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설교자의 자기기만에 관한 연구

        김지혁 한국실천신학회 2016 신학과 실천 Vol.0 No.49

        좋은 설교에 대한 규정은 설교 ‘행위’가 아니라 ‘설교자’에 달려 있다는 사실을 전제로 할 때, 오늘날 강단의 회복을 위해 설교자들은 설교의 내용이나 전달 방법뿐만 아니라 근본적으로 설교자 자신에 대한 성찰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설교자가 빠질 수 있는 세 가지 유형의 자기기만을 분석하고 그 대안을 제시한다. 첫째, 해석학적 자기기만이 있다. 성경 저자의 의도를 발견하기 위해 다양한 해석학적 과정을 거치지 않고 본문에 대한 이전의 경험 또는 선입견으로 획득된 의미를 마치 본문의 진정한 의미로 믿고 설교를 하는 것이다. 이를 피하기 위해 설교자가 무지의 베일을 쓰고 본문에 대한 귀납적 관찰을 통해 본문의 정확한 의미에 접근해 가는 해석학적 평형의 방법을 제안한다. 둘째, 설교자들은 실천적 자기기만에 빠질 가능성이 많다. 특별히 설교의 표절을 예로 들 수 있다. 실천적 자기기만을 피하기 위해 설교자는 자신의 윤리적 책무에 대한 깊은 자각을 가져야 하고 무엇보다 성령의 도우심을 구해야 한다. 설교자들의 마음의 감각이 성령의 빛을 통해 새로운 습관과 성향으로 만들어질 때 이런 자기기만의 책략에서 벗어날 수 있게 된다. 셋째, 본문 선택에서의 자기기만도 있다. 설교자 자신의 목적과 취향에 맞는 본문을 가지고만 설교할 경우 또 다른 형태의 eisegesis가 될 수 있다. 이를 피하기 위해 연속 강해 설교를 제안하며, 목회적 필요에 따라 주제별 강해 설교를 병행하는 것도 좋다. 사람들은 인정하기 힘든 고통스러운 진실을 회피하기 위해서, 도덕적 의무감을 회피하기 위해서, 또는 습관적이고 은밀한 죄를 반복적으로 저지르기 위해서 자기를 기만한다. 특별히 설교자들은 자기기만에 취약할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 강단의 회복을 위해 설교자들의 철저한 자기반성과 윤리적 갱신이 우선되어야 한다. The definition of good and effective preaching depends not upon preaching 'event', but ‘preacher' himself. Preachers who want to revive their pulpit should take time for introspection for themselves as well as sermon contents or delivery. This article analyzes three types of self-deception under which preachers easily fall and also proposes an alternative. First, we can think of hermeneutical self-deception. This appears when preachers skip various hermeneutical process for finding the intention of biblical author, believing that the meaning from their experience or preunderstanding can define the meaning of the text. I propose hermeneutical equilibrium in which preachers wear the veil of unawareness and approach the meaning of the text through inductive observation. Second, preachers are likely to fall under practical self-deception. The classic case is sermon plagiarism. In order to avoid practical self-deception, preachers should have a deep consciousness of their ethical obligation. Above all, they must seek the help of the Holy Spirit. Third, self-deception appears when preachers select the sermon texts only with their purpose and interest. It must be another type of eisegesis. I suggest sequential expository preaching and topical expository preaching according to pastoral needs. People deceive themselves in order to evade the bitter and painful truth, to neglect their moral duty, or repeatedly commit a habitual secret crime. Preachers especially need to acknowledge that they are vulnerable to self-deception.

      • KCI등재

        자기기만의 현상학

        하병학(Byung-Hak Ha) 한국현상학회 2003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21 No.-

        자기기만은 현대에 들어와 주요한 철학적 연구대상으로 자리 잡게 되었지만 그 이전 철학에서도 종종 논의되곤 하였다. 하지만 이때 자기기만은 주로 착각, 오류 등의 의미로 사용된 것이다. 현대철학에 있어서 자기기만에 대한 담론들을 살펴보면 크게 둘로 나눌 수 있다. 그 하나는 자기기만이 타 자기기만과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다는 입장이고, 다른 하나는 서로 다른 구조를 갖고 있다는 것이다. 전자의 입장에 자기기만을 보면 자기기만의 역설이 등장하기에 이를 극복하기 위해 자기기만을 여러 기능적 측면에서 해석한다. 후자의 입장은 자기인식이 사물인식과는 다르다는 점에서 출발한다. 그리고 자기기만을 심리학적, 사회학적, 해석학적으로 접근한다. 자기기만을 확장하면 집단적인 자기기만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자기기만은 자기동일성, 자기인식, 자기이해를 더욱 깊이 성찰하게 하는 거울이다.

      • KCI등재

        기업조직에서 자기기만과 리더십효과성

        구자숙(Koo, Ja Sook),서상태(Seo, Sang Tae),최해연(Choi, Hae Youn) 한국인사관리학회 2010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34 No.2

        비효과적인 리더십 현상들을 체계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기저 요인으로서 리더의 자기기만행동과 사고가 조직 내에서 어떤 형태로 나타나며 리더십 효과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한 탐색적인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1에서는 심층집단면접을 실시하여 한국의 조직현장에서 나타나는 자기기만 행동과 사고의 구체적인 사례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사례들에 대한 질적 분석을 통해 ‘육성 및 위임에서의 자기기만’ ‘직무 및 배려에서의 자기기만’ ‘의사소통에서의 자기기만’의 세 범주를 도출하고, 이 3 요인 구조를 기반으로 ‘자기기만 행동 및 사고척도’를 개발하였다. 이어 연구 2에서는 국내 3개 기업, 68명 리더를 대상으로 척도의 타당화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3에서는 국내 3개 대기업 근무하는 리더 75명과 그들의 직속부하174명을 대상으로 리더의 자기기만 행동 및 사고가 리더십 효과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였다. 그 결과 육성 및 위임과 관련된 리더의 자기기만 사고가 프로듀서, 지시자, 조정자역할에서의 리더십 효과성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리더의 직무 및 배려 관련 자기기만 행동은 부하직원들이 평정한 상사의 윤리적 리더십을 낮추는 효과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리더가 자기기만적 행동과 사고를 자각하여 자기의식을 확장하고 리더십 비효과성을 개선하도록 돕는 방안을 논의하였다. Three studies were administered to investigate the role of self deception in leadership ineffectiveness. In study 1, real life cases of self deceptive behaviors and thoughts manifested in organizations were collected through a focus group interview. The cases collected were qualitatively analyzed, which led to three categories of self deception: 'self deception in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d empowerment,' 'self deception in job performance and consideration,' and 'self deception in communication.' Based on these three factor structure of self deception, a scale measuring self deceptive leadership behaviors and thoughts was developed. In study 2, the self deception leadership scale was validated using the data from 68 leaders in three business organizations. In study 3, a questionnaire design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 deception and leadership ineffectiveness was administered to 75 leaders and their 174 subordinates in three business organiza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leaders' self deceptive thoughts in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d empowerment significantly reduced leadership effectiveness in producer, director, and coordinator roles. Meanwhile, leaders' self deceptive behaviors in job performance and consideration significantly reduced the ethical leadership evaluation of the subordinates. Lastly, the ways to enhance the leaders' awareness of their self deception tendency and to improve leadership effectiveness was discussed.

      • KCI등재

        이청준 소설 속 인물들의 자기기만과 실존의 조건

        서은혜(Seo, Eun-hye) 한국근대문학회 2018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9 No.2

        1960년대 중반 이후 한국사회는 반공법을 명분으로 한 지배권력에 대한 순응이 가시적, 비가시적 형태로 요구되었다. 이청준은 실존적 사유를 현실포착과 의미화의 틀로 개입시키고 있다. 이 글에서는 『존재와 무』 제2부에서 인간 의식의 보편적 특성이자 필연적 현상으로서의 ‘부정성’을 드러내는 ‘자기기만(la mauvais foi)’의 개념을 통하여 이청준 소설의 인물을 유형화하고, 작가가 실존과 자유의 문제의식을 어떤 식으로 드러내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 때 ‘자기기만’은 신념에 대한 집착으로 이어지는 성실성의 폭력, 자유와 선택을 스스로 거부하고 사물에 가까워지고 자 하는 죽음 지향의 유혹, 명증해 보이는 진리에 대한 인간의 끝없는 회의와 부정성이라는, 불안으로부터 도피하려는 일반적 유형들을 제시한 개념이다. 『소문의 벽』의 김 박사, 『당신들의 천국』의 조백헌 대령으로 이어지는 자신의 신념에 대한 무조건적 확신을 보이는 인물들의 태도는 자기기만의 허위를 파악하지 못한 채 그것을 세상에 대한 충실한 태도라 믿는 ‘성실함의 자기기만’으로 묶어서 이해해 볼 수 있다. 이는 반공법을 명분으로 한 여러 필화, 간첩 사건이 가시화되던 시대배경과 함께 독재 심리의 내밀한 역동을 암시하고 그 폭력성을 우회적으로 비판한다는 점에서도 주목된다. 한편 『씌어지지 않은 자서전』, 소문의 벽 에 있는 액자소설에서는 스스로 능동적인 선택의 기회와 그에 따른 자기 형성을 거부하며 유사 죽음의 상태를 지향하는 인물들이 나온다. 『씌어지지 않은 자서전』에서 여성 두 명을 두고 저절로 그들 사이에 선택이 이뤄지도록 하는 소설 속 소설의 주인공, 〈괴상한 버릇〉에서 낭패한 일이 생길 때마다 잠을 자거나 시체처럼 누워 있는 주인공, 〈벌거벗은 임금님〉에서 사장의 일탈을 발설하면 안 된다는 강박에 못 이겨 마침내 감시의 환상에 시달리는 주인공, 마지막 소설에서 신문관의 ‘스스로 선택한 수형’이라는 발화에 이르기까지 인물들은 모두 선택을 미루거나 변화의 기회를 스스로 박탈하고 자기를 부정함으로써 삶 그 자체의 가능성을 인정하지 않는다. 스스로 사물이 되고자 하는 유혹에 굴복하는 이들 인물은 사르트르의 자기기만 개념 중 ‘즉자화의 자기기만’이라 표현되는 유형, 혹은 이를 ‘석화(石化)작용’이라 번역하고 있는 정명환의 논의를 떠올리게 한다. 성실함의 자기기만, 혹은 사물화의 유혹에 굴복하는 자기기만의 상태를 벗어나 실존을 지향하는 인물들의 행동은 진술 거부나 소설 쓰기와 같은 언어행위, 혹은 탈출로 구체화된다. 『소문의 벽』에서 한국전쟁에서의 어느 한 진영의 선택, 특정한 문학 이념과 형상화 방식을 선택하라는 작가에 대한 요구, 자신을 정신병자로 규정하는 김 박사를 피하는 박준의 행위, 그리고 이를 모두 종합한 ‘진술 거부’라는 상황은 자신의 신념을 보편의 차원으로까지 격상시키려는 모든 종류의 확실성의 요구에 대한 소극적 저항을 의미한다. 또 『당신들의 천국』에서 섬사람들의 탈출 역시 원장들의 명분의 독점과 독단성에 대한 저항의 의미를 담고 있다. 이 점에서 『당신들의 천국』은 모든 종류의 ‘명증한 진리를 거부’하는 행위 속에서 탄생될 수 있는 역설적인 진리의 순간을 강조하고자 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미래의 불안과 위험을 스스로 감내하고라도 인간으로서의 자유를 수행하겠다는 결단, 즉 긍정적 자기기만을 보이는 부분이다. 이처럼 법과 제도로서 지배 권력의 신념을 강력하게 언표하고 통제하려 했던 60~70년대의 권력과 통제사회 내 인물들의 심리적 역동을 이청준은 인간 의식의 보편적 특성인 자기기만의 사례를 통해 좀 더 구체적으로 형상화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이청준은 독재 체재로의 변화와 그 사회 속 지식인, 민중의 심리적 역동에 대해 깊이 있는 서사를 창안해 낼 수 있었으며, 더 나아가 실존적 자유의 개념을 암시하며 근원적인 삶의 조건에 대해 탐색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칸트의 “악으로의 성벽Hang zum Bösen”에서 자기기만의 문제

        강지영 ( Kang Ji Young )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2020 철학연구 Vol.0 No.62

        많은 연구자들은 다양한 논거에 의해 칸트 윤리학에서 자기기만이 악의 필요조건이라고 주장했다. 본 논문에서는 “악으로의 성벽”의 각 단계에서 자기기만이 일어나기 때문에, 자기기만은 악의 필요조건이라는 해석이 옳은지를 검토한다. 본 논문에서 나는 “악으로의 성벽”의 각 단계에 자기기만이 동반되지 않으며, 오직 세 번째 단계인 “타락성” 단계에만 자기기만이 일어난다고 주장한다. 이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칸트에서 “악으로의 성벽”이 언급된 원전 부분을 검토한 뒤, “악으로의 성벽”의 모든 단계에서 자기기만이 일어난다고 보는 헨리앨리슨의 해석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이어 3장에서는 앨리슨의 해석에 반대하는 대표적인 해석인 뤽가버와 패스터낙의 해석이 설득력이 있는지 따져본다. 이 과정에서 앨리슨, 뤽가버, 패스터낙의 해석이 원전에 의해 뒷받침되지 않음이 드러날 것이다. “악으로의 성벽”의 각 단계는 칸트에게 비도덕성의 일반적 범주들을 가리키므로, 각 단계에서 자기기만이 동반되지 않으면, 칸트에서 자기기만은 악의 필요조건이 아니다. “악으로의 성벽”의 세 번째 단계에서만 자기기만이 동반된다는 나의 해석은, 칸트 윤리학에서 자기기만이 악의 필요조건이 아님을 보여준다. 단 나의 결론은 자기기만이 인간적 악의 중요한 형태인 위선자의 악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 원천임을 보여준다. Many researchers argued that self-deception is a necessary condition of evil in Kant’s ethics by various arguments. In this paper, I examine the plausibility of the interpretation according to which the self-deception is a necessary condition of Kantian evil since self-deception occurs at each stage (Stufen) of the “Hang zum Bösen”. In this paper, I argue that all stages of “Hang zum Bösen” are not accompanied by systematical self-deception, and that only in the third stage of “depravity” the self-deception occurs. In the second chapter, I interpretate the part of the phrases mentioned “Hang zum Bösen” in Kant’s Works to support this argument. And I critically examine Henry Allison’s interpretation, in which self-deception occurs at every stage of “Hang zum Bösen”. In the third chapter then I examine the interpretation of Rukgarber and Pasternak, as the representative counter-interpretations of Alison’s interpretation. This process reveals the problems of the interpretations of Alison, Rukgarber, and Pasternak. Each stage of “Hang zum Bösen” refers to the general categories of immorality for Kant, so if self-deception is not accompanied at each stage of “Hang zum Bösen”, self-deception is for Kant not a necessary condition for evil. However, my conclusion shows that self-deception is an essential source of hypocrisy, which is for Kant the crucial sort of human evil.

      • KCI등재

        자기기만적 고양의 방어성 논의

        최해연,구자숙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09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23 No.4

        Self-deceptive enhancement(SDE) has been found to play a significant role in misleading research results. There also have been arguments on the psychometric validity of this construct. Two studies were conducted to examine whether SDE is measuring defensiveness distorting reality or positivity predicting psychological adaptiveness. In study 1, a questionnaire including self-report inventories on self-deceptive enhancement(BIDR-7; Paulhus, 1998a), defense mechanism, and adaptation index was administered to a group of 246 participants. The results showed substantial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SDE and psychological adaptation index, which replicated previous results.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DE and adaptation(self-esteem) was moderated by defense mechanism(omnipotence). In study 2, in order to see if the SDE is related to distortion of reality, we compared two measures of self-enhancement: self-reported SDE vs. the discrepancy between self-rated and other-rated interpersonal problems(criterion-based self enhancement). A total of 105 pairs of respondents participated in study 2. The two measures of self enhancement were positively related. Self-reported SDE enhanced self perception of emotional capacity and interpersonal adaptation, but was not related to other perception of them. The result implies that people with high SDE evaluate themselves more highly in processing self-relevant information, positively distorting the reality. Also, the self-reported SDE reduced the negative psychological symptoms and improved self-esteem, while the criterion based self enhancement did not. The result also suggests that the self-reported SDE is related to defensiveness. 자기기만적 고양이 연구 변인들 간의 관계를 오도시킬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며, 한국문화에서 자기기만적 고양 개념이 현실 왜곡과 관련된 방어성을 반영하는지 검토하였다. 연구 1에서 246명을 대상으로 자기기만적 고양(Paulhus, 1998a), 적응, 그리고 방어기제를 측정하는 자기보고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자기기만적 고양’을 많이 할수록 보다 높은 자존감과 적은 심리증상 및 대인관계문제를 보고하였고, 이 중 자기기만적 고양과 자존감 간의 관계는 전능의 방어기제에 의해 조절되는 양상을 나타냈다. 연구 2에서는 105쌍의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지인이 보고한 대인 관계 문제 정도와 자기가 보고한 대인관계 문제 정도의 차이를 '준거 대비 자기고양'으로 정의하고 이를 자기보고 방식으로 측정한 자기기만적 고양과 비교하였다. 준거 대비 자기고양이 강할수록 자기기만적 고양 점수가 높고 자신의 심리적 어려움을 적게 보고하였다. 또한 자기기만적 고양은, 정서적 능력이나 대인관계 문제에 대해, 스스로를 평정한 점수와는 유의한 상관이 있지만 다른 사람이 그에 대해 평정한 점수와는 상관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들은 자기기만적 고양이 자기 관련 정보의 인식과 보고에 영향을 미치는 방어적 속성을 가짐을 시사한다.

      • KCI등재

        고골의 삶과 작품에 나타난 '기만'과 '자기기만'의 비극

        홍대화 한국노어노문학회 2011 노어노문학 Vol.23 No.3

        본 논문에서는 방어기제로서의 '자기기만'이라는 심리학적 개념들을 사용함으로써 고골의 삶과 작품에 나타난 기민과 '자기기민의 요소들을 관찰하고 있다. 고골의 수많은 작품에서 여성과 사랑, 성욕과 결혼은 불길한 이미지로 구축되어왔고, 그 안에 작용하는 악마적 힘에 대해 묘사되어 왔다. 또한 고골의 작품에서 '악마성'은 '기만적인' 것으로 정의되는데, 그 '기만성'을 심리학적 방어기제 개념에 기초해 고찰해본 결과 사실상 주인공들의 '자기기만'인 경우가 많았다. 본 논문에서는 베일런트 박사의 『자아의 지혜』에서 정리된 방어기제 개념들을 사용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고골의 인물들 뿔리헤리야 이바노브나, 삐스까료프, 삐로고프, 뽀쁘리쉬친은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외부의 현실을 철저히 부인하고, 자신들의 망상 속에서 살아간다는 점에서 정신병적 부인과 같은 정신병적 자기방어 기제와 전치, 투사, 환상 등의 미성숙한 방어기제를 사용하고 있다. 더 나아가 성적인 욕망, 사랑, 결혼 그리고 여성과 여성의 아름다움이 악마적인 것으로 해석되는 것은 작가고골의 환영적 투사의 결과라고 해석될 수 있다. 외부 현실과 자신의 욕망과 열정을 거부하고, 예술가로서 흠결 없이 거룩하기를 원했던 작가 고골의 비극은 그의 여러 가지 자기기만, 세상을 기만으로 점철된 악마의 세계라고만 파악한 자기기만, 인간적 욕망을 거부하는 결벽증적인 예술적 이상으로 인한 자기기만, 자신을 문학적 의미에서가 아니라, 진정한 종교적 영적 의미에서 러시아의 선지자로 파악한(정체성과 관련된) 망상적 자기기만의 비극이었다고 볼 수 있다. This paper explores the tragedy of Gogol's life and death, analyzing the self-deceptions of Gogol and his heroes from the concepts of the defense mechanism. Women, love, sexual desires, and marriage are bestowed with the malignant and demonic images in many writings of Gogol, who defines demonic power is operated through deceit and lie. However, the demon's deception is in fact the results of the main characters's self-deception in his short stones. Pulikheriia Ivanovna, Piskarev, Pirogov, and Popiishchm deny external reality and live in their delusions via psychotic denial and immature defense mechanism such as displacement, Projection, and fantasy, which is described in The Wisdom of the Ego by Dr. Vaillant. Furthermore, Gogol's fears of love, women, sexual desires, and marriage and his perception of them as 'demonic' can be resulted from his fantastic projection. Gogol wanted to reject the external reality and his desires and passion, but wanted to be holy without any defects as an artist. However, it was a tragedy that Gogol had various delusional self-deceptions such as a view of world as demonic full of deception, obsessive artistic ideals with denial of natural desires, and identity confusion in which he viewed himself as a true religious and spiritual prophet.

      • KCI등재

        자기기만 인식'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의한 조직문화변혁 가능성

        오무철(Oh, Moo Chul),김병욱(Kim, Byoung-uk) 한국평생교육학회 2010 평생교육학연구 Vol.16 No.4

        한국인 스스로가 삶의 질이 낮다고 느끼는 원인 중 한 가지가 자기기만에 의한 비효과적 언행 때문이라면, 이러한 부정적 현상을 개선하려는 노력은 평생교육 차원에서 볼 때 의미 있는 시도라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자기기만 인식' 프로그램 참여자의 학습 효과와 생활 속 실천 노력이 미참여자들에게 영향을 미쳐서 조직 내 의사소통의 향상과 조직문화의 긍정적 변화에 기여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J남도 G시에 소재한 P사 G제철소에 근무하는 동일 소속 구성원 91명이다. 이들 중 45명에게 2회에 걸쳐 자기기만 인식 프로그램을 학습시킨 뒤, 참여자의 학습 효과와 실천 노력에 의해 조직 내 의사소통이 향상되고 조직문화가 개선되는지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프로그램 참여자들의 자기기만 인식 효과와 실천 노력이 미참여자들에게 영향을 미쳐서 조직 내 의사소통이 향상되고, 조직문화가 긍정적(성과지향 축소, 관계지향 강화)으로 개선되었음이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자기기만 인식은 조직 내 구성원들 간의 의사소통을 향상시키고 조직문화의 긍정적인 개선에 효과가 있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plore the effect of a Self-Deception Recognition program on company employees. Ninety-one employees who work at P company and live in G city were sampled. They were all adult males and played a central role in the workplace. They participated in the Self-Deception Recognition course as part of their Life-long Education program. The research problem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did the employees who participated in the Self-Deception Recognition course positively affect non-participating employees? That is, the researcher examined whether the participants contributed to the realization of their desired organizational culture or not. Second, did the employee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positively affect the enhancement of communicative satisfaction in the organization?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the recognition of self-deception of the employees who participated in the Self-Deception Recognition course positively affected the employees who did not participate, and the organizational culture was changed in a desirable way. Also, satisfaction scores of communication were enhanced. In conclusion, the Self-Deception Recognition Lifelong Education program contributed to organizational culture transformation and enhancement of satisfaction in communication.

      • KCI등재

        에롤 모리스의 다큐멘터리 <미스터 데스>(1999)에서 나타난 프레드 로이터 주니어의 자기기만적 의식구조

        남승석(Nam, Seung Suk)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16 씨네포럼 Vol.0 No.24

        본 연구에서는 에롤 모리스의 다큐멘터리 <미스터 데스>(1999)에서 주인공 프레드 로이터 주니어가 홀로코스트를 대하는 의식구조에 대해 장 폴 사르트르의 ‘자기기만’ 개념을 중심으로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미스터 데스>의 전반부에서는 전기의자, 교수대, 약물주입, 가스실 등의 사형집행 기계설비 디자이너로서의 로이터의 경력을 다룬다. 그리고 후반부에서는 홀로코스트 부인을 위한 『로이터 보고서』가 로이터의 나르시즘적 편협함으로 탄생한 엉터리 보고서임을 검증하는 과정이 이어진다. 『로이터 보고서』에 대한 검증은 로이터의 ‘수행적’ 인터뷰와 함께 보고서에 대해 비판적인 견해를 가진 역사학자 로버트얀 반 펠트의 ‘수행적’ 인터뷰를 주로 한다. 홀로코스트를 부인하는 입장에 있는 에른스트 쥔델은 1988년 사형집행 설비 전문가인 로이터에게 나치의 학살 캠프에 독가스실이 존재 했는지 여부에 대해 조사해 달라고 부탁한다. 로이터는 이 조사를 위해서 방문한 폴란드 학살 캠프에서 어설프게 수집한 샘플들을 미국으로 몰래 가지고 와서 사설 연구소에서 분석한다. 이렇게 탄생하게 된 것이 독가스실 존재 자체를 부인하는, 악명 높은 『로이터 보고서』이다. 모리스는 <미스터 데스>에서 인터뷰 기계장비인 인테로트론을 사용하는 고도로 양식화된 인터뷰를 통해서 로이터와 같은 극단적인 무책임한 유형의 인간을 이해하기 노력 한다. 그가 영화 비평가와의 인터뷰를 통해서 자기기만 개념으로 로이터를 설명하는 부분은 사르트르가 『존재와 무』에서 다루는 핵심적인 주제인 ‘자기기만’의 의식 구조와 상당히 유사한 문제의식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의 분석 부분에서는 사르트르의 자기기만적 의식의 수동성에 기반을 두고 모리스의 ‘수행적 인터뷰’ 방식과 함께 『로이터 보고서』에 대한 로이터의 의식구조에 대해서 고찰한다. 여기서 ‘수행적 인터뷰’라함은 빌 니콜스의 수행적 양식에 기반을 두고 감독과 피사체의 주관적인 차원의 자기-의식적인 수행능력을 포함하는 인터뷰의 확장적 개념으로 정의하고 사용한다. 니콜스는 ‘수행적’ 양식을 지식에 대한 의문과 관련된 것으로 설명하면서 세계에 대한 지식이 지닌 주관적인 차원을 강조해 앎의 복잡성을 드러내는 것이라고 규정한다. 모리스는 인터뷰이의 1인칭 시점을 구현하기 위해 고도로 양식화된 수용적 인터뷰를 위해 극영화적 형식이나 스타일을 과잉으로 도입하여 객관적 담론으로 여겨졌던 역사적 사실에서 주관적 차원을 강조한다. 그리고 만약 우리가 ‘자기기만’으로 현실에서 도피하여 진실을 왜곡하고 언어를 조작한다면, 어떤 것이 진실인지 아닌지 알 수 없는 무책임한 상태에 빠지게 될 수 있음을 역설한다. This study aims at critical speculation on Fred A. Leuchter Jr."s consciousness structure concerning on death of the other in Errol Morris"s documentary Mr. Death (1999) through ‘la mauvaise foi’ in Sartrian philosophy from Being and Nothingness. The documentary is about Fred A. Leuchter, Jr., an engineer involved in capital punishment and holocaust denial. Leuchter is an engineer who design and repair electric chairs, lethal injection systems, gallows and gas chambers. In 1988, Ernst Zundel, a historical revisionist, hired Leuchter to conduct a forensic investigation into the use of poison gas in WWII Nazi concentration camps. Errol is at the frontier of cinematic practice and theory by investigating not only the exterior but also the interior of the subjects through stylized interviews. Yet, strictly speaking, Morris is more of an auteur director than a scientist or an ethnographer. Based on Sartre"s philosophical concept ‘la mauvaise foi’, this study speculates on Leuchter"s self-deceptive consciousness structure throughout the ‘performative interview’. In order to define morris interview style, which is an extended concept of the interview, including self-conscious performance, I indebted Bill Nichols" conceptual scheme of documentary mode, specifically the performative mode is that the question is revealing the complexity of knowledge emphasizing the subjective dimension with knowledge concerning the world. Morris conducted the interview with Leuchter in order to understand the individual related to historical events through a highly stylized interview machine, Interrotron. That is how ‘performative interview’ allows the directors, non-professional actors and the audience to meet in a mental landscape. He inquires about ambiguous and contradictory relationships between fantasy and reality, the self and the world, the individual memory and historical events.

      • KCI등재

        인간 현존재의 자기기만과 범죄

        한상연(Sang-Youn Han) 한국현상학회 2020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84 No.-

        이 글은 인간 현존재에게 범죄가 존재론적으로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밝힐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논구의 출발점은 범죄에 대한 심판이 존재론적으로는 언제나 이미 사르트르가『존재와 무』에서 자기기만이라고 명명한 의식에 의거해서 일어나는 행위라는 것이다. 이 글의 논증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1. 사르트르가 자기기만이라는 말로 묘사하는 것은 인간 현존재의 현사실성에 대한 기만적 이해이다. 사르트르에 따르면 나의 실존은 전체적으로 어떤 근본적인 이유도 갖지 않는다. 이성적 이유의 관점에서 보면 실존하는 나의 자유는 부조리하다. 2. 범죄에 대한 나의 심판은 윤리적으로 존재하거나 윤리적 존재가 되는 것이 나의 실존의 근본적 이유로 인정되어야 함을 암묵적이거나 공공연하게 전제한다. 3. 그러므로 범죄에 대한 나의 심판은 인간 현존재의 현사설성의 근본적 부조리를 무화하고 부정하려는 의식의 행위이다. 4. 그러나 범죄에 대한 심판이 언제나 이미 자기기만의 행위라는 존재론적 언명은 범죄가 존재론적으로 현존재의 본래적 자기에게 알맞은 행위로서 정당화될 수 있음을 뜻하지 않는다. 범죄는 내가 아닌, 그러나 내가 되기를 원하는, 그러한 자기-존재를 실현하려는 나의 욕망과 의지의 표현이다. 범죄란 자신의 고유한 실존론적 자유를 제약하고 무화하는 실존의 이유를 스스로 자신의 근본적으로 부조리한 실존에 부여함으로써 초래되는 것이라는 뜻이다. This paper seeks to clarify the ontological meaning of crime for human Dasein. The starting point for my argument is that our judgment on a crime is ontologically always already an act of what Sartre calls in Being and Nothingness self-deception. My argumen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As bad faith, Sartre describes one’s self-deception about the human reality. According to Sartre, my existence as a whole has no fundamental reason. From the point of view of reason, my freedom will appear absurd. 2. My judgment on a crime is based on an implicit or explicit premise that being or becoming ethical must be acknowledged as the fundamental reason for my existence. 3. Therefore, my judgment on a crime is an conscious act of negating and denying the fundamental absurdity of human reality. 4. But the ontological statement that our judgment on a crime is always already an act of self-deception does not mean that crime is ontologically justified as appropriate to one’s authentic self. Crime is an expression of my own desire and will to realize what I am not but want to become. This means that crime is an act resulting from giving my fundamentally absurd existence a reason for existence that limits and negates my own existential freedo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