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자율방재단 활성화 방안 연구 : 삼척시를 중심으로

        권건주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3 Crisisonomy Vol.9 No.3

        본 논문은 지역자율방재단의 활성화 방안을 연구하기 위하여 2012년 4월 9일 삼척시가 주관한「2012년도 삼척시 지역자율방재단 교육」에 참석한 방재단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결과 지역자율방재단의 활성화 방안으로 첫째, 지역자율방재단원 모집 시 선발기준을 강화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지역자율방재단 조직을 이끌어 갈 핵심 방재리더 육성정책을 추진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지역자율방재단에 대한 대원참여형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위탁교육 확대 및 재난훈련 시 훈련계획단계부터 방재단의 임원 참여와 현장위주의 훈련종목을 선정하는 등 교육·훈련을 강화하여야 할 것이다. 넷째, 지역자율방재단에 대한 행정적·재정적 지원사업을 확대하고 지역자율방재단은 사업집행 시 투명성과 합법성을 확보하여야 할 것이다. 다섯째. 지역자율방재단과 지역재난단체 간에 빈번한 대면접촉을 통한 연계성을 강화하여야 할 것이다.

      • 지역재난관리의 주민조직 활성화 방안 연구 : 주민의식조사를 중심으로

        김경남(金炅南),권건주(權建周),엄준식(嚴浚植) 충북대학교 국가위기관리연구소 2007 국가위기관리연구 Vol.1 No.1

        지역재난관리 주민조직 활성화를 위해서는 첫째 시군 재난관리 부서의 적극적 역할이 필요하다. 지자체의 관련 부서는 평시 선응적 재난관리 활동 참여를 유도하고 방재단 활동에 따른 금전적 기대감의 해소를 위한 자율, 자주의 의미를 적극 홍보한다. 둘째, 주민 재난관리 활동 매뉴얼과 지침의 준비가 필요하다. 현재의 방재단 활동미흡과 자율적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언제, 어디서, 무엇을, 어떻게, 왜하는지에 대한 설명과 방법이 필요하다. 셋째, 단체장과 시군의회의 대표자가 참여하는 방재단연찬회, 교류회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방재단 주관의 여러 행사를 통하여 주민간의 교류, 연대가 시작되고 단체장이 참여함으로써 대표성이 부여되고 방재단 활동여건을 개선하는 효과를 가져올 것이다. 넷째, 방재단을 지원하는 “사람만들기” 이다. 흔히 방재리더 육성이라고 하는 것으로 적절한 자질과 준비태세가 갖추어진 단원을 대상으로 방재리더를 육성하고 이들에게 맞춤형 교육, 학습과정을 제공한다면 이들이 방재단 활성화의 밑바탕이 될 것이다. 다섯째, 방재단원에 대한 교육, 훈련의 지원이다. 이를 위해서 지자체의 공공시설을 이용한 방재강좌와 연수회의 개최가 필요하다. 이상과 같은 활성화 방안은 방재단 뿐만아니라 다른 주민조직에서도 대동소이하게 요구되고 있으므로 타 분야의 활성화 방안을 토대로 각 지역별 방재단 실정에 적합한 대책들을 강구하고 실천함으로써 방재단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지역자율방재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전미희(Mi Hee Jeoun)(全美姬),양기근(Gi Geun Yang)(梁奇根)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1 Crisisonomy Vol.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자율방재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현재 읍면동 단위로 잘 조직화 되어 있는 의용소방대를 활성화할 수 있는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있다. 재난에 대처하고 복구하는 과정에서 주민이 피해자이며 대응자라는 관점에서 지역공동체를 기반으로 조직된 자율방재단과 의용소방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지역자율방재단은 아직까지 리더가 없고, 재난의 전문성 부족, 주민 자치력의 부재 등 지역 내 자율방재의 역할을 기대하기 어렵다. 둘째, 의용소방대는 관련 법령상 다양한 재난상황에의 대처 한계, 지역 내 방재활동의 거점 미 확보, 의용소방대원의 전문자격증 미흡, 지역자율방재 활동 미흡, 자율방재지도자 육성과정의 교육부재 등의 문제점이 있다. 지역자율방재주체로서의 의용소방대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의용소방대의 활성화 방안으로 첫째, 의용소방대원 교육의 다양화를 위한 의용소방대 활동 근거 규정 마련, 지역방재리더교육을, 둘째, 지역 내 방재활동 거점 확보를 위한 의용소방대 사무실 확보 및 주민 쉼터로 활용, 지역안전신고센터로서의 역할 수행, 주민재난조직 구성원 전문자격증 확보 및 확대를, 셋째, 지역자율방재 활동 영역 확대를 위한 봉사활동 영역 확대, 지역안전 지킴이 활동 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point out the problems of regional autonomous disaster prevention organization and suggests policy that can activate volunteer fire brigade is well organized on Eub, Myeon, Dong office. We analyze regional autonomous disaster prevention ccorps(“JiYeokJaYoul BangJaeDan” in Korean) and volunteer fire brigade in terms that the residents are victims and counterparts In the process of disaster response and recovery. First, we are difficult to expect the role of regional autonomy within region because regional autonomous disaster prevention ccorps there are still leaders, expertise in disaster and residents’ autonomy, etc. Second, volunteer fire brigade have many problems of various statutory limitations in dealing with disaster situations, no base of disaster prevention activities in the region, lack of professional qualifications of volunteer firefighters, lack of local voluntary disaster prevention activities, absence of self-prevention education in leadership development courses, etc. Plan to activate volunteer fire brigade is as followed: first, establishment of rules on actions of volunteer fire brigade and for diversification of educational, education of leader for regional disaster prevention, second, secureness and use as residents’ shelter of volunteer fire brigade’s office, performing the role of community safety report center and securing and expanding professional qualifications of members of resident disaster organization for securing base of disaster prevention activities in the region, third, expanding service areas and local safety keepers activities for enlargement of regional autonomous disaster prevention activities, etc.

      • KCI등재

        일부 지역자율방재단의 재난대응역량과 응급처치 지식수준

        이효철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3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7 No.8

        This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the disaster response competency, educational experience and awareness of first aid, and the level of first aid knowledge of Citizen Corps Active In Disaster. This study collected data from June to December 2021 for residents working as Citizen Corps Active In Disaster in G Metropolitan Cit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 the SPSS/26.0 program, in addition to an independent t-test, analysis of variance ANOVA.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recognized that the disaster management's expertise and response ability of Citizen Corps Active In Disaster were improving and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difficult to recognize and demonstrate individual roles in the event of a disaster. In addition, in the knowledge of first aid and CPR,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lack of knowledge about the exact order of CPR, the ratio of chest compression to breathing, and the location of the hand during chest compression. There was a difference in disaster response capabilities depending on the duration of activities in disaster prevention organizations and the degree of interest in disaster, and men had a high knowledge of first aid. Based on these findings, a standardized disaster response system was established to improve the disaster response capabilities of Citizen Corps Active In Disaster and to establish themselves as better disaster prevention organizations, as well as first aid and CPR along with training to improve their capabilities

      • KCI등재

        국민안전을 위한 민간 방재조직에 대한 소방관들의 인식 연구

        채종식(Jong-Sik Chae),이시영(Si-Young Lee)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1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5 No.2

        본 연구는 사회재난 대응 업무에 종사하고 있는 소방관들을 대상으로 지역자율방재단의 전문성에 관한 인식도를 조사해 우리나라 지역자율방재단의 방재활동 전반에 대한 현실적인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자율방재단의 새로운 인적 자원관리제도와 적극적인 홍보 실시 둘째, 재정적인 지원과 보상제도의 개선이 필요 셋째, 지역자율방재단에 도움이 되는 맞춤식 교육과 훈련이 필요하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우리나라 지역자율방재단의 발전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sought for an improvement plan of the overall preventive activity of Korean Citizen-Corps-Active-In-Disaster(CAIND) by utilizing the fact that The fire-fighters, who are focusing on social disaster response works, are surveyed for their awareness of the vivid expertise to Korean CAIND. This group is defined as the assistant organization in law about disaster prevention which, the local residents willingly made to handle the situation of disaster occurrence. Since the characteristics of volunteer activities are also inherent, related issues are also reviewed at the same time to resolve any unclear arguments by disaster prevention activ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Citizen Corps Active in Disaster. Through the results, the study provided three major suggestions for an improvement pla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quota management system of Korean CAIND that considers the characteristics of rural areas should be actively supplemented. Second, the current reward system for Korean CAIND activities at large disaster sites should be surely improved. Third, the current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of Korean CAIND to satisfy regional conditions should be newly establish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largely expected to be utilized as a basic data to develop Korean CAIND in the future.

      • KCI등재

        지역사회의 지속가능개발을 위한 재난저지공동체 접근과 지역자율방재단의 위상

        권태호(權泰鎬),오금호(吳錦昊) 한국정책과학학회 2006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10 No.1

        세계화 및 정보화의 전 지구적 물결 속에서 ‘환경존중’을 위한 지속가능개발을 추구하고 있는 한국의 지역사회는 지방화와 분권, 혁신과 경쟁의 패러다임을 수용하면서 효율적 재난관리라는 또하나의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본 논문의 기본적 관점은 지역사회의 효율적 재난관리 여부가 궁극적 발전지향인 지속가능개발의 중요한 전제가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논문은 최근 정부와 민간에서 활발히 모색되고 있는 지역자율방재단의 위상과 역할을 거시적이고 장기적 관점, 즉 지역사회의 지속가능개발과 재난저지공동체 계획적 측면에서 분석함으로써, 지역현장에서 주민의 자발적이고 공동체적 참여가 재난저지공동체의 계획과 지역자율방재단의 추진에 핵심 요건이 됨을 확인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 KCI등재

        우리나라 지역자율방재단의 운영에 관한 개선방안 연구

        채종식,이시영 한국방재학회 2020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0 No.4

        This study explored an improvement plan for the overall preventive activity of Korean Citizen Corps Active in Disaster (CAIND). To this end, it utilized the statistical yearbooks of the Korea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Security, and Fire Service, and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for a period of four years from 2015 to 2018, and drew out the practical problems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Through the results, the study provided four major suggestions for improvement. First, the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of Korean CAIND should be established to satisfy regional conditions. Second, the quota management system of Korean CAIND that considers the characteristics of rural areas should be supplemented. Third, the reward system for Korean CAIND activities should be improved. Fourth, management members' readership competency of operating organizations, including that of the Korean CAIND captain in charge, should be strengthen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tilized as basic data to develop Korean CAIND in the future. 본 연구는 2015년부터 2018년까지 4년간 행정안전부의 통계연보 및 통계청의 관보자료를 활용해 우리나라 지역자율방재단의방재활동 전반에 대한 통계분석을 통해 현실적인 문제점을 도출하여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지역여건을 반영한 교육·훈련 제도 확립 둘째, 농촌 및 도서산간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인적자원 관리제도 도입 셋째, 지역자율방재단을위한 재정적인 지원과 보상제도 개선 넷째, 방재단장과 같은 관리계층 단원들의 조직 리더십 역량 강화이다. 본 연구결과는향후 우리나라 지역자율방재단의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지역유형별 지역 방재력에 관한 실태분석 : 강원도를 중심으로

        김경남,권건주 국가위기관리학회 2010 국가위기관리학회 학술대회 Vol.2010 No.1

        강원도내 14개 시군을 3개 지역(도농통합형 지역, 도시형 지역, 농촌해안형 지역)으로 나누고 지역에 거주하는 지역자율방재단을 표본집단으로 하여 설문조사한 결과, 도농통합형 지역과 도시형 지역이 농촌해안형 지역보다 재해위험인지능력, 피난유도능력, 자주피난 대비정도, 방재체제 정비정도, 감시경계능력, 정보전달능력 등 모든 분야에서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정보전달능력에서는 3개 지역 모두 높게 나타났으나 자주피난 대비정도는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정보전달능력의 경우 지방정부의 예?경보시스템 증설과 신규 설치로 인하여 재난정보를 신속히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이 구축되었으나 자주피난 대비정도는 주민 스스로가 재해상황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재난대비 교육과 홍보를 실시하고 동시에 사전에 안전한 대피장소를 확보하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지역유형별 지역방재력에 관한 실태분석 - 강원도를 중심으로 -

        김경남,권건주,백민호 한국방재학회 2010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0 No.4

        The 14 cities and guns within Gangwon-do were divided into three regions (urban-rural-integrated type, urban type, and rural-coastal type), and local voluntary disaster prevention organizations in those regions were surveyed as sample groups. As a result, the urban-rural-integrated type and the urban type were found to be lower than the rural-coastal type in all domains including recognition of disaster crisis, evacuation guidance, preparation of voluntary evacuation, maintenance of disaster prevention system, surveillance & guard, and information delivery. In particular, three types had higher information delivery but considerably lower preparation of voluntary evacuation. As for information delivery, foundations for rapid delivery of disaster information due to establishment and extension of systems for forecasting and warning of local governments were prepared, but as for preparation of voluntary evacuation, it is needed not only to perform consistent training and promotion for preparation for disasters for residents to accurately understand status of disasters but to take measures to secure safe places for evacuation beforehand. 강원도내 14개 시군을 3개 지역(도농통합형 지역, 도시형 지역, 농촌해안형 지역)으로 나누고 지역에 거주하는 지역자율방재단을 표본집단으로 하여 설문조사한 결과, 도농통합형 지역과 도시형 지역이 농촌해안형 지역보다 재해위험인지능력, 피난유도능력, 자주피난 대비정도, 방재체제 정비정도, 감시경계능력, 정보전달능력 등 모든 분야에서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정보전달능력은 3개 지역 모두 높게 나타났으나 자주피난 대비정도는 매우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이는 정보전달능력의 경우 지방정부의 예․경보시스템 증설과 신규 설치로 인하여 재난정보를 신속히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이 구축되었지만 자주피난 대비정도는 주민 스스로가 재해 상황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재난대비 교육과 홍보를 실시하고 더불어 사전에 안전한 대피장소 확보방안 등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