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일이미지와 일본어학습동기부여 - 한국인일본어학습자·일본관련전공자의 감소와 관련해서 -

        김원정 ( Kim Won Jung ) 한국일어일문학회 2018 日語日文學硏究 Vol.105 No.1

        본 연구는 한국에 있는 대학의 일본어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로서, 한국인 일본어학습자와 일본어·일본관련전공자의 수가 감소하고 있는 요인을 찾고, 그 요인과 대일이미지 그리고 일본어학습동기부여에 대해서 분석, 고찰한 것에 있다. 조사결과, 우선 일본어학습자의 입장에서 본 감소의 요인으로서는 2011년 3월11일 동일본대지진이 7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지진·방사능의 문제」가 가장 크게 나타났고, 「중국어의 영향」,「일본어 매력의 감소」, 「한일관계의 문제」의 순으로 높았다. 그리고, 그 감소요인과 관련해 일본어학습자의 일본에 대한 이미지는 동일본대지진처럼 큰 지진, 방사능과 같은 「재해의 불안」 과「일본사회의 위화감」이라고 하는 「부정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지만, 「좋은 사회환경」「선진성」「개성중시」라고 하는「긍정적인 이미지」도 동시에 가지고 있는것이 확인 되었다. 일본인의 이미지에 대해서는 가장 높게 나타난「신뢰성」과, 일본인에게의 「흥미·관심」이라고 하는 「긍정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었지만, 「냉정함」과 「이면적」 이라고 하는 「부정적인 이미지」도 함께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대일이미지 형성의 영향요인에 대해서는「일본어·일본관련의 수업(일본어선생님의 이야기와 교재등)」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일본의 만화·애니메이션」 「한일관계(정치·역사등)」가 높았으며,「지진」과「방사능」의 요인이 각각 약50%로 현재까지도 그 불안한 의식은 적지않게 가지고 있는것을 알게 되었다. 일본어학습동기부여에 대한 결과는「일본어 실력향상이 기쁘다」 「일본인과 교류를 하고싶다」 「일본을 보다 이해하고 싶다」 라고 하는「통합적지향」과「지진·방사능·한일관계에 관계없이 일본어학습이 좋다」 라고 하는 「일본어학습지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반면,「전공이기 때문이다」와「졸업을 위한 필수과목이다」라고하는 「도구적지향」 과「자격취득을 위해서다」 「취직·승진에 유리하다」라고 하는 「커리어지향」도 보였는데, 이것은「일본어학습후 장래에 어떻게 활용을 하고 싶은가」에 대한 자유기술에서 회답률이 가장 높았던 「취직」과도 관련성이 깊은 것으로 생각이 된다. 위와 같이, 일본어학습자와 일본어·일본관련전공자가 감소함에 있어서 여러가지 요인은 있지만, 일본과 일본인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와 일본어학습동기부여의「통합적지향」은 물론,특히「일본어학습지향」「도구적지향」그리고「취직」 등에 일본어학습의 초점을 맞춘다면, 일본어학습동기를 높이고, 일본어학습자와 일본관련전공자의 수를 늘릴 수 있는 방책이 될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This study focus on the decrease’s factor of Japanese Learners and Japanese related major’s learners at Korean Universities and the relation between Japanese Image and motivation of learning Japanese. The main finding about the decrease of Japanese learners from learner’s perspective is “Earthquake and radiation problem” which related with the Great East Japan Earthquake and tsunami on seven years ago and this is the highest factor, the second is “ Chinese effect”, “the decreasing of Japanese advantages”, and “the problem between Japan and Korea’s relation”. Related on the Great East Japan Earthquake and tsunami, the learners have worried about “negative image” such as “anxiety about disasters” and “discomfort with Japanese society”. However the learners also have “positive image” about japan such as “quality of social environment", "the advanced", and "the respect on individuality”. The “positive image” about Japanese person is “credibility”, “interest” and the “negative image” is “coldness” and “two sided”. This finding has similarity with previous studies, especially on the image about Japanese person which is not affecting the factor of decrease. The factors was related to making Japanese image is “Japanese class or Japanese related class (a story from the Japanese teacher or teaching’s materials)”. This is the highest factor and Japanese “anime and manga”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Japan and Korea (policy, history etc )” are the second and third. However, “earthquake” and “radiation” had each 50 %, these are high anxiety’s sense about learning Japanese. Related to motivation of learning Japanese, “instrumental oriented motivation”, such as “because this is my major”, “is needed for graduated”, also “for taking a qualification”, “having advantages for finding job or promotion” are high on percentage. A result is meaning the answers from “how to act with Japanese in the future” has high relation with “Job and work”. The other finding is “Integrated Orientation motivation” such as “satisfaction on improving Japanese proficiency”, “exchange with Japanese person”, “improving Japanese understanding” also “intention to learning Japanese” such as “having Japanese interest (does not matter with earthquake or radiation)” also high. The main finding about the decrease’s factor on Korean Japanese learners and Japanese related major was described above, however, Japanese “advanced”, “quality of social environment” and “interest to exchange with Japanese person”, also related on “job and works matter” like “instrumental oriented motivation”, and “integrated oriented motivation” is affecting on improving motivation of learning Japanese. This matter could be factor of Japanese learner’s increase in the future.

      • KCI등재

        동아시아 일본어학습자에게 보이는 일본이미지

        김의영 ( Kim Eui-young ) 한국일어교육학회 2017 일본어교육연구 Vol.0 No.39

        본고에서는 한국인, 중국인, 대만인 일본어학습자의 일본이미지에 관하여 비교·고찰하였다. 그 결과 한국인 일본어학습자 A의 경우, 일본유학 이전에는 일본에 대해 부정적이었는데 그 요인에는 역사적 사실과 부정적 이미지를 공유한 친구들 등 A를 둘러싼 사회문화적 환경과 개인적 환경을 들 수 있겠다. 그러나 일본유학 이후 긍정적인 이미지로 변화하였는데, 일본에서의 긍정적인 경험이 변화의 요인으로 보인다. 중국인 일본어학습자 B의 경우, 일본유학 이전이나 이후 모두 긍정적인 이미지가 형성되어 있었다. 그 요인에는, 일본에 긍정적인 부모님과 친구들 등 B의 개인적환경과 일본유학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를 들 수 있겠다. 대만인 일본어학습자 C의 경우, 일본유학 이전과 이후 모두 일본에 대해 긍정적인 이미지를 갖고 있다. 일본에 긍정적인 대만 사회와 C의 가정 환경 등이 긍정적 이미지의 형성요인으로 보인다. 일본유학 이후에는 일본에서의 유학생활과 가정생활에 대한 만족이 일본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로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A, B, C 중, 일본이미지에 변화가 있었던 것은 A뿐이며 A, B, C의 공통점으로는 현재 세명 모두 일본에 대해 긍정적 이미지가 강화되어 있다는 것이다. 일본에서의 개인적 경험과 삶이 세 학습자에게 의미 있는 것으로 인식되어 있고 이러한 긍정적인 인식이 일본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로 이어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is a comparative study on the image of Japan to Korean, Chinese, and Taiwanese learners of the Japanese language. The result shows that Korean learner A of the Japanese language had been negative about Japan before studying in Japan because of the sociocultural environment such as the problems about the history of Japan and the personal environment such as friends who shared negative images about Japan. However, after studying in Japan A`s image of Japan changed into a positive one, which seems to be due to the positive experiences in Japan. Chinese learner B of the Japanese language had already had a positive image of Japan both before and after studying in Japan. Such a positive image was affected by B`s personal environment such as parents and friends who were positive about Japan as well as by positive views of studying in Japan. Taiwanese learner C of the Japanese language had already had a positive image of Japan both before and after studying in Japan. Such a positive image seems to have been formed by the positive views of Japan in Taiwanese society in general as well as by C`s home environment. Among A, B, and C, it was only A who changed attitudes toward Japan. And what they all have in common is the fact that their positive views of Japan were reinforced. It was found that all the three learners of the Japanese language perceived their personal experience and life in Japan as meaningful, and this positive perception led them to have positive views of Japan.

      • KCI등재

        일본어 어휘습득 향상을 위한 이미지 도식화 교수법에 대한 연구

        김원미 ( Won Mi Kim ) 한국일어교육학회 2015 일본어교육연구 Vol.0 No.31

        본 연구는, 한국어모어화자 일본어학습자들에게 어려운 유의어를 대상으로, 구분 개념의 핵심 이미지를 도출하고,도식화교수법이라는 교육실험을 통해 검증함으로써, 일본어 어휘교육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교수 모델을 제안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오용 가능성이 높은 <아프다.痛い : 아프다.病氣だ>, <찾다.探す : 찾다.見つける>와 같이 한.일간 1대2 대응(L1:L2)하거나, <앞.前 : 앞.手前 : 앞.先>과 같이 1대3 대응(L1:L3)하는 일대다대응 유의어군이다. 연구순서는 진단평가, 이미지 도식모델 제작 후 교육실험, 성취평가 순이다. 진단과 성취도평가 모두 유의어 항목은 같으며 예문만 다른 방식으로, 교육 전·후 평가에 대한 향상도 차이를, 항목별과 초.중.상 레벨별로 분석하였다. 실험항목은 문헌조사 그리고 한국어모어화자 일본어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추출한 학습난제 유의어 185항목 중, 품사별 비율에 따라 20종을 선정하였다. 실험대상자는 중부권 S대학의 전공.비전공학생 총 74명이다. 교육실험 결과 초.중 상 레벨 총 평균 향상도가 44%로 나타났다. 이는 교육시간 80분이라는 초단기 실험으로는 괄목할 만한 성장세로, 유의어의 의미구분교육에서 이미지의 도식화교수법의 효과를 대변해주고 있다하겠다. 또한본 연구는 드러난 오용을 분석하기보다 오용방지에 주안점을 두는 과제해결형으로서 한국어모어화자 일본어 학습자는 물론 비모어화자 교사 또는 일본어 모어화자 교사에게 오용방지를 위한 유용한 교육자료로 제공할 수 있다. 향후과제로는 구분교육이 필요한 185개 항목 전체에 대한 도식화 모델을 제작하고, 이를 필요로 하는 학습자와 교사 모두에게 배포하는 작업이 남아있다. The present study is aiming to investigate on the effectiveness of teaching method for Japanese vocabulary learning and suggest the effective teaching method to distinguish the meanings of Japanese synonyms for NNS learners. In the study, the vocabulary teaching method is defined as the image schematization method, which expects to foster Japanese synonym learning under the time constrained learning environment. To collect the data, the quasi-experimental design was formed and the 80-minute-instruction for vocabulary learning and the pre-and-post set of vocabulary tests were conducted. For the instructional treatments, 20 items, extracted from 185 synonyms that are frequently misworded in Japanese vocabulary learning were instructed and the items consist of nouns(N=3), adjectives (N=3), adverbs(N=2) and prepositions(N=10). In the results, the total score of vocabulary learning test was increased up to 44% and the mean scores were reported as 59% in control group (without synonym) and 28% in experimental group(with synonym) respectively. For the further comparison, vocabulary learning groups were divided into three levels; elementary, intermediate. In the control group, the increase of vocabulary learning was highly reported in the intermediated level, and the increases of advanced and elementary levels were reported in sequence. It implies that vocabulary in the elementary level includes low level of understandings. By contrast,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increase of vocabulary learning was highly reported in the elementary level, and the increases of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s were reported in sequence. It implies that providing synonyms for vocabulary learning is effective for the elementary level but not for the advanced level. In addition, in the comparison of parts of speech learning, the elementary level showed the higher increase on noun acquisition, the intermediate level showed some increase on most parts of speech, and the advanced level reported the higher increase on nouns, adjectives and adverbs respectively. It implies that noun acquisition with image schematization method is effective on Japanese vocabulary learning for elementary and advanced levels of NNS learners. In addition, the study conducted the course evaluation from students and found that 55% of participants have never been instructed with synonym instruction for Japanese vocabulary learning and expressed the strong preference on synonym instruction and image schematization method(i.e. 98% of total responses).

      • KCI등재

        일본어학습자의 일본 관련 이미지 형성에 대한 일고찰

        김윤희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20 비교일본학 Vol.50 No.-

        본고에서는 관광 전공 2년제 대학생을 대상으로 일본하면 떠오르는 이미지를 8개 항목으 로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음식>관광지>만화・애니메이션・드라마・영화>브랜드>문화>뉴스>연 예인>스포츠스타 순으로 답변수가 나타났다. ‘음식’과 ‘관광지’에서는 이미지 집중도가, ‘문 화’와 ‘연예인’에서는 이미지 분산도가 나타났다. <관광지>는 오사카>도쿄>후쿠오카가 상위 순위로 나타났다. <음식>은 ‘스시’와 ‘라멘’이 약 절반을 차지하였고, 음식명을 통한 일본어 의 자연스러운 유입과 정착을 살펴볼 수 있었다. <문화>는 의식주 관련과 일본의 전통문화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연예인>은 모델 겸 배우, 가수 겸 배우와 같이 활동 범위가 넓은 연예 인으로 확대되어 있었다. <스포츠스타>는 8개의 분야 중 답변 종류가 가장 적게 나타났고, 축구선수와 피겨스케이트선수로 답변이 집중되었다. <브랜드>는 기존의 자동차와 전자제품 에서 의류와 화장품으로 변화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만화・애니메이션・드라마・영화>는 답변 종류의 수가 66개로 8개 항목 중 가장 다양하게 나타났다. According to a survey of 8 categories of images evoked when it comes to Japan, the number of answers was the most for food, followed by tourist attractions, cartoons/animations/ dramas/ movies, brands, culture, news, entertainers, and sports stars. “Food” and “tourist attractions” showed image concentration, while “culture” and “entertainers” showed image distribution. For <tourist attractions>, Osaka ranked the top followed Tokyo and Fukuoka. For <food>, “Sushi” and “Ramen” accounted for about the half, which shows natural introduction and settlement of Japanese language through the names of food. <Culture> appeared in a variety of forms, including food/clothing/house and traditional Japanese cultures. <Entertainers> expanded to include celebrities with a wide range of activities, such as model turned actors and singer turned actors. <Sports stars> appeared the least among the 8 categories, and the answers were concentrated on soccer players and figure skaters. <Brands> changed from cars and home appliances to clothing and cosmetics. <Cartoons, animation, dramas, and movies> had 66 types of answers, the most diverse of the 8 categories.

      • 이미지에 의한 일본어 한자 교육법

        건호 ( Inui Hiroshi ) 숭실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인문학연구 Vol.44 No.-

        본고에서는 "이미지에 의한 일본어 한자 교육법"에 관한 원리와 실제 수업 현장에서 제시하는 방법에 대해 언급했다. 우선 이 교육법의 원리가 되는 "이미지"와 "이미지의 제한"에 대해 기술했다. 지금까지 "형성문자"는 "발음"을 나타내는 부분과 "의미범주"를 나타내는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내용의 "발음"을 나타내는 부분을 "이미지 기호"로 설명을 했고, "의미 범주"를 나타내는 부분을 "이미지를 한정하는 기호"로 해석했다. 그리고 공통되는 부분을 가진 한자군을 하나의 "한자어족"으로 하고, 그 "한자어족"의 중심이 되는 "이미지"를 추출했다. 또한 "이미지를 한정하는 기호"를 부과하고, 하나하나의 한자에서 구체적인 의미를 이끌어 냈다. 다음은 그 원리를 바탕으로 실제 수업 현장에서 어떻게 제시 할 것인가, 그 방법에 대해 기술했다. ①~④가 그것이다. ① "한자어족"의 핵심으로 되는 "이미지" ② "한자어족"의 "모양과 음"의 유사 ③ "한자어족"에 속하는 한자들의 의미와 "훈독" ④ ③의 한자를 사용한 예문 ( "음독"과 "훈독") 마지막으로 다음 ①②의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구체적인 시험문제를 제시했다. ①한자를 음(의미)으로 변환할 수 있는가? ② 음(의미)을 한자로 변환할 수 있는가?

      • KCI등재

        韓国における日本語学習とイメージに関する一考察

        齊藤明美(사이토 아케미) 동아시아일본학회 2008 일본문화연구 Vol.26 No.-

        본 연구는 한국에 있어서 일본어 학습자의 일본, 일본인, 일본어에 대한 이미지에 관하여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앙케이트 조사 결과를 기초로 한 논문이다. 이제 까지 한국에 있어서 대학생의 일본, 일본인, 일본어에 관한 이미지 연구는 행해져 왔으나,「일본인 교사에게 학습한 경험의 유무」를 기준으로 한 논문은 많지 않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한국 대학교에 있어서 일본어 학습자가 가지고 있는 일본, 일본인, 일본어에 대한 이미지가,「일본인 교사에게 학습한 경험이 있는 학생」과「일본인 교사에게 학습한 경험이 없는 학생」에 따른 차이 유무에 대하여 조사 하였다. 조사 결과 뚜렷한 차이가 있음이 결론으로 얻어졌다.「일본인 교사에게 학습한 경험이 있는」학생이, 일본에 대하여 그리고 일본인에 대해서도「일본인 교사에게 학습한 경험이 없다」고 답한 학생보다 좋은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다. 또한 일본어에 대해서는 ①거칠다, 정중하다②지저분하다, 품위 있다③난폭하다, 온화하다④싫다, 좋다 ⑤답답하다, 경쾌하다⑥알아듣기 어렵다, 알아듣기 쉽다⑦비능률적이다 능률적이다⑧장황하다, 산뜻하다⑨느리다, 빠르다⑩딱딱하다, 부드럽다⑪어렵다, 쉽다, 로 질문하였다. 그러나 그 결과 ⑤답답하다, 경쾌하다와⑨느리다, 빠르다 에 대해서는, χ²검정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보여 지지 않았으므로, 본 논문에서는⑤와⑨ 2항목을 제외한9항목의 조사 결과에 대하여 논하였다. 조사 결과로부터「일본인 교사에게 학습한 경험이 있는」학생 쪽이 결과적으로 일본어에 대하여 긍정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絵本の翻訳ディスカッションにみる「絵」の働き

        小松麻美(Komatsu, Asami) 동아시아일본학회 2017 일본문화연구 Vol.0 No.64

        일본어학습을 목적으로 번역 활동을 할 때 그림책을 활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그것은 ‘그림’이라는 시각적인 텍스트를 통해 얻어지는 언어적인 부분이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그림책의 번역문에 대한 토론이 진행될 때, 학습자가 그림을 단서로 해서 상황을 파악하고, 이미지의 공유를 통해 납득이 가는 번역문인가를 검토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본고에서는 그림책의 번역문을 둘러싸고, 학습자가 그림에 대해 언급한 장면을 “공동주시”장면으로 파악하였다. 그 장면의 협동토론을 통해 그림의 기능과 언어학습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일본 그림책인 “よるのかえりみち”를 이용한 토론에서는 총22개 장면 중 9개 장면의 번역에서 그림에 대한 언급이 있었다. 학생들은 ‘그림을 함께 보는 것’으로 문맥이나 상황을 파악하였고, 단어의〈감소/추가〉, 〈동사의 상〉, 〈바꾸어 말하기〉, 〈의성어/의태어〉, 〈어휘나 조사의 선택〉 등을 판단하였다. 그림책 번역에 있어서 그림이 언어를 이끌어내고, 언어가 그림의 의미를 더욱 뚜렷하게 해 주는 양적 상승효과로 인해 스토리의 이해가 쉬워진다. 그림책을 활용한 번역활동은, 지도에 있어 풍부한 이미지를 동반한 언어학습이 가능해지도록 할 것이다. In translation activities as a Japanese learning using picture books, visual text seems to bring out language awareness. In fact, when discussing the translation of a picture book, you can see the students understand the context by sharing pictures. In this paper, we focus on “Joint Attention” as a situation that students seeing picture with others for translate. As a result, Joint Attention was able to be confirmed in 9 scenes out of 22 scenes in the discussion using Japanese picture book “The Way Home in the Night”. And students understood the context by pictures and decided the addition/reduction of word, aspects, paraphrase, onomatopoeic word. In the translation of a picture book, the picture(visual image) is not just a supplement. It (visual image) draws out the meaning of words and the words are deepen the meaning of the picture, the synergistic effect of both of the picture and the words are deepens the story. To translate a picture book, it brings rich image in the language learning in Japanese class.

      • KCI등재

        직관적으로 기억하게 하는 히라가나 교육 ─ 이미지와 음(音)을 연계한 교육을 중심으로 ─

        최정희 ( Choi Jeong Hui ) 한국일본어교육학회 2017 日本語敎育 Vol.0 No.82

        When teaching hiragana, the Japanese alphabet system, to the beginners of Japanese language at a university, I found that learners remembered hiragana more intuitively when I used the concept of 'images' which remained in the memories of the learners rather than letters literally, which were unknown symbols to them. When learning a foreign language, memorizing the character system intuitively can not only increase efficiency in terms of economic aspect of language, but also lead the better understanding and more interest in learning over all. Students take a concept as a concept itself at the moment of learning, but the concept becomes weaker and subjective as time passes. In other words, it is found that the margin of error increases. In order to raise the efficiency of language learning, an education plan for reducing the subspecialization of a concept is needed. When the Japanese alphabet system was taught in conjunction with images and sounds as an educational method to reduce the Subjectification of a concept, the learners remembered by intuition due to the enhanced objectivity of the concept. Besides, they got more interested in learning and understood sentences more quickly as a result of their improved reading speed when studying vocabulary. In short, hiragana education linked to images and sounds makes the learners remember characters intuitively, enhancing the efficiency of overall learning. Foreign language education using 'images' should be studied further as it can be applied in the field of pragmatics as well as in the character system.

      • KCI등재

        동아시아 일본어 교과서에 나타난 일본관 ― 한국과 중국의 교과서를 중심으로 ―

        김의영 ( Eui Young Kim ) 한국일본어교육학회 2015 日本語敎育 Vol.0 No.72

        本稿では、韓國と中等の中等敎育機關において日本語敎育が再開される時期である1970~1980年代の日本語敎科 書の記述內容を中心に分析し兩國の敎科書にみられる日本觀の特徵を明らかにした。 その結果、韓國の日本語敎科書の場合、日本に對する記述內容に否定的なものと肯定的なものが混在しているのが 分かった。過去の日本や日本文化に對しては否定的イメ-ジがみられる反面、現在と未來の日本や日本人に對しては肯 定的イメ-ジがみられる。つまり、敎科書の中に肯定と否定が混在するアンビバレンスな日本觀がみられるといえる。 中國の日本語敎科書の場合は、自國文化の優秀性を强調したり當時の政權を宣傳するような記述がみられるのは韓 國の敎科書と同樣であるが、韓國の日本語敎科書にみられるような日本への否定的イメ-ジはみられなかった。つまり、 中國の日本語敎科書からアンビバレンスな日本觀はみられなかった。 中國の日本語敎科書と比較した韓國の敎科書のみにみられる日本觀の特徵としては、韓國の古代文化やハングルの優 秀性を强調することによって過去の日本文化や日本語に對するイメ-ジは否定的になってしまう傾向があるということであ る。このように、過去に對する日本觀は否定的である反面、現在と未來に對する日本觀は肯定的である傾向がみられた。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