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화관 양성 협착의 자가 팽창성 금속 스텐트를 이용한 치료

        한혜원,이인석,박재명,오정환,조유경,김상우,최명규,정인식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08 Clinical Endoscopy Vol.37 No.1

        목적: 소화관 양성 협착의 내시경 치료로 풍선 확장술과 부우지 확장술이 이용되지만, 시술 후 출혈이나 천공 및 재협착의 문제점이 있다. 소화관 악성 협착의 치료로 시행되는 자가 팽창성 금속 스텐트(이하 금속 스텐트)는 확장 효과가 충분하고 합병증이 적다. 이번 연구는 소화관 양성 협착 환자에서 금속 스텐트를 이용한 확장술의 임상 경과와 합병증을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1월부터 2007년 5월까지 폐색증상을 동반한 소화관 양성 협착 환자 11명에서(남자 6명, 평균연령 50.9세) 금속 스텐트를 삽입하고 평균 16.1일(3∼35일)후 금속 스텐트를 제거하였다. 금속 스텐트 시술 전후로 증상의 개선 정도 및 합병증, 추적기간 중 재협착 유무를 관찰하였다. 재협착은 내시경이 통과하지 못하거나 폐색 증상이 재발하는 경우로 하였다. 결과: 양성 협착의 원인은 소화성 궤양 협착 8명, 부식성 식도염 2명, 수술 후 문합부 유착 1명이었다. 금속 스텐트 시술 후 3명은 2주 내 자연 이탈되어 내시경으로 제거하였다. 스텐트 삽입 후 모든 환자에서 폐색 증상이 개선되었으며 시술과 관련된 합병증은 없었다. 시술 후 추적 기간은 평균 12.8개월(3∼35개월)이었다. 재협착은 소화성 궤양 협착 2명, 부식성 식도염 2명으로 36.4%(4/11예)에서 발생하였으며 모두 3개월 내에 발생하였다. 결론: 자가 팽창성 금속 스텐트는 효과적이고 안전하게 소화관 양성 협착을 확장시킬 수 있다. 재협착율은 36.4%이었고 모두 시술 3개월 내에 발생하였다. 향후 소화관 양성 협착의 적합한 치료법에 대한 추가 연구를 기대한다.

      • KCI등재

        양성 간외 담관 협착에서 완전 피막형 자가팽창성 금속 스텐트의 유용성과 안전성

        김병욱,구자충,조영심,한정호,윤순만,채희복,박선미,윤세진,유봉규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11 Clinical Endoscopy Vol.42 No.1

        Background/Aims: For the endoscopic treatment of benign biliary strictures (BBS), it has been a drawback to use plastic stents or uncovered self-expandable metal stents. We investigated the efficacy and safety of temporary placing fully covered self-expandable metal stents (FCSEMS) in BBS. Methods: We enrolled 12 cases that followed up more than 6 months after insertion of a FCSEMS in BBS via ERCP. The cohort consisted of 9 patients with recurrent cholangitis, 2 patients with postcholecystectomy and 1 patient with chronic pancreatitis. The efficacy was assessed according to the resolution of strictures and also the restricture after stent removal, and the safety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stent placement. Finally, the removability of FCSEMSs was assessed. Results: The median time of FCSEMS placement was 6.0 months. Resolution of the BBS was confirmed in 8 cases (67%) after a median post-removal follow-up of 8.5 months. Restricture after stent removal happened in 4 cases (33%). The complications were severe abdominal pain (n=2), pancreatic abscess (n=1) and stent migration (n=6). In 7 cases, all the FCSEMSs were successfully removed by grasping them with forceps. Conclusions: Temporary placement of a FCSEMS in BBS showed good therapeutic effects, relative safety and easy removability. Further evaluation is needed for determining the causes of restricture and for developing a new stent with antimigration features. 목적: 플라스틱 스텐트는 내경이 제한되어 있어 양성 담관 협착의 치료로 널리 이용하기에는 어려운 점이 있다. 저자들은 양성 담관 협착에서 완전 피막형 자가팽창성 금속 스텐트(fully covered self-expandable metal stent, FCSEMS)의 유용성과 안전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양성 담관 협착으로 FCSEMS를 삽입한 후 6개월 이상 추적한 12예(남:여=4:8, 평균나이 67세)를 대상으로 하였다. 담관 협착 12예(재발성 담관염 9예, 담낭절제술 후 손상 2예, 만성 췌장염 1예)에서 내시경 역행성 담췌관조영술로 각각 1개의 FCSEMS를 유두부를 관통하여 삽입하였다. 스텐트 유치와 관련된 합병증을 조사하여 안정성을 평가하였고, 협착 해소 여부와 스텐트 제거 후 재협착으로 스텐트의 효능을 평가하였으며, 스텐트의 제거 용이성을 조사하였다. 결과: 담관 협착이 있었던 12예는 모두 시술 당일부터 증상이 완화되었다. FCSEMS는 6.0개월(중앙값)간 유치하였으며, 스텐트 제거 후 8.5개월(중앙값)에 8명은 지속적으로 협착 증상이 해소되었고 4명은 스텐트 제거 후 재협착이 발생하였다. 스텐트 유치와 관련한 합병증은 심한 복통 2예, 췌장농양 1예, 스텐트 이탈 6예(십이지장 이탈 5예, 근위부 담관 이탈 1예)였다. 스텐트를 제거를 시도한 7예 모두 겸자로 쉽게 제거하였다. 결론: 양성 담관 협착에서 FCSEMS는 치료 효과가 신속하고 안전하며 쉽게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스텐트 제거 후 재협착의 빈도가 높고 이탈율이 높은 점은 향후 해결해야 할 과제로 생각한다.

      • KCI등재후보

        스텐트 플렌지 유발 식도 협착을 경구 스테로이드를 이용하여 치료한 예

        서준영 ( Junyoung Seo ),박주상 ( Ju Sang Park ) 대한내과학회 2021 대한내과학회지 Vol.96 No.4

        Esophageal stent complications include stent migration, tumor ingrowth, perforation, a broncho-esophageal fistula, and gastroesophageal reflux. Development of a new stricture at a flange site after stent removal has been predicted but not yet reported. We experienced the first case of a recurrent esophageal stricture induced by a stent flange after stent removal. A fully covered metallic stent, which had been inserted 2 months ago for treatment of an anastomotic stricture, triggered another stricture at the flange site. Although endoscopic balloon dilatations were repeated several times and then the 2nd stent for rescue therapy was inserted, the stricture was refractory to all treatment. Thus, we prescribed oral prednisolone with repeated endoscopic balloon dilation; the stricture eventually improved. The oral steroid seemed to suppress stricture development. If a stent flange-induced refractory stricture is encountered, an oral steroid combined with endoscopic balloon dilation may be helpful. (Korean J Med 2021;96:352-357)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