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Multilevel Multiple-Group Latent Profile Analysis of Instructional Practices in Science: Cross-national Comparison between Korea and Japan : 다층 다집단 잠재 프로파일 분석의 적용: 한국과 일본의 과학교과 수업 인식 사례

        손윤희(Son, Yoonhee),홍유정(Hong, Yujung),박현정(Park, Hyun-Jeong),김전옥(Kim, Junok) 한국교육학회 2021 敎育學硏究 Vol.59 No.7

        이 연구에서는 Morin et al. (2016)에서 제시한 다집단 잠재 프로파일 접근법을 다층 모형으로 확장하고, 이를 실제 자료에 적용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과학 수업 방식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유형을 구분하고 국가 간 비교하기 위하여, PISA 2015의 한국, 일본 자료를 활용하였다. 이를 위해 다층 다집단 잠재 프로파일 분석(MMLPA)을 7단계로 나누어 실시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에서는 PISA 2015 예시 자료를 활용한 다층 자료 분석 시, 다층 잠재 프로파일이 단수준 잠재 프로파일보다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두 번째와 세 번째 단계에서는 한국과 일본에서 다층 잠재 프로파일의 형태적 및 구조적 유사성이 충족되었으며 두 국가에서 가장 적합한 모형은 4개 잠재 프로파일로 나타났다. 이후, 4~7단계에서는 잠재 프로파일의 분산 및 분포, 예측변수와의 관계, 평균이 두 국가 간 동일한 지 살펴봄으로써, 잠재 프로파일 특성의 차이가 국가의 맥락에서 해석될 수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학생이 학교에 내재한 다층 자료의 특성을 반영한 잠재 프로파일을 도출하고, 이를 활용하여 국가 간 다층 잠재 프로파일의 특성을 비교할 수 있는 접근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extend the multi-group latent profile approach proposed by Morin et al. (2016) to a multilevel context and to provide an illustration with real-world data. Specifically, multilevel multiple-group latent profile analysis (MMLPA) models were fitted following seven steps to classify students according to their perception of instructional practices in science classrooms and to compare the latent profiles of two countries using Korean and Japanese data from the 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PISA) 2015.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ultilevel latent profile analysis models fit better than single-level models. Second, configurational and structural similarity were satisfied for both countries in the second and third steps, and the four-profile solution had the best fit. Third, the means, variances, and distributions of latent profiles and their relationships to the predictors were similar for both countries, indicating that the differences across latent profiles could be attributed to the educational context of each country. The study results show that MMLPA can provide latent profile probabilities accounting for clustered data where students are nested within a school, enabling the international comparison of the characteristics of latent profiles for Korea and Japan.

      • KCI등재

        수학과 정의적 성취 특성의 잠재프로파일 분석

        전경희,김성숙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9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2 No.2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중학생의 수학과 정의적 성취 특성에 따른 유형을 분류하고, 잠재집단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그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16년 중학교 3학년 학생 대상으로 실시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학생설문 자료 중 수학과 교과태도 관련 응답 결과에 대해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수학과 정의적 성취 특성에 따른 네 개의 잠재집단이 분류되었으며, 성취 프로파일 특성 분석을 통해 각각 균등 고성취군, 균등 중성취군, 불균등 중성취군, 불균등 저성취군으로 명명하였다. 잠재집단별로 정의적 성취 프로파일 형태가 모두 상이하게 나타났으며, 수학과 정의적 성취가 높은 집단에 속한 학생들은 수학 자신감, 가치, 흥미, 학습의욕 네 개의 측정 구인에 걸쳐 고른 성취와 발달을 보인 반면 상대적으로 낮은 정의적 성취 집단에 속한 학생일수록 측정 요소별로 불균등한 프로파일 형태를 보였다. 분석 모형에 투입된 변인 중 잠재프로파일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학생 성별, 국어성취도, 수학성취도, 영어성취도, 영어교과태도, 학교생활만족도, 학습방법이 모든 비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학교 특성 변인인 학교 설립 유형, 학교 성별 유형, 학교 지역과 학생 특성 변인 중 국어 교과 태도와 진로성숙도는 수학과 정의적 성취 프로파일 분류와 관련이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수학과 정의적 성취 특성의 잠재프로파일 분류와 영향요인에 대한 분석 결과는 수학과 교육과정 운영과 교수·학습 개선을 위한 정책 수립의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latent structure of the survey data for the affective characteristics in math collected from the 2016 administration of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 Based on model comparison results from the latent profile analysis (LPA), the four-groups model was selected as the final model, indicating the four groups of individuals showed different patterns of responses to their attitudes in math. The four latent profiles represented high performance-coherent profile, average performance-coherent profile, average performance-fluctuating profile, and low performance-fluctuating profile,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e LPA suggest that there may be distinct profiles of math attitudes. Students in the top performance group showed stable patterns while students in the low performance group showed fluctuating patterns across the four measures including confidence, value, interest, and motivation to learn. After identifying the latent group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effects of predictors on the classification of the latent groups. Among the predictors, statistically significance was found in the students' gender, national language achievement, math achievement, English achievement, English attitude,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and learning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serve as evidence for making policy decisions regarding the improvement of mathematics education.

      • KCI등재

        공직가치에 따른 공직자 잠재프로파일 분석: 개인적, 조직적 영향요인 및 잠재프로파일별 삶의 만족도, 조직몰입 차이 검증

        윤소진,홍세희 한국조사연구학회 2022 조사연구 Vol.23 No.3

        The present study classified the latent profiles depending on the government employee’s public service value and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related impact factors and differences in life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analysis used the 4,339 data samples from the 2020 Public Employee Perception Survey. As a result, the three different subtypes of public service value emerged, naming “low-level public service value group (34.0%)”, “middle-level public service value group (56.4%)”, “high-level public service value group (9.6%)”. Over 90% of the public servants were classified into low or middle- level public service value groups. Among individual factors (gender, age, education, working period) and organizational factors (reward, educational training, transactional leadership,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ge, reward, educational training, and transfromational leadership were significant determinants of all latent profiles. The differences in life satisfaction (general life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public service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the latent profiles were also verified. It was found that the high public service value group shows the highest level of overall life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public service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s study identified that the level of government employee’s public service value appears in different types. Moreover,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factors related to the latent profiles and showed that the levels of life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public service value profile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public officials would be able to provide implications for effective intervention measures to internalize public office values and increase life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본 연구는 공무원의 공직가치에 따라 잠재프로파일을 분류하고, 이와 관련된 영향요인 및 잠재프로파일별 삶의 만족도와 조직몰입의 차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행정연구원에서 제공하는 2020년 공직생활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였고, 중앙 및 지방 공무원 4,339명의 공직가치에 대한 응답을 바탕으로 잠재프로파일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공직가치 수준에 따라 잠재프로파일이 3개로 분류되었고, 이를 각각 “공직가치 저 집단”(34.0%), “공직가치 중 집단” (56.4%), “공직가치 고 집단”(9.6%)으로 명명하였다. 90% 이상의 공무원들이 공직가치 저 집단과 중 집단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개인적 요인(성별, 연령, 학력, 재직기간)과 조직적 요인(보상, 교육훈련, 거래적 리더십, 변혁적 리더십)이 잠재프로파일 분류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개인적 요인 중 연령, 그리고 조직적 요인 중 보상, 교육훈련, 변혁적 리더십이 공무원의 모든 공직가치 잠재프로파일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잠재프로파일 별 삶의 만족도(전반적 삶, 직무, 공직만족도)와 조직몰입 수준에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한 결과, 공직가치가 높은 집단에 속할수록 전반적 삶만족도, 직무만족도, 공직만족도와 조직몰입이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해 공무원의 공직가치 수준이 다른 유형으로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또한, 공직가치 잠재프로파일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검증하고 공직가치 프로파일에 따라 삶의 만족도와 조직몰입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공무원이 공직가치를 내재화하고 삶의 만족도와 조직몰입을 상승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개입방안에 대하여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한 아동의 실행기능 유형 분류 및 학교적응, 학업수행, 문제행동과의 관계

        조영경,하은혜 숙명여자대학교 아동연구소 2020 兒童硏究 Vol.32 No.1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실행기능 곤란 잠재프로파일을 분류하고 실행기능 곤란 유형에 따른 학교적응, 학 업수행의 차이를 확인하였으며,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이 각 잠재집단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였 다. 이를 위해 육아정책연구소(KICCE)의 한국아동패널연구(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10차년도 아동 1213명(남: 598명, 여: 615명)을 대상으로 잠재프로파일 분석(Latent profile analysis)과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 석(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실행기능에 대해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 시한 결과, 3개의 잠재프로파일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잠재집단 1은 ‘저수준 곤란’, 잠재집단 2는 ‘잠재 적 곤란’, 잠재집단 3은 ‘고수준 곤란’으로 명명하였다. 둘째, 분류된 잠재집단에 따라 차이를 검증한 결과 학교적응(학교생활 적응, 학업수행 적응, 또래적응)과 학업수행 능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고수준 곤란’ 집단과 ‘잠재적곤란’ 집단이 ‘저수준 곤란’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수준을 보였다. 셋째, 각 집단 분류에 대해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의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내재 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이 높을수록 ‘저수준 곤란’ 집단보다 ‘잠재적 곤란’과 ‘고수준 곤란’ 집단에 속할 확률 이 높았고, 내재화 문제행동 수준이 높을수록 ‘잠재적 곤란’ 집단보다 ‘고수준 곤란’ 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았 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시사점과 제한점, 그리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to classify latent profiles based on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of children, and investigated difference on school adjustment and academic performance ability between types of executive function and test the effect of internalization and externalization problem behavior on classification of latent executive function. To do this, latent profile analysis, one-way ANOVA and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were conducted on 1213 children(boys : 598, girls : 615) of Wave 10 of Panel Study on Korea Child (PSKC) of Korean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KICCE). The findings show as follows. Results of the study First,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three latent profiles for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which were labeled as latent profiles 1 of ‘low-level difficulty group’, latent profiles 2 of ‘dormant difficulty group’, and latent profile 3 of ‘high-level difficulty group’. Second, as the result of one-way ANOVA between latent classes classifie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school adjustment(school life adjustment, academic performance adjustment, peer adjustment) and academic performance ability, and the high-level difficulty and potential difficulty group were it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low level difficulty groups. Third, with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the examination of effect of internalization and externalization problem behavior on classification of latent executive function demonstrated that child with higher internalization and externalization problem behavior intended to have the more chance falling on dormant difficulty group and high-level difficulty group than low-level difficulty group, and also the level of internalization problem was higher, there was the more chance falling on high-level difficulty group than dormant difficulty group. Based on the result, the implication and the limitation of this article, and the suggestion for the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대학 교원의 교수역량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석 : I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김미경,신주연,임소정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4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13 No.3

        본 연구는 I대학 교원의 교수역량을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해 집단별 특성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잠재 집단별 차이를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I대학에서 2023년에실시한 교수역량진단도구를 활용하여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였다. 수도권 I대학에 재직중인 전체 교원들을 대상으로 진단을 실시하였으며 불성실 응답을 제외한 179 명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잠재프로파일분석은 적은 수의 표본이 확보된 상황이라고 해도 양호한 결과를 추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5개(수업설계, 수업운영, 상호작용, 테크놀로지 활용, 성찰과 개선)의 역량 수준을 토대로 집단의 수를 변화하면서 잠재프로파일의 수를 결정하였다. 결정된 잠재 집단의 분류 수를 토대로 예측변수를 투입하여 그에대한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잠재프로파일 분석결과 최고역량, 중역량, 저역량으로 3개의 프로파일이 도출되었다. 둘째, 프로파일 예측 요인으로 5개의 하위역량(수업설계, 수업운영, 상호작용, 테크놀로지 활용, 성찰과개선)을 탐색한 결과 특히 테크놀로지 활용 역량이 3개의 집단에서 공통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셋째, 프로파일별 차이를 보기 위해 성별, 전임여부, 소속계열, 교수학습센터(CTL) 인지, 직업윤리, 조직헌신, 협업, 강의평가 점수, 교육업적점수의 차이를 탐색한결과 남성, 직업윤리, 조직헌신, 교수학습센터를 인지하지 않을수록 저역량 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I대학의 진단 결과를 바탕으로 분석된 결과이므로 일반화하는 데 제한적일 수 있으며, 다양한 예측변인과 결과변인을 구성하여 다각도로 분석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eaching competencies of faculty members at a university I through latent profile analysis and explore potential group differences. This study utilized a teaching competency diagnostic tool conducted in 2023 at a university I to conduct latent profile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latent profile analysis resulted in three profiles: high, medium, and low competence. Second, five sub-competencies (lesson design, lesson management, interaction, technology utilization, and reflection and improvement) were explored as predictors of profiles, and it was found that technology utilization was low in all three groups. Third, we examined the differences between profiles by gender, full-time status, affiliation, CTL awareness, work ethic, organizational commitment, collaboration, teaching evaluation score, and teaching performance score, and found that males were more likely to be in the low competency group than females, and those who did not have CTL awareness were more likely to be in the low competency group.

      • KCI등재

        한국 중 · 고등학생의 핵심역량 잠재프로파일의 안정성과 예측 및 결과 변인

        이유경(You-kyung Lee),신윤선(Yoonsun Shin),김반디(Bandi Kim),민자원(Jawon Min) 한국교육심리학회 2021 敎育心理硏究 Vol.35 No.3

        본 연구는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효과적인 지원의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서 우리나라 학생들의 핵심역량 잠재프로파일을 도출하고 개인 내 존재하는 다양한 핵심역량의 발달적 분포를 파악하였다. 또한, 이러한 발달적 분포의 안정성을 살펴봄으로써 어떠한 학생집단이 특히 우선적이고 집중적인 교육적 지원이 필요한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핵심역량 잠재프로파일과 결과변인으로서의 학업성취 및 정신건강의 관련성을 분석함으로써 핵심역량 발달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프로파일과 예측변인으로서의 지능신념의 관련성을 분석함으로써 핵심역량의 증진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기보고식 설문에 대한 응답을 바탕으로 한 한국교육종단연구(KELS 2013) 데이터(n=7,324)를 활용하여(학업성취만 실제 성취 점수) 중학교 2학년과 고등학교 1학년에 걸쳐 6대 핵심역량 잠재프로파일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I-States as Objects Analysis를 기반으로 한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반적 중위(28%)’, ‘전반적 중상위(51%)’, ‘전반적 상위(21%)’라는 세 개의 잠재프로파일이 도출되었다. 형태빈도분석 결과, 중학교 2학년에서 고등학교 1학년으로 시간이 흘러감에 따라 세 개의 핵심역량 잠재프로파일은 대체로 안정적인 특성을 보여, 학생들이 같은 형태의 프로파일을 유지하는 경우가 다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이 높은 고정신념을 지닐수록 핵심역량이 상대적으로 낮은 프로파일에 속할 가능성이 크고 높은 성장신념을 지닐수록 핵심역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프로파일에 속할 가능성이 컸다. 또한, 전반적으로 핵심역량이 높은 프로파일을 지닌 학생들일수록 학업성취점수와 정신건강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학생들의 핵심역량 발달 양상 및 발달의 안정성, 그리고 발달과 관련된 변인들을 탐색함으로써 핵심역량의 균형있는 발달이라는 중요한 교육적 과제를 실천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In order to develop methods to promote students’ core competency, this study identified latent profiles of core competencies among South Korean students and examined the developmental patterns of diverse core competencies . In addition, we aimed to identify which groups of students need more immediate core competency support by investigating the stability of these developmental patterns, and to scrutinize the relations of these profiles to academic achievement and mental health as outcome variables. Finally, we analyzed the relations of core competency profiles to implicit theories of intelligence (i.e., mindsets) as predictor variables to suggest means of promoting core competencies. To this end, we utilized Korean Educational Longitudinal Survey (KELS 2013) data (n = 7,324) collected via students’ self-report (except academic achievement). The I-States as Objects Analysis procedure with latent profile analysis identified three different latent profiles based on six core competencies across 8<SUP>th</SUP> grade and 10<SUP>th</SUP> grade: Overall Middle (28%), Overall Mid-High (51%), and Over all High (21%). Configural frequency analysis found all three profiles to be generally stable from 8<SUP>th</SUP> grade to 10<SUP>th</SUP> grade, indicating that students usually remained in the same profile over time. Students with higher fixed mindset were more likely to have lower levels of core competencies. Conversely, students with higher growth mindset were more likely to have higher levels of core competencies. In addition, students having profiles characterized by higher core competences tended to show better academic achievement and mental health. These findings suggest ways to promote students’ balanced development of core competencies by identifying the developmental patterns and their stability and exploring the variables associated with the core competency profiles.

      • KCI등재

        청소년 인터넷중독 위험군에 대한 잠재집단 프로파일 분석

        김동일,이윤희,강민철,김영근 한국상담학회 2013 상담학연구 Vol.1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number of latent classes based on 7 subscales of Internet Addiction Proneness Scale(K-Scale; Kim et al., 2002) and to analyse the patterns of identified latent classes. In addition, it was tested whether the variables such as sex, depression, and hostility significantly predict the odds of latent classes. The study analysed the data of 1,977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As a result, it appeared that there were 9 latent classes identified, but only 6 latent classes were shown to be potential or high risk classes. Each latent class was named by ‘across-the-board high risk class’, ‘tolerance-withdrawal high risk class’, ‘across-the-board potential risk group’, ‘externalizing problems potential risk class’, ‘disturbance of reality testing potential risk class’, and ‘tolerance-withdrawal potential risk class’. About 1.6% of the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as ‘across-the-board high risk class’ of which mean scores on all 7 subscales were in the top 10%. About 1.8% of the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as ‘tolerance-withdrawal high risk class’ which scored high on tolerance, addictive automatic thought, and withcjddrawal subscales. Individuals in this latent class tend to be favorable for Internet use, to use the Internet long hours, and to experience withdrawal symptoms such as being impatient when stopping the Internet. About 4.6% of the participants classified as the across-the-board potential risk latent class were in top 10% for withdrawal, deviate behavior, and disturbance of reality testing. The ‘externalizing problems potential risk class’ which consists of about 6.3% participants showed the pattern that mean scores on disturbance of adaptive functions and deviate behavior were in top 10%. The ‘disturbance of reality testing potential risk class’ were in top 1% for disturbance of reality testing, but its scores on other subscales were on average. Lastly, ‘tolerance-withdrawal potential risk class’ showed the similar pattern to ‘tolerance-withdrawal high risk class’ but its levels were lower on the whole. Limitation, implication, and future directions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한국형 청소년 인터넷중독 자가진단 척도(K-척도)의 7가지 하위구인을 중심으로 인터넷중독 위험군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하여, 하위유형과 특징을 살펴보고 인터넷중독 관련 변인(성별, 우울, 공격성)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총 1,977명의 청소년 자료를 기반으로 실시한 잠재프로파일 분석결과, 총 9가지 잠재집단이 나타났으나 이 중 위험군(잠재적 위험군과 고위험군)에 해당하는 6개 잠재 집단을 분석하였다. 각 잠재집단은 ‘전반적 고위험 집단’, ‘내성-금단 고위험 집단’, ‘전반적 잠재위험 집단’, ‘외현화 문제 잠재위험집단’, ‘현실구분장애 잠재위험 집단’, ‘내성-금단 잠재위험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전반적 고위험 집단’은 전체 표본에서 1.6%에 해당하고, 모든 중독 하위요인 점수가 90백분위 점수 이상으로 나타났다. 전체의 1.8%를 차지하는 ‘내성-금단 고위험 집단’은 금단, 긍정적 기대, 내성 등에서 매우 높은 점수를 보였다. 이 잠재집단은 인터넷사용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인터넷을 장시간 사용하며, 중단하였을 때 조급해지는 금단증상을 보이는 패턴을 보였다. ‘전반적 잠재위험 집단’은 전체 중 4.6%를 차지하고 있으며 금단, 일탈행동, 현실구분 장애 점수는 90백분위 점수에 해당하고 전반적 고위험집단과 유사한 프로파일을 보였다. ‘외현화 문제 잠재위험집단’은 전체 표본 중 6.3%를 차지하고 있고 일상생활장애와 일탈행동 점수가 90백분위 점수에 해당되고 가장 많은 청소년들이 포함되어 있었다. ‘현실구분장애 잠재위험 집단’은 전체 중 0.9%로 독특한 점은 다른 하위요인 점수는 85백분위 점수에 미치지 못하는데 비해 현실구분장애 점수만 99백분위 점수로 높이 상승하였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내성-금단 잠재위험 집단’은 ‘내성-금단 고위험 집단’과 비슷한 프로파일을 보이면서 전체적으로 수치가 낮은 특성을 보인다. 본 연구의 시사점, 제한점, 후속연구에 대한 제안점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대학생 창업교육동기에 대한 사람중심접근법 : 잠재프로파일 유형에 따른 창업의도 및 창업유형

        오현성(Hyun Sung Oh),변지연(Ji-Yeon Byun),김준수(Jun Soo Kim)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9

        본 연구는 Houle(1961)의 교육참여동기 세 가지 유형(학습지향성, 활동지향성, 목표지향성)을 중심으로 창업교육동기 잠재프로파일의 정량적, 질적 유형 및 특징을 분석하고 창업의도와 창업유형의 차이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학생 614명을 중심으로 잠재프로파일 분석(Latent Profile Analysis: LPA)을 실시하였으며, 창업교육동기 프로파일 1(표류자), 프로파일 2(정체형), 프로파일 3(소심가), 프로파일 4(추종자), 프로파일 5(선도자)를 도출하였다. 프로파일에 따른 창업의도는 5개 프로파일 중 프로파일 5, 프로파일 4, 프로파일 3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프로파일 5와 프로파일 4 그룹의 창업 선호도가 높으며, 프로파일의 창업유형은 개인창업과 공동창업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잠재프로파일 분석방법을 통해 대학생 창업연구에 새로운 방법론적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도출된 5개 프로파일에 따른 창업의도 및 창업유형 분석을 통해 창업교육의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dentifies the patterns of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profiles on entrepreneurial educational motivation among a sample of university students from one of the Korean national university(n=614). This study also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profiles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and types of entrepreneurship. In order to explore the types of leaning motivation profiles, a latent profile analysis was employed. Result from LPA revealed five distinct types of learning motivation profiles fit the data best, and these five profiles are compared with students’ entrepreneurial intentions and types of entrepreneurship. Results showed that Profiles (profile 5 and 4-high goal orientation) are associated with the higher level of entrepreneurial intention. Regarding the type of entrepreneurship, the majority of all students are interested in individual and co-entrepreneurship with friend regardless of the patterns of profiles.

      • KCI등재

        부모의 정서조절곤란 잠재프로파일 분류와 예측요인 검증: 자녀 집행기능곤란의 차이

        조현지,허무녕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23 복지상담교육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부모의 정서조절곤란에 따른 잠재프로파일을 분류하고 잠재프로파일 별 자녀 집행기능곤란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잠재프로파일의 분류를 예측하는 요인으로서 부모의 자아존중감과 주관적 행복감의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아동패널(PSKC)의 13차 년도 조사에 참여한 부모와 자녀 등 595가구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잠재프로파일분석과 일원배치 분산분석,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부모의 정서조절곤란은 3개의 잠재프로파일로 분류되었으며, 각각 ‘저위험 집단’(25.9%)과 ‘중위험 집단’(53.4%), ‘고위험 집단’(20.7%)으로 명명하였다. 둘째, 잠재프로파일 별 자녀의 집행기능곤란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집행기능곤란은 ‘저위험집단’이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고 나머지 두 집단 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부모의 정서조절곤란 프로파일 분류에 자아존중감과 주관적 행복감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영향력은 잠재프로파일에 따라 상이한 양상을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기존의 연구들과 논의하고, 결론적으로 부모의 정서조절곤란을 해소해주기 위해 정서조절곤란의 수준에 따라 상이한 개입이 효율적일 수 있음을 함의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latent profiles of parents’ emotion dysregulation, to verify the effects of their self-esteem and subjective happiness as the predictors an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by these latent profil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95 parents and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13th Panel Study of Korea Children. The data were analyzed by latent profile analysis(LPA), analysis of variance,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using Mpuls 8.9 and SPSS 23.0. Major findings are as following. First, there were three different latent profiles, named Low-risk group(25.9%), Mid-risk group(53.4%) and High-risk group(20.7%) were found.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by the latent profiles. Low-risk group had the lowest score for the executive function,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id-risk and High-risk group. Third, self-esteem and subjective happiness of paren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lassification of the latent profiles. These results showed that parent’s emotion dysregulation can cause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by classifying the latent profiles of parents’ emotion dysregulation and examining the differences in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between the profiles. Finally, based on these findings, we discuss the existing research and conclude with the implication that different interventions may be effective depending on the level of emotional dysregulation in order to address parental emotional distress.

      • KCI등재

        청소년의 진로개발역량 잠재전이유형과 관련 변인 연구

        김형란(Hyungran Kim),김석우(Sukwoo Kim),배가나(Gana Ba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1

        목적 본 연구에서는 부산지역 청소년을 대상으로 진로개발역량에 따른 잠재집단을 유형화하고, 잠재집단 간 전이패턴 및 전이패턴을 예측하는 요인이 무엇인지 분석하였다. 방법 분석자료는 부산교육종단연구(BELS: Bus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1차(2016년, 중1), 5차(2020년, 고2) 자료이며, 최종 연구대상은 진로개발역량 16문항에 모두 응답한 1915명이다. 본 연구를 위해 잠재프로파일 및 잠재전이분석을 사용하여 각 시점의 잠재프로파일 유형 및 잠재전이패턴을 확인하고 다항로지스틱 분석을 통해 전이양상을 예측하는 변인을 탐색하였다. 결과 첫째, 중학교 1학년과 고등학교 2학년은 적극적 진로설계집단, 소극적 진로설계집단 두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두 시점 간 전이패턴을 보면, 유지형과 변화형으로 구분되었다. 대체로 중학교 진로개발역량 잠재계층은 전반적으로 유사한 잠재계층으로 전이되었다. 적극적 진로설계집단이 유지되는 확률이 다른 유형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부적전이(적극적→소극적)확률은 29.4%였고, 정적 전이(소극적→적극적)확률은 36.4%였다. 셋째, 진로개발역량 잠재프로파일을 예측하는 요인은 중학교 1학년때는 상급학교 방문 및 입시설명회와 대중매체 및 온라인 커뮤니티를 이용한 정보수집 경험이었으며, 경험이 있을수록 적극적 진로설계집단에 속할 확률이 컸다. 고등학교 2학년의 경우, 학교진로담당교사와의 상담 경험이 있을수록 적극적 진로설계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두 시점의 잠재전이를 예측하는 진로교육경험 관련 변인은 없었다. 결론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 잠재계층을 예측하는 변인은 다르며, 중학생의 진로개발역량을 예측했던 진로교육 변인은 중학교와 고등학교 두 시점의 잠재전이패턴을 예측하지 못하였다. 학생에 대한 신중한 분석 없이 학교진로교육 관련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해선 안 되며, 각 지역에 맞는 진로교육프로그램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학생의 성장과 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탐색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is study classified youths living in Busan into different latent groups depending on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and performed an analysis to identify what factors can be used to predict related patterns including a pattern of transition between latent groups. Methods In this study, we used the first wave (2016, first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and fifth wave (2020, second grade high school students) of data from Bus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BELS). The subjects are 1,915 youths, who responded to all of the 16 questionnaire items concerning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We performed latent transition analysis to identify the latent profile types and transition between classes across two-time points. Subsequently, multinomial logistic analysis was applied to explore variables that can be used to predict a transition pattern. Results First, the first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and second grade high school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active and passive career planning groups. Second, the patterns of profile transition between the two points in time were classified into two types: maintenance and change types. Generally, latent groups of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in middle school transitioned into similar latent groups. The probability of maintenance was higher in an active career planning group than in other types. Of the subjects, 29.4% showed negative change, while 36.4% showed positive change. Third, the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of middle schoolers found that the first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were more likely to belong to the active career planning group if they had visited an upper school, attended a school admission briefing session or collected information from media and online communities. For the second grade high school students, a consultation with the homeroom teacher was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 They were more likely to belong to the active career planning group if they had a consultation with the career teacher at school. Conclusions The variables having a significant effect on latent groups were different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ers, and there were no variables affecting the transition between the two points in time. What is emphasized in career experience needs to be different in each gra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