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상현실의 현존감을 활용한 입체조형 교육 방법 제안 -스케일 감각 향상을 위한 실험내용을 중심으로-

        이영은 한국기초조형학회 2021 기초조형학연구 Vol.22 No.4

        The goal of the three-dimensional modeling education is to develop a sense of modeling for students majoring in design at university as well as flat-dimensional modeling. Since Bauhaus, which is called the beginning of design education, students are received 3D formative education through repetitive practice accompanied by exploration of physical materials. As technology advances and digital education environments are established,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be explored in ways other than manual methods. The sense of scale was intended to be studied intensively as a formative principle related to the size and usabi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3D formative education program using virtual reality without space-time constraints, and to examine the improvement of sense of scale and understanding of formativeness. The beginning and development of 3D formative education was investigat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The characteristics of virtual reality were investigated, and cases applied to the university curriculum were examined. Combining virtual reality with 3D education, project was selected and modified accordingly. It was intended to converge the existing physical modeling method and digital production method through the application of virtual reality. Students recorded the process of the experiment, documented their experiences, and shared among participants. It was effective by combining the 3D formative program and virtual reality technology. Through the process of touching and experiencing objects directly through virtual reality, students evaluated that it was helpful to increase their understanding of formativeness, sense of scale, and sense of space.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virtual reality from an educational perspective and prepare a research foundation to discuss various directions applicable to 3D formative education. 입체조형 교육은 평면조형과 더불어 대학에서 디자인을 전공하는 학생들의 조형 감각을 키우는 것을목표로 한다. 디자인 교육의 시작이라고 불리는 바우하우스 이후로 학생들은 물리적 재료 탐구를 동반한 반복적인 실습을 통해 입체조형 교육을 받는다. 기술 발전과 디지털 교육 환경이 구축됨에 따라 수작업 방식 이외의 방법으로 입체조형 교육이 탐구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그 중에서도 제작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조형의 규모와 사용성과 관련된 조형원리인 스케일에 대해 집중적으로 연구하고자하였다. 이 연구는 시공간 제약이 없는 가상현실을 활용하여 입체조형 교육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스케일 감각의 향상 및 조형의 이해도 향상을 살펴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문헌 고찰을 통해 입체조형교육에 대한 배경과 목표를 살펴보고, 가상현실의 매체적 특성과 가상현실을 적용한 대학 커리큘럼의사례를 조사하여 적용 가능한 디자인 원칙을 정리하였다. 가상현실과 입체조형교육을 결합한 프로젝트를 제안하고 1학년 학생들과 실험을 설계하였다. 기존의 물리적인 모형제작 방법과 가상현실의 적용을 통한 디지털 제작 방법을 융합하였으며, 학생들은 실험한 과정을 녹화하고, 경험에 대한 문서를기록하며 실험 참가자들 간의 경험을 공유하였다. 입체조형 프로그램과 가상현실 기술을 결합한 프로젝트는 효과적이었다. 가상현실 속에서 직접 사물을 만지고 체험하는 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조형에 대한 이해와 스케일 감각, 그리고 공간감을 높이는데 도움이 된다고 평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교육적관점에서 가상현실의 특성을 이해하고 입체조형 교육에 적용 할 수 있는 다양한 방향을 논의 할 수 있는 연구 기반 마련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입체조형’ 수업의 활용재료로서 이쑤시개의 유용성 연구 -산업디자인학과 수업사례를 중심으로-

        이길순 한국기초조형학회 2017 기초조형학연구 Vol.18 No.1

        본 연구목적은 산업디자인학과의 전공기초교과 ‘입체조형’에서 조형제작을 용이하고 흥미 있는 수업이 되도록 사용재료 및 제작방법을 모색하려는 것이다. 연구범위는 ‘입체조형’ 수업방법으로 이쑤시개 조형의 논리와 사례조사와 실험제작이다. 연구방법은 조형실험으로 수업에서 약 6.5센티 이쑤시개를 재료로 다양한 입체조형 제작을 했다. 본 실험을 위해 다음 조건을 설정했다. 1) 조형의 주제와 소재 사용은 자유이고 제한을 두지 않는다. 2) 재료사용은 주재료는 이쑤시개이고, 보조 재료는 자유 선택이며 임의로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고, 다양한 표현계획이 가능하다. 3) 본 작업의 기대효과는 이쑤시개 사용의 조형표현 가능성 확장과 재료로서 유용한 방법적 경험이다. 이상 세 가지 목표와 조건에 따라 제작하고 학생의 소감과 지도교수의 직관적 분석과 평가를 하였다. 조형작업은 관찰이 중요하여 이를 경험토록 하였다. 결론으로 ‘입체조형’의 재료로서 이쑤시개 사용은 유용성이 있음을 확인했다. 그 근거는 이쑤시개의 ‘입체조형’ 제작수업의 결과에서 나타났다. 이 제작수업에서 유용성의 효과는 1)입체조형 활용기법 발안능력 배양. 2)점, 선, 면, 괘 등 표현과 다차원적 조형표현, 감성가치의 경험. 3) 목재의 특성이해, 산업디자인전공 감각개발. 4)이쑤시개 활용성 확산 모색. 5)다양한 표현 가능성 인지. 6)조형과 가치개발의 필요성 인식. 7)창의성 유발 매체로서 인식 등으로 평가되었다. 물론 한계적 요소도 있었다. 본 연구의 실험을 통하여 이쑤시개가 ‘입체조형’ 수업의 재료로 유용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a viable, yet fun and engrossing way of using materials and assembly methodology for the Dimensional Form class of the foundation year of industrial design majors. The scope of this paper covers the may usages of the toothpick as a basic element for such assembly and class assignments. The methodology to undergo such discovery was to give students toothpicks, roughly 6.5 centimeters long, and see how they approach this assignment. The following were considered in this observation: 1) no limitation on what the students could make, or add in materials 2) the main material used must be the toothpick with additional supportive materials added when it was felt useful to do so. 3) the expected outcome of this assignment was to see how creative students could be with a strictly limited set of materials. Based on the above three criteria, we asked for student opinions as well as the insight of instructors as well as their analysis. As form making relies heavily on observation it is also important that students practice and hone this skill. In conclusion, we found that using toothpicks for an assignment in the Dimensional Form curriculum was useful. The basis for such a conclusion is found in the final assignments conducted in that class. The findings are broken down as the following: 1) adapting skills learned during the assignment with increased observational skills 2) point, line, plane principles as well as multi-dimensional form-making and emotional experience 3) understanding wood as a form making material 4) the toothpick as a element to build and expand 5) alternate methods of expression 6) a need to express form in an accurate way 7) a viable method of creativity etc. There were of course, a few limitations discovered during this observation. Through this paper we would like to show the viability of the toothpick as a tool for understanding dimensional form.

      • KCI등재

        기능과 용도를 탐색할 수 있는 조형 실습을 위한 가상현실 도구 활용 입체조형 교안 제안

        이영은,정의철 한국기초조형학회 2023 기초조형학연구 Vol.24 No.3

        본 연구는 입체조형 교육에 가상현실을 활용하여 학생들의 기능과 용도를 고려한 조형 작업을 돕는교안 제안을 목적으로 한다. 입체조형은 평면조형과 함께 국내외 미술대학 기초필수과정으로, 수업에서 다양한 재료와 제작 기법을 통해 조형을 이해하고 발전시킨다. 디자인 전공의 입체조형 수업은 조형물이 실생활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 그 기능과 용도를 찾는 과정도 중요하게 다루어진다. 제품, 가구, 인테리어, 환경 분야의 기초과정으로 다루어지는 이유이다. 조형 결과물을 다양하게 상상하고만들어보는 것이 입체조형 수업의 목표를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되기에, 다양한 컴퓨터 도구를 효과적으로 활용해 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상현실을 입체조형 교육에 활용하여 학생들의 조형 작업을 돕는 수업을 계획한다. 연구 방법은 문헌 연구, 디자인 에스노그라피에 기반한 실험 및 관찰, 인터뷰, 그룹 토론 등의 질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입체조형 교육과정에 가상현실의 활용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워크숍을 진행하였다. 워크숍은 가상현실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나누어 형태의 기능성 탐구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학생들의 조형 실습 과정과 결과를 심미성, 실용성, 창의성 평가 지표를 가지고 분석하였다. 가상현실을 적용한 팀의 조형물이 콘셉트가 확실한 다양하고 독창적인 디자인 결과물을 보여주었으며, 이를 통해 가상현실 도구를 활용한 입체조형 실습이 형태의 기능성 탐구라는 프로젝트에 도움을 줄 것이라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워크숍 결과를 바탕으로 15주 차 입체조형 교안을 개발하였고 수업에 적용할 수 있도록 주 차별 내용과 평가항목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교안은 가상현실의 특성을 이해하고 입체조형 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디자인 교육 방향을 논의하고 수업 설계를 위한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가상현실을 활용하여 심미성과 실용성의 균형을 고려한 디자인 입체조형 수업 방법 제안

        이영은,정의철 한국기초조형학회 2021 기초조형학연구 Vol.22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design teaching method that allows students to perform modeling work considering both aesthetics and practicality by using virtual reality for 3D formative education. 3D formative is an important basic course in design education, and it trains the basics of making, which is the basis of product and space related majors. In class, students learn various physical manufacturing methods, and it takes time and effort. From a practical point of view, it was determined that virtual reality was appropriate as a way to practice modeling, and an research plan was established. As research methods, literature review, experimental design and implementation, questionnaire survey, and group discussion were conducted.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3D formative in the design major were examin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form and function was summarized. After examining the content arrangement principles to enhance the spatiality of virtual reality, some of the 3D modeling outputs were made into virtual content so that the students could experience their design. In virtual reality, students could walk directly into the virtual space where their design model is placed, so they could recognize and experience the relative size of the modeling based on themselves, which made them easily imagine the practicality of the modeling work. In addition, they were able to experiment with various possibilities by making modifications as they imagined on the screen and immediately experiencing the results. Students had many positive opinions that the virtual reality experiences were excellent in immersion and that the scale transforma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modeling were easy. In addition, it was evaluated as a good tool to raise interest in the task and propose various modeling concepts.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provide a basis for raising the level of the 3D formative class by proposing a practical imagination training method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virtual reality. 이 연구는 입체조형 교육에 가상현실을 활용하여 학생들이 심미성과 실용성을 같이 고려하여 조형 작업을 할 수 있는 디자인 수업 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입체조형은 디자인 교육의 기초과정으로, 제품과 공간 관련 전공 분야의 기반인 만들기의 기초를 훈련하는 수업이다. 수업에서는 다양한 물리적 제작 방식을 익히며 시간적 투자와 노력이 필요하다. 수작업에 기반한 반복적 심미적 조형훈련의 필요성을 실용적 관점에서 흥미롭게 접근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실용적 관점으로 조형을 실습하는 방법으로 가상현실이 적절하다고 판단하여 연구 계획을 수립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 고찰, 실험 설계 및 실행, 설문 조사와 그룹 토의 등을 실시하였다. 먼저, 디자인 전공에서 다루는 입체조형의 특징을 살펴보고 형태와 기능의 관계를 정리하였다. 가상현실의공간성과 사용자의 입체감을 높이기 위한 콘텐츠 배치 원칙을 살펴본 후, 입체조형 수업에서 진행하는일부를 가상 콘텐츠로 제작하여 실험 참여자들이 디자인한 조형을 경험할 수 있게 하였다. 가상현실안에서 학생들이 제작한 조형을 체험해보면서 학생들의 경험을 공유하고 그 효과를 살펴보았다. 가상현실에서 조형이 놓인 내부 공간에 직접 들어가 걸어 다닐 수 있어 체험자 기준으로 조형의 상대적 크기를 인지하고 경험할 수 있어 조형 작업의 실용성을 쉽게 상상할 수 있었다. 또한, 화면에서 상상하는 대로 수정하고 결과를 바로 경험할 수 있어 다양한 가능성을 실험할 수 있었다. 실험 참여자들은가상현실 경험은 몰입감이 탁월하고, 조형의 스케일 변형과 구현이 쉽다는 긍정적 의견이 많았다. 또한, 과제에 대한 흥미를 높여 다양한 조형 콘셉트를 제안하기에 좋은 도구라고 평가하였다. 본 연구를통해 실용적 상상 훈련 방법을 가상현실의 특징을 활용하여 제안함으로써 디자인 입체조형 수업의 수준을 한 단계 높이는 기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입체조형 디자인을 활용한 유아 창의력 평가 방법 연구 - 디자인 창의성 평가지표 개발 기초연구 -

        송영은,박규원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4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2 No.4

        입체조형 활동은 유아에게 감각적인 경험을 용이하게 접근하도록 하는 활동 중 하나이며, 이 시기에 여러 가 지 표현 활동과 경험을 통해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을 창의적으로 표현하고 구체화시킨다. 창의력을 평가하는 목적은 조기에 창의적인 능력을 계발하고 성인이 된 후 창의적인 능력을 수행하는데 도움 을 주기 위함이다. 또한, 유아 개개인의 창의력이 어떠한 프로파일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토대로 적절한 교육 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은 디자인 창의성 평가 지표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입체조형 표현의 기초적인 원리를 이해하 고, 입체조형 디자인을 활용한 체계적인 디자인 창의성 평가 방법을 모색해보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창의성 영역의 분류 중 재료를 활용하여 창의적인 산출물을 만들어내는 ‘조작창의성’ 영역 활 동을 중심으로 창의력을 평가하였다. 입체조형 디자인 창의력 평가를 위해 창의성 연구와 관련된 선행연구자 들에 의해 분류된 평가 요소들을 그룹핑하여 독창성, 유창성, 융통성, 몰입성, 실용성, 안전성, 흥미성, 심미성 총 8가지의 평가 요소를 추출하였다. 유아 창의력 평가를 위한 프로그램 학습안으로 크게 3가지의 학습안을 토대로 평가를 진행하였다. 창의력 평가 결과 첫째, 4∼5세 유아가 6∼7세의 유아에 비해 독창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창의성 발현에 가장 적합한 유아기의 창의성 교육이 더욱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둘째, 6∼7세 유아의 경우 심미 성과 실용성에 높은 점수 결과를 나타내었는데 이는 어떠한 결과물이 아름답게 보이고, 쓸모 있도록 보이는지 에 대한 정답의 틀을 인지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보다 심도 있는 연구를 통해 실제적으로 디자인 창의성 교육에 활용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과 평가 지표가 지속적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Three dimensional modeling is one of the activities that enable children(infants) to approach sensual experience. Three dimensional modeling activity is the most important during early childhood. Three dimensional modeling activity helps infants to express their thoughts and feelings in a creative manner through various expression and experience. The purpose of evaluating creativity is to help children(infants) develop creativity early and perform in a creative manner when they became adults. Evaluating creativity aims to assess what profile each infant's creativity has so that proper education can be given them based on evaluation. This study is a basic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evaluation index to estimate design creativity and understand the basic principles of three dimensional model design expression, and try to find a systematic method of the evaluation on design creativity using a three dimensional sculpture. This study evaluated creativity based on area of “Manipulation of creativity that produces creative product using materials among the areas of creativity. To evaluate creativity of three-dimensional model design, evaluation elements classified by leading researchers who are related to creativity research are in groups, and eight kinds of evaluation elements were extracted such as originality, fluency, flexibility, immersion, practicality, safety, interest, esthetics. For program of learning process plan of creativity evaluation for children, the evaluation was conducted by 3 kinds of learning process plan. First, results of the creativity evaluation shows children aged between 4 and 5 have higher originality than children aged between 6 and 7, and it suggests creative education in the best period of creativity development of childhood is even more important. Second, children aged between 6∼7 have high grade in aesthetics and practicality, it seems they recognize right answer on the results that what the most beautiful and useful are. Therefore, education program and evaluation index should be developed continuously to utilize in design creative education practically through an in-depth study.

      • KCI등재

        움직임 요소를 이용한 입체조형 교육에 관한연구

        권태훈 한국기초조형학회 2017 기초조형학연구 Vol.18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modeling skill of students by producing and expressing specific sculptures using the element of movement, which is one of the basic elements of sculpture. In a typical three dimensional sculpture class, dots, line materials, and surface materials are used in accordance to their own characteristics, and those materials are expressed in a three dimensional space according to principles of sculpture. However, a three dimensional sculpture class using movement grants the resulting sculpture to change and move over time. So the three dimensional sculpture which was constructed according to these principles creates a new image through consistent or inconsistent movement over time. Thus, in this study, prior to creating a three dimensional sculpture, students were required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three dimensional modeling, the principles of sculpture, and movement as a sculptural element. The class was based on the students visualizing their sculptural language through the images they selected based on their theoretical knowledge, and the sculptural characteristics produced through this process was applied to the principles of sculpture,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element of movement. To power the movement, factors such as gravity and atmospheric flow, fan generated wind and physical force were used. There were no limitations as to what materials could be used to create the sculpture. The result showed that when external physical force was exerted and movement occurred, a new characteristic was added or the existing characteristics were altered, creating a new visual image, one that could not be seen in a static sculpture. It is expected that students majoring in space and product design will develop the ability to solve problems in the process of sculptural planning, and improve their creative thinking ability by experimenting with new sculptural elements in this three dimensional modeling practical class. 본 연구는 디자인 기초조형실습 수업과 관련하여 조형요소의 하나인 움직임을 이용하여 구체적인 조형을 제작하고 표현하여 학생들의 조형능력을 향상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일반적인 입체조형수업에서는 점과 선재, 면재를 이용하여 조형원리에 의한 3차원적 공간에 조형을 표현하여 의미를 부여하는 방향으로 진행하였다면, 본 연구에서는 시간의 개념을 가지는 조형요소인 ‘움직임’을 이용하여 새로운 시각에서 사고의 확장 가능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즉, 조형원리에 의해 구성된 입체조형물은 시간에 따라 일정한 운동을 하거나, 불규칙적인 운동을 함으로써 새로운 조형 이미지를 형성하게 된다. 움직임이라는 요소가 조형성에 어떤 결과를 나타내는 지를 보여주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에게 입체조형 제작에 앞서, 입체조형에 대한 개념과 조형원리에 대한 이해, 움직임이라는 조형요소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진행하였다. 수업은 이론적 내용을 바탕으로 학생들이 선정한 이미지를 통해 조형언어를 시각화하였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생성된 형태적 특징은 움직임을 고려한 조형원리를 이용하여 입체조형의 결과물이 되도록 진행하였다. 조형물을 움직이기 위한 방법으로는 대기의 흐름과 중력을 이용하는 방법, 모터를 사용하여 바람을 이용하는 방법, 기어의 변화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조형을 제작하는 소재 및 재료에 대해서는 제한을 두지 않았다. 그 결과 외부에서 힘이 가해져 조형물이 움직였을 때, 정지되었던 조형물에서는 볼 수 없었던 조형원리가 추가되거나 변화되어 새로운 시각적 이미지가 생성되는 유형을 보이게 되었다. 이와 같은 입체조형실습을 통하여 공간 및 제품디자인을 전공하는 학생들에게 새로운 조형요소의 접목과 실험, 조형의 확장을 통하여 향후 디자인 전개과정에 있어 문제를 해결하고 창의적이며 다양한 사고능력을 배양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전립선암에서 세기조절방사선치료의 선량분포 특성

        김성규,최지훈,윤상모,Kim, Sung-Kyu,Choi, Ji-Hoon,Yun, Sang-Mo 한국의학물리학회 2010 의학물리 Vol.21 No.3

        전립선암에서 세기조절방사선치료와 입체조형방사선치료의 선량분포 특성을 비교하였다. 세기조절방사선치료에서는 치료계획표적용적에 200 cGy를 33회 조사하여 6,600 cGy가 조사되도록 하였다. 세기조절방사선치료에서는 PTV의 최대선량이 104.4%이었으며, 최소선량이 89.5%였으며, 삼차원입체조형치료에서는 PTV의 최대선량이 105.3%이었으며, 최소선량이 85.5%을 나타내었다. 100%에 대한 CI는 세기조절방사선치료에서 1.02였으며, 삼차원입체조형치료에서는 0.97을 나타내었다. 중요장기 직장에 대해서 세기조절방사선치료에서는 5,000 cGy 이상이 34.0%였으며, 삼차원입체조형치료에서는 63.3%였고, 방광에 대해서 세기조절방사선치료에서는 4,000 cGy 이상이 30.1%였으며, 삼차원입체조형치료에서는 30.6%였고, 오른쪽 대퇴골두부에 대해서 세기조절방사선치료에서는 2,000 cGy 이상이 9.5%였으며, 삼차원입체조형치료에서는 17.5%였고, 왼쪽 대퇴골두부에 대해서 세기조절방사선치료에서는 2,000 cGy 이상이 10.6%였으며, 삼차원입체조형치료에서는 18.3%을 나타내었다. 삼차원입체조형치료와 세기조절방사선치료의 비교에서 세기조절방사선치료가 삼차원입체조형치료에 비해 PTV의 선량분포에서는 5%의 정도 선량분포의 이득이 있었으며, 직장 선량에 대해서는 5,000 cGy 이상 선량에서 29.3%의 감소가 있었고, 방광 선량에 대해서는 거의 비슷한 분포를 나타내었고, 오른쪽 대퇴골두부의 선량에서는 8.0%, 왼쪽 대퇴골두부의 선량에서는 7.7%의 선량 이득을 나타내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ose distribution of 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 (IMRT) with 3 dimensional conformal radiation therapy (3DCRT) in prostate cancer. The IMRT plan and the 3DCRT plan used the 9 fields technique, respectively. In IMRT, tumor dose was a total dose of 66 Gy at 2.0 Gy per day, 5 days a week for 5 weeks. All cases were following the dose volume histogram (DVH) constraints. The maximum and minimum tumor dose constraints were 6,700 cGy and 6,500 cGy, respectively. The rectum dose constraints were <35% over 50 Gy. The bladder dose constraints were <35% over 40 Gy. The femur head dose constraints were <15% over 20 Gy. Tumor dose in the 3DCRT were 66 Gy. In IMRT, the maximum dose of PTV was 104.4% and minimum dose was 89.5% for given dose. In 3DCRT, the maximum dose of PTV was 105.3% and minimum dose was 85.5% for given dose. The rectum dose was 34.0% over 50 Gy in IMRT compared with 63.3% in 3DCRT. The bladder dose was 30.1% over 40 Gy in IMRT compared with 30.6% in 3DCRT. The right femur head dose was 9.5% over 20 Gy in IMRT compared with 17.5% in 3DCRT. The left femur head dose was 10.6% over 20 Gy in IMRT compared with 18.3% in 3 DCRT. The dose of critical organs (rectum, bladder, and femur head) in IMRT showed to reduce than dose of 3DCRT. The rectum dose over 50 Gy in IMRT was reduced 29.3% than 3DCRT. The bladder dose over 40 Gy in IMRT was similar to 3DCRT. The femur head dose over 20 Gy in IMRT was reduced about 7~8% than 3DCRT.

      • KCI등재

        그래스호퍼 알고리즘을 이용한 기초 입체조형 교육 설계

        이재호 한국기초조형학회 2021 기초조형학연구 Vol.22 No.3

        특정한 형태의 구성 단위(Unit)가 일정하게 반복적으로 구현되고 구성 단위들 간의 유기적인 변화를통해 특정한 규칙성을 보여주는 자기 생성적 디자인(Generative Design)의 특징이 반영된 입체조형작업에 대한 수요와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성격의 조형작업을 학습하기 위한 다양한 교육 과정들이 운영되고 있지만, 주어진 일정한 사례를 재현하며 디지털 프로그램 툴의 기능과 역할을 학습하는수준에 머무르고 있는 한계가 있다. 이 연구는 3차원 모델링의 그래픽 알고리즘 편집기인 그래스호퍼(Grasshopper)의 매개 변수(Parametric)에 기반 한 ‘컴퓨터 프로세싱 알고리즘(Processing Algorithm) 제작과정’과 조형언어에 기반 한 ‘기초 입체조형 과정‘을 접목한 주당 4시간씩 총 15주 과정의 수업을설계하고 이를 실제 수업에 적용한 과정과 결과를 통해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방법과 진행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1)수학적 알고리즘을 구축하기 위한 구성요소들(Component)의 기본적인 성격과 조형언어들의 관계를 밝히고 2)기초 입체조형 교육의 과정이 추구하는 목표와 과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3)15주간의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했다. 4)이 프로그램을수업에 적용하여 작업 대상의 선정과 기본 단위가 되는 형태의 추출, 조형요소의 발견과 컨셉의 설정, 알고리즘의 구축, 초안의 수정과 응용, 최종결과물 제작까지 일련의 과정이 수행되도록 했다. 과정별로 작업내용을 정리하고 그 효과를 기술하였으며, 디지털 알고리즘 구축과정에 대한 학습과 기초 입체조형 학습과정의 접목을 시도한 이 작업을 통해 다양한 전공의 학생들이 3차원 모델링 프로그램의 학습에 대한 부담을 줄이고 보다 생산적이며 새로운 조형작업에 대한 가능성을 경험할 수 있게 한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re is a growing demand and interest in stereomorphic work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a self-generated design(Gernerative Design), in which certain types of compositional units are implemented consistently and repeatedly and show specific regularity through organic changes among compositional units. This paper aims to design a total of 15 weeks of classes, 4 hours per week, incorporating parameters into computer processing algorithmic tasks and basic stereomorphic tasks based on formative languages, using Grasshopper, a graphical algorithm editor for three-dimensional modeling. The methods and processe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Identify the basic nature of the components to build mathematical algorithm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rmative languages. 3)A 15-week education program is designed based on 2)an understanding of the goals and processes pursued by the basic three-dimensional education process. 4)The program was applied to the class to select work objects and extract basic units, to discover and set concepts for formative elements, to build algorithms, to modify and apply drafts, to produce final results. It is meaningful that students from various majors will be able to reduce the burden of learning three-dimensional modeling programs and experience the possibility of more productive and new formations through learning digital algorithms and applying basic stereoscopic learning processes.

      • KCI등재

        모듈러를 응용한 플렉서블 입체조형물 개발 연구 : 3D프린팅을 통해서

        하봉수 한국기초조형학회 2017 기초조형학연구 Vol.18 No.5

        I think that 3D printer is a tool which can enrich the world of expression, deviating from the frame of plane modeling as well as a useful way to expand the modeling thought of human being. Based on such background, this dissertation develops new 3D form based on Modular by using 3D printer and reviews its visual characteristics and design adaptability. The studying method clarifies numerical regularity and visual character by theoretically investigating modular, develops 20 kinds of prototypes through rectangular ‘Plan’ and ‘3D modeling’ design based on them and checks visual character shown by diverse composition patterns through Composition process where symmetric operation such as movement, rotation, reflection is realized. As a result, the composition pattern of prototype based on proportion of 1:1 with golden ratio keeps visual beauty due to combination of diverse surface shapes and clearly maintains identity in spite of slightly different shapes. Summarizing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composition pattern keeping such unity and change, it can be called ‘Flexible 3D Form’. After all, I think that 3D form would be useful as decorative 3D tile which solves the reality where city, architecture, exterior or interior are diversified and individualized. Further, I think that it can be the materials of ‘Composition Toy’ where works in which individual sensibility is projected, because individual shape accompanied by aesthetic order and change can be made in the diverse operation where free individual sensibility is reflected. Especially, 3D form is likely to be freely composed by individual intuition without being bound by built-in rule. In spite of such combination, results over the rules may be acquired. Thus, it is expected that 3D form can provide people with experience of easy and interesting form. 3D프린터는 평면조형의 틀을 벗어나 표현의 세계를 풍부하게 만들 수 있는 도구이자 인간의 조형사고를 확장시킬 수 있는 유용한 수단이라고 생각한다. 그런 배경에서 본고는 3D프린터를 이용해 모듈러(Modulor) 기반의 새로운 입체 형태를 개발하고, 이의 시각적 특징 및 디자인 적응성을 검토한 것이다. 연구방법은 모듈러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수리적 규칙성과 시각적 특징을 밝히고, 이를 기반으로 정방형의 ‘분할(Plan)’과 ‘3D모델링(Design)’과정을 통해 총 20가지의 프로토타입을 개발하고, 이의 이동, 회전, 반사 등 대칭조작이 이루어지는 ‘조합 및 전개(Composition)’과정을 통해 다양한 구성패턴이 보여주는 시각적 특징을 검토하였다. 결과적으로 황금비와 1:1의 비례를 토대로 하고 있는 프로토타입의 구성패턴은 다양한 표면형상의 조합으로 인해 시각적 아름다움은 물론 모습을 조금씩 달리하면서도 뚜렷하게 아이덴티티를 유지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고, 이러한 통일감과 변화를 겸비한 구성패턴의 시각적 특징을 요약하면 ‘플렉서블 입체조형물’이라 부를 수 있다. 결국 입체조형물은 도시든 건축이든 실외든 실내든 다양화개성화되어가는 현실 속에서 이를 해결하는 ‘장식적 입체타일’로서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개인의 자유로운 감성이 반영된 다양한 조작과정 속에서 미적 질서와 변화를 동반한 개성적인 형상을 만들 수 있기 때문에 개인적 감성이 투영된 작품을 탄생시키는 ‘조형적 놀이도구(Composition Toy)’의 제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입체조형물은 내재된 규칙에 구애되기 보다는 개인의 직관에 따라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는 여지가 많고, 그렇게 조합하여도 규칙 이상의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사람들에게 손쉽고 흥미로운 조형 경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후보

        입체조형활동 중심의 집단미술치료가 청소년의 자아정체성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강윤희,오현숙 한국아동발달지원연구소 2016 임상미술심리연구 Vol.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입체조형활동의 집단미술치료가 청소년의 자아정체성과 자기효능감에 있어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경기도내 K시에 위치한 인문계 고등학생을 18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총 10회기에 걸쳐 집단미술 치료 프로그램을 진행 하였다. 연구도구는 사전, 사후 검사로 양적 검사로는 자아정체감 검사와 자기효능감 검사를 실시하였고 질적 검사로는 사과 따는 사람(Person Picking an Apple from Tree)을 실시하였다. 실험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SPSS 21.0을 이용하여 비모수 검정 방식을 사용하였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점수를 비교하기 위해 윌콕슨 부호순위 검정(Wilcoxon signed ranks test)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입체조형 활동 중심의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자아정체성에 긍정적인 영 향을 미치는 효과가 있었다. 둘째, 입체조형활동 중심의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청소년 의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효과가 있었다. 그리고 PPAT에서 사과따는그림 검사(PPAT)의 평가 척도 하위 14가지 영역 변화의 결과에서 실험집단 개인별 전체점수가 사전점수보다 사후점수가 향상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청소년을 대상으로 입체 조형활동 중심의 집단미술치료가 청소년의 자아정체성과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 적임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Art Therapy by solid molding activity could take an effect on self-identity and self-efficacy of Adolescents. 18 applicants are selected for the Group Art Therapy and divided into an experiment group and a controlled group.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is carried out a total of 10 times. The self identity test and self-efficacy test are selected as quantitative tests and PPAT(Person Picking an Apple from Tree) is selected as a qualitative test. The nonparametric test and the Wilcoxon signed ranks test is used to verify the results from each test conducted. The results from this research show that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had an positive effect on self-identity and self-efficacy of Adolescents. According to the results from field alteration, individuals of the experiment group scored a higher pre-test score than the post-test score. We can conclude that the Group Art Therapy by Solid Molding Activity is effective to improve self-identity and self-efficacy of Adolesc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