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교 1학년생의 인터넷 역사 텍스트 읽기 양상

        박은지(Park Eunji),박현숙(Park Hyunsook) 한국역사교육학회 2021 역사교육연구 Vol.- No.39

        본 연구에서는 대학교 1학년 학생들의 인터넷 역사 텍스트 읽기 양상을 질적 연구를 통해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의 역사교육적 논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교 1학년 학생들의 인터넷 역사 텍스트 읽기 활동에는 연구 참여 이전에 형성된 선행지식이 작용하였다. 따라서 학생들이 원하는 정보의 형태와 내용에 따라 인터넷 역사 텍스트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중ㆍ고등학교 교육에서 인터넷 환경 지식과 다양한 형태의 인터넷 역사 텍스트에 대한 경험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인터넷 역사 텍스트의 정보를 분절적으로 인식하고 구체적인 검색목표에 맞추어 인터넷 공간의 파편화된 지식을 탐색하였다. 이는 정보의 출처를 중요하게 여기는 역사학 연구와는 상반된 것으로, 독자 개인의 목표에 따라 재구성·재생산이 자유로운 인터넷 역사 텍스트의 특성을 반영하는 새로운 읽기 방안을 마련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셋째, 연구 참여자들은 인터넷 역사 텍스트의 신뢰도를 ‘대중성’을 기준으로 판단하였다. 인터넷 공간의 특징을 고려하여 대중성을 기준으로 텍스트를 선정하는 것은 합리적이지만, 알고리즘이나 가짜 뉴스 등에 쉽게 휩쓸릴 수 있음을 알고 경계해야 한다. 넷째, 사료 비판의 한 방법인 내용의 교차 검토는 인터넷 공간에서 텍스트들의 내용을 서로 비교하거나 다양한 형태의 텍스트들을 활용하는 방식, 복합적인 감각 자극의 교차를 통해 텍스트 자체의 신뢰도를 판단하는 방식 등 다양한 양상으로 구현되었다. 인터넷이라는 달라진 환경에서 전통적인 사료 비판의 방법이 더 역동적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최근 역사교육 학계에서 인터넷 텍스트 읽기와 정보 처리 방식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한 만큼, 본 연구에서 다루지 못한 후속 연구들이 진행되어 인터넷 역사 텍스트를 활용한 다양한 역사교육의 방안이 모색되기를 기대한다.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rior knowledge (or experiences) formed before participating in research influenced the students way of reading the Internet historical texts. Depending on the course of information acquisition, how he/she understood the controversy over the national foundation day of South Korea (subtopic of this study) was different. The prior knowledge of the Internet environment was also modified by experience in acquiring useful information. Therefore, students must be exposed to diverse search engines and various types of Internet historical texts in order for them to obtain useful information and eventually meet their goals. Second, the research participants perceived the information in Internet historical texts in fragments. They then set specific goals for a search and conducted a goal-oriented search to achieve that goal. Although each participant was different in detail, there was a tendency of selecting search terms based on specific and clear goals and choosing texts based on their helpfulness to achieve one s goal. Moreover, as soon as the participants decided the text is unhelpful in achieving the goal of the search, they stopped reading and chose different texts. These characteristics suggest that the traditional historical research method, which considers checking for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ource as the first step, is not very important in Internet space. This is why it has become important to come up with new ways to ensure reliability. Third, the participants determined the reliability of Internet historical texts based on popularity. The popularity factors are not only the number of views and comments on YouTube videos but also the degree of fame of the press and collective intelligent media (e.g., Wikipedia). However, reliability built up in this way is unconsciously affected by the personalized algorithm system or the predetermined search goals with having the restructuring stage of information in mind. When reading the Internet historical texts, we should always be cautious that even though popularity may be reasonable evidence for reliability there is also a risk of falling into false information (i.e., fake news). Fourth, the cross-checking of the text content (historical source criticism method) was performed in diverse ways in the Internet environment. Each participant tried various approaches: comparing the contents of texts between different Internet historical sources, looking up unfamiliar content and reviewing it, searching for various types of texts for different purposes, and judging the reliability of the Internet historical text itself through the intersection of complex sensory stimuli. In this new text-reading environment that has been changed due to the Internet or more broadly the digital medium, the conventional method of historical source criticism can be implemented more dynamically.

      • KCI등재

        인터넷 공론장 의제 설정 교육 자료를 위한 담화텍스트 초구조 분석 - 인터넷뉴스 텍스트를 중심으로

        박지윤(Ji-Yoon, Park) 한국문화교육학회 2020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5 No.1

        인터넷 공론장은 단순히 정보 획득의 수단을 넘어 지식 정보의 생산과 공유, 공론의 장(場)으로 기능하고 있다. 하버마스의 공론장과 인터넷 공론장은 유사한 점이 많기에 오늘날 인터넷 공론장은 하버마스의 공론장의 대안으로 본다. 인터넷 뉴스텍스트의 공론장에 관한 초구조 분석 연구는 인터넷 참여자들이 수직적 담론과 규범을 무시하고 이를 전복시키며 인터넷 뉴스텍스트를 확대, 재생산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는 역할을 한다. 인터넷 뉴스텍스트 공론장의 초구조를 ‘자료부’(제목-서두-본문)와 ‘댓글부’(반응-참여)로 분석하였다. 오늘날 인터넷 공론장에서의 뉴스 이용자들은 공동 참여로 인한 제2차 의제를 설정할 만큼 생산적이고, 비판적으로 뉴스텍스트를 수용한다. 이를 일종의 텍스트 형식이자 총괄적 구조인 초구조로 도식화할 수 있다. 몇 가지 사례 분석을 통해 이를 살펴 보았고, 이는 인터넷 공론장 의제 설정 교육의 기초 자료로써도 활용될 수 있음도 알아 보았다. The Internet public arena functions as a field for the production, sharing and public discussion of knowledge beyond simply means of obtaining information. Because Harbermas's public and public sphere have many similarities, today Internet public sphere are seen as an alternative to Harbermas's public sphere. A superstructure analysis study of internet newstext's public sphere shows that Internet participants can ignore vertical discourse and norms, subvert them, and expand and reproduce internet newstext. The initial structure of the internet newstext public sphere was analyzed as ‘Data Department’(Title-Opening-Body Text) and ‘Comments Department’ (Reaction-Part icipation). Today, newstext users in the Internet public sphere are productive and critical enough to set up a second agenda for joint participation. This can be schematized into a kind of text format and a superstructure. We looked at this through several case analyses and also found that it could be used as a basis for the Internet public sphere agenda setting training for education materials.

      • KCI등재

        인터넷 언어 문화 교육 내용으로서 디지털 서사의 개념,특성,유형에 관한 연구

        정현선 ( Hyeon Seon Jeong ) 국어교육학회 2007 國語敎育學硏究 Vol.30 No.-

        본고는 인터넷에서 이루어지는 소통 현상 가운데 문학이나 예술 혹은 대중문화의 소통과 관련된 심미적 성격의 텍스트들이 지닌 특성을 매체언어 교육의 내용 차원에서 고찰하였다. 인터넷에서 찾아볼 수 있는 심미 텍스트들은 전통적인 문학의 장르 영역과 관련해 볼 때, 서정 영역보다는 주로 서사 영역에서 나타난다. 본고에서는 이를 ``디지털 서사``라는 범주를 설정하여 그 개념, 특성, 유형을 살펴보았다. 인터넷 소설과 팬픽은 인터넷 이용자들 간의 상호 교류를 가능하게 하는 인터넷 매체의 특성을 기반으로 하여 게시판을 통해 주된 작가와 독자층인 청소년들 간의 공감을 불러일으키는 이야기를 만들어내고 있는 것으로 보았다. 웹툰 역시 전문적인 훈련을 받지 않은 일반인들이 인터넷을 통해 일상을 다룬 일기 형식의 이야기를 만화의 시각적 표현과 더불어 독자들과 나누는 특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보았다. 이에 대한 교육은 이야기를 생산하는 청소년들의 서사에 대한 욕구를 중심에 놓는 등 대중문화 교육의 맥락에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하이퍼텍스트 서사는 인터넷이라는 상호작용적 매체의 특성을 살려 독자에게 이야기의 여러 지점에서 의미 있는 선택을 할 수 있게 하고, 이를 통해 다양한 결말을 체험하게 할 수 있다. 이는 문학적 실험이라는 맥락에서 교육될 필요가 있다. 또한 게임 서사는 디지털 서사 가운데 가장 오락적 특성이 강한 유형으로, 현재로서는 문학성을 찾기가 어려우므로 과도한 기대나 평가절하보다는 당대 문화에 대한 감식안을 갖도록 교육하는데 중점을 둘 필요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This article discusses "aesthetic texts" on the Internet as the content for media language education. Most aesthetics texts found on the Internet are narratives. They are termed as "digital narratives" and the concept, characteristics, and text types are explored in this article. Internet novels and "Fanfics" are identified as a type of "exchange between Internet users" and are mostly romance novels. The writers and readers are teenagers and share their desire for romance and the concerns of young people through these novels. "Webtoons" are also identified as a type of "exchange between Internet users" and are produced by amateur writers. Most webtoons adopt the form of an essay or diary and present the daily lives of young people in their 20s. Internet novels, fanfics, and webtoons belong to popular culture, and therefore, it is more important for students to reflect their own taste for popular stories and their desire for reading such texts. "Hypertext narratives" provide readers with various "linkages" that they can choose to follow. The readers should be able to experience meaningful choices that could lead them to various kinds of ends. A hypertext narrative is a narrative experiment and should be taught for students to understand why literature experiments might be done in such a manner. Game narratives belong to the area of entertainment. They need to be taught for students to have their own perspective of contemporary culture.

      • KCI등재

        특허 동시분류분석과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사물인터넷 기술융합 분석

        문진희,권의준,금영정 기술경영경제학회 2017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25 No.3

        최근 기술융합의 핵심현상으로 사물인터넷이 대두되면서 사물인터넷의 기술트 렌드 및 기술융합에 관해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연구들의 대부분이 사물인터넷 기술 동향에 대한 정성적 연구에 그치고 있어 기술융합의 구체적 양상을 파악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특허 데이터를 기술의 대용데이터로 간주하고, 동시 분류분석과 텍스트마이닝을 바탕으로 사물인터넷 융합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융합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문헌연구를 통해 사물인터넷의 융합을 일으키는 주요 기술 군을 디바이스, 네트워크, 플랫폼, 서비스 네 가지로 정의한 후, “Internet of Things” 키워드 를 중심으로 미국 특허청에서 수집된 923개 특허의 클래스를 네 가지 기술군에 할당하여 이 들 간 관계를 파악하였다. 대부분의 클래스 및 키워드가 디바이스에 관련되어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융합 현상을 디바이스 융합과 전체 융합으로 나누어 기술융합 양상을 파악하였다. 디바이스 중심의 사물인터넷 기술을 분석한 결과 센서 디바이스를 비롯한 헬스케어 디바 이스, 냉장 및 냉동 장치, 에너지관리 디바이스, 로봇, 임베디드 등이 주요 융합 그룹으로 도 출되었다. 전체 기술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사물인터넷 요소기술을 중심으로 스마트 헬스 케어, 스마트 홈, 무인자동차 등 사물인터넷의 다양한 응용영역들이 기술융합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사물인터넷 기술융합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및 전략 수립 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With the rise of internet of things (IoT), there have been several studies to analyze the technological trend and technological convergence. However, previous work have been relied on the qualitative work that investigate the IoT trend and implication for future business. In response, this study considers the patent information as the proxy measure of technology, and conducts a quantitative and analytic approach for analyzing technological convergence using patent co-classification analysis and text mining. First, this study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IoT business, and characterize IoT business into four dimensions: device, network, platform, and services. After this process, total 923 patent classes a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of IoT technology group. Since most of patent classes are classified into device technology, we developed a co-classification network for both device technology and all technologies. Patent keywords are also extracted and these keywords are also classified into four types: device, network, platform, and services. As a result, technologies for several IoT devices such as sensors, healthcare, and energy management are derived as a main convergence group for the device network. For the total IoT network, base network technology plays a key role to characterize technological convergence in the IoT network, mediating the technological convergence in each application area such as smart healthcare, smart home, and smart grid. This work is expected to effectively be utilized in the technology planning of IoT businesses.

      • KCI등재

        인터넷 기반 온라인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에서 이모티콘과 문자 텍스트의 상호작용

        최명원 한국독어학회 2019 독어학 Vol.39 No.-

        Internetbasierte Kommunikation, insbesondere die mittels mobiler Messenger geführte, lässt sich durch einige besondere Eigenschaften charakterisieren, dazu zählen Dialogizität und Quasi-synchron. Diese Form der Kommunikation wurde auch wegen der getippten gesprochenen Schriftsprache, als Keyboard-to-Screen-Kommunikation bezeichnet. Die Dialogizität und Quasi-synchron hängen eng mit der getippten gesprochenen Schriftsprache zusammen. Die Benutzung von Emoticons und Emojis in der internetbasierten Kommunikation kann von aufwendigen Schreibweisen entlasten. Der zunehmende Gebrauch von Emoticons in der Online-Messenger-Kommunikation steht in einer sich gegenseitig verstärkenden Wechselwirkung. Zuerst ergänzen sie den Textanteil und funktionieren als emotionale Evaluation bis sie schließlich den ganzen Text völlig ersetzen können. Das zunehmende Gebrauchsphänomen der Emoticons hat sowohl Vorteile als auch Nachteile: Man kann mit Hilfe von Emoticons seine Ausdrucksweise beschleunigen und die non-verbale Ausdrucksweise ergänzen, die sonst in der gesprochenen Schriftsprache verloren gehen würde. Aber sie lassen die Selbsterkennung in Frage stellen, wie man sich eigentlich fühlt und verhindern die eingene Emotionalität zur Sprache bringen. Dabei werden möglicherweise auch eigene Lese- und Schreibfertigkeiten verloren. 인터넷 기반 온라인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에서는 구어체의 대화 형식을 문자 텍스트로 만들어 스크린에 시각적으로 제공한다. 따라서 ‘키보드에서 스크린’으로라는 별칭을 가진 이러한 커뮤니케이션 형태에 이모티콘의 사용이 점점 더 두드러지게 되었다. 처음에는 문자 텍스트의 중간이나 마지막에 애교스럽게 끼어들던 이모티콘은 문자 텍스트와의 상호작용에서 최근 문자 텍스트를 보완해 주는 것으로부터 이를 완전히 대체하는 기능과 역할로까지 발전하게 되었다. 여기에 더하여 한국에서는 이러한 이모티콘의 새로운 캐릭터들이 판매상품으로 개발되어 높은 수익을 창출하는 아이템이 되기도 한다. 이모티콘의 사용은 문자 텍스트를 통한 커뮤니케이션에서 대화의 속도를 높여주고, 대화 참여자들의 감정과 감성을 비교적 섬세하게 담아냄으로써, 심지어 이모티콘만으로도 대화가 가능해지는 상황에 이르게 되었다. 이처럼 이모티콘들이 얼굴을 마주하는 대화나 전화의 대화 기능을 문자로 옮기면서 상실되는 비언어적 신호들을 어느 정도 대신해 주며, 대화의 속도를 높여 줄 수 있는 장점과 함께, 타인이 만들어 놓은 캐릭터의 표정과 움직임, 그리고 이미 만들어져 이모티콘과 함께 제공되는 텍스트를 통해서 자신의 감정이나 감성에 대한 표현력 등이 상실될 수 있다는 우려 또한 간과할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인터넷 기반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현상들 가운데서도 증가하는 이모티콘의 기능과 역할은 보다 면밀히 검토되어야 한다는 요구와 함께, 궁극적으로 인간의 언어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각각 우려와 환영의 관점을 아우르면서 이모티콘과 텍스트의 상호작용에 대한 논의들을 살펴보았다

      • KCI등재

        TV방송콘텐츠에 대한 인터넷반응은 TV시청률의 보완지표인가, 대체지표인가?

        박종구(Bellnine Park) 한국언론학회 2018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14 No.3

        변화된 미디어 이용환경에서 방송프로그램에 대한 인터넷상의 언급은 콘텐츠에 대한 인식과 관심을 보여주는 데이터로 간주되고 있으며, 프로그램 제작이나 광고 비히클 선정 등 다양한 분야의 의사결정에 영향을 주고 있다. 인터넷반응지표가 ‘산업차원’의 수용자 화폐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지표의 타당성과 신뢰성이 검증되어야 하며, 이 과정에서 학계의 건설적인 비판적 논의가 필요하다. 인터넷반응지표의 ‘쓸모’를 찾기 위한 첫걸음은 상관관계 분석이다. 상관관계가 파악되어야 인터넷반응이 TV시청률과 함께 방송콘텐츠의 가치를 온전하게 측정할 수 있는 지표가 될 수 있는지를 말할 수 있다. 분석의 기본인 자료의 통계적 가정 충족여부에 대한 파악을 시작으로 인터넷반응지표와 TV시청률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터넷반응지표와 TV시청률 자료는 모수분석에 필요한 통계적 가정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다 추정의 오류와 집단 평균의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인터넷반응 유형, 프로그램 장르, 그리고 시청자 집단을 세분화하여 비모수통계기법인 스피어만 순위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인터넷반응지표와 TV시청률 사이에는 전반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연구는 인터넷반응지표가 TV시청률이 설명하지 못하는 영역을 설명해주는 보완지표로 활용될 수 있음을 제언하고, 지표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기반으로 구체적인 활용방안을 모색하는 다양한 후속연구를 제언하였다. Internet responses to TV contents are regarded as the data showing the recognition and interest of the contents, and they influence decision-making in various fields. To be an audience currency, it is necessary to grasp the correlation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ACOI Internet indicators(Internet Responses to TV Contents) and TV ratings do not meet the statistical assumptions required for parametric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pearman rank order correlat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re a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RACOI Internet indicators and TV Ratings. The results show that the internet response can be used as a supplementary indicator to explain the areas that TV ratings do not explain. This paper suggests various follow-up studies that seek concrete applications of various RACOI indicators(Internet indicators, N-Screen indicators, and so forth).

      • KCI등재

        기호학적 분석을 통한 인터넷쇼핑몰의 특성 연구 -인터넷 서점의 마케팅특성을 중심으로-

        허남일 한국기업경영학회 2012 기업경영연구 Vol.19 No.1

        The internet transactions employed by companies are increasing as communications which use the internet are being widely applied in various area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methods to maintain more customers in internet shopping malls and has conducted a detail analysis based on the theory of semiology. In this regards, a sample of the analysis was extracted from domestic internet bookstor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pursuit of novelty in formality leads to a steady loss of story structure. The novelty in the formality shown in web sites distorts the overall process of the theme standing out, therefore disturbs the theme from surfacing. Second, by focusing on the repetition of key words referred to as fashion words, the anti-proximity of the copy being unfolded continues. Third, there is continuous non-logical progress. Fourth, connotations become weak due to unlimited durability from listing paradigm. In this regards, in the texts in internet shopping malls, only the momentary fleeting emotions move alive while they hide a company’s most basic principle, sales profits. Fifth, in the ‘component and form’, the pattern is converting into one where there is no component, only form. This research has a limitation in that the research limits the research on internet shopping malls to book stores, therefore it cannot be regarded as an understanding of the overall online shopping mall. In this regards, we can expect further research on the use of various types of online shopping malls in the future. 인터넷을 활용한 커뮤니케이션이 많은 분야에 적용되면서 기업들의 인터넷 거래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인터넷쇼핑몰에서 더 많은 고객을 유지하기 위한 방안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인터넷쇼핑몰의 텍스트에 대해 기호학적인 이론의 틀을 근거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인터넷 서점을 대상으로 표본을 추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형식적인 새로움을 추구하게 되면서 점차 스토리구조가 상실되어 간다는 점이다. 웹 사이트에서 보여주는 형식의 새로움은 전체적으로 주제가 부각되는 과정을 왜곡시켜 주제가 표면화되는 작용을 방해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유행어라는 키워드 반복을 중심으로 카피를 전개하는 상황의 비인접성이 계속된다. 셋째, 비논리적 진행이 계속된다. 넷째, 계열체의 나열로 무제한의 지속성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인해 내포적 의미(connotation)가 약화된다. 이런 의미에서 인터넷쇼핑몰의 텍스트들은 순간을 스치는 감성들의 표피만이 살아 움직인다. 그러면서 매출과 이익이라는 기업의 근본적인 원칙은 숨기고 있다. 다섯째, ‘구성과 형식’ 가운데 구성을 없앤 형식만이 존재하는 양식이 되고 있다. 인터넷쇼핑몰의 연구를 서점에 국한되어 전체적인 온라인쇼핑몰에 대한 파악이라고 보기 어렵다는 한계를 지적하며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온라인쇼핑몰의 이용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 KCI등재

        인터넷 시대의 학부 유학생 읽기 교육에 대한 소고: LESC 인터넷 읽기 모형을 제안하며

        김민영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문화연구 Vol.2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how Korean reading education for foreign undergraduate students should be done in the age when Internet reading is universalized. It is necessary to examine what kind of reading lessons are needed to develop the academic ability required by the university. Internet reading education is a kind of multiple-text reading education, and it can play a big role in enhancing the literacy of international students. For this purpose, we examined the flow of reading education for foreign students in Chapter 2 an d discussed the difference between multiple-texts reading and internet reading education. In Chapter 3, we examined the aspect of reading activities and proved the necessity of internet reading education. Chapter 4 introduces the LESC Internet reading processing model and classifies the items to be taught in the Korean reading classroom. Applying these models to Korean reading can enhance higher-level information integration and critical and creative understanding. 본고는 인터넷 읽기가 일반화된 시대에 학부 유학생을 위한 읽기 교육은 어떠한 방향성을 가져야 하는지를 논의한 연구이다. 대학이 요구하는 학술 과제 수행 능력을 배양하기 위하여 어떠한 읽기 수업이 필요한지에 대해서는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인터넷 읽기 교육은 다중 텍스트 읽기 교육의 한 가지로 유학생의 문식성을 높이는 데 큰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고는 유학생 읽기 교육의 흐름을 살피고 인터넷 읽기 교육의 차별점을 검토하였다. 3장에서는 조사 연구를 통해 유학생들의 읽기 양상을 살펴, 인터넷 읽기 교육의 필요성을 입증하였다. 4장에서는 LESC 인터넷 읽기 처리 모형을 소개하고, 한국어 읽기 강의실에서 교수되어야 할 항목을 분류하였다. 전 과정은 탐색하며 읽기, 평가하며 읽기, 종합하며 읽기, 의사소통하기 등 총 4단계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과제 해결 모형을 한국어 읽기에 적용할 경우 다중 텍스트를 활용에서 얻을 수 있는 비판적・창의적 이해 능력 강화 등 대학 수강에 필요한 능력을 양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인터넷 도시괴담으로서의 ‘붓싼문학’: 음식과 낯선 장소의 묘사를 통한 혐오의 재생산

        최진숙 한국문화인류학회 2019 韓國文化人類學 Vol.52 No.3

        In this paper, I explore the discursive strategies of Othering by analyzing the examples of “Bussan Munhak (Busan literature)” that have recenly been circulating in on–line communities in Korea. Unlike previous studies focused on the ideologies of a particular internet communities or speaker’ s intention in the hate speeches, this paper focuses on the pattern in which stereotyped images are reproduced through intertextual construction of text and metapragmatic discourses that frame the genre of the narratives. In particular, I pay attention to the intertextual construction that includes the meanings of symbols containing distaste for places that are largely unfamiliar to the speaker of the story, the forms of urban legend reproducing fear, and the metapragmatic evaluation surrounding Bussan Munhak. Bussan Munhak features the narrative structure that involves the experience of a Seoulite who traveled to Busan. The style of sharing food described in the story, the experience of eating alone in public places, and the previous texts in another context and the use of Mock Busan dialect were utilized to represent typical Busan people. As an example of intertextuality that separates the self from the other, the paper will contribute to discussions on regional disparagement and online hate discourse in Korean society. However, the genre and examples covered in this paper alone have limitations to generalize the Busan’s image, regionalism and othering discourses in Korean society. 본고는 국내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유통되어 온 ‘붓싼문학’의 사례 분석을 통해 타자의 재현 양상을 기술, 분석하였다. 인터넷 혐오 담론이 반영하는 특정 커뮤니티의 정체성이나 혐오 표현에 반영된 화자의 의도에 천착하는 대신 인터넷 커뮤니티에 공유된 텍스트 자체의 장르적 성격과 상호텍스트적 구성이 어떻게 혐오의 효과를 전달하는지 보고자 하였다. 붓싼문학은 부산을 여행한 서울 사람의 경험을 담은 이야기 장르의 서사 구조를 가지며, 인터넷 커뮤니티 이용자들이 사실과 허구라는 구분을 중심으로 텍스트의 의미에 대한 논쟁을 한다는 점에서 도시괴담 장르의 형식을 가졌다. 섞인 음식이라는 소재를 통해 오염과 무질서를 재현하고, 혼자에 대비되는 집단을 배치하여 집단이 주는 위협을 묘사하였으며, 다른 맥락의 텍스트를 재맥락화하여 인용하거나 과장된 경상도 방언 표현으로써 전형적 타자를 재현하는 방식들이 붓싼문학 텍스트에서 타자화 전략으로 활용되었다. 본고의 의의는 언어인류학적인 고찰을 통하여, 일상적이고 유희적 담화 속에서 혐오의 의미가 재생산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었다는 점이다. 그러나 본고에서 다룬 장르와 사례들만으로는 한국 사회의 지역주의 및 보편적인 타자화 양상에 대한 이해를 하기에 부족하므로 추후 지속적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사물인터넷의 확산: 정성적․정량적 기법을 이용한 기술 및 기업 전략 예측

        이새롬,장정주 한국전자거래학회 2015 한국전자거래학회지 Vol.20 No.4

        Internet of Things (IoT) is expected to provide efficiency and convenience in human life by integrating the Internet into the things that we use in daily lives. IoT can not only create new businesses but also can bring great changes in our lives thanks to the various ways of technical application: defining relationships among things or automatic use of technology by analyzing the usage pattern. This study uses the qualitative research of interviewing the experts to predict the changes that IoT technology is expected to bring in our lives. In addition, this paper analyzes news articles about internet of things in Korea using text-network analysis. This study also discusses the factors which need to be considered to put IoT into successful use in business contexts.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은 기존에 인간들이 사용하고 있는 사물(Things)에 인터넷을접목하여 인간의 삶에 효율성과 편리성을 제공하는 기술이다. 사물 인터넷을 통해 새로운비즈니스가 창출될 수 있다. 특별히 사물간의, 사물과 인간간의 연결을 통하여 생성되는 데이터를기반으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사물인터넷은 인간의 삶에 많은 변화를가져다 줄 것으로 본다. 본 연구에서는 정성적 연구방법인 전문가 인터뷰 기법과 정량적인방법으로 국내 신문기사들을 텍스트 네트워크 방법을 적용하여 국내외 주요 기업들의 사물인터넷과 관련된 전략 및 기술 동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사물인터넷의 성공적실용화를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기술, 비즈니스 등의 측면에서 논의해보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