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남이장군사당굿에 나타난 남이장군의 양상과 의미

        변지선(Byun, Jisun) 서울민속학회 2018 서울민속학 Vol.- No.5

        이 연구의 목적은 남이장군사당굿에 나타난 남이장군의 양상과 의미를 고찰하기 위한 글이다. 서울 용산구 용문동 남이장군사당에서는 조선시대에 실재했던 인물인 ‘남이’를 신으로 모시고 매년 음력 10월 1일에 남이장군사당국을 한다. 이 연구에서는 역사서에 기록된 ‘남이’를 살펴보았다. 이어서 남이장군사당굿에 관련된 문헌을 검토했으며 피라의 현장조사자료를 바탕으로 남이장군사당굿에 나타난 남이장군의 양상을 고찰했다. 아울러, 이러한 결과를 분석하여 남이장군사당굿에 나타난 남이장군의 의미를 고찰했다. 남이장군사당굿에는 남이에 관한 역사적 사실이 반영되고 재현되었다. 남이의 장군으로서의 면모는 남이장군사당굿에서는 무당이 남이장군을 나타내기 위해 갑옷을 입고 투구를 쓴다. 남이장군사당굿의 무가에서는 전복과 허리띠를 매고 백마를 탄 남이로 불려진다. 역사서에서 남이는 억울한 영웅으로 기록되었으나 남이장군사당굿에서는 마을을 수호하는 신으로 좌정했다. 남이장군사당굿에서 남이는 용문동에 좋은 덕을 몰아다주는 능력, 물을 맑게 해주는 능력, 불을 밝혀주는 능력, 풍파와 풍진을 없애주는 능력이 있는 신으로 나타난다. 남이는 용문동 마을주민의 구체적 신앙의 대상으로 존재한다. 용문동 주민들은 개인적인 소원을 남이장군에게 빌고 영험성을 믿는다. 남이는 역사서에서와는 달리, 남이장굿사당굿이라는 마을굿에서 실제 남이의 억울함을 위로하고 이를 통해 마을을 수호하는 영험한 신으로 전환되었다. The object on this study is to appearance and meaning of ‘General Nami’ in Seoul Gut. In Yongmun-dong, Yongsan-gu, Seoul, ‘Nami-ganggunsadanggut’ takes Nami, a person who was in the Joseon Dumasty as a God. On this study, looked at ‘Nami’ recorded in history books. In the following, reviewed to literature related to the ‘Nami-ganggunsadanggut’, and examined the aspect of ‘General Nmi’’ in the ‘Nami-ganggunsadanggut’, based on field notes. In addition, analyzed the results and analyzed the meaning of ‘General Nami’ in the ‘Nami-ganggunsadanggut’. According to Historical facts about the Nami were reflected and reproduced in the ‘Nami-ganggunsadanggut’. As ‘Ggeneral Nami’, on the ‘Nami-ganggunsadanggut’, the shamans wear armor and gelmets to represent Nami. In ‘Nami-ganggunsadanggut’ of the General of the General Sadang Good, he is called Nami who wears an ‘Jeonbok’ and a waistband and riding a white horse. In the history, Nami was recorded as an unfortunate hero, but in ‘Nami-ganggunsadanggut’, he is the guardian of the village. In ‘Nami-ganggunsadanggut’, Nami appears as a god with the ability to drive good virture to Yongmun-dong, the ability to clear water, the ability to light fire, and the ability to eliminate wind and rubella. Nami is the object of concrete faith of Yongmun-dong village inhabitants. Yongmun-dong residents pray for their personal wishes to the ‘God general Nami’, and believe in spirituality. Unlike the history of Nami, Nami was converted into a god of god who defended the injustice of Nami in the village gut called ‘Nami-ganggunsadanggut’ and defended the village through it.

      • KCI등재

        「천남생 묘지」에 보이는 將軍과 7세기 고구려의 군사 운용

        이정빈(Lee, Jung-bin)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6 한국고대사탐구 Vol.22 No.-

        본고는 「천남생 묘지」에 보이는 장군의 의미를 밝히고, 이를 중심으로 7세기 고구려의 군사 운용에 대하여 살펴본 것이다. 「천남생 묘지」에는 장군 삼군대장군이 보이는데, 이는 전시의 야전군 사령관이었다. 전시의 야전군은 상비군을 바탕으로 임시적인 징발병을 더하여 편성하였는데, 장군은 국왕으로부터 그 군사권을 위임받았다. 대장군은 太大兄이상, 장군은 皁衣頭大兄이상의 관등소지자를 임명하는 것이 원칙이었고, 대장군이 총사령관으로 복수의 부대를 지휘한 경우 예하의 부대에 장군을 임명하였다. 大模達은 조의두대형 이상 무관에 대한 범칭이었다. 따라서 전시의 장군도 대모달이라고 칭하였다. 褥薩은 최상급 행정단위의 장관이었지만 예하 군사조직의 최고위 무관직을 겸하기도 하였고, 대모달과 마찬가지로 조의두대형 이상이 취임하였다. 그러므로 욕살도 무관의 임무를 수행할 때는 대모달을 칭하였고, 그들이 전시의 장군을 맡는 사례가 많았다. 이처럼 7세기 고구려에서는 평시의 군사조직을 바탕으로 전시에 동원된 군사를 통합하여 야전군을 편성하였는데, 그 사령관인 장군은 평시의 관등 관직에 기초하여 운용되었고, 이로써 평시와 전시의 군사조직이 호환성을 갖추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meanings of Janggun (將軍) in "Cheonnamsaeng Epitaph(泉男生墓誌)" and promote the understanding of Janggun and military management of Goguryeo in the 7th century. There are Janggun and Samgundaejanggun(三軍大將軍) in the Epitaph, and they were commanders of field army during wartime, in which the field army was organized based on the standing army by adding temporary requisition soldiers and was commissioned to exercise military authority from the king. Daejanggun(大模達) was Taedaehyeong(太大兄) or higher, and Janggun was Jouidudaehyeong(皂衣頭大兄) or higher in principle. Daemodal refers to military officers of Jouidudaehyeong or higher and was used to call a general during a war. Yoksal(褥薩) was a minister of the highest administrative unit and also served as the military officer of the highest rank in the military organization under the unit. Officers of Jouidudaehyeong or higher were appointed as Yoksal, which means that Yoksal was called Daemodal on the duties of military officer. It is estimated that Yoksals served as generals during a war in many cases.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military management of Goguryeo in the 7th century tried to achieve the compatibility of wartime military mobilization based on the usual military organization.

      • KCI등재

        고대 장군의 변천과 사용

        신나현(Shin, Na Hyeon) 한국상고사학회 2019 한국상고사학보 Vol.105 No.105

        도기장군은 그동안 시대별로 도기를 집성·연구하는 과정에 포함되거나 중·근세 자료에 한정되어 연구가 진행되었다. 그러다보니 장군의 원형인 고대 도기장군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이에 남한지역 출토 고대 도기장군을 연구 대상으로 삼고, 시기나 국가·지역별 차이를 파악하기 위한 형식분류를 시도하였다. 그 결과, 고대 도기장군의 변천은 3단계로 구분되었다. Ⅰ단계는 도입기로, 4세기 중후엽부터 5세기 중엽까지로 편년된다. 제작 과정이 복잡한 A형(양측면 둥근형)의 도기장군이 가장 먼저 확인된다. 그 다음 양측면이 대칭을 이루는 A형 도기장군의 특징을 따르되, 제작 과정을 단순화시킨 B형(양측면 편평형)의 도기장군이 등장한다. Ⅱ단계는 성행기로, 5세기 후엽부터 8세기 전엽까지로 편년된다. A형과 B형이 이어지면서 양측면이 대칭을 이루는 특징을 따르지 않고 제작 과정을 단순화시킨 C형(한측면 편평형)의 도기장군이 제작·사용되어 다양한 형태의 도기장군이 공존하게 된다. Ⅲ단계는 쇠퇴기로, 8세기 중엽부터 조선시대 이전까지로 편년된다. 더 이상 A형의 도기장군이 나타나지 않으며 C형의 도기장군만 제작·사용된다. 그리고 국가별로 도기장군의 형태가 구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백제 권역에서는 주로 견부와 저부가 원저단경호의 저부와 같이 둥글고동최대경에 비해 경경(脛徑)이 좁은 형태의 도기장군이, 신라·가야 권역에서는 견부와 저부가 원통형을 눕힌 것 같이 직선을 그리고 동최대경에 비해 경경이 넓은 형태의 도기장군이 제작·사용되었다. 한편, 백제에서는 장군의 기원으로 볼 수 있는 견형호(茧形壶)와 같이 일상생활에서 특별한 액체를 저장·운반하는 목적으로 도기장군이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반면 신라에서는부장하는 음식을 담는 용기, 즉 제기로 사용된 듯하다. 통일신라시대에 들어서는 고신라의 도기장군과 다르게 일상생활에서 액체를 저장·운반하는 목적으로 도기장군이 사용되었으 며, 크기가 다양해지면서 특별한 액체가 아닌 소변과 장과 같은 다른 액체도 담게 된 것으로 판단된다. The pottery barrel-shaped vessel has been involved in the process of collecting and studying pottery or limited to data from the middle and the modern age. As a result, very little has been done to study the pottery barrel-shaped vessel of ancient, the origin of other materials and age. Thus, the pottery barrel-shaped vessel in ancient was designated as a research target and attempted to classify the types to identify the timing, national and regional differences. As a result, the transition of the pottery barrel-shaped vessel of ancient was divided into three stages. Stage I is an introduction, and the A-type(both sides rounded) is the first to be identified. Then, followed by the B-type(both sides flattened) that simplified the manufacturing process. Stage II is a prevalence, with the A-type and B-type, and the C-type(one-side flattened) being produced and used without conforming to the symmetrical characteristics of both sides, thereby co-existing various types of pottery. Stage Ⅲ is a decline, no more the A-type and only the C-type is produced and used. And we could see that the formats were divided by country and region. In the Baekje region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a rounded shoulder and base, narrow-necked pottery barrel-shaped vessel was created and used. On the other hand, Silla and Gaya region, a flattened sholer and base, broad-necked pottery barrel-shaped vessel was created and used. Meanwhile, in Baekje, a pottery general was used for the purpose of storing and transporting liquids in daily life, such as the Gyeonhyeongho, which can be seen as the origin. while Silla used the container for burial food as sacrificial rites. In the Unified Silla Period, a pottery general was used for the purpose of storing and transporting liquids in daily life, unlike the ancient Silla, and with varying sizes, it was used to contain other fluids such as urine and intestines, not special liquids.

      • KCI등재

        조선시대 전라좌수영의 將軍島城 축조과정 및 배경과 李良將軍

        송은일 호남사학회 2014 역사학연구 Vol.54 No.-

        This paper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the Janggun Island Fortress built around the Janggun Island in current Yeosu City by General Lee Ryang that was appointed as the Sugun Jeoldosa of Jeollajwado during Joseon. The fortress built underwater by the general is called by many different names including "Janggun Fortress," "Janggun Island Fortress," "Underwater Fortress," "Bangoichukseong," "Underwater Fortress on the Janggun Island," and "Bangoichukje." The investigator decided to call it Janggun Island Fortress in the study because it seemed the most rational choice given that it appeared in literature from the earliest times to the end of Joseon, that it is still used today, and that its origin has the clearest historicity. It is estimated that the Janggun Island Fortress was approximately 100m in total, approximately 30m in lower area, approximately 10m in upper area, 6~7m in middle point height, and about 4~5m in edge height based on the content of "Yijanggunhamcheongun huiryangbangoichukjebi", which states that the fortress emerged over the water, and its traces exposed during a flood tide today. The building process of the fortress mainly consisted of extracting, transporting, dropping, and selecting stone materials. The volume of stone materials used was approximately 12,000㎥~14,000㎥, and they seem to have been collected and procured around Seon(Seong) Saengwon(current an island near Shinpung-ri, Yulchon-myeon, Yeosu City) during Joseon, transported on warships that belonged to Jeollajwasuyeong, and towed on warships after being piled up in apparatuses other than warships. It seems that once stone materials were carried to the building site, they were dropped into the sea right away and formed into a fortress through core or armor stone evening. The building method is a method of construction generally used even today, which suggests that the marine engineering works reached a considerable level those days. The backgrounds behind General Lee Ryang's construction of the fortress include defending the nation from the attacks of Japanese raiders, resolving the anxious state of mind of people with Sancheonbio or Euprakbiobo of Feng Shui, and guaranteeing their peaceful life. It is estimated that its construction began around June in the third year of Yeonsangun's reign(1497) and ended around June ~ December in the fourth year of Yeonsangun's reign. General Lee Ryang was a man that excelled both in scholarship and martial arts, being equipped with the commanding skills at the front line of military and the administrative abilities. As a commander in the military, he attained numerous military merits and thus earned solid trust from the royal court. The fact that he built an underwater fortress to prevent the invasion of enemies in advance right after being appointed as Jeollajwasusa especially serves as a side point to figure out his abilities with military strategies and tactics. His fortress is the only underwater fortress in the nation and offers crucial clues to understand the history of naval forces and marine culture as well as traditional military facilities, which indicates that the relics of Janggun Island Fortress claim huge historic significa. 이 글은 조선시대 전라좌도수군절도사로 부임하였던 이량장군이 현 여수시 장군도 일대에 축조하였던 장군도성에 대해서 살펴본 것이다. 이량장군이 수중에 쌓았던 城의 명칭은 ‘將軍城’, ‘將軍島城’, ‘水中城’, ‘防倭築城’ ‘將軍島 水中城’ ‘防倭築堤’ 등으로 불리어지고 있으나 조선시대 문헌상으로 가장 이른 시기부터 조선 말기까지 등장하고 현재에도 여전히 사용되고 있으면서 그 명칭의 유래에 대한 역사성이 가장 뚜렷한 장군도성을 성의 명칭으로 사용하는 것이 합리적이라 생각되었다. 장군도성의 규모는 이 성이 수면위로 드러났다는 「李將軍咸川君諱良防倭築堤碑」의 내용과 현재 밀물이 되면 드러나는 장군도성의 흔적을 종합해보면 총연장 약100m, 하부 넓이 약 30m, 상부 넓이 약 10m, 중간지점 높이 6~7m 가장자리 높이 약 4~5m 정도였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장군도성의 축조과정은 크게 석재채취ㆍ석재운반ㆍ석재투하ㆍ석재고르기 등으로 나눌 수 있었다. 석재량은 대략 12,000㎥~14,000㎥ 정도였는데 조선시대 선(성)생원(현 여수시 율촌면 신풍리 인근 섬)원 인근에서 채취ㆍ조달하였던 것이며, 운반은 전라좌수영 본영 군선과 군선 외 기구에 석재를 적재한 후 군선으로 曳引하였던 것으로 생각되었다. 이렇게 석재가 장군도성 축조 장소로 운반되면 이 석재를 곧장 해상에 투하하였으며, 이후 속고르기나 피복석고르기를 하여 성곽의 형태를 의 형태를 만들었던 것으로 여겨졌다. 이러한 공사 방식은 현재에도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공법으로 당시 해상 토목공사가 수준이 상당하였음이 감지되었다. 이량장군이 장군도성을 축조하게 된 배경은 왜구의 침입을 방어하고 한편으로 풍수의 산천비보 내지는 읍락비보 사상을 앞세워 백성들의 불안한 상태를 해소하고 나아가 그들의 安居까지를 해결할 수 있다는 목적아래 행해졌던 것으로 판단되었다. 장군도성의 착공단계는 연산군 3년(1497) 6월 정도였고 완공단계는 연산군 4년 6월에서 동년 12월 사이였던 것으로 생각되었다. 이량장군은 일선 군 지휘관은 물론이고 행정 능력을 두루 갖춘 즉 문ㆍ무를 겸비한 인물이었다. 군 지휘관으로 있을 때에는 수많은 전공을 세웠으며, 그러한 결과 조정에서 신망이 매우 두터웠다. 특히 이량장군이 전라좌수사로 부임한 직후 적의 침투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수중에 성을 쌓았다는 사실은 그의 군사적 전략이나 전술능력 등을 가늠하는 방점이 된다. 이량장군이 수중에 쌓았던 성은 국내 유일한 것으로 전통시대 군사시설물은 물론이고 수군사와 해양문화를 알 수 있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 따라서 장군도성유적은 그 역사적 의미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겠다.

      • KCI등재

        연구논문 : 조선시대 전라좌수영의 將軍島城 축조과정 및 배경과 李良將軍

        송은일 ( Eun Il Song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4 역사학연구 Vol.54 No.-

        이 글은 조선시대 전라좌도수군절도사로 부임하였던 이량장군이 현 여수시 장군도 일대에 축조하였던 장군도성에 대해서 살펴본 것이다. 이량장군이 수중에 쌓았던 城의 명칭은 ‘將軍城’, ‘將軍島城’, ‘水中城’, ‘防倭築城’ ‘將軍島 水中城’ ‘防倭築堤’ 등으로 불리어지고 있으나 조선시대 문헌상으로 가장 이른 시기부터 조선 말기까지 등장하고 현재에도 여전히 사용되고 있으면서 그 명칭의 유래에 대한 역사성이 가장 뚜렷한 장군도성을 성의 명칭으로 사용하는 것이 합리적이라 생각되었다. 장군도성의 규모는 이 성이 수면위로 드러났다는 「李將軍咸川君諱良防倭築堤碑」의 내용과 현재 밀물이 되면 드러나는 장군도성의 흔적을 종합해보면 총연장 약100m, 하부 넓이 약 30m, 상부 넓이 약 10m, 중간지점 높이 6~7m 가장자리 높이 약 4~5m 정도였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장군도성의 축조과정은 크게 석재채취·석재운반·석재투하·석재고르기 등으로 나눌 수 있었다. 석재량은 대략 12,000㎥~14,000㎥ 정도였는데 조선시대 선(성)생원(현 여수시 율촌면 신풍리 인근 섬)원 인근에서 채취·조달하였던 것이며, 운반은 전라좌수영 본영 군선과 군선 외 기구에 석재를 적재한 후 군선으로 曳引하였던 것으로 생각되었다. 이렇게 석재가 장군도성 축조 장소로 운반되면 이 석재를 곧장 해상에 투하하였으며, 이후 속고르기나 피복석고르기를 하여 성곽의 형태를 의 형태를 만들었던 것으로 여겨졌다. 이러한 공사 방식은 현재에도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공법으로 당시 해상 토목공사가 수준이 상당하였음이 감지되었다. 이량장군이 장군도성을 축조하게 된 배경은 왜구의 침입을 방어하고 한편으로 풍수의 산천비보 내지는 읍락비보 사상을 앞세워 백성들의 불안한 상태를 해소하고 나아가 그들의 安居까지를 해결할 수 있다는 목적아래 행해졌던 것으로 판단되었다. 장군도성의 착공단계는 연산군 3년(1497) 6월 정도였고 완공단계는 연산군 4년 6월에서 동년 12월 사이였던 것으로 생각되었다. 이량장군은 일선 군 지휘관은 물론이고 행정 능력을 두루 갖춘 즉 문·무를 겸비한 인물이었다. 군 지휘관으로 있을 때에는 수많은 전공을 세웠으며, 그러한 결과 조정에서 신망이 매우 두터웠다. 특히 이량장군이 전라좌수사로 부임한 직후 적의 침투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수중에 성을 쌓았다는 사실은 그의 군사적 전략이나 전술능력 등을 가늠하는 방점이 된다. 이량장군이 수중에 쌓았던 성은 국내 유일한 것으로 전통시대 군사시설물은 물론이고 수군사와 해양문화를 알 수 있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 따라서 장군도성유적은 그 역사적 의미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겠다. This paper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the Janggun Island Fortress built around the Janggun Island in current Yeosu City by General Lee Ryang that was appointed as the Sugun Jeoldosa of Jeollajwado during Joseon. The fortress built underwater by the general is called by many different names including "Janggun Fortress," "Janggun Island Fortress," "Underwater Fortress," "Bangoichukseong," "Underwater Fortress on the Janggun Island," and "Bangoichukje." The investigator decided to call it Janggun Island Fortress in the study because it seemed the most rational choice given that it appeared in literature from the earliest times to the end of Joseon, that it is still used today, and that its origin has the clearest historicity. It is estimated that the Janggun Island Fortress was approximately 100m in total, approximately 30m in lower area, approximately 10m in upper area, 6~7m in middle point height, and about 4~5m in edge height based on the content of "Yijanggunhamcheongun huiryangbangoichukjebi", which states that the fortress emerged over the water, and its traces exposed during a flood tide today. The building process of the fortress mainly consisted of extracting, transporting, dropping, and selecting stone materials. The volume of stone materials used was approximately 12,000㎥~14,000㎥, and they seem to have been collected and procured around Seon(Seong) Saengwon(current an island near Shinpung-ri, Yulchon-myeon, Yeosu City) during Joseon, transported on warships that belonged to Jeollajwasuyeong, and towed on warships after being piled up in apparatuses other than warships. It seems that once stone materials were carried to the building site, they were dropped into the sea right away and formed into a fortress through core or armor stone evening. The building method is a method of construction generally used even today, which suggests that the marine engineering works reached a considerable level those days. The backgrounds behind General Lee Ryang`s construction of the fortress include defending the nation from the attacks of Japanese raiders, resolving the anxious state of mind of people with Sancheonbio or Euprakbiobo of Feng Shui, and guaranteeing their peaceful life. It is estimated that its construction began around June in the third year of Yeonsangun`s reign(1497) and ended around June ~ December in the fourth year of Yeonsangun`s reign. General Lee Ryang was a man that excelled both in scholarship and martial arts, being equipped with the commanding skills at the front line of military and the administrative abilities. As a commander in the military, he attained numerous military merits and thus earned solid trust from the royal court. The fact that he built an underwater fortress to prevent the invasion of enemies in advance right after being appointed as Jeollajwasusa especially serves as a side point to figure out his abilities with military strategies and tactics. His fortress is the only underwater fortress in the nation and offers crucial clues to understand the history of naval forces and marine culture as well as traditional military facilities, which indicates that the relics of Janggun Island Fortress claim huge historic significa.

      • KCI등재

        나말려초 재지성주의 장군칭호의 의미

        강문석(Kang, Moon-seok) 신라사학회 2016 新羅史學報 Vol.0 No.37

        이 글의 목적은 나말려초 재지 지방통치자의 칭호인 성주와 장군의 차이를 알아보는 것이다. 나말려초 중앙에서 자립한 재지 지방통치자는 지역명을 관칭한 성주나 장군, 혹은 성주 · 장군, 지주제군사로 기록되었다. 이러한 칭호중 공식적인 칭호는 금석문에 기록된 지역명을 관칭한 장군과 지주제군사였다. 재지 지방통치자가 지역명을 관칭한 성주나 성주・장군으로 기록된 점에서 관칭한 지역명의 성과 지방통치자의 관계가 어떠하였는지 논의가 있었다. 이 논의는 하나의 결론에 이르지 못하고 두 개의 견해로 나뉘었는데 재지 지방통치자가 관칭한 성에서만 세력이 있었다고 본 견해가 있고, 재지 지방통치자가 관칭한 성뿐 아니라 일정군현정도의 영역까지 세력이 있었다고 본 견해가 있었다. 사료를 검토한 결과 지역명을 관칭한 성주 · 장군은 관칭한 지역이 포함된 군현정도의 영역까지 세력을 미치는 존재였다. 재지성주의 공식칭호인 지역명+장군과 지주제군사 중 지역명+장군은 재지성주가 일차적으로 자칭한 것이다. 이들이 장군직을 자칭한 것은 신라하대부터 골품제와 상관없이 일정부대의 지휘관을 장군으로 경칭한 것의 연속선상에 있었다. 재지장군은 대장군도 자칭하였는데 역시 신라하대의 연속선상에 있었다고 생각된다. 대장군을 칭한 재지장군은 장군을 칭한 재지장군보다 병사가 많았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세력을 대장군이라는 호칭으로 표현하였다. 재지장군은 후삼국중 고려의 세력이 강해지면서 대부분 고려에 귀부한다. 고려는 재지성주가 자칭한 장군직을 인정하고 고려중앙의 장군으로 받아들였으나 재지성주가 자칭한 대장군직은 받아들이지 않았다. 고려에서 대장군직은 중앙의 군관중 장군직을 맡은 사람이 승진하는 경우 주어졌다. 고려는 장군직과 대장군직을 구분하여 귀부한 재지장군을 중앙의 장군직에 준하여 받아들이고 중앙의 대장군휘하에 두는 통제책을 폈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difference of the title of a local general and a local Sung-joo in the Late-Silla & Early Koryo Period. The local ruler had some titles. One was a Sung-joo, another was general, and so on. The local ruler lived a fortress, so most people called him Sung-joo. But the official title of the local ruler was the general. The local ruler called himself a general, because he was a military commander, and a general was a title of honor. Since King Shin-moo(神武王) called Chang Po-go(張保皐) a general, the general title was a title of honor regardless of Golpoomje(骨品制). The local ruler who had more soldiers than any other generals, called himself a major general (大將軍). Koryo Dynasty was stronger than Silla and the late Baek-je(後百濟), so many local generals made an alliance with Koryo. Koryo Dynasty accepted them and treated them as a general of Koryo. But Koryo did not accept the title of a major general. Koryo Dynasty permited the title of a major general in the only central army. The major general in Koryo controlled the local general.

      • KCI등재

        고려 초기 장군직의 기능과 성격

        권영국 숭실사학회 2011 숭실사학 Vol.0 No.27

        고려 초기 장군직의 기능과 성격 권 영 국 고려 초기의 장군직은 다른 여러 제도들과 마찬가지로 태봉대의 것을 그대로 이어받은 것이다. 태조 즉위 직후에 보이는 여러 명칭의 장군직은 모두 궁예에 의해 임명된 것이었다. 마진을 건국하기 이전까지는 궁예만이 장군 칭호를 사용하였으나 이후 관직체계를 정비하면서 장군직이 설치되었다. 이때의 장군직은 신라시대의 군단의 최고 지휘관이었던 장군직제를 받아들인 것이라 생각된다. 신라시대의 장군직은 5세기 후반의 좌ㆍ우장군에서 출발하여 이후 진흥왕대에 이르러 점령지에 州를 설치하고, 停을 배치하여 그 장으로서 설치되었다. 또한 중앙 군단인 시위부와 9서당에도 최고지휘관으로서 장군이 설치되었다. 한편 신라말에 이르러 중앙의 통제력이 약화되자 지방군의 지휘관이나 지휘관을 겸한 지방관들의 일부는 그들이 거느리던 군대를 사병화하고, 스스로 장군이라 칭하였다. 또한 이러한 추세 속에서 견훤이나 궁예처럼 일정한 영역에서 독자적으로 지배권을 확보한 각종 지방세력들도 장군을 자칭하였다. 이처럼 신라말에 등장한 장군은 국가의 지배체제 밖의 존재로서 중앙정부와 연결되기도 하고 견훤이나 궁예 또는 왕건과 연결되기도 하였다. 장군은 최고통수권자인 국왕으로부터 위임받은 군대의 지휘 통솔권을 행사하는 존재였으므로 그 기본적인 기능은 주어진 임무에 따라 휘하 군대를 지휘 통솔하는 것이었다. 고려초에는 군대의 기능이나 병종, 지휘 서열, 출전 방면 등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장군직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신라시대에 비해 지휘체계가 더욱 분화되고 체계화되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당시에는 이미 골품제가 해체되고 있었고, 후백제와 군사적 대결이 치열한 상황이었으므로 장군직의 임명에는 신분이나 출신보다는 전문적인 군사지휘관으로서의 자질이나 능력이 중요시 되었다. 한편 당시의 관리들의 위계질서를 나타내는 官階체계 내에서 장군직은 특정한 관계와 대응되지 않고 대체로 元尹 이상의 인물이 임명되었다. 이처럼 고려 초기에 장군직은 국왕의 군령권을 대행하는 지휘자나 지휘체계가 제도적으로 확립되어 있지 않았던 상황에서 일정 관계 이상의 자가 임명되는 일시적ㆍ과도기적 성격의 무관직이었고, 따라서 유사시에는 지휘자로서 자격을 갖춘 인물에게 지휘권을 부여하여 임시적인 군령체제를 운용하였던 것이다. The Function and Character of Generals in the early Goryeo Dynasty Kwon, Young Kook In the early Goryeo Dynasty, Generals inherited those of Taebong as they were. At the time before AD 904 which Majin was founded in, only Kungye was called General. As the system of the public office was organized, Generals were established, after the time when Majin was founded. Generals during that era were thought to inherit those of the Silla Dynasty which were in the position of the highest commander. In the early Goryeo Dynasty, there were various Generals according to the military function, the specialties of arms, the order of command, and the direction of going to war. It was showed that the command structures were divided and systematized compared to the Silla Dynasty. When a general was appointed, his talent and ability as a specialized commander were regarded higher than his status. And only men in the particular rank didn't have qualification for Generals during that era. Generally the person in the higher position than Wonyun was appointed. In the early Goryeo Dynasty, the command structures which substitute the king’s power of the military command didn’t exist institutionally. Generals were the temporary and transitional position for the military officer. Therefore, the temporary system of military command which assigned the right of command to the person with qualification as a commander was operated in case of emergency.

      • KCI등재

        통일 이후 신라 將軍制의 변화 - 將軍號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

        최상기 대구사학회 2023 대구사학 Vol.152 No.-

        통일 이후 신라의 將軍制는 상임 관직으로서의 장군이 출현하고, 將軍號가 개인에게 귀속되는 등 이전과 달라지는 모습을 보였다. 神文王 원년(681)에 설치된 侍衛府將軍은 임명 규정과 역할을 감안할 때 상임 장군으로 보아야 한다. 그 전신은 侍衛府大監이었는데, 신문왕은 즉위 무렵의 불안한 정국을 타개하기 위해 친위 군사 조직의 책임자를 군령권의 즉각적인 발동이 가능한 장군으로 대체했다고 추정된다. 다만 이로 인해 국왕의 고유 권한인 군령권이 시위부장군에 상시 이양되는 결과도 함께 발생했다. 九誓幢將軍도 같은 이유로 상임 장군이었다고 여겨진다. 특히 신라에 더해 피복속 집단 출신자로 구성되었다는 특성을 토대로, 평소에도 국왕의 권위를 시각적으로 장식하는 역할을 담당했다. 하지만 상임 장군의 증가는 국왕의 통제 여부에 따라 군령권을 타인에게 분산시킬 소지가 있었다. 한편 聖德王 시기의 발해 원정에서 이루어진 장군 임명을 통해, 통일 이전의 방식도 유지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下代에 등장하는 順天軍將軍은 지휘 대상인 순천군의 특수성으로 인해, 유일하게 그 지위를 가졌던 金雄元에게 고정되었다고 보인다. 「경주 흥덕왕릉 비편」의 驍騎將軍은 시위부장군의 별칭으로 여겨지는데, 진골 유력자 휘하의 인물이 시위부를 장악하면서 그 칭호를 독점하게 되었다. 장군호의 개인 귀속은 군령권의 소재 측면에서 왕권에 부정적 영향을 줄 가능성이 컸다. 平東將軍은 淸海鎭 소속이 아닌 金陽이 청해진의 군사력을 지휘해야 하는 상황에서 불가피하게 선택되었지만, 장군임에도 군령권 행사가 제한된 당시의 상황이 반영된 결과였다. 鎭海將軍은 규정상 장군으로 임명될 수 없는 弓福에게 주어졌다는 사실만으로도, 장군제의 쇠퇴를 상징하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신라 말기 장군제의 쇠퇴와 연동해 지역 유력자의 장군 자칭이 증가하면서 장군의 위상은 더욱 낮아졌고, 知州諸軍事 계통의 지위가 장군을 대체하게 되었다. After unification, Silla(新羅)'s Janggun(將軍) system showed a different appearance from before, such as the emergence of a Janggun as a standing official and the attribution of the Janggun's title to an individual. The SiwuibuJanggun(侍衛府將軍) established in the first year(681) of King Sinmun(神文王) should be regarded as a standing Janggun considering the appointment regulations and roles. Before installing the SiwuibuJanggun, the head of the royal guard was a SiwuibuDaegam(侍衛府大監). In order to overcome the unstable political situation around the time of his accession, King Shinmun is believed to have replaced the position in charge of the royal guard with a Janggun that can immediately activate the military command. However, this also resulted in the transfer of the king's own authority, the military command, to the SiwuibuJanggun at all times. The Nine-SeodangJanggun(九誓幢將軍) is believed to have been a standing Janggun for the same reason. In particular,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being composed of people from subordinate groups in addition to Silla, it played a role in visually decorating the authority of the king. However,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standing Jangguns was likely to disperse military command rights to others depending on whether the king controlled them. Meanwhile,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method before unification was maintained through the appointment of a Janggun during the invasion of Balhae(渤海) during the reign of King Seongdeok(聖德王). It seems that the SooncheongunJanggun(順天軍將軍) who appeared in the late Silla period was fixed to Kim, Woongwon(金雄元), who was the only one who had the position due to the specificity of the unit in command. The HyogiJanggun(驍騎將軍) carved in the tombstone piece of the tomb of King Heungdeok(興德王) is considered a nickname for the SiwuibuJanggun. A figure belonging to a powerful Jingol(眞骨) took control of the Siwuibu and monopolized the title of the person in charge. The personal attribution of the title of the Janggun was likely to negatively affect the royal authority in terms of the authority of military orders. The PyeongdongJanggun(平東將軍) was inevitably chosen in a situation where Kim, Yang(金陽), not a member of Cheonghaejin(淸海鎭), had to command Cheonghaejin's military power. But it was a reflection of the situation at the time when the exercise of military orders was restricted even though he was a Janggun. The fact that the JinhaeJanggun(鎭海將軍) was given to Goongbok(弓福), who could not be appointed as a Janggun due to regulations, can be said to be an example of the decline of the Janggun system. In conjunction with the decline of the Janggun system at the end of Silla, the authority of the Janggun was further lowered as more and more local influential people called themselves Janggun. And eventually the Jijoojaegunsa(知州諸軍事) replaced the Janggun.

      • KCI등재

        한성기(漢城期) 백제의 장군호(將軍號) 활용 배경과 정치적 의미

        박찬우 ( Chanu Park )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15 백제문화 Vol.1 No.52

        한성기 말 백제왕은 신하들에게 장군호를 假授하고 이를 劉宋에 알려 정식으로 승인받았다. 이러한 假授 및 除正 요청은 백제왕이 책봉을 통해 장군호를 지니고 있었기에 가능했다. 이것은 중국에서 장군호를 수여받은 인물들이 開府하여 府官을 두고 그들을 장군으로 加官하거나 郡縣 장관직에 보임시킨 것과 흡사하다. 물론 백제에서 軍府가 실제로 설치된 것은 아니었다. 다만 백제왕은 ‘장군’이라는 대내외적으로 공인된 지위를 능동적으로 활용하였을 뿐이다. 이 같은 假授·除正을 통한 장군호 활용은 당시 중국 주변국 중에서 백제와 倭에서만 확인되며, 백제의 장군호 활용이 倭에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된다. 백제는 중국 왕조의 책봉을 계기로 장군호를 활용했지만 그것은 백제가 중국 왕조의 제후국이기 때문은 아니었다. 백제에는 이미 고유의 관제가 있었기 때문에 北魏의 ‘承制假授’權 부여 사례와 같이 책봉을 계기로 중국의 관직을 설치한 것은 아니었다. 백제왕은 자신의 ‘장군’ 책봉을 계기로 내부적 필요에 의해 장군호를 활용했다. 백제에서 장군호는 한성기 말에 활용되기 시작했다고 판단된다. 왕권이 약화되었거나 혹은 정국이 불안정했던 시점에 국왕의 위상을 높이고 그 지지세력의 입지를 강화하기 위한 이유 등 주로 왕권강화와 관련하여 장군호가 활용되었다. 백제에서 중국의 장군호를 정치적으로 활용한 것은 백제사회 전반에 중국제 물품 및 중국 관작에 대한 우호적 인식이 있었던 점과 관련되며, 또한 중국 관작이 정치적으로 효용성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King of Baekje temporarily appointed his courtier as general(將軍), which is chinese public office, and received formal approval from the Liu-Song(劉宋) after reporting of the appointment of his courtier to the Chinese dynasty during the last stage of Hanseong Period(漢城期). The temporary appointment of courtier(假授) and the formal approval(除正) by the Chinese dynasty was related to general-title(將軍號) of king of Baekje. King of Baekje got the title through the Tributary System with the chinese dynasty. The utilization of general-title in Baekje was very similar to the appointing general(將軍) and Taishou(太守) of subordinates(府官) by the lord(high ranking general) who``s the chief of general division(軍府). Of course, the general division did not exist in Baekje. Merely, king of Baekje utilized general-title in the capacity of his general-title that was recognized officially by the chinese dynasty. The utilization of general-title through the temporary appointment of courtier and the formal approval appears only in Baekje and ancient Japan(倭), and there is high probability of Baekje’s influence to ancinet Japan in utilizing general-title. Although the utilization of general-title in Baekje was possible thorough the Tributary System, it doesn’t mean that Baekje was royal class nation of Chinese dynasty. There was a unique public office system in Baekje. Because of that, there’s no need to accept chinese public office system through the Tributary System. King of Baekje utilized general-title only under the internal necessity. In Baekje, general-title was utilized from the last stage of Hanseong Period. General-title was mainly utilized in connection with strengthening of royal authority in a very difficult time that royal authority was weaken or political situation was unstable. In that hard times, general-title was utilized with the purpose of strengthening of royal authority status and of supporters group of the kingship. The political utilization of general-title in Baekje had a connection with the traditional sense of closeness about chinese goods and public office system in Baekje society at large, and it was possible under existence of the political usefulness of the chinese public office in Baekje society.

      • KCI등재

        위진남조(魏晉南朝)의 장군제(將軍制)와 "녕동대장군(寧東大將軍)"

        이주현 ( Ju Hyeon Lee )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12 백제문화 Vol.1 No.46

        後漢末이래로 魏晉南朝를 거치면서 발달한 將軍制度는 분열과 혼란의 시대상을 집약적으로 대변해준다. 이 시대 역대 왕조는 군사적으로 매우 취약했음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將軍號의 수는 폭증을 거듭하였으며, 그 결과 관직체계에서도 수많은 장군과 그 軍府의 屬官職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다. 특히 군사 정변을 통해 대권을 장악한 장군이 국정을 전단하다가 새로운 왕조를 창업하는 사례가 수십 년마다 되풀이된 것은, 장군제의 전개에 따른 불가피한 결과였다. 지방에서도 장군호의 폭증에 비례하여 州와 郡의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그 행정이 군부에 예속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都督·將軍의 군사관할 범위 안에서 州·郡은 그 일부로 예속되었으며, 군부의 속관들이 郡縣의 守令을 겸하는 것이 상례가 되었다. 중앙과 지방이 장군의 군사관할권에 의한 統屬체계로 새롭게 개편되면서, 국제관계에도 기존의 爵制的질서를 벗어나 장군호를 매개로 한 새로운 질서가 형성되었다. 東晉末이후 南朝에서는 이미 유명무실해진 封爵을 보완하는 수단으로 장군호를 주변국 군주에게 除授함으로써, 새로이 군사관할권에 입각한 統屬관계를 형성한 것이다. 주변국 군주의 사절이 그 군부의 속관 직함(長史·司馬·參軍)을 지니고 중국에 使行한 것은, 새로이 형성된 관계의 틀이 국제관계의 표준이 되었기 때문이다. 중국 측의 이러한 의도가 실제로 관철되었는지 단언할 수는 없지만, 宋代이후 동아시아 국제질서가 안정을 회복하는 단계에 들어섬으로써 중국과 정치 문화적 교류를 희망하는 주변국에 장군제의 수용이 점차 국제적인 관례로 굳어져갔으리라 생각된다. 이러한 관례는 비단 중국과 주변국 사이에서 뿐만 아니라 주변국들 사이에서도 적용된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6세기에 百濟가 倭에 보낸 사절의 직함으로 장군이 종종 등장하는 것은 그 대표적인 사례이다. 武寧王이 실제로 국내에서 寧東大將軍의 軍府를 개설 운용했는지 단언할 수는 없지만, 그의 묘지명에서 보듯 장군호를 공식적인 직함으로 사용한 사실은 확인할 수 있다. 무령왕은 중국과의 교섭에서도 장군호를 포함한 공식 직함을 칭하고, 그가 보낸 외교사절도 당연히 군부 고유의 직함(즉 長史?司馬?參軍)을 사용했을 것이다. 다만 干支표기나 ``崩``의 용례는 무령왕이 백제에서 배타적으로 군림하는 존재였음을 분명히 드러내고 있다. 즉 ``寧東大將軍·百濟斯麻王``은 당시 국제 관례를 충실히 반영한 직함이었다고 할 수 있다. General system developed in the Six Dynasties Period intensively represents the period of split and disorder. Although most of dynasties in this period had very weak and little military capabilities, the number of generals had been considerably increased, as a result, a number of generals and their subordinates were of great importance in entire officer ranking. In particular, Establishments of new dynasties by generals who took the supreme power by coup in every several years were an inevitable result due to the development of general system. In various local areas, the number of provinces and towns had been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generals, and their administrative organs were resulted to be subordinated to military posts of Dudu(都督) and Jiangjun(將軍). It turned out to be a tendency that subordinates of a military post served as magistrates(郡守·縣令) within the military jurisdiction of a general. As the administrative system was reorganized to the governing system based on military jurisdictions of generals, a new order had been formed by general system in international relations, beyond pre-existing order(爵制的秩序). Since the 5th century, general titles were granted to the monarchs in neighboring countries, as a means to compensate nominalized titles of nobility, by which a new governing system based on military jurisdiction was estabilished. In this period delegates from neighboring countries visited China usually with titles of subordinates(Changsi, Sima, Canjun) of military posts, which proves that relationship reorganized based on the military system and title was considered a widespread standard in international relations. It is hard to assure whether international relations based on chinese military system and title actually worked as intended. But acceptance of chinese military general system became an international tendency among neighboring countries hoping political, cultural exchange with China, as since the 5th century East asian international order reached the step to restore its stability. Although Actual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Great General Yeongdong" military post by King Muryeong(武寧王) is still in debate, the epitaph from his tomb proves that King Muryeong obviously used his general title as an official title. King Muryoeng called himself various official titles including granted general title in negotiations with Chinese side, his diplomats would use their own titles of military posts for sure. However several words in the epitaph clearly reveal that King Muryeong was an exclusive and independent ruler in Baekje(百濟) Dynas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