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플라톤과 서양철학사 : 자체성(auto kath’ auto)과 철학적 최상급의 개념을 중심으로

        남경희(Nam, Kyung-Hee) 한국서양고전학회 2020 西洋古典學硏究 Vol.59 No.1

        플라톤이 서양 철학사에 끼친 영향은 기초적이고 다기적이나, 본고에서는 자체성과 철학적 최상급의 개념을 중심으로 살펴보며, 이들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대안적 사유법을 위한 단서를 제안한다. 서구 철학의 주축적인 사유틀이나 개념들의 원류가 되는 것이 플라톤의 ‘바로 그것, 그 자신에 즉해 있는 것(auto kath’ auto: itself by itself)’ 또는 간단히,‘자체적인 것’이라는 개념이다. 이는 그가 형상을 규정하는 가장 대표적이며 고유한 표현으로, 자기동일성, 불가환원성, 독립성, 실체성 등을 함의한다. 자체적인 것의 개념은 두어 단계의 추론을 거치면, 비트겐슈타인이 말한 바, ‘철학적 사실’, 또는 ‘철학적 최상급’의 개념을 형성하게 한다. 자체성이나 최상급의 개념은 이후 서양철학자들, 가령, 데칼트의 절대 확실성 (인식적 최상급), 칸트의 정언명령이나 선의지(윤리적 최상급), 정치철학의 이상국, 논리실증주의의 이상 언어(언어적 최상급) 등의 개념 형성에 영향을 주며, 근현대의 인식론, 윤리학, 논리학 둥에 지대한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들 사유범주들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검토한다. 이런 검토에서 비트겐슈타인, 소쉬르, 데이빗슨 등의 논의를 원용한다. 전면적 회의나 절대 확실성의 개념은 부조리하고, 철학적 사실 또는 최상급을 상정할 때, 규칙 준수의 역설에 봉착한다. 보편자, 추상체 둥의 자체적인 것 또는 최상급적 존재는 사념의 대상으로서 그 객관성을 확보할 수 없는 사밀적 존재이기에, 언어의 의미 기초가 될 수 없다. 이런 문제점들은 자체성이나 철학적 최상급 개념, 그리고 이를 토대로 하는 서구 철학의 제 개념들이나 사유법이 재고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우리는 새로운 사고법을 모색해야 하며, 이를 위한 단서로 비트겐슈타인, 소쉬르 등이 제안하는 언어의 중심성, 마음의 사회성, 관계성, 그리고 동아시아적 사유법 등을 제안한다. 우리는 동아시아에서는 자체성, 실체성, 최상급, 심지어 진리 개념이 없이도 오랜 철학의 전통을 지속해 왔음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Plato’s influences on Western philosophies are basic and manifold. This paper focuses on his concepts of ‘auto kath’ auto’ and philosophical superlatives. It further examines problems of these concepts and their history of influences on western philosophy, and suggests clues for alternative thinking. It is Plato’s ‘auto kath’ auto(itself by itself)’ that is the source of the main reasoning and concepts of Western philosophers. This is the most representative and unique expression when Plato defines main features of his Form. This phrase implies self-identity, irreducibility, independence, and essence. This concept leads Plato to form what Wittgenstein mentions as ‘philosophical facts’ or ‘philosophical superlatives.’ The concept of superlative is the logical basis for central concepts of major Western philosophers, such as the absolute certainty of Descartes (epistemological superlative), Kant’s categorical imperative or good-will (ethical superlative), the ideal language of logical positivism (linguistic superlative). These concepts have exercised long-lasting influences on modern epistemology, ethics and logic. This paper points out problems of these concepts, utilizing discussions of Wittgenstein, Saussure, and D. Davidson. The notion of absolute certainty or global skepticism is logically absurd, and assumming existence of philosophical facts leads us to lace the rule following paradox. It is argued that the self-identical or superlative being such as universals or abstracts turns out to be private entities which cannot provide the objective foundation for meanings of language. Thus the concepts of self-identity and philosophical superlative, and thought-categories of Western philosophy based on these must be critically reconsidered. These criticisms do not entail the end of philosophy. We need to look for new ways of thinking, and we may find some clues in centrality of language suggested by Wittgenstein, sociability of the mind, inter-dependance of existence, and East Asian concept of Li(禮) or correct name(正名). We should note that East Asian philosophers have developped a long tradition of philosophy without concepts of self-identity, philosophical superlatives, or even without the notion of truth.

      • KCI등재

        “자기 성찰적 글쓰기”의 효과적 교육 방안 연구 -대학 교양 글쓰기 교육에서 자기 성찰적 글쓰기 교육의 실제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강민정 ( Min Jung Kang ) 우리어문학회 2016 우리어문연구 Vol.54 No.-

        본고는 학생들의 인문 소양 능력을 향상시키며 시민 윤리 의식을 고취시키기 위하여 대학 교양 교육에서 이루어져야 할 효과적인 교육 방안을 찾아보는 데연구목적이 있다. 특히 인문적 목적성을 실천하기 위한 ‘자기 성찰적 글쓰기’교육에 주목하였다. 따라서 단국대학교의 필수 교양 수업 <사고와 표현>에서‘자기 성찰적 글쓰기’ 교육을 직접 실시했던 실제 사례를 중심으로 이것의 효과성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고는 우선 자기 성찰적 글쓰기가 ‘선 성찰 후 글쓰기’라는 순차적 접근을 통해서 수업이 설계되어야만 한다고 판단하였다. 이후 1차 실습으로 학생들에게 영화 <GO>에 대한 감상문을 작성하도록 하여, 서사에 담긴타자성의 의미를 심도 있게 이해하게 함으로써 자기 성찰의 필요성을 인식하도록 만들었다. 이러한 인식으로 말미암아 학생들의 내면에는 자기 성찰을 능동적으로 수행하려는 의지가 생성되었다. 이후 학생들에게 리쾨르가 제기한 ‘자체성과 자기성의 구분’을 활용한 자기성찰의 사유 방법을 가르치고, 2차 실습으로 자신의삶을 돌이켜 보고 자체성과 자기성을 구분해 보도록 제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은 학생들에게 자기표현의 의지를 생성하는 데 도움을 주었으며 이로써 표현 의지가생성된 학생들에게 적극적 자기표현을 시도할 수 있는 관련 글쓰기 방법을 지도하였다. 이때 교재 『사고와 표현』에 제시된 바 있는 ‘개념화’를 3차 실습에서 가르쳐 이를 통해 학생들이 구분되어 있던 ‘자체성과 자기성’을 통합하는 과정으로서의 변증법을 수행하도록 하였고, 이를 창의적 표현으로 개념화하도록 하였다. 3차 실습의 결과물에 경험적 사례를 덧붙이게 하여 생동감 있는 전달법을 고민하도록 하였으며 이를 성적에 반영하는 과제로 내주어 스스로 자기 성찰적 글쓰기를 완성하여 제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처럼 세 번의 실습 및 교수 피드백을 통해 학생들은 비로소 한 편의 자기 성찰적 글쓰기를 완성하는 단계에 도달하였다. 이러한 과정은 그들을 자기 자신에 대한 이해는 물론이고 더 나아가 타자 그리고 우리에 대한 이해와 포용력을 실천적으로 모색하게 하는 서사적 경험을 수행하도록 만들어 주었다는 점에서 의미 있다. 더불어 이러한 과정 중심의 자기 성찰적 글쓰기 교육은 그간 중·고등 교육의 주입식 교육에 익숙해진 학생들에게 시간을 들여 자기 자신을 능동적으로 돌아보게 한다는 점에서 보다 능동적이고 자율적인 대학생으로 성장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자기 성찰적 사유가 지닌 의미와 가치를 음미해볼 수 있는 기회를 선사한다는 점과 나아가 정체성이란 것은 지배이데올로기에 의해 규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며 오히려 타인과의 상호 교섭을 통해 언제까지나 적극적으로 구현해나갈 수 있는 긍정의 과정임을 깨닫게 했다는 점에서 이 수업의 효과성이 입증되는 바이다. This study aims at looking up an effective education method which shall be carried out in college liberal arts educations in order to promote accomplishments in humanity capabilities of students and encouraging citizen moral consciousness. Specially, attentions were given to ‘Self-introspective writing’ education to practice humanistic purposes. So, researcher tried to confirm its effectiveness by focussing on actual cases which have been carried out directly in ‘Self-introspective writing’ at the essential cultural studies <Thought and Expression> of Dankook University. For doing so, this study judged that the class should be designed through sequential approaches called ‘Self-introspective writing after pre-introspection’ regarding self-introspective writing first. Therefore, this research made students cognize the importance of self-introspection by making them to write appreciations on a movie <GO> after showing the movie preferentially as the first practice, and then understand the meaning of otherness contained in the narration. Due to such cognizance, intentions of positively carrying out self-introspection in inner sides of students were created. After that, thinking way of self-introspection utilizing ‘Separating self-consistency with self-aspect’ having been suggested by Ricoeur was taught to students, and this study suggested to separate self-consistency with self-aspect after recalling own life as the second practice. This process gave helps for students to create self-expression intentions, and methods of writing relevant articles by which positive self-expression could be tried were guided accordingly. At that time, ‘conceptualization’ having been stated in the text 『Thought and Expression』 was suggested as the third practice, and dialectics as the course of integrating classified ‘self-consistency and self-aspect’ were executed, and then reached to its conceptualization as creative expressions. Based on results of the third practice, this study let empirical cases which could materialize the results be added, and students worry about vividtransferring methods, and then submit assignments by completing selfintrospective writing in person after giving this as an assignment which was reflected to school records. Through teaching feedback having been made in each times and three-times practices, students could be reached to the stage of completing one self-introspective writing. This process has a meaning in that it made students execute narrative experiences by which they practically grouped understanding on us and comprehension further as well as understanding on their own. In addition, a fact could be judged that self-introspective writing education enables students having been accustomed to learning by rote in middle & high school educations for the time being to positively look back oneself by taking time, and thus it would be helpful in growing up as more positive, autonomous college students. Furthermore, effectiveness of this class is proved in that it presents opportunities of being able to savor meaning and value kept in self-introspective thoughts, and makes students recognize a fact that identity belongs to positive process which could rather implement positively at any time through mutual negotiating with others in stead of being regulated by the governing ideology.

      • KCI등재

        아감벤의 언어와 정치

        구자광(Jakwang Gu) 한국비평이론학회 2022 비평과이론 Vol.27 No.2

        이 연구의 목표는 서구 사유를 지배해온 아리스토텔레스의 문자 중심의 언어와윤리와 정치에 대항하여 플라톤의 패러다임에 기초하여 언어와 윤리와 정치를 복구하려는 아감벤의 작업을 탐색하는 것이다. 플라톤 패러다임의 도식 ‘사물 그 사물자체’에서 ‘그 사물 자체’는 사물의 자체성으로 사물의 자기 지시를 나타내어 사물의 언어적 존재가 발생함을 의미한다. 패러다임의 핵심은 ‘작동 중지’에 의한 배제적 포함이다. 사물이 배제되면 그 사물뿐만 아니라 자신이 속한 집단 전체가 드러나게 한다. 구체적인 사물이 작동 중지(배제)되면 그 사물 자체(포함)가 발생한다. 그러나 아리스토텔레스는 ‘그 사물 자체’는 ‘사물’을 단순히 ‘복제’한 것으로생각하여 그것을 ‘배제’하고 문자로 자체성을 대체한다. 문자는 목소리 중에 ‘자음/ 모음으로 구축 가능한’ ‘이성적인 목소리’이다. 이 이성적인 목소리인 문자는 목소리로부터 ‘자음/모음으로 구축되지 않는 부분’을 ‘포함해서 배제’하는 ‘예외구조’를따른다. 아리스토텔레스의 문자에 기초한 언어와 윤리와 정치는 ‘예외상황’에서 벗어날 수가 없다. 아감벤은 벤야민을 이어받아 문자 중심의 언어와 윤리와 정치를 ‘작동 중지’시켜 패러다임에 의한 언어와 윤리와 정치를 복구하려고 한다. ‘작동 중지’를 통해서문자는 문자 자체가 되어 문자 존재가 드러난다. 벤야민의 프롤레타리아 총파업은프롤레타리아를 ‘작동 중지’시켜서 프롤레타리아 자체라는 프롤레타리아 존재를 드러낸다. 프롤레타리아 총파업은 행위인 것 같지만, 행위없음이라는 행위를 작동 중지시켜 행위 자체를 드러낸다. 총파업에서 행위와 행위없음이 일치한다. 이때 행위자체라는 행위의 존재가 드러난다. 패러다임의 작동으로 ‘노동의 성격이 완전히 변형되는 무정부주의적인’ 프롤레타리아 총파업은 ‘예외상황’을 ‘작동 중지’시키는벤야민이 제시하는 ‘진짜 예외상황’의 예가 된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do research on Giorgio Agamben’s efforts to recover language, ethics and politics based on Plato’s paradigm against language, ethics and politics of Aristotle’s gramma: letter that has dominated Western thoughts. In Plato’s paradigm syntagma, ‘a thing the thing itself,’ ‘the thing itself’ as ipseity of a thing referring to self-reference of a thing indicates the birth of linguistic being of a thing. The essence in paradigm is ‘exclusive inclusion’ through inoperativity. With an exclusion of a thing, not only a thing but also its class which it belongs to will be exposed. By rendering ‘a thing’ inoperative (exclusion), the thing itself (inclusion) takes place. Aristotle, however, considers ‘the thing itself’ as a simple ‘duplicate’ of a thing and excludes it and in its place, he positions ‘gramma.’ Gramma is a reasoned voice in voice that can be articulated with vowels and consonants. Gramma, a reasoned voice, follows the structure of state of exception in which it sets up itself by inclusively excluding parts in voice that can not be articulable with vowels and consonants. Language and ethics and politics based on Aristotle’s gramma cannot get away from structure by state of exception. Following Walter Benjamin, Agamben redeems language and ethics and politics on paradigm, by rendering inoperative language and ethics of politics on Aristotle’s gramma. Inoperativity turns gramma into gramma itself, exposing being of gramma. Benjamin’s proletariat general strike renders proletariat inoperative, leading to exposure of proletariat itself and being of proletariat simultaneously.

      • KCI등재

        「병신과 머저리」에 나타난 정체성 연구 - 폴 리쾨르의 ‘삼중의 미메시스triple mimésis’를 중심으로

        김유리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20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66

        Lee Chung-Jun's “A Fool and an Idiot” is a text that depicts a process of intense self-exploration where main characters search for their self-identities by engaging in writing activities. In order to comprehensively discuss the search for two characters’ identities, this paper uses the concept of ‘Triple mimésis’ of Paul Ricoeur to examine the specific aspects of identity expressed in each moment and synthesizes them. First, MimésisⅠ stage falls on the period before the older brother’s novel is written and before ‘I’ reads his brother’s novel. Two identities are examined, respectively, considering an outlook on the world each character has. At the MimésisⅡ stage, the identity of the older bother is focused in reference to his novel. Greimas’ structural analysis is employed for an in-depth analysis. At the stage of MimésisⅢ, this paper mainly reveals the change of identity on the part of the older brother who finishes his writing and the shift in identity ‘I’ goes through after reading his brother’s novel. Finally, the reidentification shown in the identities in each monent is synthesized applying Ricoeur’s concepts of ‘identité-idem’ and ‘identité-ipse’. 이청준의 「병신과 머저리」는 글쓰기 행위와 정체성을 엮으며 인물의 치열한 자아 탐색을 그려나간 텍스트이다. 본고에서는 「병신과 머저리」에 나오는 두 인물의 정체성 탐색을 종합적으로 논의해 보기 위해 폴 리쾨르의 ‘삼중의 미메시스triple mimésis’ 개념을 원용하여 각 모멘트에서 나타난 정체성의 구체적인 양상들을 살피고 이들을 종합하였다. 먼저 미메시스Ⅰ의 단계는 형의 소설이 쓰이기 전과 ‘나’가 형의 소설을 읽기 전에 해당하며 두 인물의 세상에 대한 시각을 바탕으로 각각의 정체성을 살폈다. 미메시스Ⅱ의 단계에서는 형의 소설을 바탕으로 형의 정체성을 고찰하였으며 이때 그레마스의 구조 분석을 원용하여 심층적인 분석이 되도록 하였다. 미메시스Ⅲ의 단계에서는 소설을 쓰고 난 후 변화한 형의 정체성과 소설을 읽고 난 후 변한 ‘나’의 정체성에 주목하였다. 끝으로 각각의 모멘트에서 나타난 정체성이 재동일화되는 양상을 리쾨르의 ‘자체성’과 ‘자기성’ 개념을 통해 종합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