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백서에서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제에 의한 장관 손상, 장내세균 과증식, 장내세균전위 및 장기의 무게 변화

        김은정 ( Eun Jeong Kim ),김정욱 ( Jeong Wook Kim ) 대한장연구학회 2006 Intestinal Research Vol.4 No.1

        목적: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제는 장관장벽의 손상과 장내세균의 과증식을 유발하여 장관의 손상과 장내세균전위를 유발하며 간비대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약물의 투여용량 증가에 따른 변화에 대해서는 알려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제의 투여용량에 따른 장관손상, 장내세균의 과증식 및 장내세균전위의 변화 및 각 장기의 무게변화를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 백서를 대조군, diclofenac 60 mg/kg 투여군, diclofenac 120 mg/kg 투여군 및 diclofenac 180 mg/kg 투여군으로 나누었다.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제에 의한 장손상은 diclofenac을 경구 투여하여 유발하였으며 대조군에는 생리식염수를 투여하였다. Diclofenac 투여 48시간 후에 20시간 동안 pheonolsulfonphthalein을 이용한 장투과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장투과성 검사 후에 백서를 해부하여 장관의 유착도와 원위부 회장 및 맹장에서의 장내 세균수 측정을 하였으며 장간막 림프절, 간, 비장, 신장 및 심장에서의 장내세균전위 변화를 관찰하였다. 또한 간, 비장, 신장 및 심장의 무게 변화를 관찰하였다. 결과: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제 투여에 의해 대조군에 비해 장투과성 및 장관유착이 증가하였으며 배변수가 감소하였다. 원위부 회장 및 맹장에서의 장내세균수도 증가하였으며 장간막 림프절, 간, 비장, 신장 및 심장에서의 장내세균전위도 증가하였다. 비장, 신장 및 심장의 무게는 변화가 없었고 간은 무게가 중가하였다. 결론: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제는 투여는 장관손상, 장내세균 과증식 및 장내세균전위 및 간비대를 유발한다. Background/Aims: NSAIDs induce gut damage throughout the entire gastrointestinal tract and bacterial translocat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 the change of NSAID induced gut damage, enteric bacterial overgrowth, bacterial translocation and organ weight in the animals. Methods: Rats were utilized in 4 group; control group, diclofenac 60 mg/kg group, diclofenac 120 mg/kg group and diclofenac 60 mg/kg group. Gut injury was induced by oral administration of a single dose of diclofenac Intestinal permeability (24 hour urinary excretion of pheonolsulfonphthalein), intestinal adhesion and number of stool pallet were measured to evaluate gut injury. Enteric aerobic total and gram negative bacterial counts in distal ileum and cecum were measured to evaluate enteric bacterial overgrowth. Bacterial counts of gram negatives in mesenteric lymph nodes, liver, spleen, kidney and heart were measured to evaluate bacterial translocation. Also, the organ weight change of liver, spleen, kidney and heart was measured. Results: Diclofenac caused the increase in intestinal permeability, intestinal adhesion, enteric bacterial numbers, bacterial translocation to mesenteric lymph nodes, liver, spleen, kidney and heart and hepatomegaly, and the decrease in numbers of stool pellet. Conclusions: Diclofenac induced gut damage, enteric bacterial overgrowth, bacterial translocation and hepatomegaly. (Intestinal Research 2006;4:45-52)

      • 백서에서 주기적인 금식이 장투과성, 장내세균과증식, 장내세균전위에 미치는 영향

        김정욱 한국정맥경장영양학회 2010 한국정맥경장영양학회 학술대회집 Vol.2010 No.-

        서론: 임상에서 검사와 치료목적으로 환자가 주기적인 금식인 상태인 경우가 흔히 있으나 이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감염성 합병증에 대해서는 많이 알려지지 않았다. 일정기간 이상의 금식은 장관장벽손상과 장내세균 과증식을 유발하여 감염성 합병증인 장내세균전위를 유발할 수 있으나 주기적으로 지속되는 금식이 장내 세균전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아직 보고가 없다. 방법: 백서 18마리를 대조군, 36시간 금식군, 주기적 금식군으로 나누었다. 대조군은 실험종료 시까지 사료와 음용수를 자유롭게 섭취하게 하였고 36시간 금식군은 실험종료 36시간 전부터 음용수만 제공하였다. 주기적 금식군은 실험종료 10일전부터 24시간 간격으로 사료공급과 중단을 번갈아 시행하였으며 음용수는 계속 제공하였다. 장투과성의 측정은 실험종료 18시간 전부터 종료 시까지 pheonosulfonphthalein를 이용하여 측정 하였다. 말단회장과 맹장의 장내세균 수를 측정하였으며 장간막림프절, 간, 비장, 콩팥, 심장에서의 그람음성 세균의 장내세균전위 정도도 측정하였다. 체중 및 식이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결과: 대조군에 비해 36시간 금식군과 주기적 금식군은 사료섭취량이 적고 체중이 감소하였으나 음용수 섭취량은 차이가 없었다. 장투과성은 대조군에 비해 36시간 금식군에서 약간 증가하였으나 주기적 금식군에서는 대조군과 주기적 금식군에 비해 의미 있게 감소하였다. 장내세균수는 각 군별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으나 주기적 금식군에서 36시간 금식군보다 대장의 그람음성세균수가 적었다. 장간막림프절, 간, 비장, 콩팥, 심장에서의 장내세균전위는 36시간 금식군, 주기적 금식군에서 증가하였으나 주기적 금식군에서는 36시간 금식군 보다 적었다. 결론: 백서에서 일시적인 36시간 금식과 24시간 간격의 주기적인 금식 모두 감염성 합병증인 장내세균전위를 유발하나, 일시적인 36시간 금식보다 일정기간의 주기적인 24시간 금식이 장내세균전위가 적었다.

      • KCI등재후보

        Diclofenac과 methotrexate 병합 경구 투여한 백서에서의 급성 장관손상과 장내세균전위

        김정욱 ( Jeong Wook Kim ) 대한내과학회 2007 대한내과학회지 Vol.73 No.3

        목적: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제와 methotrexate는 전장관에 걸쳐 손상을 일으키고 감염성 합병증인 장내세균전위를 유발한다. 하지만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제의 장관손상과 장내세균전위에 대한 methotrexate의 영향에 대해서는 아직 알려진 바가 없다. 이번 연구에서는 실험동물에서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제의 장관손상과 장내세균전위에 대한 methotrexate의 영향을 알아보았다. 방법: 백서를 정상 대조군, methotrexate 단독 투여군, diclofenac 단독 투여군, 그리고 methotrexate와 diclofenac 병합투여군으로 나누고 methotrexate는 20 mg/kg 용량으로 일회 경구투여하고 diclofenac은 80 mg/kg 및 120 mg/kg로 일회 경구투여 하였다. 약물 투여 2일 후 장관손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20시간 동안 장투과성검사와 배변횟수를 측정한 후 장관유착도도 관찰하였다. 원위부 회장과 맹장에서 호기성 및 그람음성 장내세균수와 장간막 림프절, 간, 비장, 신장과 심장에서의 그람음성균수를 측정하였으며, 실험기간 동안 식이량과 체중변화도 관찰하였다. 결과: Diclofenac이나 methotrexate 단독 투여에 의하여 장투과성과 장관유착도가 증가하고 배변횟수가 감소하였으며 장내세균의 과증식와 장내세균전위가 발생하였다. Diclofenac과 methotrexate 병합투여군에서는 diclofenac이나 methotrexate 단독 투여군보다 장투과성과 장관유착도가 증가하고 배변횟수가 감소하였다. 또한 diclofenac 80 mg/kg 투여에서 diclofenac 단독투여군보다 그람 음성 장내세균수가 감소하였고, diclofenac의 투여용량과 상관없이 간, 비장, 신장과 심장에서 장내세균전위가 감소하였다. 식이투여량과 체중감소는 연구 결과에 영향이 없었다. 결론: 백서에서 methotrexate는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제에 의한 장관손상을 증가시키지만 간, 비장, 신장과 심장에서의 장내세균전위는 감소시킨다. Background: NSAIDs and methotrexate induce gut damage and bacterial translocation (BT). However, there is no study examining the combined effects of methotrexate and NSAID on gut damage and BT. We examined the combined effects of methotrexate and NSAID-induced enteropathy and bacterial translocation in an experimental animal model. Methods: Rats received either no drug, NSAID alone (diclofenac 80 mg/kg and 120 mg/kg per os), methorexate alone (20 mg/kg per os) or NSAID with methotrexate. Gut barrier dysfunction, the degree of intestinal adhesion, stool pellet number, bacterial number of total aerobes and Gram negatives in the distal ileal and cecal contents and the number of Gram negatives in the mesenteric lymph nodes, liver, spleen, kidney and heart were measured. Results: Administration of diclofenac or methotrexate alone caused an increase in gut barrier dysfunction and intestinal adhesion and a decrease in stool pellet number. Administration of diclonfenac alone induced enteric bacterial overgrowth and increased BT to the mesenteric lymph nodes, liver, spleen, kidney and heart. Administration of methotrexate alone induced enteric bacterial undergrowth and BT to the mesenteric lymph nodes, liver, spleen but not to the kidney and heart. The supplements with methotrexate increased the NSAID-induced gut barrier dysfunction and intestinal adhesion, and decreased the stool pellet number. However, the reduced NSAID-induced enteric Gram negative bacterial overgrowth (with a dose of diclofenac of 80 mg/kg) and BT to the liver, spleen, kidney and heart. Conclusion: Methotrexate increases NSAID-induced intestinal damage, but reduces NSAID-induced BT to the liver, spleen, kidney and heart in experimental animals.(Korean J Med 73:258-266, 2007)

      • KCI등재후보

        백서에서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제에 의한 장관 손상과 장내세균전위에 대한 마스틱의 예방효과

        허채 ( Chae Heo ),김석원 ( Suk Won Kim ),김광진 ( Kwang Jin Kim ),김대원 ( Dae Won Kim ),김형준 ( Hyung Joon Kim ),도재혁 ( Jae Hyuk Do ),장세경 ( Sae Kyung Chang ) 대한내과학회 2006 대한내과학회지 Vol.71 No.4

        목적: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제는 전장관인 손상과 장내세균전위를 유발한다. 마스틱은 Pistacia lentiscus에서 얻어지는 수지로 위장관의 보호 효과와 항균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동물에서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제에 의한 장관 손상과 장내세균전위에 대한 마스틱의 효과를 알아보았다. 방법: 32마리의 백서를 대조군,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제 투여군, 마스틱 오일 0.3 cc/kg 및 1.0 cc/kg 병용투여 군으로 나누었다.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제에 의한 장관손상은 diclofenac sodium을 100 mg/kg을 2일간 경구투여 하여 유발하였고 상기 약물 투여 3시간 전에 마스틱 오일을 경구투여 하였다. 장관손상을 측정하기 위해 장투과성, 장관의 유착도 및 지질과산화를 측정하였고 장관의 장내세균 과증식을 관찰하기 위해 원위부 회장과 맹장에서 장내세균수도 측정하였다. 장내세균전위를 관찰하기 위해 장간막림프절, 간, 비장, 신장, 심장에서의 그람음성균수를 측정하였다. 결과: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제의 투여는 장투과성과 장유착도 및 장관의 지질과산화가 증가하였으며 원위부 회장과 맹장에서 장내세균의 과증식을 유발하였다. 또한 장간막림프절, 간, 비장, 신장, 심장으로의 장내세균전위를 증가시켰다. 마스틱의 투여는 0.3 cc/kg 용량의 투여에서 장관의 손상, 장내세균의 과증식 및 장내세균전위를 감소시켰으나 통계학적으로 의미는 없었으며 1.0 cc/kg 용량의 투여에서 의미있게 개선되었다. 결론: 마스틱은 백서에서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제에 의한 장관손상과 장내세균전위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었다. Background: NSAIDs induce gut damage and bacterial translocation throughout the entire gastrointestinal tract.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mastic, a natural resinous exudate obtained from the Pistacia lentiscus treetrees, can reduce diclofenac induce gut damage and bacterial translocation in rats. Methods: 32 SD ra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a control group, diclofenac group, diclofenac with 0.3 cc/kg mastic group and diclofenac with 1.0 cc/kg mastic group. Mastic oils were administered 3 hours before diclofenac administration (100 mg/kg orally ×2 days). Intestinal permeability, enteric aerobic bacterial counts in the distal ileum and cecum, intestinal adhesion, lipid peroxidation of distal ileum, and bacterial translocation to mesenteric lymph nodes, liver, spleen, kidney and heart were measured, respectively Results: Diclofenac caused marked increase in intestinal permeability, enteric bacterial numbers in distal ileum and cecum, intestinal adhesion, lipid peroxidation of the distal ileum, and bacterial translocation to mesenteric lymph nodes, liver, spleen, kidney and heart of which event were reduced with Mostic coadminist. Howere mastic oil showed significant profect effects in 1.0 cc/kg dose. Conclusions: Mastic was proven to have beneficial effects on preventing NSAID induced gut injury and bacterial translocation in a rat model.(Korean J Med 71:354-361, 2006)

      • SCOPUSKCI등재

        비스테로이드 항염제에 의한 장내세균전위에 대한 글루타민의 효과

        안지용 ( Ji Yong Ann ),김상중 ( Sang Jung Kim ),한상표 ( Sang Pyo Han ),김정욱 ( Jeong Wook Kim ),김형준 ( Hyung Joon Kim ),도재혁 ( Jae Hyuk Do ),김재규 ( Jae Gyu Kim ),장세경 ( Sae Kyung Chang ),전우규 ( Woo Kyu Jeon ) 대한소화기학회 2004 대한소화기학회지 Vol.44 No.5

        Background/Aims: NSAIDs induce gut damage throughout the entire gastrointestinal tract and bacterial translocat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if administration of glutamine was able to prevent the NSAID-induced gut damages and bacterial translo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