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원봉사자의 자원봉사 지속 의지 영향 요인 분석

        임숙자,임복희,하태수 충북연구원 2023 지역정책연구 Vol.34 No.3

        본 연구는 자원봉사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 확산되고 있으나 현장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자원봉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원봉사 지속 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자원봉사활동을 모범적이고 지속적으로 하고 있는 우수자원봉사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자원봉사 참여 동기, 자원봉사활동 관련 요인, 자원봉사 대인관계 요인, 인정보상 등을 독립변수로 자원봉사활동 지속 의지 영향요인을 측정하였다. 분석결과 자원봉사활동 지속 의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참여동기(β=.282), 동료 자원봉사자와의 관계(β=.248), 정서적·사회적 인정보상(β=.175), 업무 적절성(β=.150)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봉사활동을 관리하는 행정가들에게 실용적으로 도움이 되는 관리 방안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This study analyzed factors influencing the continued willingness of volunteers to participate, aiming to address the challenges faced in volunteer work despite the growing social awareness of volunteerism.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exemplary volunteers who engage in volunteer activities in an exemplary and sustained manner,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Independent variables, including motivations for volunteering, job appropriateness, interpersonal factors in volunteer relationships, and recognition in personal information, were measured to assess the factors influencing the continued willingness for volunteer engagement. The analysis revealed that public service motivations (β=.282), relationships with fellow volunteers (β=.248), emotional and social recognition (β=.175), and job appropriateness (β=.150) positively influenced the willingness to sustain volunteer activities. Based on these findings, practical management strategies that can be helpful for administrators responsible for volunteer activities were proposed.

      • KCI등재

        전문직 은퇴자 및 은퇴예정 남성의 자원봉사 몰입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박용순(Yong Soon Park),송진영(Jin Yeong Song),황치정(Chi Jung Hwang) 한국노인복지학회 2012 노인복지연구 Vol.0 No.56

        본 연구는 전문직 은퇴자와 은퇴예정 남성으로 구분하여 자원봉사 몰입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사회자원, 자원봉사활동, 자원봉사활동 만족도 등의 매개효과를 검증 함으로서 그들의 심리적 안녕감을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도에 거주하는 55세~69세의 자원봉사를 수행하고 있는 전문직 은퇴(예정)자 284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자료를 수집하고, SPSS를 활용하여 기술통계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자원봉사 몰입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전문직 은퇴자는 가족, 친구, 이웃 간 접촉과 모임 참석과 같은 공식적/비공식적·사회적 상호작용 등의 사회자원의 역할이 개인적 성장과 삶의 목적에, 은퇴예정자는 긍정적 대인관계가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자원봉사 몰입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자원봉사활동기간은 개인적 성장과 삶의 목적에, 은퇴예정자는 삶의 목적을 부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또한 자원봉사활동 만족도는 사회자원과 자원봉사활동기간을 다단계 매개하는 또 하나의 매개 경로임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지역사회 내에 있는 공식/비공식 사회자원을 최대한 활용하고 그들을 대상으로 자원봉사 활동을 유지시킬 수 있는 서비스의 지원을 통해 그들의 심리적 안녕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resources and volunteer activ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volunteer work commit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male volunteer groups divided into professional retirees and prospective retirees. To achieve the goal, a survey research was performed for men of 284 between the ages of 55 ~ 59 in Seoul, Kyunggi distinct. SPSS were applied in technical statistics, and th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Firstly, among the professional retirees, with respect to volunteer work commit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role of social resources, such as their contacts between family, friends and their neighbors as well as their attendance at formal and informal gatherings, and the roles of their social functions are proved to be vital in personal growth and their purpose of life. Secondly, with respect to the volunteer commit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period of volunteer works proved to be vital to the purpose of their living, whereas the prospective retirees regard that as a secondary factor for their purpose of living. This study suggests that developing support systems for services to maintain the levels of volunteer works, as well as developing programs to decrease the volunteer work`s burnout are necessary.

      • 자원봉사센터 관리자들의 자원봉사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 요인: 충남 시·군 자원봉사센터 관리자를 중심으로

        손석현(Son Suk-Hyun) 한국지역복지정책연구회 2021 지역복지정책 Vol.32 No.-

        이 연구는 자원봉사센터와 자원봉사 성과 간의 관계를 탐색하고, 자원봉사 활성화 방안 모색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충청남도 시·군 자원봉사센터의 관리자들이 필요한 직무능력 및 자질, 직무에 대한 전문성의 상호 관계를 확인하고, 직무능력 및 자질이 자원봉사 직무 전문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첫째, 자원봉사센터 관리자들의 자원봉사에 대한 능력과 자질, 직무 전문성은 대체로 보통에 해당하지만, 사회과학적인 의미에서 보통은 부정적 평가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자원봉사센터 관리자들의 자원봉사에 대한 능력과 자질은 그들의 직무 전문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셋째, 그러나 직무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한 교육을 필요로 하고 있으나, 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는 높지 않다. 이는 업무에 밀려(정규직), 정보를 알지 못해서(계약직) 교육 참여가 원활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보다 다양한 교육을 통해 그들의 전문성 강화가 필요하다는 점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voluntary outcomes according to the organizational factors of the volunteer center, and ultimately to find ways to revitalize volunteer wor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job competence, qualities, and expertise required by volunteer managers at the Chungcheongnam-do, and to find out how job abilities and qualities affect expertise. In addition, I would like to examine the relevance of volunteer education. To summarizes, first, volunteer managers competence, qualities, and job expertise for volunteering are generally average, but in the social science sense, they are usually close to negative evaluation. Second, the voluntary skills and qualities of volunteer managers affect job expertise. Third, there is a need for education to strengthen job expertise. However, education satisfaction is low. From the perspective of regular and contract workers, satisfaction with the education they are participating is not high. Due to the lack of work (regular workers) and unaware of information (contract workers), participation in training is not smooth. It can be seen that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job expertise through more diverse training.

      • KCI등재

        자원봉사와 우울증의 관계: 사회경제적 자원과 사회관계적 자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중백 한국보건사회학회 2015 보건과 사회과학 Vol.0 No.38

        Volunteering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depression; however, few studies have paid attention to moderating effect of resources for volunteeris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volunteering and depression. Two competing hypothesesdouble benefit and relative benefit hypotheses-are tested to determine the extent to which socioeconomic and social relationship resources moderate the association. This study employed 2013 Korea Welfare Panel Study and analyzed adults of age 18-75. Findings indicate that volunteering i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depression with adjustment for background variables. Especially the association between volunteering and depression is explained with adjustment for income. Analyses of moderating effects demonstrate two contrasting patterns. Except for those who experience the end of marriage, relative benefit hypothesis is supported. People of high levels of education, income, and social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non-married report increased levels of depression by volunteering.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beneficial effect of volunteering on depression is greater among adults of less education and income, weak social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people who experience the end of marriage than those of greater education and income, strong social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married persons in Korea. 자원봉사에 대한 기존 연구들은 우울증에 대한 자원봉사의 긍정적 효과를 밝히고 있으나 자원봉사의 선행요인인 사회경제적 자원과 사회관계적 자원이 자원봉사와 우울증간 관계를 어떻게 조절하는지검증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자원봉사 여부에 따라 우울증이 차이가 나는지 밝히고 자원봉사의 시행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 자원으로서의 소득과 교육수준, 사회관계적 자원으로서의 결혼상태와사회적 관계 만족도가 자원봉사와 우울증의 관계를 어떻게 조절하는지 ‘이중혜택 가설’과 ‘상대혜택가설’을 통해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문제의 분석을 위해 ’2013년 한국복지패널’의 18~75세 성인을 그대상으로 하였고 우울증을 종속변수로 분석하는 최소자승회귀모형을 채택하였다.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배경변수를 통제하였을 때 기존의 연구와는 다르게 자원봉사 여부에 따른 우울증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으며 이는 소득수준에 의해 설명된다. 조절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자원봉사와 조절변수간의 상호작용항을 투입한 결과에 따르면 사회경제적 자원의 경우 교육수준과 소득 수준이 높을수록 자원봉사에 따른 우울증의 차이는 줄어드는 경향을 보인다. 사회관계적 자원으로서의 사회적관계 만족도 역시 높아질수록 자원봉사에 따른 우울증의 차이는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상태의 경우 상반되는 결과를 나타내는데 준거집단인 기혼자와 비교했을 때 자원봉사자와 비자원봉사자간우울증의 차이는 결혼종료를 경험한 집단의 경우 더 커지며 미혼집단인 경우에는 반대로 작아지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결과는 자원봉사가 미치는 영향이 자원봉사의 시행에 필요한 자원의 수준에따라 다양할 수 있음을 뜻한다.

      • KCI등재후보

        자원봉사 활성화를 위한 광역시·도 자원봉사센터의 발전방향 연구

        김근홍(Kim, Keun Hong),김혜욱(Kim, Hye Wook),양재석(Yang, Jae Suk) 한국사례관리학회 2020 사례관리연구 Vol.11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 자원봉사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 광역자원봉사센터의 현황을 실증적으로 탐색하고 향후 개선 가능한 발전 방향을 모색한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 내 1개 광역자원봉사센터와 31개 기초자원봉사센터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집단심층면접조사(이하, FGI)를 병행하였다. 설문조사는 126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기술통계 및 빈도분석을, FGI에서는 6개 그룹(20명)을 대상으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종합적인 분석 결과 경기도자원봉사센터의 운영전반에 있어 자율성 부족과 지역 내 자원봉사 플랫폼 역할 미흡이나 기초자원봉사센터에 대한 지원 부족 그리고 대국민 홍보 부족 문제 등이 도출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광역자원봉사센터와 기초자원봉사센터 간 소통시스템 확대와 대규모 외부협력사업 유치, 전문 기획·연구 인력 충원, 직원 및 자원봉사자 대상 교육 개선, 조직개편, 매스미디어 홍보 등의 기능강화를 위한 실천적이며 정책적인 대안들을 제시하였다. In the following research the Korea’s Metropolitan Volunteer Center was empirically explored in an effort to investigate Korea’s volunteer work and find methods to best develop and support the field. The research targets were employees from 1 Metropolitan Center and 31 Basic Volunteer Centers in Gyeonggi-Province. For the research survey and focus group interview-survey (et seq. FGI) were combined. The survey collected data from 126 participants which was used for technical statistics and frequency analysis. The FGI for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by six groups consisting of 20 participants. As the result of comprehensive analysis, a few problems became apparent: the lack of autonomy as a Metropolitan Center, the lack of role as a local volunteer platform, the lack of expertise as a professional institution, the lack of support to Basic Volunteer Center and the problem of lack of publicity activitie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gives the practical and policy-oriented alternatives that strengthen the function of the Metropolitan Volunteer Center, such as expanding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Metropolitan Volunteer Center and Basic Volunteer Center, attracting large-scale external cooperation projects, recruiting more professional researchers, improving education for volunteer center staffs and volunteers, reorganization of Metropolitan Volunteer Center and promoting volunteer work using mass media.

      • KCI등재

        비영리조직의 자원봉사활동특성 및 정기후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대한적십자사 자원봉사자를 중심으로 -

        이애련,최종혁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20 유라시아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국내 비영리조직의 자원봉사활동특성과 정기후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자원봉사자들의 인식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비영리조직으로 국내에서 대표적인 조직인 대한적십자사 의 자원봉사자들을 중심으로 연구하였으며, 1년 미만의 경력부터 10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자원봉사원 들을 39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설문대상자 중 55.9%는 현재 대한적십자사에 정기후원을 하고 있는 것으로 응답하였고, 44.1%는 정기후원에 참여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기후원 금액은 ‘3 만원 미만’의 소액 후원자가 전체 응답자의 69.7%로 나타났다. 정기후원에 참여하지 않는 이유로는 ‘경제적인 이유(42.4%)’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회계 운영의 투 명성에 대한 신뢰문제(19.8%)’, ‘정부의 예산으로 운영되기 때문(15.1%)’ 으로 나타났다. 동시에 대한적십 자사에 정기후원을 하지 않는 그룹 중의 36.3%는 타 기관에 후원을 한다고 응답하여, 대한적십자사의 후원하지 않는 배경에는 다른 기관에 대한 후원 활동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대한적십자사는 정기후원 활성화를 위한 전략으로 정기후원 운영활동을 비롯한 제반활동에 대한 정확한 정보와 대내외 적인 홍보활동을 통해 정기후원의 소액 후원자들을 유인하거나, 후원금액을 늘려 재정적 위기를 극복하 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 대한적십자사 인식관련 설문은 요인분석 결과 각각 ‘기관 인지도’, ‘정기후원 운영 만족 도’, ‘정기후원 필요성 인식’, ‘후원을 통한 효능감’의 4개의 하위구조로 이루어져있고, 회귀분석 결과, ‘정 기후원 운영 만족도’는 나머지 3개의 변인에 의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중 심으로 대한적십자사를 비롯한 다양한 비영리기관의 정기후원 운영에 대한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 정 기후원에 대한 후원자들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하여 기관의 인지도를 높이고, 정기후원의 필요성을 인식 시켜야 한다. 또한 지속적인 봉사자 교육과 훈련을 하여 봉사자에 대한 인식변화와 함께 후원에 대한 적 절한 보상 체계를 만들어 자원봉사자들의 활동 및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하지만 본 연 구의 연구대상은 대한적십자사에 소속된 자원봉사자들로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일반시민을 대상으로 후 속 연구를 진행하여 외부 후원을 이끌어 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를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characteristics of volunteer work in domestic nonprofit organizations and volunteers’ perception of factors influencing regular donation. For doing this, volunteers working for Korean Red Cross which represents a domestic nonprofit organization were mostly examined. Volunteers, whose career ranged from less than 1 year to more than 10 years, responded to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55.9% of respondents regularly donated Korean Red Cross but 44.1% did not contribute. 69.7% of respondents were small donors who regularly donated less than 30,000 won. It was found that the most big reason not to regularly donate was ‘financial status’ (42.4%). Another reasons were that ‘the trust issue on transparency of managing accounting’ (19.8%) and ‘Korean Red Cross operated by the budget from the government’ (15.1%). It was identified that 63.7% of respondents who did not regularly contribute Korean Red Cross did not donate other nonprofit organizations, too. Donating other nonprofit organizations seemed not to be an alternative activity of regularly donating Korean Red Cross. Therefore, as a strategy to invigorate regular donation to Korean Red Cross, rather than emphasis on differently operating Korean Red Cross from other nonprofit organizations, endeavors such as presenting accurate information on not only the activities of Korean Red Cross but also the management of regular donation, and conducting public relation internally and externally are necessary in multiple angles. Results from factor analysis indicated that items related to the perception of Korean Red Cross were composed of 4 sub-categories, ‘perception of the nonprofit organization’, ‘satisfaction of the management of regular donation’, ‘perception of the need of regular donation’, and ‘efficacy through donating’. In order to verify relations between factors through respondents’ response, multiple regression with ‘satisfaction of the management of regular donation’ as a dependent variable was performed. As a result, statistically, ‘satisfaction with the management of regular donation’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other 3 variables (F=74.710***). Accordingly, efforts to raise the awareness of the organization, promote the perception of the need of regular donation, and create a proper rewarding system through contributing are most important so as to height donators’ satisfaction as for regular donation. Meanwhile, this study was limited to respondents who were volunteers working for Korean Red Cros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ek methods to exhort citizens’ donation by further studies on citizens’ donation.

      • KCI등재

        자원봉사자의 자아실현자원봉사활동에 대한 참여동기,봉사만족도의 영향력에 관한 연구

        이애련 ( Ae Lyeon Lee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6 유라시아연구 Vol.13 No.2

        자원봉사활동은 우리 사회가 복지사회를 지향하면서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참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이에 시민의 참여활동을 새롭게 인식하면서 봉사활동 참여와 함께 이를 통해 욕구를 실현하려는 인식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성남시 자원봉사센터의 자원봉사자 394명을 중심으로 자아실현자원봉사활동에 관련변인들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였다. 참여동기, 봉사만족도, 자아실현봉사활동이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라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t-test, ANOVA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원봉사자의 자아실현자원봉사활동은 인구학적 요인(성별, 연령, 소득수준, 종교, 봉사횟수)과 사회학적 요인(생활활용, 참여적극성, 참여보람)이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학적인 요인에 있어 여성은 동료와의 관계, 참여동기가 높은 것으로 봉사의 보람과 함께 봉사하는 동료들과 서로 인정하고 격려하며 원만한 인간관계를 통하여 참여동기를 느끼는 것이 남성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에 있어 관심지지도는 50대가 높으며, 나이가 많을수록 원만한 인간관계를 가지며 자아실현자원봉사활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은퇴 후의 생활에 있어 삶에 대한 욕구 및 자아실현을 봉사활동을 통해 하려는 것과 연관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자원봉사횟수는 주 4회이상으로 봉사시간이 많아질수록 가족이나 주위사람들의 관심지지도가 높고, 동료와의 관계가 좋아지며 봉사지속의지가 높아 봉사를 통해 욕구충족과 함께 생활만족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봉사횟수가 많아짐에 따라 자신을 유용한 존재라고 느끼고 삶에 의미를 부여하면서 자아실현자원봉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학적인 요인에 있어 봉사활동을 자신의 일상생활에 활용하고, 적극적으로 활동에 참여하며, 봉사활동을 통해 보람을 느끼는 것이 주의사람이나 가족으로 부터 받는 관심지지도, 봉사활동을 통해서 만나는 담당자와의 관계, 동료와의 관계, 봉사활동을 하면서 느끼는 봉사업무흥미도, 봉사를 지속하겠다는 지속의지, 봉사에 참여하게 되는 참여동기, 봉사를 통해서 느끼는 만족도, 자아실현봉사활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참여동기, 봉사만족도, 자아실현자원봉사활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1단계에서는 연령이 많을수록, 봉사횟수가 주 1회이상 일수록, 생활활용이 높을수록 자아실현자원봉사활동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단계는 관심지지도가 많을수록, 담당자와의 관계가 좋을수록 자아실현자원봉사활동 정도가 높으며. 3단계에서는 생활활용이 많을수록, 가족이나 주위사람들의 관심지지도가 높을수록, 자원봉사활동에 참여동기가 높을수록 자아실현봉사활동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앞으로 자원봉사활동은 자신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 사람을 도와주면서 신체적, 정신적, 감정적으로 건강한 삶을 바탕으로 보람있는 삶을 체험하는 생활의 질적인 측면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 또한 봉사활동에 참여하는 동기가 높아 봉사활동을 지속적으로 할 수 있으며, 가족이나 주위사람으로 부터 관심을 받아 봉사활동의 효과가 극대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봉사활동을 통해서 자신이 가지고 있는 잠재능력을 개발하고 활용할 수 있으며 자아실현을 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과 함께 체계적인 자원봉사 네트워크 구축이 마련되어야 한다. This study is self-realization of around 394 people to volunteer Volunteer Center Volunteer activities related variables were analyzed the affected on.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volunteer satisfaction, self-realization volunteering was conducted t- test, ANOVA analysis to determine the effect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variables. Volunteers self-realization of the volunteer demographic factors (gender, age, income, religion, and service number) and sociological factors (living utilization and participation activeness, participation and rewarding)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this. As in demographic factors, women are highly relevant, Motivation with colleagues than men, women are to be higher than men recognized each other fellow to serve with rewarding volunteer and encouragement and to feel Motivation through harmonious relationship appear. Age approval rating is high interest in exchange for 50, it showed that age has a more harmonious relationship the higher the self-realization volunteering. It is related that in life after retirement to self-realization through volunteering the desire for life. Service number was found weeks more the service time increased by four times or more the higher the approval rating interested people family and around good relationships with fellow increased, service continued willingness, through service to increase life satisfaction with the desire to meet. Also it showed their presence felt as useful, depending on the number of service increased, giving meaning to the life of a volunteer self-realization. In the sociological factors utilized to volunteer in life, and actively participate in volunteer activities, approval ratings to interested feel rewarded through volunteering, relationships with staff, relationship, serving business interests and associates, serve sustainable commitment, showed that high volunteer participation motivation, service satisfaction, self-realization. A regression analysis to determine the impact on Motivation, service satisfaction, self-realization volunteering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conducted. The more one stage, age, number of times the service the more per week, higher living utilization showed a high degree of self-realization volunteering. The second phase is more interested in approval ratings, The better the relationship with the team showed a high degree of self-realization volunteering. In Step 3, the more lives leverage, the higher the approval rating of interested families and the people around, the higher the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volunteer service activities showed a high degree of self-realization. Therefore, future volunteer activities while helping those who need their help should focus on the qualitative aspects of life to experience the rewarding life based on the physical, mental and emotionally healthy life. Also must be able to continuously increase the motivation to volunteer to participate in volunteer activities, they receive the attention from family and people around should be made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volunteer activities. Through the development of service activities and the potential that they have to be prepared to take advantage and build systematic volunteer network with a variety of programs that can self-realization.

      • 한국 자원봉사센터 운영체계 분석 및 활성화에 관한 연구

        김창래 한국사회적질학회 2018 사회적질연구 Vol.2 No.1

        이 연구에서는 자원봉사센터의 지원체계와 운영체계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다각도로 분석하고 자원봉사 센터의 전문성 확보 및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자원봉사관리에 대한 운영 실태를 분석했을 때 현재 한국의 자원봉사센터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먼저 자원봉사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결여되어 있을 뿐 아니라 자원봉사단체간 의 협력적인 네트워크가 제대로 형성되어 있지 않아 관리의 효율성을 저하시키고 있다. 또한 자원봉사관리자의 전문성이 부족하고, 자원봉사관리자에 대한 교육과정이 미비하며 자원봉사단체에 대한 정부의 지원도 매우 열약한 실정이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자원봉사 관련 조례제정과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각 부처별 자원봉사센터가 효율적으로 운영되어야 한다. 셋째, 자원봉사 관리자의 전문성 강화가 필요하다. 넷째, 자원봉사자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어야 한다. 다섯째, 프로그램 개발 기능 및 수요처 개발을 강화하고 센터와 지역사회의 관계 증진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안정적인 예산확충과 자원봉사 전담인력 확보가 절실히 필요하다. 따라서 자원봉사센터 활성화를 위해서는 공공부문에서는 과감한 재정 및 제도적 뒷받침을 마련해 주어야 하며, 민간 부문에서는 자발적인 활동이 될 수 있도록 자율성을 최대한 보장해 주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blems of the volunteer center 's support system and operating system, When analyzing the operational status of volunteer management, the problems of the current volunteer center in Korea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lack of systematic management of volunteer service, and the cooperative network between volunteer organizations is not formed properly, which reduces the efficiency of management. In addition, lack of expertise of volunteer managers, lack of curriculum for volunteer managers, and lack of government support for volunteer organizations.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e present inventor proposes the following improvement measures. First, voluntary ordinances and institutional support are required. Second, efficient operation of volunteer centers by each ministry. Third, volunteer manager 's expertise is strengthened. Fourth is efficiency of volunteer management. Fifthly, Building a relationship between the center and the community Seventh, there is an urgent need to secure a stable budget and secure volunteer workforce. Therefore, in order to revitalize the volunteer center, the public sector should provide bold financial and institutional support, and the private sector should ensure autonomy and creativity to be voluntary activities.

      • 민관의 파트너십 강화방안 : - 자원봉사센터를 중심으로

        박태영 大邱大學校 社會科學硏究所 2008 社會科學硏究 Vol.14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 자원봉사센터 운영에 있어서 민관 파트너십의 저해요소와 강화방안을 살펴봄으로써 자원봉사센터의 제자리 매김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 자원봉사센터의 현실을 파악하였고, 민관 파트너십의 기반이 되는 민과 관의 성격과 파트너십의 개관을 살펴본 후, 민관 파트너십의 저해요소로 민관 상호간의 인식문제, 지자체 직영운영 센터의 증가, 센터운영비의 부족, 지역사회 현안에 대한 센터직원의 참여부진, 센터직원의 전문성 부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으며, 강화방안으로는 민관 상호간의 인식전환, 운영주체의 민영화, 적정 수준의 센터운영비 확보, 지역사회 각종 위원회에 센터직원의 참여 확대, 센터직원의 전문성 향상을 제시하였다. 민관 파트너십은 1970년대 석유파동 이후 세계경제의 침체로 인한 사회문제의 급증, 정부의 재정 악화, 조세부담에 대한 저항 등으로 인하여 국가차원의 복지서비스 제공이 한계에 부딪히면서 중요하게 부각되었다. 복지국가에서 복지사회로 전환하면서 가장 두드러진 현상은 바로 민관협력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정치적 민주화 이후, 민간의 지역사회 문제에 대한 관심과 역량이 커지면서부터 이와 관련된 논의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다. 물론 정부 사업의 대체․하청까지 파트너십에 넣는다면 그 출발점은 그 이전 시기로 훨씬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특히 참여정부 들어와서 민관 파트너십이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으며, 다양한 노력들의 결과로 일정부분 성과도 나타나고 있다. 최근에 토마스 베이어(Thomas Beyer)는 ‘정부혁신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신뢰성에 기반하여 민관 파트너십을 한층 강화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 바 있다(행정자치부, 2007a). 자원봉사활동과 관련한 민관 파트너십은 자원봉사활동의 대체․ 하청 차원의 영역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 구체적인 현상 가운데 하나가 자원봉사센터의 운영이다. 이 부분은 앞으로 바람직한 운영을 위하여 추진해야 할 과제가 많이 있지만, 궁극적으로는 협력관계를 강화해 나가는데 초점을 맞추어야 할 것이다. ‘자원봉사활동의 진흥을 위한 정책은 민관 협력에 기본정신을 바탕으로 하여 추진하여야 한다.’는 자원봉사활동기본법의 기본방향에서 민관 파트너십에 대한 논의가 갖는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자원봉사활동과 관련한 다양한 민관 파트너십 영역이 있겠지만, 본 자료에서는 자원봉사센터 운영과 관련한 민관 파트너십으로 한정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이는 논의의 초점을 좁히므로 보다 가시적이고 현실적인 논의를 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자원봉사센터 운영에 있어서 민관 파트너십의 저해요소와 강화방안을 살펴봄으로써 자원봉사센터의 제자리 매김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자원봉사센터의 현실을 파악해 보고, 민관 파트너십의 기반이 되는 민과 관의 성격과 파트너십의 개관을 살펴본 후, 민관 파트너십의 저해요소와 강화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러한 노력은 향후 자원봉사활동의 활성화에 핵심적 역할을 감당할 자원봉사센터가 올바르게 자리매김하는데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factors hindering private-public partnership and how to strengthen the partnership in operating volunteer service centers in Korea and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stabilizing volunteer service centers. For this purpose, we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e of volunteer service centers, and then reviewed the characters of the public sector and the private sector, the two major parties of private-public partnership, and the nature of private-public partnership, and analyzed factors hindering the partnership, which were problems in the mutual perception of the private and public sectors,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centers operated directly by local self‐governing bodies, insufficient funds for center operation, center workers’ low involvement in community problems and center workers’ lack of specialty. As to how to strengthen the partnership, this study suggested the change of mutual perception of the private and public sectors, privatization of center operation, an adequate level of financing for center operation, the expansion of center workers’ participation in various community committees and improvement in center workers’ specialty.

      • KCI등재후보

        자원봉사자의 자원봉사영역 선택 행동에 관한 연구 : 사회복지영역과 비사회복지영역 자원봉사자의 비교를 중심으로

        구지윤(Ji youn Ku),유재윤(Jae youn Yoo),김계정(Kye jung Kim)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1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28 No.-

        본 연구는 자원봉사자의 자원봉사영역 선택행동을 탐색하는 연구로서 자원봉사자를 크게 세 범주(사회복지영역에만 자원봉사, 비사회복지영역에만 자원봉사, 두 영역 모두에 자원봉사)로 구분하고, 이 중 비사회복지영역에만 자원봉사 하는 집단을 준거집단으로 하여 자원봉사영역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자료는 서울시 복지재단에서 서울시민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복지패널 1차와 2차 본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자원봉사자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인구사회학적 요인, 개인 및 사회에 대한 태도관련 요인, 나눔경험 및 동기관련 요인을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분석을 위해서 다항로지스틱회귀분석모형(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model)을 사용하였다. 인구사회학적 요인에서는 연령과 종교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취업유무와 결혼유무, 소득은 제한적인 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 및 사회에 대한 태도관련 요인으로는 사회공정성 인식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사교성은 제한적인 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나눔경험 및 동기관련 요인은 사회복지영역의 봉사경험과 기부경험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비사회복지영역의 봉사경험과 기부경험은 제한적인 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원봉사동기의 경우 사회복지영역 자원봉사자가 비사회복지영역 자원봉사자에 비해 종교적 신념에 의한 봉사활동이 더 많은 것으로 연구결과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자원봉사자를 동질적 집단으로 가정한 기존 연구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보다 세분화된 자원봉사자 집단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는데 기여하는 의미를 지닌다. 또한 자원봉사영역 선택에 대한 새로운 지식기반 구축과 자원봉사 관련 연구들에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한다는 측면에서 의의를 갖는 연구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choice behavior of Korean citizens on volunteering target areas. In order to understand such behaviors, this study classifies volunteering areas into three categories (only social welfare area, only non-social welfare area, comprehensive volunteering - volunteering to both areas), and analyzes the factors influencing their choice in volunteering by setting the non-social welfare area volunteering group as a reference group and comparing with it. Using the data from ‘A Seoul Welfare Panel Survey Data’ collected by Seoul Welfare Foundation and the Korea Research in 2008 2010, it examines the effects of citizens demographic factor (age, gender, education, household income, religion, marital status, and occupation), the factor of attitude towards individual and society(self-efficacy, agreeableness, social fairness, support for government responsibility in multiple social areas, the gap between the wealthy and the poor, trust toward social institutions), the factor of motivation and consideration in volunteering giving (volunteering motivation, volunteering giving experience) by employing a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model. The results show that social-fairness in the attitude factor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citizens choice behavior and agreeableness also has statistical significance at a marginal level. In the factor of motivation and consideration in volunteering giving, volunteering giving experience in social welfare area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citizens choice behavior and volunteering giving experience in non-social welfare area has statistical significance at a marginal level. Finally, in the factors of motivation, the level of religiosity in social welfare area is higher than the level of religiosity in non-social welfare. As the first study on citizens choice behavior related to volunteering areas in Korea, this study broadens and promotes the understanding on such volunteering behaviors and influential factors. Moreover, it can contribute to setting a new foundation of knowledge for further research in this topi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