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艸丁 金相沃 時調에 나타난 自然觀

        崔興烈(Chi Heung-yeol) 한국시조학회 2009 시조학논총 Vol.30 No.-

        이 글은 艸丁의 초기 時調集인 『草笛』에서 마지막 시조집인 『느티나무의 말』에 이르기까지 일관되게 發現되는 自然觀을形式主義的 方法과構造主義的 方法을 참고로 하여 自然觀을 探索하는데 目的을 두고자 한다. 이 연구의 대상은 時調詩人의 自然을 認識하는 ,思惟體系로서 旣存의 成果들을 수용하면서 思想的 背景으로古時調에 나타나는 傳統的 自然觀의 同質性이나 類似性을 염두에 두면서 異質性도 살피려 한다, 이러한 일련의 작업 수행은 艸丁 시조의 內的 감정의 指向性을 自然의 형태를 빌어서 살펴봄으로서 傳統의 계승과 發展的 측변을 확인하는 것이 될 것이다. 따라서 艸丁 時調에 나타나는 담然觀의 考察은 나름의 의의를 지닌다할 것이다. 傳統的인 東洋의 自然觀과 맥을 같이하는 古時調에 나타나는 自然觀의 흐름과 그 전통에 주목하면서 古時調와 艸丁 시조에 나타는 自然觀을 穿鑿한 결과 古時調에서 抽出되는 自然觀은 첫째, 心性修養의 自然觀으로 16세기의 자연관은 混濁한 정치현실과 대립되는 心性修養의 자연관, 둘째, 閑居ㆍ勞動의 자연관으로 17세기에 이르면 道學的 宇宙論的인 典範性이 哀退하고 天人合一의 自然觀에서 약화되고 江湖 閑居의 감홍이나 田園生活의 具體的 노동 공간으로 시적 關心事가 나타난다. 셋째, 隱逸的 隔離 공간의 自然觀으로 19세기에 오면 중앙정치에서 소외된 士族들은 정권에 참여하려는 꿈을 접고 旣村에서 旣得權 보전에 나 힘쓰면서 勢道家門의 政局主導權을 현실로 받아들이게 된다. 넷째, 自由奔放의 自然觀으로 조선 후기로 넘어 오면서 都市 商業文明의 발달과 中間層의 社會的 浮上으로 사조의 享有層이 士大夫의 독무대에서 中問層이 새로운 시조의 享有層으로 부상하는데 歌客의 등장이다. 文化的으로 성장한 中間層 지식인들은 시조를 자신의藝術的 敎養物로서 愛好하며 創作한 그룹이다. 20세기에 이르러 초정의 시조에서 發現되는 자연관은 첫째, 傳統的인 觀念論的 自然인식으로 꽃을 빌어 思親을 연역하여 내는 데 있어 人生論的 의미는 배제되고 그 대신 客觀的 事物性으로 置換하여 間接的으로 表現하고 있다. 둘째, 抒情的 思鄕과 憧憬 의 대상이다. 초정의 抒情의 指向性과 모더니즘적 技巧가 보여 視學的 이미지로 고향의 그림이 보이고 있다. 셋째, 根源的 思親의 認識을 보인다. 넷째, 有機體的 生命性을 보인다. 다섯째, 老莊的 靜淑美를 表出하고 있다. 靜淑美의 인식 대상은 구름ㆍ달ㆍ눈ㆍ낙수ㆍ산ㆍ낙엽ㆍ숲ㆍ하늘ㆍ봄ㆍ뒷뫼ㆍ꽃ㆍ강남ㆍ강ㆍ바다ㆍ바람과 같은 原初的 自然으로서 事物化하고 이것을 다시 계절 감각으로 捕捉하는 二元的 表現 構造를 보인다. 마지막으로 自學과 觀照의 인식이 발현되는 『草笛』 제3부 「노을빛 구름」에는 文化的 ,遺物 혹은 歷史的 遺跡을 소재로 한 시조가 집중적으로 수록되어 있다. <靑磁賦>, <白磁賦>, <玉笛>, <十日面 觀音>, 〈多寶塔>, <矗石樓>, <武烈王陵>, <鮑石亭>, <財買>, <艅?山城〉등의 작품이 실려 있다. 『草笛』에서 보여준 古典的 文化遺産에 대한 깊은 自學과 觀照는 그 이후의 시조집인 『三行時六十五篇』에 이르기까지 변함없이 이어져 「항아리」, 「李朝의 흙」, 「내가 네 房에 있는가」, 「關係」, 「葡萄印影歌」, 「착한 魔法」, 「金을 넝마로 하는 術士」 등의 작품이 陶磁를 詩的 대상으로 하고 있다. 艸丁 김상옥의 시조에서 나타나는 自然觀은 自然과 順應하는 古時調의 傳統을 繼承하고 나아가 觀念論的 自然 認識이 自然 相關物을 통하여 구체화된 事物化로 나타나 表現의 間接性을 드러낸다. 이러한 표현의 複合的 中層構造는 古時調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實用論的 自然觀을 보인다. Adoration for nature constitutes one of the primary subjects that literature has tackled since the origin of human history. Nature expressed through a poet's subjective imagination is the internalized and reorganized nature. This study examines the view on nature enacted in Ch'o-Jung' s three-verse poems (sijo) in light of the traditional views on nature implicated in the ancient three-verse poems(koshijo), which is in line with the long-established Oriental view on nature. To dignitaris(sadaebu) in the Chosun Dynasty, nature appeared as the idealistic subject for moral culture (shims?ngsuyang), which also becomes the literary space where the purity and justice of the world view of Neo-Confucianism (Sungrihak) is contained in the form of the three-verse poem, the lyrical poetic space where the "I" is united with nature by way of "enjoying of wind and moon"(umpungnongw?i) and "living in quiet retirement"(yuyuchaj?k), and the object for the poetical perception of the surrounding world. Ch'o-Jung's three-verse odes are found in Reed Pipe (Ch'oj?k), Sixty Five Pieces of Three-Verse Odes (Samhaengshi-yukshipopy?nJ, Autumn Fragrance (Hyangginam?n-ga?), and The Words of Zelkova Tree (N?tinamu?i-mal), This study analyzes 212 pieces of Ch'o-Jung's three-verse poems chosen from theses books. In Ch'o-Juns's poems, the traditional view on nature expressed in the ancient three-verse poems is rendered in such a way that metaphysical understanding of nature is indirectly transmitted through the objective correlatives found nature. Nature is no longer the object of straightforward utterance, but transformed, displaced, and removed: that way, nature gets objectified to form a complicated and multi-layered structure. In conclusion, the view on nature manifested in Ch'o-Jung's three-verse poems is based on traditional metaphysics. Second, nature is the object of lyrical nostalgia and adoration. Third, nature is imbued with the fundamental affection for parents. Fourth, nature is associated with organic life. Fifth, the nature in Ch'o-Jung's poems reveals the beauty of stillness endorsed in Lao-tee's and Chung-tze's philosophy. And last, nature is the agent for self-realization and meditation.

      • KCI등재

        초・중등학교 학생과 교사의 자연관 분석 및 과학교육에 주는 함의 : 한국의 전통적 자연관을 중심으로

        이유미,오준영,손연아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19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12 No.3

        In this study, it was analyzed first the views of nature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using the analysis framework of the views of nature that reflects the results of the literature analysis on the traditional views of nature that Koreans traditionally have. Next, it was analyzed characteristics of the views of nature which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Finally, it was discussed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of analysis of students' and teachers' views on science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For this purpose, the framework for analysis the views of nature was reconstructed by combin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s traditional views of nature (Lee & Son, 2017) with the framework developed by Cobern and his colleagues (Cobern, Gibson, & Underwood, 1995). And in order to analyze in depth how students and teachers perceive nature, each question was asked to write a reason why they thought about their responses. According to the study, students and teachers respected nature and viewed it as a living creature, and had the view that nature was cyclical and that humans and nature interacted with each other. And they also had a traditional Korean view of nature that they consider naturalness important and nature is beautiful. It can be said that this is different from the view of Western modern science which perceives the world as a material and see nature with the view of linear time. Therefore, Korea's traditional views of natures, which students and teachers have, can be a conflict with the view of modern science in science class. Therefore, the science teaching strategy for students and teachers with different natural views will require consideration of the individual's understanding of nature and lesson strategies related to it. And it is also necessary that science textbook and science class cultures need to actively interact with teachers and students, and between students to share and understand each other's view of nature, and create a science class culture that considers the values students have and views on nature.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이 전통적으로 가지고 있는자연관을 반영한 자연관 분석틀을 활용하여 초·중등학교 학생과 교사의 자연관을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학생과 교사의 자연관 분석 결과가 초·중등학교 과학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본 연구에서는 Cobern과 그의 동료들이 개발한 자연관분석틀에 한국인의 전통적인 자연관의 특징을 접목하여 자연관 분석틀을 재구성하여 활용하였다. 그리고학생과 교사가 자연에 대하여 어떤 관점으로 인식하고있는지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각 문항마다 자신의 응답에 대하여 그렇게 생각한 까닭을 쓰게 하여정성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학생과 교사들은자연을 존중하고 살아있는 생명체로 보며 자연은 순환적인 것이고 인간과 자연이 상호작용한다는 관점을 지니고 있었으며, 자연스러움을 중시하고 자연을 아름답다고 생각하는 한국인의 전통적인 자연관을 가지고 있었다. 이는 세계를 물질로 보며, 직선적인 시간관으로자연을 보는 서양 과학에서 중심이 되는 자연관과는다소 차이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학생과 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한국의 전통적인 자연관은 학교 과학수업에서 주로 다루는 서양의 과학관과 충돌할 수도있다. 그러므로 서로 다른 자연관을 가지고 있는 학생과 교사들을 위한 과학교수학습 전략에는 개인의 자연관에 대한 이해와 이와 관련된 수업전략에 관한 고민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더불어 앞으로 과학 교과서 및 과학수업에서 교사와 학생, 학생과 학생 사이의상호작용을 더욱 활발히 하여 서로의 자연관을 공유하고 이해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며,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자연을 바라보는 관점과 밀접한 과학수업 문화를좀 더 유연하게 조성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戰國時代 楚地域의 宇宙自然觀에 대한 一考察

        박봉주(朴俸住)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04 역사문화연구 Vol.21 No.-

        本稿는 『郭店楚簡』과 長沙 子彈庫 楚帛書 및 각종 楚文化 관련 문헌과 출토 文物 등에 반영된 戰國時代 楚地域의 독특한 宇宙觀과 自然觀 및 원시 토속 신앙의 원형과 특성을 규명해 보려는 목적에서 작성되었다. 우선 『郭店楚簡』 「太一生水」편에서는 ‘太一’과 ‘水’의 2대 근원으로부터 天·地→神·明→陰·陽→四時(春夏·秋冬)→?氣·熱氣→濕氣·燥氣→歲功→(萬物) 등이 누층적으로 化生·化成되는 과정을 아래 도표와 같이 정리하고 있다. 이 경우 각 단계의 선행자와 후행자들은 ‘復輔’≒‘返輔’와 ‘相輔’라는 새로운 운행 원리를 통해 化生·化成하게 되는데, ‘復輔’≒‘返輔’는 선후 요소 간의 유기적 순환과 雙方共生的·수평적인 往來 운행을, ‘相輔’는 각 단계의 2元 요소들(天·地, 神·明,陰·陽, 春夏·秋冬, ?·熱, 濕·燥) 간의 대칭성과 상호 협동성을 상징한다. 이같은 宇宙自然의 형성 구조는 남방 초문화권에서 통행된 듯한 雙方共生的, 유기체적 우주론의 新型을 제시한 것으로서, 기존 문헌에 보이는 創造 대 被造, 生産 대 派生의 일방적, 단선적 우주자연관과는 확연히 구별된다. 이와 함께 歲功의 완성을 宇宙自然 운행의 궁극적 목표로 설정하는 한편, 天道·天理와 人事·人間 간의 일치와 조화를 특별히 중시하였는데, 이 역시 楚지역에서 성행한 남방 계열 道家의 人事 중심적, 人本的 宇宙自然觀의 특징을 뚜렷하게 반영하는 듯하다 . 楚지역의 인본적·유기체적 宇宙自然觀은 상고 이래로 남방에서 발전·유행한 水本源論, 水生論, 尙水論의 철학 및 남방 계열의 원시신화와 天文·陰陽數術學 등이 복합적으로 결합되어 형성된 것이다. 우선 宇宙의 2元 중 하나이자 초월적 섭리를 뜻하는 ‘太一’은 남방 지역의 至上神인 ‘太一’ 신앙으로부터 파생된 것이고, 또다른 2元이자 보다 직접적·구체적인 만물의 모체인 물은 동방 沿海 지역과 남방 長江 일대에서 성행한 ‘水의 哲學’으로부터 탄생된 것이다. 여기에 楚族·楚國의 祖上神 겸 火神인 炎帝, 祝融, 火正과 楚帛書에 표현된 12神에 대한 숭배 관념도 宇宙自然觀과 天道觀에 투영되어, 水(氣)와 火(氣)를 우주 창조의 배필로 여기고, 天道의 운행을 의인화해서 인식하며, 자연계의 12월의 순환에 의거해 天道와 人事의 조화를 중시하는 사고 방식을 형성시켰다. 이상과 같이 太一과 水, 火의 근원적 성격을 강조한 남방 楚지역의 우주자연관과 천도관이 후대에 中原 지역에서 파생된 黃帝 신앙과 土에 대한 숭배 및 동방의 齊魯 지역에서 성행한 土, (精)氣를 중시하는 관념 등과 어떤 식으로 융합되었는지 향후 추적할 필요가 있을 듯하다. 이 문제가 해명된다면 先秦~秦漢 간 諸子思想의 自然觀과 宇宙天文論 등을 보다 실증적, 유기적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在本稿中將分析『郭店楚簡』、長沙子彈庫楚帛書和其他楚係文獻及其楚系出土文物所反映的戰國時代楚地域特有的宇宙觀、自然觀和原始固有信仰之原型和本質。 首先, 『郭店楚簡』「太一生水」編記述了, 從‘太一’和‘水’兩大根源→天、地→神、明→陰、陽→四時(春夏、秋冬)→?氣、熱氣→濕氣、燥氣→歲功→(萬物)等累層地化生、化成之過程。看一看以下圖表。 每個階段的先行者與後行者, 通過‘復輔’≒‘返輔’和‘相輔’之新種運行原理, 互相化生、化成了。其中, ‘復輔’≒‘返輔’就意味着在先、後因素之間的有機性的、雙方共生性的循環和往來運行,又‘相輔’就指示着在每個階段的兩元因素≒配匹(天、地, 神、明, 陰、陽, 春夏、秋冬, ?、熱, 濕、燥)之間的對稱性和互相協和性之關係。這種宇宙自然形成之結構,代表了在南方楚文化圈裏似通行的雙方共生性的、有機性的宇宙論之新型, 因此?與其他文獻所收的創造―被造、生産―派生之一方性的, 偏向性的宇宙自然觀, 確實地區別了。 與此, 『郭店楚簡』又强調了, 以完成歲功爲宇宙自然運行之最終目的, 又特別重視天道、天理和人事之間的一致、調和之思考方式, 這亦明顯地反映了在楚地域流行的南方道家之以人事爲中心的、人本性的宇宙自然觀之特質。 楚地域特有的宇宙自然觀, 由自古以來在南方裏發展、流行的‘水本源論’、‘水生論’、‘尙水論’之哲學和南方系原始神話、天文和陰陽數術學等複合的結合而形成了。首先, 又宇宙之兩大本源又超越性的天理―‘太一’, 從對于南方至上神‘太一’的信仰派生出來了。又別的兩大本源又更直接性的、具體性的萬物之母體―‘水’, 從在東方沿海地域與南方長江流域裏盛行的‘水哲學’誕生了。加上, 崇拜又楚族、楚國之祖上神又火神之炎帝, 祝融, 火正與楚帛書之十二神的信仰, 亦浸透了楚地域的宇宙自然觀、天道觀, 因此?把‘水(氣)’與‘火(氣)’認爲創造宇宙的配匹, 以自然界的十二月之循環爲準, 重視天道和人事之際的調和。 向來應該探討, 强調了太一、水、火的根源性之南方楚地域的宇宙自然觀、天道觀, 與中原的黃帝信仰、土地崇拜, 與東方(包括齊、魯)之重視土、(精)氣的觀念, ??混融了。解決這種問題以後, 才可以實證地、有機地了解先秦~秦漢的諸子思想之自然觀、宇宙天文論。

      • KCI등재

        동아시아,서양의 자연의 의미와 자연관 비교 분석

        이유미 ( Yumi Lee ),손연아 ( Yeon A Son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6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6 No.3

        본 연구에서는 동아시아 지역과 서양의 자연의 의미와 자연에 대한 관점을 문헌분석을 통하여 비교하였다. 서양에서는 자연과 인간이 분리되어 있는 것으로 인식한다. 자연을 규칙적이고 합리적인 것으로 바라보며, 입자론, 기계론적 관점을 취한다. 반면, 동아시아에서는 자연과 인간이 상호작용하며 타협적 관용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생각 한다. 자연을 계속 변화하는 존재로 인식하기 때문에 파동론적 입장을 취한다. 서양 자연관의 특징은 자연을 규칙성을 지닌 존재로 보고, 인간 중심의 입장에서 자연을 바라본다는 것이다. 그리고 사물의 구성 요소가 되는 원자나 입자들 사이의 관계를 규명하고 인과율적인 법칙을 찾아 자연의 규칙을 밝혀내어 자연을 설명하고자 한다. 동아시아 자연관의 첫 번째 특징은 논리적이고 비타협적인 서양의 자연관과 달리, 서정적인 자연관을 갖고 있다는 점이다. 천지와 만물, 인간이 서로 조화롭게 연관되어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다는 유기체적 자연관은 동아시아 철학의 기본이 되는 음양이원론과 오행설의 바탕이 된다. 그리고 또 하나의 특징은 직관적 자연중심 사상이다. 동아시아는 天 중심사상을 갖고 있다. 하늘 아래에서 인간은 차별이 없다. 서양의 과학정신이 매우 엄밀하고 비타협적인데 비하여 동아시아 지역은 관용적이어서, 모든 것을 등가치적으로 다루는 타협적인 관용성이 사고의 패턴을 이루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과학 지식과 개념은 개인의 자연관에 따라 다르게 받아들여진다. 한국의 학교 과학교육에서는 현대 서양과학의 자연관을 따르고 있으며, 자연관에 대한 인지유형에 대한 고려를 충분히 하지 못한 채 과학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 서, 동·서양의 자연과 자연관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학교 과학교육에 접목하여 학생들이 갖는 다양한 문화와 과학에 대한 생각을 함께 나눌 수 있도록 해 주어야 한다. In this study, the views and the meaning of nature between the Western world and East Asia were compared through literature analysis. In the West, it is recognized that nature and human beings are separate. Nature is understood as regular and rational. They, therefore, take the view of particle and mechanical theory. In East Asia, it is thought that nature and humans interact with each other, and take an attitude of compromise and tolerance. Since nature is recognized as an ever-changing being, they, therefore, take the position of wave theory. Scientific knowledge and concepts are accepted depending on the personal view of nature. In Korea, science education follows the view of modern western science without considering the personal pattern of cognition, though students can have various views of nature. The attitude is needed regarding the various viewpoints as rich resources in science and science education.

      • KCI등재

        데카르트(Rene Descartes)의 자연관: 그 형성배경과 공과 그리고 그 대안

        김일방 ( Kim Il-bang ) 한국환경철학회 2017 환경철학 Vol.0 No.23

        데카르트는 기계론적 자연관의 소유자이다. 기계론적 자연관은 자연을 수량화 가능한 대상, 결정론적 인과율에 따르는 대상으로 인식한다. 그리고 기계론적 자연관은 인간이 기계를 관리, 지배, 제어할 수 있듯이 자연도 지배, 관리, 제어 가능하다고 본다. 이 자연관은 근대화 이전의 사회를 근대화하는 데 긍정적으로 기여를 해왔다. 자연은 수량화될 수 있고 결정론적 인과율에 따라 작동한다는 인식 하에 자연을 효율적이고 생산적으로 관리·지배하는 것이 근대화과정의 특징이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오늘날 기계론적 자연관은 많은 비판을 받는다. 환경 파괴의 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그렇다면 필자는 기계론적 자연관에 대한 이러한 비판은 과연 정당한가 하는 물음을 제기하고자 한다. 이 물음에 대한 답변을 모색하기 위해 필자는 데카르트의 기계론적 자연관의 실체와 이것이 대두하게 된 배경, 이것이 우리 사회에 끼친 긍정적 효과와 그 한계를 먼저 해명하고, 기계론적 자연관의 한계를 넘어설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Rene Descartes is the owner of the mechanistic view of nature. According to the mechanistic view of nature, nature is quantifiable and subject to deterministic causality. And according to the mechanistic view of nature, human beings can manage, dominate, and control nature, just as human beings can manage, dominate, and control machines. The mechanistic view of nature has contributed positively to the modernization of pre-modern society. The reason is that efficient and productive management and domination of nature was characteristic of the modernization process under the recognition that nature can be quantified and operates according to deterministic causality. Today, however the mechanistic view of nature is highly criticized. It is because it acts as a factor of environmental destruction. I would like to raise the question whether this criticism of the mechanistic view of nature is justified. In order to find answers to this question, I first elucidate the main contents of Descartes`s mechanistic view of nature and the background in which it emerged, its positive effects on our society and its limitations. And finally, I am focusing on suggesting alternatives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mechanistic view of nature.

      • KCI등재

        Kant’s ethical theories and the dualistic concept of nature

        Lee, Young-Sook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1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48 No.-

        늘 생각하는 존재로서의 인간은 자신이 속해 있는 세상 즉 자연을 알고 싶어하는 욕구를 당연히 가지고 있다 자연이란 무엇인가 사람들은 자연을 어떻게 생각하며 살아가는가 인간이 자연과 어떻게 관계를 맺으면서 살아가고 있는가에 초점을 맞추어 생각해 볼 때 두가지의 다른 입장이 있음을 알게 된다 그 하나는 인간과 자연을 분리하여 뚜렷한 경계선을 긋는 입장이고 다른 하나는 인간을 자연의 일부로 간주하여 그러한 경계선을 긋지 않는 입장이다. 필자는 전자를 이원론적 자연관 이라 부르고 그러한 견해를 지닌 자들을 이원론자라고 칭할것이며 후자를 일원론적 자연관 이라 부르고 그러한 견해를 지닌 자들을 일원론자라고 각각 부를 것이다. 칸트는 이 두 다른 자연관중에서 어떤 입장에 서있는가 분명히 그는 이원론적 입장을 택하고 있다. 칸트는 가치면에서 볼 때 인간은 다른 자연물들보다 우월한데, 그 이유는 인간만이 이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즉 칸트는 자연에 속하는 모든 다른 존재들과는 달리 인간은 이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수단과 목적이라는 관계로서 서로 얽혀있는 자연전체의 사슬속에서 볼 때 오로지 인간만이 절대적인 가치를 갖는다는 주장을 펼친다. 혹자는 일원론자로서 혹자는 칸트처럼 이원론자로서 삶을 영위할 것이다. 그렇다면 이들의 이처럼 서로 다른 자연관은 그들의 삶에 어떻게 반영 되겠는가 어떤 실질적인 영향은 있을것인가 필자는 있다고 생각한다. 그 한 예가 각자의 도덕적 경험이다. 각 개인의 도덕적 경험과 나아가 도덕적 이론은 그가 지닌 자연관과 별개의 것이 아니라 밀접하게 영향을 입고 있다고 필자는 생각한다. 이 글에서 필자는 먼저 칸트의 도덕체계는 어떤것이며 그것은 어떻게 그의 이원론적 자연관과 관련을 맺고 있는지를 밝힐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다음의 세가지 쟁점에 초점이 맞추어질 것이다. 첫째 네본성 즉 자연을 따라 살아가라는 도덕론과 네 본성 혹은 자연을 극복하라는 도덕론중에서 칸트는 어떤 쪽을 택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그것이 어떻게 그의 이원론적 자연관과 연관 되어 있는지를 논의할 것이다. 둘째로는 덕과 행복의 연관관계에 대한 칸트의 입장을 알아보고 이러한 그의 입장이 그의 이원론적 자연관과는 또 어떻게 연관 되어있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셋째로는 도덕적판단이 보편적 정당성을 갖고 있는가 없는가에 대한 칸트의 입장을 알아보고 이것은 또한 그의 이원론적 자연관과 어떻게 연관을 맺고 있는가를 밝힐 것이다. 이러한 고찰후에 다음장에서는 그의 도덕철학이 초래하는 문제점들에 대해 논의할 것이다. 따라서 이 글은 간접적으로 이원론적 자연관에 대한 비판의 글이 되어질 것이다. As a thinking being, man has a spontaneous andpersistent desire to know the world he belongs to, i.e., Nature. What is Nature, then? How do people conceive of Nature? When we focus and reflect on how man relates himself to Nature, we see that there arise two different positions. One is to set managainst Nature or to draw a line of demarcation between man and Nature; the other is to count man as part of Nature or not to draw such a line. I shall call the former‘ the dualistic concept of Nature’ and the people who hold such a view ‘dualists.’ I shall call the latter‘ the monistic concept of Nature’ and the people who hold such a view‘ monists.’ Of these two concepts of Nature, which position does Kant take? Certainly, Kant takes a dualistic one. Kant asserts a value distinction between man and Nature and regard man as far superior to Nature because he believes in man’s distinctiveness, especially, in terms of reason. In other words, Kant emphasizes that man alone, in contrast to all other natural beings, possesses reason and that man’s existencealone can have an absolute worth in the entire chain of ends and means relationship. Now, does one’s concept of Nature influence his/her practical experience of life? I think it does. One example of it may be ethical experience. Indeed, I believe that one’s ethical theories as well as his/her ethical experience are influenced by his/her concept of Nature. I shall discuss in the first section the ethical theories Kant hold and ask how they are related to his dualistic concept of Nature. On the whole, Ishall focus on the following three issues. Firstly, I shall consider which ethical precept Kant adopts as between ‘follow your nature’ and‘ overcome your nature,’ and ask how this choice is related to his dualistic concept of Nature. Secondly, I shallexamine the view Kant takes concer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virtue and happiness, and consider its connection with his dualistic concept of Nature. Thirdly, I shall consider his position concerning the claim to universal validity of ethical judgment and show how it is related to his dualistic concept of Nature. In the next section, I will consider the problems his ethical theories entail.

      • KCI등재

        투고논문 : 고려후기 자연관(自然觀)의 변모 양상에 관한 연구

        강동석 ( Dong Seok Kang ) 한국한문교육학회 2009 한문교육논집 Vol.33 No.-

        인간의 사상과 문학은 자연과의 관계를 통한 사고의 축적에서 비롯되며 특히, 시문학은 그 발상의 원천을 자연에 두거나 자연을 소재로 시상을 전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작가의 내면을 또렷이 파악하기 위하여, 나아가 문학사에서의 자연관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살피는 것은 필요한 과제가 아닐 수 없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우선 고려후기의 대표적인 문인, 이규보, 이제현, 이색의 자연관을 살펴 그 변모 양상에 관하여 살펴본 것이다. 이규보의 경우 자연물에 대한 호기심이 왕성하여 자연에 대한 깊은 관찰과 명칭에 대한 자신의 소견을 피력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자연에 대한 아름다움을 발견하고는 이를 형상화 한 작품도 많이 발견되었다. 이는 그가 자연에 대한 애정이 얼마나 각별하였는지를 입증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이규보의 자연관에서 특히 주목되는 것은 끊임없이 조물주와 우주에 대해서 생각해보지만 결국 허상일 뿐 자신은 절로 그렇게 생겨난 것이며 본성의 순리대로 따르겠다는 것이다. 즉, 이규보의 기본적인 자연관은 인간은 자연을 반드시 순응해야만 한다는 것과 자연의 운행은 자연히 그렇게 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제현의 자연시에는 허경과 실경이 조화를 이루는 작품이 많다. 물론 이러한 현상은 대부분의 한시, 그 중에서도 자연시가 특히 그러하지만 이제현의 경우 매우 두드러지며, 그러한 작품에서 드러나는 시인의 태도가 바로 현재의 세상에 대한 비판인 동시에 이상세계로의 갈망이 형상화 된 것이라는 사실이다. 한편 그가 자연을 통해 무극(無極)을 인식한다거나 자연시를 통해 표현하고 있는 허정(虛靜)한 마음의 상태 등은 유불도의 사상적 융합, 즉 융통무애한 관점을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그의 높은 정신지향을 표현한 것에 다름 아니다. 이색의 자연관은 성리학적 색채가 매우 또렷이 나타나고 있다는 데 그 특징이 있다. 이는 시인이 자연을 통해 도덕적 덕목을 유추한다거나, 청명한 자연을 통해 자신을 수양하고 있다거나, 생명의 본질을 응시하며 물아일체의 경지를 추구했던 그의 작품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었다. 즉, 고려후기의 자연관은 자연에 대한 호기심과 완상적 태도, 심미성을 감지하며 보여 주었던 이규보의 순응적 자연관에서, 본격적인 성리학적 자연관은 아니나 그 일면이 점차 드러나고 있었던 이제현을 거쳐, 이색에 이르러서야 본격적으로 성리학적 자연관이 출현하게 된 것이다. Most of the human`s ideology and literature come from the relationships of the nature through accumulation of thoughts. Especially the theme or subject of poem is mostly based on the nature. 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people should think about how the view of nature has been changed to see what the poets want to tell in their poems. I have looked into three poets from an ancient Korean state (Goryeo); Lee Gyubo, Lee Jaehyun, Lee sak, to know the change of poets` view of the nature in this paper. In the case of Lee Gyubo, he had reflected his opinion on the natural objects based on his personal curiosity in his poems. With this reason, it is easy to see how Lee Gyubo admired the nature and his poems were influenced on it. He even wrote the poems which form the beauty of nature afterward because of his continual interests on nature. The most attractive point in his poets is that Lee Gyubo concluded his view of nature which means that he was born by the law of nature after thinking of the creator of the universe and space. Namely, we can see that Lee Gyubo had a view that the human should adapt the Nature and everything circulates naturally. Lee Jaehyun wrote the nature poems showing the harmony between scenery in real and in unreal. He had expressed the wishes to enter the ideological world and had criticized the real world at the same time, as we can see in most of the chinese poetries or natural poems. In other words, Lee Jaehyun wrote the poems showing the harmony between Confucianism, Buddism and Taoism which he was interested in, that means he had his spiritual view to show the boundlessness or deceptive appearance by nature. Lee sak specialized the view of ethics in his poems. His interest on ethics tells us that he tried to find the moral things from the nature, control himself in the nature, and pursue the origin of life and the state of the harmony between the external objects and self for his poems. In conclusion, we can get the tendency of the late of an ancient Korean state (918-1392): Goryeo, with three poets; Lee Gyubo who had the intellectual curiosity, spiritual and aesthetic attitude on the nature, Lee Jaehyun who developed the view of nature reflecting the ideal thoughts on the nature and wished the harmony between the dark reality and ideal world, Lee sak opened the door for the view of nature with the ethics.

      • KCI등재

        고려후기 자연관(自然觀)의 변모 양상에 관한 연구

        강동석 한국한문교육학회 2009 한문교육논집 Vol.33 No.-

        인간의 사상과 문학은 자연과의 관계를 통한 사고의 축적에서 비롯되며 특히, 시문학은 그 발상의 원천을 자연에 두거나 자연을 소재로 시상을 전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작가의 내면을 또렷이 파악하기 위하여, 나아가 문학사에서의 자연관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살피는 것은 필요한 과제가 아닐 수 없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우선 고려후기의 대표적인 문인, 이규보, 이제현, 이색의 자연관을 살펴 그 변모 양상에 관하여 살펴본 것이다. 이규보의 경우 자연물에 대한 호기심이 왕성하여 자연에 대한 깊은 관찰과 명칭에 대한 자신의 소견을 피력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자연에 대한 아름다움을 발견하고는 이를 형상화 한 작품도 많이 발견되었다. 이는 그가 자연에 대한 애정이 얼마나 각별하였는지를 입증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이규보의 자연관에서 특히 주목되는 것은 끊임없이 조물주와 우주에 대해서 생각해보지만 결국 허상일 뿐 자신은 절로 그렇게 생겨난 것이며 본성의 순리대로 따르겠다는 것이다. 즉, 이규보의 기본적인 자연관은 인간은 자연을 반드시 순응해야만 한다는 것과 자연의 운행은 자연히 그렇게 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제현의 자연시에는 허경과 실경이 조화를 이루는 작품이 많다. 물론 이러한 현상은 대부분의 한시, 그 중에서도 자연시가 특히 그러하지만 이제현의 경우 매우 두드러지며, 그러한 작품에서 드러나는 시인의 태도가 바로 현재의 세상에 대한 비판인 동시에 이상세계로의 갈망이 형상화 된 것이라는 사실이다. 한편 그가 자연을 통해 무극(無極)을 인식한다거나 자연시를 통해 표현하고 있는 허정(虛靜)한 마음의 상태 등은 유불도의 사상적 융합, 즉 융통무애한 관점을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그의 높은 정신지향을 표현한 것에 다름 아니다. 이색의 자연관은 성리학적 색채가 매우 또렷이 나타나고 있다는 데 그 특징이 있다. 이는 시인이 자연을 통해 도덕적 덕목을 유추한다거나, 청명한 자연을 통해 자신을 수양하고 있다거나, 생명의 본질을 응시하며 물아일체의 경지를 추구했던 그의 작품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었다. 즉, 고려후기의 자연관은 자연에 대한 호기심과 완상적 태도, 심미성을 감지하며 보여 주었던 이규보의 순응적 자연관에서, 본격적인 성리학적 자연관은 아니나 그 일면이 점차 드러나고 있었던 이제현을 거쳐, 이색에 이르러서야 본격적으로 성리학적 자연관이 출현하게 된 것이다. Most of the human’s ideology and literature come from the relationships of the nature through accumulation of thoughts. Especially the theme or subject of poem is mostly based on the nature. 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people should think about how the view of nature has been changed to see what the poets want to tell in their poems. I have looked into three poets from an ancient Korean state (Goryeo); Lee Gyubo, Lee Jaehyun, Lee sak, to know the change of poets’ view of the nature in this paper. In the case of Lee Gyubo, he had reflected his opinion on the natural objects based on his personal curiosity in his poems. With this reason, it is easy to see how Lee Gyubo admired the nature and his poems were influenced on it. He even wrote the poems which form the beauty of nature afterward because of his continual interests on nature. The most attractive point in his poets is that Lee Gyubo concluded his view of nature which means that he was born by the law of nature after thinking of the creator of the universe and space. Namely, we can see that Lee Gyubo had a view that the human should adapt the Nature and everything circulates naturally. Lee Jaehyun wrote the nature poems showing the harmony between scenery in real and in unreal. He had expressed the wishes to enter the ideological world and had criticized the real world at the same time, as we can see in most of the chinese poetries or natural poems. In other words, Lee Jaehyun wrote the poems showing the harmony between Confucianism, Buddism and Taoism which he was interested in, that means he had his spiritual view to show the boundlessness or deceptive appearance by nature. Lee sak specialized the view of ethics in his poems. His interest on ethics tells us that he tried to find the moral things from the nature, control himself in the nature, and pursue the origin of life and the state of the harmony between the external objects and self for his poems. In conclusion, we can get the tendency of the late of an ancient Korean state (918-1392): Goryeo, with three poets; Lee Gyubo who had the intellectual curiosity, spiritual and aesthetic attitude on the nature, Lee Jaehyun who developed the view of nature reflecting the ideal thoughts on the nature and wished the harmony between the dark reality and ideal world, Lee sak opened the door for the view of nature with the ethics.

      • KCI등재

        歌曲의 自然觀

        김영욱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20 국악교육연구 Vol.1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ew of nature of gagok in the late Joseon Dynasty. Some gagok scholars claim that the beauty of gagok is based on the Oriental view of nature, but few studies on this topic are found. There must be some rationale behind this. First of all, the more one explores the view of nature in gagok, the more intrinsic issues are revealed that cannot be easily explained. In order to examine the view of nature in gagok, one must hav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music, literature, Oriental philosophy in the Joseon Dynasty. Since literature and philosophy are recorded in a written form, there is a great amount of data left. However, gagok is a temporal art form in which the music momentarily vanishes when being played, so records that convey its aesthetic intentions are rare. It would not have been easy for professional vocalists of that time, non-literati, to elaborate the aesthetics of music. Secondly, when the literati of the Joseon Dynasty unfolded poetics, they sporadically dealt with the view of nature and the Theory of Cheongi of gagok. Despite lacking the development of principles about the aesthetics of gagok since the early Joseon Dynasty, it was found that the Theory of Cheongi stood tall as a superordinate concept of the theory of gagok aesthetics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conclusion, the view of nature of gagok in the late Joseon Dynasty regarded cheongi, the operating gear of artistic creation, as a basis, thus embracing gagok in nature’s arms. It aimed at an unadulterated state of singing without outer motives and desires’ by putting the sound of humans over cheongi. Nature in this refers to a state in the sense of ‘by itself’ or ‘it is so of itself,’ which is different from its concept of western culture today. In other words, singing naturally with no worldly volition to sing well was considered the highest stage. This can be interpreted as the key reason for Korean aesthetics and cultural physiology to give great importance to the act of art creation in a natural or self-generating state. On the surface level, gagok in the late Joseon Dynasty appeared to be literati music fulfilling the theory of social orders in the ye-ak ideology of Confucian scholars. However, it was revealed that it pursuit the view of nature of Taoist philosophy at the bottom. 본 연구의 목적은 조선후기 가곡의 자연관에 대한 성격을 밝히는 것이다. 가곡 연구자들이 가곡의 아름다움이 동양의 자연관에 토대를 두고 있다는 말은 많이 하지만 막상 그와 관련한 연구논문은 거의 없었다. 여기에는 몇 가지의 이유가 있을 것이다. 첫째는 가곡의 자연관은 그것을 자세히 탐구하면 할수록 쉽게 해명할 수 없는 특별한 이슈가 드러난다는 점이다. 가곡의 자연관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먼저 조선시대의 음악, 문학, 동양철학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가 있어야만 한다. 문학과 철학은 문자로 기록되는 탓에 남아있는 자료가 많지만, 가곡은 연주하는 순간 휘발되어 사라지고 마는 시간예술이므로 미학적 소회를 담은 기록이 흔치 않다. 또 그 음악적 정취를 문인이 아닌 전문가객들이 서술하기란 쉽지도 않았을 것이다. 두 번째는 가객이 아닌 조선시대 문인들이 시론(詩論)을 전개하는 과정에서 부차적으로 가곡의 자연관과 천기론을 산발적으로 다루어 왔다는 점이다. 조선전기 이래 가곡미학에 대한 원론(原論)의 전개가 턱없이 부족한 가운데 이 천기론만이 조선후기 가곡미학이론의 상위개념으로 우뚝 자리 잡고 있음을 이 연구를 통하여 알게 되었다. 결론적으로, 조선후기 가곡의 자연관은 천기라는 예술창작의 작동기재(作動機材)를 중추로 하여 가곡을 자연의 품 안으로 포섭하고자 하는데 있다고 보았다. 가곡의 자연관은 인성(人聲)이 천기에 업혀서 ‘저절로 발화하여 노래 부르게 되는 순수한 경지’를 지향한다. 여기서 자연이란, ‘저절로’ 또는 ‘스스로 그러하다’라는 의미의 자연을 말하는 것이며, 서양의 nature의 개념인 오늘날 말하는 자연과는 다르다. 가곡의 자연관은 곧 노래를 잘 불러야겠다는 의지가 조금도 남아있지 않은 상태에서 저절로 부르는 노래야말로 최상의 경지로 보았다. 이것은 한국인의 주축적인 미학사유와 문화 생리가 자연스러움, 혹은 저절로 발화하는 상태의 예술창작행위를 매우 중시하고 있기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겠다. 조선후기의 가곡은 겉으로는 유가 예악사상의 질서관(秩序觀)을 실현하는 문인음악으로 포착되지만, 그 추구하는 바는 노장철학적 자연관이 그 기저에 있음이 밝혀진 셈이다.

      • KCI등재

        노자와 스피노자의 자연관에 기초한 환경윤리교육

        김미덕 ( Mi Duck Kim ) 한국윤리교육학회 2009 윤리교육연구 Vol.0 No.19

        현대 문명의 급격한 발전이 낳은 인간의 의식 속에는 이분법적인 사고와 자연은 인간을 위해 존재한다는 서양의 인간 중심주의적 자연관이 자리 잡고 있다. 이로 인해 오늘날의 환경 문제가 야기되었다고 보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우리의 환경윤리교육은 대안으로 동양의 자연관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동양과 서양의 자연관을 단순 비교하는 이러한 환경윤리교육은 많은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그 동안 도덕 교과에서 환경윤리 교육은 환경윤리 이론과 사상을 중심으로 가르치거나 직접 자연 속으로 들어가 체험을 함으로써 자연과 교감하게 가르치거나 하는, 양 극단의 방법이 주로 사용되었다. 그렇지만 이제는 동서양 자연관 모두를 포함한 도덕적 추론과 상상력을 함께 강조하는 통합적 접근이, 환경윤리교육에 필요하다. 노자와 스피노자는 자연을 목적론적 체계로 보는 것을 경계한다. 본 연구에서는 노자와 스피노자의 자연관을 함께 다룬 마리타 맥카티의 자연관 교육 프로그램을 살펴본다. 이 프로그램은 ``자연`` 개념과 자연에 대한 상상력을 길러준다. 그리고 도덕적 추론 능력과 도덕적 상상력의 신장을 동시에 추구하고 있으므로, 우리의 환경윤리교육에 주는 시사점이 크다고 할 수 있다. The current environmental problems and ecological crisis are not just simple issues limited to one society, but they are complicated global issues. To solve this ecological crisis, we should change the way we see nature itself and be aware of the necessity of teaching environmental ethics to our future generations Environmental ethics is the study of questions about the value between human beings and nature. By simply comparing the asian view of nature with that of western people view causes many problems. The greed western outlook on nature has destroyed nature and regarded nature as something to conquer. And it is a main cause of this environmental crisis that we face. The asian philosophy of environment and Lao-tzu`s are suggested as a solution to the environmental crisis. It also could be an alternative proposal for the change of consciousness to that matter. However, we still can find a solution to this problem in western philosophy, so it is important to figure out the similar aspects of these two different philosophies. By teaching environmental ethics in Korea, many teachers adapt the method of comparing the asian view of nature with that of the western view. Also, the textbooks for th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re dealing with environmental pollution issues for the most part. And this has been perceived negatively. There have been two extreme teaching methods, one focusing on the theories about environmental ethics and the other giving students the chances to sympathize with nature by experiencing nature itself. In moral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seek the compromise between- a theory based approach and an experiential approach. In moral education, the synthetic approach is a newly suggested approach. It is the combination of ethics education based on asian and western views on nature and teaching how to make moral deduction. This research study the philosophy of Spinoza and Lao-tzu`s. They are believed to be very helpful to overcome the environmental crisis. As a part of moral study, environmental ethics education needs more programs helping the learners develop their imaginative power and understand the concept of " nature" by using their imagination. There is one environmental ethics education program that deals with the philosophy of Spinoza and Lao-tzu`s, it is Marietta McCarty`s education of "nature" in Little Big Minds. This program helps the students understand the concept of the "nature" and develop the imaginative power about the nature. At the same time, it includes the philosophy of Spinoza and Lao-tzu`s. This research look into some of the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of Marita McCarthy`s program. There are many environmental ethics programs based on Lao-tzu`s view on nature but there are few based on Spinoza. Marietta McCarty`s program is based on the philosophy of Spinoza and Lao-tzu`s. However, the effectiveness of this teaching method and how to teach this program to the students, is not studied very much so this could be a very risky tri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