기 화상어 도상의 사례는 다섯 마리에 불과하지만 이는 당시 사회, 문화적인 상황들을 유추해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며, 화상어를 비롯한 조선후기 미술 속에 나타나는 여러 특정 도상에 관한 관심과 연구들은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야 하는 과제라고 생각된다. Huasang-aue(和尙魚) is an imaginary animal with a human face on turtle body(人頭龜身). Hwasang-aue expressed in Buddhist art in the late Joseon Dynasty seems to have originated from the picture encyclopedias, 『Sancaituhui(三才圖會)』and 『Wakan-sansaizue(和漢三才圖會)』, which has been supplied and distributed to the society of Joseon Dynasty since the 17th century, having a profound effect on Buddhist art as well as on technical and scientific aspects, and also, the record could be also found in 『Jeon-Eoji(佃漁志)』 an atlas of fish compiled by Seo Yu-gu (1764-1845), a Silhak scholar, in the late Joseon Dynasty. Hwasang-aue, which has found in the Buddhist art of the late Joseon Dynasty so far, was observed in three temples, with a total of five of it. It can be verified these images are Hwasang-aue as they fully reflects the unique characters of Indugusin (Human face on Turtle body) and other Buddhist art materials expressed along with the Hwasang-aue are also found in 『Sancaituhui(三才圖會)』 and『Wakan-sansaizue(和漢三才圖會)』 mentioned above. It is believed that there is no major problem with referring to images like these as Hwasang-aue because both Buddhist Altar and the Mural Painting of Buddhist Temple, in which Hwasangaue expressed, were produced in the 17th to 18th centuries when illustrations in 『Sancaituhui』 and 『Wakansansaizue 』 began to affect Buddhist art. The characteristics of Hwasang-asue in Buddhist art of the late Joseon Dynasty examined in this study are to reflect the unique image of Indugusin (Human face on Turtle body) and to have a unique and distinctive images, borrowing elements of other images from Buddhist art at the same time. In particular, most of the Hwasang-aue in Buddhist art was holding orb, and it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content of Buddhist scriptures that it is an offering image (供養圖像) to dedicate to the Buddha by raising orb high. Hwasang-aue conducted in the most of the studies so far used to refer to other images, as it seems that its a misunderstanding since Hwasang-aue image itself is rarely expressed in Korean art and, at the same time, it comes from the fact that Hwasang-aue in the late Joseon Dynasty borrowed the elements of Buddhist image. Therefore,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elements of images referred to in previous studi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Hwasang-aue, and it can be derived the conclusion that the above cases would be more likely to be Hwasang-aue than other images.

      • 일본불교 ‘의례’문화를 둘러싼 연구동향 - ‘장의(葬儀)’문화를 중심으로 -

        제점숙 불교의례문화 연구소 2020 무형문화연구 Vol.0 No.1

        This study analyzes the research trend around Japanese Buddhist ‘rituals.’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d on the culture of ‘burial rituals’ and investigated the research status and trend of each denomination of Japanese Buddhism. Most denominations of Japanese Buddhism have investigated the religious forces based on the religious body’s own research institute over a long period of time, assessed problems appearing here and conducted continuous studies to find a solution. The recent interest is the issues related to burial rituals. In the social atmosphere in Japan, “Japanese Buddhist burial rituals are not needed” now, low-cost and simplified funerals are required. In such a situation, what would be the role of Japanese Buddhism? This study introduced the present status of research on Jodo Shinshu Hongwanji-ha and Nichiren-shu representative denominations of Japanese Buddhism to shed new light on the role of today’s Japanese Buddhism. 이 연구는 일본불교 ‘의례’를 둘러싼 일본에서의 연구 동향을 분석한 글이다. 그중에서도 ‘장의(葬儀)’문화에 중점을 두고 일본불교의 연구현황 및 동향을 살펴보았다. 대부분의 일본불교 각 종파는 교단 내 자체 연구소를 기반하여 장기간에 걸쳐 종교 세력 현황을 조사해 왔으며, 여기에 나타난 문제점을 파악하고, 해결 방안을 찾기위해 꾸준한 연구를 수행해왔다. 최근 관심사는 초고령화, 저출산, 인구감소로 인한‘장의(葬儀)’ 문제이다. 더이상 ‘일본불교의 장의가 필요 없다’는 일본 사회 분위기속에 일본인들은 생략하거나, 저비용, 간소화 장례식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한 상황속에 과연 일본불교의 역할은 무엇인가? 이 연구는 일본불교의 대표적 종파인 정토진종본원사파(淨土眞宗本願寺派), 일련종(日蓮宗)의 연구현황을 소개하여 오늘날일본불교의 과제를 전망해보았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現代日本佛敎の動向と課題

        末木文美士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07 동아시아불교문화 Vol.1 No.-

        本論文は、現代日本佛敎の動向と今後の課題について論じたものである。第1章では現代日本の佛敎の問題点について論じ、第2章では現代日本の佛敎硏究の問題点について論じる。第1章ではまず、第2次世界大戰後の日本の佛敎の展開を槪觀した上で、それまで日本佛敎の基盤をなしてきた葬式佛敎が近年大きく變容しつつあることを指摘する。續いて、葬式に依存した體制からの脫却を圖る動向として社會參加佛敎を取り上げるが、しかし、近年の社會の大きな變化は社會參加佛敎をそのままの形では成り立ちがたくしていることを指摘し、葬式佛敎が切りひらいてきた死者との關わりをもう一度見直すべきことを提案する。第2章では、近代の日本の佛敎硏究が、江戶時代からの傳統に近代の西歐の硏究を接續するところに成り立ってきたことを指摘し、その文獻學的方法に對して嚴しい批判を突きつけた批判佛敎を取り上げる。續いて近年の佛敎硏究の動向として、學際的硏究の必要性や、從來無視されてきた近代佛敎硏究がようやく手がけられるようになってきたことなどを取り上げる。最後に佛敎硏究がそれだけで自立するものではなく、それぞれの民俗や文化圈の土着の宗敎や思想都の關係の中でみていくことの必要性を指摘する。

      • KCI등재

        주희의 격의불교 이해 -승조, 소식, 호상학의 ‘동중정(動中靜)’을 중심으로-

        진종원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22 泰東古典硏究 Vol.49 No.-

        Zhu Xi proposes that Geyi Buddhism plagiarized Laozi’s words and ideas. He suggests that the representative figure of Geyi Buddhism, Sengzhao’s idea of ‘seeking jing from dong’ and ‘dong is no different from jing’; Su Shi’s claim that ‘it goes like this, but it has never gone.’; Hu Hong’s thesis of ‘nature being ti(體) and heart-mind being yong(用)’; as well as Zhang Shi’s thought of ‘seeing jing in dong’ are ideas of ‘Dong Zhong Jing’ after all. Zhu Xi’s such interpretation indicates that there is some connection in terms of philosophical thoughts between Laozi, Sengzhao, Su Shi and Huxiang School. By criticizing Geyi Buddhism, Zhu Xi actually aims at targeting his opponents, i.e., Su Shi and Huxiang School’s theoretical problems. In this way, Zhu Xi does not really understand Geyi Buddhism from a narrow point of view as argued by most previous researches. Instead, he intentionally focuses only on a specific part of Geyi Buddhism in order to direct his criticism at Su Shi and Huxiang School effectively. 이 글은 격의불교에 대한 주희의 이해를 ‘동중정(動中靜)’에 관한 비판을 중심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이 과정에서 주희의 비판 대상이 되는 노자, 승조(僧肇), 소식(蘇軾), 호상학 사이의 연관성을 구명할 것이다. 주희는 격의불교에 대해 노장을 표절한 것이라 평가하면서, 승조의 ‘사불천(四不遷)’설을 거론한다. ‘사불천’설의 핵심적인 명제는 ‘움직임에서 고요함을 구함[卽動求靜]’과 ‘움직임과 고요함은 다르지 않음[動靜不異]’인데, 주희는 이를 ‘동중정’의 의미라고 요약한다. 주희는 소식의 ‘가는 것이 이와 같으나 간 적이 없다.’라는 견해가 승조의 ‘동중정’ 논리를 답습한 것이라 평가하고, ‘동중정’ 논리는 노자에게서 기원한 것으로서 현상작용에서 고요한 본체를 상정하는 것이라 비판한다. 또한 미발의 본성과 이발의 마음을 구분하는 호굉의 성체심용과 ‘움직임 가운데 고요함을 본다[動中見靜]’는 장식의 이발찰식 수양에 대해서도 ‘동중정’과 ‘즉동구정(卽動求靜)’에 영향을 받은 혐의를 제기한다. 결국 주희가 제시하는 격의불교의 ‘동중정’에 관한 비판을 따라가 보면, 노자-승조-소식-호상학으로 이어지는 사상적인 연관성을 확인할 수 있다. 주희는 이들의 ‘동중정’ 논리를 비판하고, 심통성정을 전제로 마음에 ‘정중동(靜中動)’과 ‘동중정(動中靜)’의 양 측면을 모두 상정함으로써 미발함양과 이발성찰의 수양방법을 제시한다. 따라서 기존 연구로부터 편협하다는 평가를 받아온 주희의 격의불교 이해는 단순히 불교에 관한 관심과 지식의 천박함에서 기인한 것이 아니라, 당대의 비판 대상을 의식하며 의도적으로 불교의 특정 부분을 부각하여 구성한 측면이 있다.

      • KCI등재

        현대일본의 무연사회와 장례문화의 변용

        최인택 대한일어일문학회 2013 일어일문학 Vol.59 No.-

        The main subject was created in order to follow how the culture of death changed by rapid change of population composition recently. It also describes that the social-pathological-phenomenon caused by low birthrate and longevity, a tendency of late marriage, and increase of the single-person household especially had what kind of influence on the solitary death of a society of the ‘unknown dead(孤獨死)’. Moreover, people are isolated increasingly in the Japanese society where the idea of not wanting to make trouble is emphasized too much by the family. As a result, the shocking fact that every year 32,000 people did unknown death became clear in the special program of NHK recently. Furthermore, the funeral Buddhism peculiar to Japan formed when a temple was deeply concerned with a funeral is also changing. Moreover, a crematory is also insufficient by nearly about 100 cremation rates in the shortage of graves in urban areas. It was analyzed what kind of influence such social structure change would have to the culture of death.

      • KCI등재후보

        高麗時代 天王文 帶 硏究

        주경미 국립중앙박물관 2014 미술자료 Vol.- No.85

        In this article, I surveyed five sets of gilt bronze belt ornaments with a Buddhist Heavenly King Motif in Goryeo Dynasty. In Goryeo Dynasty, gilt bronze belt ornaments were only used by the governmental officials in the governmental costume system and regarded as prestige goods for male elites. These belt ornaments with Buddhist iconography are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buddhist art and cultures of Goryeo elite class. But these long forgotten cultural artifacts have never been researched before in Korean art history because most of them remained in very fragmental and disrupted states. I researched the techniques and iconography of these ornaments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nd other important museums with a perspective of an art historian. These gilt bronze belt ornaments with a Buddhist Heavenly King motif were made in the same technical methods as the Buddhist relic caskets in the Unified Silla and Goryeo periods. The main rectangle panel was made of thin metal sheets with soldering and chasing techniques. Next three to nine small gilt bronze human resembling images were separately made one by one with lost wax casting techniques. After these small images were detached with each mortise joint onto the main panel, each main panel with image came to be completed as a small rectangle belt ornament with a Buddhist artistic scene for detaching on a long leather or silk belt. The main image of these belt ornaments was always sitting on the rock in relaxing Lalitasana posture, holding an object such as a musical instrument or a round ball in his hand. He puts on his armours and a high crown on his head. His attendants were standing or walking along each side of the main deity. Such group of an armoured sitting king and his attendants usually identified as the Buddhist Lokapalas in Chinese Buddhist paintings from the tenth to the fourteenth century. Thus the main deity of these belt ornaments might be one of those many Buddhist heavenly kings. However, I think the iconography of Goryeo belt ornaments can be a representation of any Buddhist heavenly king, not confined to Lokapalas. In Goryeo Buddhism, worships for the other Buddhist heavenly kings like Vaisravana or Indra were more popular and important than the worship for Lokapalas. These worships for many heavenly kings were related with the Buddhism for national protection in Goryeo society, and might have influenced the new Buddhist iconographic formation of the belt ornaments for governmental martial offici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