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제시기 고종의 국장(國葬)과 일본 예식

        이욱 종교문화비평학회 2018 종교문화비평 Vol.34 No.34

        1919년 1월 22일에 사망한 고종의 장례는 국장(國葬)으로 거행되었다. 조선시대 국왕의 상례는 왕이 숨을 거둘 때부터 발인(發靷), 우제(虞祭) 등을 거쳐 상복(喪服)을 완전히 벗는 담제(禫祭) 때까지의 연속된 과정 모두를 포괄하였다. 그러나 고종의 상례에서국장은 상례의 전체 과정이 아니라 임시 기구는 장의괘(葬儀掛)에서 주관하는 공식적인의식만을 가리켰다. 본 연구는 이 장의괘에서 주관한 의식들을 고찰하였다. 당시 일본은 고종의 장례식을 통상의 국장식에 조선의 옛 관습을 더하는 것으로 정하였다. 여기서국장식은 일본식(日本式)을 의미하였다. 당시 일본의 황실 및 황족의 국장은 불교식에서벗어나 신도식(神道式)으로 새로 만들어지던 시기였다. 고종의 국장은 1913년에 사망한다케히토 친왕의 장례식을 준용하여 준비하였다. 장의괘 주관으로 거행되었던 고종 국장의 중요 의식은 ‘국장봉고의(國葬奉告儀)’, ‘사뢰의(賜誄儀)’, ‘매장 전(前) 영구(靈柩) 앞에서 거행하는 제의’, ‘영거(靈輿) 발인의(發引儀)’, ‘장장제의(葬場祭儀)’, ‘매장 후 권사(權 舍; 임시 건물)에서 거행하는 제의(祭儀)’, ‘매장 후 묘소(墓所)에서 거행하는 제의’ 등 7가지였다. 조선시대의 국장과 비교할 때 다른 점은 다음 세 가지이다. 첫째, 고종의 지위 변동에 따른 사제(賜祭) 형식이다. 고종이나 그의 지위를 계승한 상주(喪主)는 주권을 가진왕이 아니었기 때문에 국장은 국왕의 승하에 따른 애통과 왕권의 계승까지를 포괄하지못하였다. 반면 일본 천황이 그 죽음을 애도하여 내려주는 제사 형식이 국장의 중요한부분을 차지하였다. 둘째, 공식적 일본식 장례와 비공식적인 조선식 장례의 이원화이다. 위 7가지 의식은 철저하게 일본식으로 진행되었다. 지데(しで, 四手, 紙垂), 사카끼(榊, さかき, Cleyera japonica) 등과 같이 일본 장례식에 보이는 의물(儀物)이 등장하였으며 신도(神道) 복장을 한 제관(祭官)이 의식을 주관하였다. 그리고 망자를 위한 음식도 달랐다. 전통적 의장은 대여(大輿)와 그 주변을 둘러싼 삽선(翣扇), 그리고 상복(喪服) 등이 전부였다. 음악의 사용 역시 조선의 상례에서 볼 수 없는 것이다. 반면 조선식은 동대문 밖 발인 행차와 능에서 거행하는 의식을 주도하였다. 셋째, 전통과 근대의 관점에서 볼 때 고종 국장의 중심 의식인 장장제의(葬場祭儀) 는 근대적 의식의 한 형태로 볼 수 있다. 훈련원터에서 거행된 장례식은 근대적 장례식을 일본식으로 개조한 것이었다. 장례식장으로 가는 발인 행렬에서 책보(冊寶) 대신 훈장(勳章)이 등장한 것이나 장례식장에서 철도레일로 대여를 옮기는 것 역시 근대적 모습이다. 이러한 형식들을 통해 조선식은 구관습적인 것인 반면 일본식은 근대적인 것으로인식되어졌다. 그러나 망자에 대한 추모의 정을 전통적 의식으로 표출하지 못한 조선 사람들에게 고종의 국장은 식민지 백성의 처리를 대변하는 것이 되어 반일(反日)의 감정을일으키는 계기가 되었다. The funeral for Emperor Gojong 高宗 (1852~1919; r. 1863~1907), who passed away on January 22, 1919, was held as a state funeral. During the Joseon Dynasty 朝鮮 王朝 (1392~1910), the traditional Confucian funerals for the monarchs were consisted of the whole processes, started from the king’ s actual decease up to the barin 發靷 (departure of the funeral cortege for the graveyard), uje 虞祭 (sacrificial ceremony held after internment), and damje 禫 祭 (sacrificial ceremony held in the 27th month after decease), when complete removal of the mourning dresses. In the funeral for the Emperor Gojong, however, “state funeral” was referred as not to the entire funereal process but only to the official ceremony, supervised by a temporary government agency which was called the Jang’euigwae 葬儀掛 (Funeral Bureau). My study examines the rituals supervised by this Jang’euigwae. At the time of Gojong’ s death, Japan decided to hold this funeral by adding to its own customary “state funerals” processes of old Korean customs. Here, the “state funerals” was meant Japanese-style funerals. In this period, the state funerals for the Japanese imperial family were being newly created according to the Shinto style, eschewing the traditional Buddhist style. Gojong’s funeral was accordingly prepared with the appropriate application of the funeral for Prince Arisugawa Takehito 有栖川宮威仁 親王 (1862~1913). The number of main rituals of the state funeral for Gojong held under the supervision of the Jang’euigwae amounted to seven: gukjang bonggo’eui 国葬 奉告儀 (rituals announcing the prospective execution of a state funeral); saroe’eui 賜誄儀 (rituals bestowing a posthumous title on the deceased); rituals held in front of the yeonggu 靈柩 (hearse) before burial; yeonggeo barineui 靈輿 発引儀 (rituals for the hearse’s departure for the grave site); jangjang je’eui 葬場 祭儀 (grave site rituals); rituals held in a gwonsa 権舎 (temporary building) after the internment; and the rituals held at the tomb after burial. The three differences had been held for Gojong’s state funerals, comparing to those of the Joseon Dynasty. First, the form of saje 賜祭 (sacrificial rites bestowed by the monarch on his subjects) had been changed due to the shifting of Gojong’s status. Because both the late emperor and the sangju 喪主 (chief mourner), supposedly to succeed the former’s status, were no longer inherited the sovereign monarchs, the state funeral was not encompassed the state-grief, stemmed from the emperor’s death or the succession to the throne. On the contrary, this sacrificial ceremonies “bestowed” by the Japanese emperor, simply expressing the condolences for Gojong’s death took up the major part of the state funeral. Second, Gojong’s funeral was divided into two: an official, Japanesestyle funeral and an unofficial, Korean-style one. The seven rituals mentioned above were held in the thoroughly Japanese manner. Ritual objects used in Japanese funerals such as shide 紙垂 (zigzag-shaped paper streamers) and the sakaki 榊 (Cleyera japonica) were used, and jegwan 祭 官 (officiants), who were wearing the Shinto costumes officiated the ritual procedures. The food offerings for the deceased were differed as well. The only traditional Korean rituals included were the dae’yeo 大輿 (large bier) and the sapseon 翣扇 (large ceremonial fans) surrounding it as well as the mourning dresses. The sound of music likewise was something never heard before in the traditional Korean funerals. In contrast, the only performances according to the Korean emperor’s funeral processions were held outside Heung’injimun 興仁之門 (also known as Dongdaemun 東大門 or “East Gate”) and the other traditional rituals were held at the limited imperial tomb site. Third, viewed from the traditional and the modern perspectives, jangjang je’eui, which were the central rit...

      • KCI등재

        일제강점기 국장(國葬)의 양상 및 성격-음악을 중심으로

        이수정 민족음악학회 2022 음악과 민족 Vol.- No.64

        일제강점기 조선왕실은 이왕가라는 이름으로 일본 황족에 준하는 대우를 받았다. 따라서 순종의 장례는 일본 황족에 준하는 장의(葬儀)로 거행됐어야 했는데, 일본에 큰 공을 세웠을 때 부여되는 ‘국장(國葬)’이 부여되었다. 실권이 없는 식민지의 왕인 순종에게 부여된 국장은 일본의국가 장례를 뜻하는 것으로, 1919년 고종과 1926년 순종의 장례에서 실행되었다. 다만 식민지 조선의 관습을 거스를 수 없어, 국장은 조선식 전통장례도 활용하였다. 고종의 국장은 일본식 국장을 기본으로 하고, 조선의 구식장례를 혼용하는 방식으로 거행되었는데, 순종 국장은 조선식 장례를 기본으로 하고 일본식 국장을 혼용하는 방침으로 바뀌었다. 순종 국장은 고종을 기준으로 삼았고, 조선 관례에 따른다는 방침을 적용하였기 때문에 고종때와 다른 양상을 보여준 것이다. 일본식 국장 절차를 축소했을 뿐 가장중요한 절차와 내용은 일본식을 그대로 사용하였다. 일제강점기 거행된 두 번의 국장은 일본 황가와 내각에서 주도했기 때문에 이왕가는 어떠한권한도 행사하지 못했다. 본 연구에서는 순종의 장례에서 볼 수 있는 두 개의 의식인 조선과 일본식 장례 절차와 음악을 살펴보았다. 조선식 국장은 승하에서 발인, 부묘의까지 약 3년간 각종 의식이 거행되었다. 이왕직에 빈전과 혼전, 산릉, 부묘주감을 설치하여 의례를 진행했으며, 빈전, 인산, 산릉, 혼전, 부묘는 전통방식에 따르고자 했던 것으로 보인다. 국장의 가장 마지막 의식인 부묘의에 연주된 종묘제례악의 곡명이 <보태화지곡>·<향만년지곡>으로 바뀐 점을 알 수 있었다. 부묘 행차시에 고취악으로 <태평춘지곡>이 연주되었는데 이왕직아악부에서 담당하였다. 조선시대와 다른 점은 종묘에서 환궁할 때가 아닌 종묘로 행차할 때 고취했다는 점이다. 일본식 국장은 절차가 간소화되어 사뢰의(천황이 보내온 조문를 낭독하는), 발인, 영결식이 있었다. 발인과 영결식에서는 일본식 장의물품이 사용되었다. 국장에서는 해군군악대와 육군의장병이 <슬픔의 극>·<울려퍼지는 나팔소리>·<목숨을 버리고>같은 장송곡을 연주하였다. 또 일본군과 의장병 수천명과 조포와 조총발사, 대규모 장례식이 거행되었다. 일본의 위력이 전면에 드러나도록 배치하였다. 고종 때와 달라진 점은조선과 일본의 장례 제도를 분리하여 거행한 반면, 순종 국장은 ‘성빈전의-성복의-사뢰의-견전의-발인의-봉결식의-침전성빈전의-하현궁의-반우의’라는 새절차를 만들었는데, 양국의 국장 절차를 혼용한 것이었다. 또 엄순헌귀비, 이희공, 이준공 같은 왕족과 일제에 의해 작위를 받은신흥 귀족의 장례는 어떻게 거행되었는지 살펴보았다. 왕족과 귀족의 장례는 절차와 규모에 차이가 있을 뿐 국장과 같은 양상이었다. 이런 ‘조선상류’의 장례는 일본의 영향하에 거행되면서 한일양측의 장례를 혼용하였다. 조선식 장례와 발인을 하되, 일본식 의물도 사용하고 일본군 의장병의 장송곡 연주하에 장례식장에서 영결식을 마쳤다. 이러한 방식으로왕실과 귀족을 중심으로 거행된 일제강점기 장례 풍속에 본보기가 되어대중의 장례 풍습에 영향을 주었었다.

      • KCI등재

        일본 제국주의의 한국 행정구역 통폐합 과정과 그 결과

        이건식 한국지명학회 2021 지명학 Vol.35 No.-

        This article explored the process and the results on Japanese imperialism’s consolidation and abolition of Korean administrative districts. by investigating “Guk-Bo” which is the periodical of Temporarily Estate Survey Bureau, this study found the fact that “Guk-Bo” presented all the names including 2 parts and 94 gun before and after the consolidation and abolition concerning ‘dongri,’ which were ‘Gyeogi (2parts, 18 gun), Chungnam(23 gun), Chungbuk(7 gun), Jeonnam(3 gun), Gyeongbuk(1 part, 34 gun), Gyeongnam(2 gun), Pyeongnam(6 gun), and etc.’ The consolidation and abolition concerning these administrative districts was implemented on April 1, 1914. The results showed the reduction in the number of districts: the number was reduced from 317 to 220 in gun, from 4,322 to 2,521 in myeon, and form 54,469 to 24,262 in dongri. This study examined the relevant regulation data concerning the name change and consolidation and abolition of Korean administrative district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it was mentioned that there are big differences between their contents. By investigating these regulation data, this study justified that Japanese imperial government intended to realize their profits to take control of the Korean land economy through the consolidation and abolition of Korean administrative districts. In the changed regulations of administrative districts, it was mentioned that the rule of not dividing a single ‘dongri’ was put up, but in reality, the rule was not kept. Particularly, it was found that the existing ‘dongri’ was frequently split up when the name of the Japanese administrative district was newly designated. This study mentioned that the Japanese administrative district names flowed into and spread by carrying forward the urban plan, increasing the phenomena that some districts were reorganized into urban districts, and the urban districts expanding. When the plan was implemented in the 29 urban districts in 1913, in 72.3% among the names of ‘dongri’ was used the name of Japanese-type administrative district unit such as ‘jeon, tong’. However, by 1939, the proportion in using the names of Japanese-type administrative district unit expanded up to 79.44% in naming ‘dongri’ in the 29 urban districts. This study mentioned that the names of ‘dongri’ in the districts which the Japanese live in contain all Japanese type elements which are the front and the back parts, but in the district which the Japanese do not live in, all elements contain traditional Korean names at the front part and ‘jeon’ is used, which is the Japanese type. 이 글에서는 일본 제국주의에 의한 한국 행정구역 통폐합 과정과 그 결과에 대해 고찰하였다. 임시토지조사국의 기관지인 局報 를 검토하여, 局報 에서는 ‘경기(2부, 18군), 충남(23군), 충북(7군), 전남(3군), 경북(1부, 34군), 경남(2군), 평남(6군)’ 등 모두 2부 94군 지역의 통폐합 전의 동리 명칭과 통폐합 후의 조사된 명칭이 게재되었음을 언급하였다. 이러한 행정구역 통폐합의 결과는 1914년 4월 1일 실시되었으며, 군의 수 317개에서 220개로, 면의 수는 4,322개에서 2,521개로, 동리의 수는 54,469개소에서 24,262개소로 축소 개편되었음을 언급하였다. 한국 행정 구역 통폐합과 명칭 변경 관련 규정 자료를 언급하고 이들의 내용이 큰 차이가 없다는 사실을 언급하고, 이러한 규정 자료를 검토하여 한국 행정 구역 통폐합이 한국의 토지 경제권을 장악하기 위한 일본 제국주의 이익 실현을 위한 것임을 확인하였다. 행정 구역 통폐합 변경 규정에는 하나의 동리를 분할하지 않는다는 원칙을 내세웠으나 실제로는 그러한 원칙을 지키지 않았음을 언급하였다. 특히 일본식 행정 구역 명칭을 새로이 정할 경우에는 기존의 동리가 분할되는 경우가 많음을 지적하였다. 시가지 계획이 추진되고 또 시가지로 재편되는 지역이 늘어나고, 시가지의 영역이 확산함에 따라 일본식 행정 구역 명칭이 유입되고 확산하였음을 언급하였다. 1913년에 추진된 29개 시가지 지역의 동리 명칭 중에서 72.3%가 일본식 행정 구역 단위 명칭인 ‘町, 通’ 등을 사용했으나 1939년에 이르러서는 29개 시가지 지역의 동리 명칭 중에서 일본식 행정 구역 단위 명칭 사용 비율이 79.44%로 확대되었음을 언급하였다. 일본인이 거주하는 지역의 동리 명칭은 전부 요소나 후부 요소 모두 일본식의 명칭을 사용하고 있으나 일본인이 거주하지 않는 지역은 전부 요소는 한국의 전통적인 명칭을 사용하고 후부 요소는 일본식 町을 붙여 사용하고 있음을 언급하였다.

      • KCI등재

        "양풍(洋風)"에서 "화양병존(和洋幷存)" 그리고 "화양절충(和洋折衷)"으로 전개과정 -일본 근대 초기 상류층 주택양식의 성립과정에 나타난 국가적 주택양식의 탄생에 관한 고찰-

        ( Uchida Seizo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3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53 No.-

        이 논문은 일본 메이지 시대 상류층 주택양식의 성립과정을 통해, 근대 국가적 주택양식의 탄생에 관해 고찰한 것이다. 메이지 이후 새로운 양식으로 화양관(和洋館)병렬형 주택이 존재했던 것은 알려졌지만, 주택건축으로 양관(洋館)이 도입되는 과정에 관해서는 논의가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천황이 주거하는 메이지 궁전이 당초 양관으로 짓기로 했다가 도중에 일본관으로 변화한 것은 알려졌지만, 그렇게 변화된 배경에 관해서는 충분히 밝혀졌다고 보기 어렵다. 이 논문에서는 메이지 시대 이후 주택양식이 서양식에서 일본식으로 움직인데 대한 배경을 짚어 보고, 국가적 주택양식으로서 당초 구미 스타일을 모델로 했던 양풍을 지향하면서도 메이지 10년 이후부터 화양병존 화양절충으로 급속히 변화한 점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그 변화에 나타난 서양식에서 일본식으로의 움직임이 전통문화 계승이라는 반성적 자립성에 의한 변경이 아니라, 오스트리아와 러시아의 왕실존속방법의 도입을 통한 국가유지의 정책적 변경에 의한 것이었음을 밝혔다. 그렇기 때문에 메이지 시대의 국가적 주택양식의 일본식화는 전통을 존중하고 계승하려 한 주체적 움직임이었다기보다는 어디까지나 전통회귀로 이해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is Report attempts to examine the birth of national style of architecture,tracing back a process of the changes of upper classes` residences built in the Meiji Era. It is well-known fact that a certain architectural style came into Japanese high society of those times as a new type of upper classes` residences, constructing Japanese and Western styles of residences in parallel at the same housing site. But It is also insufficient issue to clarify how and when the western style of architecture were introduced and adapted into Japanese high society as a new architectural style of their residences. For example, the Meiji Palace, a noble residency of Japan Emperor, had been planned to be constructed as fully Western style of architecture at the beginning and this plan was modified in the middle to construct the residency with independently Japanese style of architecture, but the reason have not been proved clearly up to now. Hence, this report firstly considered various backgrounds of the movement from Japanese to Western styles of architectures seen in the changes of upper classes` residences. The movement carried out and aimed to westernize residences as the national style of architecture at first, modeled ones with styles of Europe and America, and from around 1880`s, this movement rapidly altered into putting these styles co-existent at the same time, and furthermore, compromising Japanese style of residences with Western style of architecture. These successive movement from Japanese to Western styles would be come out from an attempt to adapt a method contrived by Australia or Russia Imperials for the means of keeping ruling family up continuously, and influenced from the change of policies preserving the nation. It was not surely seemed to come out from a reconsideration or self-reliance about the succession of Japanese traditional cultures. For that reason, the movement of Japanization suddenly came out in the national style of architecture in Meiji Era, in other words, would be not an independent movement for the respect or the succession of Japanese traditions, rather it should be insistently an attempt of recurring to the Japanese traditions.

      • KCI등재

        A Study on Japanese and Foreign Place Names in Google Earth Satellite Images and GNS Database on South Korea

        Kyeong Park(박경),Eunmi Chang(장은미) 대한지리학회 2008 대한지리학회지 Vol.43 No.2

        세계화의 빠른 진행과 더불어 외국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더불어 한국에 대한 외국인의 정확한 인식은 매우 중요한 문제로 등장하였다. 지명과 관련하여 아직도 사실적 오류와 더불어 국제관계에서의 미묘한 역학관계로 인하여 많은 오류가 남아 있는 점도 사실이다. 그 가운데 미국의 위성영상서비스들 가운데 대표적인 구글사의 검색서비스와 미국지리정보국의 지명데이터베이스에 관한 내용을 분석함으로서 문제의 뿌리가 어디인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미 구글에 관련된 논문은 Science Direct 검색결과 2008년 5월 현재 213편의 연구가 검색될 만큼 전세계적으로 문화적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 또한 구글과 연구란 단어로 검색하면 무려 414만여개의 자료가 검색될 만큼 방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구글 위성영상 서비스의 정확한 지명표기는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 본고에서는 전 세계의 지명을 영어로 서비스하고 있는 구글사의 구글어스와 미국의 지명 DB내에 있는 오류사례를 찾아내어 그 유형을 분석하였다. 우리나라의 경우 이칭이라는 형태로 일본식 발음을 가진 지명이 등재되어 있으며 그 숫자도 많다. 1946년에 발간된 미군의 지도에는 일본식 표기가 많으나, 1954년도에 발간된 1:250,000 축척의 지도에는 나타나지 않았다. With recent rapid globalization, accurate information for the foreign countries is increasingly important. Errors based on inaccurate information and unequal international relationships complicate the situations. In this article, authors analyzed the Japanese place names which appear on the Google Earth images and place name database of the NGA. Google Earth already becomes a tremendous soft power in internet society; therefore, accurate information on the satellite image is more necessary than ever. This article finds that many types of errors exist in the place names in Google Earth image service. Also many place names are listed with Japanese pronunciation in GNS database as variants. The Japanese place names have not been used in topographic maps published since 1910s and 1930s. Japanese place names were widely used in US military maps published in 1946. 1:250,000 maps published in 1954, however, doesn’t seem to use Japanese pronunciation any more.

      • KCI등재

        일본식민주의가 한국전쟁기 한국군위안부제도에 미친 영향과 과제

        김귀옥 ( Gwi-ok Kim ) 한국사회사학회 2014 사회와 역사 Vol.0 No.103

        1951년부터 1954년까지 한국군에 설치되었던 한국군위안부제도는 일본식민주의의 결과물이었다. 1945년 8월 15일에 일제로부터 식민지 조선은 해방되었지만 식민주의가 청산되지 않은 채 수립된 대한민국의 모든 국가 기구에는 일제의 인적요소나 물적 요소가 그대로 남아 있었다. 뿐만 아니라 일본식민주의가 남긴 군사문화도 한국 군사문화에 지속되었다. 그러한 일본식민주의 군사문화 중 하나가 한국전쟁기에 설치되어 운영된 한국군위안부제도였다. 이 글에서는 한국전쟁기 한국군대에서 한국군위안부제도가 만들어지게 된 원인을 식민주의 문제에 초점을 맞춰 규명하였다. 우선 역사적 사실로서의 한국군 위안부제도를 간략하게 짚어보고, 둘째 한국군위안부제도를 누가 만들었는가를 규명했다. 마지막으로 한국군위안부와 일본군위안부와의 공통성을 짚어본 후 일본식민주의와 얽힌 문제 해결을 위한 과제를 제시하였다. The comfort women system of the Korean Military that was operated from 1951 to 1954 resulted from Japanese colonialism. Though Colonial Korea (Chosun) was liberated from Japanese Imperialism in 1945, all the state apparatuses of the Republic of Korea were still under the influence of Japanese colonial legacies. There remained Japanese military culture in the Korean military. One of Japanese military cultures was the military comfort women system, whose Korean version was made and managed during the Korean War. This paper examines the cause of the comfort women system of the Korean Military, focusing on its relation to Japanese Colonialism. It firstly reviews the historical facts about the comfort women system of the Korean Military through Hoo Bang Jun Sa (『後方戰史』) written by ROK army headquarters in 1956. Secondly, it investigates who made the Korean military comfort women system. And lastly, it inquires the commonalities between Korean comfort women system and Japanese comfort women system and proposes solutions on the problems concerning Japanese Colonialism.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