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당의 법적 성격과 귀속주체

        김상훈 한국가족법학회 2009 가족법연구 Vol.23 No.2

        An ancestral shrine is the house built for special and unique object, namely ancestor worship. So that is not an attached building of the house including that(so-called "Ipmyokasa") but an independent building. Hence that should be registered separately from "Ipmyokasa". 'Article 1008-3 of the CIVIL ACT' do not enact an ancestral shrine as property for ancestor worship. But that was the starting point of property for ancestor worship and the most typical property for it from historical point of view. Therefore I think that should be regarded as property for ancestor worship in a customary law. An ancestral shrine takes also its own character as property for ancestor worship. This is exempted from inheritance tax, therefore I think that should also be exempted from it. And the CIVIL EXECUTION ACT do not regulate that as things to be excluded from seizure. But I think that should also regulate as those. Properties for ancestor worship including an ancestral shrine has been succeeded by the eldest grandson of the main family conventionally. The meanwhile the Supreme Court has also judged that he is a successor of them without particular situation. But recently a judicial precedent got changed. According this co-inheritors decide a successor of them through conference and if it is not achieved the eldest son or the eldest grandson get to be a successor of them without distinction of legitimate children and illegitimate children. But I think that if it is not achieved court has to determine on a successor of them under a rational judgement in individual cases.

      • KCI등재

        종묘(宗廟) 제도(制度)의 탄생 -종묘(宗廟)의 공간과 배치를 중심으로-

        신성곤 ( Sung Kon Shin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4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57 No.-

        왕실의 조상신을 받드는 공간인 종묘의 기원이 商周에 있었는지, 西周에서 완비된 이상적 제도로 존재했는지 현재로서는 확실하지 않다. 다만 西周라는 도시국가 형태의 왕실 조상제사를 모시던 종묘와 秦漢처럼 방대한 영토를 다스리던 제국의 황실 조상제사를 모시던 종묘는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다. 춘추 말, 전국시대부터 왕릉 주변에 陵園을 조성하고 寢殿과 宗廟를 두어조상 제사를 받들던 형태, 즉 陵旁立廟에서 벗어나 전한 초부터 점차 수도와 郡國에 다양한 형태의 종묘가 두어졌다. 이후 유교가 국교화 되면서 이러한 형태의 종묘가 점차 단일한 공간으로 통합하고, 선황들의 神主를 일정한 원칙을 가지고 배치하고 迭毁하는 제도로 발전하였다. 원제 때부터 西周의 종묘를 따르자는 유학자 관료의 주장에 따라 시작된 종묘 개혁은 애제와 평제를 거쳐 마침내 외형적으로나마 ``天子七廟``가 확정되었다. 비록 王莽의 ``天子九廟``가 있었지만 이는 일시적인 현상이었고 후한 내내 형식상의 ``天子七廟``는 유지되었다. 특히 후한에서 光武帝를 제사지내는 世祖廟의 경우, 靈帝 때까지 모셔진 神位의 배열을 보면 ``天子七廟``에 근거하여 1祖6宗으로 구성된 구조였다. 한편 ``同堂異室``이 시행된 후한의 明帝와 章帝 때에 이르면 廟를 한 곳 즉 전한의 황제들은 始祖廟(高廟)에, 後漢의 황제들은 始祖廟(世祖廟)에 모아 제사지내는 방식으로 각 황제의 神主가 단일한 공간을 공유하게 되었다. 神主마다 墓室을 별도로 갖추지는 못했지만 종묘라는 단일공간이 형성되고 그에 따라 신주를 배치하게 되었다. 다만 神主의 배치가 昭穆의 순서에 잘 들어맞지 않았을 뿐 아니라, 迭毁를 어떠한 기준으로 할지에 대한 고려가 아직은 미비하였다. 그러나 世祖廟에서 殷際 즉 5년마다 諦 제사, 3년마다 협 제사를 合祭로 지내고, 四時에 제사를 지내는 방식을 여전히 유지하였다. 즉 안정적인 제사 형식은 유지되었다고 판단된다. 그렇다면 후한 초가 되어 五廟, 七廟, 九廟에 상관없이 왕조의 창업자와 그 후계자의 神主를 모시는 별도의 독립적 공간(廟堂)이 단일하게 만들어지고, 宗廟에서 神主를 모시는 廟數가 일정한 원칙 하에서 고정적, 안정적으로 유지되며, 증가하는 廟數에 일정한 제한을 가하는 방식 즉 迭毁가 일정한 원칙 하에서 유지되는 종묘가 탄생하였다는 점은 부정할 수 없을 것이다. 다만 여전히 남은 문제는 宗廟 내에서 神主를 昭穆에 따라 어떻게 질서정연하게 배치할 것인가하는 점과 迭毁할 때에 어떠한 기준을 적용할 것인가 하는 점만 남았다고 하겠다. 이러한 세부적인 논점이 완전히 해소되기까지는 다음 魏晉 시대를 기다려야 했다. Until recently, we cannot conscientiously say whether royal ancestral shrine has its origins in Shang-Zhou dynasties or ideal type of its institution actually existed in Zhou dynasty. For one reason or another, there is a very distinct difference between royal ancestral Shrine of Zhou dynasty as the small scale city-state and that of Qin-Han dynasties as the large scale empire. The shrine building with a large garden and royal palace around royal tomb appeared from the end of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and advanced through the Warring States period. At the early part of Han Empire, various versions of royal ancestral shrine was established not only around the royal tomb but in the capital, Chang`n(長安) and the provinces(郡國). But according to the triumph of Confucianism in the Former Han period, the various versions of royal ancestral shrine gradually have been consolidated in a single space and the ancestral tablets(神主) of the preceding emperors was arranged in good order within the shrine hall. At the insistence of officials well trained in the Confucian classics, the reform drive of royal ancestral shrine system was started from the first century BC, carried over steadily for more than half a century. And on the surface finally introduced renewal of royal ancestral shrine system, Son of God practice 7 preceding emperors. Although Wang Mang(王莽), a learned Confucian scholar, founded Xin Dynasty and practiced 9 preceding ancestors, it was transitional factors in the development. Finally new types of royal ancestral shrine, having separate rooms within single chamber, appeared by the early part of the Late Han period, emperors of Later Han practiced 7 preceding emperors including the founder of their dynasty in the shrine for founder` chamber sharing the space for storage of the other preceding emperors` tablets. Although there were no chambers for 6 preceding emperors, only respectively having separate rooms, royal ancestral shrine was composed a single hall with founder` chamber as the center. Besides, whenever performing ancestral rites in royal ancestral shrine, the ancestral tablets of the preceding emperors was arranged left and right according to order within the shrine hall. Since then this form of royal ancestral shrine closely settled and continued for many centuries.

      • KCI등재

        元宗의 追崇問題

        장세호 한국사상문화학회 2009 韓國思想과 文化 Vol.50 No.-

        유가(儒家)가 이상적인 제도로 내세운 봉건제도는 종법(宗法)을 전제로 한다. 종법은 가족제, 가장제, 세습제 등을 포함하고 있는데 그것은 존존(尊尊)의 원리에 기초한 적장자(嫡長子) 상속제도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여기서 가장은 가족을 통제하는 강력한 가장권을 가지게 된다. ‘가무이존(家無二尊)’ ‘가무이주(‘家無二主)’ 등의 표현이 단적으로 그 권력을 말해 준다. 가무이존은 바로 정통(正統)과 직결되는 문제이다. 정통은 가통(家統)을 바르게 하고, 왕통(王統)을 바르게 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가통의 측면에서는 한 가정에 두 아버지가 없는 것이며, 왕통의 측면에서는 두 임금이 없는 것이다. 유학의 본래 정신인 종법체제의 확립을 위하여서는 정통을 확립하여야 하는 것이다. 추숭문제(追崇問題)는 왕통과 가통의 문제 사이에서 발생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왕위계승문제가 종법에서처럼 적장자가 계승을 하게 되면 애당초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그러나 왕통이라는 것은 꼭 적장자가 왕위를 승계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 1548-1631)은 제왕가(帝王家)에서는 승통(承統)을 중시하기 때문에 승통하는 것에 따라 위인후자(爲人後者)의 예법을 적용시켜, 父子의 도리를 행하면 된다고 한다. 그런 까닭에 대통(大統)에 입계(入繼)하기 이전의 사가(私家)의 정에 너무 얽매여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이것이야말로 가통과 왕통을 엄연히 구별할 뿐만 아니라 왕통을 바로잡는 것이다. 그래서 인조(仁祖)의 경우도 정원군(定遠君)이 비록 선조(宣祖)의 아들이라고는 하나 인조가 선조의 왕위를 계승하였다면 당연히 정원군을 원종(元宗)으로 추숭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 사계의 일관된 주장이다. Injo rised king for reforming the government. It is different to Senjo(宣祖) has succession by the Royal line. Injo set up a mausoleum in Chusong(追崇) Jongwonkun that daewonkun by Park ji ke and his disciple Yi ye kil and many people's suggestion. Therefore Jung won kun becomes Wonjong. But Sake considered as set up a mausoleum in Chusong(追崇) has problem. Being Park ji ke persistents from quote no reasons and blamed. Also, Sake persistents not Jongwonkun(定遠君) was set up a mausoleum in Chusong but Nengwondaekun that Injo's brother had to manage sacrificial rites. Sake's blamed persistense constructs by all that Chunchu kang mock's(春秋綱目) term. As two sun must not in the sky, two origin must must not in family is suggestion of Sake corrects tong. That is said keep in Jongtong(正統).

      • KCI등재후보

        한국사상(韓國思想)(철학(哲學)) : 원종(元宗)의 추숭문제(追崇問題)

        장세호 ( Se Ho Chang ) 한국사상문화학회 2009 韓國思想과 文化 Vol.50 No.-

        유가(儒家)가 이상적인 제도로 내세운 봉건제도는 종법(宗法)을 전제로 한다. 종법은 가족제, 가장제, 세습제 등을 포함하고 있는데 그것은 존존(尊尊)의 원리에 기초한 적장자(嫡長子) 상속제도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여기서 가장은 가족을 통제하는 강력한 가장권을 가지게 된다. `가무이존(家無二尊)` `가무이주(`家無二主)` 등의 표현이 단적으로 그 권력을 말해 준다. 가무이존은 바로 정통(正統)과 직결되는 문제이다. 정통은 가통(家統)을 바르게 하고, 왕통(王統)을 바르게 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가통의 측면에서는 한 가정에 두 아버지가 없는 것이며, 왕통의 측면에서는 두 임금이 없는 것이다. 유학의 본래 정신인 종법체제의 확립을 위하여서는 정통을 확립하여야 하는 것이다. 추숭문제(追崇問題)는 왕통과 가통의 문제 사이에서 발생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왕위계승문제가 종법에서처럼 적장자가 계승을 하게 되면 애당초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그러나 왕통이라는 것은 꼭 적장자가 왕위를 승계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 1548-1631)은 제왕가(帝王家)에서는 승통(承統)을 중시하기 때문에 승통하는 것에 따라 위인후자(爲人後者)의 예법을 적용시켜, 父子의 도리를 행하면 된다고 한다. 그런 까닭에 대통(大統)에 입계(入繼)하기 이전의 사가(私家)의 정에 너무 얽매여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이것이야말로 가통과 왕통을 엄연히 구별할 뿐만 아니라 왕통을 바로잡는 것이다. 그래서 인조(仁祖)의 경우도 정원군(定遠君)이 비록 선조(宣祖)의 아들이라고는 하나 인조가 선조의 왕위를 계승하였다면 당연히 정원군을 원종(元宗)으로 추숭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 사계의 일관된 주장이다. Injo rised king for reforming the government. It is different to Senjo(宣祖) has succession by the Royal line. Injo set up a mausoleum in Chusong(追崇) Jongwonkun that daewonkun by Park ji ke and his disciple Yi ye kil and many people`s suggestion. Therefore Jung won kun becomes Wonjong. But Sake considered as set up a mausoleum in Chusong(追崇) has problem. Being Park ji ke persistents from quote no reasons and blamed. Also, Sake persistents not Jongwonkun(定遠君) was set up a mausoleum in Chusong but Nengwondaekun that Injo`s brother had to manage sacrificial rites. Sake`s blamed persistense constructs by all that Chunchu kang mock`s(春秋綱目) term. As two sun must not in the sky, two origin must must not in family is suggestion of Sake corrects tong. That is said keep in Jongtong(正統).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