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짧은 임플란트의 생존율에 관한 고찰

        이은정,김원,최지영,김승미,오남식,Lee, Eun-Jeong,Kim, Won,Choi, Ji-Young,Kim, Seong-Mi,Oh, Nam-Sik 대한치과보철학회 2009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47 No.4

        연구목적: 임플란트의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에 따른 구체적인 생존율을 살펴보고 짧은 임플란트의 사용도 예후성있는 치료인지에 관해 평가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MEDLINE (PubMed)을 통하여 검색된 논문에서 임플란트의 길이, 직경, 식립 위치, 표면 처리, 상부 구조와 관련된 정보를 추출하여 각 요인별 생존율을 비교 분석하였다. 임플란트의 길이와 직경의 생존율과 구간별 생존율 비교를 위해 카이 제곱 독립성 검정을 이용하였으며 임플란트의 식립 위치나 표면처리, 상부 구조 디자인 간의 생존율 비교를 위해서 Window용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한 일원배치 분산 분석을 이용하였다. 결과 및 결론: 짧은 임플란트 (8.5 mm 이하)의 생존율은 95.87% 였으며 이는 여러 문헌에 보고된 표준적인 길이 (10-12 mm)를 가진 임플란트의 생존율과 유사하였다. 그 중에서도 길이 6-7 mm 짧은 임플란트의 생존율이 길이 7.5-12 mm 임플란트의 생존율보다 더 낮았다 (P<.05). 한편, 직경 4 mm미만, 4-5 mm, 그리고 5 mm이상의 3집단으로 나누어 생존율 비교시 4 mm 미만 집단에서 낮은 생존율을 보였으며 길이 6-7 mm의 짧은 임플란트의 경우 5-6 mm 직경의 임플란트를 식립했을 때의 생존율은 97.01%, 3.1-4.8 mm 직경일 때의 생존율 92.96%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Machined surface와 표면 처리된 짧은 임플란트의 생존율 비교시 표면 처리된 경우가 약 6.3% 정도 높은 생존율을 보였으며 보철 수복시 인접 임플란트와 연결한 경우 (99.4%)가 단일 임플란트 치관으로 수복한 경우 (94.3%)보다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ystematic review was to obtain the comprehensive survival rates of short implants. Then it was examined that whether treatment using short implants has favorable results. Methods: A MEDLINE search was performed, the data obtained from many articles about length, diameter, site of placement, surface treatment and prosthetic design were analyzed. Results and discussion: The data obtained from many articles were analyzed, and it was found that the survival rate of short implants was 95.87%, short implants has similar outcomes to those reported for standard implants. On the other hand, in the comparison the survival rate of 3 groups divided by the diameter of implants under 4 mm, 4-5 mm, and above 5 mm,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detected in under 4mm group. In implant group with 6-7 mm length, a group with 5-6 mm diameter has survival rate of 97.01%, groups with 3.1-4.8 mm diameter has survival rate of 92.96%,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result of surface feature, the roughed surface groups of short implant showed a higher survival rate by approximately 6.3% than machined surface group. In the result of prosthetic design, survival rate of short implant was considerably lower for the single implant crown group (94.3%) than splinting group (99.4%).

      • KCI등재

        임플란트 길이, 직경 및 식립 위치에 따른 임플란트 안정성에 관한 후향적 연구

        김지혜,전진용,허유리,손미경,Kim, Ji-Hye,Jeon, Jin-Yong,Heo, Yu-Ri,Son, Mee-Kyoung 대한치과보철학회 2013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1 No.4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임플란트 직경, 길이 및 식립 부위가 임플란트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후향적 평가를 통해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 및 방법: 72명의 환자에게 식립된 총 90개의 임플란트(US II plus$^{TM}$, Osstem co, Busan, Korea)를 대상으로 임플란트 식립 직후와 인상 채득 당시에 공진주파수분석법(RFA)으로 임플란트 안정성 지수(ISQ)가 측정되었다. 상 하악에 식립된 직경은 4 mm와 5 mm이고 길이는 10 mm, 11.5 mm, 13 mm인 임플란트가 실험대상으로 선택되었다. 측정된 ISQ 값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우선적으로 성별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Independent t-test를 시행하였다. 임플란트 직경, 길이, 식립부위에 따른 ISQ 값의 실험군간 차이는 One-way ANOVA를 이용해 분석하였고, 사후검정을 위해 Tukey HSD test가 사용되었다. 임플란트 식립시와 인상채득시의 차이는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결과:인상채득시가 임플란트 식립 직후보다 임플란트 안정성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임플란트 길이가 증가할수록 ISQ 값은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직경 5 mm 임플란트는 4 mm 임플란트 보다 유의성 있게 높은 ISQ 값을 보였다(P<.05). 하악에 식립된 임플란트가 상악보다 더 높은 ISQ값을 보였다(P<.05). 결론:본연구결과, 임플란트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직경이 큰 임플란트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상악보다는 하악에서 더 높은 임플란트 안정성이 확인되었다. 임플란트 식립 직후의 일차 안정성보다 골유착 후 이차 안정성이 더 높게 나타남으로서 RFA를 이용한 방법이 골유착을 통한 임플란트 안정성의 변화를 평가함에 있어 임상적으로 유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임플란트 안정성 평가와 이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에 대한 고려는 임플란트 하중 시기를 결정하고 임플란트 성공률을 증가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Purpose: The aim of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implant diameter, length and placement to implant stability. Materials and methods: Total 90 implants (US II plus$^{TM}$, Osstem co, Busan, Korea) of 72 patients were determined as experimental samples. The factors of diameters(${\phi}$ 4 mm, ${\phi}$ 5 mm), lengths (10 mm, 11.5 mm, 13 mm), and implant placement (maxilla, mandible) were analyzed. The stability of the implants was measured by resonance frequency analysis (RFA) at the time of implant placement and impression taking. The difference of ISQ values according to patient's gender was evaluated by Independent t-test. ISQ values were compared between implant diameter, length and placement using one-way ANOVA and Tukey HSD test (${\alpha}=.05$). To compare ISQ values between at the time of surgery and impression taking, paired t-tests were used (${\alpha}=.05$). Results: The change of implant length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t on the ISQ value (P>.05). However, 5 mm diameter implants had higher ISQ values than 4 mm diameter implants (P<.05). Implants placed on the mandible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SQ values than on the maxilla (P<.05). Conclusion: In order to increase implant stability, it is better to select the wider implant, and implants placed on mandible are possible to get higher stability than maxilla. ISQ values at impression taking showed higher implant stability than ISQ values at implant placement, it means that RFA is clinically effective method to evaluate the change of implant stability through the osseointegration. The consideration of the factors which may affect to the implant stability will help to determine the time of load applying and increase the implant success rate.

      • KCI등재

        임플란트 드라이버의 호환성에 대한 연구

        김민수,이종혁,Kim, Min-Soo,Lee, Jong-Hyuk 대한치과보철학회 2014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2 No.1

        연구 목적: 임플란트의 종류가 다양해짐에 따라 임플란트 드라이버의 호환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여 임플란트 제품별 드라이버의 형태를 분류하고 직경을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단국대학교 부속치과병원에서 사용 중인 12개회사[Nobel Biocare (Nobel), Institute Straumann (Straumann), Zimmer Dental (TSV), Shinhung (Luna), Astra Tech Dental (Astra), Dentium (Dentium), Osstem Implant (Osstem), DIO Implant (DIO), BIOMET 3i (3i), NeoBiotech (Neo), Megagen Implant (Megagen), SNUCONE (SNUCONE)] 임플란트 제품 드라이버를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임플란트 드라이버의 형태를 분류하고 이 중 호환이 가능한 Hexagon과 torx에 해당하는 드라이버들의 유효길이, 유효길이별 상단, 중단, 하단의 직경을 각각 10개씩 측정하였다. 각 직경의 측정값을 호환성 분석공식에 대입하여 호환성을 산출하였다. 결과: 분석결과, 유효길이 상단에서는 Neo, 3i, Megagen, DIO, SNUCONE, Luna들은 같은 직경(1.20 mm)을 가졌으며 Osstem (1.17 mm)은 호환 가능한 범위에 있었다. Dentium, Astra는 같은 직경(1.25 mm)을 가지며 TSV (1.23 mm) 가 이들과 호환 가능하였다. 유효길이 중단에서는 Dentium과 Astra가 같은 직경(1.35 mm)을 가졌고 3i, DIO, Osstem, TSV도 1.25 mm의 동일한 직경을 가졌다. Neo와 Megagen은 가장 작은 직경(1.22 mm)로 나머지와 호환되었다. 유효길이 하단에서는 일부 드라이버에 호환성이 확인되었으나 대부분 나사의 연결부 깊이가 2 mm 이내인 점을 감안하면 유효하지 않은 결과로 판단되었다. Nobel은 Straumann에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부분의 hexagon driver를 trox에 사용할 수 있었다. 결론: 임플란트 드라이버의 각 부위별 직경을 측정한 결과 임플란트 제품간의 호환성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호환성이 있는 드라이버의 반복적인 사용이 임플란트 나사와 드라이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아직 부족하므로 응급상황 시에만 제한적으로 사용할 것을 권장하며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In this study, the diameter of each implant driver was measured and compared to find out the compatibility of implant drivers. Materials and methods: Drivers from 12 implant systems being used in Dankook University Dental Hospital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shapes of the implant drivers were segregated, and the effective length and the diameter of upper, middle, lower part of driver tips were measured (n=10). The measured data were mathematically analyzed for its compatibility. Results: A driver with the smallest diameter (1.17 mm) had the highest compatibility at the upper part of driver tip. This driver could be used for a bigger driver up to 1.35 mm in diameter. There were several driver groups which had the same diameter so as to be interchangeable each other. In the middle part, the smallest diameter measured was 1.2 mm and this was able to replace a driver up to 1.40 mm diameter. Since the diameter generally became thicker from upper part (the tip of driver) to the lower part (the shank of driver), some drivers with bigger diameter at the upper part so which was failed to show any compatibility became compatible with a driver which had smaller diameter at the upper part but wider in the middle part. The compatibility of torx shape drivers were affected by the inner diameter of the drivers not only by the outer diameter. Furthermore, the inner diameter of torx drivers decided the compatibility between torx and hex drivers. Conclusion: From the study it was found that compatibility in drivers existed among certain implant systems and to check its compatibility the diameter at a certain effective length should be measured. However, there has been not enough studies about long-term use of compatible drivers, so effects of using compatible drivers on drivers and implants are unknown. Therefore, usage in inevitable cases only is recommended and further study is needed.

      • KCI등재후보

        임플란트의 직경과 길이 변화가 초기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조재명,조욱,윤미정,정창모,전영찬,Cho, Jae-Myoung,Cho, Uk,Yun, Mi-Jung,Jeong, Chang-Mo,Jeon, Young-Chan 대한치과보철학회 2009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47 No.3

        연구목적: 충분한 골질과 골량은 임플란트의 조기 실패 방지와 초기 안정성을 위해서 중요한 사항으로 알려져 있다. 임플란트 길이나 직경이 초기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다수의 실험들이 골과의 접촉면적을 달리하였기 때문에 직경과 길이만이 초기 안정성에 미치는 실제 영향을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에 유사한 표면적을 가지는 임플란트를 통하여 길이와 직경 상대적 변화가 초기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골질에 따라 피질골과 해면골의 두께가 다른 4종류의 폴리우레탄 모형골을 임플란트 식립에 사용하였다. 유사한 표면적과 형태를 가지나 직경과 길이가 서로 다른 임플란트 ($3.5{\times}13.0\;mm$, $4.0{\times}11.5\;mm$, $4.5{\times}10.0\;mm$, $5.0{\times}8.5\;mm$) 10개를 식립하고 식립 회전력과 공진 주파수를 측정하였다. 결과 및 결론: 초기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 요소는 골질이었으며 (P < .05), 식립 회전력과 공진 주파수 모두 골질이 우수할수록 높은 측정치를 보였다. 2. D1, D2, D3 모형골에서 임플란트의 직경이 커지고 길이가 짧아짐에 따라 공진 주파수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P >.05), 식립 회전력은 증가하였다 (P <.05). 3. D4 모형골에서는 임플란트의 직경이 커지고 길이가 짧아짐에 따라 공진주파수와 식립 회전력 모두 감소하였다 (P <.05). 이상의 결과로부터 골질이 양호한 조건에서는 길이가 짧더라도 직경이 큰 임플란트의 사용이 초기 안정성 측면에서 부가적 수술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Statements of problem: Adequate bone quality and quantity were important to achieve initial stability and to prevent early failures. However there were few published data available regarding the actual effect of dimensional change in implant geometry on initial stability. Purpose: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diameter and length changes on initial stability of implants. Material and methods: Four types of dummy bone (D1, D2, D3 and D4) consisted of cortical and cancellous layers with different thickness were simulated. Implants which had similar surface area to each other ($3.5{\times}13.0-mm$, $4.0{\times}11.5-mm$, $4.5{\times}10.0-mm$, $5.0{\times}8.5-mm$) were inserted in dummy bones. Implant stability as a function of peak insertion torque and resonance frequency values were recorded for each implant. Results: 1. Bone quality was a major influential factor to achieve initial stability (P <.05). 2. In D1, D2 and D3 dummy bones, implant stability quotient valu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o each other (P >.05), however insertion torques were increased with wider and shorter implants (P <.05). 3. In D4 dummy bone, implant stability quotient values and insertion torques were decreased with wider and shorter implants (P <.05). Conclusion: From a point of view of initial stability, it is suggested that use of wide and short implant may be helpful in avoiding bone augmentation procedures in area of adequate bone quality.

      • KCI등재

        좁은 치조제를 가진 하악 구치부에서 지르코늄-티타늄 합금의 작은 직경 임플란트 사용 증례

        이인혜,박영범,한동후,Lee, In Hye,Park, Young Bum,Han, Dong-Hoo 대한치과보철학회 2017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5 No.2

        임플란트의 협설 측으로 잔존 골조직이 불충분할 경우 골증대술을 시행하지 않기 위해서는 작은 직경의 임플란트를 사용할 수 있다. 작은 직경 임플란트의 경우는 파절 저항성이 낮고, 골과 임플란트의 접촉 면적이 좁아 구치부에는 부적절한 것으로 여겨져 왔다. 최근의 연구에서는 새로운 임플란트 합금의 개발 및 표면 처리방법의 발전으로 구치부에서도 표준 직경 임플란트와 유사한 성공률이 보고되고 있다. 이 증례에서는 구치부 상실 부위 잔존골의 협설 폭이 부족한 상황에서 작은 직경 임플란트를 이용하여 심미적, 기능적으로 만족스러운 치료 결과를 보였다. 현재까지 추적 검사 기간은 4년 이상 되었고 특이할만한 합병증 없이 유지되었다. 향후 장기적인 안정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In case of the insufficient horizontal bone loss, a regular diameter implant is not possible without lateral bone augmentation. In this situation, narrow diameter implants (NDIs) could be the alternative to lateral bone augmentation procedures. However, complication generally expected with the NDI is implant fracture. Recently, the survival rate and success rate of NDI in the posterior region are similar to that of standard-diameter implants (SDIs). These 3 case reports demonstrate the incorporation of NDI to replace missing mandibular posterior teeth. So far, the follow-up examination period was maintained and no unusual complications were presented for more than four years. Long term follow-up clinical data are needed to confirm the excellent clinical performance of these implants.

      • KCI등재

        교정용 미니임플랜트의 직경 및 식립각도에 따른 응력 분포에 관한 3차원 유한요소 분석

        변나영,남은혜,윤영아,김일규 대한치과교정학회 2006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6 No.3

        본 연구는 고정원 보강을 위하여 사용하는 교정용 미니임플랜트의 직경 및 식립각도에 따른 응력 분포 양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미니임플랜트의 직경 및 피질골 표면에 대한 식립각도에 따른 응력 분포 양상을 관찰하기 위하여 15 × 15 × 20 mm3의 육면체에서 식립되는 피질골의 두께를 1.0 mm로 하였으며, 미니임플랜트의 길이를 8.0 mm로 고정하고 직경은 1.2 mm, 1.6 mm와 2.0 mm, 식립각도는 피질골 표면에 대해 90˚, 75˚, 60˚, 45˚ 및 30˚인 3차원 유한요소 모델로 제작한 다음, 미니임플랜트 두부중심에 각도 변화 평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200 gm의 수평력을 가하여 응력 분포 양상과 크기를 3차원 유한요소 해석 프로그램인 ANSYS를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골에 나타나는 최대 응력은, 식립각도와 무관하게 미니임플랜트의 직경이 증가할수록 응력이 감소하였고, 대부분의 응력이 피질골에서 흡수되었다. 또한 미니임플랜트의 직경이 증가하고 식립각도가 감소함에 따라 피질골과 접촉면적이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으나, 피질골에 나타나는 최대응력은 식립각도 보다 피질골 표면과 접촉하는 미니임플랜트 위치가 더 유의한 연관성을 가졌다. 이상의 결과는 미니임플랜트 사용 시 골내 응력 분포는 식립각도의 감소보다는 미니임플랜트 직경 증가와 미니임플랜트와 피질골 표면의 접촉위치가 미니임플랜트의 유지 및 안정성에 영향을 주므로 미니임플랜트의 식립 시 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stress distribution on the diameter of the mini-implant and insertion angle to the bone surface. To perform three 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a hexadron of 15 × 15 × 20 mm3 was used, with a 1.0 mm width of cortical bone. Mini-implants of 8 mm length and 1.2 mm, 1.6 mm, and 2.0 mm in diameter were inserted at 90˚, 75˚, 60˚, 45˚, and 30˚ to the bone surface. Two hundred grams of horizontal force was applied to the center of the mini-implant head and stress distribution and its magnitude were analyzed by ANSYS, a three 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program.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ed that maximum von Mises stresses in the mini-implant and cortical and cancellous bone were decreased as the diameter increased from 1.2 mm to 2.0 mm with no relation to the insertion angle. Analysis of the stress distribution in the cortical and cancellous bone showed that the stress was absorbed mostly in the cortical bone, and little was transmitted to the cancellous bone. The contact area increased according to the increased diameter and decreased insertion angle to the bone surface, but maximum von Mises stress in cortical bone was mo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e contact point of the mini-implant into the cortical bone surface than the insertion angle to the bone surface. The above results suggest that the maintenance of the mini-implant is more closely related with the diameter and contact point of the mini-implant into the cortical bone surface rather than the insertion angle.

      • KCI등재

        서로 다른 형태의 임플란트의 식립토크가 골에 미치는 열변화에 관한 연구

        김민호,여인성,김성훈,한중석,이재봉,양재호,Kim, Min-Ho,Yeo, In-Sung,Kim, Sung-Hun,Han, Jung-Seok,Lee, Jai-Bong,Yang, Jae-Ho 대한치과보철학회 2011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49 No.2

        연구 목적: 임플란트 식립시에 발생할 수 있는 열변화는 임플란트의 실패를 초래할 수 있다. 식립토크에 따른 열변화 양상을 파악함으로 임플란트의 형태에 따른 차이점과 적절한 식립토크가 어떤 것인지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실험재료로는 두께 15 - 20 mm의 소 견갑골을 가로 35 mm, 세로 40 - 50 mm 크기가 되도록 골편으로 자르고 이중에 피질골의 두께가 2 - 3 mm 되는 표본을 선정한 후 표본의 반을 $36.5^{\circ}C$ 수조에 실온 $25^{\circ}C$에 노출 시켜 내부 온도는 평균 $36.5^{\circ}C$, 표면온도 $28^{\circ}C$가 되도록 설계하였다. $4.5{\times}10\;mm$의 외부육각을 가지는 Br${\aa}$nemark 형태의 임플란트와 $4.8{\times}10\;mm$의 Microthread 형태를 지니는 내부연결 형태의 임플란트를 과도한 식립토크로 식립하고 온도 측정은 계측점에서 0.2 mm 이내에 열전대를 위치시켜 기록하였다. 삼차원유한요소 분석은 골의 형태를 가로 4 cm, 세로 4 cm, 높이 2 cm의 직육면체로 가정하고, 직육면체 윗면에서 2 mm까지를 피질골, 그 아랫부분을 해면골이라고 가정하였다. 마찰열은 매식이 종료된 상황에서 골에 남는 cavity 모양을 기초로 경계조건을 부여하였다. CAD 프로그램인 SolidWorks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였고, 이를 유한요소 구조해석용 프로그램인 Abaqus 6.9-1로 불러들여 해석하였다. 결과 및 결론: In vitro실험에서 Microthread type의 임플란트가 상대적으로 더 높은 최고점 온도를 보여주고 있으며 이는 임플란트의 형태에 따른 마찰열 발생이 주요 원인으로 보인다. 유한요소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 Br${\aa}$nemark 형태의 임플란트의 경우 50 Ncm이상에서 Microthread를 가지는 형태의 경우에는 35 Ncm이상에서 Eriksson 등이 보고한 역치를 초과하는 온도가 발생하였다. 이를 통해 볼 때 Microthread type 이 식립토크에 따른 온도 증가가 더 민감함을 알 수 있다. 실험결과를 통해서 서로 다른 형태의 임플란트 식립시에 임플란트의 형태에 따라 적절한 삽입토크를 부여하는 것이 성공적인 임플란트 시술에 중요한 요소 중에 하나임을 알 수 있었다. 특히 Microthread를 갖는 임플란트 형태는 높은 초기고정성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과도한 식립 토크로 인한 열 손상 가능성을 가질 수 있으므로 골량과 골질의 신중한 평가와 적절한 수술기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the influence of various insertion torques on thermal changes of bone. A proper insertion torque is derived based on the thermal analysis with two different implant designs. Materials and methods: For implant materials, bovine scapula bone of 15 - 20 mm thickness was cut into 35 mm by 40 - 50 mm pieces. Of these, the pieces having 2 - 3 mm thickness cortical bone were used as samples. Then, the half of the sample was immersed in a bath of $36.5^{\circ}C$ and the other half was exposed to ambient temperature of $25^{\circ}C$, so that the inner and surface temperatures reached $36.5^{\circ}C$ and $28^{\circ}C$, respectively. Two types of implants ($4.5{\times}10\;mm$ Br${\aa}$nemark type, $4.8{\times}10\;mm$ Microthread type) were inserted into bovine scapula bone and the temperature was measured by a thermocouple at 0.2 mm from the measuring point. Finite element method (FEM) was used to analyze the thermal changes at contacting surface assuming that the sample is a cube of $4\;cm{\times}4\;cm{\times}2\;cm$ and a layer up to 2 mm from the top is cortical bone and below is a cancellous bone. Boundary conditions were set on the basis of the shape of cavity after implants. SolidWorks was used as a CAD program with the help of Abaqus 6.9-1. Results: In the in-vitro experiment, the Microhead type implant gives a higher maximum temperature than that of the Br${\aa}$nemark type, which is attributed to high frictional heat that is associated with the implant shape. In both types, an Eriksson threshold was observed at torques of 50 Ncm (Br${\aa}$nemark) and 35 Ncm (Microthread type), respectively. Based on these findings, the Microthread type implant is more affected by insertion torques.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 that a proper choice of insertion torque is important when using a specific type of implant. In particular, for the Microthread type implant, possible bone damage may be expected as a result of frictional heat, which compensates for initial high success rate of fixation. Therefore, the insertion torque should be adjusted for each implant design. Furthermore, the operation skills should be carefully chosen for each implant type and insertion torque.

      • KCI등재

        교정용 미니임플랜트의 이중 피치와 직경의 차이가 삽입 및 제거 토크에 미치는 영향 평가

        김종완,조일식,이신재,김태우,장영일 대한치과교정학회 2006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6 No.4

        작은 크기의 교정용 미니임플랜트는 교정적 고정원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빈번히 탈락하는 단점이 있어 이를 개선하기 위해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시도되어 왔다. 이 연구의 목적은 이중 피치와 직경에 관련하여 미니임플랜트의 안정성에 대한 기계적 성질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미니임플랜트의 길이는 8 mm였으며, 피치는 단일 피치형과 이중 피치형, 직경은 1.4 mm와 1.6 mm로 단일 피치형 1.4 mm, 단일 피치형 1.6 mm, 이중 피치형 1.4 mm, 이중 피치형 1.6 mm 등 총 4군으로 구성되었다. 각 군은 20개의 미니임플랜트로 구성되었고, 균일한 밀도의 polyurethane foam에 삽입 후 제거하였다. 시간에 따른 삽입 및 제거 토크의 변화와 각각의 최대 토크 등을 측정하여 기계적 성질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중 피치형은 단일 피치형보다 유의성 있게 더 낮은 최대 삽입 토크와 더 큰 최대 제거 토크를 보여주었다. 직경 1.6 mm는 1.4 mm보다 유의성 있게 더 큰 최대 삽입 토크와 최대 제거 토크를 보여주었다. 이중 피치형 1.4 mm군은 삽입 시에는 유의성 있게 가장 낮은 최대 삽입 토크를 보여주었으며 제거 시에는 단일 피치형 1.6 mm군보다 높거나 비슷한 최대 제거 토크를 보여주었다. 특히, 이중 피치형군은 최대 제거 토크 후 지속적으로 높은 제거 토크를 보여주었다. 미니임플랜트의 기계적 안정성은 이중 피치에 의해 향상될 수 있으며, 상부의 미세 나사산은 작은 직경에서도 풀림 토크에 저항하는 기계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Objective: Small orthodontic mini-implants are useful as anchorage. However they have some weaknesses such as loosening.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mechanical effects of the dual pitch and diameter on the insertion and removal torque of mini-implants. Methods: The threads of mini-implants were mono and dual pitch. The diameters of mini-implants were 1.4 mm and 1.6 mm. Four groups were tested (mono 1.4 mm, mono 1.6 mm, dual 1.4 mm and dual 1.6 mm). All were inserted and removed on polyurethane foam with the torques being measured. Results: The maximum torque of the dual pitch groups was higher than the mono pitch groups during removal but lower during insertion. The maximum torque of the 1.6 mm diameter groups was higher than the 1.4 mm diameter groups during insertion and removal. The dual pitch 1.4 mm group showed the lowest insertion torque but had similar or superior levels of removal torque to that of the mono pitch 1.6 mm group. Conclusions: The dual pitch especially showed a continuous high removal torque after the peak. Despite the small diameter, the dual pitch might improve the initial mechanical stability.

      • 하악 4전치 상실시 치료 계획

        한광진,Hahn, Kwang Jin 대한심미치과학회 2016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Esthetic Dentistr Vol.25 No.1

        상실한 하악 4전치에서의 치료 계획은 어느 다른 부위보다 수술의 성공률이나 보철치료시 유리한 환경을 지니고 있다고 흔히 생각되는 부위이다. 하지만 하악 전치들의 M-D 사이즈나 crowding으로 인한 공간적 제한, 임시치아 문제, 치조골 흡수로 인해 생기는 심미적인 문제 등 의외로 까다로운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 부위기도 한다. 본문에서는 하악 4전치 상실 시의 치료 계확에 대해서 케이스를 통해 알아 보겠다. 하악 4전치 상실시 가능한 옵션들: 하나 혹은 4전치중 일부 상실의 경우나 잔존 치조골의 흡수가 거의 없어 임플란트 위치 관계가 심미적으로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라면 직경이 작은 임플란트들을 원래 발치와 중앙에 식립(Narrow type 이나 One body mini implant type) 최종 보철물 형태가 Pink porcelain을 포함하는 이미 광범위한 치조골의 흡수가 일어난 경우 즉 임플란트 식립 위치가 덜 중요한 상황이라면 regular size의 임플란트들을 측절치와 중절치의 사이 Interseptal bone위치에 식립 4전치중 하나 혹은 일부가 상실됐고 남아 있는 전치들의 예후가 불량하다고 의심되나 환자가 당장 나머지 전치들의 발치에는 동의하지 않을 때 남아 있는 전치들이 발치 될 때까지의 Tentative restoration로서 Resin Bonded Bridge(Resin Retained Bridge/Resin Bonded Fixed Partial Denture)의 적용. Treatment of missing mandibular 4 incisors is often thought to be easier then other place during surgical and prothetic procedure. But clinicians encounter unexpected difficulties such as restricted implant site due to mesio-distal width of mandibular incisors, limited space as a result of crowing and mesial drift, esthetic problem after severe alveolar bone resorption, and difficulties of provisionalization Through cases, possible treatment options for missing mandibular incisors would be discussed. Treatment options for missing mandibular 4 incisors Place narrow type implant or one body mini implant on exact tooth position when there is no bone resorption Regular size implant on interseptal bone area when there is severe bone resorption Consider using resin bonded bridge(resin retained bridge/resin bonded fixed partial denture) as a tentative prosthesis when patient resists extracting remaining incisors with poor prognosi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