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구급활동데이터를 활용한 전라북도 자살시도자 특징 분석

        원진영(Jin Young Won),신진동(Jin Dong Shin) 한국자료분석학회 2020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2 No.2

        본 연구는 구급활동데이터를 바탕으로 임상적으로 드문 자살시도 데이터를 구축하고, 이를 이용하여 자살시도 방법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규명하여, 실효성 있는 자살예방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2013~2018년 전라북도 구급활동데이터를 대상으로 텍스트 분석, 항목 재분류 등을 통해 자살시도자를 추출하고, 선행연구를 통해 입증되어진 자살위험변인에 대한 자살 시도자 정보를 구축하였다. 구축된 인구통계학적 변인, 자살 잠재력 변인, 자살 상황변인 데이터를 이용하여 카이제곱 검정과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전체 구급건수 중 0.9%가 자살시도자로 추출되었고, 국가응급진료망을 통한 자살시도자 통계와의 비교를 통해 구급활동데이터가 양적·질적 측면에서 기존자료를 보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성, 연령, 지역구분, 신체질환 및 정신질환 여부, 시도 시 음주여부, 자살시도 시간 및 계절, 주거지 여부 모두 자살시도 방법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도 방법에 따라 유의한 변인이 상이하게 도출되었다. 특히 약물과다복용으로 인한 자살시도는 신체 및 정신질환을 가질 경우 위험성이 높아지며, 농약음독 및 예기를 통한 자살시도는 음주상태에서 위험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시도 방법별 위험요인을 바탕으로 고위험군을 발굴하고 개입의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여 적극적 자살예방체계를 구축해 나가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clinically rare suicide attempt data based on 119 emergency medical service data,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suicide attempt method, and to use them as basic data to establish effective suicide prevention measures. In this study, the suicide attempters were extracted through text mining and reclassification of emergency medical service data from 2013 to 2018 in Jeollabuk-do. Chi-square test and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demographic variables, suicide potential variables, and suicide situation variables. Comparing the statistics of suicide attempters through NEDIS, it was confirmed that the 119 emergency medical service data can complement existing data in terms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pects. Gender, age, region, physical and mental disease, alcohol use, suicide attempt time, season and place all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suicide attempt methods. It was derived that the significant variables differ depending on the suicide attempt method. In particular, patients with physical and mental diseases were at high risk of attempting suicide through drug overdose. Suicide attempts through pesticide poisoning and cutting were found to be high risk in drinking. The government should establish an efficient suicide prevention system by preparing specific measures for each suicide attempt method.

      • 중·고등학교 청소년의 자살사고 및 자살시도의 유병률과 자살시도의 위험요인에 관한 연구

        조성진,전홍진,김장규,서동우,김선욱,함봉진,서동혁,정선주,조맹제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2 신경정신의학 Vol.41 No.6

        연구목적 :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중·고등학교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자살 사고 및 자살시도의 빈도, 성별과 연령(13∼15세 vs 16∼18세)에 따른 자살사고 및 시도의 빈도에 차이가 있는지 여부, 자살사고 및 자살시도가 있는 청소년의 특징, 그리고 자살시도의 위험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부천시에 소재하고 있는 중학교 24개교 및 고등학교 20개교의 청소년 71,102명중에서 무작위 집락 표본 추출범으로 청소년 2,203명(남자 1,105명, 여자 1,098명)을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자살시도 및 자살사고의 정의에 관한 항목은 Moscicki가 사용한 자살행동에 관한 4항목 중 2항목을 사용하였다. 우울증에 대한 조사도구는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알코올 의존에 대한 조사도구는 Composite International Diagnostic Interview의 알코올 의존 관련 항목을 사용하였다. 조사자료 통계는 빈도, 백분율, chi-square test, 단변인 및 다변인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결 과 : 본 조사연구의 분석결과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 항목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전체 대상자의 자살 사고률은 30.7%, 자살 시도률은 5.3%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남자 대상자의 자살 사고률과 시도률은 26.9%, 3.4%이었고, 여자 대상자의 자살 사고률과 시도률은 34.9%, 7.3%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성별에 따라 자살 사고률과 시도률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2) 연령(학년)을 13∼15세(중학교)와 16∼18세(고등학교)의 두 연령층으로 조사하였을 때, 중학생의 자살 사고률과 시도률은 30.1%, 4.3%이었고, 고등학생의 자살 사고률과 시도률은 31.6%, 6.4%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령에 따른 자살 사고률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으나 자살 시도률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전체 조사 대상자를 대상으로 시행한 다변인 로지스틱 회귀 분석 결과에 의하면, 자살 시도의 위험요인이 여자, 알코올 의존, 중등도 및 중증 우울 증상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남녀별로 시행한 단변인 로지스틱 회귀 분석 결과에 의하면, 남자는 알코올 의존이 있을 때, 여자는 알코올 의존, 중등도 및 중증의 우울 증상이 있을 때 자살시도의 위험성이 높았다. 결 론 : 본 연구에서 자살 사고률 및 자살 시도률이 각각 29.6%(남자 25.6%, 여자 33.7%)와 5.31%(남자 3.3%, 여자 7.3%)인 점과 자살시도의 위험요인이 우울 증상의 정도, 알코올 의존인 점을 고려할 때 알코올 의존 및 우울 증상의 조기발견과 치료, 그리고 자살 사고자 및 자살 시도자에 대한 정신의학적 접근과 추적관찰에 대한 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s : Aims of this study were 1) to estimate prevalence rates of suicidal ideation and suicide attempt, 2) to find out whether the gender difference and age difference(13-15 years vs 16-18 years) for suicide behaviors exist, 3) to analyse correlates of suicide attempts among junior and high school adolescents aged 13-18 years old. Methods :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used in a cluster random sample of 2,203 school adolescents(male 1,105, female 1,098). Data were obtained on a wide range of constructs including suicidal ideation and attempts during past 2 weeks, depressive symptoms, symptoms of DSM-IV alcohol dependence, family structure, socioeconomic status, smoking, satisfaction with school achievements,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Chi-square test were done for analysing gender difference and age difference of suicide behaviors. Statistical analyses including uni-variate and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done for each sex, respectively. Results : 1) The prevalence of suicide ideation during past 2 week was 30.7% in the total sample. The prevalence rates of male and female ideators were 26.9% and 34.9% respectively. The prevalence of suicide attempt during past 2 week was 5.3% in the total sample. The prevalence of suicide attempt in males was 3.4% and 7.3% in females. 2) Gender difference was significant. That is, female respondents showed higher rate of suicidal ideation and suicide attempt. In our study age difference was found only at the rate of suicide attempt. That is, older adolescents(16-18 years) showed only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rate of suicide attempt than younger adolescents(13-15 years). 3)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correlates for suicide attempt were female, moderate to severe depressive symptoms, alcohol dependence in the total sample. In males the correlate for suicide attempt was alcohol dependence. In females, were moderate to severe depressive symptoms, and alcohol dependence. Conclusion : Depressive symptoms, alcohol dependence, presence of suicidal ideation were strong predictors for suicide attempts. This suggest that early detection of treatment of depression and alcohol dependence is important and psychiatric approach and follow-up be needed for the prevention of suicide.

      • KCI등재

        자살시도자 구조과정에서 협업시스템 정착을 위한 연구 -경찰공무원의 인식 중심으로-

        장일식,윤경희 원광대학교 경찰학연구소 2020 경찰학논총 Vol.15 No.3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problems that are emerging in the process of rescuing suicide attempts, focusing on police activities, and to seek practical improvement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research, a survey was conducted on police officers nationwide from July 13 to July 26, 2020.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First, most of the respondents to the question related to suicide rescue had a lot of experience with suicide rescue (87.2%) and experienced a lot of disruption (80.5%) in suicide rescue (80.5%). Second, it was found that 53.7% of the time frame for handling suicidal attempts to report suicide was at night (53.7%), 37.7% of those who attempted suicide were not fully informed (37.7%), 44.7% of those who attempted suicide were found to be dangerous, and in this case, 39.5% of those who attempted suicide were found to be dangerous due to the protruding behavior of suicidal people. Third, regarding the rescue and business collaboration of suicide attemptors, it was found that the degree of cooperation with fire departments (34 percent), regional suicide prevention centers (35.6 percent), medical institutions (34.9 percent), and administrative agencies (37.6 percent) were not doing well at all. The reason why collaboration with related agencies is not going well is mainly due to lack of mutual cooperation between organizations or between managers (43.4%). Fourth, in relation to the rescue of suicidal persons and the administration of business collaboration, fire fighting (65%) is the foremost partner in the handling of affairs in the rescue of police suicidal persons, and cooperation in the pre-rescue phase is the most important. Collaborative management for mutual cooperation between organizations (37%) was the most necessary, and suicide attempts and personal information sharing of suicide victims (34.7%) were the most important areas of consultation. Fifth, the analysis on the post-suicide attemptor rescue showed that if information related to suicide attempt was provided by other agencies (89.9%) from the 112 reporting stage, it would contribute to the rescue and reduction of suicide attempt (35%).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the study proposed ways to strengthen information sharing for suicide reporters, expand the operation of a 24-hour suicide prevention center, promote collaboration among related agencies, and introduce a practical suicide attempt management system. 이 연구는 경찰 활동을 중심으로 자살시도자 구조과정에서 나타나고 있는 문제점을 분석하고 실질적인 개선방안을 모색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국의 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 2020년 7월 13일부터 7월 26일까지 설문 조사하였다. 이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자살구조와 관련된 질문에 대하여 응답자 대부분 자살구조에 대한 경험이 많으며(87.2%), 자살구조시 다른 업무에 많은 지장을 경험(80.5%)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살시도자 관련 질문에 대하여 자살시도자 신고를 처리하는 시간대로는 야간(53.7%)이며, 자살시도자 구조시 자살시도자의 정보를 충분히 제공받지 못한 상태에서 구조에 임하고 있으며(37.7%), 자살시도자 구조업무는 위험하며(44.7%), 이 경우 자살시도자의 돌출 행동 때문에 위험하다고(39.5%)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살시도자 구조 및 업무 협업과 관련하여, 소방분야의 경우 보통이며(34%), 지역별 자살예방센터(35.6%), 의료기관(34.9%), 행정기관 등(37.6%)과의 협업 정도는 전혀 잘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관기관과 협업이 잘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이유에 대해서는 주로 조직간 또는 담당자 간 상호 협업이 부족(43.4%)하기 때문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살시도자 구조 및 업무 협업 행정과 관련하여, 경찰의 자살시도자 구조시 업무 처리상 최우선 협력 기관은 소방이며(65%), 구조 전 단계의 협업이 가장 중요하며(47%). 조직간 담당자 간 상호 협조를 위한 협업 관리가 가장 필요한 사항이며(37%), 자살시도 및 자살자의 개인정보 공유가 협의 범위로 가장 중요한 것(34.7%)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자살시도자 구조 이후와 관련한 분석결과, 자살시도자 관련 정보를 타 기관으로부터 112신고 단계에서부터(89.9%) 제공받게 되면 자살시도자 구조 및 감소에 기여할 것(35%)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이 연구에서는 자살기도자정보공유 강화, 24시간 자살예방센터 운영 확대, 유관기관별 협업 활성화, 실질적인 자살시도자 관리시스템의 도입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자살시도자에 대한 경찰의 적절한 대응에 관한 연구

        박성철(Park, Sung-Chul)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2011 法學論叢 Vol.18 No.2

        자살의 최고위험군은 자살을 기도하였었던 자살시도자이다. 대다수의 자살시도자는 인생의 실패를 해결하기 위한 마지막 선택으로 자살을 택하기 보다는 타인과의 강력한 소통을 원하는 사람임을 알수 있다. 소통적 자살 개념을 통해 경찰이나 관련 기관의 활동에 따라 충분히 자살을 예방할 수 있다. 자살시도자에 대한 보호조치를 규정한 「경직법」 제4조가 있음에도 이를 활용하지도 않고, 그 시행령에서는 구호기관에 신병을 인도한 경우 자살시도자의 인적사항을 제공할 수 있는 법적이 근거가 있으나, 실무에서는 전혀 이용치 않고 있다. 경찰에서 기존에 소극적으로 대처해 왔었던 것과 달리 자살시도자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대처하여 우선적으로 생명을 구호하고, 자살예방센터 등 구호기관에 자살시도자와 보호자의 인적사항 등 자료를 제공하고, 응급을 요하나 경제적인 빈곤이 있는 경우에는 치료비도 지원받을 수 있는 터전을 마련해 주어야 한다. 자살은 형사처분의 대상이 아니라서 형사정책의 주 관심대상이 아니었다. 그러나 범죄자와 범죄피해자의 자살문제와 유명인의 자살을 통한 세간의 관심의 집중 등 자살은 문제성 있는 사람들만의 문제가 아닌 사회 전반적인 문제로 대두되었다. 우선적으로 경찰에서 보호조치의 대상으로서 자살시도자와 보호자에 대하여 생명을 구호하고, 계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자살시도를 막기 위하여 전문기관과의 협조가 필수적이라 할 것이다. 이러한 변화된 환경 속에서 자살은 이제 국가 형사사법기관이 시급히 해결해야할 형사정책의 문제로 대두된 것이다. 우선적으로 보호조치의 대상 중 자살시도자에 대해서는 강행규정으로 경직법을 개정하고, 시행령에서 자살시도자와 신고자에 대한 자살시도 당시의 상황과 인적사항 등을 정신보건센터 등에 제공할 수 있는 법적인 근거를 마련해야 한다. Parasuicide is the biggest indicator for a future successful suicide attempt. Studies have found that most of those who commit suicide have a history of parasuicide. Indeed, suicide attempts that do not result in death are much more common than completed suicides. Many of these attempts are carried out in a way that makes rescue possible. The usual attempt may be a wish to affect another person by the behavior. Consequently, it occurs in a social context and may represent a request for help. In the sense, such suicide can be named as 'communicative suicide.’ Given that most successful suicide is preceded by a few (10 times or so) failed suicide attempts and that the suicide attempt has communicative aspect by someone who is in desperation, we could prevent a large portion of successful suicide attempts in advance if the police would have responded more appropriately and actively to those who had attempted suicide in the recent past. Currently, however, the police has been doing things on very negative lines. Though the police may provide some personal information about those who attempted suicide to managed care organizations or other health related agencies if it delivered them to the organizations, the police has not provided them at all. Moreover, under the current statute and regulation, the police can’t provide some personal information about those who attempted suicide to a health related agency unless the police delivered them to the organizations and it got informed consent from those who attempt suicide about the provision of their personal information. Without such basic information, some programs conducted for the prevention of suicide by other government agencies, like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would be unsuccessful or at least very inefficient. It may be difficult for such agency to spot people to be the subject of its program for suicide intervention, like consultation. Considering suicide is a serious problem but it may be abated through effective response to the request for help by those who made failed suicide attempt, the police should take more active intervention against parasuicide. The police should provide their personal information, including basic information on their parents, guardian or spouse, to the public care organizations, regardless whether it would hand those over to the organizations. The requirement of informed consent for purveying such information should also be eased to be replaced by consent of parents or spouse in some cases. Hopefully, the information would lead to more effective consultation or other treatment by health related agencies or organizations. If needed, the government may pay for even their medical expenses in some cases. Suicide is one of the leading causes of death in South Korea, but relatively it has not got wide attention from the authorities concerned and the academia of criminal policy. The issue of suicide comes to the fore as some celebrities killed themselves in recent years and suicide finally begins to be recognized as serious problem for our society at large, not just for some outsiders or “losers.” Under such circumstances, suicide becomes the matter that must be settled urgently by the legal authorities. The police should give priority in expanding cooperative work with specialized care related agency or other health agencies to avoid future successful suicide attempt and other suicidal behaviors.

      • KCI등재

        청소년 자살시도 예측변인

        정묘순(Joung, Myosoun),서수균(Seo, Sugyun)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4 한국청소년연구 Vol.25 No.2

        본 연구는 자살위기로 진단된 청소년들의 자살시도 유무를 변별하는 변인들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정서행동선별검사 결과 학교 상담실에서 자살위기로 관리 받고 있는 부산소재 남여청소년 95명을 대상으로 무망감, 품행장애, 충동성, 알콜/약물남용, 공격성 척도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을 자살시도 집단과 비시도 집단으로 구분하여 두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충동성, 공격성, 알콜/약물남용 변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자살을 시도하는 청소년들이 자살을 시도하지 않는 청소년들에 비해 더 충동적이거나 공격적이며 알콜이나 약물을 남용하는 경향이 높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또한 자살시도집단과 비시도집단을 준거변인으로 5개 변인을 예측변인으로 설정하고 판별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동시판별분석에서는 예측변인 5개 모두 자살시도 유무를 변별하는 유의한 변인으로 밝혀졌으며 자살시도의 정확분류율은 71.6%였다. 한편 단계적 판별분석 결과 무망감과 공격성 두 변인이 자살시도 집단과 비시도 집단을 유의하게 변별하는 변인으로 밝혀졌다. 단계적 판별분석으로 도출된 함수의 정확분류율이 72.6%이고 실제 자살을 시도한 청소년을 시도 집단으로 분류한 비율이 72.4%에 이르렀다. 연구 결과 무망감과 공격성이 자살생각이 있는 청소년들이 자살시도를 할 것인지를 효율적으로 예측해주는 중요한 변인임을 알 수 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자살위기 청소년들에 대한 이해와 효과적인 개입 등 자살예방을 위한 실제적인 시사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predictors that would differentiate suicidal teens with experience of suicide attempts from those without previous experience of suicide attempts. Assessment Scales on hopelessness, conduct disorder, alcoholsubstance abuse, impulsiveness and aggressiveness were administered to 95 suicidal teens who are currently under the charge of school-counselors in Pusan middle and high schools.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discriminant analyses with the 5 factors as predictors and the status (i.e., presence, absence) of experience of suicide attempts as the criterion variable. The results of the discriminant analysis (Stepwise) revealed that only two predictors (i.e., hopelessness and aggressiveness) were significant. The discriminant function with these two predictors yielded the overall correct classification percentage of 72.6%, indicating the degree of sensitivity. The percentage of correctly classified suicidal teens who had actually attempted suicide into a group with experience of suicide attempts was approximately 72.4%. These results imply that hopelessness and aggressiveness operate as significant predictors of suicide attempts in suicidal teens. Thus, these predictors need to be included in the procedures for screening suicidal teens at risk of suicidal behavior.

      • KCI등재

        일 대학병원 응급실에 내원한 졸피뎀 음독 자살시도군의 특성

        맹헌규,이진희,민성호,김민혁,권윤나,진시영,김흥규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21 정신신체의학 Vol.29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응급실에 내원한 졸피뎀 음독 자살시도군과 다른 방법을 사용한 자살시도군을 비교하여 차이를확인하고자 하였다. 방 법: 2009년부터 2018년까지 응급실에 내원한 총2734명의 자살시도자를 대상으로 졸피뎀 음독 자살시도군, 졸피뎀 외 약물 음독 자살시도군, 비약물 자살시도군으로 분류하였으며, 세 군에 대하여 사회인구학적 특성, 자살시도와 관련된 임상적 특성들에 대해 교차분석과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결 과: 졸피뎀 음독 자살시도군과 비약물적 자살시도군에서 차이를 보인 변수들에 대한 회귀 분석 결과에서, 안정제/수면제의 사용과 치명도가 낮거나 의도의 심각성이 높지 않은 경우가 졸피뎀 음독 자살시도의 발생과 연관성이 있었다. 유사한 특성을 보인 음독군 내에서도 안정제/수면제의 사용은 졸피뎀 음독 자살시도의 발생과연관성이 있었다.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응급실에 내원한 졸피뎀 음독 자살시도군과 다른 방법을 사용한 자살시도군의 사회인구학적, 임상적 특성의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추후 졸피뎀을 사용하는 것에 대한 약물적 치료를 계획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 KCI등재

        청소년 자살시도 관련 변인이 자살시도 유형에 미치는 영향

        이승진(Lee, Seung Jin),유난숙(Yu, Nan Sook)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20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32 No.4

        본 연구 목적은 청소년 자살시도자의 양상을 분석하고, 개인심리(주관적 우울감, 주관적 스트레스), 건강상태(주관적 건강인식,BMI), 주관적 학업성적이 청소년 자살시도 유형(계획적 자살시도자와 충동적 자살시도자)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이를위해 제 15차(2019년) 청소건강행태조사 원시자료를 사용하여 위계적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자살시도자의 양상을 살펴본 결과, 청소년 자살시도자 1,731명중 계획적 자살시도자가 1,575명(91%)으로 충동적자살시도자 156명(9%)에 비해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성별을 살펴보면, 여성(67.3%)이 남성(32.5%)에 비해 자살시도가 높게나타났고, 학교유형별로 보면 중학생(62%)이 고등학생(38%)에 비해 높은 자살시도율을 보였다. 둘째, 자살시도 유형에 유의미한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은 ‘주관적 우울감’, ‘주관적 스트레스’, ‘주관적 건강인식’이었다. 우울감을 경험한 청소년의 경우 그렇지않은 학생들에 비해 계획적 자살시도를 실행할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스트레스를 많이 느끼는 청소년의 경우에도 계획적 자살시도자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관적 건강인식의 경우 충동적 자살시도자가 계획적 자살시도자와 비교하여 1.32배 건강하다고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나 건강하다고 생각하지 않은 청소년의 경우 계획적 자살시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BMI,주관적 학업성적의 경우 청소년들의 자살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초로 가정과수업이나창의적 체험활동에서 잠재적 청소년 자살시도 예방을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ere to analyze the patterns of adolescent suicide attempts, and to explore the effects of personalpsychology (subjective depression, subjective stress), health status (BMI, subjective health perception), and subjective academicperformance on the types of youth suicide attempts. For this research, data of ‘The 15th Korea Youth Risk Behavior Survey’were analyzed employing a 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ut of 1,731 youth suicideattempts 156 (9%) were impulsive and 1,575 (91%) were planned. Girls(67.3%) attempted suicide more than boys (32.5%),and middle school students (62%) attempted suicide more than high school students (38%). Second, the variables that significantlyaffect suicide attempt types were subjective depression, subjective stress, and subjective health perception, after controlling forgender, grade level, school type, and SES. The rate of planned suicide attempts was higher among those who experienced depressionthan among those who did not. In the case of subjective stress, adolescents who felt stressed were likely to commit plannedsuicide attempts. Those who attempted impulsive suicide showed 1.32 times higher subjective health perception scores than thosewho attempted planned suicide, indicating adolescents who perceived they were not healthy were more likely to attempt plannedsuicide. BMI and subjective academic performance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types of youth suicide attempts. These findings suggested the necessity of systematic intervention in Home Economics classes or extra-curricular programs, toprevent potential youth suicide attempts.

      • 응급실기반 자살시도자 관리사업의 효과성 향상방안에 관한 연구

        인수현,장서진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4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14 No.5

        연구목적 : 우리나라의 자살률은 OECD 회원국 가운데 1위이다. 우리나라의 OECD자살률 통계는 OECD Health status-mortality에 1985년에 처음 등록되었고, 등록 첫 해에 자살률은 인구 10만명 당 10명 내외였다. 그러나 1998년도를 기점으로 20명 내외로 증가하였고 2003년을 기준으로 다시 30명 내외로 증가하였다. 2006년 26.2명으로 감소하였으나 이후 다시 30명 정도를 유지하고 있으며, 2003년 이후로 OECD 회원국 가운데 자살률 1위를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높은 자살률을 감소시키기 위한 하나의 사업으로써 2013년에 응급실기반 자살시도자 관리사업이 시작되었다. 응급실은 자살시도자가 자살시도 후 처음으로 접하게 되는 의료기관이며 동시에 의사 및 정신건강관련 전문가가 자살시도자를 만날 수 있는 공간이기도 하다. 자살시도자가 응급실에서 신체적 손상에 대한 처치 및 정신건강의학과 의사의 진료를 받도록 하는 것과 퇴원 후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건강관련기관 등의 치료적 환경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사업의 목적이다. 궁극적으로는 자살재시도를 방지하여 자살률을 감소 시키는데 기여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사업은 2013년에 시작하여 전국 25개 병원이 참여하고 있다. 사업 초기로 표준화된 수행방법이 없어, 각 병원마다 상이한 형태로 수행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사업을 평가할 수 있는 합리적인 지표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사업수행 과정에서의 어려움뿐만 아니라 평가도 어려운 실정이다. 한편, 선행연구들은 본 사업의 필요성을 강조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어 효과적인 사업수행을 위한 지침을 제시하지 못한다는 한계를 지닌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하여 본 사업의 효과성 향상방안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2013년 사업 시작 이후 서울 소재의 한 종합병원 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한 자살시도자를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수업 수행의 결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분석 및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시범사업기간 동안의 수행결과와 비교하기 위하여 시범사업기간의 수행결과와 본 사업 시작 후 수행결과에 대한 동질성 검정을 시행하였다. 끝으로 본 사업이 시작된 후 내원한 자살시도자 가운데 사례관리전담요원과 대면 접촉이 일어난 92명을 대상으로 개입기록을 참고하여 개입과정에서 발생한 문제점을 검토, 범주화한 후 개선방안을 고찰하였다. 주요결과 : 2013년 한 해 동안 자살시도 및 자살사고로 응급의료센터에 총 314명이 내원하였다. 성비는 남성 123명(39.2%), 여성 191명(60.8%)이며, 연령별로 살펴보면, 10대 31명(909%), 20대 90명(28.7%), 30대 55명(17.5%), 40대 59명(18.8%), 50대 36명(11.5%), 60대 이상 43명(13.7%), 자살시도방법을 살펴보면 약물복용 56명(17.8%), 칼 등 무기로 손목 및 기타 신체자해 30명(9.6%), 목맴 9명(2.9%), 투신 3명(0.9%), 자살사고 31명(7.1%),이었다. 성별에 따른 자살시도방법을 살펴보면, 가장 많이 시도한 방법은 약물복용이었다. 그러나 목맴, 가스흡입, 투신과 간이 비교적 치명적인 방법은 남성의 비율이 높았다. 이는 선행연구의 결과와 일치한다. 사업의 결과를 살펴보면, 시범사업 동안에 172명(54.8%)이 내원하였고, 이 가운데 84명(48.8%)에 대한 개입이 이루어졌고, 이 가운데 정신건강증진센터 이용에 53명(63.1%)이 동의하였다. 사업 시작 후에는 142명(45.2%)이 내원하였고, 이 가운데 98명(69%)에 대한 개입이 이루어졌다. 이 가운데 정신건강증진센터 이용에 67명(69.1%)가 동의하였다. 한편, 정신건강증진센터 이용에는 동의하지 않았지만, 본 사업에 따른 사례관리서비스 이용은 44명(84.6%)이 동의하였다. 끝으로 응급의료센터 퇴원 후 정신건강증진센터로 연계된 자살시도자는 39명(58%)이었다. 사업의 시작 전후에 대한 동질성 검정을 실시한 결과 개입비율은 48%에서 69%로 상승하였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이는 사업 시작 후 사례관리전담요원이 응급의료센터에 상주하게 되면서 발생한 자연스러운 결과로 여겨진다. 정신건강증진센터 이용에 동의한 비율은 63.1%에서 69.1%로 다소 상승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다. 이는 응급의료센터에 상주했던 사례관리전담요원이 사업 전후로 동일하게 간호사, 사회복지사였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결과는 시범사업기간과 비교하여, 개입의 질을 유지하면서 보다 많은 자살시도자에 대한 개입이 이루어졌음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보다 많은 자살시도자에게 치료적 환경으로 유입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었음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끝으로 본 사업기간 동안의 개입기록을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한사항을 도출하였다. 첫째, 대면접촉의 제한, 사례관리자의 정규근무시간을 오전 7시부터 밤 11시로 확대 편성하였음에도 새벽과 주말에 내원한 자살시도자는 사례관리자가 대면접촉을 할 수 없었으며 이들은 전체 자살시도자 가운데 약 30%를 차지하였다. 둘째. 면담공간의 제한, 개방된 공간에서의 면담은 자살시도자와 그 가족에게 수치심을 안겨줄 수 있으며 면담의 질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되었다. 셋째, 높은 중도거부율, 응급실 내원 당시 자살시도자 혹은 그의 가족구성원이 정신건강증진센터 이용에 동의한 후 퇴원하였더라도 퇴원 후에 센터를 이용하지 않은 비율이 높았다. 정신건강증진센터의 이용은 본 사업의 핵심 목표이므로 이에 대한 현황파악, 원인분석 및 향후 대응반안 등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표준화된 개입 매뉴얼의 부재, 개입의 목표, 절차, 평가를 포함하는 매뉴얼이 없어 개입과정에 혼란이 있었다. 사례관리자가 사업의 필요성과 목표, 사례관리자의 역할 및 개입절차, 평가지표에 대해서 알지 못한다면 기계적인 연계, 사업의 목표와는 다른 형태의 개입 등이 이루어져 효과성을 저해하는 요인이 될 것이다. 결론 : 상술한 제한사항을 토대로 다음과 같은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근무여건의 개선, 면담의 효과성향상을 위하여 면담실을 마련하고, 대면접촉비율의 증가를 위하여 사례관리자를 충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사례관리자의 높은 이직률을 낮추고, 숙련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처우를 개선하고, 교육훈련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도 필요하다. 둘째, 높은 중도거부율에 대한 분석, 퇴원 후 정신건강증진센터를 이용하지 않은 것은 그 자체로는 평가가 어려우며, 따라서 퇴원 후에 어떠한 이유로 정신건강증지센터를 이용하지 않았는지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셋째, 표준화된 개입메뉴얼의 보급 및 합리적인 평가지표 개발, 표준화된 개입메뉴얼은 이직률이 높은 현 상황에서 사업의 질을 유지할 수 있는 수단이 될 것이다. 당위성이 확보된 합리적인 평가지표 또한 본 사업의 질을 유지하는데 필수요소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청소년 자살시도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자살시도 이전 단계, 자살시도 단계, 자살실패 이후 단계 경험을 중심으로

        정주연,박재연 한국청소년학회 2015 청소년학연구 Vol.22 No.7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hrough interviews of adolescent survivors with Suicidal Attempt Experiences based on their Pre-suicide attempt, in thoes day of suicide attempt, after suicide attempt Experiences. Only Seven study participants were chosen among the Adolescent Clients who reported their Suicidal Attempt Experiences in counseling center. The participants had a semi-structured one-on-one interviewing and the data was analyzed by the method of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The analyses included 18 domains; the result summarized as follows. Pre-suicide attempt stage experience was classified into ‘cause of suicide attempt’, ‘inner and extrinsic experience before suicide attempt’, and ‘the time required from the first suicidal ideation to real attempt’. Of these, ‘interpersonal relation’ has great effect on cause of suicide attempt. Suicide attempt stage experience was classified into ‘the first suicide attempt time’, ‘inner experience after suicidal decision’, ‘place of suicide attempt’, ‘instrument’, and ‘method’. ‘There is no will to live.’ is most typical among inner experience of suicide attempt. After failure of suicide stage experience was classified into ‘psychological state after failure’, ‘the most difficult part’, ‘the effort to overcome difficulty’, ‘what kind of support they need’. The result showed that after failure of suicide attempt, the most difficult thing is ‘consciousness of others’ and the most needful help is ‘attention’. Stages of adolescent suicide attempt experience and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s turned out through this research can contribute to practical strategy arrangements and have very important suggestions in the perspective of adolescent suicide prevention. 본 연구는 자살시도 경험이 있는 생존 청소년의 자살시도 이전, 자살시도 당시, 이후 경험을 바탕으로 수행 되었다. 이를 위해 상담센터에 내원한 청소년 내담자 중 자살시도 경험을 보고 하였던 7명을 선정하여 인터뷰하였다. 반 구조화된 질문을 활용하여 1:1 면담방식으로 진행하였으며, 추출된 자료는 합의적 질적 연구방법(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과정을 통하여 최종 18개의 영역을 도출하였는데, 자살시도 이전 단계경험은 ‘자살시도 원인’, ‘자살시도 직전 내·외적 경험’, ‘처음 자살 생각부터 실제 시도까지 소요시간’ 둥으로 영역이 나누어졌다. 이 중 자살시도의 원인으로는 ‘대인관계’가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자살시도 단계의 경험은 ‘첫 자살시도 시기’, ‘자살 결심 후 내적 경험’, ‘자살시도 장소’, ‘도구’, ‘방법’, 등의 영역으로 나누어졌는데, 자살시도 단계의 내적 경험 중에는 ‘살아갈 의욕 없음’이 가장 전형적 이었다. 자살 실패 이후 경험으로는 ‘실패 후 심리적 상태’, ‘가장 힘든 점’, ‘힘든 상황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 ‘어떤 도움이 필요한가’, 등의 영역으로 나누어졌는데, 그 결과 실패 이후 가장 힘든 점으로는 ‘타인에 대한 의식’이며, 가장 필요한 도움은 ‘관심’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밝혀진 청소년의 자살시도에 대한 단계별 경험과 그 경험이 주는 의미는 청소년 자살 예방적 관점에서 매우 큰 시사점과 실천적 전략을 마련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신체적, 성적 외상경험과 자살시도의 관계에서 대처유연성의 보호효과

        박모란,김수환,유성은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15 인지행동치료 Vol.15 No.1

        대처유연성은 외상 이후 미래 중심적 대처와 외상 중심적 대처 두 가지 모두를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는 대처능력에 대한 지각된 믿음으로 정의된다. 본 연구에서는 대처유연성이 신체적 또는 성적 외상경험이 있는 경우 인구통계학적 위험요인과 정신과적 진단력(PTSD, MDD)을 통제한 후에도 자살시도에 대한 보호요인이 되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18세 이상 65세 미만의 성인 남녀 133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면담평가도구인 컬럼비아 자살 심각성 평가 척도(C-SSRS)와 DSM-IV의 축 1 장애 진단을 위한 구조화된 면담(SCID-I) 중 PTSD와 MDD 모듈을 실시하였고, 자기보고식 설문형식으로 신체적, 성적 외상경험과 대처유연성을 측정하였다. C-SSRS 면담결과 판별된 자살시도군 38명과 비자살시도군 95명의 자료를 가지고 위계적 다중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인구통계학적 변인(교육수준, 직업상태), 정신과적 진단력(PTSD, MDD)을 통제한 후에도 대처유연성은 자살시도와 유의하게 부적인 관계가 있었고(주효과), 신체적 또는 성적 외상경험이 있는 경우 자살시도를 완충시켜주는 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상호작용효과). 대처유연성이 낮은 사람들은 신체적 또는 성적 외상경험이 있는 경우 자살시도 빈도가 유의하게 증가했지만 대처유연성 수준이 높은 경우에는 신체적 또는 성적 외상경험이 있더라도 자살시도 빈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지 않았다. 대처유연성의 두 가지 하위요인인 미래 중심적 대처와 외상 중심적 대처에 대해서도 각각 동일한 가설을 검증해 본 결과, 미래 중심적 대처만이 자살시도에 대한 보호효과가 있었고, 외상 중심적 대처는 자살시도와 유의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대처유연성의 보호적 기능을 강화시킬 수 있는 인지행동적 개입이 신체적 또는 성적 외상경험자들의 자살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지에 대해 논하였다. Coping flexibility refers to the ability to use forward focus and trauma focus coping in response to traumatic events. The aim of the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coping flexibilit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or sexual trauma and suicide attempt above and beyond sociodemographic, psychiatric risk factors. A total of 133 community adults of ages 18-64 were recruited. All participants completed self-report measures of the Perceived Ability to Cope with Trauma (PACT) scale and selected items out of the Traumatic Life Events Questionnaire (TLEQ). Also, structured interviews for the Columbia Suicide Severity Rating Scale (C-SSRS) and the Structured Clinical Interview for DSM-IV (SCID-I),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and major depressive disorder (MDD) modules were conducted to all participants. Hierarchical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indicated that coping flexibility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reduced risk of suicide attempt after controlling for demographic risk factors and lifetime history of PTSD or MDD diagnoses. Furthermore, coping flexibility buffered against the risk of suicide attempt in the presence of physical or sexual trauma history. Specifically, low level of coping flexibility was linked to increased risk for suicide attempts in the presence of physical or sexual trauma history whereas there was no such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or sexual trauma and suicide attempt among individuals with high level of coping flexibility. Separate analyses examining the protective role of forward focus and trauma focus coping revealed that only forward focus coping had a protective role for suicide attempt.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flexible coping abilities may be beneficial in reducing suicidal attempt among individuals who have been exposed to physical or sexual trauma above and beyond the presence of demographic, psychiatric risk fac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