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의 지역별 자주창신(自主创新) 현황 비교- 베이징과 상하이를 중심으로

        김혜진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10 중소연구 Vol.34 No.2

        2000년대 들어서 중국 정부는 개혁개방 이후 중국의 주된 과학기술 발전 전략이었던 ‘시장-기술 교환 전략’을 ‘자주창신 전략’으로 전환하고 있다. 중국의 자주창신 정책은 각 지역 지방정부가 해당 지역의 지역혁신체제 재구축을 통해 달성해야 할 목표이자, 중국 중앙정부가 각 지역에서 이룩하는 자주창신을 통해 전 국가적으로 실현해야 할 목표적 성격을 가진다. 본 연구는 지역 단위의 자주창신 추진을 서로 비교하기 위해, 베이징과 상하이의 두 도시를 들어 누구에 의한 혁신인가(혁신 주체), 어떤 혁신인가(혁신 내용), 그리고 어디로 얼마나 파급되는가(혁신 확산)의 세 가지 측면에서 상세히 고찰해 보았다. 우선, 혁신 주체에 있어서 베이징은 자력에 의한 혁신, 정부 주도의 혁신에 가까운 반면, 상하이는 외부 역량에 의한 혁신, 기업 중심의 혁신에 가까운 상황이다. 또한 혁신 내용에 있어서 베이징은 원시혁신과 유사한 반면, 상하이는 조합혁신 또는 도입 기술의 소화·흡수·재혁신과 유사하다. 그리고 혁신 확산에 있어서 베이징은 그 파급 범위를 중국 전역으로 하고 있는 반면, 상하이는 해당 도시의 기술 발전을 촉진하고 나아가 장강삼각주 지역의 기술혁신 거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 KCI등재

        중국 국가자주혁신시범구 조세지원제도

        신금미(Sin Keum Mi),윤성혜(Yun Sung Hye) 한국국제조세협회 2017 조세학술논집 Vol.33 No.1

        중국은 경제 활성화와 산업 발전을 목적으로 제도적 규제를 완화하고 경제적 인센티브를 제공하기 위해 특정 구역을 지정하는, 일명 특구(特区)제도를 가장 잘 활용하는 국가이다. 이런 중국이 최근 4차 산업을 중시하는 세계의 추세에 따라 자국의 4차 산업을 적극 육성하기 위해 국가자주혁신시범구(国家自主创新示范区)라는 특구를 전국적으로 조성하고 있다. 중국은 특구제도를 잘 활용하는 만큼 그 형태도 다양하다. 이중 본 논문에서 다룬 시범구(示范区)는 중국만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특구제도로, 특정 지역에 한하여 어떠한 정책을 실험적으로 실시해보면서 모범적인 정책을 만든 후, 이 정책을 중국 전역으로 확대하여 실시하는 일종의 정책 실험구역이다. 이에 따라 국가자주혁신시범구의 핵심 역할은 4차 산업 육성에 도움이 되는 모범적인 정책을 만든 후 이를 전국적으로 확산시켜 중국 내 4차 산업의 발전을 도모하는 것이다. 기업의 기술혁신활동을 지원하고, 신산업 육성을 위한 대표적인 정책 수단으로 조세지원제도가 있다. 국가자주혁신시범구 내에서도 조세지원제도를 실험적으로 실시하였고, 최근 시범구내에서만 실시하던 조세지원제도를 전국으로 확대하여 실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국가자주혁신시범구의 개념과 조성배경을 살펴보고, 시범구내에서 실시하고 있는 지원정책과 조세제도의 세부내용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에 대한 평가를 통해 한국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China is one of the countries that best exploit special zone systems which designate specific regions to soften regulations and offer economic incentives for the purpose of energizing the economy and developing industries. In accordance with the recent global trends placing emphasis on the quaternary sector of the economy, China has been establishing special zones nationwide called National Indigenous Innovation Demonstration Zones(NIIDZ) in order to actively foster its fourth industries. China utilizes the special zone system well and also has various forms of it. The demonstration zones addressed in this study are special zone systems that can be found only in China. It is an experimental policy zone designed to demonstrate policies in a specific zone to mae model policies, which are then expanded to all of China. Hence, the main role of the NIIDZ is to come up with exemplary policies that can contribute to the nurturing of the quaternary sector of the economy, and then spreading it nationwide to develop the fourth industries in China.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policy tools to support technological innovation activities of companies and to foster new industries is the tax incentive policies. Tax incentive policies have been experimentally carried out in the NIIDZ, and recently, tax incentive policies limited to the demonstration zones were expanded nationwide. Accordingl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ncept and background of NIIDZ first, and analyzed the tax incentive policies as well as detailed tax system implementing in the demonstration zone. Finally, the study derived the implications to Korea from the policy evaluation.

      • KCI등재

        일터 혁신이론에 대한 문헌 고찰

        이영면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2023 産業關係硏究 Vol.33 No.2

        This abstract discusses the significance of reexamining the theory of workplace innovation (WPI) in the context of Nordic countries and Korea. The concept of WPI emphasizes the consideration of not only technological factors, but also social and psychological factors in order to improve both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individual working life quality, thereby ensuring organizational sustainability. However, Korean companies have been passive in adopting workplace innovation, focusing instead on technology-driven manufacturing innovation. The government's efforts have been limited to promoting workplace innovation consulting projects. Given this situation, there is a need to revisit the theory of workplace innovation, which has received insufficient attention, for the purpose of facilitating its social diffusion. To address this gap, this study aims to reconstruct the existing theories of workplace innovation by following the workplace innovation flow chart modified by the author. This abstract presents an overview of the theoretical frameworks and perspectives relevant to workplace innovation. Firstly, the organizational design perspective at the structural level encompasses the Modern Social Technology System Design Theory (MSTSD), Job Demand-Control (JD-C) Theory, Job Demand-Control-Support (JDCS) Theory, and Job Demand Resource (JDR) Theory. Secondly, the cultural level perspective focuses on worker participation and encompasses theories such as Employee-Driven Innovation (EDI) theory, democratic dialogue theory, labor process theory, relational adjustment, and sociocracy. Thirdly, the strategic choice perspective of management incorporates resource-based theory, dynamic competency, high-performance work system, knowledge capital theory, lean management, management technology, high-reliability organization (HRD), and distributed leadership. Moreover, an integrated perspective is presented through the Integrated Workplace Innovation (TWIN) theory and the fifth factor model, which aim to integrate the perspectives of theorists, practitioners, and policy makers. Finally, the abstract concludes by discussing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ng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북유럽 중심으로 일터 혁신(workplace innovation: WPI)이 논의된 지 반세기가 지났고, 우리나라에 소개된 지도 20여 년이 넘었다. 일터 혁신의 핵심은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 생산방식과 같은 기술적인 요인만이 아니라근로자의 태도와 행동, 조직구조와 설계 같은 사회심리적 요인이 함께 고려되어야만 조직의 성과와 개인의 근로생활의 질이 동시에 제고되고, 그래야조직이 지속 가능하다는 주장이다. 하지만 우리나라 기업들은 기술 중심의제조 혁신을 강조하면서, 근로생활의 질 제고를 포함하는 일터 혁신에 대해서는 소극적이고, 정부도 일터혁신 컨설팅 사업만을 추진하고 있는 정도다. 이러한 상황에서 충분하게 논의되지 못한 일터 혁신이론을 재검토하는 것은일터 혁신의 사회적 확산을 위해 매우 의미 있는 일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일터 혁신에 대한 이론을 일터 혁신흐름도에 따라 재구성하였다. 먼저구조 차원의 조직설계 관점에서는 현대사회기술체계설계이론(MSTSD)을 포함하여 이론들을 제시하였고, 다음으로 문화 차원의 근로자 참여 관점에서는근로자주도혁신(EDI) 이론을 포함하여 이론들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경영진의 전략적 선택이라는 관점과 통합적 관점에서 여러 이론들을 정리하였다. 논문의 마지막에는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제시하였다

      • Living Lab: 사용자 주도의 개방형 혁신모델

        송위진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2 Issues & Policy Vol.- No.59

        수요주도형, 사용자 주도형 혁신정책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지속가능성과 삶의 질 등의 사회문제 해결이 혁신정책의 주요 목표가 되면서, 새로운 혁신 모델인 Living Lab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Living Lab은 MIT의 W. Mitchell 교수가 제시한 개념으로, 사용자 참여형 실험을 수행하는 공간에서 새로운 혁신전략을 내재한 혁신생태계로 개념이 진화하고 있다. 특히 유럽은 Living Lab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여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아이디어를 최종사용자로부터 적극적으로 획득하고자 하고 있다. European Living Lab 운동을 전개하고 2006년 19개의 Living Lab이 연대한 범유럽 Living Lab 네트워크(European Network of Living Lab: ENoLL)가 출범하여, 2011년 현재 약 300여 개의 Living Lab이 참여하고 있다. 보고서는 Living Lab에서는 사용자 주도형 혁신, 개방형 혁신, 생활세계에서의 혁신, 미래를 구성해가는 실험적 학습이 이루어지는 공간이라는 혁신활동의 특성이 나타나며, 이를 통해 Living Lab은 기술 아이디어 도출 및 개발과 제품 구현 및 시장 진입 사이에 존재하는 간극을 줄이고, 사용자가 주도하는 혁신공간을 만들어 수요중심적이고 동시적인 혁신을 수행하며, 혁신과정의 효율성을 높이고 연구개발의 성과 창출을 촉진할 수 있다고 밝혔다. 또한 핀란드의 HumanTech Living Lab과 덴마크의 Egmont Living Lab을 사례로 들어, 조이스틱을 탑재한 전동 휠체어의 개발과 같이 사용자가 주도적으로 구체적인 브랜드 및 상품 개발까지 참여하는 개방형 혁신 플랫폼으로서의 Living Lab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사례를 통해 보고서는 Living Lab이 다음과 같이 기능할 수 있다는 점을 도출했다. 1. 문제해결형 혁신을 위한 혁신 모델 2. 혁신 생태계의 새로운 모델 3. 사용자 주도형 혁신을 위한 하부구조 4. 지역 혁신의 플랫폼 5. 중소기업 지원 조직 6. 참여형 과학문화 공간

      • KCI등재

        몰입지향 인사관리특성과 조직의사소통 및 혁신에 관한 실증연구

        오주연,이동진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5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2 No.1

        기술의 급속한 발전, 글로벌화된 시장 및 사회환경은 기업들에게 전통적 관료제에서 강조해 온 효율성 뿐만 아니라 혁신과 품질에 대한 경쟁압력을 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관료제를 넘어서 참여, 평등, 협동의 원리가 강조되는 공동체주의적(communitarian) 기업모델이 등장하면서 인사관리 또한 통제중심에서 몰 입지향 인사관리(commitment oriented HRM)로의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공동체주의적 기 업의 구조적 특성 파악의 일환으로 한국노동연구원의 사업장패널조사(WPS2011) 자료를 토대로 하여 우 리나라의 인사관리 및 노사관계에서 사업장내 인사이슈에 대한 근로자참여(즉, 몰입지향 인사관리)와 조 직의사소통 (참여)의 관계와 이들 활동이 혁신에 어떻게 영향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검정결과, 첫째 몰입 지향 인사관리특성을 갖춘 사업장일수록 혁신활동 및 성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향, 하향 및 수평(노사) 조직의사소통이 모두 활발히 이루어지는 사업장일수록 혁신활동 및 성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 타났다. 마지막으로 몰입지향 인사관리와 혁신활동 및 성과의 관계는 상향, 하향 및 수평(노사) 조직의사 소통 모두에 의해 완전매개되는 것으로 판정되었다. 이는 몰입지향 인사관리(또는 참여적 노사관계)의 주요 목적이자 가치인 사회적 효용(social utility)을 달성하기 위해서 상향 및 하향의 조직의사소통 방향 뿐만 아니라 사용자와 근로자간 (수평) 의사소통의 질이 모두 개선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사회, 기업 및 사업장 차원(단위)에서 몰입지향 인사관리(또는 참여적 노사관계)가 토착화되기 위하여 향후연 구에서는 인사 및 노사이슈에 대한 인사부서와 근로자대표기구 및 근로자의 (모범적인) 역할관계의 정립 과 그에 관한 다양한 실증분석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In spite of the documented relationship between commitment oriented human resource management (HRM) practices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 mechanism underlying this relationship remains a black box(Bowen & Ostroff, 2004; Evance & Davis, 2005). Moreover, there is little evidence over the specific relationship between commitment oriented HRM and organization communication and how it influences innovation activity as well as performance. Therefore, this study uses WPS2011(Workplace Panel Survey) data to analyze a mediational model for the relationship among commitment oriented HRM characteristics, organization communication, and innovation activity as well as outcomes at workplace level.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indicate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itment oriented HRM and organizational innovation is fully mediated by upward, downward and lateral (management-employees) organization communication. The present study shows that it will be necessary to carefully and sophisticatedly consider the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HR department and worker’s representative institution, workers’ roles in terms of HRM and organization communication as a key factor to the success of communitarianism and worker’s participation at workplace, firm and social level.

      • KCI등재

        신제품개발의 소비자 공동가치창출 활동에 관한 연구

        이한근,강우성,강성호 한국마케팅관리학회 2016 마케팅관리연구 Vol.21 No.4

        In today’s market, consumer co-creation is increasingly important in the area of new product development(NPD). Most co-creation marketing literatures and practices assert that firms can improve NPD-performance by facilitating consumer participation at various phases of NPD. However, many marketers have found it difficult to leverage consumer co-creation toward NPD success. The reasons are that consumers have limited knowledge on innovation and often express their latent needs ambiguously. It is also difficult for firms to manage consumer co-creation due to the increased conflicts between firms' objectives and consumers' interests. These findings inform NPD managers the importance of managerial efforts for consumer co-creation in NPD projects. The main objectives of our study are (1)to examine the specific criteria for consumer co-creation, (2) to conceptualize a typology of consumer co-creation, (3)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eir impacts on the purchasing intention of new product, and to empirically examine the moderating role of consumer innovativeness. In order to test our research questions, we randomly assign a total of 306 participants to the conditions of a 2(new product development stage vs new product diffusion stage) x 2(consumer-led vs firm-consumer co-creation) x 2(high consumer innovativeness vs low consumer innovativeness).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consumer co-creation types have differential influences on the purchasing intention and these effects are moderated by consumer innovativeness. We suggest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of our findings and discus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최근 복잡한 경영환경의 변화로 인해, 많은 기업들은 기업의 내부 활동으로 간주되었던 신제품 개발을 소비자와 협력적으로 수행하는 공동가치창출 활동으로 인식하고 있다. 이는 기업이 신제품개발 단계에 소비자를 참여시킴으로써, 소비자의 핵심니즈를 반영한 신제품개발 성공률을 높이고 기업의 마케팅, R&D 등에 투입되는 자원을 감소시킴으로써 결국 기업의 지속경쟁우위를 창출할 수 있는 원동력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몇몇 실무자들은 신제품개발을 위한 다양한 공동가치창출 활동에 대한 효과성에 의문점을 제기하기도 하였다. 이는 소비자들은 (1) 혁신에 대한 지식이 부족 하고 (2) 소비자 자신의 잠재적 니즈를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며 (3) 신제품 개발에 있어 소비자와 기업의 갈등이 야기됨에 따라, 결국 신제품 개발에 비효율적 운영을 초래한다는 것이다. 이는 신제품개발에 있어 다양한 공동가치창출이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지만, 신제품개발단계에 있어 소비자의 역할을 명확하게 파악하고 이에 따른 기업의 관리적 노력들이 필요함을 의미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제품개발 단계에 따라 신제품개발/확산을 위한 공동가치창출 활동과 소비자의 신제품개발 참여수준인 소비자주도/기업-소비자 공동가치 활동을 기준으로, 다양한 공동가치창출 활동을 포괄적이고 체계적으로 구분하고자 하였다. 또한, 각 공동가치창출 활동이 소비자의 신제품수용특성인 소비자의 혁신성에 따라 그 효과성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306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2(참여분야: 신제품개발 참여분야 vs 신제품확산 참여분야) x 2(참여수준: 소비자주도 참여 vs 기업-소비자 참여) x 2(소비자의 혁신성: 높은 혁신성 vs 낮은 혁신성) 집단 간 실험설계(between subject design)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각 공동가치창출 활동은 신제품개발 단계와 소비자 혁신성에 따라 신제품 구매의도에 차별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신제품개발 단계에 따른 다양한 공동가치창출 활동을 활용하고자 하는 기업들에게 공동가치창출 활동의 성공률을 증대시킬 수 있는 관리적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중국 기술추격전략의 변화 : 고속철을 사례로

        주장환(Jang-Hwan Joo) 고려대학교 평화연구소 2009 평화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중국 기술추격전략의 변화를 고속철 건설을 사례로 살펴보고 있다. 중국의 기술전략의 변화는 외연적 성장 방식의 부작용을 해소하고, 다국적기업의 대중 투자 방식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즉 ‘시장 · 기술교환’에서 ‘자주혁신’전략으로 변화되었다. 이에 따라서 1990년부터 논의되었으나 그 결론이 나지 않았던 고속철 건설도 신속하게 이뤄졌다. 그 과정에 대한 분석 결과, 새로운 ‘자주혁신’전략의 기조 하에서 외국 기업의 기술을 도입하고, 이를 흡수하여 재혁신하는 방식을 통해 중국 고속철을 건설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change of technology catch-up strategy in China through a case study of high-speed railway. Chinese government changed the strategy as to dissolve the negative effect of type of external growth and cope with the change of type of MNC’s investment to China. “trading domestic market for technology” strategy has changed into the “indigenous innovation”. So, the Chinese High-speed railway are constructing under this background. A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the type of this construction of the Chinese High-speed railway is ‘first technology import and then assimilation, re-innovation’. This type is one of three indigenous innovation types that Chinese government bas announced.

      • KCI등재

        몰입지향 인사관리특성과 조직의사소통 및 혁신에 관한 실증연구

        오주연 ( Ju Yeon Oh ),이동진 ( Dong Jin Lee )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5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2 No.1

        In spite of the documented relationship between commitment oriented human resource management (HRM) practices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 mechanism underlying this relationship remains a black box(Bowen & Ostroff, 2004; Evance & Davis, 2005). Moreover, there is little evidence over the specific relationship between commitment oriented HRM and organization communication and how it influences innovation activity as well as performance. Therefore, this study uses WPS2011(Workplace Panel Survey) data to analyze a mediational model for the relationship among commitment oriented HRM characteristics, organization communication, and innovation activity as well as outcomes at workplace level.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indicate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itment oriented HRM and organizational innovation is fully mediated by upward, downward and lateral (management-employees) organization communication. The present study shows that it will be necessary to carefully and sophisticatedly consider the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HR department and worker’s representative institution, workers’ roles in terms of HRM and organization communication as a key factor to the success of communitarianism and worker’s participation at workplace, firm and social level.

      • KCI등재

        4·19 민주항쟁시기 부산지역의 통일운동

        김선미 ( Sun Mi Kim )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2010 항도부산 Vol.26 No.-

        This paper aims at studying the regional base which the democratic national group of Busan had, during the age of the April, 19. For this, above all I have analyzed an aspect of the being and action of progressive group of Busan in the later 1950s. The time was the formative period of the direct history of the preceding age of the April, 19 Democratic Uprising in 1960. At last I has confirmed that various organizations, that is, the National Culture Association(民族文化協會), the Sung-Min Institute (성민학회), and the Chang-Shin Institute(창신학회) and others had operations at the last years of Lee Sung-Man in Busan. In conclusion, I have found that the democratic and national group of Busan accumulated a leading power in the April, 19 Democratic Uprising in 1960. At the beginning of the Uprising in 1960, the Democratic and National Youth Alliance, the Kyungnam Student Committee, and the Backwardness Overcome Student Research Society was organzed with superior young men and students, in Busan based on it. With this, the powerful base was constituted which unfolding of democratic uprising with the reformist parties and the Kyungnam Old Man Association. After this, the Democratic and National Youth Alliance extended it`s organization to Seoul and Kyungbuk etc.. This course leading by Lee Jong-Ryul was it of organizing the National Independent Reunification Central Conference that was nationwide reunification movement organization, at the same time. And when Kyungbuk branch of the Democratic and National Youth Alliance was organized, the progressive group of Busan and Kyungnam was connected with them of Daegu and Kyungbuk. As a result Minjokgeonyanghoe of Lee Jong-Ryul and the Democratic and National Youth Alliance constituted main stream of the National Independent Reunification Central Conference and led the theory of the South-North negotiation reunification, At the same time, the reformist parties and the Democratic and National Youth Alliance displayed leadership to students through the Kyungnam Student Committee and the Backwardness Overcome Student Research Society in Busan, And them led reunification movement of region by composing the National Independent Reunification Kyungnam Conference connected with the Kyungnam Old Man Association. Through this analysis I have constructed the whole image of the April, 19 Democratic Uprising in 1960 that is inclusive and various, through restore region history. And I expect it contribute to understand democratic national ability of Kyungsangnambukdo which is maximal position of progressive group in South Korea at that time.

      • KCI등재

        21세기 전쟁양상 변화와 한국의 국방력 발전방향

        홍성표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2003 국방연구 Vol.46 No.1

        최근 초고속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은 21세기 인류의 문명패러다임을 급속도로 변화시키고 있다. 전쟁패러다임도 예외는 아니어서 과거 산업화 시대의 대량파괴 및 대량살상전 양상은 이제 초정밀 유도무기의 발달로 원거리에서 적의 중심을 직접 타격하는 원거리 정밀타격전 양상으로 전환되었다. 1991년의 걸프전을 비롯한 코소보전, 아프가니스탄전, 그리고 최근의 이라크전은 이 같은 전쟁패러다임의 급격한 변화를 적나라하게 보여 주었다. 이 같은 전쟁패러다임의 급속한 변화에 부응하기 위하여 미국을 비롯한 선진각국들은 기존의 안보전략과 군사력 건설방향을 전면 재검토하고 새로운 전쟁양상에 부합하는 군사력을 건설하기 위하여 기존의 병력중심의 재래식 군대를 첨단무기체계 중심의 소수정예화된 엘리트 군사력으로 전환하고자 주력하고 있다. 이 같은 안보환경의 급속한 전환기를 맞이하여 한국군은 21세기 정보화시대의 국가방위를 효과적으로 수행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전환되어야 한다. 첫째는 자주국방력 체제를 구축하는 일이다. 둘째는 현재의 재래식 병력집약형 전력구조를 저비용고효율의 소수정예화된 전문직업군(專門職業軍) 체제로 전환시키는 일이다. 셋째는 첨단무기체계로 무장된 선진 군사력으로 전환하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