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해 척도(ISAS)의 한국판 타당화 연구

        추은정,이영호 한국청소년학회 2018 청소년학연구 Vol.25 No.11

        본 연구의 목적은 비자살적 자해의 기능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인 자해 척도(Inventory of Statement About Self-Injury, ISAS)를 번안하고 타당화 하는 것이다. 총 550명의 대학생과 일반인을 대상으로 자해척도(ISAS), 자해기능평가지, 자살사고척도, 한국형 성격장애 진단 검사의 경계선 성격장애 척도, 외현 불안 척도, 우울증상 척도를 실시하여, 자해경험이 있는 197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해기능을 측정하는 척도에 대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2개의 상위기능(개인내적 기능, 사회적 기능)과 13개의 자해 기능 하위요인을 확인하였으며, 적절한 수준의 신뢰도를 보였다. 또한 타당도검증을 위해 다른 척도와의 관계를 검토해본 결과 자해척도(ISAS)는 자해기능 평가지, 자살사고척도, 한국형 성격장애 진단 검사의 경계선 성격장애 척도, 외현 불안 척도, 우울증상 척도와 높은 상관을 보였다. 이는 자해 척도가 심리측정적으로 신뢰롭고 타당하다는 것을 지지해주는 결과이며, 따라서 본 척도를 통해 자해를 하는 동기를 구체적인 수준에서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향후, 본 척도는 자해관련 연구와 구체적인 치료적 개입을 설정하는데도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본 연구 결과로부터 의의와 한계점에 대해 논의하였고, 가능한 후속 연구들에 대한 제안도 다루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Inventory of Statement About Self-Injury (ISAS), a tool for measuring the function of nonsuicidal self injury (NSSI). The ISAS, the Functional Assessment of Self-Mutilation (FASM), the Suicide Ideation Scale(SIS), the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Scale(BPDS) of the Korean Personality Disorders Test, short form of the Bendig Manifest Anxiety Scale(BMAD) and the CES-D were carried out for 550 samples composed of college students and general public. We analyzed 197 out of 550 samples who had experience of NSSI. From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 confirmed the two higher order factors (personal factor and social factor) and 13 NSSI function factors with reasonable levels of reliability. In addition, we investigated the relation with other scales in order to validate the ISAS, which shows high correlations between the FASM, the SIS, the BPDS, the CES-D, the BMAD, and the ISAS. These results proved the ISAS to be psychometrically reliable and valid, and so the ISAS enables us to identify the reasons of the NSSI at a specific level. We expect that the ISAS is helpful to establish a research on the self-injury and a specific treatment intervention. The implicat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follow-up research topics were suggested.

      • KCI등재

        청소년의 자해행동에서 자살 의도 유무에 따른 집단간 심리특성 차이와 예측변수 탐색

        진선주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22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8 No.2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general features of self-injuring adolescents, and search for the predictable variables and the differences with or without self-suicidal intention in the self-injuring behaviors among their related variables: the unstable affections, the experiences of complex trauma, the feeling of isolation, the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the dissociative experiences, the motivation for self-injury and its frequency. To do this, we have analyzed the data from the 102 adolescent subjects aged 14∼19 in the area of Seoul and Gyeonggi and practised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al research, independent t-test, and logistic regression, using SPSS 21.0 program. It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elf-injuring behaviors of self-injuring adolescents started at the age of 15 (23.5%), the highest percentage, they used the most way of cutting or carving with a knife (40.2%), and the biggest portion of them thought of nothing before self-injuring (43.1%). Second, it was reported that 38.2% of subjects had his or her self-suicidal intention in the course of self-injuring, classified by with or without self-suicidal intention. The self-injuring group with self-suicidal intention had more dissociative experiences, less tendency to blame for others, and more motivation for self-injury in his or her internal world and its frequency than the one without self-suicidal intention. Third, as a result of surveying the predictable variables which classify the self-injuring behaviors with or without their self-suicidal intention, the more dissociative experiences they have, the higher possibility there is they belong to the self-injuring adolescents with self-suicidal intention, while the more strategies of blaming for others or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the less possibility they are classified to the self-injuring group with self-suicidal intention.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long with some suggestions for its further research in the end. 본 연구는 자해청소년의 일반적 특성을 이해하고, 자해 행동에 있어서 자살의도 유무에 따른 관련 변인간(불안정애착, 복합외상 경험, 고립감, 부적응적 정서조절전략, 해리경험, 자해동기 및 빈도)간 차이 및 예측변수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자해 경험이 있는 서울 및 경기 지역의 14∼19세 청소년 102명의 자료를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독립표본 t 검증,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자해청소년의 자해행동은 15세(23.5%)에 가장 많이 시작되었고, 칼로 피부를 긋거나 피부에 무언인가를 새겼다(40.2%)의 방법을 가장 많이 사용했으며, 자해 시작 전 생각하지 않음(43.1%)이 가장 높게 나왔다. 둘째, 자해청소년의 자해행동 시 자살도 유무에 따른 구분에서 38.2%가 자해행동 시 자살의도가 있다고 보고하였고, 비자살적 자해집단보다 자살의도를 가진 자해집단이 해리 경험이 높으며, 타인비난 경향이 적었으며, 자해빈도와 개인내적 자해동기가 더 높았다. 셋째, 자해청소년의 자살의도 유무에 따른 자해행동을 판별해주는 예측변수를 탐색한 결과, 해리경험을 많이 할수록 자해행동 시 자살의도가 있다고 분류될 확률이 높아지는 반면, 타인비난 및 반추의 정서조절 전략의 사용 증가는 자살 의도가 있다고 분류될 확률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하여 논의 하였다.

      • KCI등재

        초기 성인기 자해행동

        함경애(Ham, Kyong-ae),김서영(Kim, Seoyoung),이동귀(Lee, Dong-gwi),손하림(Sohn, Harim) 한국재활심리학회 2021 재활심리연구 Vol.28 No.1

        본 연구는 초기 성인기의 자해행동을 이해하기 위하여 성인 516명 중 자해 경험이 있는 132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응답자들의 초발 자해행동은 평균 15.70세(SD = 3.11)에 시작되었고, 고의로 자신을 때리거나, 깨물거나, 벽이나 책상 등에 머리를 부딪히는 행동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해행동 시작 계기에 대한 다중응답분석결과, ‘우연히 자해라는 것을 발견해서(45,7%)’가 가장 많았다. 셋째, 자해 경험이 있는 집단이 비(非)자해집단에 비해 의사소통기술을 제외한 심리부적응 관련 변인(정서강도 및 반응성, 분리 상실 경험, 파국화, 고통감내력 부족, 감정표현 불능, 사회적 문제 해결 부족)의 수준이 유의하게 높았다. 넷째, 자해행동을 판별해주는 예측변인을 탐색한 결과, ‘정서강도 및 반응성’이 높을수록, ‘분리 상실 경험’이 많을수록, ‘고통감내력’이 부족할수록 자해경험이 있는 집단으로 분류될 확률이 높았다. 다섯째, 수정된 통합적 자해행동모형(Comprehensive theoretical models of nonsuicidal self-injury; Jacobson & Batejan, 2014)의 검증을 위해 경로분석을 한 결과, 정서강도 및 반응성은 고통감내력 부족을 통해 자해행동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분리 상실 경험은 자해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the engagement mechanism of self-injury based on multifaceted risk factors suggested by the revised version of comprehensive theoretical models of non-suicidal self-injury. Among the total of 516 participants, 132 young adults who reported self-injurious behavior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d that group with self-injury experiences showed significantly more signs of psychological maladaptation (e.g., higher trait affect intensity and lower distress tolerance) than the group without engagement in self-injury. Among the risk factors, trait affect intensity, childhood separation or loss experience and low distress tolerance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 engagement in self-injury. The path analytic results revealed that affect intensity showed an indirect effect on the engagement in self-injury via low distress tolerance, while the childhood separation or loss experience directly predicted the engagement in self-injur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자해하는 내담자를 위한 목회상담 연구

        임정아 한국실천신학회 2024 신학과 실천 Vol.- No.89

        본 논문은 자해하는 내담자를 위한 목회상담 연구다. 연구자는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정신적 어려움을 보여주는 중대한 사안인 비자살적 자해가 무엇인지 알아보고, 이러한 비자살적 자해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자해하는 내담자들을 효과적으로 도울 수 있기 위한 목회상담의 주안점과 방향성에 관해 고찰해보았다. 대한민국은 지난 십여 년간 OECD 국가들 중 자살률 1위라는 오명을 떨쳐버리지 못하고 있으며, 특히 10대와 20대의 자살률도 계속 증가해가는 추세다. 우리나라 20대의 자살동기가 정신적 어려움 때문으로 조사되는 가운데, 대학생의 거의 절반에 육박하는 이들이 적어도 한 번 이상의 비자살적 자해를 한다는 연구결과들도 있다. 일반적인 의미에서 자살이 ‘자살적 자해’라면 자해는 ‘비자살적 자해’다. 그나마 자살에 관해서는 그동안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고 국가 차원의 예방대책도 마련되어가고 있으나, 자해에 관한 논의는 상대적으로 매우 부족한 실정이며, 더욱이 목회상담 분야에서 자해에 관한 연구는 거의 찾아볼 수 없다. 연구자는 비자살적 자해가 죽기 위한 목적의 자살시도와는 달리 현재의 고통스러운 정서를 즉각적으로 경감시키기 위한 정서조절수단으로 사용되고 있음에 주목하였다. 자해는 자살과 비슷해 보이지만 행위의 의도, 유병률, 인지적 특성, 방법 등 여러 가지 면에 있어서 서로 상이한 사안이다. 따라서 자살과 자해는 다르게 이해되고 관리되어야 하며, 목회상담에 있어서도 자해 호소 내담자와 자살 호소 내담자를 위해서는 서로 다른 치료적 접근법을 사용해야 한다. 자해하는 내담자를 위한 적절한 치료와 개입은 향후 자살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매우 중차대한 일이다. 자해하는 내담자들에게 있어서 정서조절능력의 결핍은 자해에 대한 취약성이자 위험요인이 되고 있다. 이에 연구자는 자해하는 내담자를 위한 목회상담은 무엇보다도 내담자가 정서조절능력을 키워가고 건강한 정서조절수단을 배워가도록 돕는 일에 주안점을 두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나아가 연구자는 자해하는 내담자의 정서조절능력을 배양시키기 위해 목회상담의 방향성을 크게 두 가지로 제안하였다. 첫째, 목회상담은 자해하는 내담자에게 그동안 결핍해온 자기애적 욕구들을 충족시켜주는 심리적 산소 공급원이자 공감적 관계경험의 장이 되어주어야 한다. 둘째, 목회상담은 자해하는 내담자들이 공감적 관계 안에서 충분히 감정을 존중받고 인정받는 경험을 통해 점차 스스로 자신의 감정을 잘 돌보고 조절하는 정서조절능력을 키워갈 수 있는 모태가 되어주어야 한다. This paper is a study on pastoral counseling for the patients who conduct self-injury. The researcher looked into non-suicidal self-injury, a serious issue that shows the mental difficulties of Korean college students, and based on understanding of non-suicidal self-injury, examined the focus and direction of pastoral counseling to effectively help the patients who conduct self-injury. South Korea has been unable to shake off the stigma of having the highest suicide rate among OECD countries over the past decade, and the suicide rate, especially among teenagers and those in their 20s, continues to increase. While the motivation for suicide among Koreans in their 20s is being investigated as being due to mental difficulties, research results show that nearly half of college students commit non-suicidal self-injury at least once. In a general sense, if suicide is ‘suicidal self-injury,’ self-injury is ‘non-suicidal self-injury.’ Although much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suicide and preventive measures are being prepared at the national level, discussions on self-injury are relatively lacking, and furthermore, almost no research on self-injury can be found in the field of pastoral counseling. The researcher noted that non-suicidal self-injury, unlike suicide attempts with the goal of dying, is used as a means of emotional regulation to immediately relieve current painful emotions. Self-injury may seem similar to suicide, but it is different in many ways, including intent, prevalence, cognitive characteristics, and methods. Therefore, suicide and self-injury must be understood and managed differently, and in pastoral counseling, different therapeutic approaches must be used for the patients complaining of self-injury and those complaining of suicide. Appropriate treatment and intervention for the patients who conduct self-injury is very important in that it can prevent the risk of suicide in the future. For the patients who conduct self-injury, lack of emotional control ability is a vulnerability and risk factor for self-injury. Accordingly, the researcher emphasized that pastoral counseling for the patients who conduct self-injury should focus, above all, on helping patients develop their emotional control abilities and learn healthy means of emotional regulation. Furthermore, the researcher suggested two major directions for pastoral counseling to cultivate the emotional control ability of the patients who conduct self-injury. First, pastoral counseling must serve as a source of psychological oxygen and a place for empathic relationship experiences that satisfy the self-injurying patients’ narcissistic needs that they have been lacking. Second, pastoral counseling should serve as a foundation for the self-injurying patients to gradually develop their emotional control ability to take care of and regulate their own emotions through the experience of having their emotions fully respected and recognized within an empathic relationship.

      • KCI등재

        비자살적 자해의 중단 및 유지집단 간 비교연구: 자해특성과 통합적 이론모델의 위험요인을 중심으로

        김지윤,김성연,이동훈 한국상담심리학회 2020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2 No.3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dentify risk factors affecting the continuation of nonsuicidal self-injury (NSSI) by comparing a continuation group and a cessation group in a nationwide sample of South Korean adults (N=188) using online and offline surveys. The results showed no difference in the severity of method of self-injury between the continuation and cessation groups. However, the continuation group had a higher frequency and variety of methods of NSSI than the cessation group. Functions of NSSI that affected maintenance included: stimulus seeking; self-punishment; attention seeking and support seeking; and avoidance of punishment or consideration for others. Finally, childhood abuse and adult attachment problems were the primary risk factors affecting the continuation of NSSI.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abuse and NSSI was not mediated by adult attachment.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성인을 대상으로 비자살적 자해의 중단 및 유지집단 간의 자해특성의 차이가 어떠한지 알아보고, 통합적 이론모델을 근거로 비자살적 자해의 유지집단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성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총 188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비자살적 자해 중단 및 유지집단 간의 비자살적 자해방법의 심각도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자살적 자해 유지집단은 중단집단에 비해 비자살적 자해의 빈도는 높고, 방법 수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비자살적 자해 유지집단에 영향을 미치는 자해기능은 자극추구, 자기처벌, 처벌 및 대가의 회피, 주변 사람들의 관심 및 지지 추구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위험요인은 아동기 학대와 애착불안으로 나타났다. 아동기 학대와 비자살적 자해유지와의 관계에서 애착불안의 완전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논의 및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비자살적 자해 행동 예측을 위한 스마트워치 연동 애플리케이션

        조성훈,나정조 한국영상학회 2024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22 No.3

        우리나라의 자살률은 OECD 국가 중 줄곧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는 매우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전체 사 망원인 중에서도 5위를 차지할 정도로 자살 문제는 우리 사회에 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자살 실행력을 높이는 요소 중 비 자살적 자해 행동은 가장 위험한 요소이다. 자해 행동 유경험자들은 자살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자살률을 낮추기 위한 방법으로 자해 행동 예방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그러나 정신 치료나 상담에 대한 사회의 부정적인 인식으로 인해 임 상적인 방법만으로는 비자살적 자해 행동으로 발현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 의 하나로 자해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개발이 필요하다. 하지만 대부분의 자해 관련 애플리케이션 개발과 관련한 연구는 학교 나 기관에서 주로 행해지고 있으며,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애플리케이션 개발은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자해 행동에 영 향을 미치는 요소를 평가하고 사용자의 심리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스마트워치와 연동되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제안하 고자 한다. 애플리케이션은 설문을 통해 사용자의 심리 상태를 파악하고 스마트워치는 건강 데이터를 수집하여 이를 사용자 에게 제공한다. 애플리케이션에서는 두 가지의 설문을 진행하는 데 앱 실행 시 최초로 진행하는 사전 설문과 2주간 진행하는 생태순간평가(EMA)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자해와 관련된 정보와 상담 기관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이해를 돕고 필요한 경우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사용자는 스마트워치와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 구체적인 수치 혹은 그래프를 통해 자신의 자해 관련 심리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본 제안을 통해 궁극적으로는 비자살적 자해 행동을 예측하고 해결하는 데에 도움이 되고, 비자살적 자해에 대한 일반인들의 이해를 높일 수 있는 기회가 되기를 희망한다. Korea's suicide rate is consistently ranked first among OECD countries, and is obviously a very serious social problem. As the fifth leading cause of death, suicide has a profound impact on our society. Among the factors that increase suicidal ideation, non-suicidal self-injurious behavior is one of the most dangerous. As people with a history of self-injurious behavior are more likely to commit suicide, efforts to prevent self-injurious behaviors are needed as a way to reduce suicide rates. However, due to society's negative perceptions of psychotherapy and counselling, only clinical methods are used, and these are limited in their ability to address issues that may manifest as non-suicidal self-injury behavior. One way to address these issues is through the development of self-injury applications. However, most of the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self-injury applications has taken place in schools and institutions, and the development of such applications for the general public has been limited. In this study, we propose a smartphone application that works with a smartwatch to assess the factors that influence self-injury behaviors and identify the psychological state of the application's user. The application identifies the user's psychological state through questionnaires, and the smartwatch collects health data and provides the data to the user. The application consists of two surveys: a pre-survey when the app is launched and a two-week ecological momentary assessment (EMA). The app also provides information about self-injury and counselling organizations to help the user understand these factors and, if necessary, seek help. Through a smartwatch and smartphone application, users can observe their self-injury-related psychological state in concrete numbers and graphs. Ultimately, we hope that this proposal will help predict and address non-suicidal self-injury behavior and increase public understanding of the problem of non-suicidal self-injuries.

      • 청소년의 자해 경험

        염미정 ( Yeom Mi Jung ),여한구 ( Yeo Han Koo ) 한국정신분석심리상담학회 2024 정신분석심리상담(구 정신역동치료) Vol.11 No.0

        본 연구는 청소년의 자해 경험을 내러티브 탐구 방법에 따라 자해 청소년의 경험과 의미, 그리고 본질 탐구를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는 S시 소재 O정신과 폐쇄병동 입원환자 중에서 자해 경험이 있고 대안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 3명을 대상으로 2019년 8월부터 2021년 5월까지 진행하였다. 클라디닌(J. Cladinin)의 내러티브 탐구 방법 절차와 과정을 따랐으며, 연구윤리를 준수하였다. 연구결과는 참여자 경험과 이야기에 따라 ‘자해 청소년의 초기 가족 경험’, ‘자해 청소년의 학교 및 관계 경험’, ‘자해 청소년의 자해 경험’, 그리고 ‘자해 청소년의 자기 경험’의 측면에서 각각의 경험을 토대로 ‘어린 왕자’를 모티브로 재구성하였다. 재구성된 5개 주제는 “꽃과 어린 왕자”, “세상을 만나는 왕자”, “왕자가 만난 꽃과 여우”, “왕자와 우물”, “장미의 가시”로 참여자의 경험을 시간, 공간, 그리고 관계 흐름에 따라 정리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른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해 청소년의 부모 경험과 의미는 어린 시절 부모의 관심과 사랑을 원했지만, 심리적 거리감을 경험했다. 둘째, 자해 청소년의 정서 경험과 의미는 부모와 정서적 교감이 적어 외로움과 불안을 경험했고, 부모 이외의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서도 재현되었다. 셋째, 자해 청소년의 자해 경험에서 참여자의 자해는 위협, 상처 표현, 희망 제시, 그리고 노력의 의미가 있었다. 위협은 다른 사람에게 위협감을 주는 것으로 방어했고, 상처 표현은 관심과 연민을 자극하여 원하는 것을 얻게 했다. 희망 제시는 의존에서 벗어나 독립적 미래를 희망하는 것이었고, 이를 위해 구체적 방법으로 노력을 시작했다. 본 연구에서 청소년기의 자해는 누구라도 겪을 수 있는 경험으로 심리적 불안정성에 대한 반응과 현상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청소년 자해 경험의 의미는 성장 과정에서 나타나는 심리적 경험으로 관심과 기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초기 가족의 부정적 경험이 성장과 발달과정에 영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s, meanings, and essence of self-injury in adolescents using a narrative inquiry method on the adolescents’ experiences of self-injury.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three adolescents with experiences of self-injury who were inpatients at a closed-to-the-public psychiatric ward in an undisclosed city who were simultaneously students of an alternative school.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August 2019 to May 2021 and followed the procedures and processes of Cladinin’s narrative inquiry methodology; it was conducted in compliance with research ethics. The research results were reconstructed according to the experiences and stories of the participants using The Little Prince as the motif. Based on the experiences of each participant, a reconstruction was established from the perspective of “early family experiences of self-injuring adolescents,” “experiences of school and relationships by self-injuring adolescents,” “experiences of self-injury in self-injuring adolescents,” and “self-experiences of self-injuring adolescents.” The five reconstructed themes were “flowers and the little prince,” “the prince who meets the world,” “the flower and the fox met by the prince,” “the prince’s well,” and “the thorn of the rose.” The experiences of the participants were organized by time, space, and the flow of their relationship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elf-injuring adolescents’ experiences with their parents and the meaning of the interactions reflected their desire for attention and love from their parents. However, despite their desire, the participants had experienced psychological distance. Second, the self-injuring adolescents’ emotional experiences and their meanings reflected loneliness and anxiety due to a lack of emotional connection with their parents. Such emotions also appeared in their relationships with people other than their parents. Third, the experiences of self-injury in the self-injuring adolescents reflected by the participants encompassed the meanings of threat, expressions of pain, suggestions of hope, and efforts. The meaning of threat refers to defending themselves by threatening others. The expression of pain and wounds triggered interest and compassion for the participants to obtain what they wanted. In terms of hope, the participants were hoping for an independent future by escaping dependence, and they had started making an effort by building specific plans to achieve such goals. As a conclusion,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of self-injury in adolescents was therefore found to be a psychological experience that appears during the growth process, which differs according to each individual’s level of interest and expectations.

      • KCI등재

        비자살적 자해청소년의 자해중단 경험연구

        신수정,한재희 한국상담학회 2021 상담학연구 Vol.22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in-depth the meaning of self-injury experienced by non-suicidial self-injury youth and the process of interruption and the factors of discontinuation.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18 youths who stopped self-injuried for more than three months among youths who had experienced non-suicidal self-injury for more than one year.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grounded theor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ata, 161 concepts, 54 subcategories, and 19 categories were derived. Summarizing the results, participants in this study attempted self-injury to endure pain and became addicted to self-injury behavior over time. Participants realized the addiction of self-injury and recognized the crisis they were facing. They realized the reality of the crisis by worrying about their unstoppable addiction, the fear of death, and the negative impact on the future. The participants who realized the crisis started professional treatment to stop self-injury behavior and showed efforts to find other coping methods other than self-injury. Participants' self-injury interruption consisted of a total of five stages, starting with the repeated self-injury immersion stage, the crisis awareness stage, the acceptance stage of willingness to treat, the practice stage of self-injury discontinuation, and the receptive internal expansion stag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regarding self-injury interruption process of non-suicidal self-injury youth were suggested. 본 연구의 목적은 비자살적 자해청소년들이 경험하는 자해중단과정과 중단요인을 탐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자해경험이 1년 이상 지속된 청소년들로서 3개월 이상 반복자해가 나타나지 않는 18명의 청소년을 선정하여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근거이론을 적용하여 분석하였고, 분석결과 161개의 개념과 54개의 하위범주, 19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참여자들은 고통을 견디기 위해 자해를 시도하였고, 시간이 갈수록 자해행동에 중독적으로 빠져들었다. 참여자들은 그만하고 싶어도 멈출 수 없을 정도로 중독되어 버린 자신의 상태와 죽음에 대한 공포 및 자해가 미래에 미칠 부정적 영향을 걱정하며 자신이 처한 위기를 인식하였다. 위기상태를 자각한 참여자들은 자해중단을 다짐하며 전문적인 치료를 시작하였고, 자해 외의 다른 대처방법을 찾아 시도하는 노력을 보여주었다. 참여자들의 자해중단과정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연속적으로 진행되었는데, 반복적 자해몰입단계를 시작으로, 위기 인식단계, 치료의지 수용단계, 자해중단 실천단계, 수용적 내면 확장단계에 이르기까지 총 5단계의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자해청소년들의 자해중단과정에 대한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여자 대학생의 비자살적 자해 유지에 대한 사례연구: 생물심리사회모델을 중심으로

        조영희,김지윤,이동훈 한국상담심리학회 2021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 and meaning of self-injury among college students who maintain non-suicidal self-injury. For this purpose, 4 college students were interviewed and were analyzed using the case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nalyzed based on a biopsychosocial model. First, biological factors included psychiatric diagnosis, decreased pain sensitivity, and the role of endogenous analgesics. Second, in the cognitive factors, the cognitive level, the usual self-injury evaluation, and self-injury thoughts were identified. On the emotional factors, the participants' usual emotional treatment method, the negative emotions that triggered self-injury and the emotions after self-injury were identified. behaviors factors, indirect self-injury, self-injury preparation and implementation, and post-self-treatment behavior were examined. Third, as a social factor, we identified the non-acceptive home environment, past history, and the environment, strengths and assets, and self-injury exposure of participan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se results are discussed. 본 연구는 현재 비자살적 자해를 유지하고 있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해의 경험과 의미를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최근 12개월 이내에 자해를 한 경험이 있는 4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여, Creswell(2013)의 사례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생물심리사회적 모델(biopsychosocial model)에 근거하여 생물학적, 심리학적, 사회학적 접근에 따라 비자살적 자해를 유지하는 대학생들의 경험을 이해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3개의 차원, 17개의 공통주제와 46개의 개별주제가 도출되었다. 첫째, 생물학적 요인으로 정신과적 진단을 동반, 통증 민감성의 감소, 내인성 진통제의 역할로 나타났다. 둘째, 심리학적 요인 중 인지적 차원으로는 평소 인지방식과 평소 자해평가, 자해 후 생각을 확인하였고, 정서적 차원으로는 연구 참여자들의 평소 정서처리방식과 자해를 촉발하는 부정정서 그리고 자해 후 정서를 확인하였으며, 행동적 차원으로는 간접 자해, 자해 준비 및 실행, 자해 후 처치행동에 대해 살펴보았다. 셋째, 사회적 요인으로 연구 참여자들의 비수용적 가정환경과 과거력, 자해를 촉발하는 환경, 강점 및 자산, 자해 노출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하였고, 연구의 시사점 및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 자해행동: 여중생의 자살적 자해와 비(非)자살적 자해

        이동귀,함경애,배병훈 한국상담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8 No.4

        본 연구는 청소년의 자해행동을 이해하기 위하여 여중생 491명의 설문 자료에서 자해 경험이 있었던 103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자해 경험 청소년이 비(非)자해 청소년에 비해 가정 및 학교생활 만족도가 낮았으며 우울과 스트레스 수준이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응답자들의 자해행동은 초등학교 6학년과 중학교 1학년 시기부터 시작되었고, 자신을 때리고 몸에 난 상처를 방치하거나 날카로운 물건으로 상처를 내는 행동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해행동을 한 청소년의 약 1/3이 자살의도가 있었다고 보고했고, 이들은 자살의도가 없는 자해행동 청소년에 비해 자살생각, 자살시도, 자살실행 준비 수준이 모두 높게 나타났다. 넷째, 자살의도 여부에 따른 자해행동을 판별해주는 예측변수를 탐색한 결과, 가정 내 분위기가 좋지 않을수록, 자해 전 생각 기간이 길수록, 시도한 자해행동이 다양할수록, 자해행동의 ‘사회적 동기’가 높을수록, 자해행동의 ‘개인 내적 동기’가 낮을수록 자살의도가 있는 자해 청소년으로 분류될 확률이 높아졌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data from 491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103 of which presented with or reported experiences of self-injurious behavior. Self-injurious behaviors included beating themselves, leaving wounds untreated, and self-inflicted physical harm using a sharp tool. When compared to adolescents without self-injury experiences, analysis showed that adolescents with self-injury experiences were scored lower on both family and school satisfaction, and reported higher in depression and distress. Additionally, one third of the self-injurious adolescents reported having suicidal ideations. Finally, the predictors differentiating the suicidal self-injury group from the non-suicidal self-injury group were: (a) less favorable family atmosphere, (b) later onset of self-injurious behaviors, (c) more diverse self-injurious behaviors, (d) higher social motivation for the behaviors, (e) higher depression, and (f) lower intrapersonal motivation.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