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화엄경문답』과 『일승법계도』를 통해 본 의상(義相)의 화엄경 인식

        최연식 ( Yeon Shik Choe ) 한국사상사학회 2015 韓國思想史學 Vol.0 No.49

        의상의 사상은 주로 『일승법계도(一乘法界圖)』를 통해 논의되었는데, 최근에 그의 강의록으로 알려진 『화엄경문답(華嚴經問答)』의 내용과 관련지어 이해할 때 보다 종합적으로 이해될 수 있다. 『화엄경문답』에서는 『화엄경』의 가르침만이 진리를 완전하게 전하고 있기 때문에 『화엄경』의 가르침을 통해서만이 온전한 깨달음에 이를 수 있다고 이야기하고 있다. 그런데 『화엄경』의 가르침은 하나의 단어가 모든 것을 의미하는 법계연기적 언어로 되어있기 때문에 그 가르침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수행자가 먼저 그러한 언어를 이해할 수 있는 무분별지를 갖추어야 한다고 이야기하고 있다. 이러한 『화엄경문답』의 입장은 불교의 여러 경전 중에서 오직 『화엄경』에만 집중하면서, 『화엄경』의 내용을 이론적 탐구가 아니라 무분별지를 얻기 위한 명상수행을 통해 이해하려는 입장으로 연결되게 된다. 『일승법계도』는 『화엄경』을 절대적이고 완전한 가르침으로 파악한 의상이 그것을 선양하기 위하여 저술한 것이다. 먼저 『화엄경』의 핵심 내용을 7언 30구의 시로 압축하고, 그것을 다시 도상의 형태로 표현하여 <법계도>를 만든 다음 그것을 설명하고 있다. 『일승법계도』는 『화엄경』의 요약이자 『화엄경』 이해를 위한 수행 지침서인 것이다. 특히 여기에서는 『화엄경』의 내용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는 무분별지를 갖추게 하기 위하여 수전법(數錢法)이라는 구체적 수행방법을 아울러 제시하였다. 수전법은 사물들을 다른 것과 분리하여 개별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극복하고 하나의 사물이 동시에 다른 사물과 동질적임을 인식할 수 있게 하려는 것으로서, 그것을 통해 얻어지는 인식능력은 다름 아닌 『화엄경문답』에서 강조한 무분별지였다. Uisang`s thought has been examined mainly through his One Vehicle Dharma Realm Seal(一乘法界圖). But as the Questions and Answers on Huayan Sutra(華嚴經問答) transmitted in Japan was found to be the record of his lecture on the Huayan Sutra recently, the contents of the Dharma Realm Seal can be understood more comprehensively when discussed in relation with it. In the Questions and Answers Uisang says that only the Huayan Sutra perfectly represent the truth and we can accomplish the perfect enlightenment only through the teaching of the Huayan Sutra. He also says that as the Huayan Sutra is told in the way of Dharmadhatu dependent arising(法界緣起), in which one is all and all are one, each being a universal cause and which is understood only by the non-discriminative wisdom, the disciplinant who wants to understand the teaching of the Huayan Sutra should master the wisdom. This teaching introduced his disciples to concentrate only on the understanding of the Huayan Sutra not by the logical explanation but through the meditation to get the non-discriminative wisdom. Uisang write the One Vehicle Dharma Realm Seal in order to exalt the Huayan Sutra which he regards as the perfect and absolute teaching among all the Buddhist Sutras. In this work Uisang summed the core contents of the Huayan Sutra into a poem of 30 lines of seven Chinese characters and represent in a seal of concentric circular form. And he explains the contents of the poem and the form of the seal. In this respect the One Vehicle Dharma Realm Seal should be regarded as the summary of the Huayan Sutra and guide for the disciplines. In the latter part he introduces the simile of counting coins as the method to get the non-discriminative wisdom.

      • KCI등재

        『일승법계도』에 나타난 실천사상

        장진영 한국선학회 2014 한국선학 Vol.39 No.-

        한국화엄사상은 한국불교의 실천적 성격에 큰 영향을 미쳐왔다. 본고에서는의상(義相, 625~702)의 『일승법계도』 에 나타난 실천적 특징과 중심사상을 살펴봄으로써 한국화엄사상의 실천적 근거와 특징은 무엇인지를 고찰하였다. 먼저 실천의 지향을 분명히 하고 있는 것이 일승보법(一乘普法)사상이다. 의상은 삼계교(三階敎)의 보법(普法)사상 을 수용하여 화엄일승의 가르침에 접목시킴으로써 그가 지향하는 실천의 방향을 명확히 하고 있다. 이로써 모든 가 르침[五敎]과 모든 근기[五乘]를 일승으로 귀결시키고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실천의 근거로서 법성성기(法性性起 )사상을 제시하고 있다. 여기서 법성은 『화엄경』의 해인삼매에 비친 여래출현, 본성현현의 모습으로서 곧 ‘성기’ 를 뜻한다. 지엄(智儼)이 법계연기설을 체계화할 때, 염문연기와 정문연기를 각각 삼승과 일승에 대비시켜 일승연기 를 강조하고 있는 반면에, 의상은 한 걸음 더 나아가 성기와 연기를 병립함으로써 성기 그 자체를 드러내는데 집중 하였다. 즉 성기의 관점에서 무분별중도의 실천[行門]을 드러내는데 집중하고 있다. 일승의 실천단계[수행계위]에서는 지론종의 육상(六相)을 수용하여 ‘차제의 십지’를 넘어서 ‘원융의 십지(계위)’[圓 融十地]를 주장하여 실천의 폭을 크게 넓힘으로써 실제 수행자가 어느 지위에 있든지 각자의 지위에서 ‘자위부동( 自位不動)’한채로 모든 지위를 성취하게 됨을 밝히고 있다. 그 실천방법에 있어서도 성불(成佛)과 단혹(斷惑)의 문 제는 ‘구래부동’의 무분별중도[舊來中道]로서 제시되고 있다. 즉 수행자 스스로가 ‘구래불’이며 ‘법성’임을 자각함으로써 찰나찰나[念念]번뇌를 끊고, 부처를 성취하게 됨을 밝히 고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의상화엄사상의 실천적 특징은 한마디로 ‘성기적 실천’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성기적 실천이란 일승보법 을 견문하고 발심한 수행자가 스스로 법성이며 구래불임을 잊지 않고 행하는 무분별중도의 실천이라 할 수 있다. 이 때의 실천은 함이 없지만 하지 않음이 없는 실천이요, 다 하지만 다함이 없는 실천으로서 불교의 실천적 의의가 만 개한 모습이라 할 것이다. Some scholars argue that Uisang(義相, 625-702)’s Korean hwaeom (C. huayen)thought is more ‘practical’ than Chinese hwaeom. This paper examines severalpractical characteristics from the organization and thought of Uisang’s majorwork, theIlseoungbeopgye-do(一乘法界圖) or the Chart of the Dharma-world ofthe One Vehicle.This paper elucidates four practical characteristics found inUisang’s Ilseoungbeopgye-do. The first is practical orientation, which is the thought ofIlseoung-Bobeop(一乘普法) or one vehicle(一乘, S. ekayana)as the universal dharma, whichharmonizes the highest teaching of the hwaeom one vehicle with the universaldharma originated in ‘Three Stages Teaching’(三階敎, Sanjie jiao). Through thisthought Uisang makes the practical orientation clear and concentrates allteachings such as five teachings and the five vehicles on the teaching of onevehicle. Secondly the thought of dharma-nature nature-arising(法性性起), means theoriginal nature arising itself without depending on anything. This presents thepractical ground on Uisang’s hwaeom thought. Nature-arising means theappearance of tathagata(如來)and the manifestation of the dharma-world(法界,dharma-dhātu)through ocean seal samādhi(海印三昧, S. sāgaramudrā-samādhi) found inthe Flower Adornment Sutraor the Avatamsaka-sūtra. Zhiyan’s(智儼)systematized theory of dependent co-arising of the dharmaworld consists of two categories: ‘defiled co-arising’(染門緣起) and ‘pure coarising’(淨門緣起). Defiled co-arising is relevant to the three vehicles( 三乘, S. triyana)and pure co-arising is relevant to one vehicles. Uisang goes a stepfurther from Zhiyan’s theory by concentrating on nature-arising as well aspairing ‘nature-arising’ and ‘dependent co-arising.’ He focuses on the practicalmeaning from the standpoint of nature-arising or non-discriminating middleway. Thirdly in the practical step, Uisang proposes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of ten stages(十地)or bodhisattva’ s typical practice steps through the sixcharacteristics of conditioned phenomena(六相)that is one of traditionaltheories of Di Lun school(地論宗). Through these steps, a practitioner canachieve all stages if he is one with his original nature and practices non-doingregardless of the stages. Finally this is about the practical way. In the process attaining Buddhahoodand renouncing the discriminating tendency, Uisang says every practitioner‘Buddha originated from past’(舊來佛), the viewpoint of non- discriminatingmiddle way or ‘middle way originated from past.’(舊來中道)So everypractitioner can attain Buddhahood and renounce the discriminating tendencyin every moment and every moment. In conclusion, the practical characteristic of Uisang’s hwaeom thought isthe practice based on nature-arising which does not diverge from ocean sealsamādhi and dharma-nature. This practice is doing nothing but doingeverything and though doing everything doing noting. I argue that by focusingon the original nature, this practice highlights the significance of Buddhism’spractical aspect.

      • KCI등재

        『일승법계도(一乘法界圖)』의 텍스트 문제

        사토아츠시 ( Sato Atsuhi ) 한국사상사학회 2015 韓國思想史學 Vol.0 No.49

        의상(625-702)이 중국 화엄종 제2조인 지엄(602-668) 문하에서 수학하던 시기에 찬술한 『일승법계도』는 한국불교의 문헌이지만 아직도 해결해야 할 문제가 남아 있다. 그것은 텍스트 문제이다. 현재 다이쇼(大正) 대장경에 수록된 『화엄일승법계도』 텍스트는 선본(善本)으로 보기 어렵다. 그보다는 『법계도기총수록』에 수록된 텍스트(총수록본)가 선본이다. 따라서 『법계도』 텍스트는 총수록본을 중심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 다만 그총수록본도 완벽하지는 않다. 따라서 그보다 오래된 사본 차원으로 거슬러 올라가서 텍스트 문제를 고찰할 필요가 있다. 이 글에서는 현존하는 『법계도』의 사본과 간본 10종을 수집하고 각기 텍스트의 특징을 검토하는 한편 그 계통 문제에 대해서도 고찰하였다. 필자의 목표는 상세한 법계도의 교감본을 작성하는 것에 있는데 이번 발표는 그 일부분이다. 검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집된 현존하는 사본 및 간본은 ①총수록수록본, ②삼문직지소인본(三門直指所引本), ③방산석경본(房山石경本), ④교토대학소장본, ⑤류코쿠대학(龍谷大學)소장본, ⑥오타니대학(大谷大學)소장본, ⑦조라쿠인(常樂院)구장본, ⑧가나자와문고(金澤文庫)본A ⑨가나자와문고본B, ⑩가나자와문고본C 등 10종이다. 둘째, 사본 및 간본들의 주된 차이점에 대해서는 다음 두 가지 점을 살펴보았다. 하나는 『법계도』의 제목과 미제(尾題)의 문제인데, 텍스트에 따라서 제목이 다르고 나아가 마지막 부분에도 제목이 있는 것을 정리하였다. 다른 하나는 서문과 도인(圖印) 부분의 어구(語句)의 차이이다. 이 부분의 어구의 차이는 텍스트들의 주요한 차이점으로 나타나고 있다. “Il Seung Beopgye-do”(“Beopgye-do”) was written by Silla Huayen monk Uisang in 668. He learned a Huayen doctrine by Chiyen the 2nd patriot of Huayen school. He came back to Silla and taught it to his disciples. Many commentaries were made in Silla and Koryo dynasty. And in Chosun dynasty, it was made few commentaries too. In later, the part of poem in “Beopgye-do” was called “Beop Seong Gye”, it is recite in Buddhist ceremony even now. As it, “Beopgye-do” is important literature in Korean Buddhism. But the “Beopgye-do” has an unsolved problem. It is the text problem. Generally, the text of “Beopgye-do” we can see is that included in Taisho Tripitaka. But it is not good text. The better one is the text quoted in “Beopgye do ki Chon su rok”(“Chon su rok”) that commentary of “Beopgye-do”. So when we research the “Beopgye-do” text, we need to research “Chon su rok” version. In 1997 Prof. Kim Ji-gyeon published recension text on the basis of the “Chon su rok” text. However that “Chon su rok” text also is not perfect. So we have to research until manuscript level. I collected the 10 kinds of text printed and manuscript. And I research a characteristic and a relationship of texts. My final target is a making recension text. And this paper is process of it. This paper has two parts. The 1st is introduction of texts the following. 1) quoted text in “Chon su rok,” 2) quoted text in “Sam mun jik chi”(these two are preserved in Korea), 3) Pang shan stone sutra text(it is preserved in China), 4) Kyoto Univ. text, 5) Ryukoku Univ. text, 6) Otani Univ. text, 7) Jorakuin temple text, 8) Kanazawa bunko text A, 9) Kanazawa bunko text B, 10) Kanazawa bunko text C(these are preserved in Japan). The 2nd is pointing out differences between the texts on two points. One is the main and last title. The title of “Beopgye-do” has various titles by texts. The other is difference of words in preface and poem. It also well represent the differences among texts.

      • KCI등재

        갑사 소조보살입상 腹藏 백지묵서사경 고찰 試論 - 일승법계도와 표훈대덕발원문을 중심으로 -

        문상련(정각) 한국선학회 2017 한국선학 Vol.46 No.-

        필자는 「공주 갑사 소조(塑造) 보살입상 복장(腹藏) 유물」 중 1617년 <복장발원문>과 1388년 필사된 <백지묵서 사경(寫經)>에 대한 시론적(試論的) 고찰을 행하였다. <백지묵서 사경>의 경우 『육경합부』 형식의 시원적(始原的) 예에 해당하는 것으로, 그 안에 실린 「표훈대덕(表訓大德)발원문」은 최초 발견된 신라 고승의 저술로 추정되는 것으로 중요 의미를 갖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필자는 <백지묵서 사경>에 담겨진 의상(義湘)의 「일승법계도」 및 표훈(表訓)의 「표훈대덕발원문」에 대한 고찰을 통해 의상의 「일승법계도」 해석상의 몇몇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한편 「표훈대덕발원문」 분석과 고찰을 통해서는 발원문에 깃든 표훈의 사상적 저변을 추론할 수 있었다. 결과, 표훈의 「표훈대덕발원문」은 형식구조상 ⑴상품상생원(上品蓮華生願)과 ⑵재생보살도원(再生菩薩道願)이라는 두 축이 바탕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내용적 측면에서 「표훈대덕발원문」에는 유가대덕(瑜伽大德)으로서 표훈의 유식학적 견해의 수용과, 의상의 10대 제자이자 동료였던 의적(義寂)과의 관련 속에 습득되었을 정토사상의 수용 양상, 의상계 화엄종파의 일원으로서 수용했으리라 여겨지는 『화엄경』 회향의 정신, 그리고 『법화경』의 서원 등이 발원문에 담겨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dedicatory prayers text written in 1617 and the manuscript sutra written on white paper in 1388 among the “relics inside the Terracotta Bodhisattva Statue of Gapsa Temple” in Gongju. The manuscript sutra written on white paper is the first example of “Yukgyeonghapbu(six sutras)” format, and its dedicatory prayers text by Pyohun Daeduk holds important significance as the first discovery of writing by prominent monks during the Silla Dynasty. The investigator examined Uisang’s “Ilseoungbeopgye-do(Beopseonggye)” and Pyohun’s “Pyohun Daeduk’s dedicatory prayers text” in the manuscript sutra written on white paper and pointed out a few problems with the interpretation of the former and inferring Pyohun’s ideological origin in his dedicatory prayers text from the analysis and review of the latter. The findings show that Pyohun’s “Pyohun Daeduk’s dedicatory prayers text” was, in terms of formal structure, based on two axes that included ⑴ prayers, birth on lotus and ⑵ prayers, re-birth and going forward to Bodhisattva Path. In terms of content, the text contained Pyohun’s views and acceptance of Yogācāra ideology as a Yogācāra Ācārya; his acceptance pattern of Pure Land Ideology, which he must have acquired in his relationships with Euijeok, one of Uisang’s ten major pupils and his colleagues; his spirit of merit transference, which he seemed to have accepted as a member of Uisang’s Avatamska sect; and the great wish of “Lotus Sutra.”

      • KCI등재

        의상(義相) 이이상즉설(理理相卽說) 논의의 비판적 고찰

        박보람(Park, Bo-Ram)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22 佛敎學報 Vol.- No.100

        의상이 그의 주저인 『일승법계도』에서 단 한 번 언급하는 구절인 ‘이이상즉(理理相卽)’은 예로부터 많은 이들에게 호기심 내지는 의구심을 불러 있으켰으며 끊임없이 논의가 계속되어 왔다. 특히 현대에 이르러 여러 연구자들이 이 구절의 사상적 의미와 사상사적 유래 및 변천을 규명하고자 연구를 꾸준히 진행했으며 많은 성과를 이루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이상즉이 설해지는 맥락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은 탓에 의상 화엄사상의 전체 틀에서 이이상즉을 고찰하지 못하였고, 논의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각각의 그리고 공통의 오류에 기반하고 있다는 점에서 선행 연구의 주장은 수정 ․ 보완될 필요가 있다고 논자는 생각한다. 의상의 이이상즉 등 4구는 『일승법계도』 「법성게」의 마지막 게송 중의 “예로부터 움직이지 아니함[舊來不動]”을 예로부터 부처를 이룸으로 풀이하면서 일체 연기법의 실상인 다라니법을 관(觀)하는 방편으로 시설된다. 그런 의미에서 의상의 상즉은 그의 육상설 및 수십전법과 같은 목적을 지닌 다른 방편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방편들에 의해서 드러나는 연기법의 실상은 여러 가지로 표현될 수 있겠지만 그 가운데 대표적으로 무분별(無分別) ․ 부주(不住)를 들 수 있다. 그러므로 의상의 이이상즉을 논의할 때 유의해야 할 사항은 의상의 이이상즉설이 무분별 ․ 부주 등으로 표현되는 연기의 실상인 다라니법을 관(觀)하기 위한 것이라는 점이다. 의상의 이이상즉에 관한 대다수의 선행 연구는 이러한 맥락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은 채 ‘이이(理理)’의 의미 분석에 치우친 바가 없지 않다. 그러다보니 상즉은 복수를 대상으로 한다는 상즉의 복수성을 기초로 궁극의 [법계]와 이로부터 개념화, 파편화된 [이(理)와 사(事)]라는 이중 구조를 집 위에 집을 짓듯이 구축하여 대치(對治)의 대상을 대치의 수단으로 삼는 오류에 빠지고 말았다. 상즉을 법성(法性)의 집에 들어가기 위한 유위(有爲)의 행위로 보거나 법성의 집 가운데 중도의 평상에 예로부터 앉아 있는 무위(無爲)의 사태로 파악하는 두 입장이 가능하다면 법성성기와 구래불 등으로 대표되는 의상 화엄교학의 맥락에서 볼 때 의상의 상즉은 법계에 들어가기[入於法界] 위한 행위가 아니라 들어감이 곧 법계[入卽法界]인 불행(佛⾏)의 측면에서 파악해야 한다고 논자는 생각한다. The mutual identity of principle and principle (理理相卽, hereafter The Mutual), a phrase Uisang (義相) mentions only once in the Seal-diagram symbolizing the dharma realm of the one vehicle (『一乘法界圖』), has been a subject of curiosity and discussion. In modern times, several researchers have steadily conducted research to find out the ideological meaning behind this phrase, the origin and transition of ideological history, and have achieved many results. Nevertheless, revising and supplementing previous studies in the following two points is necessary. First, since previous studies did not sufficiently consider the context in which The Mutual was established, The Mutual could not be considered in the entire framework of Uisang’s Hwaeom ideology. Second, prior research is based on each common error in the process of discussion. Uisang’s The Mutual is explained as a means of observing dhāraṇī, the true characteristics of all conditionally arisen dharmas, while interpreting the “unmoved from times long past (舊來不動)” in the last poem of Beopseongge as the attainment of Buddhahood from times long past (舊來成佛). In that sense, The Mutual can be said to be another method with the same purpose as the theory of the Six Characteristics (六相說) and the method of counting ten coins(數十錢法). The true characteristics of conditionally arisen dharmas revealed by these measures can be expressed in various ways, but representation of them are “without distinctions (無分別)” and “non-abiding (不住).” Therefore, it is noteworthy that while The Mutual is to see dhāraṇī, the true characteristics of all conditionally arisen dharmas expressed as “without distinctions (無分別)” and “non-abiding (不住).” Most of the preceding studies on The Mutual have been biased toward the analysis of the meaning of “principle and principle (理理)” without sufficiently considering this context. Resultantly, most preceding studies made two errors and built a house on top of the house. First, The Mutuals plurality, which deals with the plural objects, and second, a dual structure consisting of the ultimate [dharmadhātu] and [principle (理) and phenomena (事)] conceptualized and fragmented from the [dharmadhātu]. Like the theory of the Six Characteristics, The Mutual can be viewed as an act of conditioned dharmas for entering the house of the dharmadhātu or as a situation of unconditioned dharma sitting on the middle of the house of the dharmadhātu from times long past. Considering Uisang’s entire thoughts generally represented by “the unconditioned arising which is the Dharma nature (法性性起)” and “buddhas from times long past (舊來佛),” The Mutual should be understood as the buddha’s actions in which entering is the dharmadhātu itself (入卽法界), not an act to enter the dharmadhātu (入於法界).

      • KCI등재

        『一乘法界圖』에 나타난 義湘의 法界觀

        전호련 한국불교학회 2011 韓國佛敎學 Vol.59 No.-

        Uisang (義湘, 625-702), Ilseungbeopgye-do (一乘法界圖), illustrates his perspectives on the Dharmadhātu of Hwa-eom Single Vehicle (華嚴一乘) focused on the Dharma-nature. The Dharma-nature understood by Uisang is the Dharma-nature Nature-arising (法性性起), which is the world that the Dharma-nature Nature-arising includes the True Nature Dependent Co-arising while, being immediately identified, the Dharma-nature and the True Nature cannot be differentiated. Uisang's illustration of the Dharmadhātu, or Bansi, represents the Nature-arising world of the Combination of the Three Realms (融三世間). The Red Diagram Seal of Dharmadhātu, which reveals the realms of the Buddhas and Bodhisattvas in the World of Buddha mind (智正覺世間), visually shows the world of Dependent Co-arising of the Perfect Harmony of Six Characteristics of Dharmas (六相圓融)and the Middle way of the virtuous skills described in the beopseong-gye. In addition, the message of the beopseong-gye,explaining the ekayāna Dharmadhātu by words, asserts that the ekayāna Dharmadhātu is the realm that the Dharma-nature embraces the True Nature even though the Dharma-nature of the Enlightened Reality (證分) and the True Nature of the Dependent Co-arising (緣起分) are phenomenally identical so that cannot be divided. It is repeatedly confirmed by the relationships of Dharma-nature and the Ten Buddhas to the Buddha transmitted from the Past (舊來佛)respectively, in addi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n Buddhas and the Ocean Seal Samādhi. It is a skillful means leading to the Dharma-nature that Uisang draws our attention to the reality of Dependent Co-arising by using Ten Coins Numeric Exposition (數十錢法), which is an Uisang's unique way of demonstrating by using ten coins that the Ten Gates are mutually and immediately identical with and interpenetrating into others. In conclusion, Uisang's perspective on the Dharmadhātu shown above clearly points out that the Hwa-eom Dharmadhātu is the world of Buddha Adornment and the Bodhisattva practice of Hwa-eom is in fact the adornment of the Buddha world. 본고는 신라 義湘(625-702)의 대표적인 저술인 『一乘法界圖』가 법성에 중점을 두어 화엄일승 법계를 그려낸 것임을 밝히고자 한 것이다. 의상의 법성은 法性性起이니, 법성과 眞性이 상즉하여 둘이 아니면서도법성성기가 진성연기를 함께 포섭한 세계가 법계임을 천명한 것이다. 의상이 법계를 그려 보인 「반시」는 融三世間佛의 성기세계이다. 그리고智正覺世間의 불보살 경계를 보인 「법계도인」이 육상원융의 연기세계를 의미하는 것이면서 그 또한 법성가의 德用인 中道를 드러내기 위한 것이다. 또한 「반시」에서 일승법계를 언설로 표현한 「법성게」의 구성 내용을 통해서도,증분의 법성과 연기분의 진성이 相卽하여 둘이 아니지만 법성이 진성을 함께 포섭한 세계가 일승법계임을 알 수 있게 한다. 그것은 十佛과 해인삼매와의 관련뿐만 아니라 십불과 舊來佛, 법성과 구래불의 관계 등에도 여실히 드러나고 있다. 동전 열 개를 사용하여 十錢이 十門을 구족하여 상즉 상입함을 보인 의상특유의 數十錢法으로 연기실상다라니를 관찰하게 한 것 역시 법성성기로 인도하기 위한 방편인 것이다. 이상과 같은 의상의 법계관은 화엄법계가 佛華嚴의 세계이면서 화엄보살행이 바로 불세계의 장엄임을 다시 한 번 분명히 보여준 것이라고 하겠다.

      • KCI등재

        ……번뇌를 끊음이라는 번뇌를 끊음 없다는…… ‒ 의상화엄의 단혹설 ‒

        박보람 한국불교학회 2015 韓國佛敎學 Vol.76 No.-

        번뇌를 끊어 해탈을 이룬다는 불교 공통의 단혹설과 법계의 모든 법이 다예로부터 부처님이라는 의상화엄의 舊來成佛說은 모순되는 것처럼 보인다. 의상화엄은 이러한 상충을 의상 특유의 舊來斷說로 변용하여 불교 전통의 단혹설을 발전적으로 계승하고 있다. 그러나 의상화엄의 단혹설 자체도 ‘번뇌를 끊음’과 ‘번뇌가 본래 없음’ 등의 서로 모순되는 부분을 함께 포함하고 있다. 종래의 연구들은 내용을 떠나어느 쪽을 선택하든 한 쪽을 취하고 다른 한 쪽을 버린다는 점, 그리고 의상화엄의 단혹설을 고정된 자성을 지닌 어떤 것으로 파악한다는 점에서 동일한입장이라고 볼 수 있다. 이 글은 이처럼 상반되기도 하는 각 부분들[別相]을 서로 연결했을 때 각구절을 원융하게 포섭하는 모습[總相]이 단혹설에 대한 의상의 본뜻이라고 주장한다. 왜냐하면 의상에게 단혹은 단편적으로 이것이다라고 정의할 수 있는것이 아니라 해인삼매에 일시에 드러나 법계의 모든 법을 포섭하고 있는 법계의 법으로서, 중중무진하는 연기의 연쇄 속에서 파악될 때에만 의미를 가지기 때문이다. 글에서는 이러한 의미를 의상의 「법계도인」을 번뇌 버전으로 모방한 「一乘煩惱圖」를 그려 나타내 보였다. It seems to be contradictory between the Buddhist theory on severing of delusion and the Ŭisang’s Hwaeom doctrine on achieving Buddhahood from time long past(舊來成佛), which means that all dharmas in the dharmadhatu are buddhas as they are. By his unique theory of severing of delusion from time long past(舊來斷), Ŭisang manages to reconcile this conflict and uphold the buddhist traditional theory on severing of delusion in his own way. His theory on delusion, however, also includes inconsistent elements in itself, such as ‘severing of delusion’ or ‘no delusion by nature.’ Former researches on this are basically same from the perspective that they take one position by rejecting the other one whatever they accept, which seems to be contradictory to Ŭisang’s intention when considering his theory on ‘non-abiding’(無住) and the Seal-diagram symbolizing the dharma realm (『一乘法界圖』) because they consider his theory on delusion as something with fixed nature. This article explains that Ŭisang’s intention on severing of delusion maybe reside in the characterstic of the whole(總相) perfectly interfusing these inconsistent-looking elements(別相). Severing of delusion cannot be defined as something with fixed nature whatever it is but has meaning only when it is located in the limitless chain of dependent arising and recognized as a dharma including all dharmas of the dharmadhatu happened in the ocean seal samādhi(海印三昧) at a time. In this article, this explanation is illustrated by the Seal-diagram symbolizing delusion of the One vehicle(一乘煩惱圖) imitating Ŭisang’s the Seal-diagram symbolizing the dharma realm of the One vehicle(『一乘法界圖』).

      • KCI등재후보

        신라 의상(義湘)이 일본 화엄학(華嚴學)에 미친 영향

        장진영 ( Jin Young Jang ) 한국불교사연구소 2016 한국불교사연구 Vol.9 No.-

        본고에서는 신라 의상(義相, 625~702)의 화엄이 일본의 화엄학에 미친 영향에 대해 기존의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시대별 순서에 따라 개괄하였다. 나라 시대에 신라 화엄의 최초 일본 전래와 관련하여 큰 역할을 담당했던 것이 바로 심상(審祥)이다. 심상이 신라에서 수학했다면, 의상에 대해 모르지는 않았겠지만, 실제 심상에 의해 의상의 화엄이 전래되었다거나 일본 화엄학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는 직접적인 근거를 찾아보기는 어려운 형편이다. 헤이안 시대에 신라에서 활동했던 견등(見登)에 의해 『향상문답』이 소개됨으로써 의상의 화엄이 우회적으로 일본 화엄학계에 전하게 되었다. 이후 법장(法藏)의 문헌으로 수용되었던 이 『문답』의 이질적인 사상들도 차차 그 안에 담긴 다른 사상들과 함께 긍정적으로 받아들여졌다. 하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법장의 입장과 조화시키는 차원의 수용된 것으로 이해된다. 가마쿠라 시대 이후를 보면, 동대사계에서는 중국 화엄의 영향이 더욱 중시되는 모습이지만, 법장의 기존 입장에 맞추어 이해되었던 『문답』의 경우는 차차 『문답』의 문장 그대로를 긍정하는 입장으로까지 발전하게 되었다. 한편 고산사계에서는 신라 의상을 직접 전면에 내세우는데, 특히 명혜(明惠)는 『화엄조사회전』를 통해 의상을 중시함으로써 신라 화엄의 실천적 경향을 부각시키고 있어 주목된다. 다만 이상의 논의는 여전히 동대사계를 중심으로 형성된 일본의 주류 화엄학계를 위주로 한 것이므로, 향후 나라 시대 이후 동대사계와 긴장관계를 유지했던 약사사계나 가마쿠라 이후 고산사계 등에 대한 면밀한 연구가 이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into the influence of Uisang’s (義相) Hwaeom in Silla on the Japanese Hwaeom (J. Kegon) school, through existing studies by each period. Firstly in Nara period of Japan, Simsang (審祥) played an important role to introduce the thought of Silla Hwaeom in Japan. I guess he should know Uisang’s Hwaeom because he studied in Silla. But until now we can not find direct evidence that Uisang’s Hwaeom influenced on Japanese Hwaeom school. Secondly in the Heian period, Gyeondeung (見登) active in Silla introduced Uisang’s Hwaeom to Japanese Hwaeom school through text recording Uisang’s Hwaeom lectures, named Hyangsang-Mundap or Hwaeomgyeong-Mundap. And this Mundap recognized as Fazang’s (法藏) work so that the Uisang’s thought included in this text gradually accepted in Japanese Hwaeom School. In spite of that, the contents of Mundap was only understood in harmony with the viewpoint of Fazang. Finally since Kamakura period the people in Hwaeom school of Todai-ji lineage placed emphasis on Chinese Hwaeom and positively understood Mundap in itself. Meanwhile Myoe (明惠) at Kozan-ji Temple considered very importantly Uisang through Hwaeom-Yeongi picture scroll. Especially he emphasized practical tendency of Uisang’s Hwaeom. Until now most researches focused on the mainstream of Japanese Hwaeom formed around Todai-ji lineage, but it is necessary to study Hwaeom of Yakusi-ji and Kozan-ji lineage in strained relation with Todaiji lineage.

      • KCI우수등재

        의상의 화엄사상과 통일기 신라사회

        정병삼(Jung Byung-Sam),해주, 정순일 불교학연구회 2000 불교학연구 Vol.1 No.-

          Uisang, the founder of Hwaom School of Silla, spent his life leading the activities of a religious order and strictly pure self-discipline during the changing times in Unified Silla society.<BR>  Uisang"s Hwaom thought that appears in il-seung-bob-gye-do(一乘法界圖) succeeded the new thought structure that Zhiyan had systemized. Uisang arranged the heart of Hwaom thought into symbolic diagrams in half-poem formats. Among Uisang"s il-seung-bob-gye-do thought, the core is the text of dependent origination of dharmadhatu(法界緣起) of One Vehicle Round Doctrine(一乘圓敎), which is classified into 4 categories which are composed of the mutual penetration and the mutual identity(相入相卽) between the One and the All etc. Each individual holds an element of the All. It is because they exist upon the foundations of conditioned origination, and therefore the One and the All embrace each other with no obstacles in between. In a world that is formed upon conditioned origination, there cannot be a fixed individual with an independent identity. All individual objects exist according to a mutual organic relationship.<BR>  There were many active disciples who were of commoner origin among Uisang"s pupils like Jinjong and Jitong, It is meaningful to see that pupils of commoner origin could play a central role in a central religious order of a time when strict social classes were emphasized.<BR>  Uisang succeeded in settling Avalokitesvara living in this world belief as the appropriate religion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needs of the Silla people. And Uisang opened Busok-sa(浮石寺), the main temple of Hwaom School, with Amita belief. Uisang established Amita belief as the central religion of Hwaom School. The propagation of the Buddhist land religion of the belief of Avalokitesvara living in this world and reality-based Suhkavati belief that Uisang had propelled, contributed to the new social stability that the Silla society had been yearning for.<BR>  The role of Buddhism in the "jungdae" period Silla was to form a composite background with politics, which were heading for Confucian ideas. And Uisang formed an important axis of the sovereign powers along with the institutional role of Confucianism, through establishing a high degree of philosophy and uniting the consciousness of the people.

      • KCI등재

        불국사 다보탑에 표현된 일승법계도와 무영탑의 상징성에 관한 연구

        권황수(Kwon, Hwang-Su) 대한건축학회 2014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0 No.7

        Bulguksa Dabot’ap was not built symbolize of the Many-treasured Buddha"s anytime prove but built symbolizes of the Sakyamuni Buddha"s anytime sermons and his preaching four place in the sky of the Avatamska Sutra that represent muyoungt"ap is meant to Sakyamuni Buddha"s Mah?vairocana Dharmak?ya preached equality to the light illuminates without shadows. And, the pagoda"s overall appearance of the visualization and manufacture of stone blocks by the grid was also master ?isang(625-702)"s ils?ng-p?pkyedo(Diagram of the Avata?saka One Vehicle Dharmadh?tu). Looking at each floor of the symbolism, the first floor is symbolize the ils?ng p?pkye of Hwa?m doctrine and second-fourth each floors represents three world of the Buddhists law. Other, the each floors of the symbolizes Bodhisattva(self-discipline) vehicle and each floor plans of the symbolizes Dharmacakra shape. So, the pagoda is to be based on the symbolize of master ?isang"s ils?ng-p?pkyedo and his Hwa?m philosophy or Hwa?m doctrine. This pogada is the symbol of largely due to ?isang"s efforts, Hwa?m philosophy came to dominate the mid-eighth century Silla Buddhist scholastic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