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합부금광명경』 권3 자토구결과 점토구결의 대응 양상과 상호 관련성

        이강혁 국어사학회 2021 국어사연구 Vol.- No.33

        본고는 중층 구결자료인 『합부금광명경』 권3을 대상으로 자토구결과 점토구결의 대응 양상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자토와 점토 간에 어떠한 상호 관련성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장에서는 자토와 점토 간의 대응 양상을 다룬 선행연구를 검토함으로써 본고에서 확인하고자 하는 자토와 점토의 대응 양상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3장에서는 특기할 수 있는 자토와 점토의 대응 양상을 중심으로 검토하여 처격조사를 나타내는 ‘’와 관련된 오기 가능성과 ‘’와 ‘()’에 대한 해독 문제, ‘’에 결합하는 ‘ ’과 ‘ ’의 불일치, 선어말어미 ‘--’와 수직쌍점[(:)]의 대응 양상, 문장 구조 및 정보 구조와 관련된 문제 등을 중심으로 확인하였다. 4장에서는 자토와 점토의 대응 양상에 대한 종합적 검토를 바탕으로 어떠한 상호 관련성이 있는지를 소결의 형식으로 갈음하였다. 5장은 한계와 결론이다. 제한적인 자료 안에서 여러 단편적인 사안들을 확인한 것에 그쳤지만 본고에서 제시한 여러 가능성들이 『유가사지론』 계통 점토석독구결 해독에 조금이나마 기여할 수 있음을 기대하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corresponding aspects of Mark Gugyeols(點吐口訣) and Character Gugyeols(字吐口訣) and to verify the inter- relationship between Mark Gugyeols and Character Gugyeols in the 『The Overall Compilation of the Sūtra of Golden Light(合部金光明經)』 volume 3. Chapter 2 presented a direction to check the corresponding aspects of Mark Gugyeols and Character Gugyeols in this paper by reviewing a prior study on the corresponding aspects between Mark Gugyeols and Character Gugyeols. Chapter 3 focused on the corresponding aspects of Mark Gugyeols and Character Gugyeols, identifying the possibility of misspelling related to ‘’ and deciphering issues for ‘’ and ‘()’, discrepancy between ‘’ and ‘’ combined with ‘’, corresponding aspects of the prefinal ending ‘--’ and vertical double points[(:)], sentence structure and information structures. Chapter 4 replaced the interrelated aspects of Mark Gugyeols and Character Gugyeols in the form of partial conclusion based on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ir corresponding aspects. Chapter 5 is a limitation and a conclusion. Although we have only identified several fragmentary issues within limited data, we hope that the various possibilities presented in this paper can contribute to decipher of the 『Yuqieshidilun(瑜伽師地論)』’s Mark Gugyeols.

      • KCI등재

        ‘如’에 호응하는 점토에 대하여

        徐民旭(Seo Minuk) 구결학회 2004 구결연구 Vol.13 No.-

        본고는 『瑜伽師地論』에 한정하여 자토석독구결 자료 권20과 점토석독구결 자료 권5ㆍ8을 서로 비교하여 ‘如’에 호응하는 점토가 어떠한 자토에 대응되는지 살펴보았다. 자토 『유가사지론』 권20에서 ‘如’자 뒤에는 ‘?’와 ‘??’가 현토되고, ‘{如}?’ 앞에는 어떤 격조사도 취하지 않는 명사나 명사 상당 어구가 오고, ‘{如}??’ 앞에는 대격 ‘?’을 취하는 논항 성분이 온다. ‘{如}?’나 ‘如??’ 다음에는 ‘??-'가 오는 경우도 있고, 오지 않는 경우도 있다. 점토 『유가사지론』 권5ㆍ8에서 ‘?’는 [11(ㆍ)]으로 현토되고, ‘??’은 [32~42(ㆍ)]으로 현토되는데 ‘如’에 호응하여 이들이 현토된 경우에 그 통사적 환경은 자토구결과 동일하다. 자토구결에서 명사가 목적어로 올 때는 ‘?’이 현토되고 동사구가 목적어로 올 때는 ‘????’, ‘?????’, ‘?????’, ‘?????’ 등이 현토된다. 점토구결에서는 전자의 경우에 [34(ㆍ)]이 규칙적으로 현토되고, 후자의 경우에 [45(\)#44~45(\)], [+45(\)#45(\)], [45(/)#44~45(/)], [+45(/)#45(/)] 등이 규칙적으로 현토된다. 문제는 점토구결에서 ‘如’가 이와 같은 대격 논항들을 취함에도 불구하고 ‘如’에 호응하는 점토가 [32~42(ㆍ)]이 아니라 [11(/)]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는 점이다. 이제까지 『유가사지론』 점토구결에서는 동일한 자토를 나타내기 위해서 두 개의 점토를 이용한 경우가 없었기 때문이다. 점토 [32~42(ㆍ)]이 자토 ‘??’에 대응된다면 점토 [11(/)]은 다른 자토에 대응될 가능성이 높다, [11(/)]은 주로 ‘如A B 亦 ?” 구문에 현토되었다. 자토구결에서 이는 “A(x?)? ??? {如}? B(?) 亦 ?(??)-"로 현토된다. 점토구결에는 [11(\)]도 발견된다. ”如 前 說” 구문에 현토되었는데 이는 자토구결에서 “前? 說???{如}???-” 구문에 대응한다. 이런 점들을 고려하여 본고는 ‘[11(/)]=????’、 ‘[11(\)]=????’로 추정하였다.

      • KCI우수등재

        자토석독구결의 부사 위치 고정과 단형 부정의 제약 현상

        김지오 국어학회 2019 국어학 Vol.0 No.91

        자토석독구결 자료는 어순의 측면에서 두 가지 특징적인 현상이 나타난다. 하나는, 한국어는 부사의 위치가 비교적 자유로운 언어임에도 불구하고 자토석독구결의 타동사문에서는 ‘부사+목적어+타동사’로 어순이 고정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 때문에 피수식어 바로 앞 위치를 선호하는 ‘정도 부사’가 구결문 번역에서는 매우 부자연스러운 위치에 나타난다. 다른 하나는 부정문 구성에서 부정사를 피수식어 앞에 두는 어순(단형 부정)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는 점이다. 향가 자료에서는 용언 부정이 부정사를 피수식어 앞에 두는(단형 부정) 방식으로 나타나는 데 비해, 자토석독구결 자료에서는 부정사를 피수식어 뒤에 두는 부정문(장형 부정)으로 대부분 나타난다. 이 때문에 부정법의 변천과 관련된 선행 연구에서는 한국어의 부정문이 단형 부정문으로부터 출발해 고려시대로 넘어오면서 장형 부정문으로 그 형식이 변화한 것으로 기술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 두 현상은 당시의 언어 현상이나 언어 변화와는 무관하게 자토석독구결의 좌토(左吐)와 우토(右吐)의 방향 규칙 때문에 발생한 것이다. 자토석독구결은 한문의 오른쪽과 왼쪽 양쪽에 모두 구결을 기입할 수 있는데, 이때 연속되는 오른쪽 토는 위에서 아래로, 연속되는 왼쪽 토는 아래에서 위로 상향으로 현토(해석)하도록 되어 있다. 이로 인해 자토석독구결의 타동사문에서는 부사의 위치가 목적어 앞으로 고정될 수밖에 없고, 이와 더불어 장형 부정문밖에는 만들어질 수 없다는 제약이 발생하게 된다. 자토석독 자료에서 부사의 어순이 고정되는 현상과 단형 부정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 현상은 현토 방식으로 인한 특수한 현상일 뿐, 당시 고려시대의 언어 현실을 반영한 사실이 아님을 구명하였다.

      • KCI등재후보

        周本『華嚴經』 卷第36 點吐口訣의 解讀

        박진호(Park Jin-ho) 구결학회 2003 구결연구 Vol.11 No.-

        본고는 誠庵古書博物館에 소장되어 있는 周本 『華嚴經』 卷36에 기입되어 있는 點吐口訣을 해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자료에 나타나는 點吐를 형태에 따라 분류하면 單點, 雙點, 線, 눈썹, 느낌標의 5 가지가 있다. 이 中 單點을 除外한 나머지 4 가지 點吐는 主軸의 方向이 垂直, 水平, 斜線, 逆斜線의 네 가지로 나타난다. 본고는 點吐의 해독을 위해 特히 字吐 釋讀口訣 資料인 『華嚴經』 卷14 및 『華嚴經疏』 卷35에 記入된 字吐口訣과의 對應 樣相에 注目하였다. 이들 자료의 동일한 구문에 나타나는 특징적인 懸吐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點吐와 字吐의 대응 관계를 귀납해보려 한 것이다. 본고에서 검토한 구문은 ①‘爲N’ 구문, ②‘V已’ 구문, ③세목 열거 구문, ④‘等’ 구문, ⑤‘作/爲N’ 구문, ⑥命名 구문, ⑦請願 구문, ⑧引用 구문, ⑨역접 구문이다. 이러한 비교의 결과, 點吐 資料 周本 『華嚴經』과 字吐 資料 『華嚴經』의 懸吐 양상이 매우 비슷하며, 이것은 點吐 및 字吐 『瑜伽師地論』의 현토 양상과 매우 다르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This paper aims at interpreting Mark Gugyeols(點吐口訣) written in Zhouben(周本) 《Huayan jing(華嚴經)》 volume 36 which is in Seong-am Classics Museum(誠庵古書博物館). These Mark Gugyeols include ①single points(單点), ②double points(?点), ③lines(線), ④marks which look like eyebrows, and ⑤marks which look like exclamation marks. The four except single points appear in four orientations: horizontal, vertical, slant and backward slant. These Mark Gugyeols together with their corresponding Character Gugyeols are summarized in the Appendix. The correspondences shown in the Appendix can be obtained by comparing constructions of the same type which appear in both Mark Gugyeol and Character Gugyeol materials. For this purpose, I examine nine construction types: i.e. ① '爲N' construcion, which means "for the sake of N", ② 'V已' construcion, which means "after having done ", ③ enumerating construction, ④ '等'(etc) construcion, ⑤ '作/爲N' construction, which means "become N", ⑥ naming construction, ⑦ requesting construction, ⑧ quotation construction, and ⑨ contrasting construction. These comparisons result in surprisingly exact match between Mark Gugyeols and Character Gugyeols used in materials belonging to 『Huayan jing(華嚴經)』. Therefore, we can conclude that the difference between Mark Gugyeol and Character Gugyeol is only apparent, and is not so much profound as between Huayan zong(華嚴宗) and Faxiang zong(法相宗).

      • KCI등재

        <합부금광명경> 자토·점토의 현토 양상과 특징

        김지오 구결학회 2022 구결연구 Vol.49 No.-

        This article examines the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addition of letter kugyol(字吐) and point-attached kugyol(點吐) written in Hapbugumgwangmyeonggyeong.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both kugyols showed marked differences from other sources in terms of corrections and errors. Letter kugyols are characterized by the appearance of many addition errors and poor writings. While the other five types of sources showed errors at rates of 0.1% to 1%, Hapbugumgwangmyeonggyeong showed a high error rate (2.6%) close to three times the foregoing error rates. In addition, this data showed an aspect of extensive corrections of these errors. Corrections were made in about 60 places, and diverse methods were used for the corrections such as erasing the letters using water or ink, scraping the paper slightly, writing new letters on the letters, inserting missing letters between letters, using correction codes, and indicating corrections on the column. The point-attached kugyols are more accurate compared to the letter kugyol as they were written accurately without any major errors. However, as many as 30 places where point-attached kugyol were added and erased thereafter appeared and the correction cases are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they appeared in the writing of the point-attached kugyol in the shape of 'slanted right eyebrow (/.)'. In addition, many cases where the kugyol written with Gakpil(角筆) and those written with slender brushes(細筆) were used to correct or supplement Jeomto kugyol written with ink were found. <합부금광명경>에 기입된 자토와 점토 구결은 수정과 오류의 측면에서 다른 석독구결 자료들과 큰 차이를 보인다. 먼저 자토 석독구결에서는 잘못된 구결과 미숙한 구결자가 많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다른 5종 자토구결 자료들에서는 오류율이 0.1%~1%에 머물지만, <금광>에서는 2.6%라는 높은 오류율을 보인다. 그리고 이런 오류들은 대대적으로 수정되어 있는데, 수정 방법도 물이나 먹으로 지우기, 종이를 얇게 긁어내기, 글자를 덧쓰기, 빠진 글자를 끼워 넣기, 수정 부호를 사용하기, 난상(欄上)에 수정 사항을 설명하기 등으로 다양하다. 반면 점토 석독구결은 자토 구결에 비해 심각한 오류 없이 정확하게 기입되어 있어, 자토 구결에 비해 정확도가 높다. 다만 사선우눈썹(/.) 기입에서는 점토를 현토했다가 지운 곳이 30여 곳에 걸쳐 반복되고 있는 점이 특이하다. 한편 <금광>의 점토는 각필 점토와 묵서 점토가 동시에 사용된 유일 자료라는 점이 부각되어 왔다. 그러나 두 종류의 점토 중 각필 구결의 출현 비율은 전체 구결의 1%에도 미치지 못한다. 따라서 이 자료는 기본적으로 묵서 점토석독구결 자료로 분류되어야 하며, 각필은 간헐적으로 첨기된 자료라는 사실이 강조될 필요가 있다. 그런 만큼 <금강>의 각필 점토는 여타의 각필 점토 자료들처럼 경문을 전반적으로 해독할 용도는 아닌 것이 분명하다. 아직 각필이 사용된 목적을 정확하게 알 수 없지만, 일부 각필 구결과 세필 구결자들 가운데에는 묵서 점토 구결을 보완하거나 수정할 목적으로 사용된 예가 확인된다.

      • KCI등재

        자토석독구결 자료에 나타난 ‘-() -’의 기능에 관한 연구

        성우철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22 東洋學 Vol.- No.88

        Prefinal ending ‘––’ in Jato-seokdokgugyeol materials has long been attracting attention from researchers in that it is used as subject honorific, while {––} in Hangeul materials does not seem to be used as such function. Until recently, however, the academic understanding of the functions of ‘––’ has not reached an agreement, because there were no objective criteria for analyzing functions of honorifics in Jato-seokdokgugyeol materials. Therefore, in this study, criteria for analyzing the functions of ‘––’ are established through a theoretical review of the nature of Jato-seokdokgugyeol materials and non-subject honorifics. Then, a total of 101 instances of ‘––’ in Jato-seokdokgugyeol materials are analyzed consistently according to the criteria. As a result, it is confirmed that ‘––’ has three functions: non-subject honorific, embedded-clause-subject honorific, and subject honorific. And the function as subject honorific can be divided into two sub-functions: inclusive subject honorific and exclusive subject honorific. Especially, the most remarkable result of this study is that the process in which subject honorific developed from embedded-clause-subject honorific is explained from a new perspective. However, some instances of ‘––’ are difficult to interpret as any of these functions, and they require more detailed discu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on ‘––’ in Jato-seokdokgugyeol materials will provide another stepping stone to reconstruct the history of prefinal ending -sʌp-, along with {––} in Hangeul materials and ‘– 白 –’ in Idu materials. 자토석독구결 자료의 ‘––’은 한글 자료의 {––}과 달리 주체 높임의 기능으로 쓰인 예가 보인다는 점에서이른 시기부터 관련 연구자들의 주목을 받아 왔다. 그러나 비교적 최근까지도 ‘––’의 기능에 관한 학계의 이해가 일정한 합의에 이르지는 못하였는데, 이것은 자토석독구결 자료에 나타난 높임 요소의 기능을 분석하기위한 객관화된 준거가 마련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토석독구결 자료와 객체 높임의성격에 관한 이론적 검토를 통해 ‘––’의 기능 분석을 위한 준거를 마련하였으며, 그러한 준거를 토대로 자토석독구결 자료에 나타난 ‘––’의 용례 총 101건을 일관되게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 객체 높임, 내포절주체 높임, 주체 높임이라는 세 가지 기능을 지니고 있었으며, 주체 높임의 ‘––’은 다시 포괄적 주체 높임과배제적 주체 높임이라는 두 가지 하위기능으로 세분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내포절 주체 높임에서 주체 높임이 발달한 과정을 새로운 관점에서 설명한 것은 본 연구의 가장 주목할 만한 성과라고 할 수 있다. 다만 이들 가운데 어느 것으로도 해석하기 어려운 ‘––’의 용례도 일부 관찰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앞으로더 정밀한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자토석독구결 자료의 ‘––’에 관한 본 연구의 성과는 한글 자료의{––}과 이두 자료의 ‘– 白 –’에 이어 선어말어미 {––}의 문법사를 조망하기 위한 또 하나의 디딤돌을 마련해줄 것이다.

      • KCI등재

        晉本 《華嚴經》 卷第20의 點吐 解讀

        朴鎭浩(Park Jin-ho) 구결학회 2006 구결연구 Vol.16 No.-

        본고는 誠奄古書博物館 所藏 晉本 《華嚴經》 卷第20에 記入된 點吐를 解讀하는 것을 目標로 한다. 이를 爲해 旣往에 이루어진 周本 《華嚴經》의 點吐에 對한 解讀 結果 및 字吐 釋讀口訣 資料를 積極的으로 利用한다. 이러한 解讀의 結果는, 點吐와 字吐 사이의 對應 關係를 보여 주는 點圖로 제시된다. 한 가지 놀라운 점은, 둘 以上의 點吐가 하나의 字吐에 對應되는 일이 매우 많다는 것이다. 이러한 點吐 對 字吐의 多對一對 應은 點吐 資料에 比해 字吐 資料가 거칢을 말해 주는 것일 수도 있고, 現在의 우리의 解讀이 매우 거칢을 말해 주는 것일 수도 있다. 본고는 또한 晉本 《華嚴經》과 周本 《華嚴經》의 點吐 體系가 어떤 점에서 같고 어떤 점에서 다른지 보여 준다. 單點의 體系는 매우 비슷하나, 눈썹 및 느낌표의 體系는 매우 다르다. 晉本 《華嚴經》의 눈썹形 點吐는 25 및 13 位置에 몰려 있고, 느낌표形 點吐는 53 및 41 位置에 몰려 있다. 이렇게 位置와 形態는 같으면서 主軸의 方向만 다른 點吐들이 서로 어떻게 다른지는 앞으로의 硏究 課題이다. This paper aims at interpreting Cipher Kugyols written in the volume 20 of Jinben 《Huayanjing》 which is in Seong-am Classics Museum. This study is based on the previous attempts to interpret Cipher Kugyols written in a few volumes of Zhouben 《Huayanjing》 and the five Character Kugyol materials. This study results in several charts which show how each Cipher Kugyol corresponds to Character Kugyols. One surprising fact is that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more than one Cipher Kugyol corresponds to one Character Kugyol. This may be due to the coarse-grained nature of Character Kugyol materials or our interpretation relative to the sophistication of Cipher Kugyol materials. This study shows how different the Cipher Kugyols between Jinben and Zhouben 《Huayanjing》 are. Single points are very similar(18 matches among 20 single points), but so-called eyebrow and exclamation-mark-shaped Cipher Kugyols are largely different. Eyebrow-shaped Cipher Kugyols of Jinben 《Huayanjing》 are concentrated in positions 25 and 13, whereas exclamation- mark-shaped Cipher Kugyols are concentrated in positions 53 and 41. It remains for future studies how different these Cipher Kugyols are which have the same shape and position, differentiated by the orientation of the axis.

      • KCI등재

        자토석독구결의 ‘- / ’ 구문에 대하여

        전기량 국어사학회 2017 국어사연구 Vol.0 No.24

        이 글은 자토석독구결 자료의 ‘-/’의 예를 검토하고 구문 유형을 정리, 그 특징을 살펴본 것이다. 자토석독구결 자료에서 ‘-/’는 명사구 접속 구문, 명명 구문, 설명 구문, 도치 구문, 이유 구문, 감탄 구문, 부름 구문, 절 접속 및 종결 구문에서 쓰인다. 15‧16세기의 ‘-은뎌’, ‘-을쎠’ 등에는 ‘-(이)여’가 결합되어 있으며, 이는 기원적으로 감탄조사라고 이해되어왔으나 검토 결과 ‘기원적’으로 ‘감탄’조사로 이해하기 어렵다는 결론에 이르게 되었다. ‘-/’는 감탄의 의미를 갖는다고 보기 힘든 예에서 오히려 더 많이 확인될 뿐만 아니라 분명히 감탄의 의미를 갖는다고 볼 수 있는 예도 소수에 그치기 때문이다. This study set out to review the examples of ‘-/(yeo)’ in Seokdokgugyuol the letters attached, sort out the types of their construction, and examine their characteristics. In those materials, ‘-/(yeo)’ was used in NP conjunctive construction, naming construction, explanation construction, inversion construction, causal sentence, exclamatory sentence, vocative construction, clause connection, and ending construction. In the 15th and 16th century, ‘-ijə’ was combined with ‘-eundyeo’ and ‘-eulssyeo’. It had been thus understood as an exclamatory particle originally. The review results, however, conclude that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it as an ‘exclamatory particle’ ‘originally’ partially because it is found more in examples that hardly have an exclamatory meaning and partially because the number of examples in which it clearly has an exclamatory meaning is small.

      • KCI등재

        자토석독구결 ‘()-’의 분포와 특이 용법

        김지오 국어사학회 2019 국어사연구 Vol.0 No.29

        This study examined the emergence environment and unusual usage of ‘ha()-’ that appeared in Jatoseokdokkugyol(字吐釋讀口訣). ‘ha()-’ appears after Sino-Korean words(漢字語), native Korean words(固有語), markers, and endings. In the case of single syllable Chinese characters, some words are read as native Korean words and also read with “Chinese character + ha()-”. In the case of native Korean words, ‘ha()-’ comes after a stem with final consonant ‘s(ㅅ)’ in many cases and ‘ha()-’ peculiarly appears after verb ‘ildalha(일)-’ or ‘samha(삼)-’. In the case of markers, the environment realized after the locative case marker ‘agui(아긔)’ and the subject case marker ‘i(이)’ is noticeable. In the case of endings the fact that ‘-oha(오)-’ appears in addition to the connective ending ‘-eoha(어)-’ is noticeable. Meanwhile, ‘ha()-’ in Seokdokkugyol differs greatly from ‘ha()-’. in the modern Korean language. First, ‘ha()-’, which is connected to ‘non-predicative(substantive) noun’ is sometimes used as a formal verb rather than a pro-verb. Second, in Chinese sentences, the predicate is sometimes omitted when the verb is repeated or the meaning of the verb can be guessed without the verb. In Korean language, however, a sentence cannot be constructed without a verb. Therefore, so ‘ha()-’ is added. This ‘ha()-’ is responsible for reproducing the omitted verb. Third, ‘ha()-’ sometimes means ‘exist’. Fourth, Seokdokkugyol is a translation method that interprets Chinese sentences in Korean word order, but some phrases are sometimes translated in Chinese word order. The ‘ha()-’ used in this syntax reminds us where the verb’s normal position is. Fifth, the composition of ‘-eoha(어)-’ in Seokdokkugyol is connected to only non-psychological predicates unlike the modern Korean language as a great difference. 자토석독구결의 ‘-’는 한자어, 고유어, 조사, 어미 뒤에 나타난다. ‘-’는 현대국어 ‘하-’와 그 기능이 유사하지만 일부는 현대국어에서 볼 수 없는 독특한 용법을 보인다. 첫째 ‘비서술성(실체) 명사’에 연결되는 ‘-’가 대동사가 아닌 형식동사로 쓰인 예들이 존재한다. 둘째, 한문에서는 동사가 생략되는 경우가 있는데 자토석독구결의 ‘-’는 이런 생략된 동사를 재현하는 기능을 담당하기도 한다. 셋째, ‘-’가 ‘있다’의 의미를 갖는 경우가 있다. 넷째, 자토석독구결은 한문을 한국어의 어순으로 풀어내는 번역 방식이지만 일부 구문에서는 한문의 어순대로 번역할 때도 있다. 이런 구문에 사용되는 ‘-’는 역독되어야 할 동사의 위치가 어디였는지를 상기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섯째, 석독구결의 ‘-어-’ 구성은 현대국어와는 다르게 비심리용언에만 연결된다. 이런 특이 용법 중 일부는 자연스러운 언어 현상의 반영이라기보다는 번역 자료라는 특성상 나타나게 되는 한문의 간섭 결과로 파악된다.

      • KCI등재

        ‘爲’에 懸吐되는 口訣字와 機能

        金星周(Kim Seong-Ju) 구결학회 2005 구결연구 Vol.15 No.-

        高麗時代 國語의 文法을 論議하기 위해서는 字吐釋讀口訣을 빼놓고 이야기할 수 없다. 字吐釋讀口訣을 연구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이겠지만 原文에서 다양한 의미 기능을 가지고 있고 또 이것이 구결에 잘 반영되어 있는 단어를 집중적으로 연구하는 것도 釋讀口訣의 문법적 특징을 밝히는데 유용한 방법이 된다. ‘爲’는 字吐釋讀口訣에서 多樣하게 懸吐 된다. ‘爲’에 다양한 구결이 현토되었다는 사실은 口訣 懸吐者가 ‘爲’를 다양하게 해석했다는 증거가 된다. 字吐釋讀口訣에 나오는 ‘爲’는 크게 ‘위하다, 삼다, -고자/려고 하다, 하다, 되다’로 해석된다. 각각의 의미에 대한 ‘爲’자의 현토 방식은 다음과 같다. ‘위하다’에는 ‘(NP?) {爲}三/?(??)’, ‘삼다’에는 ‘NP1?/[NP + 以]/[S ] ? (?/?) NP2 {爲}?’, ‘-고자/려고 하다’에는 ‘동사 어간+{爲}?’, ‘하다’에는 ‘(NP)+{爲}??/??-’, 피동을 포함하는 ‘되다’에는 [화엄경]과 [화엄경소]에서는 ‘NP??{爲}????-’로 [유가사지론]과 [합부금광명경]에서는 ‘{爲}NP??????-’와 ‘NP? 爲?-’ 등이다. To study the grammar of Classical Korean in Goryeo Dynasty, we must investigate Jato-Seokdok-Kugyeol(字吐釋讀口訣)(henceforth, JSK). Its because we has no data excepting the JSK We can not study the old Korean grammar leaving out the JSK. We can make clear the char-acteristics of old Korean in Goryeo Dynasty by investigating into JSK. This paper aims at investigating Kugyol(口訣) and its function anno-tated at the letter of wei(爲) or wei(爲). The letter wei(爲) or wei(爲) has various meaning and it was reflected in JSK. But unfortunately, there was no marking for tone(聲調) in JSK and I can not help writing wei (爲) for wei(爲) or wei(爲). The letter wei(爲) was annotated by 9 Kugyol(口訣), which are 三,?/?(??), ?, ?, ??, ??, ??, and ?. The meaning of wei(爲) or wei(爲) is classified into 5 types. They are as follows; The first one is ‘for the purpose of or in order to’, in this case wei (爲) is annotated like {爲}三/?(??). The second one is ‘to make or to regard as’, in this case wei(爲) is noted like ‘NP₁? NP₂{爲}三/?(??)’. The first NP, i.e. NP₁? is some-times substituted for the clause introducing y?(以) or gugyeolja -?, -??, and -??. The third one is ‘to intend to’, in this case wei(爲) is annotated like ‘Verb stem +{爲}?’. The forth one is ‘to do’, in this case wei(爲) is annotated like ‘爲??/??-’. But in this case, again, wei(爲) is more classified into two types. one is the case for representing the concrete meaning of ‘to do’ i.e. ‘to make’ and the other for representing the abstract meaning of ‘to do’ itself. The last one is ‘to be or to become’, in this case wei(爲) is differ-ently annotated according to its source. In Tafangkuangfohuayenchingsu (大方廣佛華嚴經疏) vol. 35. and Buddh?vata?saka-mah?vaipulya-s?tra(大方廣佛華嚴經疏) vol. 14., the wei(爲) meaning ‘to be or to become’ is annotated like NP??/VP????{爲}????-. The difference between VP?? and NP???? is that the NP is original noun or not. In Yogac?ra b??mi(瑜伽師地論) vol. 20. and Hopuchinkuangmingching(合部金光明經) vol. 3., the wei(爲) meaning ‘to be or to become’ is annotated like NP??/VP???? {爲}????- and the wei(爲) functioning passive marker is annotated like NP? 爲?-. The former represents the general verb ‘to become’ and the other has relation to the passive meaning of 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