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술’과 ‘언어’ 활동 융합형 아동 발달지원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분석 :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의사소통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박윤미(Park, Yunmi),전은진(Jeon, Eunjin),김시정(Kim, Sij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0

        목적 본 연구는 초기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미술’과 ‘언어’ 활동 융합형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의사소통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경기도 소재 사회적 기업 C에서 방과 후 돌봄 교실에 참여하는 학령초기 아동 5명을 참여자로 주 1회 회기당 60분씩 총 10회기의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기관보고 및 면담자료, 회기평가 및 관찰일지, 초등학생용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척도와 의사소통 척도를 기반으로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의사소통 태도의 변화양상을 질적분석하였다. 결과 ‘미술’과 ‘언어’ 활동 융합형 프로그램을 설계하여 적용한 결과, 학습계획, 학습실행, 학습평가 영역에 이르는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긍정적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해석, 역할수행, 자기제시, 목표설정, 메시지 전환능력을 중심으로 한 의사소통태도에서도 자신감과 적극성, 관심도와 안정감이 함양되는 유의미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사회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이슈인 ‘융복합’의 담론을 아동 발달지원을 위한 치료교육으로 확산시키고자 하는 선도적 연구로 본 연구를 통해 뚜렷한 실천 논리를 찾기 힘들었던 미술과 언어의 융복합적 접근을 정교화하고 효과성을 확인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dminister a convergence program of “art” and “language” to a group of early school-age children and investigate its effects on their learning abilities and communication attitudes. Methods For these purposes, the study selected five early school-age children participating in an after-school care class at C, a social enterprise in Gyeonggi Province. They participated in a ten-session program with a 60-minute session per week. The study conducted a qualitative analysis of changing patterns of their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and communication attitudes based on agency reports, interviews, session evaluations, observation logs, and inventories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and communi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sults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convergence program of “art” and “language” activities had significant effects on school-age children s improvement i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across the areas of learning planning,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and also in self-confidence, initiative, interest, and stability under communication attitude. Conclusions As a result of designing and applying the convergence program of “art” and “language” activities, positive changes i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ranging from learning plan, learning performance, and learning assessment areas were confirmed. In addition, in the communication attitude centered on interpretation, role performance, self-presentation, goal setting, and message conversion ability,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significant results of cultivating confidence, positiveness, interest rate and stability.

      • KCI등재

        질문생성전략을 활용한 미술관 작품 감상 활동이 미술 감상 능력에 미치는 영향

        배진희(BAE, Jin Hee),류재만(RYU, Jae Man) 한국미술교육학회 2018 美術敎育論叢 Vol.32 No.3

        본 연구는 초등학교 5학년을 대상으로 질문생성전략을 활용한 미술관 작품 감상활동이 미술 감상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이다. 인지주의 심리학이 발전하면서 등장한 학습전략인 질문생성전략을 활용하여 미술관에서 관람객이 중심이 되는 작품 감상 활동을 설계하였다. 질문생성전략은 질문과 대답으로 이어지는 대화를 중심으로 하는 학습을 의미하는데 그 중에서도 학습자 스스로 묻고 답하는 활동과 학습자가 다른 학습자들과 번갈아가며 질문과 대답을 주고받는 활동을 포함 하는 것으로 질문생성의 주체가 ʻ학생ʼ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학습자들이 질문 생성전략을 활용하여 4개의 현대 미술 전시를 관람하면서 작품에 대한 자신만의 의미를 생성하는 과정을 분석하고 미술 감상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학습자의 인지적, 정의적, 소통적 영역의 미술 감상능력이 고루 향상되었으며 자기 주도적 미술 학습 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의 미술관 교육은 작품에 내재한 의미 파악 보다는 관람객 스스로의 의미형성과 가치 판단이 존중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This is a study of 5th-grade student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rt museum activities based on the question generation strategy on their art appreciation abilities. The question generation strategy appeared as a kind of learning strategy with advances in cognitive psychology. This strategy was used to develop visitor-centered art appreciation activities in four art museums. The question generation strategy refers to a conversational learning strategy based on question and answer. It encompasses an activity that the students pose questions and answer the questions by themselves. It also encompasses an activity that the students exchange questions and answers with others. This method is significant because students are the ones who are crafting the questions. The research participants experienced four contemporary art exhibitions utilizing the question generation strategy. This research examines their process of meaning-making and the impacts of the question generation strategy on their art appreciation abilities. First, the research participantsʼ abilities of cognitive, affective, communicative domains were developed. Second, their self-directed art learning abilities were developed. Therefore, art museum education in the postmodernism era should take account more of visitorsʼ meaning-making and value judgment than inherent meanings of the artworks.

      • KCI등재

        자기 주도적 미술 학습을 위한 공간 디자인 프로그램 설계- 예비 초등 교사를 대상으로 한 미술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정회진,박소영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9 미술교육연구논총 Vol.56 No.-

        Design is the reaction to all the environments and objects surrounding and nature of human beings to attempt meaningful change. The space as a mixture of natural order and human order constantly affects human life. The meaning and value of space design is not tied to the artistic, aesthetic, and material characteristics, but begins with human experience and self-directed. As an object of the learner's active reactions to the environment, ‘Space’ is suitable as a self-directed art learning material leading to personal development and social improvement through communication. The learner is able to develop self-directed art learning ability when he / she participates in art activities and develops and reflects himself / herself, and understands, respects, cares and cooperates with others' thoughts and feelings in the process. Therefore, this study designed 'Future Classroom Design' which is a space design program considering the field of school based on the relation between space and self-directed. As a result of this program, preliminary elementary teachers practiced and examined the possibility of site and expected effect. The learner can expect to develop self - directed art learning ability by creating and evaluating a future classroom model, a space design program, by linking with other subjects and visual communication based on his own experience. 디자인은 인간을 둘러싼 모든 환경과 사물에 대한 반응이고, 의미 있는 변화를 시도하려는 인간의 본성이다. 자연의 질서와 인간이 만든 질서의 혼재로서의 공간은 끊임없이 인간의 삶에 영향을 준다. 공간 디자인의 의미와 가치는 예술적, 미적, 재료적 특징에 매어 있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경험과 자기 주도성에서 시작된다. 환경에 대한 학습자의 적극적인 반응의 대상으로서 공간은 소통을 통해서 개인의 발전과 사회적 개선의 방향으로 이끌어 가는 자기 주도적 미술 학습 제재로 적합하다. 학습자가 미술 활동에 주도적으로 참여하면서 자기를 계발·성찰하고, 그 과정에서 타인의 생각과 느낌을 이해하고 존중·배려하며 협력할 때 자기 주도적 미술 학습 능력을 기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간과 자기 주도성의 관련성을 바탕으로 공간 디자인 프로그램인 ‘미래 교실 디자인’을 설계하고, 예비 초등 교사들의 디자인 프로세스 실습을 통해 현장 가능성과 기대 효과를 고찰하였다. 학습자는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타 교과와의 연계 및 시각적 소통으로 공간 디자인 프로그램인 미래 교실 모형을 제작 및 평가하면서 자기 주도적 미술 학습 능력을 함양할 것을 기대할 수 있다

      • KCI등재

        비평적 탐구 활동이 자기 주도적 미술 감상 학습 능력에 미치는 영향

        주민정,류재만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21 미술교육연구논총 Vol.66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eveloping guidance of critical inquiry program and I would like to use it as a strategy for enhancing self-directed are appreciation ability. First, the learner’s active participation ability was improved through critical inquiry. Learner participated all critical inquiry activities actively and the learner’s preference of art appreciation was raised compared to before. Second, the learner’s independent planning ability was improved through critical inquiry. Students have become able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inquiry problem and hypotheses and to formulate their own hypotheses. Third, the learner’s inferential interpretation ability was improved through critical inquiry. Students have become enable to identify the contextual content of art works and verify whether their hypothesis was right or wrong. Fourth, the learner’s reflective introspection ability was improved through critical inquiry. Students evaluated the critical inquiry process through introspection and were able to talk about what to praise and supplement. Fifth, the learner’s receptive respect ability was improved through critical inquiry. Students showed an attitude of understanding and respect and accepted different views on the work even if they explores the same work through various critical inquiry activities. In the post-modern era, appreciation education should move toward forming meaning and judging value on its own rather than acquiring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work. According to this trend of appreciation education, critical inquiry activities can be an appropriate way for learners to judge the value of art works and develop an attitude of enjoying art culture in their lives.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해 인류가 직면한 새로운 세상은 무서운 속도로 우리의 삶을 바꾸고 있다. 새로운 지식과 정보가 쏟아져 나오는 이 시대에 학교 교육이 담당할 수 있는 것은 만들어진 지식을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급변하는 세상에 적응할 수 있도록 배우는 법을 가르치는 것이다. 그에 따라 미술 감상 교육에서는 작품에 대한 지식을 전달하는 것이 아닌 학생 스스로 작품을 감상할 수 있도록 자기 주도적 미술 감상 학습 방법을 가르쳐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학생이 능동적으로 감상 활동에 참여하고 생활 속에서 미술 문화 향유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학습 전략에 대해 고민하였으며, 게히건이 제시한 비평적 탐구(Critical Inquiry) 이론에 주목하였다. 본 연구는 비평적 탐구 감상 활동이 자기 주도적 미술 감상 학습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기 위해, 서울 A초등학교의 3학년 B 학급 22명(남자 11명, 여자 11명)을 대상으로 실행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자기 주도적 미술 감상 학습 능력의 구성 요소를 추출하여 이를 실행 연구 분석의 기준으로 삼아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적용 결과 비평적 탐구 활동이 학습자의 능동적 참여 능력, 주체적 계획 능력, 추론적 해석 능력, 반성적 성찰 능력, 수용적 존중 능력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것을 추론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찾아라! 우리 동네」 프로젝트 - 신 박물관학 미술관교육을 중심으로 -

        오륜희(Oh, Ryun Hee),박소영(Park, So Young) 한국미술교육학회 2018 美術敎育論叢 Vol.32 No.3

        2015 교육과정에서 미술교과역량은 시각적 소통능력, 창의・융합능력, 미적 감수성, 미술문화이해능력, 자기주도적 미술학습능력으로 5가지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교과서 중심의 공식적인 교육과정이 존재하는 학교 수업 안에서의 수업만으로는 이러한 역량을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이에 연구자는 일차원적이고 추상적인 내용을 학습하는 학교와 달리 직접적이고 다중감각적인 활동을 할 수 있는 미술관 교육을 제안하고자 한다. 미술관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구성주의 이론을 이해하고, 구성주의를 활용한 미술관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또한 현재 변화하고 있는 미술관교육을 전통적 미술관과 신 박물관학을 기반으로 한 미술관교육으로 비교하여 논의한다. 따라서 「찾아라! 우리 동네」 프로젝트에서는 신 박물관학을 기반 으로 지역연계를 강조한 미술관교육 8차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초등학교 1,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시행한다. 이후 프로그램의 결과물과 사전, 사후 설문지 분석을 통해 다음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신 박물관학에 근거한 미술관교육 프로그램으로서 학생들의 개인적 맥락, 물리적 맥락, 사회문화적 맥락의 상호작용을 일으키는 데 효과적이다. 학생들은 세 가지 맥락을 통해 풍부한 경험을 가졌으며, 이는 학습으로 이어졌다. 둘째, 학생들은 수업이 진행됨에 따라 자기주도적으로 학습에 참여하였으며, 습득한 지식을 자신만의 작품으로 표현하였다. 셋째, 학생들은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교사중심의 일방적인 이론교육의 수업에서 벗어난 관람객 중심의 상호작용을 통한 경험중심의 미술관교육에 대한 긍정적 감정과 흥미를 갖게 되었다. 또한 프로젝트 수업을 통해 학생들의 뮤지엄 리터러시와 창의・융합능력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2015 curriculum suggests the visual communicability, creativity・fusion ability, aesthetic sensitivity, art culture understanding, and self-directed art learning ability as the art subject capability. However, it is difficult to improve these competencies only by the class in the school class that the textbook-oriented official curriculum exists. Hereby, the researcher would suggest the museum education facilitating the direct and multi-sensory activities unlike the school where students learn the one-dimensional and abstract content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onstructivism theory to develop the museum education program, and to suggest the necessity of the museum education using the constructivism. Also, the currently changing museum education is compared with the traditional museum and the museum education based on new museology. Therefore, 「Find! our village」 project develops the museum education 8-session program which emphasized the regional connection based on new-museology and does research targeting 1st and 2nd-year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Afterwards, following results were drawn through the result of program and the advance/post questionnaire analysis. First, it is the museum education program based on new-museology, which is effective in bringing about the interaction of the personal context, physical context, and sociocultural context of students. Students had abundant experiences through 3 contexts, which led to learning. Second, students participated in learning in a self-initiated way as the class proceeds and expressed the acquired knowledge into their own work. Third, students had the positive emotion and interest in the experience-oriented museum education through the visitor-oriented interaction away from the teacher-oriented unilateral theory education class done in school. Also, it was confirmed through the project class that the museum literacy and the creativity・fusion ability of students were improv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