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대일본의 상징천황제와 기억의 전승

        손정권 한국일본근대학회 2012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37

        GHQ의 의도하에 개정되고 공포된 일본국헌법은, 천황을 ‘일본국의 상징’으로 만드는 것으로 일본을 「무장해체」할 생각이었다. 역사적인 경위는 본문에서 개략하고 있지만, 맥아더의 의도가 크게 반영된 일본국헌법은 결과적으로 ‘천황제’의 존속을 가능하게 했다. 이처럼 단절되지 않고 계승되었다는 점에서 현대일본의 상징천황제는 폐해를 잠재하고 있는 것이다. 천황제는, 역사적 반성도 전쟁책임에 대한 어떤 처벌도 받지 않았다. 뿐만 아니라 전전의 절대군주였던 천황은 일본국 국민을 통합하는 총람자로 그 지위를 계승하였다. 즉, 본질적인 문제점을 안고 있는 채, 천황은 일본국을 ‘상징’하는 존재로 변모했다는 것이다. 문제는 일본의 천황이 일본신화가 담보하고 있는 존재라는 것이다. 신화란, 신화를 계승하는 집단의 아이덴티티를 상징한다. 이점에서 전후의 상징천황은 일본국의 아이덴티티를 대변하는 표상이 될 수 있고, 일본이란 집단의 기억을 전승하는 매개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현대일본이 상징천황을 통해 새로운 ‘천황상’을 창출하는 행위는 집단적 기억의 윤색을 가져오게 될 것이며, 역사인식의 왜곡을 조장하는 기억의 공동체가 될 수 있는 것이다. Amended and promulgated under the intention of GHQ Japanese Constitution, the Emperor a symbol of Japan as Japan by creating a "dismantling militant" was going to do. Inspector at the historic overview of the body, but MacArthur's Japanese Constitution is intended largely as a result reflected 'emperor' has made possible the continuation of. Thus in that unbroken succession of modern Japanese emperor is a symbol of the potential dangers and will Emperor, the historical reflection of the war did not receive any punishment for the responsibility. As well as toured the Emperor of Japan was an absolute monarch to consolidate national overview of the status of party succeeded. In other words, while holding substantial issues, the Emperor of Japan to the 'symbol' was transformed into the present is. The problem with Japan's Emperor, the Japanese myth is that the presence in mortgage. The myth is a symbol of the identity of a group to succeed. In this regard, a symbol of post-war to represent the identity of the Emperor of Japan will be represented, and Iranian collective memory of Japanese tradition, is a parameter that can be. Thus, the modern symbol of the Emperor of Japan through the new 'Image of the Tenno' collective memory of the act that creates will be led to embellishment, distortion of history that promotes awareness of the community will be good memories to remember the community can be is that.

      • KCI등재

        광인천황의 즉위과정

        김은숙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15 百濟硏究 Vol.61 No.-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Konin Tenno(光仁天皇) of Tenji Tenno branch(天智天皇系) could be the successor of Shotoku Tenno(稱德天皇) of Tenmu Tenno branch(天武天皇系) in 770. Japanese historical materials that describe the process of accession to the throne of Konin Tenno are Shokunihonki(續日本紀), Kugyobunin(公卿補任) and Nihonkiryaku(日本紀略), but the descriptions in these books vary markedly. In the official history Shokunihonki(續日本紀), it is described that Konin Tenno(光仁天皇) ascended to the throne smoothly in accordance with an agreement of the high courtiers and the will of Shotoku Tenno(稱德天皇). But Kugyobunin(公卿補任) quoting from 'Honkei(本系)' and Nihonkiryaku(日本紀略) quoting from 'Momogawaden(百川傳)' describe that there were neither an agreement of the high courtiers nor Shotoku Tenno's(稱德天皇) letter of will. 'Honkei(本系)' describes that as there was a disagreement among court nobles, Fujiwaranoason-Momogawa(藤原朝臣百川) contrived a scheme with Fujiwaraniason-Nagate(藤原朝臣永手) and Fujiwaranoason-Yositsugu(藤原朝臣良繼) to enthrone Konin Tenno(光仁天皇). 'Momogawaden(百川傳)' describes that against Kibinoason-Makibi(吉備朝臣眞備) who strongly recommended Hunyanomahito-Kiyomi(文室眞人淨三) and Hunyanomahito-ootsi(文室眞人大市) as a next Tenno, Fujiwaranoason- Momogawa(藤原朝臣百川), Fujiwaranoason-Nagate(藤原朝臣永手) and Fujiwaranoason -Yositsugu(藤原朝臣良繼) forged a fake letter of will of Shotoku Tennou(稱德天皇) to enthrone Konin Tenno(光仁天皇). Up to now, it has been said that both the descriptions on Momogawa in 'Honkei(本系)' quoted in Kugyobunin(公卿補任) and the descriptions in 'Momogawaden(百川傳)' quoted in Nihonkiryaku(日本紀略) were not authentic.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sons concerned and the political situation, however, I could conclude that 'Honkei(本系)' quoted in Kugyobunin(公卿補任) and 'Momogawaden(百川傳)' quoted in Nihonkiryaku(日本紀略) were based upon 'Kosinkaden(功臣家傳)' which was presented to the Sikibu-Sho(式部省) by his family after the death of Momogawa in 779. And I could confirm that 'Kosinkaden(功臣家傳)' tells us the true story about the process of Konin Tenno's becoming the successor of Shotoku Tenno. 이 연구는 고대 일본의 황통이 天武系에서 天智系로 바뀌게 되는 光仁천황의 즉위과정이 구체적으로 어떠하였는지를 살핀 것이다. 광인천황의 즉위과정에 대해 언급하고 있는 사료는 정사인『續日本紀』를 비롯하여『公卿補任』,『日本紀略』등이 있는데 그 내용은 상당히 차이가 있다.『續日本紀』는 公卿의 합의와 稱德천황의 遺宣으로 순조롭게 광인천황이 즉위하였다고 기술하였다. 그러나『公卿補任』에 인용된 '本系'와『日本紀略』에 인용된 '百川傳'에 의하면 공경의 합의도 칭덕천황의 유선도 없었다. '本系'에서는 공경의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자 藤原朝臣百川이 藤原朝臣永手, 藤原朝臣良繼 등과 계책을 세워 光仁천황을 즉위시켰다고 기술하고 있으며, '百川傳'에서는 文室眞人淨三과 大市를 강력하게 추천하는 吉備朝臣眞備에 맞서서 藤原朝臣百川, 藤原朝臣永手, 藤原朝臣良繼 등이 칭덕천황의 遺宣을 위조하여 光仁천황을 즉위를 실현시켰다고 적고 있다. 종래『公卿補任』에 인용된 '本系'의 百川에 관한 기술이나『日本紀略』에 인용된 '百川傳'의 기술 내용에 대해 신빙성을 의심하는 견해가 존재하였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당시의 관련 인물들의 관계와 당시 정치적 상황을 살펴 본 결과『公卿補任』에 인용된 '本系'나『日本紀略』에 인용된 '百川傳'은 藤原朝臣百川이 779년에 죽은 후 그의 유족들이 식부성에 제출한 '功臣家傳'을 기초로 한 것으로, 광인천황이 칭덕천황의 후계자로 결정되기까지 실제 일어났던 일을 전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영화 속에 표현된 천황, 그리고 터부

        강태웅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2013 일본비평 Vol.- No.9

        이 글은 일본영화에서 천황이 어떻게 묘사되어 왔는가를 분석한 것이다. 전전 일본에서 ‘일반인’이 천황의 신체를 대신해 스크린에 출연한 적은 없다. 전후가 되어서야 천황 역을 맡은 배우가 등장하 는 영화가 제작되기 시작한다. 그렇다고 어떠한 제약도 없이 영화에서 묘사될 수 있었던 것은 아니 고, 천황의 숭고함을 해치는 ‘불경(不敬)’을 저지르지 않는 한에서 허용되어 왔던 것이다. 이 글은 터부를 피해 천황을 극영화에 표현하기 위해 일본영화는 어떠한 고안을 해냈는지를 살펴보았다. 1950년대 역사상 처음으로 천황을 주인공으로 하는 메이지 천황 3부작이 만들어진다. 이 영화에서 메이지 천황 역을 맡은 배우는 어진영과 같은 분장을 하고 출연해 거의 움직임이 없는 연기를 한 다. 전후 일본에 있어서 아시아·태평양 전쟁을 다룬 영화는 셀 수 없을 만큼 많이 만들어졌지만, 그러한 작품 속에서 쇼와 천황이 조연으로라도 등장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쇼와 천황이 등장한 다 하더라도 공간을 차지할 뿐 연기를 보여주지는 않는다. 이러한 일본영화에서의 독특한 천황 표 현은 러시아 감독에 의해서 만들어진 영화 <태양>과 비교되어질 때에 더욱 두드러진다. <태양>은 쇼와 천황의 개인적인 모습에 초점을 맞추어서 제작되었고, 이는 일본사회에 충격을 주었다. 이처 럼 현재까지도 천황을 일반인이 대신하여 표현하는 행위는 터부에 속하는 것이고, 이를 피하기 위 해서 성문화되지 않은 규범이 존재함을 이 글은 밝혀냈다 This article aims to investigate how Japanese emperor has been depicted in Japanese fictional films. In prewar Japan, no movie existed in which ‘a mere actor’ played the role of the emperor. It was after 1945 that this trend began to change. Yet film-makers in Japan could only produce those movies under certain restrictions. The production of film was only permitted when it presented the emperor as a sublime figure. The focus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the formula as well as the convention of the films. The very first trilogy in which Meiji emperor was the protagonist was made in the 1950s. The protagonist was dressed up just like how Meiji emperor appears in his ‘Goshinei’, or the emperor’s portrait, and played the role with very little movement. Although numerous films on World War Ⅱ have been made in Japan, there are very few in which Showa emperor was played by an actor. Even in those films, his movements were limited and the acting was kept at minimum. The peculiarities of the representation of the emperor become more comprehensible when they are compared with a 2005 film <The Sun> by a Russian director. <The Sun> so vividly portrayed the private life of Showa emperor that it shocked the Japanese people. This study uncovers that, until recently, playing the role of the emperor has been considered a taboo in Japan, and there exists implicit norms to avoid fictional representations of the emperor.

      • KCI등재후보

        일본의 황실외교와 한일관계: 헤이세이(平成) 천황을 중심으로

        전규환 ( Jeon Kyuhwan ) 현대일본학회 2017 日本硏究論叢 Vol.45 No.-

        본 논문은 `황실외교`라는 개념을 분석틀로 채택하여 천황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황실 외교`가 한일관계에서 어떠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지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천황이 공식적인 석상에서 발언하는 `오코토바(お言葉)`를 외교문서, 궁내청 홈페이지, 신문기사, 관련 인물의 회고록 등을 중심으로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황실의 외국방문은 국제친선의 의미뿐만이 아니라 상대국에서의 반일 감정을 완화시키는 동시에 평화헌법 아래의 새로운 일본의 이미지를 심고자 하는 일본 정부의 의도가 내포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천황이 황실외교를 수행하는 가운데 공적인 장소에서 행하는 천황의 발언(お言葉)이 일본 정부와 상대국가의 외교 교섭 과정을 통해 만들어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토대로 황실외교의 일환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천황의 발언을 한일관계와 연결시켜 고찰하였다. 특히 전두환 대통령의 첫 공식 일본방문에서 언급한 천황의 첫 `과거사 관련 유감 발언`은 천황 자신의 개인적인 생각이라기보다 일본 정부의 외교적 목표 달성의 수단으로서 수상의 결정 아래 궁내청과 외무성, 그리고 일본 정부에 의해서 사전에 협상 되어 작성되었다는 것을 구체적으로 실증한 사례였다. 뿐만 아니라 천황의 발언은 한일 양국의 상황을 고려하여 만들어짐을 한국의 각 정권 시기별 천황의 발언의 분석을 통해 서도 추가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다시 말하면, 천황의 발언은 한일관계의 정치적 상황에 영향을 받고 있었다고 판단된다. This paper examines the political meaning and intention of Japanese imperial diplomacy and Korea-Japan relations after post war. In order to prove it, this study analyzed the remarks of the Emperor of Japan. The foreign visit of the Imperial Family includes not only the meaning of international goodwill but also the alleviation of anti-Japanese sentiment in the partner country and the intention of the Japanese government to plant the image of "new Japan" under the Peace Constitu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Emperor`s “words”, which were spoken in public, were made through processes of diplomatic negotiations between the Japanese government and the partner country. Furthermore, based on this results, it considered the Emperor`s words as a part of the imperial diplomacy were linke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Japan. In other words, the Emperor`s “words”, rather than the idea of the Emperor individually, were made in advance by consultation between the Imperial Household agency,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the Japanese government under the decision of the prime minister in consideration of the circumstance of both Korea and Japan.

      • KCI등재

        기획논문- 문제의 야스쿠니(靖國) : 61)야스쿠니신사와 천황제 이데올로기 -야스쿠니의 천황중심 사상과 반사회세력과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이충호 ( Chung Ho Lee ) 고려대학교 일본학연구센터 2015 일본연구 Vol.24 No.-

        본고는 야스쿠니신사와 천황제 이데올로기의 관련성을 천황과 일본 민중들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야스쿠니신사는 천황과 신사와 군을 연결한 특이한 종교시설로 단순한 추도·위령의 시설이 아니라 천황을 위해서 싸워 전사를 한 국민을 칭찬하는 현창의 장이다. 따라서 천황을 위해 목숨을 바친 일본국민이라면 신분, 직업, 성별 등에 관계없이 제사지낸다는 의미에서 야스쿠니신사는 일본인들의 입장에서 보면 민주적이고 평등한 종교시설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의 8월 15일 종전기념일의 야스쿠니신사의 풍경을 보면, 삐라를 나눠주고 확성기로 현 정권과 사회에 대한 불만을 토로하는 사람들이 야스쿠니신사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등, 야스쿠니를 지탱하고 있는 에너지는 유족을 중심으로 한 단순한 참배객만이 아니라, 현재의 일본정부의 정책에 불만이 있거나 사회에 대해 불안을 느끼고 있는 세력이 집결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종전기념일의 야스쿠니의 반체제적이고 반사회적인 불온한 공기는 이전부터 이어져온 천황과 민중의 특수한 관계에 바탕을 두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야스쿠니신 사는 근대일본에서 건립되었지만, 역사적으로는 권력쟁취를 위하여 일본사회의 하층부의 에너지를 이용한 천황과 사회의 중심부에서 탈락하여 주변부로 전락한 반체제적인 사상을 지닌 민중들이 천황이라는 대의명분을 통하여 결집하는 일본만의 독특한 권력 구조의 논리가 야스쿠니신사를 지탱하는 근본사상이라 할 수 있다. 막말(幕末)에 막부를 타도하고 천황을 옹립하는 운동을 전개한 존왕양이의 지사들이 내전에서 전사한 사람들을 제사지낸 초혼제가 야스쿠니신사의 기원이 되었다는 점은 야스쿠니신사가 천황의 이데올로기적 종교적 권위와 밀접한 관련을 가진 시설이라는 점을 말해 주고 있다. This article looks into the connections between the Yasukuni shrine and Japanese Emperor system ideology, focusing mainl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apanese Emperor and Japanese people. The Yasukuni shrine is a peculiar religious facility that connects the Japanese Emperor with the shrine and the military and is not a simple memorial where people come to honor and pray for the repose of the dead. Instead it was built to praise those who fought and died for the Japanese Emperor. In the sense that memorial services at the shrine are held for all the Japanese who sacrificed their lives for the Japanese Emperor, regardless of their status, occupation and gender, the Yasukuni shrine is a democratic religious facility where all are equal in the eyes of the Japanese. If we viewed the surroundings of the Yasukuni shrine on the just passed August 15th, the anniversary of the end of World War II, we would see some people at the Yasukuni shrine expressing their complaints about the present administration and society with megaphones while others distributed flyers. This demonstrates that the energy which supports Yasukuni is not provided only by the families of the deceased honored there but also by those wishing to voice their dissatisfaction with Japanese current affairs. Such a rebellious and anti-government atmosphere at Yasukuni on the anniversary of the end of World War II can be said to have its foundation in the special relationship between the Japanese Emperor and the public. The Yasukuni shrine was constructed in modern Japan and is supported by the logic of the peculiar power structure of Japan that unites those with rebellious ideologies and those who have dropped out of society or are on its peripheries with the Japanese Emperor and his leadership. The origins of the shrine lay in the memorial service for the civil war dead which was carried out by patriots who respected the Emperor, aimed to repel foreign intruders and developed the movement to overthrow the bakufu, thus helping the Japanese Emperor take the throne. It is such a history that invests the Yasukuni shrine with the symbolic meanings and power to connect the Japanese Emperor`s ideological religious authority with the people.

      • KCI등재

        야스쿠니신사(靖国神社)와 천황제 이데올로기 - 야스쿠니의 천황중심 사상과 반사회세력과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

        이충호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2015 일본연구 Vol.24 No.-

        This article looks into the connections between the Yasukuni shrine and Japanese Emperor system ideology, focusing mainl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apanese Emperor and Japanese people. The Yasukuni shrine is a peculiar religious facility that connects the Japanese Emperor with the shrine and the military and is not a simple memorial where people come to honor and pray for the repose of the dead. Instead it was built to praise those who fought and died for the Japanese Emperor. In the sense that memorial services at the shrine are held for all the Japanese who sacrificed their lives for the Japanese Emperor, regardless of their status, occupation and gender, the Yasukuni shrine is a democratic religious facility where all are equal in the eyes of the Japanese. If we viewed the surroundings of the Yasukuni shrine on the just passed August 15th, the anniversary of the end of World War II, we would see some people at the Yasukuni shrine expressing their complaints about the present administration and society with megaphones while others distributed flyers. This demonstrates that the energy which supports Yasukuni is not provided only by the families of the deceased honored there but also by those wishing to voice their dissatisfaction with Japanese current affairs. Such a rebellious and anti-government atmosphere at Yasukuni on the anniversary of the end of World War II can be said to have its foundation in the special relationship between the Japanese Emperor and the public. The Yasukuni shrine was constructed in modern Japan and is supported by the logic of the peculiar power structure of Japan that unites those with rebellious ideologies and those who have dropped out of society or are on its peripheries with the Japanese Emperor and his leadership. The origins of the shrine lay in the memorial service for the civil war dead which was carried out by patriots who respected the Emperor, aimed to repel foreign intruders and developed the movement to overthrow the bakufu, thus helping the Japanese Emperor take the throne. It is such a history that invests the Yasukuni shrine with the symbolic meanings and power to connect the Japanese Emperor’s ideological religious authority with the people. 본고는 야스쿠니신사와 천황제 이데올로기의 관련성을 천황과 일본 민중들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야스쿠니신사는 천황과 신사와 군을 연결한 특이한 종교시설로 단순한 추도․위령의 시설이 아니라 천황을 위해서 싸워 전사를 한 국민을 칭찬하는 현창의 장이다. 따라서 천황을 위해 목숨을 바친 일본국민이라면 신분, 직업, 성별 등에 관계없이 제사지낸다는 의미에서 야스쿠니신사는 일본인들의 입장에서 보면 민주적이고 평등한 종교시설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의 8월 15일 종전기념일의 야스쿠니신사의 풍경을 보면, 삐라를 나눠주고 확성기로 현 정권과 사회에 대한 불만을 토로하는 사람들이 야스쿠니신사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등, 야스쿠니를 지탱하고 있는 에너지는 유족을 중심으로 한 단순한 참배객만이 아니라, 현재의 일본정부의 정책에 불만이 있거나 사회에 대해 불안을 느끼고 있는 세력이 집결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종전기념일의 야스쿠니의 반체제적이고 반사회적인 불온한 공기는 이전부터 이어져온 천황과 민중의 특수한 관계에 바탕을 두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야스쿠니신사는 근대일본에서 건립되었지만, 역사적으로는 권력쟁취를 위하여 일본사회의 하층부의 에너지를 이용한 천황과 사회의 중심부에서 탈락하여 주변부로 전락한 반체제적인 사상을 지닌 민중들이 천황이라는 대의명분을 통하여 결집하는 일본만의 독특한 권력구조의 논리가 야스쿠니신사를 지탱하는 근본사상이라 할 수 있다. 막말(幕末)에 막부를 타도하고 천황을 옹립하는 운동을 전개한 존왕양이의 지사들이 내전에서 전사한 사람들을 제사지낸 초혼제가 야스쿠니신사의 기원이 되었다는 점은 야스쿠니신사가 천황의 이데올로기적 종교적 권위와 밀접한 관련을 가진 시설이라는 점을 말해 주고 있다.

      • 일본 천황제와 일본 기독교

        김승태 강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인문과학논집 Vol.23 No.-

        This study inquires into the nature of the religious policy of Japanese colonialism and delineates the responses of Japanese Protestantism to the religious policy.First, it outlines the nature of the “emperor system” of the modern Japan. Modern Japan was an absolute monarchy nation-state formed by the ideology of “emperor system.” This ideology, which combined traditional Japanese Shintoism with Confucian ethics of loyalty and filial piety, made the personality and authority of the “emperor” absolutely sacred and inviolable. It dominated over every aspect of the people's lives and required them to render their absolute submission and loyalty to the state power. The ideology of the “emperor system” was an amalgamation of religions, fascism, and irrationalism. It was infused systematically into the Japanese people through the educational and military institutions, and reinforced during the Sino-Japanese War (1894~1895) and the Russo-Japanese War (1904~1905).The Japanese religious policy was formed in period of the Meiji Restoration. Its keynote was to grant the highest privilege to state Shintoism or shrine Shintoism; keep three “authorized religions” --religious Shintoism, Buddhism, and Christianity--under the control of the state; and illegalize the other religions as “pseudo-religious organizations” and oppress them with the help of the police force. Because of social condemnation and rejection to Christianity from the beginning Christianity in Japan was not developed so much and did not resist to the country's religious policy but adapted themselves by their usefulness. They took the way of compliance with national policy. They recognized the emperor worship and the shrine worship. Moreover Christianity in Japan has cooperated in the war of aggression. Since Japanese invasion of the continent in the 1930s was resumed, Christianity in Japan altered the doctrine and faith of Christianity as so called ‘Japanese Christianity.’ After the promulgation of Religious Organizations Act in April 1939, all the Protestant denominations in Japan by the consolidation formed the United Church of Christ in Japan by 1940, and actively cooperated in the war of aggression as one of the country's edification organizations. 일본의 근대 ‘천황제’ 국가는 ‘천황제’ 이데올로기에 의해 형성된 절대군주제 국가였다. 이 ‘천황제’ 이데올로기는 일본의 고래의 신도사상(神道思想)과 충효의 윤리를 바탕으로 한 전제적이고 가부장적인 유교사상을 근간으로 하여 ‘천황’의 권위를 신성시하고 절대시함으로써 국민의 일상은 물론 정신세계까지 지배하여 국가 권력에 대한 국민들의 절대적인 복종과 충성을 얻어내려는 것이었다. 그리고 거기에는 종교적, 반민중적, 반이성적 성격이 들어있었다. 일본 메이지시대 전반기에 형성된 이러한 ‘천황제’ 이데올로기는 의무화된 근대교육 기관과 군대, 교화기구를 통해서 자국민에게 체계적으로 주입되었으며, 청일전쟁, 러일전쟁 등 침략전쟁을 통해서 해외 식민지를 강점․지배하면서 더욱 강화되고 정교화되어, 지배이데올로기로 활용되었다. 일본의 종교정책은 메이지유신기에 형성되었는데 그 기조는 국가신도 내지 신사신도(神社神道)를 정점으로 하여, 그 하위에 교파신도와 불교, 기독교를 국가의 공인종교로 삼고 국가 시책에 충실히 따르도록 통제․이용하면서, 그 외의 종교는 ‘유사종교단체’라 하여 불법화하고 경찰력을 동원하여 통제․탄압하는 것이었다. 일본에서 기독교는 전래 초기부터 사회적인 비난과 배척을 받아 교세가 크게 발전하지 못했으며, 국가와의 관계에 자신을 적응하여 자신의 유용성을 변증하고자 하였다. 일본 기독교는 초기부터 국가의 종교정책에 저항하기보다는 순응하고 협력하는 길을 선택하였던 것이다. 일본 기독교는 천황숭배와 신사참배를 인정하고, 침략전쟁에 협력하였으며, 대륙침략을 재개한 1930년대 이후에는 일본적 기독교라고 하여 교리와 신앙의 본질적인 부분까지 변질시켰다. 1939년 4월 종교단체법이 공포된 이후에는 개신교 교파들이 통폐합하여 일본기독교단을 만들고, 적극적으로 침략 전쟁에 협력함으로써 국가의 교화단체의 하나로 전락하고 말았다.

      • 오키나와 문제를 통해 본 전후 일본정치 오타 마사히데(大田昌秀)와 마루야마 마사오(丸山真男)의 논의를 중심으로

        김미영 ( Kim Mi-young )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2021 일본연구 Vol.35 No.0

        본 연구는 일본의 전후 민주주의와 상징천황제의 형성 배경을 중심으로 오키나와 문제가 현재의 일본정치 문제를 그대로 노정하고 있음을 오타 마사히데와 마루야마 마사오의 관련 논의를 통해 검토한 것이다. 일차적으로 미군기지 문제를 일컫는 오키나와 문제는 미국의 종속국가라 비판받는 현재 일본의 정치 문제를 상징한다. 본 연구는 2장에서는 오타와 마루야마의 전후 민주주의의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오키나와와 일본 본토의 간극을 검토하고, 3장에서는 일본과 오키나와가 전후에 다른 길을 갈수밖에 없는 배경에 상징천황제가 존재함을 밝혔다. 그리고 결론을 통해 일본정치에서 오키나와 문제가 가지는 함의를 도출했다. 일본과 오키나와에서 전후는 다른 의미를 가진다. 일본의 대표적인 사상가들은 일본이 전후 민주주의를 수용함으로써 다시 태어났다고 생각하는 반면, 오키나와에서는 현재에 이르기까지 미군기지 등에 의해 개인의 자유를 억압당함으로써 전후 민주주의가 아직 도래하지 않았다고 주장들이 존재한다. 이러한 양자의 차이는 일본과 오키나와 사이의 근대화 시기 관계 설정과 전후 처리 과정에서 비롯됐다. 일본과 미국의 종속적 관계는 전승국인 미국의 일방적인 것에 따른 것이 아니라 ‘천황메시지’의 사례에서도 볼 수 있듯이 일본과 미국의 정치적 합의에 따라 결정됐다. 요컨대 미국은 냉전시기 동아시아 내 패권을 유지하고 민주주의의 교두보를 마련하는 차원에서 ‘기지’로서 오키나와와 민주주의의 안전지대로서 ‘일본’이 필요했다면, 일본은 패전으로 상실된 국민통합을 위한 도구로서 천황제를 ‘상징적으로’나마 유지하기 위해 오키나와를 활용했다. 이에 전후 미국에 의한 오키나와 내 기지 건설이 용이해졌으며 지금까지 그에 따른 오키나와 문제가 지속되고 있다. 이는 일본 정치의 전근대적인 모습을 재현하고 있는 것에 다름없다. This study is centered on the debate between Masahide Ota and Masao Maruyama over what Ota called “the Okinawan problem”, which for him represented the continuing issue of the status of Japan’s postwar democracy and of the emperor as ceremonial figurehead. At the core of the Okinawan problem, which involves primarily issues surrounding U.S. military bases on Okinawa, is the sense that Japan is subordinate to the U.S. In this light, Chapter 2 examines the political gap between Okinawa and mainland Japan, focusing on the debate on post-war democracy carried out by thinkers such as Ota and Maruyama, and Chapter 3 examines the gap between the mainland and Okinawa in the post-war period. Finally, the conclusion draws out the implications of the Okinawan problem for Japanese politics. There has been a difference between the understanding in mainland Japan and on Okinawa of the postwar period. The former’s leading thinkers believe that the country was reborn through its embrace of postwar democracy. On Okinawa, on the other hand, there has been a sense that postwar democracy has not yet arrived, as individual freedom up to the present day has been undermined by the presence of U.S. military bases. This chasm in perspectives on the post-war period has stemmed from the distinctive processes of modernization on the mainland and on Okinawa, and from the postwar political process. The unequal relationship between Japan and the United States did not come about as a result of unilateral action by the United States, the victor in World War 2, but through political agreement between the two countries, as evidenced in the Emperor’s Message at the end of the war. This agreement was reached because, while the U.S. needed to mould Japan into a democracy and to locate bases on Okinawa in order to establish and maintain hegemony in East Asia as part of its efforts during the Cold War, Japan used Okinawa to symbolically maintain the emperor as an instrument of national unity after defeat in the war. As a result, the post-war construction of bases on Okinawa by the U.S. was agreed to, and the Okinawan problem was born, and has persisted. This paper argues that the Okinawan problem is nothing less than a reenactment of a pre-modern aspect of Japanese society and politics.

      • KCI등재

        일본 내셔널리즘의 근원과 근대시기의 국가주의적 변용— 記紀와 武士道를 중심으로 —

        이인화 동양철학연구회 2014 東洋哲學硏究 Vol.78 No.-

        The origin of Japanese nationalism traces back to 2 documents, Kojiki (Record of Ancient Matters) and Nihon shoki (Chronicles of Japan), which covered Japanese mythology and history. The documents emphasized Tennō''s influence over not only Japan but marginal states, especially in the Korean Peninsula, based on mythology that Tennō' is descendant of the highest God. And this way of thinking continued over the Middle Ages bearing about the thought which insist "Japan is the country under God's protection" and this thought developed to "So Japan is superior to other countries." And the thoughts continued to Kokugaku and Atsutane Shinto in Edo period. This flow of thought transformed into thoughts of Kokutai (national body of Japan) which caused tremendous sacrifice to protect that and suppressed the development of democracy. Bushidō magnified as a spirit of Japanese which led Japanese to successful modernization since Sino-Japanese War and Russo-Japanese War. And during the period of militarism, Bushidō was adapted for morality of Tennō''s military and esthetics of militarism and indoctrinated in Japanese. Japanese nationalism in modern era which containing militarism and imperialism victimized numberless Asia-Pacific victims and finally brought about the collapse of modern Japan. We need to reappraise the success of Japanese modernization in the point of view of values of democracy and the right of people. 일본 내셔널리즘은 천황중심 중앙집권화가 완비된 시기를 전후로 출간된 記紀에서 출발하였다. 記紀는 천황이 국가권력의 정점에 있어야할 정당성을 天照大神과 天皇家와의 혈연관계, 황조신과 씨족신들 간의 위계관계에 있는 것으로 설정한다. 記紀가 창조한 위와 같은 세계관은 ‘일본은 神國’이라는 신국론을 낳았다. 신국론은 중세에 이르면 몽고의 내습, 남북조시대를 겪으면서 他에 대한 我의 정통성과 우월성, 나아가 他國에 대한 배타성을 띠는 양상으로 나타난다. 에도시대에 이르면 일본 고유의 순수한 정신의 우월성을 주장하는 國學과 復古神道 등 국수주의적 성향의 神道가 나타난다. 記紀에서부터 이어져온 일본중심적 내셔널리즘은 근대에 이르러 일본은 만세일계의 천황이 다스리며 천황은 신성불가침한 존재라는 국체론으로 변용된다. 근대 일본의 국민들은 천황의 신민으로서 국체를 수호하기 위해 유교적 도덕을 함양하고 유사시 천황을 위해 목숨을 바칠 것이 요구되었다. 한편 무사도는 청일․러일전쟁을 전후로 이데올로그들에 의해 일본의 근대화를 성공으로 이끈 일본인의 정신으로 각색된다. 또한 군국주의가 고조되고 침략전쟁이 확대되면서 무사도는 교과서, 영화, 신사 등 여러 매체를 통해 군국주의 윤리이자 미학으로 미화되어 국민들에게 주입되었다. 흔히 일본을 아시아에서 유일하게 근대화에 성공한 나라라고 하지만, 과연 이와 같은 근대화가 성공한 근대화인가에 대해서는 다시 평가해볼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오키나와 문제를 통해 본 전후 일본정치 : 오타 마사히데(大田昌秀)와 마루야마 마사오(丸山真男)의 논의를 중심으로

        김미영(Kim, Mi-young)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2021 일본연구 Vol.35 No.-

        본 연구는 일본의 전후 민주주의와 상징천황제의 형성 배경을 중심으로 오키나와 문제가 현재의 일본정치 문제를 그대로 노정하고 있음을 오타 마사히데와 마루야마 마사오의 관련 논의를 통해 검토한 것이다. 일차적으로 미군기지 문제를 일컫는 오키나와 문제는 미국의 종속국가라 비판받는 현재 일본의 정치 문제를 상징한다. 본 연구는 2장에서는 오타와 마루야마의 전후 민주주의의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오키나와와 일본 본토의 간극을 검토하고, 3장에서는 일본과 오키나와가 전후에 다른 길을 갈수밖에 없는 배경에 상징천황제가 존재함을 밝혔다. 그리고 결론을 통해 일본정치에서 오키나와 문제가 가지는 함의를 도출했다. 일본과 오키나와에서 전후는 다른 의미를 가진다. 일본의 대표적인 사상가들은 일본이 전후 민주주의를 수용함으로써 다시 태어났다고 생각하는 반면, 오키나와에서는 현재에 이르기까지 미군기지 등에 의해 개인의 자유를 억압당함으로써 전후 민주주의가 아직 도래하지 않았다고 주장들이 존재한다. 이러한 양자의 차이는 일본과 오키나와 사이의 근대화 시기 관계 설정과 전후 처리 과정에서 비롯됐다. 일본과 미국의 종속적 관계는 전승국인 미국의 일방적인 것에 따른 것이 아니라 ‘천황메시지’의 사례에서도 볼 수 있듯이 일본과 미국의 정치적 합의에 따라 결정됐다. 요컨대 미국은 냉전시기 동아시아 내 패권을 유지하고 민주주의의 교두보를 마련하는 차원에서 ‘기지’로서 오키나와와 민주주의의 안전지대로서 ‘일본’이 필요했다면, 일본은 패전으로 상실된 국민통합을 위한 도구로서 천황제를 ‘상징적으로’나마 유지하기 위해 오키나와를 활용했다. 이에 전후 미국에 의한 오키나와 내 기지 건설이 용이해졌으며 지금까지 그에 따른 오키나와 문제가 지속되고 있다. 이는 일본 정치의 전근대적인 모습을 재현하고 있는 것에 다름없다. This study is centered on the debate between Masahide Ota and Masao Maruyama over what Ota called “the Okinawan problem”, which for him represented the continuing issue of the status of Japan’s postwar democracy and of the emperor as ceremonial figurehead. At the core of the Okinawan problem, which involves primarily issues surrounding U.S. military bases on Okinawa, is the sense that Japan is subordinate to the U.S. In this light, Chapter 2 examines the political gap between Okinawa and mainland Japan, focusing on the debate on post-war democracy carried out by thinkers such as Ota and Maruyama, and Chapter 3 examines the gap between the mainland and Okinawa in the post-war period. Finally, the conclusion draws out the implications of the Okinawan problem for Japanese politics. There has been a difference between the understanding in mainland Japan and on Okinawa of the postwar period. The former’s leading thinkers believe that the country was reborn through its embrace of postwar democracy. On Okinawa, on the other hand, there has been a sense that postwar democracy has not yet arrived, as individual freedom up to the present day has been undermined by the presence of U.S. military bases. This chasm in perspectives on the post-war period has stemmed from the distinctive processes of modernization on the mainland and on Okinawa, and from the postwar political process. The unequal relationship between Japan and the United States did not come about as a result of unilateral action by the United States, the victor in World War 2, but through political agreement between the two countries, as evidenced in the Emperor’s Message at the end of the war. This agreement was reached because, while the U.S. needed to mould Japan into a democracy and to locate bases on Okinawa in order to establish and maintain hegemony in East Asia as part of its efforts during the Cold War, Japan used Okinawa to symbolically maintain the emperor as an instrument of national unity after defeat in the war. As a result, the post-war construction of bases on Okinawa by the U.S. was agreed to, and the Okinawan problem was born, and has persisted. This paper argues that the Okinawan problem is nothing less than a reenactment of a pre-modern aspect of Japanese society and poli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