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정폭력 피해여성들의 외상 후 부정적 인지와 대처전략이 외상 후 스트레스증상과 정서증상에 미치는 효과

        조용래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13 인지행동치료 Vol.13 No.3

        본 연구는 가정폭력 피해여성들의 외상 후 스트레스증상, 불안과 우울증상에 대한 외상 후 부정적 인지와 대처전략들의 효과와 외상 후 부정적 인지의 여러 차원들의 상대적인 기여도를 검토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쉼터에 거주하거나 상담기관을 방문한 가정폭력 피해여성 106명을 대상으로 그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징, 외상관련 특징, 외상 후 부정적 인지, 대처전략, 외상 후 스트레스증상, 불안과 우울증상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위계적 중다회귀분석 결과, 다른 모든 관련 변인들의 영향을 통제한 후에도, 외상 후 부정적 인지는 외상 후 스트레스증상, 불안 및 우울증상 각각에 대하여 고유하게 기여하였다. 회피 대처의 경우, 인구통계학적 및 외상관련 특징들의 영향을 통제했을 때에는 외상 후 스트레스증상과 우울증상에 각각 유의하게 기여하였으나, 외상 후 부정적 인지의 영향을 추가로 통제한 후에는 고유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적극적 행동 대처의 경우, 불안증상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나, 인구통계학적 및 외상관련 특징들의 영향을 통제한 후에는 불안증상에 대한 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다음으로, 동시적 회귀분석 결과, 외상 후 부정적 인지의 여러 차원들 중 외상반응관련 부정적 자기 차원만이 외상 후 스트레스증상과 불안증상에 각각 유의하게 기여하였으며, 미래/가치관련 부정적 자기 차원만이 우울증상에 유의하게 기여하였다. 이 결과들은 가정폭력 피해여성들의 외상 후 스트레스증상과 정서증상들을 이해하고, 예방 및 치료하는데 있어 그들의 외상 후 부정적 인지의 역할을 중요하게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post-traumatic negative cognitions and coping strategies on post-traumatic stress, anxiety,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female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as well as the relative contributions of the dimensions of post-traumatic negative cognition to their psychological symptoms. 106 residents in domestic violence-related shelters or visitors to domestic violence-related counseling centers completed the questionnaires measuring post-traumatic negative cognitions, coping strategies, post-traumatic stress, anxiety, and depressive symptoms, as well as questions about their demographic and trauma-related characteristics. Post-traumatic negative cognition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post-traumatic stress, anxiety, and depressive symptoms, after controlling for the other relevant predictors. Avoidance coping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post-traumatic stress and depressive symptoms above and beyond some demographic and trauma-related characteristics, but when additionally controlling for post-traumatic negative cognition, its unique effect was not significant. Active behavioral coping which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nxiety symptoms was not a significant predictor of anxiety symptoms above and beyond some demographic and trauma-related characteristics or post-traumatic negative cognition. Next, of the dimensions of post-traumatic negative cognition, only negative self-concept about traumatic reactions uniquely contributed to post-traumatic stress and anxiety symptoms, and only negative self-concept about future/values uniquely contributed to depressive symptoms. In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the role of post-traumatic negative cognitions in order to prevent and treat female assault victims' post-traumatic stress and emotional symptoms or disorders more effectively.

      • KCI등재

        공황 장애 환자의 공황 발작 증상의 특성

        임기영,김창기,노재성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6 신경정신의학 Vol.35 No.4

        공황 장애가 새로운 질병으로 분류된지 16년이 경과하였으나 공황 발작과 공황장애의 본질과 특성에 관해서는 아직 명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또한 현재의 DSM-IV 진단 기준 역시 공황 발작과 공황 장애의 정의 및 진단에 대해 상호 모순되는 기술을 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고 공황 발작의 각 증상에 대해서도 나열에 그치고 있을 뿐 어떤 것이 더 중요하고, 어떤 것이 최초 증상인지 등을 밝혀 주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저자들은 공황 장애 환자들의 공황 발작 증상의 특성을 보다 자세히 알아보기 위하여 아주대학교 병원 정신과 외래 및 응급실로 내원한 40명의 공황 장애 환자들을 대상으로 공황 발작 설문지, 불안 민감도 검사, 상태-특성 불안 검사, Beck의 불안 검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공황 장애 환자들이 공황 발작시 최초로 경험하는 증상들은 대부분 신체 증상(90%)이었으며, 공황 발작의 인지 증상과 신체 증상은 높은 상관관계(0.741, P<0.01)가 있었다. 2) 인지 증상(0.695, P<0.01)과 신체증상(0.599, P<0.01) 모두는 임소공포증적 회피의 정도와 유의한 정적 상관 관계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신체 증상을 통제 변인으로 하여 인지 증상과 임소공포증적 회피와의 부분상관을 구한 결과는 유의한 상관이 있었으나(0.467, P=0.003), 반대로 인지 증상을 통제변인으로 하여 신체 증상과 임소공포증적 회피의 부분 상관을 구한 결과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상관 관계가 없었다.(0.173, P=0.291). 3) 인지 증상은 ASI상의 불안 민감도 (0.563, P<0.01), STAI상 상태(0.324, P<0.05) 및 특성 불안(0.484, P<0.01), BAI상의 불안(0.456, P<0.01)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신체 증상은 ASI 상의 불안 민감도(0.528, P<0.01), STAI 중 특성불안(0.411, P<0.01), 그리고 BAI 상의 불안(0.348, P<0.05)과는 정적상관을 나타내었으나, STAI 중 상태 불안(0.171)과는 의미 있는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4) 인지 증상과 신체 증상과 신체 증상 각각에 대해 상대 증상을 통제 변인으로 하여 부분 상관을 구해 본 결과, 신체증상은 각종 불안 검사상의 불안 및 민감도와 통제적으로 의미 있는 상관을 보이지 않았지만 인지 증상은 의미 있는 상관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공황 발작이 본질적으로 신체증상이 선행되고, 인지 증상이 부수되는 복합현상이며, 인지증상의 정도에 따라 심리적 불안의 정도와 불안 민간도가 높아져서 공황 증세로 진행되고, 역시 인지 증상의 정도에 따라 임소공포증적 회피가 결정됨을 시사한다. 따라서 공황 발작의 13가지 진단 기준 항목은11가지 신체 증상만으로 줄이고, 2가지 인지 증상(죽을 것 같은 공포 및 미치거나 자제력을 잃게 될 것 같은 공포)은 공황 장애의 진단 기준에 포함시키며 이때 공황이 일어난 상황으로부터 벗어나려는 생각을 공황 장애의 인지 증상에 추가하는 것이 보다 정확한 진단 기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It has been 16 years since panic disorder was first classified as a psychiatric disease entity. However,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panic attacks and panic disorder are not fully understood yet. The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Fourth Edition(DSM-IV) carries conflicting statements regarding the definitions and diagnostic criteria of the panic attacks and panic disorder. Moreover, the DSM-IV only checks the presence or absence of each symptom, while failing to clarify which of each panic symptom are the earlier or more important symptoms.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panic attack symptoms. Forty outpatients diagnosed with DSM-IV panic disorder criteria were the subjects. All the subjects completed Panic Attack Questionnaire, Anxiety Sensitivity Index,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and Becks Anxiety Inventory. Results were as follows : 1) Majority(90%) of the subjects experienced somatic symptoms as the first symptom of their panic attack, and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0.741, P<0.01) between the somatic symptoms and the cognitive symptoms of panic attack. 2) Both cognitive symptoms(0.695, P<0.01) and somatic symptoms(0.599, P<0.01)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goraphobic avoidance. However, in partial correlation using somatic and cognitive symptoms as control variables for each other, only cognitive symptom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goraphobic avoidance(0.467, P=0.003). 3) Cognitive symptom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anxiety sensitivity(0.563, P<0.001), state anxiety(0.324, P<0.05), trait anxiety(0.484, P<0.01), and Becks anxiety(0.456, P<0.01). Somatic symptoms also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anxiety sensitivity(0.528, P<0.01), trait anxiety(0.411, P<0.01), Becks anxiety(0.348, P<0.05), but not with the state anxiety(0.171). 4) In partial correlation using somatic and cognitive symptoms as control variables for each other, cognitive symptom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nxiety sensitivity and anxiety levels, while the somatic symptoms did not show such correlat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anic attack is a complex phenomenon in which the somatic symptoms are "triggers", and the cognitive symptoms are secondary reactions to the somatic symptoms. Psychological anxiety and anxiety sensitivity increase in proportion to the cognitive symptoms of the panic attack, which are important in the clinical process of panic disorder. The severity of cognitive symptoms also determines the development of agoraphobic avoidance. The authors propose to revise the diagnostic criteria of panic attack by the somatic symptoms only, and include cognitive symptoms, such as the desire to escape from the scene of panic attack, as necessary diagnostic criteria for panic disorder.

      • KCI등재

        외상경험 대학생들의 외상관련 부정적 인지와 정서조절곤란이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에 미치는 영향

        지은혜,조용래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15 인지행동치료 Vol.15 No.1

        현대적인 인지모형들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및 증상을 이해하고 치료하는데 있어 중요한 변인으로 외상관련 부정적 인지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와 함께, 최근에는 다양한 정신장애와 심리적 문제들을 예측하고 치료하는데 있어 정서조절곤란도 일정한 역할을 한다는 연구들이 보고되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외상관련 부정적 인지와 정서조절곤란이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에 미치는 고유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외상경험이 있는 것으로 분류된 대학생 212명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외상관련 부정적 인지는 우울증상, 불안증상, 스트레스 증상과 정서조절곤란의 영향을 통제하거나 그렇지 않든 간에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을 예측하는데 유의하게 기여하였다. 정서조절곤란은 우울증상, 불안증상 및 스트레스 증상의 영향을 통제한 후에도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을 예측하는데 있어 유의하게 기여하였으나, 외상관련 부정적 인지를 추가로 통제하였을 때에는 그 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나아가, 외상관련 부정적 인지의 5가지 차원들의 독립적이고 상대적인 기여도를 탐색해 본 결과, 미래/가치관련 부정적 자기와 외상반응 관련 부정적 자기 둘 다가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에 유의하게 기여하였다. 정서조절곤란의 5가지 차원들의 독립적이고 상대적인 기여도를 탐색해 본 결과, 정서이해만이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에 유일하게 기여하였다. 이 결과들은 외상경험 대학생들의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들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키고 그들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적절하게 예방하는 데 있어 미래/가치관련 및 외상반응 관련 부정적 자기의 개선과, 정서 이해의 증진에 초점을 맞춘 치료적 개입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Contemporary cognitive model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rauma-related negative cognitions in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PTSS), and recent research has demonstrated that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may also play a role in psychological problems. This current study examined the unique effects of trauma-related negative cognitions and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on PTSS. Two hundred twelve traumatized undergraduat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showed that trauma-related negative cognition significantly predicted PTSS after controlling for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symptoms, as well as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also significantly predicted PTSS when the effects of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symptoms were controlled for, whereas its unique effect was not significant after controlling for trauma-related negative cognitions additionally. Of the five dimensions of trauma-related negative cognitions, negative self-concept about future/values and negative self-concept about traumatic reactions each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PTSS. And of the five dimensions of difficulties in emotional regulation, only understanding of emotions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PTSS. These results suggest the importance of psychological interventions aimed at modifying trauma-related negative cognitions, especially negative self-concept about future/values and negative self-concept about traumatic reactions, as well as enhancing understanding of emotions, in order to alleviate PTSS of traumatized university students and to prevent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 KCI등재

        대학생들의 건강염려증상과 사회불안증상에서 인지적 취약성과 정서조절곤란의 역할

        김지혜,조용래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15 인지행동치료 Vol.15 No.1

        본 연구에서는 건강염려증상과 사회불안증상에 대한 인지적 취약성과 정서조절곤란의 역할을 규명하기 위하여, 불안장애에 대한 인지모형과 선행 연구들을 근거로 하여 두 가지 모형을 상정하였다. 건강염려증상과 사회불안증상에 대한 고유변인으로 각각 신체감각관련 인지와 부정적 평가에 대한 민감성을, 그리고 앞의 두 증상들에 대한 공통된 예측변인으로 정서조절곤란을 상정한 모형(모형 1)과, 그 대안모형으로 각 증상에 대한 고유변인은 앞의 모형과 동일하지만, 추가로 정서조절곤란을 사회불안증상에 대한 고유한 예측변인으로 가정한 모형(모형 2)을 수립한 후, 대학생 434명의 자료에 대해 구조방정식 분석을 적용하여 두 모형의 적합도를 비교 평가해 보았다. 분석 결과, 모형 1의 적합도는 좋았으나, 정서조절곤란에서 건강염려증상으로 가는 경로계수는 유의하지 않았다. 모형 2의 적합도 역시 양호하였으며, 모든 경로계수가 유의하였다. 모형 1과 모형 2를 직접 비교하기 위하여, 카이자승 차이 검증을 한 결과, 더 간명한 모형인 모형 2가 더 우수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 결과들은 신체감각관련 인지가 건강염려증상을 예측하는데 있어 고유하게 기여할 가능성과, 부정적 평가에 대한 민감성과 정서조절곤란 둘 다 사회불안증상을 예측하는데 있어 고유하게 기여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나아가, 건강염려증상을 치료할 때에는 신체감각관련 인지에, 그리고 사회불안증상을 치료할 때에는 부정적 평가에 대한 민감성과 정서조절곤란 둘 다에 초점을 맞춘 개입을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roles of cognitive vulnerability and emotion dysregulation in hypochondriacal and social anxiety symptoms. On the basis of cognitive models of and earlier studies on emotional disorders including anxiety disorders, the model in which cognitions relevant to body sensation and sensitivity to negative evaluation would be specific predictors of hypochondriacal and social anxiety symptoms, respectively and emotion dysregulation would be common predictor of both symptoms, was proposed(Model 1). One alternative model in which cognitions relevant to body sensation would be a specific predictor of hypochondriacal symptoms and both sensitivity to negative evaluation and emotion dysregulation would be specific predictors of social anxiety symptoms, was specified(Model 2). Structural equating modeling(SEM) approach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goodness-of-fit of the two models in a sample of 434 university students. SEM revealed that both of the two models fit the data adequately, and Model 2 was superior to Model 1. These findings indicated that whereas cognitions relevant to body sensation was a specific predictor of hypochondriacal symptoms, both sensitivity to negative evaluation and emotion dysregulation were specific predictors of social anxiety symptoms. Furthermore, they suggest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the role of cognitions relevant to body sensation in order to treat nonclinical young adults' hypochondriacal symptoms and the role of sensitivity to negative evaluation and emotion dysregulation in order to treat their social anxiety symptoms.

      • KCI등재

        만성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증상과 인지기능:6개월 개월 추적연구

        김철권,김성환,최병무,Kim, Chul-Kwon,Kim, Seong-Hwan,Choe, Byeong-Moo 대한수면의학회 2004 수면·정신생리 Vol.11 No.1

        목 적 : 만성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양성증상과 음성증상의 호전이 인지기능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 지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방 법:증상의 호전이 예상되는 활성기 정신분열병 환자 68명을 대상으로 입원 직후에 증상과 인지기능을 측정하고 6개월 약물치료 후 증상과 인지기능을 재차 측정하여 두 영역에서의 변화간의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또 약물치료에 의해 인지기능이 어느 수준까지 호전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나이와 교육수준이 비슷한 정상 대조군 20명의 인지기능과도 비교하였다. 증상은 PANSS로 평가하였고, 인지기능은 고난도 지속수행검사를 이용한 지속적 주의력, 위스콘신 카드분류검사를 이용한 실행능력, 숫자 주의력을 이용한 주의 집중력, 그리고 레이 청각 언어성 학습검사를 이용한 언어성 기억과 학습 등을 측정하였다. 결 과:양성증상과 음성증상에서의 호전은 각 인지검사 점수의 변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인지검사 점수의 변화에서 증상의 호전으로 설명될 수 있는 정도는 미미하였다. 또 정신분열병의 활성기에 비하여 6개월 약물치료 때의 관해기때 주의력, 실행능력, 기억력 모두 유의한 호전을 보였지만, 나이와 교육수준이 비슷한 정상대조군과 비교 시는 여전히 유의한 결손을 보였다. 결 론:이러한 결과는 정신분열병에서 증상과 인지기능이 서로 다른 영역일 가능성을 시사하며, 나아가 정신분열병 치료에 있어 증상의 호전뿐 아니라 인지기능의 호전에도 초점을 두어야 할 필요성을 부각시킨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longitudinal changes in positive and negative symptoms affect cognitive functioning in chronic schizophrenia. Methods: Sixty-eight patients diagnosed with DSM-IV schizophrenia were examined on two occasions over 6 months for symptoms and cognitive changes. Symptoms were measured by PANSS. Cognitive functions were examined for sustained attention, executive function, concentration and attention, and verbal memory and learning using Degraded Stimulus Continuous Performance Test, Wisconsin Card Sorting Test, Digit Span, and Rey Auditory Verbal Learning Test, respectively. Twenty control subjects were assessed to compare the cognitive scores of remitted schizophrenic patients. Results: Patient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symptoms and all cognitive tests after 6 months treatments. Significant improvements in positive and negative symptoms did not predict improvements in any aspect of cognitive functioning measured. Normal controls performed significantly better than remitted schizophrenic patients on all cognitive tests. The results show no relationship between change in symptoms and change in cognition in chronic schizophrenia. Conclusion: We suggest that symptomatic and cognitive impairment may be a distinct construct.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treating cognitive impairment in addition to the clinical symptoms of schizophrenia.

      • KCI등재

        노년기 인지기능과 우울증상의 상호 관계에 관한 연구: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이현주 ( Hyun Joo Lee ),강상경 ( Sang Kyoung Kahng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1 사회복지연구 Vol.4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1) 노년기 인지기능과 우울증상의 양방적 상호관계를 분석하고, 2) 이 관계에서 성별차이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는 대부분의 기존연구가 인지기능과 우울증상의 일방적 관계를 가정한 것과 달리 상호영향력을 동시에 고려하고, 나아가 노년기 정신건강에서 성별에 따른 유의한 함의를 찾기 위함이다. 분석 자료는 우리나라의 중고령자를 대표하는 한국고령자패널 자료를 활용하였고, 분석 방법은 비재귀구조방정식모델(non-recursiv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과 다집단분석(multi-group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년기 인지기능 저하가 우울증상을 악화시키고, 우울증상의 악화가 인지기능을 저하시키는 양방적 상호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인지기능과 우울증상의 관계에서 성별 차이가 명확히 나타났다. 여성노인에서는 우울증상에 대한 인지기능의 영향만 유의하였고, 남성노인에서는 인지기능에 대한 우울증상의 영향만 유의하였다. 이는 노년기 인지기능과 우울증상을 이해하고 관리함에 있어 상호영향력과 성별 차이를 고려한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하는 결과이다. 이상의 결과가 노년기 정신건강에 대해 갖는 이론적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1) to investigate the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functioning and depressive symptoms and 2) to examine whether there is gender difference in this mutual relationship. The uniqueness of the current study is in its investigation on the simultaneous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functioning and depressive symptoms, which is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examining unidirectional relationship. Subjects were 3,511 individuals aged 65 and over who participated in the first and second wave of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Non-recursiv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dentified the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functioning and depressive symptoms, with poorer cognitive functioning leading to higher depressive symptoms and higher depressive symptoms resulting in poorer cognitive functioning. Multi-group analysis showed the gender differ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functioning and depressive symptoms. Specifically, cognitive functioning was the significant predictor of depressive symptoms for females, whereas the depressive symptoms was the significant predictor of cognitive functioning for male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reciprocal relationship and gender difference should be considered when we development practice implications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related to depression and cognitive functioning.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for theory and practice were discussed.

      • KCI등재

        중,노년기 우울증상과 인지기능의 관계

        백옥미(Ok Mi Baik)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3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1 No.4

        본 연구는 중·노년기 우울증상과 인지기능의 관계를 고찰하고 나아가 중년기에서 노년기에 걸쳐 경험하는 대표적 생애전이 사건인 은퇴와 사별의 경험이 우울증상과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해 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한국노동연구원의 고령화연구 패널조사자료를 활용, 2차 분석을 실시했으며 1차와 3차에 응답을 유지한 7,462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우울증상과 인지기능의 관계를 분석하고 중·노년기 생애주기요인인 은퇴여부와 사별 여부가 이 두 요인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보이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방식의 다중 회귀분석이 실시되었다. 분석 결과 1차년도 우울증상 및 은퇴 및 사별 여부 요인이 각각 3차년도 인지기능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 났다. 또한 우울증상과 은퇴여부 간 그리고 우울증상과 사별여부 간에 상호작용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통제변수 중에서는 1차년도 인지기능, 연령, 학력수준, 성별이 3차년도 인지기능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가 노년기에 한정해 우울과 인지기능의 관계를 분석하였던 것에서 임상적으로 의미를 지니는 시기인 중년층을 포함하여 우울증상과 인지기능의 관계를 전국 규모의 대규모 종단 자료를 활용해 규명했다는 점에서, 그리고 기존에 논의가 미흡했던 중·노년기 생애주기요인인 은퇴와 사별 요인이 우울증상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인지기능 악화를 초래하는 기제를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investigate 1)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cognitive functioning and 2) the interaction effects of retirement and bereavement facto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cognitive functioning in middle-aged and older adults. This study utilized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from the Korea Labor Institute, and the analysis for the research questions was performed by hierarchical multiful regression. The results showed that depressive symptoms, retirement factor and bereavement factor at time 1 were negatively related to the cognitive functioning at time 3. Also, The findings indicated the interaction effects of retirement factor and bereavement factor on the association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cognitive functioning. Among the controls, cognitive functioning at time 1, age, education level, sex were related to the later cognitive functioning longitudinally.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 for theory and practice were discussed.

      • KCI등재

        노년기 인지기능 저하와 과민성방광증상과의 상관관계 연구

        이정수(Lee, Jung-Soo),김연하(Kim, Yeon-Ha),김희진(Kim, Hee-Jin)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2019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Vol.11 No.2

        목적 : 노인의 배뇨장애는 매우 흔하다. 일차 하부요로 자체는 노화의 문제일 수 있지만, 또한 뇌 기능 저하로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인지기능의 저하와 소변증상의 상관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3차 대학병원을 통해 등록한 94명의 60세 이상의 치매 환자를 대상으로 소변증상을 확인하기 위해 과민성방광증상점수 설문지(이하 OABSS)를 사용하였다. 이후 과민성방광증상을 확인한 설문지와 인지기능척도인 K-MMSE, CDR과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 고령의 환자일수록 OABSS 점수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이는 기존에 있던 연구와 동일하여, 이번 연구에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MMSE, CDR 검사에서 인지기능과 치매가 악화될수록 OABSS 값도 증가되어 과민성방광증상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나이와 성별을 보정하여도 같은 결과를 보였다. 인지 기능과 치매 단계와 과민성방광증상의 심각성 사이의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낸다. 결론 : OABSS 점수는 연령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과민성방광증상은 초기인지장애 환자에게서 볼 수 있으며, OABSS, MMSE, CDR 점수의 관계에 따라 치매 증상이 더 심할 때는 더욱 심각해진다. 노년기 과민성방광증상은 인지기능 저하 가능성이 있을 수 있으므로 주의깊게 보아야 한다. Objective : The urinary disorder of the elderly is very common. Firstly, the urination symptom can be a problem of aging, but it can also be caused by poor brain function. Here, we want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poor cognitive function and urinary symptoms. Methods : To check urine symptoms for 94 dementia patients aged 60 or older who registered through tertiary university hospitals, an Overactive Bladder Symptom Score was used (hereinafter OABSS). Subsequently, correlation analysis were done between OABSS and K-MMSE and CDR, which are the cognitive functions scale. Results : The OABSS tended to increase with older patients, which is the same as previous studies, so the reliability of the study was confirmed. K-MMSE and CDR tests showed that OABSS values also increased as the cognitive function and dementia deteriorated, resulting in hypersensitivity bladder symptoms. The same result was achieved when age and gender were corrected. Indicate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ognitive function and the severity of dementia phase and hypersensitivity bladder symptom. Conclusion : OABSS tend to increase with age. However, hypersensitivity bladder symptoms can be seen in patients with early cognitive impairment, and depend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ABS, MMSE and CDR scores, they become more severe when the dementia symptoms are more severe. In elderly, hypersensitivity bladder symptoms should be viewed carefully, as there may be a possibility of impaired cognitive function.

      • KCI등재

        외상사건 경험자들의 탄력성이 정신적 웰빙과 외상 후 스트레스증상에 미치는 영향 : 외상 후 성장 및 외상 후 부정적 인지의 매개효과

        조용래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14 인지행동치료 Vol.14 No.3

        본 연구는 외상사건 경험자들의 정신건강에 대한 탄력성의 영향을 검증하고, 그 구체적 기제를 밝히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정신건강에 대한 탄력성의 작용기제와 관련하여, 선행 연구들 및 문헌 리뷰에 기초하여, 외상경험자들의 탄력성과 정신적 웰빙 및 외상 후 스트레스증상 간의 관계를 외상 후 성장 또는 외상 후 부정적 인지가 매개한다고 가정하는 세 가지 부분매개모형과 한 가지 완전매개모형이 상정되었다. 321명의 외상사건 경험 대학생들로부터 탄력성, 외상 후 성장, 외상 후 부정적 인지, 정신적 웰빙, 외상 후 스트레스증상, 우울과 불안증상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위계적 중다회귀분석 결과, 탄력성은, 다른 관련 변인들을 모두 통제한 후에도, 정신적 웰빙과 외상 후 스트레스증상 각각에 고유하게 기여하였다. 하지만 탄력성과 외상 노출의 상호작용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구조방정식 분석 결과, 외상 후 성장과 외상 후 부정적 인지는 둘 다 탄력성과 정신적 웰빙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고 외상 후 부정적 인지는 탄력성과 외상 후 스트레스증상 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가정된 통합적인 부분매개모형의 적합도가 다른 매개모형들에 비해 우수하였다. 결론적으로, 탄력성은 다른 관련변인들의 영향을 넘어서서 정신적 웰빙과 외상 후 스트레스증상을 각각 예측하는데 있어 고유하게 기여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아울러, 탄력성이 정신적 웰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경로는 직접 경로 외에 외상 후 성장을 증진시키고 외상 후 부정적 인지를 개선하는 두 가지 간접 경로가 더 있다는 점과, 탄력성은 외상 후 부정적 인지의 완전 매개를 통하여 외상 후 스트레스증상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impact of resilience on mental health and to shed light on its specific mechanism.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 review, three partial and one full mediational models in which post-traumatic growth or post-traumatic negative cognitions would mediate the relations between resilience and mental well-being and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were proposed. Three hundred twenty one trauma-exposed undergraduate students completed self-report inventories measuring resilience, post-traumatic growth, post-traumatic negative cognitions, mental well-being, post-traumatic stress, depressive, and anxiety symptoms. Resilience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mental well-being and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fter controlling for the other relevant predictors, but did not moderate the relations between trauma exposure and mental well-being or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The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supported an integrated partial mediational model in which both post-traumatic growth and post-traumatic negative cognitions would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 between resilience and mental well-being, and post-traumatic negative cognitions would fully mediate the relation between resilience and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resilience uniquely contributes to mental well-being and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d that these impacts may be mediated through post-traumatic growth or post-traumatic negative cognitions.

      • 정신분열병 환자의 신경인지기능, 증상 및 사회적 인지와 사회적 기능과의 관계

        최상철,김경진,백영석,오상우,김재현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02 신경정신의학 Vol.41 No.3

        연구목적: 본 논문은 정신분열병 환자의 신경인지기능, 증상, 사회적 인지 변인들과 사회적, 직업적 기능과의 관 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DSM-Ⅳ에 의해 정신분열병으로 진단된 30명(남자:17명, 여자:13명)의 환자에게 위스콘신 카드 분류 검사(WCST), 한국판 웩슬러 성인용 지능검사(K-WAIS)의 숫자 외우기 소검사, Rey-Kim 기 억 검사, 경계력 검사, 양성 및 음성 증후군 척도(PANSS), 대처방식 체크리스트(WCC), 정신 장애 지 각 평가 척도(SUMD), 사회적, 직업적 기능 평가 척도(SOFAS) 및 주관적 삶의 질 척도(IWB)를 실 시하였다. 결 과: 신경인지기능 중 WCST의 보속 오류수와 SOFAS 점수 간에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었다. Rey-Kim 기억 검사의 MQ와 SOFAS 점수간에는 의미있는 정적 상관을 보였다. K-WAIS의 숫자외우기 소검사 는 바로 따라외우기와 거꾸로 따라외우기 및 숫자외우기 총점 모두가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와 정적 상 관을 보였다. 증상 측정치에서는 음성 증상, 일반 정신병리 증상 및 PANSS 총점이 SOFAS 및 IWB와 유의하게 부적 인 상관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양성 증상은 아무런 연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인지 변인 중에서는 문제 집중적 대처방식이 SOFAS 점수 및 IWB의 전반적 삶의 만족도와 의미있는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SOFAS에 대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문제 집중적 대처, Rey-Kim 기억 검사의 K-A 학습 기울기, PANSS 총점 및 WCST의 보속오류수가 전체 변량의 65.7%를 설명하였다. IWB에 대한 중다회귀분석 결과, 삶에 대한 느낌을 종속변인으로 하였을 때는 PANSS의 일반 정신 병리 증상과 Rey-Kim 기억 검사의 K-A 지연 회상 점수가 전체 변량의 41.8%를 설명하였고, 전반 적인 삶의 만족도를 종속변인으로 하였을 때는 PANSS 총점, Rey-Kim 기억 검사의 K-A 지연회상, 거꾸로 따라외우기, WCST의 세트유지 실패가 전체 변량의 67.3%를 설명하였다.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정신분열병 환자의 신경인지기능(실행기능, 언어적 기억, 주의력), 증상(음성증상, 일 반 정신병리 증상), 사회적 인지(문제 집중적 대처) 변인과 사회적, 직업적 기능간에 의미있는 관련성 이 나타났다. 특히 사회적, 직업적 기능을 예견하는데 있어서는 신경인지기능과 사회적 인지 변인이 의 미있는 예측 변인으로 밝혀졌으며, 주관적인 삶의 질을 예견하는데 있어서는 증상과 신경인지기능 변인 이 중요한 예측 변인으로 나타났다. 사용된 도구의 문제, 피험자의 동질성 문제 등 제한점이 있지만, 본 연구를 통하여 저자들은 정신분열병 환자의 사회적 기능과 관련된 중요한 상관 변인 및 설명 변인을 탐색하는 것이 정신분열병 환자의 치료와 효과적인 개입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보았다. Objectives: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neurocognitive function, symptom, social cognition, and social and occupational function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Methods:Thirty patients with schizophrenia were subjected to following tests:The Wisconsin card sorting test(WCST), the digit span, the Rey-Kim memory test, the vigilance test, the 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PANSS), the ways of coping checklist, the scale to assess the unawareness of mental disorder(SUMD), the social and occupational function assessment(SOFAS) and the index of well-being(IWB). Results: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perseverative errors of WCST in neurocognitive function were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score of the SOFAS. The memory quotients of Rey- Kim memory test were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scores of the SOFAS. The scores of digit span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general satisfaction of life. Negative symptom, general psychopathology and total PANSS score in symptom measurements were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SOFAS and IWB. But positive symptom had no correlation with any scale. The problem focused coping in the social cognition variable was correlated with the score of SOFAS and the general satisfaction of life. Results of the stepwise regression for the SOFAS score, the problem focused coping, the K-A learning slope of Rey-Kim memory test, the PANSS total score and the perseverative errors of WCST predicted 65.7% of total variance. Results of the stepwise regression for the IWB score, for the feeling about life, the general psychopathology of PANSS and the K-A delayed recall score of Rey-Kim memory test predicted 41.8% of total variance. For the general satisfaction of life, the PANSS total score, the K-A delayed recall of Rey-Kim memory test, the backward recall, the failure to maintain set of WCST predicted 67.3% of total variance. Conclusions:In this study, executive function, verbal memory, attention, negative symptom, general psychopathology, and problem focused coping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ocial and occupational function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To predict the social and occupational function, the neurocognitive functions and the social cognition were significant variables. To predict subjective quality of life, symptom and neurocognitive variables were significant variables. Although the scales are very limited to measure various function areas and the subjects are heterogeneous, it is noteworthy that the search for correlation variables and prediction variables of social function of patients with schizophrenia is helpful for treatment and interven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