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서전의 이론과 변천 - 자서전에서 ‘자전적 소설’로

        제여매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016 獨語敎育 Vol.67 No.67

        Das Interesse an Autobiographien ist in den letzten Jahren stetig angestiegen. Viele Autoren befassen sich mit den Materialien aus ihrer Lebensgeschichte. Die Theorie der Autobiographie wird nach epochalen Bedingungen auf verschiedene Weise konzipiert. Die Confessiones des Augustinus gelten als autobiographischer Grundstein. Die deutsche Autobiographie bleibt bis zum 21. Jahrhundert mit Goethes autobiographischem Konzept verbunden, bei dem das dichterische Vermögen eine wichtige Rolle spielt. In Frankreich entwickelt sich die Autobiographie ganz anders. Etwa seit 1975 beginnen Diskussionen über dieses Thema, so dass viele neue Theorien entworfen wurden. Erwähnenswert ist vor allem Philippe Lejeunes Buch Der autobiographische Pakt, bei dem die Identität zwischen Autor, Erzähler und Protagonisten als ein wichtiger Faktor der Autobiographie festgelegt wird. Hinzu kommen Roland Barthes ‘anti-autobiographischer’ Text Über mich selbst und die sogenannte ‘autofiktion’-Theorie, bei denen die Reflexion des Schreibprozesses gekennzeichnet ist. Gattungsgschichtlich wird das 18. Jahrhundert als die Entstehungzeit der modernen Autobiographie bezeichnet. Goethes Dichtung und Wahrheit und Rousseaus Confessions zählen zu den musterhaften Autobiographien. Darin läßt sich ein spezifischer Charkaterzug der Autobiographie erkennen, an welchen das autobiographische Schreiben der Gegenwart ansetzt: die Literarisierung der Autobiographie. Die Autobiographie war im 18. Jahrhundert ein bevorzugtes Organ für die literarische Öffentlichkeit. Die autobiographische Literatur hat auch heute an Popularität kaum verloren. 2010년 데이비드 쉴즈 David Shields는 「사실에 대한 배고픔: 문학선언 Reality Hunger: Manifesto」에서 “현재 전기와 자서전은 예술의 생명수이다”라고 말하는데, 이것은 결코 과장이 아니다. 정치가나 예술가, 배우나 스포츠 선수들과 같은 유명 인사들이 자서전을 내는 경우는 종종 있는 일이지만, 요즈음에는 ‘평범한 사람들의 평범하지 않은 자서전’이 화제가 되고 있다. 자서전은 이제 더 이상 성공한 사람들의 전유물만은 아니다. 작가들의 ‘자전적 글쓰기 autobiographisches Schreiben’ 붐도 확산되고 있다. 1996년부터 2000년까지 자전적 대하소설을 발표했던 네덜란드 작가 포스퀼 Johannes J. Voskuil은 “나는 오직 자기 자신에 대하여 쓰는 사람만을 흥미진진하게 생각한다”고 단정한다. 『나의 투쟁 Mein Kampf I–VI』이라는 자전적 대하소설을 통하여 스칸디나비아 지역에서 가장 잘 팔리는 작가가 된 노르웨이의 크나우스가드 Karl Ove Knausgård는 “세상은 완전히 픽션화되었다. 픽션을 쓰는 것은 이제 작가의 과제가 될 수 없다”고 단정한다. 독일어권 영역도 예외가 아니다. ‘자전적 글쓰기’는 지난 수십 년 동안 지속적으로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통독 이후 홀로코스트를 주제로 한 자전문학이 제 2세대들에 의하여 새로운 전성기를 맞이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구동독 출신 작가들에 의하여 DDR를 기억하는 자전적 소설도 활성화되고 있다. 또한 약 10여 년 전부터 ‘자전적 글쓰기’에 관한 연구프로젝트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 2003년-2008년에는 ‘자전적 글쓰기’라는 주제 하에 일련의 국제학술회의들이 열렸으며, 여기에서 괄목할 만한 연구 성과를 보여주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자서전과 자전적 글쓰기에 대한 관심은 매우 높으며, 독문학 분야에서 자서전에 대한 연구도 증가추세이다(서유정 2011; Seifener 2013; 김성화 2012; 신종락 2016; 박희경 2014). 분명한 것은 현재의 자서전과 ‘자전적 글쓰기’의 붐은 일시적인 현상이 아니며, 또한 단순히 개인의 인생사에 대한 기록만은 아니라는 사실이다. 사실 자서전의 붐이 시작된 시기는 18세기로서, 이 시기의 자서전에서 오늘날의 ‘자전적 글쓰기’에 이르기까지 역사적 배경이 있으며, 그 형식과 내용 또한 시대적으로 변하면서 시대정신을 반영한다. 자서전의 역사는 인간정신의 역사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본 논문에서는 자서전의 변천과정을 고찰해보고, 나아가 ‘자서전’과 ‘자전적 글쓰기’의 전망을 가늠해보고자 한다.

      • KCI등재

        자서전의 시대, 접촉된 자서전 : 1970년대 자서전의 존재에 대하여

        김성연 ( Kim Sung-yeun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8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64

        이 논문은 1970년대 자서전의 열풍을 ‘생산-소비’의 순환과 ‘미디어-출판’의 관계 속에서 파악하고 자서전의 개념과 감각이 사회적으로 형성되는 방식을 이해하고자 자서전이 정기간행물과 출판물에 나타난 방식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자서전 집필·독서 주체의 특징을 정리해봄으로써 사회 내 개인의 존재 변화를 파악하고자 했다. 이 때 두 가지, 시대적 흐름에 따른 연속과 변모, 그리고 국내외 저술이 혼재된 현실을 단절적으로 보지 않기 위하여, 해방 후 한글 자서전이 나오기 시작한 1950년 대부터 본격화된 1970년대까지를 함께 살펴보았고, 독자 입장에서는 동시에 체감되었던 번역된 해외 자서전과 국내 자서전을 아울러 대상으로 삼았다. 이를 통해 밝힌 바는, 1970년대 자서전이 미국의 영향을 받는 미디어와 저널리즘의 속성, 출판 시장의 생리 속에서 대량 양산되었으며, 자서전의 집필 주체가 될 만한 사회적 공인의 위상과 범위가 변화하고 있었다는 점이다. 자서전은 고전 독물로 존재하기도 했으나 사생활과 진실에 대한 대중 욕망을 충족시켜주는 대중적 소비물기도 했다. 이렇게 생산된 자서전에는 시대를 구성한 주체의 특성이 고스란히 담겨 있었다. 1970년대는 근현대사의 주요 곡절을 겪고 각 분야의 토대를 닦은 사회 원로 세대가 포진하게 되었고, 자본주의에 근간한 다양한 직업군들이 부상했으며, 여성의 자의식과 사회 진출이 강화되고 있었다. 자서전은 산업화와 근대화의 기틀을 다진 세대가 다음 세대에 그 노하우를 전수할 수 있을 정도로 사회가 완만한 성장 속도를 보이고, 현대사의 주요 곡절을 기억하는 세대가 사회 주역에서 퇴진하며, 새로운 문화 감각과 전망을 갖춘 세대가 부상하는 시대적 조건 속에서 융성할 수 있는 장르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methods in which autobiographies appeared in periodical publications and book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popularity of autobiographies in the 1970s within the cycle of “production-consumption” and the relation of “media-publication” and to understand the method in which the concept of autobiography came to be socially formed. By organizing the characteristics of principal agents of autobiographies, this research also discerns the transformation of the existence of the individual. Therefore, the study examines autobiographies from the 1950s to the 1970s and translated autobiographies as well as Korean autobiographies. Such materials were selected to examine as follows: the continuation and transformation through time period, and the reality of domestic (Korean) and foreign writings combined. The findings of the study show that in the 1970s, autobiographies were produced in large volumes due to the US-influenced media, the trait of journalism, and the nature of the publishing industry. Furthermore, the decade brought changes to the scope of social public figure to write an autobiography. While autobiographies existed as classic reading materials, they also were goods for popular consumption that satisfied the needs of the public to recognize the private lives and truths. The 1970s had the elder generation in society who laid the foundation in each field of the society who overcame all of the major vicissitudes of the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 it was also marked by the rise of various occupations from the capitalism; the decade also saw the strengthening of women’s self-consciousness and advances to society. Consequently, the 1970s created a condition in which the society showed a gradual speed of development that allowed the elder generation that originated the industrialization and modernization to pass down their knowledge to the next generation. The elder generations were retiring from the leading role in society, and in which a new generation of youth were rising with new cultural senses and vision. Under such conditions created by the era, the genre of autobiography was able to flourish.

      • KCI등재

        자서전의 역사와 원리, 그리고 자서전 쓰기 교육의 새로운 방향

        심선옥 반교어문학회 2019 泮橋語文硏究 Vol.0 No.53

        The first topic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autobiography and the theory of autobiography in Korean society. The second topic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autobiography and self-narrative writing’s education at universities. This study will present the new direction and potential of them. After reviewing the area and function of autobiography from the 8․15 Liberation of Korea to the 2000s, we found three types of autobiography. The first type is a classic autobiography. It identify the value of an individual's life with historical and universal value. In the process of trying to realize the ideal, it records the person's life growing into a great human being. The second type is an autobiographical notes. A new group emerged as a ‘writing entity’ who was the class most affected by social contradictions, but they were excluded from expressing their own unique experiences. As they became to record their daily experiences, they understood the nature of life and the contradictions of society at once. The third type is the combination of autobiography and psychology. It turns out that writing an autobiography has the effect of reflections and healing, self-knowledge and self-identity. This type has spread rapidly through autobiography writing public lectures in the 2000s. Currently, the concept and educational effects of autobiography and self-narrative writing at universities are concentrated in psychological areas. To settle this bias, it is necessary to open up various areas and effects of autobiography and self-narrative writing. It is a way that classical autobiography and autobiographical notes can be reinterpreted that suits the young generation. For example, the classic autobiography can help young people that it integrates fragmented experiences and organizes prospects and insights in the life. It is another problem about autobiography and self-narrative writing at universities that it finds the way to expand the writer’s territory for other and world without being locked up in a closed place. We must create a new way of writing and form for autobiography. As it materializes, self-reflection and expression are always progressive to every individual what Diltai said about autobiography. 이 논문에서는 한국 사회에서 자서전의 역사적 전개양상과 자서전 원리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선행한 뒤, 현재 대학에서 자서전과 자기서사 교육이 진행되는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자서전과 자기서사 교육의 방향과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자서전 양식의 역사적 고찰에서는, 8․15 해방 후 고전적 양식의 자서전 『백범일지』에서 출발하여, 1970년대 자서전 집필이 일반인에게 확산되면서 새로운 ‘쓰기 주체’로 노동자가 등장하게 된 과정, 노동자의 자전적 글쓰기가 개인의 삶과 사회의 모순을 통찰하고 자기해방에 이르는 양상, 그리고 2000년대 글쓰기 대중강좌에서 자서전과 심리학이 결합하면서 내면치유와 성찰, 자아정체성의 효과가 강조되는 현상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딜타이의 이론에 근거하여 고전적 양식의 자서전 원리를 정리하고, 산업화 이후 자서전이 대중화되는 현상에 맞는 이론으로 이청준의 소설 「자서전들 쓰십시다」와 필립 르죈의 자서전 이론을 분석하였다. 2000년대 들어와서 글쓰기가 대중교양의 중요한 영역으로 부각되었으며, 글쓰기 대중강좌도 급속히 증가하였다. 자서전 쓰기 강좌는 1990년대부터 꾸준히 인기를 얻고 있었다.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도 2010년을 전후하여 자기표현 글쓰기가 주목받기 시작했고, 자기서사 쓰기의 비중이 높아졌다. 또한, 2000년 이후 대학 교양교육에서 자기서사 쓰기가 심리적 효과에 기울어지는 것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자서전과 자기서사 쓰기의 방법을 새롭게 모색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구체적으로, 고전적 양식의 자서전을 현대 청년세대들에게 맞게 재해석하여 ‘역사의 흐름 속에서 개인이 삶을 기록하는 방법’과, 일상의 글쓰기에서 통찰과 자기해방을 획득하는 자전적 글쓰기를 적용하여 ‘개성적인 스타일로 자기 삶을 기록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연대기적 자서전 쓰기의 한계를 벗어나고, 자서전의 내용보다 형식, 즉 ‘어떻게 쓸 것인가’에 주목할 수 있다 또한 자서전 쓰기가 개인의 체험을 완결되거나 규정된 형태로 서술하는 것이 아니라 언제나 새로운 삶의 형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열린 글쓰기를 지향하였다.

      • KCI등재

        특집논문 : "그들" 의 자서전 -식민지 시기 자서전의 개념과 감각을 형성한 독서의 모자이크(mosaic)

        김성연 ( Sung Yeun Kim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3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49

        이 논문은 미셸 푸코의 마지막 저작 <자기의 테크놀로지>의 문제의식 인 ``내가 나의 정체성을 찾을 수 있는 토대는 무엇인가?``를 공유하여, 자기 정체성 서술의 장르적 결정체인 ``자서전``을 논의의 대상으로 삼았다. 특 히, 독서를 통해 형성된 근대적 자서전의 개념과 감각을 살펴보고자 했다. 식민지 조선에서 독자들은 수입 혹은 번역된 서양 자서전을 독서하며 자 서전의 내용과 형식, 필자의 자격과 태도를 모방했거나 이를 무의식적으 로 학습했다. 따라서 20세기 이후 한국의 자서전 장르는 서양의 자서전 장 르를 독서한 이후 이를 모델로 하여 재탄생했다고 볼 수 있다. 자서전을 독서하고 집필한 개인적 경험은 집단적으로 축적되었고 이는 일본으로부 터의 해방 직후 많은 수의 자서전이 출판될 수 있었던 토대를 마련했다. 따라서 본론에서는 (1)식민지 시기 지식인들은 자서전에 대해 어떻게 생각했는가? (2)그들의 자서전 개념에 영향을 미친 영어나 일본어 자서전 은 무엇이 있었고 이들로부터 어떤 특성을 찾을 수 있는가? (3)식민지 조 선에서 조선어로 수 차례 번역되며 적극적으로 독서되었던 자서전은 무 엇이 있었고 이들은 일본의 식민지라는 정치적 상황과 미국 선교사들의 교육, 그리고 자본주의 체제 하의 입신출세 욕망과 어떻게 결합되어 있었는가에 관해 밝히고자 했다. 이를 통해 무엇이 자서전으로서 존재했고, 실 제로 무엇이 읽혔으며, 그들은 어떤 독후 반응을 보였고, 그 결과 이후 자 신에 관한 어떤 자서전을 쓰게 되었는지에 도달하는 경로를 추적하고자 했다. 자서전과 관련된 당시의 담론들을 살펴보면, 자서전이란 기본적으로 자신의 정체성을 적극적으로 서술하는 장르이므로 ``작가``, ``지식인``, ``민족 의 지도자``, ``스타``, ``일반인`` 등 필자에 따라서 다른 목적을 띠게 되고 다른 평가를 받게 된다. 또한 자서전은 독자의 기대지평과 필자의 발화욕망, 그 리고 출판사의 의도 사이의 역동적 관계 속에서 제작, 유통, 소비, 비평되 었으며 따라서 인정투쟁을 기반으로 한 정치적, 사회적 텍스트로서 해석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plored a theme from Technologies of the Self, the last work of Michel Foucault: What is the basis for finding one`s identity? To address this question, the study examined autobiographies, as this is a genre that narrates self-identity. In particular, the study aimed to examine the concept and sense of the modern autobiography formed by reading such works. During th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readers imitated the content, format, qualifications, or attitude of authors, or learned them unconsciously, while reading autobiographies translated into Korean or imported from Western countries. Therefore, it is fair to say that the genre of autobiography in twentieth-century Korea was modeled after Western autobiographies. The collective experience of reading and writing autobiographies accumulated and laid a foundation for the mass publication of autobiographies immediately following liberation from Japanese rule. The main body of the study aimed to investigate (1) how intellectual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ought about autobiographies; (2) how certain autobiographies written in Japanese or English affected the concept of autobiography; (3) and how autobiographies frequently translated into Korean and read during th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under Japanese rule were linked to the political situation at the time, the education provided by missionaries, and the desire to succeed in a capitalistic economy. In the process, the study traced the progress of the genre during this period by examining what existed as autobiographies, which ones were actually read, what responses they received, and what autobiographies were written after existing ones were read. Based on discourse related to autobiographies during that time, the autobiography can basically be described as a genre that actively describes self-identity. Thus, depending on the kind of author (e.g., a writer, intellectual, national leader, star, or ordinary person), there exist different purposes in writing, as well as different evaluations of, such works. Autobiographies were published, distributed, consumed, and criticized with dynamic interactions among readers` expectations, the desire of authors to speak, and publishers` intentions. Therefore, autobiographies can be interpreted as political and social texts based on the struggle for recognition.

      • KCI등재

        시몬 드 보부아르의 자서전적 진정성– 회상적 이야기와 개인적 기록물 형식의 공존 문제를 중심으로

        강초롱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13 프랑스어문교육 Vol.44 No.-

        보부아르가 자서전이라는 장르에 부여하고 있는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오늘날까지 그녀의 자서전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는 거의 부재해 왔다고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우선 적지 않은 이들은 그녀의 자서전 작품들을 한 유명한 여성 작가의 사생활에 대한 관음증적 욕망을 충족시킬 수 있는 참고 자료로만 간주하고자 하면서, 이 작품들이 지닌 문학적 가치 자체에 대해 무관심을 드러내 왔다. 또한 보다 많은 이들은 그녀의 자서전이 지닌 문학적 가치를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관점을 피력해 왔다. 실제로 앞서 언급한 바 있는 르죈을 비롯한 상당수의 자서전 연구자들 사이에서 보부아르의 자서전은 오랜 기간 동안 그리 좋은 평가를 받지 못해 왔다. 이들은 특히 그녀의 자서전이 지닌 형식적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그들을 부정적으로 평가해 왔다. 우선 이들은 주로 보부아르의 자서전이 기본적으로 루소의 『고백록 Les Confessions』으로부터 시작된 현대 자서전의 전통을 충실히 따르고 있다는 평가를 내려왔다. 표면적으로 보았을 때, 이러한 평가는 그녀의 자서전이 지닌 문학적 가치를 인정하는 듯한 뉘앙스를 풍긴다. 하지만 이러한 평가의 이면에는 근본적으로 보부아르가 자서전 쓰기에서 시도하고 있는 실험적인 서술 방식에 대한 철저한 무관심, 또는 이를 가치 없는 것으로 치부해 버리는 관점이 전제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비교적 자서전의 전통에 충실한 방식으로 쓰여 진 『얌전한 처녀의 회상』이 자서전 연구자들 사이에서 거의 언급되지 않아 온 현실이 자서전 작가로서의 보부아르에 대한 이들의 무관심을 대변하고 있다면, 일기와 같은 개인적 기록물을 본격적으로 활용되기 시작하면서 자서전의 전통적인 형식을 거스르는 흐름이 비교적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는 『전성기』부터 그녀의 저서전에 대한 평가가 대부분 혹평에 머물러 왔다는 사실에서는 바로 후자의 관점을 확인할 수 있다. 그 결과, 대부분의 자서전 연구자들은 보부아르의 자서전 작품들이 드러내고 있는 현대 자서전의 전형적인 특징들을 간략하게 언급하는 데에만 그치고 있을 뿐, 그녀의 자서전 쓰기 방식이 지닌 독창적인 면모, 나아가 그것이 보부아르가 추구한 작가론의 핵심과 어떻게 연결될 수 있는가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는 거의 노력을 기울이지 않아 왔다. 하지만 지금까지 살펴보았듯이, 보부아르에게 있어서 자서전 쓰기는 단순히 자신의 삶을 기록하는 행위로 국한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한 권의 문학 작품을 세상에 발표하는 것 역시 넘어서는 행위라고 할 수 있다. 그녀에게 자서전 쓰기는 윤리적 실존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한 개인적 인식을 독자와 함께 공유하는 소통 행위이자, 작가로서 윤리적 실존을 실천하는 방식 그 자체였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보부아르는 자서전의 주제뿐만 아니라 그 주제를 담아내고 있는 형식적 틀 속에 이러한 자서전 기획을 실천으로 옮기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 왔다. 본 논문을 통해 우리는 자서전상에 개인적 기록물의 형식을 도입한 작가의 선택을 바로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보고, 그것이 보부아르의 자서전 기획을 현실화하는 데 구체적으로 어떠한 기여를 했는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그리고 그 결과 우리는 그녀의 자서전상에 등장하는 개인적 기록물들이 존재 그 자체로, 또는 그것이 드러내는 내용을 통해 작가와 동등한 창조 주체로 자서전을... Le caractère d’exception des aventures et expériences dans lesquelles Simone de Beauvoir s’est engagée durant toute sa vie, conduit le public à porter souvent un grand intérêt à sa vie personnelle. La réalité dans laquelle ses journaux intimes ou correspondances, publiés après sa mort, conquièrent un vaste public nous montre bien ce fait. Cependant, l’attention portée sur ces oeuvres provoque en mê̂me temps une vive controverse sur l’authenticité de Beauvoir en tant qu’autobiographe. Surtout, le lecteur exprime un doute quant à l’authencitié de cette autobiographe, en face d’un décalage entre son image, telle qu’elle est dessinée par elle-même dans ses autobiographies, et celle dont ses documents personnels témoignent. Cepedant, si l’on considère que l’autobiographie peut se définir comme récit représenté que l’auteur achève en combinant ses vécus réels et la fiction, ce décalage ne peut jamais se dire comme preuve de l’inauthenticité de Beauvoir. De plus, le fait qu’elle l’utilise comme stratégie pour concrétiser la vérité de sa vie nous contuit à connaî̂tre la nécessité de comprendre la raison pour laquelle l’auteur a choisi cette stratégie dans le contexte de son projet autobiographique. Tout d’abord, pour Beauvoir, au contraire de l’écriture autobiographique qui consiste à construire une histoire pour le lecteur, écrire les documents personnels comme des journaux intimes ou correspondances, c’est se concentrer sur ses états d’â̂me sans considération d’autrui. Par conséquent, ces derniers attestent de manière très vive que Beauvoir dans sa vie est souvent habitée par des désirs inauthentiques comme un désir pour le culte de moi ou désir de manipuler les autres pour son intérê̂t, qu’elle n’a de cesse de critiquer dans ses écrits; c’est cela, qui fait le lecteur se sentir trompé par elle, surtout celui qui adore son image en tant qu’auteur intelligent et plein de responsabilité sur la liberté d’autrui. Cependant, ce à quoi nous devons prê̂ter plus d’attention, c’est qu’elle n’hésite pas à adopter ces documents personnels au sein de ses autobiographies. Il nous semble que, dans son choix de cette forme, le projet autobiographique de Beauvoir qui peut se résumer par l’expression de sa volonté de rechercher la possibilité de l’existence morale et de mettre en pratique sa reconnaissance de la morale se reflète. Surtout en insérant au milieu du récit ses documents personnels qui non seulement dévoile une Beauvoir humanisée, mais aussi brise la stabilité de la structure du récit, Beauvoir cherche à conduire le lecteur à douter sans cesse de ce dont l’auteur parle, réfléchir tout seul sur la vérité du récit et la découvrir lui-mê̂me; ce faisant, elle veut l’encourager à s’engager dans cet itinéraire autobioraphique en tant que sujet actif, autrement dit, sujet qui peut lui donner une conclusion à travers sa propre analyse et interprétation, non celui qui accepte passivement la vérité présentée par l’auteur. C’est-à-dire, ce choix de Beauvoir, qui peut se caractériser par le mélange formel du récit rétrospectif et de textes documentaires, nous montre bien sa façon particulière de justifier sa conviction sur la nécessité de l’existence morale ainsi que la mettre en pratique. Et grâ̂ce à lui, ses autobiographies peuvent avoir une autre chance de se représenter comme espace littéraire où sa pensée de l’existentialisme moral se concrétise: c’est bien dans ce choix que nous pouvons découvrir l’authenticité de notre autobiographe.

      • KCI등재

        오토픽션의 논리

        류은영(Ryu, Eun-young)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2 외국문학연구 Vol.- No.46

        1977년 출간과 함께 세르주 두브로브스키의 소설 『아들』은 소설과 자서전 사이에 자리하는 새로운 오토픽션 장르에 관한 논쟁을 불러일으킨다. 1973년 필립르죈이 제시한 자서전의 규약이 학계 공론이 된 상황에서, 두브로브스키는 『아들』을 실례로 자서전의 규약에 이의를 제기하며 ‘오토픽션’이라는 새로운 용어, 새로운 장르의 성립 가능성을 역설하였고, 마침내 오토픽션은 1984년 『앙시클로패디아 위니베르살리스』 백과사전의 한 항목으로 공식화된다. 이후 오토픽션은 허구성에 기반한 개념의 확대해석으로 장르가 확장되어 현재 프랑스 문학계의 화두 중 하나가 되고 있다. 하지만 오토픽션 장르의 성립 논리 내지 당위성을 이루는 자아의 타자성, 언어의 불환원성, 현실의 재현불가능성은 본래 오토픽션이 담론화되기 시작한 20세기 후반 이전부터도 줄곧 논의되어온 자서전의 내재적 논리, 다시 말해 자기 고백인 동시에 문학으로서의 자서전의 필연적 허구성을 밝히는 자서전의 원론적 미학이었다. 따라서 오토픽션의 미학이 자서전의 미학과 원론적으로 다르지 않다면, 과연 오토픽션은 자서전과 다른 장르일까? 그렇다면 오토픽션 장르 고유의 논리는 무엇일까? 이에 우리는 오토픽션 고유의 논리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오토=픽션의 ‘애매성’을 규약으로 하는 오토픽션의 미학 및 그 현대성의 문제를, 자서전의 현대적 전형으로 일컬어지는 미셸 레리스의 자서전에 비춰 상대적 관점에서 변별, 이해하고자 한다. Published in 1977, Serge Doubrovsky"s novel Fils renews the dispute over the so-called "autofiction" genre positioned between fiction and autobiography. When the Autobiographical Pact proposed by Philippe Lejeune in 1973 became an issue for academic discussion, Doubrovsky raised objections to the Autobiographical Pact with his novel Fils as an example and emphasized the possibility of establishing the new term and new genre "autofiction." Eventually, autofiction was formulated as an item in the Encyclopaedia Universalis in 1984. Since then, autofiction has expanded in genre with a broad interpretation of its concept based on fictiveness, and currently it is emerging as one of the major topics in French literature. However, the otherness of self, the non-reducibility of language and the unrepresentability of reality that constitute the logic or reasoning behind the autofiction genre has continually been discussed as manifesting the internal logic of autobiography since before the late 20th century when the discourse on autofiction began. In other words, it is the theoretical aesthetics of autobiography that reveals its inevitable fictiveness as self-confession and simultaneously as literature. Therefore, if the aesthetics of autofiction are not different in principle from the aesthetics of autobiography, is the autofiction indeed a distinct genre from autobiography? If so, what is the essential logic of the autofiction genre? As part of our study of the essential logic behind autofiction, we aim to understand the aesthetics of autofiction?which accepts the ambiguity of "auto=fiction" as their pact?and its modernity from a relative point of view, in light of Michel Leiris" autobiography which is commonly referred to as the modern archetype of autobiography. 1977년 출간과 함께 세르주 두브로브스키의 소설 『아들』은 소설과 자서전 사이에 자리하는 새로운 오토픽션 장르에 관한 논쟁을 불러일으킨다. 1973년 필립르죈이 제시한 자서전의 규약이 학계 공론이 된 상황에서, 두브로브스키는 『아들』을 실례로 자서전의 규약에 이의를 제기하며 ‘오토픽션’이라는 새로운 용어, 새로운 장르의 성립 가능성을 역설하였고, 마침내 오토픽션은 1984년 『앙시클로패디아 위니베르살리스』 백과사전의 한 항목으로 공식화된다. 이후 오토픽션은 허구성에 기반한 개념의 확대해석으로 장르가 확장되어 현재 프랑스 문학계의 화두 중 하나가 되고 있다. 하지만 오토픽션 장르의 성립 논리 내지 당위성을 이루는 자아의 타자성, 언어의 불환원성, 현실의 재현불가능성은 본래 오토픽션이 담론화되기 시작한 20세기 후반 이전부터도 줄곧 논의되어온 자서전의 내재적 논리, 다시 말해 자기 고백인 동시에 문학으로서의 자서전의 필연적 허구성을 밝히는 자서전의 원론적 미학이었다. 따라서 오토픽션의 미학이 자서전의 미학과 원론적으로 다르지 않다면, 과연 오토픽션은 자서전과 다른 장르일까? 그렇다면 오토픽션 장르 고유의 논리는 무엇일까? 이에 우리는 오토픽션 고유의 논리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오토=픽션의 ‘애매성’을 규약으로 하는 오토픽션의 미학 및 그 현대성의 문제를, 자서전의 현대적 전형으로 일컬어지는 미셸 레리스의 자서전에 비춰 상대적 관점에서 변별, 이해하고자 한다. Published in 1977, Serge Doubrovsky"s novel Fils renews the dispute over the so-called "autofiction" genre positioned between fiction and autobiography. When the Autobiographical Pact proposed by Philippe Lejeune in 1973 became an issue for academic discussion, Doubrovsky raised objections to the Autobiographical Pact with his novel Fils as an example and emphasized the possibility of establishing the new term and new genre "autofiction." Eventually, autofiction was formulated as an item in the Encyclopaedia Universalis in 1984. Since then, autofiction has expanded in genre with a broad interpretation of its concept based on fictiveness, and currently it is emerging as one of the major topics in French literature. However, the otherness of self, the non-reducibility of language and the unrepresentability of reality that constitute the logic or reasoning behind the autofiction genre has continually been discussed as manifesting the internal logic of autobiography since before the late 20th century when the discourse on autofiction began. In other words, it is the theoretical aesthetics of autobiography that reveals its inevitable fictiveness as self-confession and simultaneously as literature. Therefore, if the aesthetics of autofiction are not different in principle from the aesthetics of autobiography, is the autofiction indeed a distinct genre from autobiography? If so, what is the essential logic of the autofiction genre? As part of our study of the essential logic behind autofiction, we aim to understand the aesthetics of autofiction?which accepts the ambiguity of "auto=fiction" as their pact?and its modernity from a relative point of view, in light of Michel Leiris" autobiography which is commonly referred to as the modern archetype of autobiography.

      • KCI등재후보

        젠더의 관점에서 본 자서전 장르 규정 문제

        강초롱 ( Cho Rong Kang ) 서울대학교 불어문화권연구소 2009 불어문화권연구 Vol.19 No.-

        이 논문은 자서전 연구자들에게 오늘날까지 막대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두 명의 선구적 연구자, 조르주 귀스도르프 Georges Gusdorf와 필립 르죈Philippe Lejeune이 제시하는 자서전의 장르적 조건들에 대한 규정의 타당성에 대해 젠더의 관점에서 재검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루소의 『고백록Confessions』을 모델로 하여 이들이 제시하고 있는 자서전 쓰기의 이상적 주체와 이상적인 서술 태도, 이상적인 형식에 대한 규정들을 비판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실재하는 한 개인이 직접 쓴, 자신의 삶에 대한 이야기`로 규정되어온 자서전은, 페미니스트 비평계가 특별히 관심을 기울이는 문학 장르 중 하나이다. 페미니스트 비평가들은 이 글쓰기 형식이 남성 중심적 문화 속에서 여성의 젠더가 구축되어가는 과정을 다른 어떤 문학 형식보다 생생하게 재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닌 장르라는 사실에 주목한다. 그들에 따르면, 자서전에는 자신의 성적 정체성에 대한 작가의 인식이 반영될 수밖에 없으며, 작가의 성적 정체성에 대한 인식과 그와 관련된 경험의 차이에 따라 자서전을 쓰는 방식은 다양해질 수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대부분의 자서전 연구자들은 여성들의 자서전 속에는 가부장 사회 내에서 타자로서 살아가는 여성들의 특수한 경험이 반영되어 있으며, 그러한 경험의 차이가 자서전을 쓰는 방식의 차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사실을 간과해왔다. 특히 귀스도르프와 르죈의 영향아래에서 이들은, 타인에 의해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 자기 중심적인 주체에 의해 씌어진, 그리고 그러한 주체의 경험을 산문이라는 단일한 형식 속에서 재현하는 데 성공한 글쓰기만을 자서전의 이상적인 모습으로 규정해왔다. 그러나 젠더의 관점에서 볼 때, 이러한 규정들은 남성 주체가 자신의 경험을 형상화하는 방식만을 보편적이고 절대적인 기준으로 내세우는 남성 중심적 전제의 산물이다. 그 결과, 이러한 규정들은 남성의 `타자`로서 자신을 독립적인 주체가 아닌,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위치지어진 존재로 인식하는 데 익숙해진 여성들의 자서전의 존재 자체를 부정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나아가 타자로서의 경험을 재현하기 위해 여성 자서전 작가들이 선택하곤 하는 탈-자기 중심적인 서술 방식과 산문형식에서 벗어난 다양한 형태의 글쓰기가 지닌 문학적 가치 역시 폄하하고, 그것들을 오직 실패한 자기 재현 방식의 예로만 규정하는 오류를 범하고 있다. 여성들의 자서전이 지닌 의미와 그 형식을 보편화시키는 것은 또 다른 배타주의를 양산할 수 있는 위험을 내포한다. 이러한 배타주의의 위험에 빠지지 않으면서 여성들의 자기 재현 방식이 지닌 고유한 의미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글쓰기 주체가 어떠한 상황에 처했는가에 따라 경험을 재현하는 방식이 다양해질 수 있다는 사실에 대한 인식이 반드시 전제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기억의 연금술

        강헌국(Kang Hun-kook)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0 한국학연구 Vol.33 No.-

        이광수에게 자전적 글쓰기는 인정 욕구를 실현하기 위한 시도이다. 그의 인정 욕구는 소설에서 자서전으로 향할수록 그 정체를 뚜렷하게 드러낸다. 소설에서 그의 인정 욕구는 간접적으로 표현될 수밖에 없다. 그는 인정 욕구를 현실에 투사하기 위해 「인생의 향기」와 「그의 자서전」과「나」를 쓴다. 본 논문이 유사자서전류로 규정한 그 세 편에서 그의 인정 욕구는 자기 과시로 발현된다. 그가 유사자서전류의 세 편에서 기억의 이름으로 전하는 이야기들은 상충되는 경우가 적지 않다. 같은 사건에 대한 기억들이 글에 따라 다르기도 하고 글마다 선택적인 기억들이 서로 모순을 빚기도 한다. 그러한 현상은 자서전의 본질과 관련된 조작으로부터 말미암는다. 자서전은 기본적으로 기억과 서사라는 두 가지의 지향을 내포한다. 서사적 지향이 기억을 지배할 경우 자서전은 사실의 경계를 넘어 허구로 진행하는데 이광수의 유사자서전류가 거기에 해당하는 전형적인 사례이다. 유사자서전류에서 이광수는 자기 과시를 위해 현실적 자아가 아닌 이상적 자아를 형상화하고 그 과정에서 사실을 기억하기보다 서사를 구축한다. 그로써 자서전을 지향하던 그의 행보는 자서전에서 이탈한다. 그가 자서전을 두고 벌이는 지향과 탈주의 행보는 인정 욕구를 실현하면서 기억의 사실성에 대한 심문을 회피하려는 이중적 목적을 염두에 둔 것이다. 「나의 고백」은 그러한 모순적 행보가 불가능해진 자리에서 저술된다. 그 글에서 그는 기억을 조작하는 대신 친일행위를 변호하는 논리를 구축한다. 그러나 논리가 아무리 정교하고 교묘하다 한들논리는 사실을 초월하지 못한다. 그가 구축한 친일 변명의 논리도 결과적으로 그의 친일행위를 사실로 확인할 뿐이다. This article is projected to understand the autobiographical characteristic of Lee Kwang-Soo's writings. To perform this purpose, I choose three of Lee Kwang-Soo's texts. They are Perfume of Life, His Autobiography, and I. I call them pseudo-autobiographical type because they resemble autobiography but do not accurately become it. By writing pseudo-autobiographies, Lee Kwang-Soo wants to realize his desire for recognition and to escape from the inquires about his memory's reality. Those double aims make his autobiographical writing inconsistent. Being headed for autobiography, he runs away from it. He tries to make a narrative while he looks back into the past. In that process, he dose not revive memory but creates memory. Memory can do no other than conform itself to narrative, and his autobiographical writing brings about fiction. Pseudo-autobiographical type is yielded in the course of such writing. But it is impossible for him to escape from autobiography after Korean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 regime. he writes My Confession in that circumstance. So My Confession is his only autobiography.

      • KCI등재

        『로욜라의 성 이냐시오 자서전』의 문헌적 원천에 관한 해석학적 탐구의 필요성 연구

        김영훈 서강대학교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2022 신학과 철학 Vol.- No.42

        본고의 목적은 초창기 예수회원들이 새롭게 창립된 예수회의 정체성과 사명을 확립하고 가르치기 위한 목적으로『로욜라의 성 이냐시오의 자서전』을 저술하고 편집하였다는 점을 해명하는 데 있다. 선행 연구들은『자서전』의 문헌적 성격에 관해 다양한 의문을 표현하며 이냐시오의 저자로서의 권위에 관하여 질문한다. 현대의 연구들은 디에고 라이네스(Diego Laínez)와 후안 알퐁소 데 폴랑코(Juan Alfonso de Polanco)의 글을『자서전』의 문헌적 원천으로 진지하게 고려하며 루이스 곤사우베스 다 카마라(Luís Gonçalves da Câmara)가『자서전』저술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사실에 주목한다. 그러나 오늘날의 연구들이 간과하는 점은『자서전』이 왜 작성되었고 무엇을 말하고자 했는지에 관한 역사맥락적 관점이다. 본고는『자서전』의 역사적 계보를 개괄하며 편찬 과정에서 드러난 복잡성을 면밀히 살펴본다. 또한『자서전』 연구의 여러 가지 난점들을 드러내며 현대의『자서전』 연구의 핵심 쟁점들을 검토한다. 그러고 나서 본 연구는『자서전』과 관련된 일차 사료들을 재검토하는 데, 특히, 헤로니모 나달(Jerónimo Nadal)과 카마라의 서문, 라이네스와 폴랑코의 기록, 그리고 이냐시오의 친필 서한 등이다. 이를 통해 본고는 기존의 문헌 중심적인『자서전』탐구에 역사맥락적인 관점을 제시함으로써 문헌적 원천과 편집 과정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밝힌다. 결론적으로 본고는『자서전』의 해석적 탐구가 텍스트의 이해를 풍요롭게 하고 오늘날의 독자들을 회심과 쇄신으로 초대할 것을 제안한다.

      • KCI등재

        뉴실버세대의 디지털 자서전 사례 분석

        주선이,김한일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0 교육과학연구 Vol.2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 디지털 자서전 사례를 분석하여 디지털 자서전의 역할과 의의를 살릴 수 있는 글쓰기 단계를 제안하는 데 있다. 연구의 대상은 뉴실버세대의 디지털 자서전 쓰기 과정에 관한 것이며, 글쓰기 과정 전후로 일어나는 내면적 변화와 의미에 중점을 두었다. 본 연구를 위해 디지털 자서전을 쓰는 주체와 글을 쓰는 목적, 디지털 자서전이 가진 언어적 형식과 글쓰기 방식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먼저 살펴보았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디지털 자서전 사례 분석을 위한 평가 기준과 항목을 선정하였다. 국내외 디지털 자서전 사례 중 온라인에서 자서전 플랫폼 3가지 사례와 영상 자서전을 제작 교육 과정 3가지 사례를 분석 평가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라 3단계 글쓰기 과정을 제안코자 한다. 1단계는 글쓰기 전 단계로 미해결된 갈등의 기억을 주제로 평가, 종합하는 인생회고 단계이다. 2단계는 본격적인 글쓰기를 통해 플롯을 구성하고 원형 이야기를 쓴 뒤, 자서전 형태를 기획하고, 자료를 수집 및 정리하도록 한다. 마지막 단계는 디지털 매체를 통해 자신이 발견한 인생의 의미를 표현해본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가 뉴실버세대 뿐만 아니라 자아통합을 필요로 하는 이들의 디지털 자서전을 이용한 교육 프로그램 설계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analyze domestic and international digital autobiography cases and to propose a writing stage that can make use of the role and significance of digital autobiography. The study focuses on the digital autobiography writing process of the New Silver Generation, focusing on the internal changes and meanings that occur before and after the writing process. For this study, we first reviewed the writer of digital autobiography, the purpose of writing, an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linguistic form. Based on the results, evaluation criteria and items were selected to analyze the digital autobiography cases. Three cases of online autobiography platforms and three training programs for video autobiography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results, we suggest a three-stage writing process. The first stage is the pre-writing, where the life review happens. The writer evaluates and synthesizes the unresolved conflicts. It is an important and essential process of finding the meaning of the life. In the next stage, the original story plot is constructed through authentic writing and the form should be planned. The final stage is to express the meaning of life through digital media. We hope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helpful in designing educational programs using digital autobiography not only for the New Silver Generation but also those who need self-integr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