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항공사에 대한 자아이미지 일치성이 브랜드 애착과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브랜드 애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정명희 ( Myung Hee Jeong ),하동현 ( Dong Hyun Ha ) 한국항공경영학회 2015 한국항공경영학회지 Vol.13 No.3

        글로벌화와 기술격차의 감소로 국가 간, 기업 간 경쟁이 심화됨에 따라 과거의 상품 간 품질 경쟁의 시대를 넘어 현재는 기업 브랜드 간 경쟁의 시대가 전개되고 있으며 이는 항공시장의 경우도 예외가 아니다. 또한 최근 저비용항공사의 등장에 의하여 대형항공사의 많은 고객이 저비용항공사로 전환하고 있다. 따라서 일반항공사의 고객 확보와 유지를 위한 전략이 필요하다. 그러한 전략의 일환으로서, 본 연구는 일반항공사에 대한 자아이미지 일치성이 브랜드 애착의 구성요인인 애정, 열정, 결속에 미치는 영향과 이러한 요인들이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자아이미지 일치성이 애정, 열정, 결속을 매개로 하여 브랜드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항공사에 대한 자아이미지 일치성이 브랜드 애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나아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해 봄으로써 현재의 항공사 이미지 유지와 개선을 통해 차별화되고 경쟁력 있는 마케팅 전략의 방안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대구국제공항에서 일반 항공사 항공기를 이용하는 고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25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220부가 회수되었다. 회수된 설문지 중 불성실하게 응답하거나 응답이 누락된 설문지 14부를 제외한 총 206부의 설문지를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가설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SPSS 18.0과 AMOS 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자아이미지 일치성은 브랜드 애착의 애정, 열정, 결속 요인에 각각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객의 입장에서 그들의 현재와 추구 하는 이미지가 항공사의 이미지와 더욱 일치할수록 해당 항공사 브랜드를 더 선호하기 때문에 생긴 결과로 생각된다. 둘째, 브랜드 애착의 세 가지 요인 중 열정이 브랜드 충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브랜드 애착의 요인 중 열정 요인이 충성도에 더 중 요하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브랜드 애착의 요인 중 애정과 결속을 무시할 수는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자아이미지 일치성이 브랜드 애착 중 열정만을 경유해서 브랜드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사실은 소비자와 항공사의 이미지 일치성은 소비자의 열정을 통해서만 항공사 충성도로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항공사는 브랜드 애착의 애정과 결속에 신경을 쓸 필요가 있다. 이러한 발견으로부터의 시사점으로 항공사는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전략의 일환으로 표적시장의 브랜드 개성에 맞는 광고를 개발하여 고객을 유치하도록 하고, 내부적으로 차별화되는 기내 서비스를 개발하여 해당 고객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일반항공사에 대한 자아이미지 일치성을 파악하여 제공함으로써 일반항공사 이용고객과 브랜드와의 애착을 강화하여 일반항공사의 브랜드 충성도를 높이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는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표본의 특성, 다양한 변수의 선정이라는 점에서 연구의 한계가 존재한다. 추후 연구되는 관련 분야의 미래연구에서는 탑승경험이 많은 응답자와 다양한 변수를 적용할 필요가 있다. With growing competition between countries and enterprises due to globalization and reduction of technical gap, the era of competition between corporate brands is unfolding exceeding the era of competition between quality of products, which is no longer exception in the airline market. Also, many regular airline passengers have become budget airline customers since budget airlines started their businesses in Korea. Therefore strategies of regular airlines are necessary for customer securement and retention.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how self-image congruence toward airlines affected affection, passion and connection of brand attachment and how these variables affected brand loyalty. This study also intended to identify whether self-image congruence affected brand loyalty mediated by brand attachment. Through these analyses, this research identified differentiated and competitive marketing strategies for airlines`` image retention and improvement. To achieve this objective,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customers using flight at the Daegu International Airport and 220 sheets of questionnaire were collected as a result. Of the questionnaires collected, this study utilized a total of 206 questionnaires for final analysis, witheliminating 14 sheets containing unreliable responses or having omitted items. To test hypothetical relationships of variables, this study used SPSS 18.0 and AMOS 20 statistics program.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ly, self-image congruence had a positive influence affection, passion and connection respectively. This result means that customers preferred an airline brand of more concurring with their images to one of less concurring with their images. Secondly, amongst three factors of brand attachment, passion turned out to have a significantly a positive effect on the loyalty, which showed that passion is more important than any other factors of brand attachment on the perspective of loyalty. However, this finding did not mean that affection and connection should be regarded as unimportant. Thirdly, amongst three factors of brand attachment, passion had a mediating effect between self-image congruence and brand loyalty, which suggested that confirmity of image between consumers and airlines could be connected to loyalty toward airlines only through consumers’ passion. However, this finding did not mean that affection and connection should be regarded as unimportant. Based on these findings, firstly, regular airlines are advised to advertise their brand personalties to target markets. Secondly regular airlines should provide passengers differentiated cabin services and try to make them enjoy these, which requires organizational culture and training.

      • KCI등재

        Service Perceptions of Full Service Airlines and Low Cost Carriers : A Case of Airlines in South Korea

        남성집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015 관광레저연구 Vol.27 No.8

        저가항공사의 등장으로 기존항공사와 저가항공사간의 서비스 차별화의 필요성은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으며, 항공사들은 기업의 핵심적 가치를 제고하는방법으로 서비스차별화 또는 가격경쟁력을 선택하고 있다. 항공 산업에서의 이러한 다변화된 항공서비스품질의 제공은 서비스품질을 연구하는 학계에서도 항공서비스품질에 대한 관심을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 이후 국내에서도 많은 연구자들이 일반항공사와 저가항공사의 서비스품질요인 등 다양한 주제를 통하여비교적 활발한 연구를 진행하였으나, 대부분의 연구는 일반항공사 또는 저가항공사의 단편적 항공서비스 품질에 국한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동일화된 문항을 통하여 일반항공사와 저가항공사의 항공서비스품질 및 고객 충성도와 관련된 요인들을 소비자의 관점에서 상호 비교하고 그 차이점을 찾는데 있다. 연구결과 소비자의 인지된 항공서비스 품질 및 전반적 만족도는 모든 문항에서 일반항공사가 저가항공사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객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서비스 요인도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항공사의 소비자들은 직원 및승무원이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가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반면, 저가항공사를 이용하는 고객에 있어서는 시스템적인 서비스 요인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점화식 a_n = a_(n-1) + a_(n-3), a_1 = a_2 = a_3 =1의 일반항에 대하여

        노문기 ( Moon Chi Roh ),정재훈 ( Jae Hoon Jung ),강정기 ( Jeong Gi Kang ) 한국수학교육학회 2013 수학교육논문집 Vol.27 No.4

        교사 위주의 수업보다 학생 중심의 탐구 활동이 지속적으로 강조되고 있지만, 이를 실행하기란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학생들의 지적 호기심은 주관적이며, 지적 호기심을 충족해주는 것은 교육 과정에 충실한 교육 못지않게 중요하다. 본 연구는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얻은 수열로부터 시작되었다. 이 수열은 점화식 a_n = a_(n-1) + a_(n-3) (n≥ 4),a_1 = a_2 = a_3 =1으로 표현되었는데, 우리는 이 수열의 일반항을 찾아보고자 시도하였다. 주어진 문제의 점화식은 피보나치 수열의 점화식과 형태는 비슷해 보이지만 일반항을 구하는 과정은 결코 비슷하지 만은 않았다. 각고의 노력 끝에 우리는 같지만 서로 다르게 표현되는 두 개의 아름다운 일반항을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와같은 탐구과정이 교육 현장에 활력을 불어 넣는 데 일조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It is important to make students do research for oneself. But the practice of inquiry activity is not easy in the mathematics education field. Intellectual curiosities of students are unpredictable. It is important to meet intellectual curiosities of students. We could get a sequence in the process solving a problem. This sequence was expressed in a form of the recurrence relation a_n = a_(n-1) + a_(n-3) (n≥ 4),a_1 = a_2 = a_3 =1. We tried to look for the general terms of this sequence. This sequence is similar to Fibonacci sequence, but the process finding the general terms is never similar to Fibonacci sequence. We can get two general terms expressed in different form after our a great deal of effort.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give the spot of education energy.

      • KCI등재

        일반항공에서의 제조물책임에 관한 연구 -미국 일반항공진흥법(GARA)을 중심으로-

        이창재 ( Chang Jae Lee )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구 한국항공우주법학회) 2014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 Vol.29 No.2

        미국에서 일반항공산업의 보호를 위해 입안된 GARA는 일반항공의 제조업자를 지나치게 보호한다는 비판에서 지속적으로 위헌성이 제기됨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적용되고 있는 법률이다. 일반항공 사고에 관한 소송에서 우리나라 국민이 원고나 피고가 되었을 때 이 법이 직접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는 역외적용의 측면에서 이 법은 우리에게도 큰 의의가 있다. 또한 GARA는 일반항공기 및 그 부품에 관한 특별법이지만, 제소기간을 18년으로 확정하면서 제소기간의 의미, 기산점, 적용제외 등을 상세히 규정하고 있어서 일반 제조물책임상 제소기간 규정과의 좋은 비교가 된다. 특히 제소기간 규정과 관련하여 우리 제조물책임법이 일률적으로 10년이라는 제소기간을 설정하면서 이에 관한 구체적인 적용과 관련한 규정을 전혀 두고 있지 않아서 문제이다. 제조물의 개별적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일반규정으로 인하여 일반항공에서 특별히 18년이라는 제소기간을 규정하고 있는 미국보다 한국의 제조물책임법이 더 짧은 제소기간을 운영하여 한국의 일반법이 미국의 특별법 보다 제조업자를 더욱 두텁게 보호하는 결과가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의 인식하에 GARA의 제소기간 규정으로부터 우리의 제조물책임법의향후 개정방향을 다음과 같이 짚어 볼 수 있다. 첫째, 제조물책임법상 제소기간을 일괄적으로 정하는 것 보다는 여러 가지 다양한 제조물을 유형화하여 개별적 제소기간 규정을 두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둘째, 실제 소송에서 소모적인 논쟁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조물 공급일의 의미를 명확히 규정할 필요가 있다. 셋째, 제소기간 규정을 일률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합리적이지 못한 경우를 대비하여 제척기간으로 해석되는 우리의 제소기간 규정이 적용되지 않을 수 있는 예외조항을 둘 필요가 있다. 비교법적인 관점에서 제조물책임상 제조업자와 피해자인 소비자 간의 이익균형을 맞출 수 있는 합리적인 제소기간 규정의 설정이 모색되어야 하겠다. The U.S. General Aviation Revitalization Act of 1994 (the “GARA”) created a statute of repose that bars any claims arising from an aviation product or component more than 18 years after its date of delivery. The statute was enacted to protect general aviation aircraft manufacturers from the excessive product liability costs. The GARA included four exceptions: (a) medical emergency patients, (b) those not on the aircraft, (c) those based on written warranties, and (d) those causally related to a “knowing misrepresentation” made by the manufacturer to the FAA. The GARA also incorporates a provision for revised starting point of reckoning to which any repairs or replacements of an aviation product. This note aimed to discuss General Aviation and GARA in depth including the meaning of statue of repose, its exceptions. The various precedents about GARA were also reviewed in here as well. From the GARA, as a comparative legal issue in aviation product liability, there can be some suggestions for revision of Korean Products Liability Act. First, it seems to be reasonable to regulate the specific statute of repose provisions for various category of products. In GARA, the period of 18 years is reasonable concerning to the average aircraft life. Second, in order to avoid exhausting debate and for the judicial economy, it needs to clarify when the statute begins to run. GARA``s 18 year limitation period begins to run on the different date whether it was delivered to its first purchaser or a person engaged in the business of selling the aircraft. Last but not least, proper exceptions should be added into the law for equity matter of the statute of repose does not apply. For example, a manufacturer is not protected by GARA if it knowingly misrepresents certain safety information to the FAA.

      • 항공사의 서비스가치의 인과관계에 관한 연구

        조영희,장대성,채규진 한국항공경영학회 2010 한국항공경영학회 추계학술대회 Vol.2010 No.-

        본 연구는 기존의 일반 항공사와 새롭게 입지를 굳히고 있는 저가항공사의 서비스 가치 규명을 통해 항공 산업에서 경쟁력을 키우기 장기전략 수립에 대한 제언을 하고자 함에 그 목적에 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국내 항공 산업분야에서 서비스품질과 서비스프로세스품질이 서비스 이용자들이 느끼는 서비스가치 및 고객만족과 충성도에 어떠한 영향과 의미를 가지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서비스가치를 결정하는 서비스품질, 프로세스품질 요인이 일반항공사와 저가항공사가 각각 달랐다. 일반항공사(아시아나항공, 대한항공)는 반응, 보증, 공감성이 하나의 요인으로 가치에 영향을 미쳤고, 서비스 프로세스요인 중에서는 탑승절차 요인이 서비스가치에 영향을 미쳤다. 반면, 저가항공사(진에어, 제주항공, 이스타항공)는 유형성과 보증성 요인만이 서비스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결과가 나타났다. 즉 저기항공사의 승객들은 안전에 관계된 유형성 품질 즉 항공기의 기령과 승무원의 항공 운항지식과 안전의식에 상당히 민감한 것 같아 저가항공사는 이 분야의 품질 향상에 장기적인 전략을 수립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일반항공사는 스피드 있는 서비스와 승객의 마음을 더 알아주는 공감성 있는 서비스의 향상 전략이 필요하다.

      • KCI등재

        AHP를 이용한 낙도 보조항로 운영주체 선정에 관한 실증연구

        노창균(Chang-Kyun Noh) 한국항해항만학회 2005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29 No.5

        최근 낙도 보조항로의 운영에 있어서 선박 취항명령후 운영사업자의 계속적인 사업수행으로 일반항로에 비해 경영개선노력이 부진하거나 서비스의 질이 저하되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낙도 보조항로 운영주체를 검토하여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AHP 기법을 이용한 실증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보조항로 사업자에 대한 경영평가제를 도입하여 사업자 스스로 지속적인 경영개선 노력을 유도함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A range of problems have risen as the results of the obligated charter service. Constant lack of operation improvement compared to regular routes and lower quality service are results of business practice by the service providers. Therefore, this study executed an empirical research using AHP to present a method for improvement by investigating remote island charter service providers. Result shows that the desirable method is to implement operation evaluation system to induce service providers to consistently put efforts on the operating system development.

      • KCI등재

        다차원척도법을 활용한 항공사 브랜드 포지셔닝 연구

        최판호,전재균 한국자료분석학회 2018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0 No.5

        LCC의 출현으로 항공시장의 경쟁이 갈수록 심화됨에 따라 각 항공사들의 경쟁우위 확립을 위한 포지셔닝 전략은 더욱 중요할 수 밖에 없다. 본 연구는 항공사 선택속성을 바탕으로 속성벡터를 분석함으로써 항공사 선택속성에 대한 항공사 이용객의 선호도와 이상점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항공 탑승 경험이 있는 고객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 회수하여 다차원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포지셔닝 맵 상에는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진에어와 에어부산, 티웨이와 이스터항공 등은 서로 가까이 위치하여 경쟁이 치열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제주항공의 경우 타 항공사와 멀리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어서 다른 항공사와의 경쟁관계가 미약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항공사 선택속성에 따른 벡터분석에서는 대한항공은 예약/발권/환불의 편리성, 운항스케줄의 편리성, 지상서비스, 수하물서비스, 기내서비스, 로얄티 프로그램, 면세품의 다양성 등이 높은 경쟁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에어부산은 운항 안전성/신뢰성, 정시운항, 항공기 쾌적성, 운항 취소/지연에 대한 보상, 항공사 이미지, 부대서비스 등이 상대적으로 높은 경쟁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극점과 이상점 간의 거리는 대한항공이 가장 가까웠으며, 그 다음으로 아시아나항공, 에어부산, 진에어, 제주항공, 티웨이항공 순서로 나타났으며, 이스타항공이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Due to the advent of the LCC, the competition in the airlines service market has become more and more intense, and the positioning strategies for establishing competitive advantages of each airline have become more importa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ttribute vector based on the airline selection attributes and to analyze the customer preference and ideal point of the airline selection attributes. Empirical data was collected from the passenger experienced in boarding. As a result of the analysis, Korean Air vs Asiana Airlines, Jin Air vs Air Busan, T'way vs Easter Jet were found to be closely competitive on the perceptual map. The similarity of the images was found to be similar among the compared airlines. In case of Jeju Air, there is no image similarity. The distances between the stimulus point and the ideal point were in the order of Korean Air, and Asiana Airlines, Air Busan, Jin Air, Jeju Air and T'way Airlines, Easter Jet. This study provides specific suggestions about how a airlines service can use the results to improve their performance or to build a different edge.

      • KCI등재
      • KCI등재

        우리말 성조 방언에서 반평성과 반거성

        김차균 ( Kim Cha Gyun ) 한말연구학회 2003 한말연구 Vol.- No.13

        N/A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escribe contrastively the realizations of the plain unmarked tone `Peongseong` and that of the marked tone `Geoseong` in the environment of [## -#] and [## - ^#] in detail. Here, the sign [^#] designates word boundary or pause, [##] phrase boundary, [#] open juncture respectively. Open juncture does not always appear physically, but exerts significant influence upon the realization of tones. While Peongseong /H/ is realized into [MH], and Geoseong, into [HH] in the environment of ## - #, in the environment of ## - ^# they are realized into [M] and [H] respectively. The [M] like this is the first half of normal Phyeongseong realzation [MH], on the other hand the [H] is the first half of normal Geongseong realization [HH]. Hence, we can designate such [M] and [H] as we introduced in the above as half-Phyeongseong and half-Geoseong respectively. Through such observation, we could describe various pitch patterns that we could exami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