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적 및 발달장애학생의 생태학적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생활영역별 일상생활기술의 연계 및 통합 체계 구성

        백수진(Baek, Su-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

        특수교육은 궁극적으로 장애학생의 잠재능력을 최대한 개발하여 현재와 미래의 다양한 생태학적 환경에서 독립적인 삶을 추구한다. 이를 위한 생태학적 교육과정은 가정, 학교, 지역사회, 직장 등 다양한 생태학적 생활환경에서 필요한 일상생활기술을 지속적이고, 연계적이며, 통합적으로 가르쳐 실제 삶으로의 일반화를 강조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생태학적 생활영역별 일상생활기술을 다양한 생활영역과 연계 및 통합하여 가르칠 수 있는 체계를 구성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생활영역별 일상생활기술을 연계 및 통합할 수 있는 핵심키워드 333개를 추출하였고, 이를 중심으로 생활영역별 일상생활기술 67개를 연계하고 통합하여 가르칠 수 있는 체계를 구성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생활영역별 일상생활기술을 연계적이고 통합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생태학적 교육과정을 구체적으로 개발하는 데 핵심체계로 적용될 것이다. 또한 생태학적 환경의 생활영역 일상생활기술을 주제로 하는 구체적인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도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Special education ultimately aims to improve independent live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not only in the present school settings but also in future adult life environments. The ecological curriculum becomes an indispensable part of special education to teach students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daily living skills continuously, connectively and integrally in various ecological living environments, such as homes, schools, communities and work pla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struct a connective and integrated structure of life skills based on the ecological environments for the development of ecological education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refore 333 important keywords (that is, essential components of the ecological education curriculum) were extracted that can connect and integrate daily living skills one another according to various living areas. Based on this keywords, a connective and integrated structure of 67 daily living skills was organized.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the basis of the development of ecological curriculum that can guide the daily living skills by living areas in a connected and integrated way. In addition, it can be used in developing teaching-learning programs of life skill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increase their independent living abilities in various living areas.

      • KCI등재

        일상활동기술 교수프로그램이 발달지체유아의 일상활동기술과 자발화 향상에 미치는 효과

        서은정 ( Eun Jung Seo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06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2 No.1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면밀히 검토하여 그 결과를 반영하여 자연발생적인 상황에서 발달지체유아에게 전반적인 교육활동에 필요한 총체적인 개별화 프로그램들로 구성된 매뉴얼을 제공하여 손 씻기, 소변누기와 식사하기 등의 독립적인 일상활동기술과 그 일상활동기술 수행시 필요한 신체개념과 일상활동 어휘의 자발화를 향상시켜 학교와 지역사회로의 성공적인 완전통합의 가능성을 극대화시키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통합환경에서 일상활동기술 교수프로그램이 발달지체유아의 일상활동기술과 신체개념과 일상용어와 관련된 어휘의 자발화 향상에 미치는 효과와 효율성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중재도구는 크게 사정, 교수와 평가의 3단계로 구분되며, 사정양식과 교수계획 등이 포함된 사정과 교수자료의 완벽한 풀 패키지 매뉴얼로 구성된 일상활동기술 교수프로그램이다.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평가하기 위해 발달지체유아를 대상으로 한 일상활동행동과 언어행동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multiple probe design)를 사용한 결과, 일상활동기술 교수프로그램이 발달지체유아의 일상활동기술과 목표 일상활동기술 수행시 필요한 신체개념과 일상활동관련 어휘의 자발화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The individualized daily activity skill program used in the study has been developed to maximize the accessibility to regular education setting for the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elay, and help them identify contextually appropriate verbal behaviors and daily living skills in an inclusive setting. To assess the effects of the individualized daily activity skill program, the study suggested three purposes. First, it was to see if the individualized daily living skill program could improve their independent performances of daily activity skills in the inclusive setting. Second, it was to see if the program could help increase the spontaneous verbalization of target words related to their body concepts and daily activity words while they were performing the daily activity skills in the inclusive setting. Third, it was to see if their increased independent performance levels of daily activity skills by the program could maintain in the inclusive setting. Two parts of the individualized daily activity skill program, such as the language training and the daily living skill training, were conducted simultaneously in the study. The students were simultaneously trained to verbalize the target words that were used in the instruction of the daily living skills. Then, they were instructed to perform each step of daily living skills in the inclusive setting. In the other word, the students were instructed to verbalize "hand", "elbow", "soap", and "towel" while training washing hands, verbalize "right hand", "mouth" "spoon", and "fork" while training having a meal, and verbalize "finger", "thigh" "pants", and "panty" while training urinating. For example, the students simultaneously verbalized the words "right hand", "mouth" "spoon", and "fork" as performing the steps of having a lunch in a school cafeteria.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ed the followings. First, the individualized daily living skill program improved the independent performances of daily living skills for the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elay in the inclusive setting. Second, the individualized daily living skill program increased their spontaneous verbalization of target words related to their body concepts and daily living words. Their increased independent performance levels of daily activity skills by the program maintained in the inclusive setting.

      • KCI등재

        지적 및 발달장애학생의 가정생활기술에 대한 국내 실험연구 고찰

        김진호 ( Jin Ho Kim ),이성용 ( Seong Yong Yi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3 지적장애연구 Vol.15 No.3

        가정생활기술은 지적 및 발달장애학생이 독립적으로 생활하는데 가장 필요한 기술 중의 하나이다. 그런데 지적 및 발달장애 분야에서 지금까지 직업이나 여가생활 등은 많이 다루어지고 있지만, 그들의 거주생활능력을 높이기 위한 가정생활기술에 대한 연구와 교육은 더욱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이루어진 가정생활기술에 대한 실험연구를 조사하여 분석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으며, 이를 통하여 가정생활기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또한 문헌분석연구에서 잘 다루어지지 않는 선행실험연구들의 중재 효과성과 질적 지표에 대한 것도 같이 분석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본 연구는 최근 국내에서 발표된 가정생활기술 관련 논문을 조사하고, 분석논문 선정기준에 따라 총 12편의 실험논문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선행연구 분석은 10개의 분석변인(연구대상, 실험환경, 실험설계 및 절차, 중재프로그램, 목표기술, 측정도구 및 방법, 신뢰도, 연구결과, 중재 효과성, 질적 지표)에 따라 분석되었다. 분석결과를 보면 중재는 인지행동훈련프로그램(자기교수, 자기관리, 자기점검)을 많이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반적으로 중재와 유지, 일반화의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 분석결과는 10개의 분석변인에 따라 제시하였으며, 그러한 결과는 지적 및 발달장애학생의 가정생활기술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The domestic skill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skills for independent living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research literature of domestic skill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o provide information and suggestions on domestic skills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es at schools. A systematic search of the literature from 1998 to 2012 revealed 12 experimental studies published in major special education journals within the South Korea. This study analyzed the 12 selected studies in terms of 10 analytical variables: participants, research settings, experimental design, training program and strategies, target skills, method of measurement, reliability, results(ie. effects), ES and PND, qualitative indicators. In particular, most of the interventions were used cognitive training programs(ie. self-instruction, self-management, self-monitoring). Intervention (ES > .80, median PND = 98%), maintenance (median PND = 100%) and generalization effects (median PND = 100%) revealed large effec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10 analytic variables.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nd recommendations for practice and future research on domestic skills were presented.

      • KCI등재

        지적장애학생들의 자립과 성인생활에 필요한 기능적 생활기술 고찰

        김진호 ( Jin Ho Kim ),김영준 ( Young Jun Kim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2 지적장애연구 Vol.14 No.1

        기능적 생활기술이란 일상생활 속에서 장애학생이 수행하지 못한다면 다른 사람이 반드시 해주어야 하는 필수적인 삶의 기술들을 의미하는데, 지적장애학생에게 이러한 기능적 생활기술을 교육하여 그들의 자립생활과 성인생활 적응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은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특수교육에 있어서 실질적인 결과요인으로써 중요하게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다양한 선행연구들을 대상으로 하여 지적장애학생들의 자립생활과 성인생활 적응에 필요한 기능적 생활기술을 고찰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먼저 지적장애학생들의 기능적 생활기술을 다룬 국내외 선행연구를 조사·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지적장애학생들이 자립생활과 성인생활에서 성공적인 적응을 하는데 필요한 핵심적인 기능적 생활기술을 일상 및 주거생활영역, 직업생활영역, 사회 및 여가생활영역에 따라서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술연구에서뿐만 아니라 일선 특수교육현장에서 지적장애학생들의 자립생활과 성인생활을 준비시키기 위한 기능적 생활중심 교육을 하는데 있어서도 필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re is a growing emphasis that special education for intellectual disabilities should focus on improving their academic and functional life skills to facilitate their transition from school to adulthood. In particular, knowledge acquisition and skill performance of life skills have been suggested in the research literature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successful independent live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rationale and research literature on functional life skill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provide necessary functional life skills which were essential to successful independent and adult live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 systematic search of the literature revealed 47 studies. The selected studies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 three life-skills domains such as residential and daily living domain, employment domain, and social and community living domain. Specific functional life skills were presented according to the three domains and 30 sub-domains in an attempt to suggest the best life-skills education practice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nd recommendation for educational practice and future research on life-skills approach were suggested.

      • KCI등재

        뇌졸중 환자에서 기초지능과 관리지능이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

        윤정애,이향숙,김홍근,권혁철 대한작업치료학회 2012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0 No.2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에서 인지기능의 정도를 알고, 기초지능 및 관리지능의 차이와 뇌 병소 부위에 따른 인지기능을 살펴보았으며, 기초지능과 관리지능이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은 병원에서 뇌졸중 진단 후 입원중인 108명이다. 인지기능의 측정은 노인용 인지검사(Cognitive Scale for Older Adults; CSOA)를 사용하였고, 일상생활활동의 평가는 운동처리기술평가(Assessment of Motor and Process Skills; AMPS)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인지기능의 요약점수인 기초지능과 관리지능을 비교 분석하였고, 전전두엽과 기저핵의 병소 유무에 따라서 기초지능 및 관리지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기초지능과 관리지능 중 어느 인지요인이 일상생활활동의 지표인 운동 및 처리기술에 더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결과 : 뇌졸중 환자의 80.5%가 인지적 손상을 보였고, 관리지능이 기초지능 보다 현저한 손상을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4가지 병소부위에 따른 기초지능 및 관리지능에서 병소군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 중 전전두엽과 기저핵에 병소를 지닌 군과 두 곳 모두 병소를 갖지 않은 군의 관리지능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일상생활활동에서 운동기술에 영향을 주는 인지기능은 기초지능과 관리지능으로 나타났으며, 처리기술에서 는 관리지능만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인지손상에서 관리지능의 중요성을 인식하였으며, 뇌졸중 환자의 재활평가 및 중재계획에 있어 관리지능이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지적장애 성인을 위한 일상생활 기술 중재 관련 국내외 단일대상연구의 동향 및 질적지표에 의한 분석

        강선영,김유리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23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4 No.3

        [목적] 본 연구는 지적장애 성인을 대상으로 일상생활 기술을 교수한 국내외 단일대상연구를 선정하여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CEC의 질적지표를 기준으로 논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지적장애 성인을 위한 일상생활 기술 중재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성인기 지적장애인을 위한 교육 지원에 통찰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분석 대상 논문 선정기준에 따라 2013년부터 2023년까지 발표된 국내외 학술지 논문 17편을 선정하였다. 출판 연도, 연구 참여자, 독립변인, 종속변인, 실험설계 및 절차를 틀로 삼아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으며 CEC에서 제시한 질적지표의 8개 영역, 22개 지표를 근거로 각 논문의 질적 측면을 평가하였다. [결과] 지적장애 성인에게 일상생활 기술을 교수한 단일대상연구의 연구 참여자 연령은 대부분(70.6%) 29세 미만으로 나타났다. 연구에서 활용된 독립변인의 유형은 촉진 전략, 강화 전략, 자기관리 중재, 보조공학 활용 중재로 분류되었으며 그 중 시각적 촉진, 비디오 모델링 등의 촉진 전략이 가장 빈번하게 활용되었다. 종속변인에 해당하는 일상생활 기술의 하위 기술로는 건강 관리, 요리 및 식사, 길 찾기, 청소 기술 등이 제시되었다. 과반수의 단일대상연구는 대상자간 중다(간헐) 기초선 설계를 적용하여 연구의 결과를 제시하였으며 유지와 일반화를 측정한 연구는 소수의 국내 연구에 불과하였다. 중재를 제공한 환경에 대한 분석 결과 학교 등의 교육기관 또는 가정 등의 거주시설에서 일상생활 교수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CEC 질적지표에 의한 분석 결과 모든 지표를 충족한 연구는 없었으며 평균 80.6%의 충족률을 보였다. [결론] 지적장애 성인 대상의 일상생활 기술 중재 연구는 중·노년기 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확대될 필요가 있으며, 특히 평생교육 차원에서의 교육적 지원이 양적 및 질적으로 확대될 필요가 있다. 또한 중재 효과의 유지와 일반화까지 입증하거나, 여러 중재 간의 상대적인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교대중재설계를 도입하는 등 연구 설계 차원에서의 개선이 요구된다. 더불어 지적장애 성인을 위한 일상생활 기술 중재의 최선의 실제를 판별하기 위해서는 더욱 체계적으로 계획되고 수행된 단일대상연구가 필요하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independent living skills interventions for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provide insights into educational support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adulthood. [Method] According to the inclusion criteria, 17 articles were selected. Research trends were analyzed based on the year of publication, research participants, independent variables, dependent variables, study design and procedures, and the qualitative aspects of each article were evaluated based on quality indicators proposed by the CEC. [Results] The majority(70.6%) of participants in the studies were under the age of 29. The types of independent variables used in the studies were categorized as prompting strategies, reinforcement strategies, self-management interventions, and assistive technology interventions. For the dependent variable, sub-skills of independent living skills included healthcare, cooking, wayfinding, and cleaning. The majority of single-subject studies presented findings using a multiple baseline design and analyses of the intervention settings showed that the interventions were delivered in educational or residential settings. When analyzed in terms of CEC qualitative indicators, no study met all indicators, with an average of 80.6%. [Conclusion] Research on independent living skills interventions for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needs to be expanded to include middle-aged and older adults, and educational support in the context of lifelong education needs to be expanded in quantity and quality. Furthermore, more well-designed and well-executed single-subject studies are needed to determine the best practice in independent living skills interventions for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KCI등재

        자기점검 중재가 자폐성장애 초등학생의 일상생활 기술 수행에 미치는 효과

        김종일,정선화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19 지적장애연구 Vol.2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self-monitoring intervention on the independent performance of daily living skills of a fourth grade student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who attended a special school. The self-monitoring intervention was implemented to increase the student’s independent performance while eating in the school cafeteria, brushing teeth, and washing hands. A multiple baseline across behaviors design was us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interven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student demonstrated increases in all three behaviors in comparison to baseline. The effects were maintained after removing the intervention. In addition, the increases in the same behaviors were observed in his home during the routine. Social validity assessment data indicated that the intervention goal was meaningful, and the procedure was feasible, appropriate, and effective. 이 연구는 자기점검 중재가 자폐성장애 학생의 일상생활 기술 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기본적인 일상생활 기술은 습득하였으나 실제 상황에서 독립적인 수행에 어려움이 있는 자폐성장애 초등학생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 참여 학생의 식사하기, 양치하기, 손 씻기 기술의 수행 증진을 위해 자기점검 중재를 사용하였고, 행동 간 중다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여 중재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참여 학생은 기초선 조건에서 낮은 수준의 일상생활 기술 수행을 보였으나, 자기점검 중재를 실시한 후 독립적인 일상생활 기술의 수행이 향상되었다. 또한 중재를 제거한 후에도 그 효과가 유지되었고, 중재를 실시하지 않은 가정에서도 독립적인 일상생활 기술 수행의 향상이 관찰되었다. 또한 사회적 타당도 평가 결과 중재의 목적, 절차, 효과 면에서 모두 긍정적으로 평가되었다.

      • KCI등재

        시각장애학생의 일상생활 기술 특성 분석

        이경림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17 시각장애연구 Vol.33 No.1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performance level of independent living skills of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and blindness. The independent living skills were measured by rating scales in 4 subcategories of the skills. The subjects for the study were 284 students at school for the blind. Their teachers were asked to rate total 377 items of 4 subcategories (helath-safety, clothing, eating-cooking, household) with 6-Likert scal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SPSS 22.0 to test differences from background for each school grade, such as sex, onset of visual impairment, visual function, presence of other disabilities, and type of living. The study result showed that in both the health-safety subcategory and the household subcategory, the adventitious group scored higher than the congenital group(onset of visual impairment) and the low vision group scored higher than the totally blind(visual function). The differences turned ou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elementary school group and the high school group. In the clothing subcategory and the eating-cooking subcategory, the adventitious group scored higher than the congenital group(onset of visual impairment) and the low vision group scored higher than the totally blind(visual function). The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elementary school group, the middle school group, and the high school group. The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scored higher than the students with other disabilities with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the school groups of all subcategories. The result implied that teaching independent living skills to students should depend on their background information even though they are at school for the blind. Each skill item should be carefully designed and taught although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sex and type of living. Finally, the study suggested a further study consider a level of the difficulty of the skills.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각장애학생의 일상생활 기술 평정척도를 적용하여. 하위영역별 수행수준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시각장애학교에 재학중인 284명이었다. 연구도구는 일상생활을 건강안전생활, 의생활, 식생활, 가정생활의 4개 하위 영역으로 나뉜 377개 문항을 교사가 6점척도로 평정하는 설문지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2.0 프로그램으로 학교급마다 시각장애학생의 성별, 시각장애손상시기, 시각장애손상정도, 중복장애유무, 주거형태에 따른 차이를 검증하였다. 일상생활기술의 하위영역별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건강안전 영역과 가정생활영역에서, 초등과 고등 학교급에서 시각손상시기의 후천성이 선천성보다 유의미하게 높았고, 시각손상정도의 저시력이 전맹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의생활 영역과 식생활 영역에서는 초중고에서 시각손상시기의 후천성이 선천성보다, 시각손상정도의 저시력이 전맹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모든 영역에서 단순시각장애학생이 중복시각장애 학생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시각장애학교에 재학중인 시각장애학생이라 하더라도 배경정보에 따라 일상생활 기술 지도가 달리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성별이나 거주형태에서 일관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문항별로 세심한 지도가 이루어져야겠다. 또한 문항의 난이도를 고려하기 위하여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 일상생활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운동기술, 처리기술, 균형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조승현 ( Cho Seung-hyun ),양영애 ( Yang Young-ae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2016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Vol.8 No.1

        연구목적 이 연구는 일상생활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운동기술, 처리기술, 균형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연구방법 발병 6개월 미만의 아급성기 뇌졸중 환자 2명을 대상으로 주 5회, 1회 30분간, 총 4주간 일상생활훈련을 포함한 작업치료를 시행한다. 연구결과 일상생활훈련을 포함한 작업치료를 받은 대상자는 운동기술, 처리기술, 균형자신감에서 증진을 보였다 결론 일상생활훈련은 뇌졸중 환자의 운동기술, 처리기술, 균형자신감을 향상한다. Objective : T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ctivity daily living training on motor skill, process skill and balance confidence in stroke patients. Methods : Two subacute stroke patients were administered activity daily living training. The measurement was Assessment of Motor and Process Skills(AMPS) and Korean version of Activities- Specific Balance Confidence Scale(K-ABC). Results : The training is effective in motor skill, process skill and balance confidence. Conclusion : The finding in the study showed activity daily living training was effected on Motor Skill, Process Skill and Balance Confidence in stroke patients.

      • KCI등재

        비디오 모델링과 최소-최대 촉진 중재가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일상생활기술 수행에 미치는 효과

        오윤미 ( Oh Yunmi ),정선화 ( Jung Sunhwa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20 지적장애연구 Vol.22 No.3

        이 연구는 비디오 모델링과 최소-최대 촉진 중재가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일상생활 기술의 독립적인 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일상생활 기술 수행에 어려움을 보이고, 성인의 촉진에 의존하는 지적장애 학생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 참여 학생의 면도하기, 청소하기, 양치하기 기술의 독립적인 수행을 향상시키기 위해 비디오 모델링과 함께 최소-최대촉진 중재를 사용하였고, 행동간 중다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여 그 효과를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참여 학생의 일상생활 기술의 독립적인 수행이 향상되었고, 중재가 제거된 후에도 향상된 독립적인 수행이 유지되었다. 또한 학생은 중재가 실시되지 않은 가정에서도 일상생활 기술의 독립적인 수행을 보여 일반화 효과가 관찰되었다. 실험을 종료한 후 연구 참여 학생, 학생의 부모, 교사가 평가한 사회적 타당도 평가 결과, 중재의 목적, 절차의 적합성, 중재효과 면에서 모두 긍정적인 평가 결과를 나타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video modeling with least-to-most prompting on the independent performance of the daily living skills of a stud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 high school stud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He is enrolled in a special school, has difficulties with independently performing daily living skills, and is dependent on adult’s prompts. The video modeling with a least-to-most prompting intervention was implemented to increase the student’s independent performance with shaving, vacuuming, and bushing his teeth. A multiple baseline across behaviors design was us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intervention. Results indicated that the student demonstrated increases in all three behaviors in comparison to the baseline. The effects were maintained after removing the intervention. In addition, the increases in the same behaviors were observed in his home in which the intervention had not been implemented. The student, his mother, and his teacher were asked to assess the social validity on the intervention goal, the appropriateness of the intervention, and the effects of the intervention and they responded very positively in all three aspe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