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셀프리더십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나용주,윤병섭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17 경영컨설팅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부사관 전공 전문대학교 학생의 셀프리더십과 진로준비행동의 영향 관계를 분석하고 이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밝히는데 있었다. 우리나라 전문대학교 부사관과를 재학 중인 남·여 대학생을 대상으로 362부의 응답 설문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셀프리더십이 진로준비행동에 양(+)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셀프리더십의 하위변수인 행동 중심적 전략, 건설적 사고 전략은 진로준비행동의 하위변수인 정보수집활동, 도구구비활동, 목표달성활동에 각각 체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자신에게 영향력을 행사하는 과정(Manz와 Sims, 2001)인 셀프리더십이 자율성, 책임감, 통제성을 통해 진로준비행동에 필요한 인지, 심리, 행동 변인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부사관 전공 전문대학교 학생에게도 존재함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부사관 전공 전문대학교 학생의 셀프리더십 수준을 높여 셀프리더십 개발로 진로준비행동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셀프리더십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양(+)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셀프리더십의 하위변수인 행동 중심적 전략, 자연적 보상전략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하위변수인 자기평가, 정보수집, 목표설정, 진로계획, 문제해결에 각각 유의한 양(+)의 영향을 체계적으로 일관성 있게 미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셋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양(+)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하위변수인 자기평가, 진로계획, 문제해결은 진로준비행동의 하위변수인 정보수집활동, 도구구비활동, 목표달성활동에 각각 체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넷째, 셀프리더십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단계별로 회귀분석한 결과 셀프리더십→진로결정자기효능감→진로준비행동의 경로를 통하여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완전매개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한 걸음 더 나아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심도 있게 분석하기 위하여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하위변수를 투입하여 회귀분석하였다. 그 결과 셀프리더십→자기평가→진로준비행동, 셀프리더십→정보수집→진로준비행동, 셀프리더십→목표설정→진로준비행동, 셀프리더십→진로계획→진로준비행동, 셀프리더십→문제해결→진로준비행동이 완전매개하고 있음을 밝혔다. 본 연구는 본인에 맞는 진로를 성공적으로 설계할 수 있다는 확신성을 의미(Hackett와 Betz, 1986; Kossek et al., 1998)하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career decision self-efficacy)이 본인에 맞는 진로준비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부사관 전공 전문대학교 학생에게도 존재함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진로장벽이 높게 지각될수록 진로준비행동 수준이 낮아지므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높여 진로준비행동을 잘 할 수 있도록 진로개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함을 시사한다. The study examines whether there is support for university students Department of NCOs leadership needs and self-perceived any casualty, the purpose being placed to identify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behavior and these self-appointed leadership needs parameters. To this end, the men and women college students Military major using the convenience of the student sample extraction to extract the 362 students. Setting the model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study, and then through a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were studies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Result on the basis of the research study model verification method as described above that is derived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Self-supporting department NCOs leadership is perceived by the student directly affects the employment action desire, desire is appointed acting under a direct impact on causality, self-leadership support was confirmed that an indirect effect on the employment action. As a result, NCOs autonomous department that students are not perceived to predict the employment needs and behaviors, self-leadership that can affect appetite as well as direct action, through the intermediary of supporting autonomy.

      • KCI등재

        대학 졸업반 학생의 취업장애 인식에 따른 진로준비행동에 관한 연구 -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백사인,김경미 한국취업진로학회 2011 취업진로연구 Vol.1 No.2

        본 연구에서는 대학 졸업반 학생의 취업장애 지각에 따른 진로성숙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취업장애 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 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대학 졸업반 학생의 취업장애 지각이 진로준비행동에 유의한 부적영향을 미쳤으며, 진로결정 자 기효능감은 진로준비행동에 유의한 정적영향을 미쳤다. 즉 취업장애 지각이 높으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이 낮으며 진로준비행동 수준이 낮을 것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5개의 하위요인 중 목표설정 요인만 유의미하게 정적영향을 미쳤다. 특히 본 연구에서 대학 졸업반 학생의 진로결정 자 기효능감 하위요인 중에서 목표설정(β=.322)만 진로준비행동에 유의한 정적영향을 미치고 있다. 다음으 로, 취업장애 지각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단계 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매개효과를 다음과 같이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매개 변인임을 확인하기 위하여 진로준비행동에 대한 두 번째 회귀식에서 취업장애의 영향력(β=-.24)보다 세 번째 회귀식에서 취업장애의 영향력(β=.01)이 줄어들고 유의미하지 않는다면 완전매개효과를 가지고 있 다. 따라서 취업장애의 영향력이 β=-.24에서 β=.01로 줄어들었고 유의미하지 않은 결과가 나타났으므로 취업장애와 진로준비행동에 대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완전매개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에서, 목표설정이라는 차원은 자신의 장기적인 미래설계와 관련되는데, 특히 취업준 비생들의 진로발달을 위해서는 미래에 대한 구체적인 목표, 성공적인 역할모델, 장기적인 자신의 미래 계획과 관련하여 도움을 줄 수 있다면 노동시장의 불안에도 적극적인 진로준비행동 수준을 높일 수 있 을 것이다. 또한, 취업준비생이 인식하는 취업장애가 높을지라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높으면 진로준 비행동을 촉진시킬 수 있으므로, 취업준비생의 취업에 대한 불안을 줄이고 능동적이며 유연한 취업행 동을 돕기 위한 취업상담과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후속연구에서는, 더욱 다양한 배경 속에서 대학생들에 대한 검증작업이 확대될 필요가 있으며, 대학 졸업반 학생 및 취업준비 생에 적합하게 개발할 필요와 취업과 진로의 차이점을 고려한 현실적인 척도개발이 요구된다. 그리고 연구대상자들의 심층적인 이해를 위하여 질적 연구방법에 의해 보완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effective variable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University seniors and provide grounds for the development of career counselling and career counselling programs to career search and career decision. So among influencing variables of role performance and tasks that only University seniors hav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e chose employment barrier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for variables and confirmed tasks of this study as following sentences. Here are the results of study: First, the perceived employment barrier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University seniors influenc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higher perceived employment barrier is, the lower the level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s. Second, the elements of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University seniors influenc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only creating goals among the elements of decision-making self-efficacy have meaningful influences. The higher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s, the higher level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s. Third, we confirmed mediating effect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between employment barrier percep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Employment barrier perception has meaningful direct effects and indirect effects mediating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Unless they perceive employment barrier higher, if they have higher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t turned out to be high career preparation behavior.

      • KCI등재

        자기결정성과 혁신행동간 관계에서 직원몰입의 매개효과와 피드백추구행동 동기의 조절효과

        김현종(Kim, Hyun-Jong),송해덕(Song, Hae-Deok)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22 Global Creative Leader Vol.12 No.1

        본 연구에서는 자기결정성이 직원몰입과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 이들 간의 관계에서 피드백추구행동 동기가 어떠한 조절효과를 보이는지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IT연구개발 직원을 대상으로 한 총 382명의 설문결과를 연구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자기결정성이 혁신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결정성이 직원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원몰입이 자기결정성과 혁신행동간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피드백추구행동 동기는 자기결정성과 직원몰입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피드백추구행동 동기는 자기결정성과 혁신행동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는 자기결정성의 충족이 개인의 혁신활동을 위한 기본 요건이 되며, 자기결정성이 혁신행동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조직구성원의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참여를 의미하는 몰입이 함께 요구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자기결정성의 효과는 직원의 피드백추구행동 동기 수준에 따라 달라진다는 점을 고려할 때, 조직구성원의 심리적 조건을 고려한 자기결정성 지원이 요구된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elf-determination on employee engagement and innovative behavior and empirically verified the moderating effects of feedback-seeking behavior motiv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that targeted the employees at the departments of IT research & development. A total of 382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elf-determin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novative behavior. Second, self-determin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mployee engagement. Third, employee engagement showe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etermination and innovative behavior. Fourth, the feedback-seeking behavior motive showed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etermination and employee engagement. Fifth, the feedback-seeking behavior motive showed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etermination and innovative behavior. The findings implied that the fulfillment of self-determination is essential for individuals’innovative behavior, and employee engagement is necessary as a mediating variable between self-determination and innovative behavior. In addition, given that the effect of self-determination depends on the level of employees’the feedback seeking behavior motive, self-determination support should consider employees’psychological conditions.

      • KCI등재

        자기결정 프로그램의 적용이 자기결정력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수준과 경도정신지체 학생의 자기결정 행동 평가에 미치는 효과

        박성우,신현기 한국특수교육학회 2005 특수교육학연구 Vol.40 No.1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s on parent and teacher's recognition level about self-determination program on self-determination behaviors evaluation of students with mild mental retardation.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used to examine the effects on parents' and teachers' recognition on self- determination and students' behaviors evaluation on self-determin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parents who received information about self-determination program demonstrated higher recognition on self-determination than the others who did not. Also, the higher recognition on self-determination they possessed the higher their students' self-determination behaviors evaluation were. Secondly, teachers who received information about self-determination program demonstrated higher recognition on self-determination than the others who did not. Also, the higher recognition on self-determination they possessed the higher their students' self-determination behaviors evaluation were. Thirdly, there were no direct correlational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recognition on self-determination and students' self-determination behaviors. 이 연구는 자기결정 프로그램의 적용이 부모와 교사의 자기결정력에 대한 인식수준과 경도정신지체 학생들의 자기결정 행동의 평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결정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은 부모들이 정보를 제공받지 못한 부모들보다 자기결정력에 대한 인식이 높으며, 경도정신지체 학생들의 자기결정 행동에 대한 평가 또한 높다. 둘째, 자기결정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은 교사들이 자기결정 프로그램에 대해 어떠한 정보를 제공받지 못한 교사들보다 자기결정력에 대한 인식이 높으며, 경도정신지체 학생들의 자기결정 행동에 대한 평가 또한 높다. 셋째, 자기결정력 프로그램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수준과 경도정신지체 학생들의 자기결정 행동 간에 직접적인 상관은 없다.

      • KCI등재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의 아동의 자기결정성 매개효과

        이희진,박영애 한국놀이치료학회 2020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23 No.2

        본 연구에서는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행복과의 관계에서 자기결정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행복을 측정하기 위해 주관적 안녕감을 채택하였다. 연구대상은 I시에 거주하는 초등학교 5학년 아동 181명이었다. 주요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행동 중 논리적 설명, 온정이 모든 하위요인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쳤고, 특히 학교에서의 자기결정 기회는 자기결정성 전체와 마찬가지로 민주적 양육행동을 보일 경우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정에서의 자기결정 기회는 방임이 유의하게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의 자기결정성 중 학교와 가정에서의 자기결정 기회가 아동의 정적 안녕감을 증가시켰고, 가정에서의 자기결정 기회는 부적 안녕감을 낮춰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 아동의 자기결정성이 매개효과를 갖는지 살펴본 결과, 양육행동의 논리적 설명, 온정, 개입이 아동의 정적 안녕감을 자기결정성이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동의 부적 안녕감에는 어머니의 양육행동 중 온정을 자기결정성이 완전매개하였고, 방임은 매개효과는 없으나 직접적인 영향력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어머니의 양육행동, 아동의 자기결정성과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를 확인하였고, 아동의 자기결정성의 중요성을 규명하였다. 본 연구는 아동의 행복을 연구함에 있어 아동의 입장이 반영되어야 할 필요성에 대해 근거를 제시하고, 아동상담 및 부모교육에 대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meditating effects of child self-determin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ing behavior and child happiness as perceived by children. Child happiness is defined as the subjective sense of well-being based on a given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mprised 181 children from the 5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in I-city.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for the purpose of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s of mother parenting behavior perceived by children on a child’s self-determination, and the reasoning and warmth among mother parenting behaviors both positively affected all sub factors. In particular, the opportunity for self-determination in school was found to increase when authoritative parenting behaviors were used by mothers. Neglect in terms of self-determination opportunities in the home was a low factor. Second, the effects of self-determination amongst children on their subjective well-being showed that self-determination opportunities in school and at home explained the positive well-being results. Moreover, self-determination opportunity in the home was a factor which could lower feelings of negative well-being.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whether self-determination has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behavior and subjective well-being, reasoning, warmth, and the intrusiveness of a mother’s parenting behavior were both found to be mediated completely by self-determination in the process of moving toward positive well-being. Additionally, self-determination has a mediating effect only in terms of the warmth of a mother’s parenting behavior, whilst neglect has no mediating effect but has a direct influence. In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e relationship between a mother’s parenting behavior, children’s self-determina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Finally, the importance of children’s self-determination was discussed.

      • KCI등재

        대학생의 자기결정성, 진로장벽 및 취업준비행동 간의 관계

        김주섭 한국청소년학회 2017 청소년학연구 Vol.2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mpirically the relationship among self-determination, career barriers,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550 students at a university in the region of Chungnam and utilized 499 surveys for the final analysis.The major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elf-determination and career barrier, while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determination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Second, the perception of students on self-determina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Such positive correlation was stronger in female students than in male students. Also it showed that the correlation was getting stronger as the school year of students goes up. Third, the perception of students on career barrier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Such negative correlation was stronger in male students than in female students. Also it showed that the correlation was getting stronger as the school year of students goes up. Fourth, in terms of the mediation effect analysis, the result showed that the students' perception on career barrier had a perfect mediating effect between self-determination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educational interventions or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in order to improve the level of college students' self-determination and to resolve career barrier. Also, differentiated approaches based on the difference of gender and school year should be considered when developing such educational intervention.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자기결정성, 진로장벽, 취업준비행동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해보고자 하였다. 연구는 충남지역 대학의 학생 550명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499명의 자료를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자기결정성과 진로장벽과는 부(-)의 상관관계, 자기결정성과 취업준비행동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자기결정성은 취업준비행동에 정(+)의 관계를 보였고,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이 높았고, 학년이 높을수록 자기결정성이 취업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진로장벽은 취업준비행동에 부(-)의 관계를 보였고, 여학생에 비해 남학생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년이 높을수록 진로장벽이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기결정성과 취업준비행동 간의 매개효과 검증결과,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진로장벽은 자기결정성과 취업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완전 매개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사점으로는 대학생들의 자기결정성 제고와 진로장벽을 해소할 수 있는 교육 등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그리고 자기결정성과 진로장벽, 자기결정성과 취업준비 행동, 진로장벽과 취업준비행동에 성별, 학년별로 차별화된 교육적 접근 등이 필요하다.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자기조절, 진로결정효능감, 합리적의사결정 및 진로탐색행동의 관계

        김민정,김봉환 한국진로교육학회 2014 진로교육연구 Vol.2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he test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university students' career self-regulation,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rational career decision making,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It was applied in a two-step approach. the goodness of fit and validity of measurement model was investigated and then the structural relation model was analys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influence of career self-regulation on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rational career decision making,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was .72, .54, and .68, respectively. The influence of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on career exploration behavior was .21 and the influence of rational career decision making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as .11. the fitness indexes of the final model were GFI= .901, RMSEA= .085(90%=.078-.092), NFI= .895, TLI= .888, CFI= .909. The study confirmed structural relations among career self-regulation,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rational career decision making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The study results show that career self-regulation has indirect influence on career exploration behavior through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rational career decision making as well as direct influence on it. career self-regulation has indirect influence on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through rational career decision making as well as direct influence on it. this study can be meaningful in verifying relations among variables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진로자기조절은 진로목표 달성과정에서 방해가 되는 요소들로부터 목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자신의 생각, 감정, 행동을 조정하는 능력이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자기조절을 진로탐색행동을 예측할 수 있는 주요한 요인으로 가정하여 진로결정효능감, 합리적의사결정, 진로탐색행동과의 관계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설문조사는 서울시, 경기도, 충청도, 전라도에 소재한 대학의 학생 75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론적 경험적 근거를 통해 변인들 간의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최적의 모형을 선정하기 위해서 연구모형과 경쟁모형들을 제시하여 모형평가를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12.0과 AMOS1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SEM(structural equation modeling)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진로자기조절은 진로결정효능감, 합리적의사결정, 진로탐색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또한 합리적의사결정은 진로결정효능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진로결정효능감도 진로탐색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진로자기조절과 진로탐색행동의 관계에서 합리적의사결정과 진로결정효능감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진로자기조절은 진로탐색행동에 직접효과를 주면서 합리적의사결정과 진로결정효능감을 통한 간접효과를 보였다. 셋째, 진로자기조절과 진로결정효능감의 관계에서 합리적의사결정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진로자기조절은 진로결정효능감에 직접효과를 주면서 합리적의사결정을 통한 간접효과를 보였다. 또한 합리적의사결정은 진로결정효능감을 통하여 진로탐색행동에 간접효과를 보였고, 이러한 결과들은 진로자기조절이 진로탐색행동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변인들 간의 관계를 해석할 수 있게 하여 진로교육과 상담 및 프로그램 개발에 새로운 시각을 제공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진로결과기대, 진로결정몰입 및 진로탐색행동의 구조 관계 분석

        김순미,이현림 한국진로교육학회 2008 진로교육연구 Vol.21 No.3

        This study aimed to examine how anticipated self-efficacy was related to university students' career exploration behavior, how mediator factors affected students, and what process was involved. To verify the model, a survey was carried out on 354 undergraduate students residing in D city and K Province, Korea. To statistically process the collected data, SPSS win 14.0 and Amos 6.0 were used, and an analysi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verify the model.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interpretation of goodness of fit index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the research model propos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sufficient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so a modification model was set up. In the theoretical verification of the modification model and effect verification of indicators, the variables which showed highest effects in undergraduate students' career exploration behaviors were the career outcome expectancies and commitment to career choice. 본 연구는 개인의 진로결정과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된 자기효능감, 진로결과기대, 진로결정몰입, 진로탐색행동을 토대로 이론적 모형을 구성하여,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진로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그 과정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가설은 첫째,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은 진로결과기대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둘째,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은 진로결정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셋째,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은 진로탐색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넷째, 대학생의 진로결과기대는 진로결정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다섯째, 대학생의 진로결과기대는 진로탐색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여섯째, 대학생의 진로결정몰입은 진로탐색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연구대상은 D광역시와 K도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400명을 선정하여, 이 중에서 분석에 적절하지 않은 설문지 46부를 제외한 35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측정도구는 Sherer, Maddux, Mercandante, Prentice-Dunn 및 Jacobs(1982)가 개발한 자기효능감 척도와 대학생의 진로결과기대를 측정하기 위하여 Betz와 Voyten(1997)의 척도(Career Outcome Expectancies Scale)를 사용하였다. 진로결정몰입은 Blustein, Ellis 및 Devenis(1988)가 개발한 척도(CCCS: Commitment to Career Choice Scale)를 사용하였으며, 진로탐색행동은 Stumpf, Colarelli 및 Hartman(1983)이 개발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 14.0과 Amos 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모델검증을 위해서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은 진로결과기대에 직접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은 진로결정몰입에 직접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은 진로탐색행동과는 직접적인 효과를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생의 진로결과기대는 진로결정몰입에 직접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대학생의 진로결과기대는 진로탐색행동에 직접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대학생의 진로결정몰입은 진로탐색행동에 직접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자기효능감, 진로결과기대, 진로결정몰입 및 진로탐색행동은 대학생의 진로결정 여부뿐만 아니라 진로결정유형의 특성, 그리고 향후 진학 및 노동시장으로의 이전 방향성과 지속성을 설명하고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장벽과 진로결정간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의 매개효과 분석

        정미경 ( Mi Kyung Chung ) 안암교육학회 2015 한국교육학연구 Vol.21 No.3

        이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이 지각하는 진로장벽,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및 진로결정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고, 진로장벽과 진로결정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지역 7개 대학의 재학생 487명을 대상으로 진로장벽,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진로결정 척도를 사용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9.0을 이용하여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고, AMOS 19.0을 사용하여 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설모형으로 설정된 완전매개모형이 적합모형임이 검증되었다. 즉, 진로장벽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부적인 영향을 주고,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진로결정에 대하여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진로장벽은 진로준비행동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진로준비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진로준비행동은 진로결정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지만, 그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둘째, 대학생의 진로장벽과 진로결정 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진로장벽과 진로결정 간의 관계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매개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진로준비행동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 사이에서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was aimed at identifying the mediation effect of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the relation of university``s career barrier and career decision. To do this, a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in 487 undergraduates from seven university in Seoul and Gyongki-Do using fore scales for assessing career barrier,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decision status. Statistical methods used for data analysis were the SPSS 19.0 and AMOS 19.0.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fully mediation model to be selected was fitted for this study. Perceived career barriers was negatively related to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 But it did not mean the significant effect that perceived career barriers affect career preparation behavior,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ffect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ffect career decision. Second, it did not mean significantly mediation effect that the result on the test of mediation effect can be possible to make the assumption of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ased on the above implications, I would like to present significance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 KCI등재

        발달지체유아의 자기결정에 관련된 자신의 행동에 대한 특수교사와 발달지체유아 어머니의 인식

        방명애,박현자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09 유아특수교육연구 Vol.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mothers on their behaviors for self-determination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5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ors and 99 mo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The subjects responded to the survey questionnaire composed of 27 questions related to their behaviors for self-determination such as self-awareness, self-management, choice- making, self-advocacy, support network, community use, social skills, cooperative skills, and stress management. Multiple regression and independent t-test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a) The teachers with more experiences of teach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perceived that they conducted more activities to improve the self-determination skill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b) The mothers having jobs conducted more activities to improve the self-determination skills of their children than the mothers not having jobs. (c) The teachers conducted more activities to improve the self-determination skill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than the mothers. The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results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지체유아의 자기결정에 관련된 자신의 행동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와 발달지체유아 어머니의 인식을 밝히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인 특수교사 105명과 발달지체유아의 어머니 99명이 27문항으로 구성된 자기결정기술 척도를 이용하여 발달지체유아의 자기결정에 관련된 자신의 행동에 대한 인식을 보고하였다.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회귀분석과 두 독립변인 t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아동 교육경력이 많은 유아특수교사일수록 발달지체 유아의 자기결정에 관련된 행동을 많이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직업이 있는 어머니가 전업 주부인 어머니들에 비해 발달지체 유아의 자기결정에 관련된 행동을 많이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유아특수교사가 발달지체유아의 어머니보다 발달지체유아의 자기결정에 관련된 행동을 많이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유아특수교사는 자기인식능력, 선택기술, 협력기술 순으로 발달지체유아의 자기결정에 관련된 행동을 많이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어머니는 자기인식능력, 스트레스해소기술, 지원망구성기술 순으로 발달지체유아의 자기결정에 관련된 행동을 많이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발달지체유아의 자기결정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한 학교-가정 연계프로그램을 구성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후속연구를 통해 발달지체유아의 자기결정에 관련된 자신의 행동에 대한 아버지의 인식, 자기보고 자료와 직접관찰에 의한 자료의 비교, 유아의 장애유형이 교사와 부모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 등을 밝힐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