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가족 양립 문제의 시대적 변화에 대한 고찰

        이정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4 여성연구 Vol.86 No.-

        이 글은 여성을 둘러싼 일·가족 양립 문제가 오늘날 새롭게 등장한 문제가 아니라 시대적 변화와 세대별 차이라는 역사적 맥락 위에서 살펴보아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시작했다. 이를 위해 여성의 일과 가족을 둘러싼 담론의 변화, 여성 노동시장 구조와 경제활동 형태의 변화, 여성의 일에 대한 인식과 직업의식의 변화라는 세 차원에서 일·가족 양립 문제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먼저 일·가족 양립을 둘러싼 담론상의 변화를 살펴보면, 1980년대 중반 이후 여성의 전반적인 교육수준 상승과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 증가로 일과 가족을 둘러싼 갈등이 사회문제화 되기 시작했지만, 이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방안 모색 없이 여성 개인에게 책임을 전가하는 방식으로 담론이 형성되었다. 두 번째 여성 노동시장 구조를 살펴보면, 1980년대 중반부터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가 급증했으며, 최근으로 올수록 여성 취업자의 연령이 전반적으로 높아졌고 3차 산업으로의 집중이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세대간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출생코호트에 따른 분석을 실시한 결과, 1970년대 이후 출생코호트로 올수록 경제활동참가율이 전반적으로 높아졌고 M자형 곡선도 완만해지는 등 변화가 일어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여성의 일에 대한 인식과 직업의식의 변화를 살펴보면, 여성의 경력지속에 대한 긍정적 응답이 최근으로 올수록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여성 경력지속의 장애요인에 대해선“육아부담”이라는 응답이 최근으로 올수록 오히려 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출생코호트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1970년대 이후 출생코호트가 다른 출생코호트에 비해 일의 중요성을 높이 평가하고 있었으며, 남성 일을 우선시하는 것에 대해서는 가장 부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일·가족 양립 문제가 시대적으로 변화했을 뿐만 아니라 세대에 따른 차이도 존재함을 보여주고 있다. 여성의 사회진출이 활발해진 1980년대 중반 이후 교육을 마치고 사회에 진출한 젊은 세대들은 여성도 대학에 진학해서 졸업과 동시에 직업을 갖는 것이 당연한 생애경로라고 생각하고 있으며 이는 실제로 높은 경제활동참가율로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일에 대한 높은 열망과는 다르게 결혼‧출산‧육아 등으로 인해 경력 지속이 어려운 현실은 여전하다. 이렇듯 여성들이 경험하는 이상과 현실 사이의 괴리는 최근세대로 올수록 더 커지고 있고, 이러한 괴리감으로 인해 여성들이 느끼는 일과 가족을 둘러싼 갈등의 체감지수는 이전보다 더 높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경력단절여성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일·가족 양립 문제의 시대적 변화와 세대별 차이를 고려한 정책 마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chronological change of work-family balance issues. First, discourses on women's work have been changed since 1980s. Because of rapid increase of women's participation in labor market and the improvement of education level, work-family balance issues became social issues but the problem were commonly considered an woman's personal matter. Second, in terms of women's labor market structure, in recent day the elder women over 40 years old have gradually increased and the women employed in service industry have increased more than 80 percent. And the result of birth-cohort analysis to investigate generational differences shows that the rate of labor force participation of birth-cohort after 1970 has been higher and M-curve as an index of women's career interruption has been more gentle than earlier birth-cohort. Finally, in regard to social awareness of women's work, most people agreed that career development is just as important to women. However, many people thought difficulties of child-rearing were still the strongest factor to interrupt women's career development.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 that work-family balance issues have been changed chronologically and there are differences according to generations(or birth-cohorts). Under the influence of recent changes in women's economic activities, the desires of the younger generation to participate in labor market are very strong but barriers to career development are also very strong. Therefore, to solve work-family balance issues and to overcome the problem of career interrupted wome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labor policies for women considering chronological changes and generational differences.

      • KCI등재

        경찰공무원의 일중독 형태가 충동성에 미치는 영향

        김정규,오재환 한국치안행정학회 2020 한국치안행정논집 Vol.17 No.3

        다양한 승진제도와 직무활동을 계랑평가하는 성과주의는 경찰조직의 불화를 유발하는 요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이러한 경찰조직의 기본적인 여건은 구성원들에게 일중독을 발생시킬 수 있다. 선행 연구들은 일중독이 조직에 미치는 다양한 형태의 부정적인 효과들을 밝히고 있다. 그중에서도 일중 독이 충동성에 미치는 영향은 개인의 삶에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한다는 점에서 주의가 필요하다. 경 찰공무원은 직무수행 중에 충동성이 발현되면 심각한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경찰조직관리 차원에 서 충동성을 감소시키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경찰공무원의 일중독 형태가 충동 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경찰공무원의 성별에 따라 일중독은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남성이 여성에 비하여 일관 여가 높았고(p<.05), 일즐거움도 남성이 여성보다 높았다(p<.05). 충동성은 여성이 남성보다 높은 것 으로 나타났다(p<.05). 둘째, 일중독 형태와 충동성에 대한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일즐거움과 일강박은 음의 상관관계 (p<.01)가 나타났다. 일관여와 일강박은 양의 상관관계를(p<.05), 충동성과 일강박은 양의 상관관계 를 보였다(p<.01). 일관여와 일즐거움은 양의 상관관계(p<.05)를 나타냈다. 셋째, 일중독 유형이 충동성에 미치는 영향을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일중독의 하위요소 인 일강박(p<.001)과 일즐거움(p<.001)이 유의미한 영향력이 확인되었 다. 일강박이 높을수록 (B=.860) 충동성이 증가하였고 일즐거움이 증가할수록(B= -.055)) 충동성이 감소했다. Police promotion conflicts and performance-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can cause work addiction. Work addiction negatively affects mental health and causes serious imbalances in personal life. Work addiction can increase impulse, so be careful. This is because the duties of the police must be done through strict standards and careful judgment.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police officers' work poisoning patterns on impulsivity and deriv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work addiction depending on gender. Men were more consistent than women (p<.05), and men enjoyed more than women (p<.05). Women with impulsivity were found to be higher than men (p<.05). Second, as a result of conducting a correlation analysis on the form of work poisoning and impulsivity,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work enjoyment and work compulsion (p<.01). Consistency and coercivity were positively correlated (p<.05), and impulsivity and cohesiveness were positively correlated (p<.01). Consistency and joy were positively correlated (p<.05).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the type of work poisoning on impulsivity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effects of work force (p<.001) and work pleasure (p<.001), which are the sub-elements of work poisoning, were confirmed. The impulsivity increased as the work force increased (B=.860) and the impulse decreased as Enjoyment of Work increased (B=-.055).

      • KCI등재

        일중독이 개인과 조직에 미치는 영향

        한광현(Kwang-Hyun Han) 한국인사관리학회 2006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30 No.1

        본 논문은 먼저 일중독 개념의 체계화를 시도하였고, 일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일중 독자들의 성향과 일중독 결과와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일중독자들의 성향은 강박적 및 성취지향적 성향으로 구분하였다. 일중독자들은 모두 지나칠 정도로 과도하게 일을 하고, 일이 자신의 생활에서 가장 중요한 몫을 차지한다. 하지만 강박적 성향이 강한 일중독자들은 일을 하지 않음으로써 발생하는 불안에서 벗어나기 위해일을 찾지만, 성취지향적 성향이 강한 일중독자들의 경우 일을 통해 만족과 성취를 얻고자 일을 찾는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이와 같은 일중독자들의 성향과 그 결과들을 중심으로 한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강박적 성향이 높은 일중독자들은 심리적 긴장, 생리적 증상, 이직의향, 조직시민행동은 증가하는 반면에 우호적 대인관계는 감소하였다. 성취지향적 성향이 높은 일중독자들은 심리적 긴장과 생리적증세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호적 대인관계 및 자기 효능감은 증가, 이직의 향은 감소, 정서적 몰입과 조직시민행동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체로 성취지향적 성향이 높은 일중독자들은 개인 및 조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dentified traits of workaholism and also investigated relationships among the workaholics and outcomes. All of workaholics spend a great deal of time in work activities and they think about work as the most important portion in their life. But there is some difference of meaning in accordance with disposition of workaholics. The workaholics with obsessive-compulsive disposition overwork themselves to avoid the feel of anxious when they are not work, but the workaholics with achievement-oriented disposition frequently and persistently work to obtain the feel of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from their work-itself.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workaholics had specific traits in comparison with non-workaholics. Workaholics had high psychological strain, high physiological symptom, and also had high intention of quit, low satisfaction, unfriendly personal relations in contrast to non-workaholics. Second, the workaholics with obsessive-compulsive disposition was increased psychological strain, physiological symptom, intention of quit, organization citizenship behavior, but it was diminished friendly personal relations. The workaholics with achievement-oriented disposition showed the low psychological strain and physiological symptom that it was not accordance with hypothesis. And the workaholics revealed outcomes that it was increased self-efficacy, emotional involvement, organization citizenship behavior,and decreased intention of quit. These results suggest that workaholics with achievement-oriented disposition shows positive outcomes on individual and organization.

      • KCI등재

        일(逸)의 미학을 통한 장욱진 먹그림 연구

        마승재 한국철학사연구회 2022 한국 철학논집 Vol.- No.74

        Yi(逸) is regarded as the ultimate aim in East Asian aesthetics and has developed into an aesthetic theory, producing numerous derivative concepts. Yi has created various styles and artistic values in not only lifestyle but also in terms of philosophical and aesthetic aspects, and is an aesthetic category that emphasizes the creative and innovative state of art. Among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Yi, I believe that the unworldliness of spirit and simple formativeness are suitable concepts for understanding ink paintings of Chang Ucchin(1917-1990), a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painter. In Chang Ucchin’s ink paintings, the magpie, child, the sun, mountain, tree, and pavilion that the artist has continuously chosen appear, and Taoist materials such as ascetic, landscape, and lie-down wandering(臥遊) as well as Buddhist materials such as Painting of the Eight Scenes, Finding out the cow, Buddha, and Dalma form the main themes. That is, unworldly thinking and life in harmony with nature appear in his paintings, where free strokes and concise expression stand out. The painter left the secular world and lived alone in seclusion in an atelier in the suburbs, where he immersed himself in his artistic work. Moreover,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ink painting are mainly composed of simple formativeness, Ganpil(簡筆), Galpil(渴筆), and Dammuk(淡墨). Both facts are compatible with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Yi, which is free from the secular and pursues a clumsy and profound artistic boundary. This paper examines how Chang Ucchin’s art world is related to Yi’s aesthetics by probing into the aesthetic meaning and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Yi and analyzing how the concept of Yi is embodied in his ink paintings. This will provide an opportunity to re-recognize the philosophical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Yi and will be a work to prove the methodology that East Asian aesthetic concept can be understood in terms of artistic creation, appreciation, and criticism, transcending the generational gap, by tracing how it is applied and interpreted in modern and contemporary painting. 일(逸)은 동아시아 미학에서 최종적인 지향점으로 여겨지며 수많은 파생개념을 낳으면서 미학적 이론으로 발전되었다. 일은 생활형태 뿐만 아니라 철학적·미학적 측면에서 다양한 양식과 예술적 가치를 창출하였으며, 창신(創新)적인 예술경지를 강조하는 미학범주이다. 필자는 이러한 일의 미학적 특징 중 정신의 탈속(脫俗)과 간약(簡約)한 조형성이 한국 근현대 화가인 장욱진(張旭鎭, 1917~1990)의 먹그림을 이해하는데 적합한 개념이라고 본다. 장욱진의 먹그림에는 화가가 지속적으로 선택해왔던 소재인 까치, 어린아이, 해, 산, 나무, 정자 등이 등장하고, 도인, 산수, 와유 등의 도가적 소재, 팔상도, 심우도, 부처, 달마 등의 불가적 소재 등이 주를 이루고 있다. 즉, 회화에는 탈속적인 사유와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삶의 모습이 나타나며, 자유로운 필획과 간결한 표현이 두드러진다. 화가가 세속에서 벗어나 교외에 아틀리에를 두고 홀로 지내며 은일(隱逸)적 삶을 살면서 작업에 몰두했다는 점과 먹그림의 표현상의 특징이 단순한 조형성과 간필(簡筆), 갈필(渴筆), 담묵(淡墨)이 주를 이룬다는 점 등은 세속을 초탈한, 졸박하고 그윽한 예술경계를 지향한 일(逸)의 미학적 특징과 상통한다. 본고에서는 일(逸)의 미학적 의미와 표현상의 특징을 고찰하고, 일의 개념이 장욱진의 먹그림에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 확인함으로써 화가의 예술세계가 일(逸)의 미학과 어떻게 관련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는 일(逸)의 철학적·미학적 특징을 재인식하는 기회가 될 것이며, 동아시아의 미학적 개념이 근현대 회화에 적용되고 해석되는 과정을 추적함으로써 시대의 간극을 초월하여 예술창작과 감상, 비평의 측면에서 이해될 수 있다는 방법론을 입증하는 작업이 될 것이다.

      • KCI등재

        일중독 극복을 위한 기독교교육적 가능성 고찰

        장은실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22 기독교교육정보 Vol.- No.74

        Although work is God's gift to humans that began with God's creation plan and God's plan to call humans as co-workers of creation, today, work has lost its essential mission and has been reduced to a tool for human needs. After the fall of man, work was recognized as sorrow, toil, and pain by humans, and work as a vocation entrusted to God was transformed into workaholism. In today's performance-oriented society, busyness, stress, and overwork are regarded as medals to prove their importance, and workaholics continue their foolish attempts to prove their identity through work using social connivance and tacit support for workaholism. In this thesis, based on the recognition of this problem, workaholism is viewed as a spiritual disease derived from the consequences of sin, and a Christian education plan is proposed for overcoming workaholism, a corrupt by-product of work. You can try to recover from work addiction through Sabbath, work-life balance, caring of the church community, and prayer and meditation. Also, I work with hope in the Holy Spirit with the belief that human beings are cooperators in God's creative work and that my work contributes to the kingdom of God. And finally, overcoming work addiction through relationship recovery was suggested. 일은 하나님의 창조계획과 함께 시작된 인간을 향한 하나님의 선물이자 인간을 창조사역의 동역자로 부르신 하나님의 계획임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일은 그 본질적 사명을 상실한 채 인간의 욕구를 위한 도구로 전락하고 말았다. 일은 인간의 타락 이 후, 인간에게 슬픔과 수고, 그리고 고통으로 인식되었고, 하나님께 위임받은 소명으로서의 일은 일중독으로 변질되었다. 오늘날 성과위주사회에서 바쁨과 스트레스, 과로가 자신의 중요성을 입증하는 훈장처럼 여겨지고, 일중독자들은 일중독에 대한 사회적 묵인과 암묵적 지지를 이용하여 일을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증명하려는 어리석은 시도를 계속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인식을 바탕으로 일중독을 죄의 결과에서 파생된 영적 질병으로 보고, 일의 타락한 부산물인 일중독 극복을 위한 기독교교육 방안을 제언하였다. 안식일과 워라밸(work-life balance), 교회 공동체의 돌봄, 기도와 묵상, 그리고 인간이 하나님의 창조사역의 협력자이고 나의 일이 하나님 나라에 기여한다는 믿음을 가지고 성령 안에서 희망으로 일하는 것, 그리고 마지막으로 관계회복을 통한 일중독 극복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The conflict of Polygamy and Monogamy in the Church of Tanzania -A Biblical and Reformed Approach-

        ( Eliud Esseko ) 한국개혁신학회 2010 한국개혁신학 Vol.28 No.-

        일부다처제는 탄자니아 교회에서 논란이 끊이지 않는 이슈들 중 하나이다. 일부다처제는 죄이며 간통이나 간음과 동등하다는 교리에 동의하지 않는 많은 일부다처의 가정들이 교회 안에 존재한다는 사실 때문에 일부다처제는 격렬한 논쟁을 일으키고 있다. 교회 안에서는 실천적으로 일부다처제를 지지하는 이들과 거부하고 반대하는 이들 사이에 긴장이 발생한다. 교회는 일부다처제가 성경적으로 틀렸다고 가르치면서도, 동시에 일부 그리스도인들은 일부 다처제가 성경적인 근거가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므로 이 문제에는 대립과 모순이 존재한다. 일부다처제가 죄라는 주장은 사실인가? 일부일처제 또는 일부다처제에 대한 성경적 근거는 무엇인가? 성경은 창세기 2:21-24에서 아담과 이브 사이에 있었던 최초의 혼인 관계에 대해서 묘사한다. 특별히 24절은 한 사람이 가족을 떠나 그의 아내와 연합한다는 점을 보여준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우리는 혼인 관계에 대한 하나님의 뜻을 가늠해 볼 수 있다. 첫째, 이 혼인 관계는 남자와 여자의 관계이며, 둘째, 일대일의 관계라는 점에서 일부일처의 혼인 관계다. 탄자니아 교회는 이러한 관점을 일부일처의 혼인 관계에 대한 성경적 근거로 삼는다. 신약에서도 예수 그리스도와 복음서 및 서신서를 기록한 제자들이 일부다처제를 비판한 적이 없다는 사설을 발견한다. 오히려 구약의 존경 받는 족장들 -예를 들어서, 아브라함, 야곱, 다윗, 솔로몬 등 대부분은 일부다처제를 받아들였다. 이러한 점들은 탄자니아 교회에서 일부다처제 결혼의 옹호자들에게 강력한 논거가 된다. 일부 그리스도인들은 하나님께서 남자와 여자 사이에 일부일처의 혼인 관계를 제정하셨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구약성경 어디에서도 우리는 일부다처제가 죄라는 구절을 찾을 수 없다. 하나님은 일부 다처제를 정죄하지 않으셨다. 이 사실은 하나님이 일부다처제가 자신의 뜻과 계획이 아니었음에도 불구하고 일부다처제를 허용하셨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탄자니아와 아프리카의 일반 교회는 한 명 이상의 여성과 결혼하는 이들에게 어떻게 대응하느냐는 어려움에 봉착 해있다. 필자는 본 논문에서 그리스도교로 회심하기 이전에 다수의 아내와 결혼한 사람을 아내들과 이혼하도록 해서는 안 되고, 여러 아내들 중에 한 사람을 택하도록 해서도 안 된다는 점을 제안하려고 한다. 또한 교회는 세대 전환의 흐름 속에서 일부다처제를 경감시키거나 근절하는데 초점을 맞춰야 하며, 기독교 교육 프로그램의 측면에서는 한 남자와 한 여자 즉 아담과 이브 관계에 근거한 일부일처의 혼인 관계에 대한 가르침을 정식화해야 한다. 이러한 필자의 논점은 아브라함과 야곱 다윗 솔로몬 등과 같은 사람의 욕구가 하나님의 본래 계획을 전복시킬 수 없다는 사실에 근거한다. 여호와는 변함없으셨고 여전히 일부일처의 혼인 관계에 대한 자신의 계획에 변함없으시기에, 가정 관계와 결혼의 모형이사다. Polygamy is one of the most controversial issues in the church in Tanzania. It is a burning issue due to the fact that there are many polygamous families in the church who refuses to agree with the doctrine that polygamy is sin, and it is equivalent to adultery or fornication. There is a tension in the church between those who affirm practically and those who decline and oppose it. The church teaches that polygamy is biblically wrong; at the same time some Christians argue that polygamy is biblically right. Hence there is conflict and contradiction. Is it true that polygamy is sin? What is the biblical justification of either monogamy or polygamy? The Scriptures from the Holy Bible informs us on the first marital relationship between Adam and Eve Gen. 2:21-24: In verse 24, it is indicated that a man will leave his family and be united with his wife. From this background we can trace the will of God as far as marital relationship is concerned. First it is a male and female relationship, second it is one by one relationship and hence monogamous marital relationship. This serves as a biblical justification of monogamous marital relationship in the church in Tanzania. In the Scriptures we find that, neither Jesus Christ nor his disciples who authored the Gospels and the Epistles ever critiqued polygamy. On the contrary, it was widely practiced by most of the revered patriarchs in the Old Testament; for instance Abraham, Jacob, David and his son Solomon, etc. This stands as a strong argument for proponents of polygamous marriage in the church in Tanzania. Some says that the Lord God instituted a monogamous marital relationship between male and female. But in the Old Testament we cannot indicate that polygamy is sin. God did not condemn it. This suggests that He permitted it although it was no His will and plan. Therefore, the Church is Tanzania and Africa at large is in dilemma on what to do with Christians who are married to more than one woman. In this study I propose that a man, who was married to several wives before his conversion into Christianity should not be forced to divorce them, neither is he to be forced to choose one out of his multiple wives. The church should focus in alleviating or eradicating polygamy with generation change. In Christian education program, the church should formulate teachings on monogamous marital relationship based on the relationship of one man and one woman i.e., Adam and Eve. The emphasis should be on the fact that the original plan of God cannot be overthrown by the desire of man say Abraham, Jacob, David and his son Solomon, etc. Yahweh was right and remains right in His plan for monogamous marital relationship and hence the model for family relationship and marital affairs.

      • KCI등재후보

        일과 생활의 균형과 기업성과 간의 관계에서 인적자원관리시스템의 매개효과 연구

        배호영(Ho-Young Bae) 충남대학교 경영경제연구소 2015 경영경제연구 Vol.37 No.3

        본 연구는 일과 생활의 균형과 기업성과 간의 관계에서 인적자원관리시스템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실증분석 연구이다. 이를 위해 일과 생활의 균형(일과 가정의 균형, 일과 여가의 균형, 일과 성장의 균형), 인적자원관리시스템, 기업성과에 대한 기존 선행연구를 포괄적으로 검토하여 연구모형을 구축한 뒤 각 변수들 간의 관계를 실증분석하고, 2015년 3월 1일부터 3월 31일까지 1개월간 영남지역(대구·경북지역 및 부산·경남지역) 기업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지 500부를 배포하여 162부의 유효 표본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일과 생활의 균형의 영역인 일과 가정의 균형, 일과 여가의 균형, 일과 성장의 균형은 모두 인적자원관리시스템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이는 근로자들의 일과 가정, 여가, 성장 간의 균형 욕구가 인적자원관리시스템의 변화를 긍정적으로 촉진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인적자원관리시스템은 기업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이는 기업의 인적자원관리시스템이 전략적·체계적으로 근로자들의 역량개발 및 동기부여에 기여하여 기업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인적자원관리시스템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일과 성장의 균형과 기업성과 간의 관계에서만 인적자원관리시스템의 매개역할이 나타났다. 이는 근로자의 가정, 여가, 성장 욕구 중 실제 인적자원관리시스템을 통해 기업성과로 이어질 수 있는 욕구는 일과 성장의 균형인 것이 검증되었으며, 일과 가정, 여가의 균형 욕구는 인적자원관리시스템에는 영향을 미치지만 기업성과로는 연결되지 못함을 시사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근로자들의 일과 성장의 균형 욕구가 기업의 인적자원관리시스템을 통해 기업성과로 이어질 수 있는 선순환 모델을 제시하고 있어, 경영자는 근로자들의 일과 성장의 균형에 대한 지원과 투자를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s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System (HRMS) between work-life balance (work-family balance, work-leisure balance, and work-development balance) and corporate performance. So we tested three hypotheses. First, we tested the hypothesis that work-life balance has a positive effect on HRMS. Second, we tested the hypothesis that HRMS has a positive effect on corporate performance. Third, we tested the positive mediating role of HRMS between work-life balance and corporate performance. For this research, we administered questionnaires and got 162 surveys with effective data. As a result of SPSS 18.0, we can find three meaningful results. First, all kinds of work-life balance have a positive effect on HRMS. Second, HRMS has a positive effect on corporate performance. Third, HRMS has a positive mediating effect between work-development balance and corporate performance. Although this research has some limitations of generalization because of limited samples, we can find the meaningful mediating model among work-development balance, HRMS, and corporate performance in the end.

      • Where do I come from? What am I? Where am I going?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work identity change process between age groups

        김나정 한국인사ㆍ조직학회 2013 한국인사ㆍ조직학회 발표논문집 Vol.2013 No.1

        노동인구는 점점 더 "은빛화(고령화)"되어가고 일생에 걸쳐 커리어 상 다양한 변화를 겪는 사람들의 수가 늘어나는 현 추세에도 기존의 문헌은 일과 커리어 상의 변화 및 적응 과정과 정체성 변화 과정에 나이가 미치는 영향을 간과해왔다. 본 논문에서는 귀납적 접근 방법을 통하여 일의 변화와 일에 대한 정체성의 변화 간의 관계에 대한 시간적 관점 이론을 정립한다. 포춘 글로벌 500대 기업인 대형 보험회사에 일하는 47명을 대상으로 6개월에 걸쳐 실시된 통시적 질적연구의 결과를 통해 종업원들이 일의 변화를 겪을 때 경험하는 전반적인 일 정체성 변화 과정의 단계는 일의 변화 형태(기업 내부 이동 혹은 직장 이동) 및 연령대(인생의 초반부를 사는 X, Y세대 종업원 혹은 인생의 중후반부를 사는 베이비부머 세대)와 상관없이 종업원의 일 정체성 이야기의 방향성에 의해 가장 잘 구분 지어진다고 밝혀 졌다. 과거-현재-미래로 이어지는 시간이라는 공간에 놓여 있는 정체성 이야기의 방향성은 과거와 미래의 자아와의 비교, 타인과의 비교, 그리고 미래에 대한 관점에 따라 적응, 성장, 퇴보 세 가지로 나뉘었다. 일 정체성 변화 과정에서 인생의 초반부와 인생의 중후반부를 사는 사람들의 가장 큰 차이는 얼마나 많은 시간과 기회가 본인의 경력 및 삶 속에 남아 있다고 인식하는지에 있었다. 그리고 인생의 초반부를 사는 사람들과는 달리 인생의 중후반부를 사는 사람들은 일 밖의 개인적인 정체성을 일 정체성에 통합시킬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과거, 현재, 미래의 일 정체성을 아우르는 통시적인 일 정체성 변화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정체성을 이야기로 바라보는 새로운 관점을 발전시키고, 현재의 일 정체성 변화 과정이 과거와 미래의 일 정체성으로부터 어떠한 영향을 받는지를 밝히며, 일의 변화 속에서 연령이 미치는 영향을 명시한다. Despite a "graying" workforce and a growing number of workers experiencing multiple work transitions over the course of their lives, extant literature has largely ignored the role of age in work transition experiences and its impact on the process of work identity change. In this study I employ an inductive approach to elaborate a theory concerning the relationships among work transitions, work identity change, and age. The findings of a longitudinal qualitative study of 47 employees at a large financial services firm over six-month period make clear that, regardless of the types of work transition (role-based transition vs. membership-based transition) and employees' age (Gen X and Gen Y workers in early adulthood vs. Baby-boomer workers in middle adulthood), identity change is best captured as change in the direction of employees' work identity narratives. The direction work identity narratives situated across the temporal space of past, present, and future was defined as adjusting, progressing, and regressing depending on different combinations of intrapersonal/temporal, interpersonal/social, and future time perspective mechanisms. A major difference between older and younger workers came from the difference in the perceived amount of time and the perceived number of opportunities left in their own careers/lives. Further, in contrary to younger workers, people in the middle adulthood often integrated their non work-related personal identities to work identities. My research enriches emerging perspectives on work identity as narrative by proposing a temporally-oriented model of work identity change that bridges past, present, and future identities; explores how the process of work identity change at present is influenced by the identities of the past and the future; and delimits the role of age in identity change during work-related transitions.

      • KCI등재

        통합과 분리

        채연주(Yeon Joo Chae),윤세준(Se Joon Yoon) 한국인사조직학회 2012 인사조직연구 Vol.20 No.2

        Over the past decade, considerab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topic of “balancing work and life” in Korea. However, little research has focused on the fundamental issue of how people seek the balance in reality. This is why we have employed a qualitative approach as a tool for analysis to explore people’s subtle ways of coordinating work and life. Crossing the border between work and life, people integrate or segment the two domains, and this balancing act on the continuum of integration and segmentation is referred to as “boundary work” (Nippert-Eng, 1996). Based on the concept of boundary work, this research examines how people find their own balancing point on the integration and segmentation continuum. As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 selected consultants who practice relatively high autonomy within their work in terms of time and space.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at an IT security solution consulting group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consultants at seven other consulting companies. The participant observation and 21 cases of in-depth interviews provided us with three types of data sources: in-depth interviews, participant observation, and daily schedules. The grounded theory coding technique was applied to the analysis of data which resulted in dividing people’s of integrating and segmenting domains methods of work and life into two dimensions: (1) integration and segmentation behavior within each domain and (2) integration and segmentation behavior in the process of transition between the two domains. Furthermore, the former dimension was classified into three sub-dimensions: workplace, relationship, and routine behavior. The latter dimension was categorized into two sub-dimensions: habitual preparation behavior for transition between the domains and commute as a transitioning act. The summary of our research findings is as follows. Most participants showed a tendency to achieve balance in work and life by moving toward the segmentation point on the continuum of integration and segmentation. Even those who were inclined to integrate the domains of work and life suffered from work encroaching on life as the boundary of life remained ambiguous yet the boundary of work relatively was found to be clear. The tendency to segment the two domains can be interpreted as a struggle to keep what is left of life from being swallowed by work which has continuously intruded on life through various means. That is to say, people’s inclination to segment the domains of life and work is not an innate predisposition but a result of a conscious choice which is to protect life from the overly intrusive domain of work in modern society and to recover balance in work and life. In conclusion, this study has investigated in depth how people coordinate work and life in reality and our findings indicate that an integrative approach that treats matters of work and life as objects of management has considerable limitations. 한국에서 ‘일과 삶의 균형’이라는 화두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지만, 실제 사람들이 어떻게 일과 삶의 균형을 찾아가는가라는 본질적 질문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질적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사람들이 실제로 어떻게 일과 삶을 조율하고 있는지를 탐색하고자 한다. 사람들은 일과 삶의 경계를 넘나들면서 두 영역을 통합하거나 분리하는 행동을 하게 되는데, 통합과 분리의 연속선 위를 오가면서 두 영역을 조율하는 사람들의 행동을 경계활동(boundary work)이라고 한다. 본 연구는 경계활동이라는 개념을 바탕으로, 사람들이 자신의 일과 삶의 균형점을 어떻게 찾아가고 있는지에 대한 답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업무수행 시 작업시간과 공간의 활용이 비교적 자유로운 컨설턴트들을 대상으로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는데, 한 보안 솔루션 업체의 컨설팅 부서에서는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을, 그 외 7개 컨설팅 회사의 컨설턴트들과는 심층면담을 수행하였다. 총 21명의 심층면담과 현장연구 자료를 바탕으로 3개의 자료원천(면담, 참여관찰, 일과기록표)을 확보하였으며, 근거이론에 입각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일과 삶을 통합 혹은 분리하는 양식을 두 가지 차원으로 나눌 수 있었는데 그것은 (1) 일과 삶, 각각의 영역 내에서 보여주는 통합 혹은 분리와 (2) 이들 두 영역을 오가는 전환과정에서 보여주는 통합 혹은 분리로 나누는 것이었다. 또한 각각의 영역에서 통합 혹은 분리하는 행동은 다시 세 개의 하위차원(일하는 공간, 관계 맺기, 습관적 행동)으로, 그리고 전환과정에서 보여주는 통합 혹은 분리의 행동은 두 개의 하위차원(전환을 준비하는 반복행동과 전환이 이루어지는 출•퇴근길)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개념적 틀을 활용해 도출된 자료의 해석은 다음과 같다. 사람들은 통합-분리의 연속선에서 분리의 방향으로 경계활동을 함으로써 일과 삶의 균형점을 확보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비록 일과 삶을 통합하는 경향을 보이더라도 삶 영역의 경계는 모호하지만 일 영역의 경계는 상대적으로 명확해 일이 삶을 잠식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다양한 기제를 통해 끊임없이 삶의 영역에 침투해 들어오는 일로부터 최소한의 삶의 영역을 지키려는 일종의 자구책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즉, 일과 삶을 분리하는 경향은 인간의 내재적 경향인 아니라 삶의 영역에 지나치게 개입해 들어오는 현대사회의 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고 일과 삶의 균형을 회복하기 위한 의식적 선택의 결과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사람들이 어떻게 일과 삶의 경계활동을 하고 있는지를 심층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일과 삶의 양립문제를 경영관리의 대상으로 인식하여 통합의 관점에서만 논의하는 것은 한계가 있음을 보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일학습병행 자격 효용성 평가 지표 개발 기초 연구

        박종성,이한별,김태호 (사)한국직업자격학회 2019 직업과 자격 연구 Vol.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일학습병행 자격 효용성 평가 지표를 개발하는데 있다. 일학습병행 훈련과정은 NCS기반 자격에 기반을 두고 개발되고 있으며, NCS기반 자격 종목 615개 중 주로 기계, 전기․전자, 정보통신 분야의 387개 종목이 일학습병행 훈련과정에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격 효용성 평가체계 관련 국내외 문헌을 포함한 다양한 자격의 효과 및 성과 관련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일학습병행 자격 효용성 평가 영역 및 지표(안)을 도출하였다. 문헌연구에서 도출된 평가 지표 초안을 바탕으로, 일학습병행 자격에 적합한 효용성 평가체계를 마련하기 위해 자격 및 일학습병행 관련 업무 수행 경험이 있는 산업계, 학계, 연구기관, 교육훈련기관 전문가 43명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조사를 통해 일학습병행 자격 효용성 평가의 방향을 일학습병행 자격 제도 개선, 일학습병행 자격과 국가기술자격의 효용성 비교, 일학습병행 자격 종목 질 향상 등 3가지로 설정하였다. 또한 일학습병행 자격 효용성 평가를 위한 4개 평가영역, 20개 평가 지표를 개발하고 평가 지표별 평가 방법 및 대상을 설정하였다. 이 연구는 일학습병행 자격 효용성 평가를 위한 기초 연구로, 향후 일학습병행 자격 제도 개선과 일학습병행 자격 종목의 질 향상 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develop indicators for evaluating utility of apprenticeship qualification. Currently, apprenticeship training programs are developed on the basis of 615 NCS-based qualification items, among which only 387 qualification items mainly in the sector of machinery, electrical and electronic, and IT are used for apprenticeship. Based on various literature on the evaluation of qualification utility, the effect and outcome of qualification, the draft of categories and indicators for evaluating apprenticeship qualification utility are designed. In order to establish utility evaluation system which is appropriate for apprenticeship qualification, a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wice targeting 43 experts in industry, academy, and research institutes, who have working experience related to qualification or apprenticeship. As a result of the survey, the direction for evaluating utility of apprenticeship qualification is set as 1) the improvement of apprenticeship qualification system, 2) the comparison of utility of apprenticeship qualification and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and 3) the improvement of apprenticeship qualification items. Also, 4 evaluation categories and 20 evaluation indicators are developed in this research. This research, as a fundamental research to give an idea of how to evaluate utility of apprenticeship qualification,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improving apprenticeship qualification system and enhancing the quality of apprenticeship qualification it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