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지형 씨 마늘 선별기 설계를 위한 인편 물성 분석

        한유진 ( Yu Jin Han ),이주희 ( Ju Hee Lee ),박형규 ( Hyung Gyu Park ),김용직 ( Yong Gik Kim ),김영수 ( Yeong Su Kim ),우승민 ( Seung Min Woo ),하유신 ( Yu Shin Ha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3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2

        파종작업은 마늘 재배 공정 중 많은 노동력이 소요되는 작업임에 따라 기계화가 요구되는 상황이다. 하지만, 파종기를 사용하면 발생하는 결주로 인해 마늘 파종의 기계화율은 21.0%에 그치고 있다(농촌진흥청, 2021). 마늘 파종기의 결주율을 낮추기 위해서 배종컵과 씨 마늘의 인편 간 규격이 맞아야 하며, 이에 따라 파종작업 전 마늘 선별작업이 요구된다. 선별작업 기계화가 되어있는 난지형 품종과 달리 한지형 품종은 인편의 크기가 작아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인건비와 노동력 절감을 위해 선별작업의 기계화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지형 마늘 인편의 물리적 특성을 분석하여 선별부 설계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대표적인 한지형 마늘인 의성 품종 인편을 활용하였으며, 의성군 의성읍에서 직접 채취하여 마늘 인편을 분리하였다. 한지형 마늘 인편의 길이, 폭, 두께, 발아 및 뿌리부 높이를 정의하기 위해 1,200개 인편을 측정하였으며, 밀도 함수와 누적 분포 함수로 정규화시켰다. 버니어 캘리퍼스를 이용하여 크기 항목을 측정하였고, 발아 및 뿌리부 높이 측정 시에는 인편의 발아 및 뿌리부를 위로 향하게 마늘의 가장 넓은 면을 지면에 놓고 정지 상태일 때, 지면과 마늘의 가장 높은 위치를 높이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평균 길이, 폭, 두께, 발아부 높이, 뿌리부 높이, 무게 순으로 28.47 mm, 15.42 mm, 15.64 mm, 15.92 mm, 17.35 mm, 3.43 g 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한지형 씨마늘 선별부 제원 설계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주야간 온도별 난지형 마늘의 광합성, 생육 및 인편 형성

        오서영,문경환,송은영,고석찬 한국원예학회 2019 원예과학기술지 Vol.37 No.6

        Photosynthesis, growth, and clove formation were investigated in southern-type garlic (Allium sativum L.) grown under different day/night temperature regimes (11/7, 17/12, and 23/18°C) using soil-plant-atmosphere-research (SPAR) chambers to determine the optimum cultivation temperature and assess the impact of low- and high-temperature stress on garlic plants. Garlic grown at 17/12°C had the greatest height, bulb diameter and length, bulb fresh weight, and numbers of normal cloves per bulb at harvest time. Furthermore, the net photosynthetic rate (Amax) was high and the dark respiration rate (Rd) was low during the growth stage. Conversely, garlic grown at 23/18°C had enhanced secondary growth when harvested, including continuous growth of cloves of primary plants and/or the growth of bulbil buds into secondary plants. Garlic harvested from plants grown under the 11/7°C regime had small bulbs and immature cloves because vegetative growth was incomplete. In addition, garlic grown at 23/18°C and 11/7°C had low Amax and high Rd during the growth stage.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17/12°C temperature regime is favorable to the growth of garlic plants and may be better for producing optimum commercial products with bulbs and cloves of regular shape and size. Garlic grown at 23/18°C should be harvested earlier to prevent damage caused by high temperature, whereas garlic grown at 11/7°C should be harvested later to increase the growth period. 본 연구에서는 난지형 마늘(Allium sativum L.)의 적합한 재배온도 범위를 알아보기 위하여 주야간 온도(11/7, 17/12, 23/18°C)를 달리한 soil-plant-atmosphere-research(SPAR) 체임버에서 마늘의 광합성, 생육, 인편 형성 등을 조사하고 저온 과 고온 스트레스의 영향을 알아보았다. 17/12°C에서 재배되었을 때 수확기의 초장, 인경 두께와 길이, 인경 중량, 정상적인 인 편수가 증가하였다. 그리고, 생육기의 최대광합성률(Amax)은 높고 암호흡률(Rd)은 낮았다. 반면에, 23/18°C에서는 인편의 지 속적인 생장, 인편 속에 새로운 작은 인편들이 분화 등 이차생장으로 인해 벌마늘이 형성되었다. 그리고, 11/7°C에서는 영양생 장이 완료되지 않아 인경 크기가 작고 전체적으로 미숙한 인편이 형성되었다. 더욱이 23/18°C와 11/7°C에서는 생육기의 최대광합성률은 낮고, 암호흡률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17/12°C 조건이 마늘 재배에 최적임을 나타내며, 크기와 모양이 균일한 인경과 인편을 가지는 상품성이 높은 마늘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재배기간 동안 17/12°C에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함 을 나타낸다. 반면에, 23/18°C에서는 고온 장해가 발생하기 전에 수확시기를 다소 앞당기고, 11/7°C에서는 인경 비대가 충분 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재배기간을 연장하여 수확시기를 늦출 필요가 있음을 나타낸다.

      • SCIESCOPUSKCI등재

        나팔나리 ‘Gelria’ 인편삽 시 인편 착생부위와 삽목조건에 따른 유공비닐봉지 내에서의 소인경 생장

        유용권(Yong Kweon Yoo),김병운(Byung Woon Kim) 한국원예학회 2006 원예과학기술지 Vol.24 No.2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effect of scale position and cutting condition on bulblet growth in perforated polyethylene film bag in scaling of Lilium longiflorum ‘Gelria’. Cutting with scales obtained from outer position of mother bulb was more effective in bulblet formation and growth than those from inner or middle position. Weight, diameter, height, and number of bulblets were increased at 25℃ as compared to 15, 20 or 30℃. Addition of 300~400 mL water per 1 L medium increased the weight of bulblet by 80% as compared to the control. Scaling media were the best in peatmoss for bulblet growth. Mixing of scales and medium at 1:4 ratio was effective for scaling of Lilium longiflorum ‘Gelria’ in perforated polyethylene film bag.

      • KCI등재

        번식력이 우수한 밝은 노란색 절화용 FA종간잡종 나리 ‘Lime Glow’ 육성

        강윤임,정향영,구대회,최윤정,이주희 한국화훼학회 2015 화훼연구 Vol.23 No.3

        A FA interspecific hybrid lily (Lilium spp.) cultivar ‘Lime Glow’ was developed in 2013 at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Korea. The cross was made in 2002 between a FA interspecific hybrid lily ‘FA97-1’, a line light yellow flower, and ‘Carthago’, yellow flowered cultivar, by utilizing cut-style pollination method in twenty flowers. Two immature pods were harvested and ovules with embryo were cultured in vitro. Preliminarily selection was done as ‘FA06- 200’ in 2006. Characteristic evaluations were conducted from 2007 to 2012 on the selected line propagated with scales and bulblets. Based on the evaluation of its characteristics and the survey on consumer preferences, a FA interspecific hybrid lily ‘Lime Glow’ which had light yellow tepals (RHS,Y3C) and absent spot was selected in 2013 for cut flower. The ploidy level of ‘Lime Glow’ is triploid. The flower diameter of ‘Lime Glow’ is 16.0 cm and number of flower buds is 5.3 per a plant. The plant height is 113.6 cm, which is suitable length for cut flower. Flowering time of ‘Lime Glow’ is June 17, faster than June 22 of reference cultivar ‘Royal Fantasy’,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Circumference of flowering bulb was 14.8 cm, showing ability to flower from smaller bulbs than general Asiatic lilies and reference cultivar ‘Royal Fantasy’. Bulb had single nose, and division of mother bulb did not occur. When propagated by scaling, the number of bulblet formed per bulb were 19.5 in ‘Lime Glow’, indicating that the FA interspecific hybrid lily ‘Lime Glow’ was more propagative cultivar than reference cultivar ‘Royal Fantasy’, which produced 5.5 bulblets per bulb.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는 2013년 신나팔나리(Lilium × formolongi)와 아시아틱 나리 간의 교잡종(FA 종간잡종 나리) ‘Lime Glow’를 개발하였다. 2002년 연한 노란색 FA종간잡종 나리 ‘FA97-1’과 노란색의 아시아틱 나리 ‘Carthago’를 각각 모본과 부본으로 화주 절단 수분법으로 20화를 인공교배하였고, 교배 후 미숙한2개의 꼬투리를 수확하여 배가 형성된 배주를 기내에서배양하여 잡종을 획득한 후 재배하였다. 육묘한 배양묘로부터 2006년 상향개화형이며 밝은 노란색의 FA종간잡종 나리 ‘FA06-200’ 계통을 개체 선발하였다. 2007년부터 2012년까지 선발된 계통은 자구와 인편번식, 조직배양을 이용하여 번식 및 양구한 후 1, 2차 생육특성검정을 실시하였다. 2013년 3차 생육특성검정 및 소비자 기호도 평가를 수행한 결과 화색 및 화형에 대한 기호도가높은 밝은 노란색(RHS, Y3C)의 절화용 FA종간잡종 나리‘Lime Glow’를 육성하였다. 3배체의 FA종간잡종 나리로초장은 113.6cm로 초장신장성이 우수하였다. ‘Lime Glow’ 의 화폭은 16.0cm이며 소화수는 본당 5.3개였다.‘Lime Glow’의 자연개화기는 6월 17일로 중생종이었으며 통계적 유의 차는 없었으나 대조품종 ‘Royal Fantasy’의 6월22일에 비교하여 빨랐다. ‘Lime Glow’의 경우 아구수가1개로 분구가 일어나지 않는 특성을 가졌으며 개화구의구근 둘레는 14.8cm로 일반적인 나리에 비하여 소구개 화성의 특성을 가지며 대조품종 ‘Royal Fantasy’ 16.5cm 에 비하여 작은 구근에서 개화한다. 인편번식 처리 후 인편 생성 능력을 살펴보면 ‘Lime Glow’의 경우 19.5개로대조품종 5.5개에 비하여 높았으며 생성된 자구의 총 무게도 역시 높았다.

      • KCI등재

        아이보리색의 대형 절화용 오리엔탈-트럼펫 종간잡종 나리 품종 ‘Milky Way’ 육성

        이주희,이영란,최윤정,강윤임 한국화훼학회 2017 화훼연구 Vol.25 No.3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는 2013년 오리엔탈-트 럼펫(OT) 종간잡종나리 ‘Milky Way’를 개발하였다. 2005년 노 란색 OT 종간잡종나리 ‘Avocado’와 백색의 오리엔탈나리 ‘Cordoba’를 각각 모본과 부본으로 화주 절단 수분법과 주두교 배법으로 14화를 인공교배하였고, 교배 후 미숙한 8개의 꼬투리 를 수확하여 배가 형성된 배주를 기내에서 배양하여 잡종을 획 득한 후 재배하였다. 육묘한 배양묘로부터 2008년 상향개화형 이며 아이보리색의 OT 종간잡종 나리 ‘OTO-08-1’ 계통을 개체 선발하였다. 2009년부터 2012년까지 선발된 계통은 자구와 인 편번식, 조직배양을 이용하여 번식 및 양구한 후 1, 2차 생육특 성검정을 실시하였다. 2013년 3차 생육특성검정 및 소비자 기 호도 평가를 수행한 결과 화색 및 화형에 대한 기호도가 높은 아이보리색(RHS, W155A)의 절화용 OT 종간잡종 나리 ‘Milky Way’를 육성하였다. 3배체의 OT 종간잡종 나리로 초장은 122.7cm로 초장신장성이 우수하였다. ‘Milky Way’의 화폭은 19.0cm이며 대조품종 ‘Yelloween’의 14.3cm에 비하여 통계적 으로 유의하게 크다. 또한 꽃잎과 잎의 폭과 길이가 대조품종에 비하여 길게 나타났다. 개화구의 구근이 22.0cm로 대구성의 특 성을 보인다. 구근의 인편번식 처리 후 인편 생성 능력을 살펴보 면 ‘Milky Way’의 경우 11.0개로 대조품종 14.0개에 비하여 낮 았으나 생성된 자구의 총 무게는 차이가 없어 자구의 개수는 작으나 개별 인편자구의 크기가 큰 것으로 판단된다. A new Oriental-Trumpet (OT) interspecific hybrid lily (Lilium spp.) cultivar named ‘Milky Way’ was developed in 2013 at the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Korea. The OT interspecific hybrid lily ‘Avocado’, which produces a yellow flower, was crossed with ‘Cordoba’, which produces a white flower, in 2005 using the cut style pollination method in three flowers and normal artificial pollination in eleven flowers. Eight immature pods were harvested and ovules with embryos were cultured in vitro. Preliminary selection was carried out as ‘OTO-08-1’ in 2008, following which multiplication and bulb formation, and characteristic tests were conducted from 2009 to 2012. Based on the evaluation of its characteristics and a survey of the preferences of consumers, the OT interspecific hybrid lily ‘Milky Way’, which has ivory tepals (RHS, W155A), was developed in 2013 for use as a cut flower. ‘Milky Way’ is triploid and has a plant height of 122.7 cm, which is suitable for cut flowers. The flower diameter of ‘Milky Way’, 19.0 cm, have a significantly larger than those of ‘Yelloween’ 14.3 cm, and the tepals are wider and longer and the leaves are longer than in the control cultivar. The flowering bulb size is 22.0 cm, which is suitably large for the commercial production of cut flowers. As a result of scaling, the number of bulblets is smaller but the weight of the bulblets is larger than in the control cultivar.

      • KCI등재

        번식력이 우수한 밝은 노란색 절화용 FA종간잡종 나리 ‘Lime Glow’ 육성

        강윤임,정향영,구대회,최윤정,이주희 한국화훼학회 2015 화훼연구 Vol.23 No.3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는 2013년 신나팔나리(Lilium×formolongi)와 아시아틱 나리 간의 교잡종(FA종간잡종 나리) ‘Lime Glow’를 개발하였다. 2002년 연한 노란색 FA종간잡종 나리 ‘FA97-1’과 노란색의 아시아틱 나리 ‘Carthago’를 각각 모본과 부본으로 화주 절단 수분법으로 20화를 인공교배하였고, 교배 후 미숙한2개의 꼬투리를 수확하여 배가 형성된 배주를 기내에서배양하여 잡종을 획득한 후 재배하였다. 육묘한 배양묘로부터 2006년 상향개화형이며 밝은 노란색의 FA종간잡종 나리 ‘FA06-200’ 계통을 개체 선발하였다. 2007년부터 2012년까지 선발된 계통은 자구와 인편번식, 조직배양을 이용하여 번식 및 양구한 후 1, 2차 생육특성검정을 실시하였다. 2013년 3차 생육특성검정 및 소비자 기호도 평가를 수행한 결과 화색 및 화형에 대한 기호도가높은 밝은 노란색(RHS, Y3C)의 절화용 FA종간잡종 나리‘Lime Glow’를 육성하였다. 3배체의 FA종간잡종 나리로초장은 113.6cm로 초장신장성이 우수하였다. ‘Lime Glow’의 화폭은 16.0cm이며 소화수는 본당 5.3개였다.‘LimeGlow’의 자연개화기는 6월 17일로 중생종이었으며 통계적 유의 차는 없었으나 대조품종 ‘Royal Fantasy’의 6월22일에 비교하여 빨랐다. ‘Lime Glow’의 경우 아구수가1개로 분구가 일어나지 않는 특성을 가졌으며 개화구의구근 둘레는 14.8cm로 일반적인 나리에 비하여 소구개화성의 특성을 가지며 대조품종 ‘Royal Fantasy’ 16.5cm에 비하여 작은 구근에서 개화한다. 인편번식 처리 후 인편 생성 능력을 살펴보면 ‘Lime Glow’의 경우 19.5개로대조품종 5.5개에 비하여 높았으며 생성된 자구의 총 무게도 역시 높았다. A FA interspecific hybrid lily (Lilium spp.) cultivar‘Lime Glow’ was developed in 2013 at National Institute of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 Rural DevelopmentAdministration, Korea. The cross was made in 2002between a FA interspecific hybrid lily ‘FA97-1’, a line lightyellow flower, and ‘Carthago’, yellow flowered cultivar, byutilizing cut-style pollination method in twenty flowers. Twoimmature pods were harvested and ovules with embryo werecultured in vitro. Preliminarily selection was done as ‘FA06-200’ in 2006. Characteristic evaluations were conducted from2007 to 2012 on the selected line propagated with scales andbulblets. Based on the evaluation of its characteristics and thesurvey on consumer preferences, a FA interspecific hybridlily ‘Lime Glow’ which had light yellow tepals (RHS,Y3C)and absent spot was selected in 2013 for cut flower. Theploidy level of ‘Lime Glow’ is triploid. The flower diameterof ‘Lime Glow’ is 16.0 cm and number of flower buds is 5.3per a plant. The plant height is 113.6cm, which is suitablelength for cut flower. Flowering time of ‘Lime Glow’ is June17, faster than June 22 of reference cultivar ‘Royal Fantasy’,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Circumference offlowering bulb was 14.8cm, showing ability to flower fromsmaller bulbs than general Asiatic lilies and reference cultivar‘Royal Fantasy’. Bulb had single nose, and division ofmother bulb did not occur. When propagated by scaling,the number of bulblet formed per bulb were 19.5 in ‘LimeGlow’, indicating that the FA interspecific hybrid lily ‘LimeGlow’ was more propagative cultivar than reference cultivar ‘Royal Fantasy’, which produced 5.5 bulblets perbulb.

      • KCI등재

        기온과 토양수분 함량에 따른 난지형 마늘의 생장, 인편분화, 생리장해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이희주(Hee Ju Lee),이상규(Sang Gyu Lee),김성겸(Sung Kyeom Kim),문보흠(Boheum Mun),이진형(Jin Hyoung Lee),이희수(Hee Su Lee),권영석(Young Seok Kwon),한지원(Ji Won Han),김철우(Cheol Woo Kim)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8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2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온도와 토양수분에 따른 마늘의 생육, 생리장해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실험은 온도가 6℃ 차이가 나는 온실에서 수행되었는데, 정식부터 수확까지 외기(A)보다 3℃(A+3℃), 6℃(A+6℃) 고온조건, 토양수분은 적습(OI) 대비 수확기 무렵의 다습(EI) 처리를 하였다. 그 결과, 마늘 생육특성은 온도와 토양수분 조건(0.34㎥/㎥)에 따라 고도의 유의성을 보여 고온일수록 그리고 적습 처리구일수록 컸다. 초장은 외기보다 A+6℃-OI 처리구에서 47.4㎝로 가장 컸으며, 엽장과 엽폭 역시 외기보다 A+6℃-OI 처리구가 각각 16.1㎝, 2.4㎝로 가장 컸다. 마늘재배 기간 중 외기보다 3℃, 6℃ 고온조건이 되면 스펀지마늘 발생율이 높아져 A+6℃-OI 처리구는 12.9% 발생하였고, A-EI 처리구에서는 전혀 발생하지 않았으며, 인편무게와 1쪽당 무게는 A+6℃ 고온구에서 크게 감소하여 수량이 외기대비 A+6℃ 처리구는 평균 51%, A+3℃ 처리구는 평균 22% 감소하였다. 따라서, 마늘재배시 외기보다 6℃ 고온조건과 다습조건이 되면 상품수량 감소하고, 생리장해 발생이 많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combination of air temperature and soil water contents on growth, physiological disorder rate, and yield of garlic. This experiments has been carried out in the typical plastic house (one side open and other side installed ventilation fans) which was maintained gradient air temperature (maximum different value of air temperature : 6℃). The excessive irrigation (EI) set at 0.34 ㎥/㎥ soil moisture contents. The significant differences found in the growth parameters of garlics as affected by air temperature and soil moisture conditions. The plant height of garlic with combination of ambient (A)+6℃ and optimal irrigation (OI; set at 0.22 ㎥/㎥ soil moisture contents) treatments represented 47.4 ㎝/plant, which was the highest among all the tested treatments. The leaf length and width showed the greatest, which were 16.1 and 2.4 ㎝/plant, respectively, in A+6℃OI. The physiological disorder ratio was higher as 12.9% at A+6℃-OI and was not occurred at ambient temperature with EI compared with OI treatment. The bulb and clove weight were dramatically decreased at A+6℃ temperature treatment. The yields were decreased by 51% in OI at A+6℃ and A+3℃ temperature treatment. Those results indicated that yields were decreased and ratio of physiological disorders was increased by high temperature treatments.

      • KCI등재

        분화용 아시아틱 나리 구근의 식재 깊이, 배양토 조성 및 야간온도가 구근비대에 미치는 영향

        신경진,송천영,문자영,송은경,고정애 한국화훼학회 2016 화훼연구 Vol.24 No.1

        아시아틱 나리의 인편삽으로부터 형성된 자구와 소구의효율적인 비대를 위한 식재깊이, 배양토 및 야간온도를구명하기 위하여 한국농수산대학에서 육성한 분화용 F1 품종 ‘Deep Red Liasong’과 ‘Yellow Liasong’을 이용하였다. 자구(직경 8mm)를 3 ~ 4cm의 깊이로 식재하였을때, 자구의 지름은 19.2 ~ 19.6mm, 높이는 21.5 ~ 21.9mm, 생체중은 33 ~ 3.4g으로 자구가 양호하게 비대하였다. 소구(직경 15mm)의 6cm 깊이 식재는 구의 지름이 28.5mm, 높이는 27.8mm이었고 무게가 9.2g으로 가장 양호하게 비대되었다. 자구의 식재 배양토는 인공배양토 80%+부숙왕겨20%에서 구의 지름이 21.4mm, 높이는 21.1mm였고 생체중이7.5g으로 자구가 가장 크게 비대하였다. 소구의비대도 인공배양토 100%와 인공배양토 80% +부숙왕겨20%에서 양호하였다. 야간온도에 따른 자구의 비대는10oC와 12oC에서 지름이 17.2 ~ 17.5mm, 높이는 17.8 ~ 18.7mm, 생체중은 4.2 ~ 4.9g으로 가장 양호하였다. 따라서 자구는 인공배양토와 부숙왕겨를 80 : 20으로 혼용하여3 ~ 4cm의 깊이로 식재하여 동절기 동안 10 ~ 12oC로 유지하고, 소구는 인공배양토에 부숙왕겨를 80 : 20으로 혼용하여 6cm의 깊이로 식재하는 것이 구의 비대에 효과적이다. The growth of bulblet is usually influenced by several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planting depth, culture soil composition, and temperature. Here, using two Lilium Asiatic F1 Hybrids domestic cultivars, ‘Deep Red Liasong’ and ‘Yellow Liasong,’ it was proved that bulblet enlargement was critically affected by the three factors. When bulblet whose diameter 8 mm was planted at soil depth of 3 - 4 cm, its diameter, height, and weight became 19.2 - 19.6 mm, 21.5 - 21.9 mm, and 3.3 - 3.4 g, respectively. The bulblet (8 mm diameter) planted at soil depth of 1 cm showed the lowest growth rate: diameter 13.4 mm; height 16.0 mm; weight 2.0 g. Meanwhile, bulbet whose diameter 15 mm planted at soil depth of 6 cm showed the highest growth rate: diameter 28.5 mm; height 27.8 mm; weight 9.2 g. The culture soil composition also regulated the subject development. The 8 mm diameter bulblet grew most under the following culture soil condition (80% of commercial media + 20% of rice hull): diameter 21.4 mm; height 21.1 mm; weight 7.5 g. The 15 mm diameter bulblet grew most under the same culture soil composition (80% of commercial media + 20% of rice hull) as well as 100% of the commercial media. Night temperature of 10 - 12oC showed the maximum growth rate: diameter 17.2 - 17.5 mm; height 17.8 - 18.7 mm; weight 4.2 - 4.9 g.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bulblet enlargement require the optimal environmental conditions.

      • KCI등재

        분화용 아시아틱 나리 구근의 식재 깊이, 배양토 조성 및 야간온도가 구근 비대에 미치는 영향

        신경진,고정애,송천영,문자영,송은경 한국화훼학회 2016 화훼연구 Vol.24 No.1

        아시아틱 나리의 인편삽으로부터 형성된 자구와 소구의 효율적인 비대를 위한 식재깊이, 배양토 및 야간온도를 구명하기 위하여 한국농수산대학에서 육성한 분화용 F1 품종 ‘Deep Red Liasong’과 ‘Yellow Liasong’을 이용하 였다. 자구(직경 8mm)를 3 ~ 4cm의 깊이로 식재하였을 때, 자구의 지름은 19.2 ~ 19.6mm, 높이는 21.5 ~ 21.9mm, 생체중은 33 ~ 3.4g으로 자구가 양호하게 비대하였다. 소구 (직경 15mm)의 6cm 깊이 식재는 구의 지름이 28.5mm, 높 이는 27.8mm이었고 무게가 9.2g으로 가장 양호하게 비 대되었다. 자구의 식재 배양토는 인공배양토 80%+부숙왕 겨20%에서 구의 지름이 21.4mm, 높이는 21.1mm였고 생 체중이7.5g으로 자구가 가장 크게 비대하였다. 소구의 비대도 인공배양토 100%와 인공배양토 80% +부숙왕겨 20%에서 양호하였다. 야간온도에 따른 자구의 비대는 10oC와 12oC에서 지름이 17.2 ~ 17.5mm, 높이는 17.8 ~ 18.7mm, 생체중은 4.2 ~ 4.9g으로 가장 양호하였다. 따라 서 자구는 인공배양토와 부숙왕겨를 80 : 20으로 혼용하여 3 ~ 4cm의 깊이로 식재하여 동절기 동안 10 ~ 12oC로 유 지하고, 소구는 인공배양토에 부숙왕겨를 80 : 20으로 혼 용하여 6cm의 깊이로 식재하는 것이 구의 비대에 효과 적이다. The growth of bulblet is usually influenced by several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planting depth, culture soil composition, and temperature. Here, using two Lilium Asiatic F1 Hybrids domestic cultivars, ‘Deep Red Liasong’ and ‘Yellow Liasong,’ it was proved that bulblet enlargement was critically affected by the three factors. When bulblet whose diameter 8 mm was planted at soil depth of 3 - 4 cm, its diameter, height, and weight became 19.2 - 19.6 mm, 21.5 - 21.9 mm, and 3.3 - 3.4 g, respectively. The bulblet (8 mm diameter) planted at soil depth of 1 cm showed the lowest growth rate: diameter 13.4 mm; height 16.0 mm; weight 2.0 g. Meanwhile, bulbet whose diameter 15 mm planted at soil depth of 6 cm showed the highest growth rate: diameter 28.5 mm; height 27.8 mm; weight 9.2 g. The culture soil composition also regulated the subject development. The 8 mm diameter bulblet grew most under the following culture soil condition (80% of commercial media + 20% of rice hull): diameter 21.4 mm; height 21.1 mm; weight 7.5 g. The 15 mm diameter bulblet grew most under the same culture soil composition (80% of commercial media + 20% of rice hull) as well as 100% of the commercial media. Night temperature of 10 - 12oC showed the maximum growth rate: diameter 17.2 - 17.5 mm; height 17.8 - 18.7 mm; weight 4.2 - 4.9 g.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bulblet enlargement require the optimal environmental conditions.

      • SCIESCOPUSKCI등재

        하늘말나리 미숙배 배양에 의한 인편 유도 및 식물체 재분화

        고정애(Jeong Ae Ko),김현순(Hyun Soon Kim),김영숙(Young Sook Kim) 한국원예학회 2006 원예과학기술지 Vol.24 No.2

        A system for multiple bulb scale formation and plantlet regeneration from immature embryos explants of Lilium tsingtauense Gilg. cultured on MS medium containing NAA/BA and 2,4-D/BA was established. Developmental stage of embryos and plant growth regulators significantly affected on callus and bulb scale induction. The globular and torpedo stage of embryos did not callus and bulb scale induction. The optimal stage of embryos was early cotyledonary stage of embryos in 70-90 days after pollination. In culture of immature embryos with cotyledonary stage, organogenic callus induced and led to bulb, shoot and root formation. Explants on medium with NAA/BA produced higher number of bulb scales than with 2,4-D/BA. Sixty-seven percent of explants was produced when explants were cultured with a combination of 1.0 mg L?¹ NAA and 1.0 mg L?¹ BA for 30 days. The highest number of bulb scale (12.0 to 15.0 bulb scales per explant) was obtained when explants were treated with a combination of 3.0 mg L?¹ NAA and 3.0 mg L?¹ BA for 60 days culture. The number of shoots formed from the bulb scales by transferred to the medium with 2.0 mg L?¹ NAA and 2.0 mg L?¹ BA. Bulb scale disks formed roots in MS medium without plant growth regulators. A total of 90 plants were regenerated from explants, morphological abnormalities were not observed among regenerated plants. Regenerants were transferred to the pot and grown to matur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