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근세일본의 목민사상과 사회변혁

        이희복(李喜馥) 연세대학교 강진다산실학연구원 2014 다산과현대 Vol.7 No.-

        본고는 근세일본의 목민사상을 소개하는 글이다. 근세일본이란에도시대(1603~1867)를 포함한 근대 이전의 300년간을 지칭한다. 목민이란 백성을 보살핀다는 의미이며, 목민사상이란 목민을 실천하는 군주의 정치론에서 유래한다. 즉 어진 군주가 백성을 편안하게 보살피어 온 나라가 평화로운 세상을 구가한다는 이상적인 정치사상이다. 근세일본의 목민사상은 외래사상이다. 임진왜란 때에 조선에서 반입된 밀양본 『목민충고』와 근세후기 중국에서 전래된 중국본 『목민심감』은 외국에서 수용된 대표적인 목민서물이다. 근세 일본 사람들은 외래사상인 목민사상을 활용하여 사회체제를 안정시켰다. 몇 번이나 되풀이된 천변지이와 자연재해를 극복하는데 목민사상은 유용했다. 특히 자연재해로 인한 대기근을 극복하기 위해 근세일본인들은 합심했다. 군주는 자식을 양육하듯이 백성을 보살폈으며, 그런 군주의 어진 정치에 부응하둣이 백성들은 난국을 헤쳐 나갔다. 목민사상의 활용은 주로 지방번국의 번정개혁에서 이루어졌다. 근세일본은 봉건제국가였다. 그것은 중앙의 막부와 지방의 번국이 존재하는 중층국가였다. 중층국가에서 군주는 일본국왕인 쇼군과 번국제후인 다이묘가 중층으로 존재한다. 그 중층적 국가체제를 일본역사에선 막번체제라고 부른다. 목민사상을 활용한 번정개혁을 실시한 것은 번국제후인 다이묘이며, 번정개혁에 참여한 민중은 지방번국의 영민이었다. 목민사상은 17세기에 수용되어 18세기에 실천되었으며 19세기에 변용되었다. 변용기인 1868년 근세일본의 막번체제는 해체했다. 그리고 새로운 통치주체로 전통적 왕조의 텐노가 재차 부상했다. 이른바 최고통치자가 교대하는 일본사회의 변혁이다. 그것을『목민의 사상』에서 확인했다.

      • KCI등재

        일본인의 의식구조 - 근세서민의 생활ㆍ직업윤리를 중심으로 -

        김필동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7 비교일본학 Vol.39 No.-

        일본인의 생활·직업윤리는 국내외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표적인 일본인의 사유양식이자 행동양식이고 그것은 다름 아닌 역사적 문화적 토양위에 구축된 일본적 가치이다. 일본 인들이 근면한 노동관을 바탕으로 사회의 공익성을 추구하는 가치관은 근세시대 상인의 법도나 농촌사회의 재건을 위해 분투한 실천적 사상가들의 사상이 이를 변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역사·문화적 관점에서 근·현이전에 형성된 일본인의 생활윤리와 직업윤리를 주목하여 그것이 구체적으로 형성된 근세시대를 중심으로 일본인의 의식구조가 형성된 역사문화적 기반을 검증해보고자 한다. 이 과정에서 필자가 주목하고 싶은 것은 근세시대에 구체화되어 실제 서민생활에 투영된 일본적 가치로서 일본인의 사유·행동양식의 특징, 이른바 생활윤리⇄직업윤리의 실태이고, 이를 위해 근세서민의 윤리의식 구축과 확산에 커다란 공헌을 한 민간학자(실천적 사상가)들의 사상을 중점적으로 분석했다. Japan accomplished rapid economic growth after the end of the World War II. The global community paid attention by Japanese culture as a cause of the economic growth. The Japanese life ethic and occupation ethic received attention in particular in that. This is because it was superior to other countries. However it is cultural assets built through the history and Japanese-style value. The Japanese works with diligent work ethic for society. The history begins in the early modern times, and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in it. In the early modern times in Japan and was diligent, and there were many thinkers who practiced value such as economy, the patience. They performed an electric wave of the thought to people positively. The aim of this paper is Japanese ethic awareness from a cultural point of view in the early modern times. And I made clear that ethic awareness was inherited as a Japanese traditional occupation ethic.

      • 선행연구로 본 일본유교

        이희복(Lee Hee-bok)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4 江原人文論叢 Vol.12 No.-

        본고는 유교란 무엇인가라는 문제의식을 근세일본유교사에서 확인해본 것이다. 17세기 변동하는 동아시아의 국제정세를 배경으로 수용되고 발흥한 일본유학은 이후 다양한 전개양상을 보이면서 발전하여 근대이후의 일본사람들에게까지 영향을 끼치게 된다. 주지하다시피 유교란 중국문명의 산물이다. 학문과 종교이며, 동시에 생활규범인 유교는 중국을 비롯한 동아시아인들의 역사와 더불어 전개되어왔다. 시대와 지역과 사람들에 의해서 다양하게 전개된 유학역사는 당연한 결과지만 거기에 상응하는 차이를 보이면서 발전해왔다. 본고의 일본유교라는 개념은 중국에서 발생한 유교문화를 수용한 일본인들이 일본사회의 현실에 맞게 발전시킨 형태이며, 거기에 담겨있는 특정을 의미하기도 한다. 주자학을 비롯한 신유학을 적극적으로 수용한 일본인들이 신유학의 핵심인 철학사상(『중용』)과 정치사장(『대학』)을 부정하고, 공맹시대의 원시유학에 회귀할 것을 주장한 근세일본유학자들이 주창한 것은 당시사회구조인 막번체제의 특수성이었다. 즉 신유학이 성행하는 중국과 조선의 정치체제가 중앙집권의 군현제인데 반해 근세일본은 지방분권인 봉건제국가임을 강조했다. 이렇게 전개된 일본유학의 특징이 일본적 특성을 나타내는 고유사상으로 표상되면서 근대이후에도 끊임없이 재생산되었다. 지성주의를 근대일본의 국민도덕과 결부시킨 결론이나, 양명학파의 지행합일을 중시하는 근대사관 등과 같은 서술형태의 근세일본유학사가 바로 그 모습이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issue of Japanese Confucianism in the history of Japanese philosophy. Against the seventeenth-century political backdrop of East Asian International affairs, Japanese Confucianism developed variously and has rather a large influence over early modem Japanese people. Though Confucianism was originated from China, Japanese philosophers developed Confucianism in compliance with their own cultures. For instance, in contrast with the China and Korea which had centralized governments, modem Japan which had a feudal system, shogunate. Their social system led the Japanese philosophers to deny the essence of neo-Confucianism, such as The Doctrine of the Mean and The Great Learning, and stick to the original Confucianism. Since then, Japanese philosophers developed their own Confucianism, such as the Japanese intellectualism which corresponded with modem Japanese morality, and modem historic perspective which corresponded with the doctrines [teachings] of Wang Yang-ming.

      • KCI등재

        근세 일본 문묘 향사 위차의 특징 분석

        박종배(Park, Jong-Bae) 교육사학회 2015 교육사학연구 Vol.25 No.2

        본 논문은 동시기 한국·중국의 경우와의 비교를 통해 근세 일본 문묘 향사 위차의 특징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문묘에 누구를, 어떤 위치에, 어떤 순서로 제사하는가?’를 분석하는 것은 이 시기 일본의 교육을 이해하는 데 일정한 도움을 줄 수 있다. 문묘에 봉사된 성현(聖賢)은 그 시대의 교육 목적 및 내용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기 때문이다. 논문에서 주된 분석의 대상으로 삼은 향사 위차는 1688년에 인강성당(忍岡聖堂)의 중수와 함께 형성되어 탕도성당(湯島聖堂) 시기까지 유지된 것으로, 정위(正位) 공자와 배향(配享) 4좌, 동배(東配) 5좌, 서배(西配) 5좌, 동사(東祀) 3위, 서사(西祀) 3위, 동무(東廡) 44위, 서무(西廡) 45위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을 동시기 한국·중국의 경우와 비교하여 분석해 보면, 일본에서는 정위와 배향위, 종향위 모두 그 위호(位號) 문제에서 조선과 마찬가지로 가정제(嘉靖制) 이전의 전통적 방식을 고수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향사 위차의 구성에서는 동시기 한국과 중국에는 존재하지 않는 ‘전내 종사위’라는 독특한 요소가 발견된다. 특히 일본이 조선보다 먼저 ‘송조 6현’을 양무가 아니라 전내의 종사위에 봉사(奉祀)한 것은 주목할 만한 사실이다. 동·서무 종사위의 경우에는 호칭만 차이가 있을 뿐 중국의 명대와 종사 인물 및 위차가 완전히 일치하며, 조선과 달리 자국의 유자(儒者)를 종사하지 않았다. 문묘 향사 위차에서 나타나는 이러한 특징은 근세 일본의 교육이 동아시아 유교식 학교교육의 보편성을 일정 부분 공유하면서도 상당한 일본적 특수성을 갖고 전개되었음을 보여준다. In this study, I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order of spirit tablets of Japanese Confucian temple in Edo period focusing on the comparison with Korea and China. Analyzing the problem that "Whom, at what position, and in what order did they sacrifice in Confucian temple?" can give a help to understand the education of this period in Japan, because the Confucian sages served in Confucian temple were inseparable from the educational purpose and content of that era.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like Joseon dynasty Japan also adhered to traditional ways without following the Jiajing-system of Ming dynasty in the nominal problem of spirit tablets in Confucian temple. And there is an unique element such as "Jeonnae Jongsawi(殿內從祀位)" not found in the order of spirit tablets in Confucian temples of Korea and China. In the case of the order of spirit tablets in the east-west accessory buildings of Confucian Temple, Japan was fully consistent with the Ming Dynasty except the nominal problem, and unlike the Joseon Dynasty they did not sacrifice their own Confucian scholars in Confucian temple. These features appeared in the order of spirit tablets in Confucian Temple show that the Japanese education in Edo period, while sharing a portion of the universality of the East Asian Confucian education, was developed with significant particularities.

      • KCI등재

        한국학계의 일본불교연구 동향

        원영상 한국불교학회 2013 韓國佛敎學 Vol.68 No.-

        This paper is a comprehensive study of the modern trend ofJapanese Buddhism research in the academic world of Korea. First ofall, we can see that the research result on the Japanese Buddhism inKorea for nearly a century are just the beginning. The JapaneseBuddhism did not receive attention from academia until a recent date,although many of the researchers feel superiority to the JapaneseBuddhism because Buddhism was spread to Japan from the KoreanPeninsula by Koreans in ancient era. Nevertheless, it is encouraging thatresearches in various fields of the Japanese Buddhism are proceedingbriskly. Thus, the trend of research in this paper is divided into 7 parts. The first, it is a field of study on the history of communicationin Buddhism between Korea and Japan. This field which continues tobe study recently, is researched on ancient Buddhism based on thehistorical fact that Buddhism was introduced into Japan from theBaekje Kingdom. The Second, the fields of study on the ancient,medieval, and modern Buddhism which had its beginning at the startof the 80`s, are the studies of Japanese Buddhism itself. The third, itis studies on the Buddhism in modern and present age. Many researchresults of this field sparked by studies on modern history in theacademic circles of history, are being achieved from the early 2000s. The fourth, it is the fields of comparative study and literature research. Researchers in this field view the Japanese Buddhism objectively. Thesefields are set in a cultural area of Chinese character like in Korea. Thefive, it is the study on Buddhist literature which is focused on classic works of literature in Japan. The six, it is the studies of Buddhist artand Buddhism culture. The seven, it is the studies on life and death,funeral, and other related fields in Japanese Buddhism which is calledFuneral Buddhism. Lastly, it is the forecast and task on the study of JapaneseBuddhism. This part is treated with holistic assessment of 7 parts inwhich was divided by the volume of research. We need to studyJapanese Buddhism from objective point of view. The study also shouldbe based on the principle of reciprocality between Japan and Korea. The bibliography of last part is a list of research papers and booksquoted in this paper. 본 연구는 근ㆍ현대 한국학계에서 행해진 일본불교에 대한 연구동향을 총괄적으로 살펴 본 것이다. 먼저 한 세기 동안의 일본불교에 대한 한국학계의 연구 성과는 걸음마에 불과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일본열도에 대한 불교전파자로서의 우월감은 있으나 일본불교사연구소와 같은 일본불교의 전문 연구기관을 제외한다면 일본불교에 대한 본격적인 학계의 조명은 거의 없다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최근 일본불교에 대한 각 분야의 연구가 활성화되는 현상은 고무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구 동향을 7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째, 한일 불교교류사 연구로써 백제가 일본에 불교를 전파한 역사적 사실을 기점으로 고대를 중심으로 연구되고 있는 분야로 현재에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둘째, 본격적인 일본불교연구라고 할 수 있는 일본 고대ㆍ중세ㆍ근세불교에 대한 연구 분야로 80년대부터 태동되었다. 셋째, 일본 근ㆍ현대불교의 연구로써 최근 역사학계의 근대사 연구에 의해 촉발되어 2000년대부터 왕성한 연구 활동을 보이고 있다. 넷째, 한일불교 비교 및 문헌연구로 전자와 같은 연구 선상에서 한자문화권이라는 역사적 배경 속에서 일본불교를 객관적 연구대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섯째, 일본 불교문학연구로써 풍부한 일본불교의 고전문학텍스트를 중심으로 연구되고 있으며, 여섯째의 일본 불교미술 및 기타 문화연구와 더불어 불교에서 파생된 다양한 문화를 대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일곱째, 생사ㆍ장례 및 기타분야 연구는 소위 장례불교로 일컬어지는 일본불교의 특성에 대한 연구 분야와 함께 불교와 관련된 기타 분야의 연구 현황을 다루었다. 그리고 일본불교연구의 전망과 과제에서는 연구동향을 양적으로 나눈 일곱 분야의 연구에 대한 총체적인 평가를 다루었다. 일본불교 연구는 토착화된 지역불교에 대한 객관적인 연구 시야를 확보해야 함은 물론 상호 호혜적인 입장에 입각한 연구가 활성화 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참고문헌은 본 논문에 인용된 논문과 저술의 전체 목록을 정리한 것이다.

      • KCI등재

        근세 일본 ‘문인’의 존재 양상과 문인 아집 ― 18세기 오사카 문인과 염담(恬淡) ―

        정경진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21 일본학연구 Vol.62 No.-

        중국과 조선 시대에 존재한 문인이 대부분 사대부 계층이거나 과거제라는 조건과 강하게 연계되어 있다는 관점에서 한국 학계에서는 근세 일본의 문인에 대한 논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했다. 그런데도 과거제의 유무와 관계없이 학문으로써 유학을 습득하고 한시와 문인 풍류를 향유한 문인 아집(雅集)은 분명 상인이나 의사, 유학자 등 다양한 사회적 위치를 가지는 이들에 의해 형성되어 있었으며 이는 근세 일본 사회의 ‘문인’에 대한 재고찰의 필요성을 뒷받침해 주고 있다. 본고는 우선 일본 학계에서 바라본 근세 일본 문인에 관한 논의를 소개하고 18세기 오사카 문인 사회가 각자에게 주어진 공적인 업무에서 벗어나 문인적 교양을 갖춘 자들에 의해 형성, 발전되어 간 것이라고 규정하였다. 특히 조닌(町人)문인 기무라 겐카도와 그가 속한 문인 아집과 그곳에 모인 문인들의 다양한 양상을 염담(恬淡)이라는 덕목에 주목해 조명해 보았다. 고찰을 통해 일본 근세 문인의 특징을 첫째, 유학을 비롯한 중국문화 전반에 대한 ‘자발적인’ 관심, 둘째, 경제활동의 주체이면서 개인의 이익을 벗어나 문인의 삶을 선택했다는 점으로 꼽았다. 또한 문인 아집을 통해 시정(市井)에 거하며 백거이가 말한 ‘중은’에 가까운 은일을 실현하려 한 양상에 대해서도 살펴볼 수 있었다. Discussion on Early modern Japanese writers have not properly been done from the perspective that writers in China and the Joseon Dynasty are very closely connected to conditions of the elite class or the old state examination. Nevertheless, elegant gathering (雅集) that learned Confucianism as learning enjoyed Chinese poems and writers’ elegance regardless of the old state examination was created by the persons with various social positions such as merchants, doctors, and Confucian scholars and supports a necessity of review ‘writers’ in modern Japanese society. This thesis introduced discussion on Japanese writers from the viewpoint of the Japanese academic world and stipulated writers’ society in Osaka in the 18th century as the creation and development by the fully literate persons escaping from official business given to each person. Especially, Kimura Kenkado, a Chonin (町人) writer, elegant gathering that he belongs to, and various aspects of the writers who gather there were examined focusing on virtue called calm minds (恬澹).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Japanese writers through the review are as follows: First, it’s ‘self-’ interest in Chinese culture at large as well as Confucianism. Second, they are the main agents of economic activities and escape from personal benefit. And the aspects that they lived in residential areas (市井) through elegant gathering and tried to realize seclusion close to ‘halfway hermit’ said by Bai Juyi could also be examined.

      • KCI등재

        근세 일본의 기근 사자와 지장신앙 : 1732~33년의 교호 대기근과 우에닌지조(飢人地藏)

        박병도 종교문화비평학회 2019 종교문화비평 Vol.36 No.36

        The Great Famine of Kyoho lasted from 1732 to 1733. It is estimated that this disastrous famine costs more than 200,000 deaths toll only in the western area of Japan.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way how the disaster victims were dealt with and commemorated, particularly focused on the unidentified mass death funerals. According to the official government records and the collections of the personal records about the famine, there happened to be the mass burials of the unknown victims and the ritual performances for the commemorations by the Buddhist temples following to the government’s guides and orders. It was not easy to perform the Buddhist burial rituals according to the sectarian formats in this massive disaster. That is why representative temples of the government, and all Buddhist sects of temples performed spiritual commemorations. On the other hand, the commoners also conducted the mass burials and performed the spiritual commemorations for the deaths. I tried to explain how these burials and commemorations had been performed by way of analyzing the inscriptions of the famine monuments and the Jizo(Kstigarbha) statues. The Uenin Jizo(飢人地蔵), Jizo statues, particularly set for the unidentified famine deaths are so important, and their rituals in the area of Fukuoka are meaningful. I suggest two reasons how and why the faith in Uenin Jizo have been established: one is derived from the long history of faith in Kstigarbha in Japan, and the other one is a special religious situation in early modern Japan that the funeral commemorations were to be performed by the Buddhist temples. The commoners had been usually belonged to one of the selected Buddhist temples (Jidan system). In massive famine disasters, the unidentified deaths wouldn’t be properly handled under the Jidan system. It was practical to use the already established Jizo faith in the people’s minds to overcome the sectarian boundaries of Buddhist burial rituals on the deaths. In these two grounds the Uenin Jizo stands out in Fukuoka area. 본 연구는 근세 일본의 기근 재해 중 하나인 교호 대기근(1732~33)으로 인한 기근사자의 발생에서부터 장례와 매장 등의 사자처리 그리고 위령의 문제까지 포괄적으로고찰하며 특히 기근 사자가 양적으로 대량이며, 질적으로 신원불명인 점에 주목하였다. 교호 대기근에 의한 희생자는 기한(飢寒)과 역병으로 주로 발생하여 후쿠오카번에서만6~7만 명, 일본 전체적으로는 수십만 명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식량을 구하기 위하여 도시부로 많은 이들이 모여들지만 이들 대다수는 이동 중에 또는 도시에서 구걸 중에 죽고 만다. 신원이 확인되는 개별 사자들은 소속 사원에서 장례와 매장을 담당했지만기근으로 인한 경제적 궁핍상황 속에서는 제대로 이루어지기 어려웠다. 더욱 큰 문제는대량으로 발생하는 신원불명의 사자에 있었다. 이들은 번의 명령에 따라 히닌(非人)들이집단매장을 했고 번의 대표사원이나 제종파의 사원들에서 위령의례를 행하였다. 이는소속사원과 소속종파에 의해 적절하게 장례와 매장을 치르지 못하고 집단매장된 사자들의 종파성을 고려한 조치였다. 한편 민간에서의 기근 사자의 처리와 위령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지지 않은데 본 연구에서는 《우에닌지조 이야기》라는 자료 속의 지장상과 기근 공양탑의 조사내용을 이용하여 도시부 이외에서도 마을 단위로 기근 사자의 집단매장이 이루어졌고 이들의 묘비로서 ‘우에닌지조’라는 지장상이 세워졌으며 이후 우에닌지조마츠리라는 의례화가 나타났음을 확인했다. 본 연구에서는 기근 사자위령으로서 지장신앙이 등장하는 배경으로서두 가지 측면을 지적했다. 하나는 일본 고대, 중세를 거쳐 근세에 와서 민속적 ‘지조신앙’ 으로 발전하는 일본 지장신앙의 계보 속에서의 연속성이며, 다른 하나는 근세 사단관계의 한계로 인해 재해와 같은 비상시에 발생하는 대량의 신원불명 사자를 제대로 처리하고 위령하지 못하는 근세적 특수성이다. 사자의 구제자로서의 지장의 오래된 영험과 함께 근세 민간에서 폭발적인 인기를 누리는 지장신앙이 우에닌지조 등장의 한 배경이라면, 근세 사단제도의 한계로 집단매장된 신원불명의 사자에 대처하지 못하는 상황이 민간에서 종파성을 뛰어넘은 민속신앙화된 ‘지조’가 등장하게 된 또 다른 배경이라고 할 수있다.

      • KCI등재

        근세 일본의 사료에 나타난 울릉도·독도의 지리적 인식 -<죽도기사>·<죽도고>·<원록각서>를 중심으로-

        이태우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2017 독도연구 Vol.- No.2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affirm that Takeshima(Ulleungdo) and Matsushima(Dokdo, Usando, Jasando), as which Japan refers to, belong to Korea, judging from their geographical recognition in modern Japanese historical materials. Japan had already recognized that Chosun had been possessing Ulleungdo and Dokdo before the 17th century, as Japan acknowledged the fact that Ulleungdo and Usando were already described in the historio-geographical materials of Chosun, in various parts of 『Jukdogisa(竹嶋記事)』 which is the basis of Japanese “Inherent Territory” Theory on Dokdo since 17th century. It is unreasonable to claim Dokdo, only based on one fact that Ojiya·Murakawa families had been illegally engaged in fishing in Takeshima for 80 years in 17th century. Japan is strongly claiming Dokdo back, misleading the fact that Chosun evacuated the inhabitants from Ulleungdo in order to protect them from Japanese pirates, left the island uninhabited. Japan argues that Dokdo was uninhabited and unowned, while Japanese engaged in fishing there. This can be understood in the same context as the point 3(“Inherent Territory” Theory on Dokdo since 17th century) in the “10 Points for Understanding the Takeshima Problem” of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Japan. In 『Wonrokgakseo(元祿覺書)』, the phrase 「朝鬱兩島監稅將 臣 安同知騎」written on the flag of the ship, on board of which Yongbok An’s party was has an important meaning. It contains Yong-bok An’s strong will to declare to the Japanese authority that Ulleungdo and Dokdo belong to Chosun, because Yong-bok Ahn called himself an official who was responsible for collecting tax in Chosun’s Ulleungdo and Usando. It can be said, thereafter, that Yong-bok An’s visit to Japan is an manifest expression of the fact that Ulleungdo and Dokdo belong to Chosu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geographical recognition of Ulleungdo and Dokdo in the Japanese modern literature, It is obvious that the Japanese perceived the distance from Chosun to Ulleungdo and Dokdo as much closer than they actually were. This can be confirmed by Yong-bok An's statement in 『Jukdogisa(竹嶋記事)』, 『Wonrokgakseo(元祿覺書)』. Obviously, Okajima who compiled 『Jukdogo(竹島考)』 recognized that the distance from Chosun to Ulleungdo and Dokdo is closer than from Japan. The fact that the Japanese already knew that Ulleungdo and Dokdo belonged to Chosun, led them to think cognitively that the distance between Chosun and Ulleungdo·Dokdo was much closer than in reality. A careful review of Japanese modern historical materials, especially ‘Japanese geographical awareness of Ulleungdo·Dokdo’, is very important in that it provides clues to convincingly refute Japan’s claim Dokdo on the ground of the “Inherent Territory” Theory on Takeshima since 17th century. 이 논문의 목적은 근세 일본의 사료에 나타난 울릉도·독도에 대한 지리적 인식을 중심으로 그들이 말하는 다케시마(울릉도)와 마쓰시마(독도, 우산도, 자산도)가 한국의 영유임을 재확인해보는 것이다. 일본이 17세기 고유영토설의 근거 사료로 삼고 있는 『죽도기사』의 곳곳에서 이미 울릉도와 우산도가 조선의 역사지리서에 기술되고 있음을 인정하고 있음을 볼 때, 일본은 이미 17세기 이전부터 울릉도와 독도를 조선이 영유하고 있었음을 인식하고 있었다. 『죽도고』에서도 역시 오야와무라카와 집안이 80년간 울릉도에서 불법적인 어로활동을 한 사실만을 가지고 자신들이 되찾아야 할 섬으로 주장하고 있는 것은 잘못된 인식으로 지적할 수 있다. 왜구의 노략질로 고통 받던 울릉도 주민들을 보호하기 위해 섬을 비워둔 것을 사람이 살지 않는 폐도라고 하면서, 잠시 동안 그곳에서 어로활동 한 것을 핑계로 자신들이 되찾아야할 섬이라고 강변하고 있다. 이것은 일본 외무성 홈페이지의 ‘다케시마 문제를 이해하기 위한 10가지 포인트’ 중 <포인트 3>의 ‘17세기 고유영토확립설’ 주장과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원록각서(元祿覺書)』에서 안용복 일행이 타고 온 배에 걸린 「조울양도감세장 신 안동지기(朝鬱兩島監稅將 臣 安同知騎)」라고 쓰여진 깃발은 중요한 의미가 있다. 바로 안용복이 울릉도·독도가 조선의 영유임을 일본 측에 선포하는 강력한 의지가 담긴 글이라고 할 수 있다. 조선의 울릉도와 우산도(자산도) 양도의 감세장을 칭하며 죽도(울릉도)의 조선영유를 당당히 확인하기 위해 도일한 것임을 가시적으로 표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근세 울릉도·독도 관련 일본사료에 나타난 지리적 인식의 특징을 보면, 조선에서 울릉도·독도까지 거리를 실제보다 훨씬 더 가까운 것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원록각서』와 『죽도기사』에서 안용복의 진술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죽도고』를 편찬한 오카지마는 오히려 조선에서 울릉도·독도까지의 거리가 더 가까운 것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은 울릉도·독도가 조선영토라는 사실을 이미 알고 있었기에 공간적 거리보다 인식적 거리가 훨씬 가까웠음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근세 일본의 사료에 대한 검토, 특히 ‘울릉도·독도의 지리적 인식’에 대한 검토는 일본 측의 ‘17세기 다케시마 고유영토설 주장’을 비판하기 위한 단서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 19세기 일본 임진왜란 문헌 속의 이순신 : 『정한위략』과 『일본외사』를 중심으로

        김준배(Kim, Joon-bae)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19 이순신연구논총 Vol.- No.31

        18세기 말부터 빈번해진 서양 선박의 출몰과 개항요구, 그리고 러시아와의 충돌 등으로 일본의 대외적인 위기의식은 한껏 고조된다. 이 시기 일본에서 체제를 안정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집팔·간행된 두 권의 한문서적, 가와구치 조주(川口長孺)의 『정한위략(征韓偉略) 』과 라이 산요(頼山陽)의 『일본외사(日本外史)』는, 이순신(李舜臣)에 대한 평가 측면에서 이전까지 일본에 존재하던 임진왜란 관련 문헌들과는 확연한 차이가 보인다. 에도 시대의 상업출판물들이 이순신의 활약상을 서술함에 있어 과장의 방법을 사용하였다면, 이들은 이순신을 비교적 담담하게 그려내고 있다. 다만 저명(著名)에서도 드러나 듯이 임진왜란을 ‘정한위업’으로 형상화하고자 했던 『정한위략』의 경우 명백히 의도적으로 조선군의 공적은 물론 이순신의 활약도 축소시키고, 일본군의 우월함을 강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같은 19세기의 역사서로서 『정한위략』보다 통속적인 이야기를 비교적 많이 수록하고 있는 『일본외사』의 경우, 『정한위략』보다 그 사료 검토의 엄밀성은 떨어진다고 할 수 있으나, 이순신을 기록하는 데에 있어 비교적 객관적이었다. From the end of the 18th century, western ships frequently visited Japan and demanded an opening. In addition, Japan s external crisis is heightened by the clash with Russia. In order to stabilize the system at this time in Japan, two books of Chinese texts, Seikan Eiryaku by Kawaguchi Chozu and Nihon Gaisi by Lai Sanyo are published. In terms of evaluation of Yi Sun-sin, these books show a clear difference from the documents related to the Imjin war that existed in Japan. If the commercial publications of the Edo period used the method of exaggeration in describing Yi Sun-sin s work, they draw Yi Sun-sin relatively coolly. However, in the case of Seikan Eiryaku , this book intentionally sheds light on not only the achievements of the Joseon army but also Yi Sun-shin s work and strives to emphasize the superiority of the Japanese army. But Nihon Gaisi , the same nineteenth-century history book, is less than the strictness of Seikan Eiryaku , but it was relatively objective in recording Yi Sun-sin. Both books have had a great impact on future writings related to the Imjin war in Japan, so it is worth exammmg.

      • KCI등재

        18~19세기 조선 중화론과 일본 국체론 비교연구

        이미림(Lee Mi rim) 동양사회사상학회 2016 사회사상과 문화 Vol.19 No.1

        18~19세기의 동아시아는 서세동점으로 인한 서구문물의 도입이 본격화되는 시기였다. 따라서 서구 문화의 영향력이 확대되면서 전통적 가치는 점점 그 빛을 잃어가고 있었기 때문에 고유의 정체성을 지키기 위한 노력 또한 어느 때보다 절실한 일이었다. 서구 문물이 들어오기 시작하던 시기에 타자(서구)와의 관계성 설정의 문제는 매우 민감한 사안이었다. 정치·경제적 측면에서 타자가 ‘나’에게 미치는 영향력을 신중하게 고려할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급격한 사회변동으로 인해 동양과 서양의 대립은 가치관에 혼란을 가져왔고, 그로 인해 많은 부분들에 변화가 시작된 시기였다. 동양에 있어서는 기존 가치 체계의 무너짐을 경험하기 시작했기 때문에 사상적 체계가 급속도로 바뀌어갔다. 주로 자존의식을 강조하는 입장에서는 기존의 가치체계를 굳건하게 지키려 하였고, 한편으로는 새로운 문물을 받아들여 변화를 도모해야 한다는 입장이 대립되었다. 일본의 ‘국체’개념은 18세기 국학파의 모토오리노리나가(本居宣長)로부터 체계화 된다. 서구문물을 받아들이는 과정에서 종래의 중화관(中華觀)을 무너뜨리고 그들만의 새로운 ‘중화(中華)’의 개념을 만들어낸다. 일본형 화이의식에서는 일본이 ‘화’가 되는 근거를 무위(武威)이외에 천황이 존재하는 ‘신국(神國)’이라는 점에서 찾았다. 진짜 중화는 천황을 정통으로 계속해서 이어온 일본이야말로 중화라는 것이다. 이러한 새로운 ‘중화’개념은 서구의 충격에 따른 이데올로기의 재무장이라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일본은 초창기에 중국의 중화주의를 그대로 받아들였지만 일본적 중화주의를 찾는 과정에서 천황 정통론 등을 주장하면서 일본적인 것의 힘을 ‘무국(武國)’개념에서 찾고 기존의 중화주의와 차별화를 시도한다. 화·이(華·夷)를 엄격히 구분하는 전통적 중화주의를 기반으로 ‘신국’관념과 결부되어 민족주의적 요소를 포함하는 국체론의 개념으로 발전하게 된다. 이에 비하여 조선중화주의는 조선의 문화적 자존의식을 기반으로 화·이의 분별을 통해 화(華)인 주체의 입장에서 이(夷)를 상대화시켜 중국의 전통적 중화주의에서 이탈하는 특징이 있다. 근세에서 근대로 넘어가는 시기의 일본은 조선·중국과는 달리 현실적 힘의 관계를 인정했으며 그것을 보다 넓은 시야에서 본다면 근대 유럽의 국제관계와 충돌하기 시작했던 시기에 중국방식의 화이관념을 부정하고 벗어나는 것을 용이하게 만들었다. 바꾸어 말하면 동아시아지역의 보편적인 가치이념으로부터 떨어져서 근대 유럽의 제국주의의 길을 걷는 것, 결국 탈아입구(脫亞入歐)가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조선의 입장에서 본다면 그것은 왜양일체로서의 왜이(倭夷)로 전락하는 것이기도 했다. During the 18~19th centuries Western culture started to move in East Asia. Therefore, it was more important than ever to make efforts in order to protect the eastern cultural identity from the growing influence of the Western culture. In fact, the traditional values were gradually starting to fade away at that time. Establishing the relationship with another party (the West) was a very sensitive issue when the Western Civilization had just started to move in. It was important to consider political and economic influence. A sudden changes resulted in the conflict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which caused confusion in values. It was a period of tremendous change in many areas. most of all, the way people think has rapidly changed existing value system started to fall and didn t work any more People who emphasized the sense of cultural independence tried to firmly maintain the existing value system, while there were other people who argued for the change by accepting the Western culture. These two parties confronted each other. The Japanese concept ‘National Polity’ was systemized in 18th century by MOTOORI NORINAGA ( ) who belongs to the school of national learning. It destroyed the traditional Sino-centrism point of 中華(Zhōnghuá) and built a new ‘Cultural Imperialism 中華(Zhōnghuá)’ concept of their own. The Japanese idea of Centralism has its basis of ‘culture (huá)’ on the military prestige(武威) as well as the ‘divine land (神國)’ where the Japanese emperor reigns. According to them, the Japanese Cultural Imperialism is a true cultural imperialism 中華(Zhōnghuá) as they have succeeded the authentic and divine Emperor (天皇) system continuously. Such new concept of ‘cultural imperialism Zhōnghuá(中華)’ have significance because it is an ideological rearmament caused by the Western cultural impact. Although Japan has accepted the idea of following chinese culture just as it is at the begining they started to distinguish themselves from the existing concept by defining the power of Japanese culture with the concept of ‘Warrior Nation (武國) at the same time insisting the theory of Authentic Lineages of the Divine Emperors. Together with the traditional Sino-centrism which strictly distinguishes Chinese 華(huá) from the barbarians 夷(yí), the idea of ‘Divine land(神國)’ has developed the idea of Japanese National Polity which includes the elements of nationalism. In contrast, Joseon s 中華主義 (Zhōnghuázhǔyì) has its basis on the sense of cultural independence of Joseon from china and it is different from Japan sin they divided 화 and 이 and consider themselves as part of 華(huá) not 夷(yí) It is a breakaway from the traditional Sino-centrism. During the period between the premodern and modern era, Japan was interested in gaining practical power, unlike Joseon and China. From a wider point of view, it made easier for Japan to be sperated from Chinese idea of 華夷(huáyí) idea when they had started to conflict with the modern European international relations In other words, it is leaving asia to enter westenworld (an argument for leaving Asia / 脫亞入歐), which is away from general value and ideology of the Eastern Asia but follows the modern European imperialism. however, from Joseon’s point of view, it only meant the degradation of Japan to 倭夷 (japan-barbarian) by being in the same sade with the Western count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