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SCOPUSKCI등재

        자궁내막암조직에서 세포주기 조절단백 G1 cyclins의 발현과 임상적 예후인자와의 상관관계

        김영태,김성훈,김재욱,이진우,박기현 대한부인종양 콜포스코피학회 2003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Vol.14 No.1

        목적 : 서구화과정과 더불어 우리나라에서 점차 많은 발생빈도를 보이는 자궁내막암조직 RNA level에서의 cyclin의 발현을 호르몬수용체와 연관하여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와 임상적 예후인자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 방법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학교실에 내원하여 자궁내막암으로 확진된 환자 33명과 양성 부인과 종양으로 전자궁절제술을 시행받은 대조군 환자 9명의 자궁내막조직을 대상으로 에스트로겐수용체 및 프로제스테론수용체를 효소면역분석법으로 조사하였으며 세포주기인자중에서 cyclin Dl과 cyclin I의 발현을 연구하였다. 결과 :자궁내막암조직과 대조군의 에스트로겐수용체 및 프로제스테론수용체의 양성률을 조사한 결과에서 에스트로겐수용체 및 프로제스테론수용체의 농도는 자궁내막암조직에서 보다 정상대조군에서 높게 나타났는데 대조군에서 에스트로겐수용체는 100%에서 양성률을 보였고 평균농도는 162.1±13.8 fmole/mg이었던 반면에 자궁내막암에서는 76%에서 양성률을 보였고 평균농도는 98.5±18.2 fmole/mg이었다. 또한 프로제스테론수용체는 정상대조군에서 마찬가지로 100% 양성률을 보였고 평균농도는 211.1±12.8 fmole/mg이었던 반면에 악성조직에서는 67%의 양성률과 평균농도 62.1±3.8 fmole/mg을 보여 대조군과 자궁내막암 조직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자궁내막암조직에서는 대조군의 정상자궁내막에 비해 호르몬수용체의 농도가 낮게 났다. 내막암군에서의 cyclin Dl의 transcript의 과발현양상과 임상병리학적 제예후인자와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종양분화도, 자궁근층침법도, 병기, 림프절전이 유무, 세포형태, 프로제스테론수용체 양성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에스트로겐수용체에 따라서는 cyclin Dl의 과발현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cyclinI의 transcript의 과발현양상과 임상병리학적 제예후인자와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에서도 종양분화도, 자궁근층침법도, 병기, 림프절전이 유무, 세포형태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호르몬수용체 음성군에서는 cyclin I의 과발현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결론 cyclin Dl 및 I의 과발현이 자궁내막암의 여러 임상병리학적인 예후인자들과 밀접한 관련성을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호르몬 수용체와는 연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cyclin의 발현을 예후인자로 평가하기위해서는 많은 증례를 통한 장기간의 추적관찰을 통한 생존율에 관한 연구가 됫받침 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 Cyclins D1 and E play important roles in the progression of cell through G1 phase of the cell cycle. Amplification and/or overexpression of the cyclin D1 gene and aberrant expression of cyclin E has been described in various forms of human cancer. However, the role of cyclins D1 and E in endometrial cancer has been poorly defined. Methods : We examined the expression of cyclins D1 and E by Northern blot technique in 33 endometrial carcinoma specimens and 9 control endometrial tissues. In addition, expression of the estrogen and progesterone receptors (ER, PR) was studied by enzyme immunoassay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cyclins D1 and E and endometrial cancer. Results : We found that cyclin D1 expression showed down-regulated expression in endometrial cancer. Underexpression of cyclin D1 inversely related with ER positivity. However, cyclin E expression was increased in ER positive cancer group. Other clinicopathological prognostic factors were not correlated with cyclins D1 and E expression. Conclusion : Further study based on larger numbers of cases with correlation of cyclins D1 and E status and survival data will be needed to elucidate the use of cyclin expressions as prognostic factor.

      • KCI등재후보

        정상 자궁내막, 자궁내막 증식증, 자궁 내막암에서의 cyclooxygenase-2,p53 발현율 비교 연구

        유상욱,이낙우,이규완,김옥경,송재윤,홍순철 대한부인종양학회 2006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Vol.16 No.3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expression rate of cyclooxygenase-2(COX-2), p53 in endometrial hyperplasia ,endometrial cancer and normal endometrium and to correlate COX-2 with the clinicopathological factors and p53 in endometrial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Immunohistochemical stain of COX-2, p53 was performed on samples from a series of 19 cases of normal proliferative endometrium, 20 cases of complex endometrial hyperplasia and 19 cases of endometrial cancer. And then we analyzed the expression of COX-2 correlated the findings with clinicopathological factors and p53. Expression of COX-2 was scored according to the proportion of positive-staining cells: negative, no staining; 1+, <10%; 2+, 10-50%; 3+, >50. For p53 overexpression, when there were at least 10% of tumor cells stained , it was considered as positive. Results: Overexpression of COX-2(≥2+) was seen in 5(26.3%) of the endometrial cancers, 6(30%) of the complex endometrial hyperplasia, and 4(21.1%) of the normal endometria. The expression rates of COX-2 in endometrial cancer, hyperplasia and normal endometrium were not different statistically significant(p=0.93). COX-2 was not correlated with clinicopathological factors but correlated with p53 significantly (p=0.021). Conclusion: In this study, the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showed no difference statistically in COX-2 expression between endometrial cancer and hyperplasia compared to normal endometria. COX-2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53. This finding may represent that tumor suppressor p53 upregulates COX-2 expression 목적: Cyclooxygenase-2(COX-2) 과발현이 대장암, 자궁 경부암, 유방암, 방광암등 여러 암에서 보고되고 있고, 최근에는 자궁내막암에서 COX-2발현 양상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여러 보고에서 COX-2와 p53의 상관관계와 기전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궁내막증식증과 자궁내막암에서의 COX-2 발현율을 정상 자궁내막과 비교하고 임상예후인자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며 COX-2 발현이 p53과 관련성이 있는지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연구 방법: 2000년 1월부터 2005년 10월까지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산부인과학 교실에서 자궁 내막 생검 또는 자궁 적출술을 통해 외과적으로 절제된 정상 증식기 자궁 내막 19예, 복합성 자궁 내막 증식증(complex endometrial hyperplasia) 20예, 자궁 내막암으로 확진된 19예 등 58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자궁내막 조직에 COX-2, p53으로 면역 조직 화학 염색을 시행하여 그 결과를 COX-2는 염색 강도에 따라 음성, 1+,2+3+로 판독하였고, p53은 음성과 양성 두군으로 판독하였다. 세 군에서의 COX-2, p53염색 결과를 비교하였고, COX-2와 p53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결과: 세 군에서의 COX-2 양성율을 비교한 결과 정상 자궁 내막, 복합성 자궁내막 증식증, 자궁내막암 세군 간에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COX-2 강양성(2+이상)으로 판독한 결과 정상 자궁내막 4/19예(21.1%), 복합성 자궁내막 증식증 6/20예(30%), 자궁 내막암 5/19예(26.3%)로 정상 자궁내막에 비해 복합성 자궁내막증식증과 자궁내막암에서 COX-2 강양성율이 높았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p=0.930). COX-2면역조직 화학 염색 결과와 p53 면역 조직 화학 염색 결과와의 관련성을 비교한 결과 p53에서 양성을 보인 10/10예(100%)에서 COX-2 양성을 보였으며(p=0.021), p53 양성과 COX-2 강양성(2+이상) 사이의 상관관계도 유의한 결과를 나타났다(p=0.013) 결론: 결론적으로, 복합성 자궁내막증식증, 자궁내막암에서 정상 자궁 내막에서의 COX-2 발현율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자궁내막암의 임상적 예후 인자와도 관련성을 입증하지는 못하였으나 COX-2 발현은 p53 발현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아마도 p53이 COX-2발현을 증가시킨 결과로 판단된다.

      • SCIESCOPUSKCI등재

        자궁내막암에서 MRI 병기와 수술조직학적 병기의 비교 연구

        박한뫼,문혜성,김승철 대한부인종양 콜포스코피학회 2002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Vol.13 No.3

        목적 : 자궁내막암에서 MRI 병기와 수술조직학적 병기를 비교 분석하여 자궁내막암에서 수술 전 MRI 병기의 임상적 효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1996년 3월부터 2002년 4월까지 자궁내막의 구획 소파술을 시행하여 자궁내막암을 진단 받은 환자중, 수술 전 평가로 골반 및 복부 MRI를 시행한 후 개복술 및 조직검사를 통해 수술조직학적 병기가 확정된 3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하였다. 결과 : 대상 환자의 평균나이는 57.2±7.9세였다. 수술조직학적 병기의 분포는 I기가 77.4% (24/31), Ⅱ기가12.9% (4/31), Ⅲ기가 6.4% (2/31), Ⅳ기가 3.2% (1/31)이었다. 자궁내막암의 조직학적 자궁근층 침범깊이는 근층의 반미만이 51.6% (16/31)이었으며 근층의 반 이상이 32.3% (10/31)이었다. 자궁내막암의 조직학적 등급별로는 grade1; 45.2% (14#31), grade 2; 32.3% (10/31), grade 3; 22.6% (7/31)이었다. 수술 전 시행한 MRI의 수술조직학적 병기예측 정확도는 67.7% (21/31) (Kendall's Tau-b=0.747) 이었다 자궁내막암의 조직학적 자궁근층 침범정도에 대한 MRI의 예측 정확도는 80.6% (25/31) (Kendall's Tau-b=0.746) 이었다. 또한 자궁경부의 침범에 대한 MRI의 예측민감도는 100.0%, 특이도는 66.7%, 정확도는 90.3% (Kendall's Tau-b=0.766), 양성예측률은 88.0%, 음성 예측률은66.7%를 보였다. 조직학적 등급에 따른 MRI의 자궁근층 침범 예측 정확도는 grade 1; 64.3% (9/14) (Kendall'sTau-b=0.422), grade 2; 100% (10/10) (Kendall's Tau-b=1.000), grade 3; 100% (10/10) (Kendall's Tau-b=1.000)을 보여grade 1에 비하여 grade 2, 3에서 MRI에 의한 자궁근층 침범의 예측 정확도가 유의하게 증가하는 소견을 관찰할 수 있었다(p<0.05). 결론 : 본 연구에서 MRI는 자궁내막암의 수술조직학적 병기를 예측하는데 임상적으로 매우 유용한 검사로 판단된다. 특히 골반 내 자궁내막암의 국소적 침범(자궁경부 및 자궁근층 침범)을 수술 전 정확히 평가할 수 있는 진단적 가치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Objective : The accurate staging prior to surgery is essential in the management of the patients with endometrial cancer. This study aimed to compare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results to surgicopathological staging of endometrial cancer and evaluate the accuracy of MRI in staging carcinoma of the endometrium. Methods : Thirty one patients with endometrial cancer confirmed by fractional D&C&B were evaluated with MRI imaging prior to surgery. After surgery, we compared MRI findings and surgicopathological findings. Results : Overall accuracy of MRI in staging carcinoma of the endometrium, compared with the final stage including surgicopathological results, was 67.7% (21/31, Kendall’s Tau-b=0.747). In prediction of myometrial invasion, MRI imaging had an accuracy of 80.6% (25/31, Kendall’s Tau-b=0.746). The accuracy in prediction of cervical invasion was 90.3% (25/31, Kendall’s Tau-b=0.766). The accuracy in prediction of myometrial invasion for grade I, , and was 64.3% (9/14) (Kendall’s Tau-b=0.422), 100% (10/10) (Kendall’s Tau-b=1.000) and 100% (10/10) (Kendall’s Tau-b=1.000), respectively. In grade and , the accuracy in prediction of myometrial invasion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grade I (p<0.05). Conclusion : MRI imaging is a highly promising method for the prediction of staging carcinoma of the endometrium, and seems to be a more judicious assessment for the detection of myometrial invasion and cervical invasion in the patients with all grades of endometrial cancers.

      • KCI등재

        자궁내막암 환자의 골밀도에 관한 연구

        이승호 ( Seung Ho Lee ),구천회 ( Chun Hoe Ku ),신진우 ( Jin Woo Shin ),박종민 ( Jong Min Park ),박찬용 ( Chan Yong Park ) 대한폐경학회 2009 대한폐경학회지 Vol.15 No.1

        연구목적: 많은 종류의 악성 종양에서 골전이가 없어도 골밀도가 감소되었음이 보고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궁내막암 환자의 골밀도에 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31명의 자궁내막암 환자와 61명의 대조군의 의무기록을 검토하여 이중에너지 엑스선흡수측정기로 측정된 요추와 대퇴 골밀도를 분석하였다. 양성 질환으로 수술을 시행 받은 여성들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환자군과 대조군 모두 폐경 이후의 여성이었다. 자궁내막암 환자군에서 골전이는 없었다. 환자군과 대조군의 연령, 신장, 체중, 체질량지수, 요추 및 대퇴 골밀도를 분석하였고, 자궁내막암 환자군을 I기와 II, III, IV기의 두 군으로 나누어 골밀도를 비교하였다. 결과: 자궁내막암 환자군과 대조군의 요추 및 대퇴 골밀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I기 자궁내막암 환자와 II, III, IV기 자궁내막암 환자의 골밀도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자궁내막암은 골밀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자궁내막암이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을 더 정확히 판단하기 위해서 더 많은 수의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가 시행되어야 한다. Objectives: A variety of neoplasms are related to osteoporosis in the absence of metastasis. We sought to evaluate bone mineral density (BMD) in patients with endometrial cancer.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BMD of the spine and femur using 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DEXA) in 31 patients with endometrial cancer and 61 control women. The control group was treated with surgery for benign disease. All patients with endometrial cancer and all control women had experienced menopause. There were no bone metastases in patients with endometrial cancer. We compared age, height, body weight, body mass index (BMI), and BMD of the spine and femur between the endometrial cancer and control groups, and compared BMD between stage I and stage II, III, and IV endometrial cancer patients. Result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BMD of the spine or femur in patients with endometrial cancer and those in the control group. There were also no differences in the BMD of the spine or femur in patients with stage I versus stage II, III, or IV endometrial cancer. Conclusion: Endometrial cancer appeared to have no effects on BMD before treatment. However, to define its detailed effect on BMD, a prospective study with large sample size is needed.

      • KCI등재

        유방암 치료 후 타목시펜 사용 중 출혈이 발생한 여성에서 자궁내시경을 통한 조직검사와 큐렛을 이용한 조직검사 결과의 비교

        이동옥 ( Dong Ock Lee ),주창우 ( Chang Woo Choo ),이정윤 ( Jung Yun Lee ),문경용 ( Kyoung Yong Moon ),정연경 ( Youn Kyung Chung ) 대한폐경학회 2008 대한폐경학회지 Vol.14 No.3

        연구목적: 타목시펜을 사용하는 유방암 환자 중 자궁출혈을 보이는 여성에서 큐렛을 이용한 자궁내막 생검 결과와 자궁내시경을 통한 자궁내막 생검 결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총 41명의 여성이 대상이 되었으며 평균 연령은 46.7±7.2세였다. 모든 환자에서 전신 마취 후 큐렛을 이용하여 전자궁강 내 소파술을 시행하고 이어서 자궁내시경을 통한 자궁내강 평가 및 자궁내막 조직생검을 시행하여 두 검사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큐렛을 이용한 자궁내막 생검은 24.4%에서 진단에 부적합한 검체를 보였고 자궁내시경을 통한 조직생검은 7.3%에서 부적합 검체를 보였다. 31.7% (13/41)에서 자궁내시경을 통해 자궁내막용종이 발견되었으나 이들 환자 모두 큐렛을 이용한 조직검사에서는 정상 혹은 위축성 자궁내막을 보이거나 (11명) 부적합 검체 (2명)를 보였다. 결론: 타목시펜 사용 중 자궁출혈을 보이는 유방암 환자에서 자궁내막 병변의 정확한 평가를 위해서는 자궁내시경을 시행해야 한다. Objectives: To evaluate the accuracy of curettage compared with hysteroscopic biopsy in women on tamoxifen after the diagnosis of breast cancer. Methods: A p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conducted with forty one women with postmenopausal bleeding during tamoxifen therapy. Under anesthesia, dilatation and curettage was immediately followed by hysteroscopic biopsy and the pathologic reports were compared. Results: By curettage, 24.4% of women showed insufficient tissue for diagnosis compared with 7.3% by hysteroscopic biopsy. In thirteen women (31.7%) endometrial polyp was diagnosed by hysteroscopic biopsy, although all of them showed normal or atrophic endometirum only by curettage. Conclusion: Hysteroscopic biopsy should be used for the evaluation of endometrial pathology in women on tamoxifen after breast cancer.

      • 자궁내막암과 자궁내막기질과의 체액성 소통을 매개하는 사이토카인의 선별

        이승건,권준하,문경원,조한태,민철기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2015 과학영재교육 Vol.7 No.3

        암세포의 성장, 침윤 그리고 전이는 모두 암세포와 주변 기질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암세포와 주변 기질과의 상호 소통하는 환경을 암-미세환경(cancer microenvironment)이라 한다. 본 연구는 암-미세환경에서 암세포와 기질세포 사이의 소통을 매개하는 화학 매개자인 사이토카인을 선별, 발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인간의 자궁내막암세포와 자궁내막 기질세포를 체외에서 3차원적으로 공배양하여 자궁내막암의 암-미세환경을 재현하였다. 이 때 암세포와 기질세포에서 분비되는 사이토카인을RT-PCR, 면역닷블럿팅어레이(사이토카인 에세이)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암세포나 기질세포를 각각 단독 배양할 때와 비교하여 공배양 시 조건 배지(conditioned media)에 Angiogenin, Chitinase-3-like 1, Cystatin C, Dickkopf wnt signaling pathway inhibitor 1(DKK-1), Osteopontin, Growth differentiation factor 15(GDF-15) 등 6종류의 사이토카인의 양이 증가하였다. 또한 공배양 시 기질세포에서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1-3(TGFβ1-3), basic FGF(bFGF), Chemokine C-X-C motif ligand 12(CXCL12) 등 5종의 mRNA 발현량이 증가하였다. 향후 이들 체액성 소통 매개인자인 사이토카인의 차단과 같은 방법은 암을 제어하는 새로운 수단을 제공할 것이다. .

      • KCI등재

        충청일부지역 자궁내막암 환자들의 암 단계에 미치는 영향 요인

        이성란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9

        The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on cancer progression among patients with endometrial cancer in Chungcheon area . Data were surveyed using interview and questionnaires by 218 patients who had visited two general hospitals which was located in D and K area from October 17 to November 30, 2016. The progression of endometrial cancer and medica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by chi-square 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patients(60.5%) who had received many psychological fatigue for cancer progress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patients(58.2%) with localized cancer((X2=3.76, p<.05). Secondly, there was a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age and body weight(r=--0.21, p<.05). Thirdly, the age explained the progression of endometrial cancer(23.1%), body weight(7.4%), psychological fatigue(5.8%), meat intake(2.7%), respectively. These four variables explained the progression of endometrial cancer(37.1%). In order to prevent the incidence of endometrial cancer, it is needed to develop health education programs that focus on medical characteristics of health status. 본 연구는 충청일부지역 자궁내막암 환자들의 암 단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자료는 2016년 10월 17일부터 11월 30일까지 D와 K 지역에 소재한 종합병원에 내원한 환자 218명을 대상으로 설문 및 면접조사를 하였다. 연구방법은 일반적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로 산출하였다. 자궁내막암 단계와 의료특성과 관련된 요인은 X2-test로 분석하였다. 자궁내막암 단계에 따른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다중 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하였다.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적 피곤을 많이 받은 경우가 진행 암 단계에서 60.5%로 상피내 암의 58.2% 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X2=3.76, p<.05). 둘째, 자궁내막암의 연령과 체중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21, p<0.05). 셋째, 연령이 암 진행정도를 23.1%, 체중이 7.4%, 심리적 피곤 5.8%, 고기류 섭취가 2.7%로 각각 설명하였다. 이들 네 변수가 자궁내막암 진행 정도의 37.1%로 설명하였다. 따라서 연구결과 자궁내막암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건강상태의 의료적 특성에 초점을 둔 건강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고 본다.

      • KCI등재

        자궁내막암의 수술 후 방사선치료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인자

        기용간(Yong Kan Ki),권병현(Byung Hyun Kwon),김원택(Won Taek Kim),남지호(Ji Ho Nam),윤만수(Man Su Yun),이형식(Hyung Sik Lee),김동원(Dong Won Kim)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6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4 No.2

        목 적: 수술 후 보조적으로 방사선치료를 받은 자궁내막암 환자의 전체생존율, 무병생존율, 재발 부위 등을 분석하 여 이와 관련된 예후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2년 4월부터 2003년 5월까지 부산대학교병원에서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받은 자궁내막암 환자중 조직유형이 선암인 환자 54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하였다. 전체 환자의 중앙 나이는 55세(35∼76세)였고, 병기 분포는 FIGO 병기 I군이 34명(63.0%), 병기 II군이 8명(14.8%), 병기 III군이 12명(22.2%)이었다. 모든 환자는 수술 및 외부 방사선조사(41.4∼54.0 Gy, 중앙값 50.4 Gy)를 받았고, 20명(전체 환자의 37.0%)의 환자에서 추가로 질내 근접치료(15.0∼24.0 Gy, 중앙값 15.0 Gy)를 받았다. 전체추적기간은 5∼115개월로 중앙추적기간은 35개월이었다. 분석 결과 유의인자로 나타난 조직분화도(histologic grade), 림프-혈관 침범 ymphovascular space invasion), 그리고 자궁근 침범 정도(myometrial invasion depth)를 점수화(GLM 점수)하여 생존분석을 시행하였다. 생존분석은 Kaplan-Meier 법을, 단변량 및 다변량 통계분석은 각각 log-rank 검정과 Cox 회귀분석을 사용했다. 결 과: 전체 자궁내막암 환자의 5년 생존율은 87.7%였고, 5년 무병생존율은 87.1%였다. 단변량 통계분석에서는 조 직분화도, 림프-혈관 침범, 그리고 자궁근 침범 정도가 전체생존율 및 무병생존율과 관련 있는 인자였고, 다변량 통계분석에서는 림프-혈관 침범이 무병생존율과 관련 있는 인자였다(p=0.0158). GLM 점수는 전체생존율 및 무병 생존율과 의미 있는 관계를 나타냈고(각각 p=0.0090, p=0.0073), 원격재발에도 유의한 예후인자로 나타났다(p=0.0132). 전체 환자 중 6명(11%)의 환자에서 재발을 보였고, 재발 부위는 대동맥 림프절 2명, 폐 2명, 쇄골상부림프절 1명, 질 1명이었다. 결 론: 수술 및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받은 자궁내막암 환자의 예후는 수술 후의 병리 소견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 고 있다. 더 많은 연구를 통해 자궁내막암 환자의 예후인자를 체계화한다면, 병의 진행양상을 예견하고 대처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prognostic factors influencing relapse pattern, overall and disease-free survival in patients treated with postoperative radiotherapy for endometrial carcinoma. Materials and Methods: The records of 54 patients with endometrial adenocarcinoma treated postoperative radiotherapy at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etween April 1992 and May 2003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Median age of the patients was 55 (range 35∼76). The distribution by surgical FIGO stages were 63.0% for 0Stage I, 14.8% for Stage II, 22.2% for Stage III. All patients received postoperative external radiotherapy up to 41.4∼54 Gy (median: 50.4 Gy). Additional intravaginal brachytherapy was applied to 20 patients (37.0% of all). Median follow-up time was 35 months (5∼115 months). Significant factors of this study: histologic grade, lymphovascular space invasion and myometrial invasion depth were scored (GLM score) and analyzed. Surviv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Kaplan-Meier method. The log-rank test was used for univariate analysis and the Cox regression model for multivariate analysis. Results: 5-year overall and disease-free survival rates were 87.7% and 87.1%, respectively. Prognostic factors related with overall and disease-free survival were histologic grade, lymphovascular space invasion and myometrial invasion according to the univariate analysis. According to the multivariate analysis, lymphovascular space invasion was associated with decreased disease-free survival. GLM score was a meaningful factor affecting overall and disease-free survival (p=0.0090, p=0.0073, respectively) and distant recurrence (p=0.0132), which was the sum of points of histologic grade, lymphovascular space invasion and myometrial invasion. Total failure rate was 11% with 6 patients. Relapse sites were 2 para-aortic lymph nodes, 2 lungs, a supraclavicular lymph node and a vagina. Conclusion: The prognosis in patients with endometrial carcinoma treated by postoperative radiotherapy was closely related with surgical histopathology. If further explorations confirm the system of prognostic factors in endometrial carcinoma, it will help us to predict the progression pattern and to manage.

      • KCI등재후보

        자궁내막암의 예후인자로서의 MMP-2,-9, TIMP-1,-2 발현

        최종렬,이태화,오영림,이천준,김원규 대한부인종양학회 2008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Vol.19 No.1

        Objective : Homeostasis of the extracellular matrix (ECM) is maintained by the action of a specific system of proteolytic enzymes known as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 and tissue inhibitors of metalloproteinases (TIMP). The MMP/TIMP system regulates the composition and turnover of ECM to control the site and extent of connective tissue remodeling. In pathologic conditions, MMP play a key role in degradation of basement membrane and extracellular matrix, and is responsible for cancer invasion, progression and metastasi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orrelation between expressions of MMP/TIMP and clinicopathologic factors in endometrial cancer. Methods : Expressions of MMP-2, MMP-9, TIMP-1, and TIMP-2 were assessed by immunohistochemistry in a total of 55 endometrial cancers and were analyzed by the correlation between expressions of MMP/TIMP and clinicopathologic factors in endometrial cancer. Results : Expression of MMP-2 was correlated with the group of positive lymph node metastasis in endometrial cancer (p=0.04). Specially, coexpression of MMP-2 and TIMP-2 was significantly more frequent in the group of positive lymph node metastasis (p<0.01) and the group of positive peritoneal cytology (p=0.03). In survival analysis, expressions of MMP and TIMP were not related to poor survival rate. Conclusion : The expressions of MMP and TIMP were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urvival analysis, but this study was recognized that the coexpression MMP-2 and TIMP-2 is correlated with lymph node metastasis and positive peritoneal cytology. 목적 : 세포외기질의 항상성 유지는 MMP (matrix metalloproteinasese)와 TIMP (tissue inhibitors of metalloproteinases)로 알려진 단백질분해 효소 시스템의 작용에 의하여 주로 조절된다. MMP와 TIMP 시스템은 결합조직 재구성 부위와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세포외기질의 분해 및 합성을 조절한다. 병적인 상태에서 MMP와 TIMP 시스템은 기저막과 세포외기질 분해 기전에 주요 역할을 함으로써 종양의 증식, 침습, 전이에 참여한다. 이 논문의 목적은 자궁내막암에서 MMP와 TIMP의 발현 그리고 이들과 임상병리학적 예후인자들과의 상관관계 및 생존율과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이들 발현이 어떠한 예후적 의의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방법 : 55명의 자궁내막암 환자를 대상으로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통한 MMP-2, MMP-9, TIMP-1, TIMP-2의 발현 을 조사한 뒤, 이들과 자궁내막암의 임상병리학적 예후인자들과의 상관관계 및 생존율과의 관계를 통계학적으 로 분석하였다. 결과 : 자궁내막암 환자의 MMP-2,-9, TIMP-1,-2 발현율은 각각 71.7%, 54.9%, 41.2%, 76.5% 이었다. MMP-2,-9, TIMP-1,-2 발현과 개별적인 임상병리학적 예후인자들과의 상관관계 분석에서는 림프절 전이 양성군에서 통계학 적으로 유의한 MMP-2 발현 증가를 나타내었고 (p=0.04), 복강세포진 양성군에서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는 않 았으나 MMP-2 발현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p=0.07). 그리고 특히 림프절 전이 양성군에서는 MMP-2와 TIMP-2 동시 발현하는 성향이 매우 의미있게 높았으며 (p<0.01), 복강 세포진 양성군에서도 MMP-2와 TIMP-2 동 시 발현하는 성향이 매우 의미있게 높았다 (p=0.03). 자궁내막암 환자 55명의 전체 5년 생존율은 88.8% 이었으 며, MMP-2,-9, TIMP-1,-2 발현 여부에 따른 생존율 분석상에서는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다. 결론 : 이번 연구에서는 MMP와 TIMP의 발현이 전체 5년 생존율과 직접 연관성은 없었지만, 림프절 전이 양성군 과 복강세포진 양성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MMP-2 및 TIMP-2가 동시 발현되는 상관 관련성이 있었다.

      • SCIESCOPUSKCI등재

        자궁내막암 환자에서 복강경하 자궁적출술과 복식 자궁적출술의 비교 연구

        김종혁,이상수,김천복,김대연,김용만,김영탁,목정은,남주현 대한부인종양 콜포스코피학회 2003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Vol.14 No.4

        목적 : 자궁내막암 환자에서 시행된 복강경 수술의 임상적 결과를 평가하고 수술적 지표 및 재발률에 대하여 기존의 개복 수술과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1997년 8월부터 2003년 11월까지 저자들은 임상적 병기 I기인 79명의 자궁내막암 환자에서 복강경하 자궁적출술과 골반 및 부대동맥 림프절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총 79명의 환자 중, 수술적 병기 I기와 II기로 판명된 74명의 환자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대조군으로는 같은 기간 동안에 개복수술을 시행한 환자중 복강경 수술군과 병기가 같은 168예를 선정하였다. 결과 : 평균 수술 기간, 수혈량은 양군에서 비슷하였으며, 평균 재원 기간은 복강경 수술군에서 유의하게 짧았다. 수술전후 및 만성 합병증의 발생은 개복 수술군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며, 획득한 림프절의 수는 복강경 수술군에서 유의하게 더 많았다. 복강경 수술군에서 1예, 개복 수술군에서는 2예에서 재발하였고, 2년 무병 생존률은 복강경 수술군과 개복 수술군에서 각각 97.5%와 98.6%으로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 자궁내막암 치료로서 복강경 수술은 기존의 개복술을 대신할 수 있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시술 방법이다. 개복 수술과 비교해 볼 때, 재발 및 생존율 면에서 차이가 없었지만, 향후 전향적이고 더 오랜 추적기간을 갖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Objective : To evaluate the outcomes of laparoscopic surgery and to compare surgical parameters and recurrence rate of these with those of conventional abdominal surgery in patients with endometrial cancer. Methods : From August 1997 to November 2003, we have performed 79 cases of LAVH (laparoscopically assisted vaginal hysterectomy) with or without lymph node dissection. Laparoscopic approach was adapted in patients with FIGO clinical stage I by imaging study. Of the 79 patients, 74 patients who were proved to be surgical stage I and II were enrolled in this comparative study. As a control group, We selected 168 cases for the laparotomy group of the same stages. Results : The mean duration of surgery, the amount of blood transfusion and hemoglobin chamges were similar in both the laparoscory and the convertional alparotomy group. The mean duration of hospital stay was significantly shorter in patients treated by laparoscopic surgery (10.2 vs. 15.5 days). The number of lymph node obtained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laparoscopy group. Two year recurrence-free survival rates were 97.5% in laparoscopy group and 98.6% in laparotomy group (p=0.763). Conclusion : Laparoscopic surgery for the treatment of early stage endometrial cancer is safe and effective altematives in terms of perioperative complications. Overall and recurrence-free survival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in both groups however long term risk for recurrence and survival has yet to be defin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