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1942년 일제의 대종교 탄압과 치안유지법

        장세윤 국학연구소 2022 국학연구 Vol.26 No.-

        지금까지 수행된 많은 ․연구를 통해 1942년 일본 경무당국의 대종교 탄 압사건인 ‘임오교변(壬午敎變)’의 실상은 거의 규명되었다. 그러나 일 제와 그 괴뢰국인 ‘만주국’ 당국의 대종교 주도세력에 대한 만주국 ‘치안유지법’적용 탄압의 실상과 그 의미는 아직 규명되지 못했다. 일부 기록과 연구서 등에는 임오교변 당시 만주국 치안당국이 '잠행징치반 도법(暫行懲治叛徒法)’을 적용하여 대종교 인사들을 탄압한 것으로 서 술되어있지만, 이는 잘못된 것이다. 1941년 12월 제정된 ‘치안유지 법’을 적용하여 일대 조작탄압사건을 벌인 것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일본의 괴뢰국인 ‘만주국’의 ‘잠행징치반도법’․ ‘잠행징치도비법(暫行懲治盗匪法)’을 개략적으로 검토한 뒤 만주국에 서의 치안유지법 제정과 대종교도에 대한 치안유지법의 적용, 그리고 그 의미 등을 고찰하였다. 일본은 1931년 9월 중국 동북지방(만주)을 침략한 ‘9․18사변(만주사 변)’을 도발한 뒤 일제의 허수아비 국가인 ‘만주국’을 세운 뒤 대거 봉기한 항일세력을 탄압하기 위해 ‘잠행징치반도법’․‘잠행징치도비 법’을 제정․운용하여 항일세력에 큰 타격을 주었다. 특히 잠행징치도비 법의 ‘임진격살(臨陣格殺)’과 ‘재량조치’등의 즉결처분 규정이 항일 무장투쟁 세력 탄압의 주요 법률근거로 무자비하게 적용되어 큰 피해를 입혔다. 여기에서 더 나아가 일본의 허수아비국가인 만주국은 1925년 5월 일본 과 식민지 ‘조선’에 적용된 치안유지법, 그리고 1941년 5월 조선에서 의 개정 치안유지법 제정 등에 영향받아 1941년 12월 27일 치안유지법 과 ‘치안유지법 시행령’을 공포, 시행하였다. 그런데 만주국 치안유지 법이 훨씬 가혹했다. 예를 들면 앞에서 예시한 ‘잠행징치도비법’의 즉 결처분인‘임진격살’과 ‘재량조치’등이 만주국 치안유지법에는 존속 했던 것이다. 놀라운 사실은 만주국에서 이러한 치안유지법이 제정, 시행된 이후 1945년 8월까지 이 법률로 처벌된 사람이 1만 수천명에 이르고, 무려 2천여명의 사형판결과 그 집행이 이루어졌다는 점이다. 일본이나 식민지 ‘조선’보다 더욱 엄격한 치안유지법이 ‘합법성’을 가장한 채 집행된 것이다. 대종교 세력에 대한 일대 탄압사건인 ‘임오교변’과 주도자 25 인의 수난도 이러한 만주국 치안유지법의 적용과 그 탄압이라는 시각에서 평가할 필요가 있다. 특히 만주국 당국이 대종교 세력에 대해 “국체변혁(國體變革) = 조선 독립”이라는 치안유지법 적용 기소 의견을 그대로 적용하여 판결한 사 실은 대종교 요인들의 행위가 단순한 종교운동이 아니라, 식민지 해방운 동 곧 독립운동이라는 사실을 단적으로 증명하는 것이다. 국체변혁은 명 백히 식민지 ‘조선’을 일본제국이라는 ‘국체’로 부터 ‘이탈’시키 고자 하는 행위를 의미한다고 해석(판결)된 것이다. 바로 이 점에서 일 제의 1942년 12월 대종교 대탄압(‘임오교변’) 은 단순한 조작, 처벌 이 아닌 대종교의 민족(독립)운동적 성격과 활동에 대한 명백한 일대탄 압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Many researchers have revealed how the Japanese Police authorities cracked down on Daejonggyo(大倧敎 Korea’s indigenous religion of the Divine Progenitor) in 1942, an incident also known as Imogyobyeon(壬午敎變 religious persecution in the Imo year). However, they have failed to link the 1942 event to the Public Order Maintenance Act(治安維持法) and clarify how and why Manchukuo(滿洲國 Japanese name for the State of Manchuria, 1932-45) applied the Law to Daejonggyo leaders. Some records and research papers described that the Manchukuo security authorities in 1942 used the Provisional Disciplinary Rebellion Act(暫行懲治叛徒法) to repress the religious leaders, which is far from the fact. The authorities took advantage of the Public Order Maintenance Act, which went into effect in December 1941, to plan the oppression. Therefore, this paper outlines the Provisional Disciplinary Rebellion Act and the Provisional Disciplinary Bandit Act(暫行懲治 盗匪法) and explores the enactment of the Public Order Maintenance Act in Manchukuo, a puppet state of the Imperialist Japan, and how and why the act was applied to oppress Daejonggyo leaders and followers. The Empire of Japan invaded Manchuria in September 1931(Mukden Incident), established the puppet state, and enacted the two provisional acts, which served to shackle anti-Japanese activists. Notably, Japan stipulated in the Provisional Disciplinary Bandit Act summary punishment provisions allowing for discretionary power(裁量措置) and beating prisoners to death on the battlefield(臨陣格殺). The provisions were indiscriminately applied as the legal basis to suppress and eventually devastate the armed struggle against Japan. Furthermore, the dummy government promulgated and enforced the Public Order Maintenance Act and Enforcement Decree to follow the Peace Preservation Act(May 1925) in Japan and Joseon(朝鮮) under Japanese rule as well as the revised act(May 1941) in Joseon. Indeed, the state's act had harsher provisions. For example, the act maintained the summary execution provisions mentioned above. Regrettably, after its enactment and implementation, more than 10,000 people were punished under this act by August 1945, and as many as 2,000 people were sentenced to death and executed. The draconian provisions in Manchukuo were, under the guise of legality, were made much stricter than those applied in Japan or colonial Joseon. Therefore, the sufferings of the followers and 25 leaders of Daejonggyo in 1942 needs redefining in terms of the application of and suppression under the Public Order Maintenance Act. The Manchukuo authorities, in particular, passed judgment on the religious leaders by citing the opinion of indictment under the Public Order Maintenance Act that (the religion’s) “National Polity Transformation (國體變革) equals Joseon independence.” In other words, the authorities interpreted (and decided) that national polity was the Empire of Japan and transformation meant to separate Joseon from the national polity. This judgment proves that the actions of the Daejonggyo leaders do not simply constitute a religious movement, but a colonial liberation or independent movement. In this respect, the Japanese imperialist suppression of Daejonggyo in December 1942 needs to be evaluated as a suppression case of Daejonggyo’s national (independent) movement and activists, not a simple manipulation and punishment against a religion.

      • KCI등재

        만주국 치안관계 법령과 조선독립운동

        최준파(추이쥔보)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23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 No.84

        이 연구의 목적은 크게 네 가지다. 첫째 만주국 치안관계 법률인 ‘잠행징치반도법’의 제정과 운용 실태, 이 법과 조선독립운동의 관계를 밝혔다. 둘째 만주국이 재만조선인 재판권을 취득한 과정을 규명하였다. 셋째 만주국의 조선독립운동가들이 만주국에서 언제부터, 어떠한 만주국 법률로 처벌을 받았는지를 확인하고 만주국 ‘치안유지법’과 조선독립운동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만주국 건국 이후 일본 정부는 만주국의 치안 안정을 우선 과제로 여겼다. 일본은 중화민국의 사법체계를 바탕으로 ‘잠행원용종전법령’을 통하여 만주국에서 사법운용을 시작하였다. 치안과 밀접한 법률은 1932년 3월에 반포된 잠행징치반도법과 ‘잠행징치도비법’이다. 1941년 12월에 만주국은 일본의 치안유지법을 참조하고 앞의 두 법률을 통합하여 만주국 치안유지법을 반포하였다. 일본은 1942년부터 사법체계에서 만주국을 통해 만주국의 치안을 통제하였다. 잠행징치반도법과 잠행징치도비법은 외국인도 처벌할 수 있었지만 1937년 12월까지는 치외법권 때문에 독립운동을 한 재만조선인을 처벌할 수 없었다. 일본은 귀화 여부에 관계없이 재만조선인의 국적을 일본이라고 주장했다. 치외법권이 철폐되었는데도 독립운동과 관련된 재만조선인을 잠행징치반도법으로 여전히 처벌할 수 없었다. 조선독립운동은 잠행징치반도법의 ‘만주국 국헌’이 아니라 일본 치안유지법의 ‘일본 국체’를 부정한 행위였기 때문이다. 당시의 잠행징치반도법으로는 재만일본인의 일본 국체를 문란과 재만조선인의 독립운동을 처벌할 수 없는 약점이 있었다. 1941년 12월의 만주국 치안유지법 제1조의 국체변혁은 만일일덕일심과 만일불가분의 기초 위에 만주국 황제의 통제권을 문란시켜 만주국 주권을 변경시키는 행위였다. 조선독립운동은 일본 국체를 부정하기 때문에 만일일덕일심과 만일불가분의 기초도 문란시킬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조선독립운동은 만주국 국체도 변혁시킬 수 있다. 일본은 1942~1943년의 만주국에 있는 종교단체들을 대대적으로 탄압하였고 그 중의 ‘임오교변’으로 불리는 대종교 탄압사건은 만주국 치안유지법이 적용된 조선독립운동 사건 중의 하나였다. 이로써 일본은 만주국의 사법체계를 통해 만주국에서 조선독립운동을 탄압하고 재판할 수 있게 되었다. This study has three main objectives. First, we examined the enactment and operation of the Manchukuo‘s law on public order, ‘Suspension of the Law on Punishment of Traitors’(暫行懲治叛徒法), and its relationship to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Second, it examined the process by which Manchukuo acquired the right to try Koreans in Japan. Thirdly, it identified when and under what Manchurian laws Korean independence activists were punished in Manchukuo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nchukuo ‘Public Peace Maintenance Law’(治安維持法) and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After the founding of Manchukuo, the Japanese government prioritized security and stability in Manchukuo. Based on the judicial system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Japan began to operate the judiciary in Manchukuo through the ‘Provisional application of former Acts’(暫行援用從前法令). Laws closely related to law enforcement were Suspension of the Law on Punishment of Traitors and ‘Temporary Law on the Punishment of Banditry’(暫行懲治盜匪法), both promulgated in March 1932. In December 1941, Manchukuo promulgated the Manchukuo Public Peace Maintenance Law, which referenced Japan Public Peace Maintenance Law and incorporated the previous two laws. Japan used the Manchukuo Public Peace Maintenance Law in its judicial system to control security in Manchukuo starting in 1942. While Suspension of the Law on Punishment of Traitors and Temporary Law on the Punishment of Banditry could punish foreigners, until December 1937, they could not punish Korean citizens who fought for independence because of their extralegal status. Japan claimed the nationality of the Koreans as Japanese, regardless of whether they were naturalized or not. Even though the extraterritoriality was abolished, the Japanese still could not punish Koreans involved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under Suspension of the Law on Punishment of Traitors. This is because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was an act of denying the ‘Japanese state’ under the Japan Public Peace Maintenance Law, not the ‘national constitution of the Manchurian state’ under Suspension of the Law on Punishment of Traitors. At the time, the Peninsular Warfare Act had the weakness of not being able to punish the Japanese nationality of the Korean people for disorder and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Article 1 of the Manchukuo Public Peace Maintenance Law of December 1941 was an act to change the sovereignty of Manchukuo by disrupting the control of the Emperor of Manchukuo based on the foundation of ‘Manchukuo- Japan were of one mind’(滿日一德一心) and ‘Manchukuo-Japan were inseparable’(滿日不可分). Since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denied the Japanese nation-state, it was also able to disrupt the foundations of Manchukuo-Japan were of one mind and Manchukuo-Japan were inseparable. As such,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could also transform the Manchu state. Japan’s massive suppression of religious organizations in Manchukuo between 1942 and 1943, known as the ‘Imo Gyobyeon’(壬午敎變) was one of the events of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that was subject to the Manchukuo Public Peace Maintenance Law. This allowed Japan to suppress and try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in Manchukuo through the Manchukuo judicial system.

      • KCI등재

        한중 부동산 관련 세법의 비교를 통한 중국 부동산 보유세 도입에 관한 연구 : <종합부동산세>와 <개인주택 부동산세 잠행방법>을 중심으로

        김성태,Qu Xianze,박성욱 세명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2 人文 社會科學硏究 Vol.30 No.3

        · 연구 주제: 한국의 <종합부동산세법>과 비교하여 현행 <개인주택 부동산세 잠행방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 연구 배경: <개인주택 부동산세 잠행방법>은 중국의 부동산 과열 현상을 억제하여 안정적인 부동산 가격을 형성하기 위해 도입되었으나, 중국 세법 체계의 근본적인 문제와 각 법률의 세부조항이 미비하여 정책적 효과에 의문이 존재한다. ·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정책적 목적의 부동산 세제의 대표적인 사례인 한국의 <종합부동산세법>을 통해 중국에서 시행 중인 <개인주택 부동산세 잠행방법>에 대한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 연구방법: 한국의 <종합부동산세법> 및 주요 선진국의 부동산 세제를 고찰하고 중국 세법 체계를 심층 분석함으로써 현행 <개인주택 부동산세 잠행방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 연구결과: 첫째, 중국의 부동산 세법은 납세자의 권익을 침해할 우려가 있다. 둘째, 중국의 <개인주택 부동산세 잠행방법>은 과세 대상, 과세표준 산정 방법, 세율 등에서 납세자 친화성이 떨어지고 조세회피 가능성이 높음을 발견하여, 이를 합리적으로 보완할 수 있는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 공헌점 및 기대효과: 차후 중국에서 전국적으로 도입될 정책적 효과를 높임과 동시에 법률 취지에 맞는 법안에 참고할 수 있는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거득공의 ‘潛行 國內’와 武珍州 吏 안길의 ‘供妻’에 담긴 역사적 맥락 검토

        최일례 한국고대학회 2023 先史와 古代 Vol.- No.72

        This study investigated Geodeuk-gong’s ‘Domestic Tour Incognito’ in the regime of King Moonmu and ‘offering wife’ by Mujinju An-Gil who were encountered during the travel. As An-Gil recognized that Geodeuk-gong who was making a secret visit to Mujinju was a special person, he gave a warm reception to him. Even An-gil offered one of his wives and concubines to him. In Baekje period, women’s chastity was seriously considered as much as a wife who committed an adultery was made to be a slave of the husband. However, as An-gil promised that he would take care of her for his whole life if she allowed herself to sleep together with the guest, he made an active suggestion to sleep together with the Geodeuk-gong. An-gil who had strong political and financial power as much as he had three wives was considered as an influencer of Mujinju, Baekje’s territory. However, after Baekje collapsed, Mujinju was controlled by Shilla. Influential power including An-gil considered that they had to make an active union with Shilla’s central power because they wanted their status and power to be guaranteed. At that time, as Geodeuk-gong was considered as a person who could lead them to keep a close ties with Shilla’s central power, An-gil treated him very kindly and even offered one of his wife to him. Shilla also needed to secure a base to end the turmoil and achieve effective control of Baekje. It was assumed that at the time when Geodeuk-gong made a secret visit to Mujinju, Shilla would make close ties with Baekje’s existing power represented by An-gil. The point that An-gil treated Geodeuk-gong kindly and offered one of his wives to him indicated that such close ties between them was achieved. Then, it was assumed that Shilla would achieve an effective control of old Baekje area with Mujinju as a base. When An-gil made a visit to Shilla’s central government for Sangsoo(administrative work), Geodeuk-gong made a kind treatment of him and even King Moonmu gave a large Somokjeon(30myo) below Mt, Seongbu to him for Mujinjoo Sangsoo. In conclusion, their encounter was not coincidental. That An-gil offered one of his wives to Geodeuk-gong could not be considered only in the level of a Baekje’s custom, a patriarchal product and bribe. their encounter was a process that Shilla cut into old Baekje area and Mujinju’s existing power represented by An-gil began to seize power over local area through close ties with Shilla’s central power. 문무왕대 거득공의 ‘國內 潛行’과 그 과정에서 만난 무진주 吏 안길의 ‘供妻’에 내재한 역사적 맥락을 살폈다. 안길은 무진주에 잠행 온 거득공이 ‘異人[특별한 사람]’임을 알고 극진하게 대접하였다. 심지어 안길은 그의 처첩 중 1인을 거득공에게 공처하였다. 백제의 풍속은 간통한 여성은 남편 집의 여종[婢]으로 삼을 정도로 여성의 정절을 중요시 하였다. 그렇지만 안길은 처첩에게 손님과 동침하면 평생토록 함께 살겠다는 약속까지 하면서 손님과 동침할 것을 적극 제안하였다. 안길은 3명의 처첩을 거느릴 정도로 권력과 경제력을 가진 인물로 옛 백제 땅 무진주의 영향력 있는 재지세력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백제 멸망 후 무진주는 이제 신라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안길을 비롯한 유력 재지세력들이 이전과 같은 지배적인 신분과 권력을 보장받기 위해서는 신라 중앙과의 적극적인 유대가 필요한 때였다. 바로 그즈음 잠행을 떠난 거득공이 무진주에 이르렀고, 안길은 거득공이 신라 중앙과의 긴밀한 관계 맺기를 가능하게 할 인물이라고 생각하여 그를 극진하게 대접하고 공처까지 하였던 듯하다. 신라 역시도 옛 백제 지역의 혼란을 종식시키고 실질적인 지배를 달성하기 위한 거점 확보가 필요하였다. 거득공이 잠행나왔던 당시 무진주의 안길로 대표되는 재지세력과의 긴밀한 연대를 구축하였다고 여겨진다. 그런 점에서 안길이 거득공을 극진하게 대접하고 공처한 것은 무진주와 신라 중앙간의 긴밀한 연대가 구축되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사례이다. 이후 신라는 무진주를 거점 삼아 그 이북의 옛 백제 지역에 대한 실질적인 지배를 해 나갈 수 있었다고 보여진다. 그래서 안길이 상수를 위해 신라 중앙을 방문했을 때 거득공이 극진하게 대접하고, 또한 문무왕까지도 성부산 아래의 30묘에 달하는 광대한 소목전을 무진주 上守를 위해 내렸던 것이다. 결국 안길과 거득공의 만남은 결코 우연한 사건이 아니었다. 안길이 거득공에게 공처한 사건 역시도 단순히 백제의 풍속, 가부장적 산물, 뇌물의 차원으로만 바라볼 수 없는 것이었다. 안길과 거득공의 만남과 그 이야기 속의 여러 사건들은 당대 신라가 옛 백제 지역을 잠식해나가는 과정이면서 또한 신라에 복속된 안길로 대표되는 무진주의 재지세력이 신라 중앙과의 인연을 매개로 지역사회의 주도권을 장악해 나가는 과정이 담긴 것이었다.

      • KCI등재

        운문사 주변 ‘이무기’ 전승의 실제와 지역사적 맥락

        천혜숙(Chun, Hye-Sook) 실천민속학회 2017 실천민속학연구 Vol.29 No.-

        운문사 주변 지역의 이무기 전승은 크게는 ‘佛[僧]: 龍’의 대립 구조로 실현되는 용신관련 사찰설화군의 범주에 속하면서도, 몇 가지 점에서 대단히 흥미로운 특징을 보이고 있다. 특히 용이 아니라 이무기의 명명이 유지된다는 점, 불승보다 이무기의 능력이 우월하다는 점, 불승과의 대립에서 이무기가 죽거나 驅逐되지 않는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문헌 및 구전자료 간의 同異 또는 變異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공통되게 나타나는 특징들이다. 삼국유사의 ‘보양이목’ 기사는 동 문헌의 다른 용신관련 사찰설화에서는 볼 수 없는 ‘이목’의 명명과 함께 이목의 降雨 단락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현지 구전자료와도 근접한다. 이는 ‘보양이목’ 기사의 기술을 위해 일연이 주로 참고한 원천 자료가 당시 청도 지역 鄕豪들의 諺傳을 기록한 <郡中古籍裨補記>의 ‘古人消息及諺傳記載’였던 것과도 관계가 있다. 더 나아가 현지 구전자료들에는 다른 지역의 구전에서 볼 수 없는 이무기의 潛行과 移住, 祈雨 대상신으로서의 영험과 같은 특징들이 더 보태진다. 지역 자료가 보여주는 이러한 특징들은 지역사의 맥락들과도 연관된 것으로 보인다. 우선 이 지역에는 6~7세기 경부터 이미 五岬의 사찰들이 존재하였고, 그 중 하나인 가슬갑사를 중심으로 원광이 占察寶와 世俗五戒 등의 포교를 펼친 역사가 있다. 이 오갑은 후삼국의 난리로 무너졌지만, 고려 태조와 보양선사의 정치적 결연에 의해 운문선사로 중창되고 원응국사에 의해 다시 중흥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막대한 사원전을 소유한 지역의 대찰로 거듭나게 된다. 한편, 청도의 穴禮山과 荊山城에서는 신라 때 大祀와 中祀가 행해진 기록이 있고, 烏禮山[혈례산], 巨淵, 李木淵, 臼淵[호박소] 등에는 祈雨를 위한 龍壇이 있었던 것을 보면, 재래신앙과 문화도 불교신앙 못지 않게 강했던 지역임을 알 수 있다. 보양과 일연도 이렇듯 강력한 재래신앙을 간과할 수는 없었을 것이다. 더욱이 사원전의 규모가 대단했다고는 하나, 후삼국 난리 후 亡田化된 것을 운문사의 소유 또는 收租地로 바꾸는 과정에서 무리와 반발이 빈발했을 터이고, 실제 사원전 경영에서도 경작의 주체인 사원의 노비나 佃戶들의 토속신앙과 세계관을 일방적으로 무시하기 어려웠으리라 짐작된다. 이 지역의 이무기 전승에서 나타나는, 상좌로 위장한 이무기, 강우 등의 비범한 능력을 지닌 이무기, 호박소로 移住하는 이무기, 꽝철이가 되어 가뭄을 가져오는 이무기, 祈雨 대상신으로 섬겨지는 이무기 등의 형상들은 이러한 배경에서 이루어진 것이다. 불교신앙과 용신신앙이 오래 공존해 온 역사 속에서 사원전의 경영 또는 농경문화의 역사를 둘러싸고 벌어졌음직한 두 신앙 간의 상호우위적 대립이 그러한 양가적 형상과 중의적 구조로 실현되었으리란 뜻이다. 한편으로 청도 밀양 지역은 신라 수도인 경주로 들어오는 요충지였던 관계로 고려 통합과정에서 후삼국 세력들 간의 쟁패가 심했던 곳이다. 고려에 들어와서는 같은 지정학적 이유로 ‘신라부흥’과 ‘반고려’를 표방한, ‘雲門賊’이라 일컬어진 민란의 거점이 되기도 했다. 특히 지역의 구비전승에서 이무기가 인격화되는 동시에 비범한 神人的 존재로 형상화되는 양상은 이러한 정치사적 맥락과 관계가 있는 것이 아닌가 짐작된다. 이무기의 潛行, 승천의 좌절과 移住의 행적 등은 반체제 영웅 전설들과도 많이 닿아 있다. 물론 역사적 고구가 더 필요한 부분이다.

      • KCI등재

        원주형 기공에 대한 초음파 산란 해석

        정현조,박문철 한국비파괴검사학회 2004 한국비파괴검사학회지 Vol.24 No.6

        원주형 기공(SDH: side-drilled hole)의 초음파 산란장 해석을 두 가지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근사해석법인 Kirchhoff 근사법과 변수분리에 의한 엄밀해법으로 구한 원거리 산란진폭 식을 제시하고 시간영역에서 그 결과를 서로 비교하였다. 수직횡파(SV)의 SDH 입사를 고려하였으며, 원거리 산란 진폭을 주파수와 시간영역에서 각각 구하였다. 엄밀해법은 직접 산란파뿐만 아니라 잠행성 파를 나타내었으며, Kirchhoff 근사법은 잠행성 파를 예측하지 못하는 것을 제외하고 엄밀해의 결과와 잘 일치하였다. 수침, 펄스-에코 시험법에서 SDH의 수신 신호 응답을 예측할 수 있는 두 가지 측정모델을 소개하였고, 수직 횡파가 45도로 입사할 때 지름 1 mm SDH의 수신신호를 계산하고 그 결과를 실험과 비교하였다. Two different methods were used for the scattering analysis of side-drilled holes(SDH). The scattering models include an explicit model based on the Kirchhoff approximation and the solution of the exact separation of variables. The far-field scattering amplitude was calculated and their time-domain results were compared for the case of shear vertical wave. The exact solution predicts the existence of the creeping wave. The Kirchhoff approximation agreed to the exact solution, except the case of the creeping wave. Two measurement models were introduced to predict the response from the SDHs for the case of immersion, pulse-echo testing. The received voltage was calculated for the case of the shear vertical waves with the incident angle of 45˚ to the SDH with the diameter of 1 mm, and compared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 KCI등재

        운문사 주변 ‘이무기’ 전승의 실제와 지역사적 맥락

        천혜숙 실천민속학회 2017 실천민속학연구 Vol.29 No.-

        운문사 주변 지역의 이무기 전승은 크게는 ‘佛[僧]: 龍’의 대립 구조로 실현되는 용신관련 사찰설화군의 범주에 속하면서도, 몇 가지 점에서 대단히 흥미로운 특징을 보이고 있다. 특히 용이 아니라 이무기의 명명이 유지된다는 점, 불승보다 이무기의 능력이 우월하다는 점, 불승과의 대립에서 이무기가 죽거나 驅逐되지 않는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문헌 및 구전자료 간의 同異 또는 變異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공통되게 나타나는 특징들이다. 삼국유사의 ‘보양이목’ 기사는 동 문헌의 다른 용신관련 사찰설화에서는 볼 수 없는 ‘이목’의 명명과 함께 이목의 降雨 단락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현지 구전자료와도 근접한다. 이는 ‘보양이목’ 기사의 기술을 위해 일연이 주로 참고한 원천 자료가 당시 청도 지역 鄕豪들의 諺傳을 기록한 <郡中古籍裨補記>의 ‘古人消息及諺傳記載’였던 것과도 관계가 있다. 더 나아가 현지 구전자료들에는 다른 지역의 구전에서 볼 수 없는 이무기의 潛行과 移住, 祈雨 대상신으로서의 영험과 같은 특징들이 더 보태진다. 지역 자료가 보여주는 이러한 특징들은 지역사의 맥락들과도 연관된 것으로 보인다. 우선 이 지역에는 6~7세기 경부터 이미 五岬의 사찰들이 존재하였고, 그 중 하나인 가슬갑사를 중심으로 원광이 占察寶와 世俗五戒 등의 포교를 펼친 역사가 있다. 이 오갑은 후삼국의 난리로 무너졌지만, 고려 태조와 보양선사의 정치적 결연에 의해 운문선사로 중창되고 원응국사에 의해 다시 중흥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막대한 사원전을 소유한 지역의 대찰로 거듭나게 된다. 한편, 청도의 穴禮山과 荊山城에서는 신라 때 大祀와 中祀가 행해진 기록이 있고, 烏禮山[혈례산], 巨淵, 李木淵, 臼淵[호박소] 등에는 祈雨를 위한 龍壇이 있었던 것을 보면, 재래신앙과 문화도 불교신앙 못지 않게 강했던 지역임을 알 수 있다. 보양과 일연도 이렇듯 강력한 재래신앙을 간과할 수는 없었을 것이다. 더욱이 사원전의 규모가 대단했다고는 하나, 후삼국 난리 후 亡田化된 것을 운문사의 소유 또는 收租地로 바꾸는 과정에서 무리와 반발이 빈발했을 터이고, 실제 사원전 경영에서도 경작의 주체인 사원의 노비나 佃戶들의 토속신앙과 세계관을 일방적으로 무시하기 어려웠으리라 짐작된다. 이 지역의 이무기 전승에서 나타나는, 상좌로 위장한 이무기, 강우 등의 비범한 능력을 지닌 이무기, 호박소로 移住하는 이무기, 꽝철이가 되어 가뭄을 가져오는 이무기, 祈雨 대상신으로 섬겨지는 이무기 등의 형상들은 이러한 배경에서 이루어진 것이다. 불교신앙과 용신신앙이 오래 공존해 온 역사 속에서 사원전의 경영 또는 농경문화의 역사를 둘러싸고 벌어졌음직한 두 신앙 간의 상호우위적 대립이 그러한 양가적 형상과 중의적 구조로 실현되었으리란 뜻이다. 한편으로 청도 밀양 지역은 신라 수도인 경주로 들어오는 요충지였던 관계로 고려 통합 과정에서 후삼국 세력들 간의 쟁패가 심했던 곳이다. 고려에 들어와서는 같은 지정학적 이유로 ‘신라부흥’과 ‘반고려’를 표방한, ‘雲門賊’이라 일컬어진 민란의 거점이 되기도 했다. 특히 지역의 구비전승에서 이무기가 인격화되는 동시에 비범한 神人的 존재로 형상화되는 양상은 이러한 정치사적 맥락과 관계가 있는 것이 아닌가 짐작된다. 이무기의 潛行, 승천의 좌절과 移住의 행적 등은 반체제 영웅 전설들과도 ... The ‘Imuki’(이무기) legends appearing around ‘Unmun’(운문) temple are very interesting in several respects. It has similar face and other face at the same time, compared with stories about building temlple that contains the confrontation between monk and dragon. In other respects, I would like to say that it has the name ‘Imuki’, it has power over monk, and it is not defeated unilaterally in a confrontation between the two. These three features are characteristic of both documentary records and oral traditions. In addition, I would like to add the very important feature, which is seen in only oral traditions, that is, it moves to another place [‘Hobak’ pond/호박소]. These features are deeply related to the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 of the region. First of all, there are temples in this area in the 6th or 7th century, and Wonkwang(원광) already preached in one temple, ‘Kasulgap’ Temple(가슬갑사). In 10th century, Boyang(보양) rebuilt Unmun Temple and while Woneung(원응) was reviving the temple again, Unmun temple became a large temple with huge land. On the other hand, in Chungdo(청도) area, there are mountains that have offered rituals nationally and ponds that prayed for rain to the dragon, since shilla period. It can be seen that not only Buddism but also traditional beliefs and cultures were very strongly preserved. In addition to that, since the slaves and peasants belonging to the temple cultivated the land owned by the temple, it is presumed that there would be conflict and confrontation between the temple and the farmers cultivated the temple’s land. Therefore Unmun’s monks could not dismiss their faith and world view, unilaterally. In the ‘Imuki’ legends of the region, ‘Imuki’ has various shapes, such as a ‘Imuki’ disguised as a deacon of a chief monk, a ‘Imuki’ power over the monk, ‘Imuki’ that moves to another place, ‘Imuki’ that rains, ‘Imuki’ that thunders. Those shapes are related to the context of religious history in which the two religions in the region have conflicted and fused. I think that the conflict between the Buddism and traditional beliefs that have long coexisted in this area, and between the two culteres that would have spread over the land cultivation of the temple have been realised with such an ambivalent shapes and structures. Cheongdo and Miryang areas were key points for entering Gyeongju, the capital of shilla, so in the early days of Koryeo, there was a controvercy among the various political powers, which are called ‘late three nations(후삼국)’. In the Koryeo period, it was also the base of rebellions crying to 'Shilla revival' and ‘anti-Koryeo’ for the same geopolitical reason. It seems to be related to the local poliYunmunsa Temple, Dragon-related Buddhist tales, legends related to the creation of temples, hidden passages, hidden dragons, immigration, frustration of ascensiontical history, mentioned above, that the ‘Imuki’s subordination, his frustration of the ascension, and his migration are seen in the tradition of this region. For this reasoning, more historical reflection is needed.

      • KCI등재

        신소설 여성인물의 탈주 양상과 가치유형

        장노현(Jang, Nohyun) 한국비평문학회 2015 批評文學 Vol.- No.58

        Escape narrative is popular in Sinsoseol. This paper is an analysis of Samgaksan and Ongnyeondang in which escape narrative constitutes the nucleus of the story. I studied escape of female characters and their value domain through this analysis. I grouped escape pattern of female characters in Sinsoseol into two categories, which is typical case and untypical case. The typical case represents by Ongnyeondang and the untypical case is in Samgaksan. I applied Universal Value Theory designed by Shalom H. Schwartz to explain the characters’ value domain. I compared and analyzed the beginning of escape, the process of escape, and the end of escape which are described in the two works. First, a review of the beginning of escape, while Okhyeong’s escape in Ongnyeondang begins under involuntary conditions, Simssi of Samgaksan executes escape on her own active judgment. Simssi have the value domains of Self-Direction and Stimulation and this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that of Okhyeong. Second, while Okhyeong tries to keep her feminine identity which Confucian patriarchy impose on, Simssi doesn’t cling to the past identities but tries to become other. Simssi keeps Openness to Change through her refusal to conform to the existing system. Thirdly, Okhyeong reverts to the existing system by being captured by pursuer but so is Simssi. The pursuers in Sinsoseol believe in the value domain of Tradition, have an inclination toward Conservation. However Simssi executes re-escape after her return, which is major difference from other escape narrative.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