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과와 귀납

        송하석 한국분석철학회 2007 철학적 분석 Vol.0 No.16

        이 논문은 두 개의 주장으로 이루어졌다. 첫 번째 주장은 귀납적 일반화를 통해서 얻어진 결론이 단순히 우연적인 것인지 법칙적인 것인지를 판단할 합리적 근거가 있는 데 그것은 관련된 한 쌍의 사실 사이의 인과관계의 유무라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한 쌍의 사실이 상례적으로 발생할 때, 그러한 상례성을 설명할 만한 가설이 있다고 추론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것이고, 계속해서 그 추론은 그 사실 쌍 사이의 인과관계에 의해서 정당화된다고 주장한다. 결국 귀납에 대한 흄주의자들의 회의론적 해석에 반대하면서 귀납적 일반화의 추론이 합리적으로 설명될 수 있는 근거가 있음을 논증한다. 이 논문의 두 번째 주장은 귀납적 일반화 논증의 결론을 정당화해주는 관련된 사실쌍의 인과관계는 다시 자연종에 대한 실재론적 입장을 취함으로써 정당화될 수 있다는 것이다. 자연종의 실재론적 입장에 따르면, 하나의 자연종에 속하는 대상은 모두 항상적 속성을 정의적 속성으로 갖는다. 그리고 바로 그러한 자연종의 항상적 속성이 그 종에 속하는 대상이 보이는 상례적 행태의 원인인 것이다.

      • KCI등재후보

        쌍둥이 지구의'생명'은 생명인가? : 생명의 조건과 우주생물학이라는 열린 선택지(open texture)

        전현우(Jeon Hyeon woo)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원 2014 생명연구 Vol.33 No.-

        This study examines some discussions on a criterion that astrobiology uses in determining whether some evidences detected in extraterrestrial environment is the evidence of life or not, and also examines critically our conceptual scheme on life. On the Earth, the boundary between living things and non-living things is generally evident, so the question, "What is Life?" is not a central theme of biology on terrestrial life. However, in extraterrestrial environment, this question is critical. Putnam's thought experiment, which is called "Twin Earth" is a model for that environment. Evidences detected by space probes or by meteorites, show the cases of "Twin Earth". Those evidences share themselves with some important properties of terrestrial life, but they do not share themselves with other important properties. So, the question whether these cases can be qualified for life or not, does not have a clear solution. In order to cope with this question, NASA suggests a criterion of life: a "self-sustaining chemical system capable of Darwinian evolution." This criterion is more relevant than any other suggested criteria, because in the explication of specificity of biological phenomena, the explication of some kinds of a goal-oriented behavior is the most important task. And this criterion includes an important suggestion of an empirical research programmes of astrobiology. This arguments depend on some theories, so this study needs more philosophical reflection, This study answers two philosophical questions: First, life is a type of the scattered in the space, so an ontological model of a relation of identity between extraterrestrial and terrestrial life, is a homeostatic property cluster(HPC) kinds by Richard Boyd, especially type-HPC. Second, NASA's criterion on life is dependent on natural history and biochemistry. These sciences cannot provide the ontological structure of reality free from all kinds of perspectives, but can provide the ontological structure of reality free from an agent. 이 글의 목적은 우주생물학(astrobiology)이 어떤 낯선 외계 환경에서 생명을 판정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여러 논의들을 평가하고, 이 평가를 통해 우리가 생명에 대해 가지고 있는 여러 개념적 틀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데 있다. 무엇이 생명이냐는 문제는 지구 생명체를 연구하는 통상적인 맥락에서는 절실한 탐구의 대상이 아니었으나, 우주생물학은 그런 통상적인 맥락과 거리가 먼 상황을 다루기 때문에 이 문제는 매우 중요하다. 이 문제가 어떤 방식으로 중요한 문제로 격상되는지를 퍼트넘의 "쌍둥이 지구(twin earth)" 사고실험이라는 모형을 통해 보일 수 있다. 탐사선이 수집한 증거, 또는 운석에 실려온 증거는 바로 이 쌍둥이 지구 사례를 제시한다. 이들 증거는 지구 생명체와 일정한 중요한 속성을 공유하지만 또 다른 속성은 공유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런 사례를 생명이라고 판정해야 하는지 여부는 전혀 분명하지 않다. 이런 난제에 대응하기 위해 미항공우주국(NASA)이 제안한 기준은 이렇다. "생명체는 자기 유지[self-sustaining, 항상성 유지]가 이뤄지는 화학적 체계로서, 다윈식 진화를 거친다는 특징을 지닌다." 이런 정의는 다른 종류의 정의보다 적절한데, 그 이유는 주변 환경과 생명체의 결정적인 차이라고 할 수 있는 목적 지향적 현상의 정체를 밝히는 것이 생명 현상을 해명할 때 무엇보다도 중요한 과제로 간주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기준은 우주생물학의 향후 연구에 대해 매우 중요한 제안도 담고 있었다. 이런 논의 역시 일종의 이론 위에 있다는 점에서, 생명의 기준에 대한 철학적 과업은 이런 제안으로 마무리할 수 없다. 이 글은 생명의 기준에 대해 철학적으로 논의할 여지가 있는 두 문제에 대해 다음과 같이 답한다. 첫째, 우주에 흩어져 있는 여러 유형 사이에 성립하는 동일성 관계는 자연종 이론 가운데 리처드 보이드가 제안한 항상적 속성 다발종 모형, 그 가운데서도 유형 속성 다발종 모형에 따른다. 둘째, NASA의 생명 기준이 의존하는 과학인 자연사와 생화학은 관점에서 엄격하게 독립적인 실재의 구조를 제공할 수는 없지만 행위자에게서 독립적이라는 의미에서 실재의 구조를 제시할 수는 있다.

      • KCI등재

        노인이란 무엇인가?: 인간종에 대한 탐구를 위한 시론

        최성호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21 철학사상 Vol.82 No.-

        인간종(human kinds)의 본성은 다양한 사회적, 정치적 이슈와 맟물리며 최근 학계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 필자는 인간종의 한 사례로서 노인 범주에 대한 철학적 탐구를 시도할 것이다. 필자가 노인 범주에 주목하는 이유는 그것의 단순성과 함께 노인 범주가 흑인, 백인, 동양인과 같은 인종 관련 범주나 남성, 여성과 같은 성 관련 범주와 상당한 유사성을 갖기 때문이다. 노인 범주에 관한 필자의 핵심 주장은 비록 우리가 일상 생활에서 노인 범주를 가리키기 위하여 ‘노인’이라는 단일한 용어를 사용하지만 실상 서로 상이한 성격을 갖는 두 가지의 노인 범주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그 하나는 자연종으로서의 노인 범주이고 다른 하나는 사회종, 그 중에서도 제도종으로서의 노인 범주이다. 이 두 노인 범주를 구분하며 그 둘 각각의 성격을 명확히 규명하고, 아울러 그 둘의 차이를 분명히 서술하는 것이 본 논문의 주요 목적이다. 노인 범주에 대한 본 논문의 연구는 추후 인간종 일반에 대한 철학적 탐구에 유용한 발판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We have witnessed a growing interest in the nature of human kinds among philosophers. This paper is a philosophical investigation into the category of eldlers as an example of human kind. What is special about the category of eldlers? Among other things, it is simple compared with other human categories. Further, there are a number of remarkable similarity between the category of elders and other philosophically or social-scientifically important categories such as race (white, black) and gender (man and woman). The upshot is that while we use the single term of ‘노인’ in referring to the category of elders, as a matter of fact, there are two fundamentally distinct categories of elders. One of them is a natural kind and the other is a social kind, more precisely, an institutional kind.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elucidate the natue of each of the two categories of elders and their difference. This will lay the foundation for further inquiries into other human kinds.

      • KCI등재

        논문 : 분류의 다양성과 원리: 지식의 탄생을중심으로

        이정우 ( Jeong Woo Lee ),심경호 ( Kyung Ho Sim ),이상욱 ( Sang Wook Yi ) 한국과학철학회 2014 과학철학 Vol.17 No.3

        세계 속의 대상을 인지하고 분류하는 작업은 필연적으로 그와 관련된 지식의성장과 함께 이루어진다. 우리는 이 점에 주목하여 우선 동서양의 사유에서 분류가 얼마나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져 왔는지를 서술한다. 그런 다음 이러한분류가 그저 다양하기만 한 것이 아니라 그 배후에 특정한 원리가 숨어 있으며,그 내재한 원리가 특정한 종류의 지식의 탄생과 깊은 관련을 갖는다는 점을 보이려 노력한다. 이 작업은 세 방향에서 이루어진다. 우선 2절에서는 서양 자연과학에서 분류가 어떻게 수행되었고 그것의 인식론적, 존재론적 의의가 무엇인지를 주로 ‘자연종’ 개념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해명한다. 3절에서는 서양 인간과학이 대상들을 어떻게 분류했으며, 그러한 분류에서의 존재론적 재분절화가 어떻게 새로운 인간과학을 도래하게 했는지를 분석한다. 4절에서는 조선 시대에 이루어진 분류의 작업이 어떻게 성리학적 분류 체계로부터 경험적 분류체계로 이행했는지에 대해 유서(類書)를 중심으로 논의한다. 이를 통해 우리는동서양을 막론하고 얼마나 다양한 원리들에 입각해 분류가 이루어졌는지와 그러한 분류 작업이 존재론적 전환을 통해 어떻게 새로운 지식의 탄생에 기여했는지를 탐색한다. Any classification of objects in the world is necessarily linked to thebirth of its accompanied knowledge. We investigate diverse classifyingefforts in Eastern and Western thoughts, and argue that behind theconfusing diversity of alternating classification systems, we can recognizecertain principles which guided the entire classification efforts. We alsotry to show that the principles are closely related to the birth ofspecific kinds of knowledge. In order to achieve this, we look at threeareas of knowledge: current natural sciences, western human sciencesand Korean Confucianism in Chosun period. First, we examine whether‘natural kinds’ concept is adequate to explain the practice of currentnatural scientific research. Second, we analyze how western hujmanscience had been established through ‘ontological re-articulation’ of itsobjects. Lastly, we discuss how the transition from Sung Confucianisticclassification to ‘empirical’ classification was achieved in the taxonomictexts of Chosun period. We endeavored to illustrate how some guidingideas or principles had shaped the resulting classification systems ineach case.

      • KCI등재

        울분 감정에 대한 분석적 고찰

        김병재 ( Kim Byoung-jae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22 감성연구 Vol.- No.24

        본 논문은 다양한 최신 감정이론들의 관점에서 울분 감정의 본성을 분석하고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근래에 린든이 “외상후 울분장애(PTED)”라는 정신장애 진단개념을 고안한 이후, 국내외 연구자들은 이 개념을 정신병리학적 차원에서 사회의 다양한 현상들을 진단하고 분석하는 지표로 활용해오고 있다. 그러나 외상후 울분장애의 핵심을 이루는 울분(Embitterment) 감정 그 자체에 대한 철학적 고찰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채, 사회과학의 여러 분야에서 실증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은 울분 감정 자체에 대한 지금까지의 유일한 이론적 분석이라 할 수 있는 즈노이의 논의를 소개하고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즈노이는 울분 감정을 인간이면 누구나 경험할 수 있는 일종의 정상감정이자 복합감정으로 보고, 플럿칙의 “기본감정 이론(Basic Emotion Theory)”과 라자루스의 “가늠이론(Appraisal Theory)”에 근거하여 울분 감정을 분석한다. 본 논문에서 필자는 즈노이가 받아들이고 있는 이 플럿칙의 기본감정 이론과 라자루스의 가늠이론이 그리피스의 자연종 논쟁과 베럿의 심리적 구성주의에 의해 어떤 식으로 비판을 받고 있는지를 살펴본 후, 울분 감정을 이해하기 위한 새로운 이론적 접근법으로 “신기본감정 이론(New Basic Emotion Theory)”을 도입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improve our understanding of embitterment. Since Linden first coined the term, “post-traumatic embitterment disorder (PTED)”, which is characterised as a kind of psychological disorder, many scholars from various areas in social science have used the concept as a tool to analyse social phenomena. However, our understanding of embitterment, which is the core emotion of PTED, is still poor since there have not been many attempts to ground it theoretically. Znoj’s work is the only meaningful attempt to ground the emotion of embitterment. He understands embitterment both as a complex emotion following Plutchik’s basic emotion theory and as a normal adopting Lazarus’s appraisal theory. This paper argues that since the idea that emotion is a natural kind, which is shared by both Plutchik’s basic emotion theory and Lazarus’ appraisal theory, has been defeated by both Griffiths’s and Barrett’s criticism, Znoj’s understanding of embitterment is groundless. Furthermore, this paper proposes that the New Basic Emotion Theory can be a good alternative to ground the emotion of embitterment.

      • KCI등재

        논문 : 과학적 실재론과 사회종 -국가정체성의 과학철학적 해석-

        김유신,김유경 한국과학철학회 2013 과학철학 Vol.16 No.1

        SSK국가브랜드 연구에서 국가란 사회종이다. 이 사회종의 정체성과 지시 문제는 과학철학과 사회과학철학에서 중요한 연구 주제다. 이 논문에서 수행한 연구는 철학적 연구로 국가 브랜드의 토대를 다루고, 자연종 개념을 사회종으로 확장하여 실재론적으로 해석할 수 있다는 것을 보이려 한다. 이러한 해석에 있어 보이드의 항상적 속성다발 지시이론을 이용할 것이며, 그러할 경우 발생하는 문제 또는 비판 가능한 문제들을 제시하여 그것들에 대한 답변을 통해 사회종의 실재론적 해석을 옹호하고자 한다. 그리고 국가정체성이란 개념을 충분히 실재론적으로 논의 할 수 있음을 드러내려 한다.

      • KCI등재

        피해자다움을 위한 또 하나의 변론: 자연종, 개념 공학, 피해자다움

        최성호 ( Choi Sungho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서울대학교 法學 Vol.62 No.2

        It is well-known that legal cases involving sex crimes have surged in the Korean society lately. That is probably because the Koreans now have more enhanced consciousness about human rights and gender equality than before. But legal cases involving sex crimes are distinctive in that since they are generally committed in a very private space, there is no hard evidence for determining what really happened between the plaintiff and defender at the time concerned. The utmost value to be upheld by all judiciary branches is unquestionably that the final decision must be made on the basis of truth, or at least, perceived truth. So I believe that the biggest challenge facing the Korean judiciary branch is to give a clear guidance as to how to handle cases involving sex crimes in a just and fair manner. In this regard, I elsewhere proposed that the concept of [피해자다움], when carefully articulated and understood, can play an instrumental role in meeting the challenge. Since the proposal was published, however, some objections and criticisms have been raised. This paper aims to prove them wrong.

      • KCI등재

        인사조직 분야의 존재론적 기반

        배종석(ohngseok Bae) 한국인사조직학회 2016 인사조직연구 Vol.24 No.4

        경영학이 경제학과 구분되지 못하고 기업이 시장과 구별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 인사조직 분야의 연구와 실천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 이런 문제인식에서 출발하여 인사조직 분야의 존재론적 기반에 대한 논의를 하는 것이 본 논문의 기본적인 목적이다. 즉 인사조직 분야가 존재론적 독특성을 가진 독립된 속성을 가지고 있다면 그것이 무엇인지에 대해 논의한다. 이 목적을 위해 철학의 존재론으로 실재의 존재양식, 존재의 계층구조 및 존재의 양상에 대해 논의를 하였다. 첫째로, 실재의 존재양식은 비판적 실재론 관점에서 경험적 실재론과 사회구성주의를 비판하였다. 그리고 실재의 존재양식 으로 물질적, 인공적, 관념적 실체와는 구분된 사회적 실체 관점을 취하였다. 둘째, 존재의 계층구조에서는 창발성의 개념을 기반으로 개체와 전체의 관계를 다루었다. 셋째, 존재의 양상에서는 사람의 삶에 드러나는 15가지의 양상들을 소개하고, 일부 양상만 다룰 때 환원주의의 오류를 범할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다음 절에서는 이들세 가지 존재론적 차원으로 기업, 사람 및 제도에 각각 적용을 하여 존재론적 논의를 하였다. 기업, 사람 및 제도에 대해 ‘기업이란 어떤 실체인가?’, ‘기업의 사람은 누구인가?’, 그리고 ‘제도의 속성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던지고 이에 답하는 형식으로 존재론적 논의를 구성하였다. 기업의 실체와 관련해서는 특별히 기업은 자연세계에 속하는 자연종(種)이 아니라 사회세계에 속하는 사회종(種)에 해당한다는 점을 부각시켰다. 기업의 사람은 경제인(homo economicus)에 대비되는 실천인(homo practicus)으로 개념화하였다. 제도의 존재론적 특성에 대해서는 구성형태(configuration)가 단순히 제도들의 합이 아니라 그 이상의 창발적 특성이 존재함을 논의하였다. 이러한 존재론적 논의를 한 후에 인식론적 함의와 가치론적 함의를 도출하여 향후에 존재론과 함께 인사조직 분야에서 더 연구되어야 하는 과제를 제시하였다. The basic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the ontological foundations of the management field. In particular, we start from a question about the possibility of the management field as an independent unique field. If the field of management has unique ontological features, what are they? For this purpose, we first explain ontological topics: (1) modes of reality; (2) the hierarchy of being; and (3) modes of being. First, with regard to modes of reality, we take socially real entities, instead of materially real, artefactually real, or ideally real entities, as an adequate mode for the conceptualization of the firm. This approach is based on critical realism, which refutes the empirical realist ontology and the social constructionist ontology. Second, regarding the hierarchy of being, we utilize the concept of emergence to explain the chain of being. Finally, with reference to modes of being, we explain varieties of modes of being. All the aspects need to be fully revealed not to fall into reductionism. We apply these three ontological topics to the firm, human being, and management practice. For this, we ask three questions: (1) What kind of entity is the firm? (2) Who are the people in the firms? and (3) What are the ontological features of management practices? First, regarding the ontological foundations of the management field, we utilize institutional pluralism and the autonomy of the spheres to discuss the differentiated sphere of the firm. We argue that the sphere of the firm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market. With regard to the entity of the firm, we conceptualize firms as the social kinds belonging to the social world rather than as the natural kinds belonging to the natural world. In the case of people who are working in the firm, we conceptualize them as homo practicus instead of homo economicus. For the management practices, we use the concept of emergence to explain the features of configuration, which allows emerging properties of the higher level comprehensive entities. Based on these ontological arguments, we argue that the field of management can be perceived as an independent unique field; hence, we should therefore identify the basic entities of the management field such as firms, people, and practices with their unique natures and treat them with adequate views and attitudes. Finally, we derive some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from both epistemological and axiological arguments.

      • KCI등재

        존엄성 개념의 명료화를 통한트랜스휴머니즘의 비판적 고찰

        정연재 ( Yeon Jae Jeong ) 한국윤리학회 2015 倫理硏究 Vol.105 No.1

        This article aims to critically assess the ethics of enhancement raised by transhumanism by attempting conceptual clarification of Dignity. The debate about human enhancement has produced a new context of conceptual use of dignity. Transhumanism deny a fixed, intrinsic dimension to human dignity. In this paper, I will show that the concept of dignity classified into inherent dignity and attributed dignity and that the attributed aspect of dignity presuppose the intrinsic aspect of dignity. Then, I calls in question the legitimacy of transhumanist`s claim that the use of emerging technologies will enhance human dignity. This study is organized as follows. The first section clarifies the concept of dignity in the context of value theory. Intrinsic dignity refer to the special type of intrinsic value that belongs to the natural kinds that have the capacities for language, rationality, free will, moral agency etc. Intrinsic dignity is the value that human beings have simply by virtue of the fact that they are human. Attributted dignity refer to the non-instumental value that are attributed to members of any natural kind that has intrinsic Dignity. Attributed dignity is a created value. As Sulmasy argued, the intrinsic sense of dignity is prior to the attributed senses in terms of logical and moral aspects. The second section summarize an critical assessment of transhumanism by grounding this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and attributed dignity. Bostrom argues that transcending of human nature will enhance human dignity because human nature is improvable and that human(intrinsic) and posthuman(attributed)dignity as compatible and complementary. However, there is a remarkable difference between human dignity and posthuman dignity in relation to the moral status of human beings. Especially, the use of technology to enhance human dignity removes the uniqueness of human beings based upon intrinsic dignity. The conclusion can be briefly stated as follows. In order to search for the equilibrium(balancing) point between dignity and enhancement, the recognition of the intrinsic, intersubjective value of human dignity is important.

      • KCI우수등재

        지칭의 자연화

        정대현(Daihyun Chung) 한국철학회 2014 哲學 Vol.0 No.120

        물리주의가 포괄적 존재론이 되기에는 한계에 부딪히면서, 대안적 존재론의 탐구가 불가피하게 되었다. 그 대안 중의 하나로 음양론을 들 수 있을 것이다. 물리주의가 단선적 인과론에 기반해 있다면, 음양론은 어떤 인과론을 제시할 수 있는가? 이 논문은 단선적 인과론에 기초한 인과관계의 사건이나 대상은 <수동적 사물성>을 가지며 그 지칭 개념은 <구성적>이라고 규정하여 비판한다. 음양적 존재론은 모든 대상, 사건, 속성, 성향이 원초적 지향성을 갖는다는 점에서 정보들에 대한 <능동적 처리자>라고 전제하며, 그 지칭개념은 그러한 처리자들 간의 관계에 대해 <해석적>이라고 제안한다. 소위 지칭의 자연화를 지향하는 것이다. 지칭 자연화의 논제를 위해 사태 정보성과 속성 본질성의 두 논변의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As physicalisms of various kinds have faced difficulties in recent years, the time has come to explore possible alternatives, one of which is yinyang ontology. A yinyang theorist is expected to provide a plausible account of causation to replace the traditional notion of causation. The present paper is critical of the Humean legacy by saying that Hume"s followers take the relata of causal relations to consist of merely passive materiality so that humans use referential terms to describe causal relations constructively. But an alternative notion of reference is available according to which causal relata are active processors of the information with which they interact and that humans use referential language to describe the structure in which the relata interrelate themselves so that the structure can be understood hermeneutically. Reference on this view is naturalized. In this article I advance two arguments for this thesis, one concerning the informationality of states and the other related to the essentiality of proper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