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낙관성, 인지적 정서조절 및 상담자 소진의 관계

        윤정임,정남운 한국상담심리학회 2009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1 No.1

        본 연구는 낙관성과 인지적 정서조절 및 상담자 소진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낙관성과 상담자 소진 간의 관계를 인지적 정서조절이 매개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전국 상담 관련 기관에서 상담을 하고 있는 총 224명의 상담자였으며, 각 연구대상자는 낙관성, 인지적 정서조절, 상담자 소진, 그리고 상담자 개인사항에 대한 질문지를 작성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상관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낙관성과 인지적 정서조절 및 상담자 소진 간의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낙관성은 인지적 정서조절, 더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고, 덜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과 상담자 소진과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상담자 소진은 덜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낙관성과 상담자 소진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 중 덜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이 부분적으로 매개하였으며, 매개비율은 약 24%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상담자 소진을 완화하기 위한 보호요인으로써 낙관성과 인지적 정서조절의 효과를 경험적으로 확인한 것이다. 또한, 낙관성과 상담자 소진의 관계에서 덜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상담자 소진의 예방 경로에 대해 탐색한 점이다 The goals of present study were to empirically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optimism,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counselor burnout and to identify how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ma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mism and counselor burnout. The participants in the present study were 224 counselors working in counseling centers in Kore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optimism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more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i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less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counselor burnout. Counselor burnou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less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econd, less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was a significant mediator of the relation between optimism and counselor burnout. About 24% of total effect of optimism on counselor burnout is mediated by less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 KCI등재

        청소년의 불안이 또래 애착에 미치는 영향 : 부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주지영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2021 청소년시설환경 Vol.19 No.2

        청소년기에 부적응적인 인지정서조절을 많이 사용하는 경우 또래와의 갈등상황에 비효율적인 문제해결방식을 사용하여 또래 관계의 질에 부정적 영향을 준다. 이에 청소년기 또래애착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의 관계를 살펴볼 필요성이 제기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청소년의 또래 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정서적 요인인 불안과 인지적 요인인 부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를 성차에 따라 검증해 보고자 하며, 이를 통해 청소년의 불안이 또래 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이러한 관계를 보다 개선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요인으로써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 본 연구는 청소년의 또래 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정서적 요인인 불안과 인지적 요인인 부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를 성차에 따라 검증해 보고자 하며, 이를 통해 청소년의 불안이 또래 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이러한 관계를 보다 개선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요인으로써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연구변인인 청소년기 불안, 또래애착, 부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은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가졌으며, 특히 또래애착은 불안과 부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부적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체 청소년의 불안과 또래애착과의 관계에서 부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남학생의 불안과 또래애착과의 관계에서 부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여학생의 불안과 또래애착과의 관계에서 부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청소년의 불안이 또래 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부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는 높은 불안 수준을 경험하는 청소년들에게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접근하는 방법이 청소년들의 또래 관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치료적, 교육적 개입이 될 수 있음을 시사된다. 특히 적응적 또는 부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은 학습이나 훈련을 통해 익힐 수 있는 기술이므로 교육 및 상담 장면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복합외상 경험자들의 외상관련 정서와 용서의 관계-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효과-

        김인경,홍혜영 한국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2 No.2

        This study was aimed to identify the moderating effects of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on the between Trauma related emotions and situation-specific forgiveness. The participants were 135 adults(to meet the diagnostic criteria for Complex PTSD) aged over 18. Collected data from the adults were analyzed with various types of methods including descriptiv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trauma related emotions had a negative relation with situation-specific forgiveness. At the same time, adaptive emotion regulation lacked any relation with situation-specific forgiveness and maladaptive emotion regulation(except self-blame) had a negative relation with situation-specific forgiveness. The result from multiple analyses suggested that adaptive emotion regulation refocuses on planning and acceptance moderated between trauma related emotions and situation-specific forgiveness. In addition, acceptance moderated between betrayal (fear, alienation) and situation-specific forgiveness, adaptive emotion regulation, refocuses on planning, acceptance and self-blame moderated between anger and situation-specific forgiveness. Also, adaptive emotion regulation creates positive refocusing and positive reappraisal moderated between shame and situation-specific forgiveness. This study was demonstrated as a role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s a moderator against trauma related emotions leading forgiveness, which implies that the intervention of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should be changes according to trauma related emotions level in counseling sessions. Limitations of the result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as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외상관련 정서와 용서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만 18세 이상 서울, 경기, 인천, 충북, 충남, 대전, 대구, 경북, 경남, 광주, 부산, 전남 지역의 남녀 성인 중 복합 PTSD 진단 준거에 부합하는 135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복합외상 경험자들이 경험하는 외상관련 정서와 용서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고,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및 그 하위요인들과 용서는 유의미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으며, 자기비난을 제외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그 하위요인은 용서와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복합외상 경험자들이 경험하는 외상관련 정서는 용서를 유의미하게 예측하였으며, 외상관련 정서와 용서의 관계에서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그 하위요인인 계획 다시 생각하기, 수용이 조절효과를 보였다. 즉, 외상관련 정서를 경험하는 경우,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계획 다시 생각하기, 수용을 사용할수록 용서가 촉진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외상관련 정서의 하위요인인 배신감, 공포, 소외감과 용서의 관계에서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하위요인인 수용이 조절효과를 보였다. 즉, 배신감, 공포, 소외감을 경험하는 경우, 수용을 사용할수록 용서가 촉진된다고 할 수 있다. 분노와 용서의 관계에서는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그 하위요인인 계획 다시 생각하기, 수용, 그리고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하위요인인 자기비난이 조절효과를 보였다. 즉, 분노를 경험하는 경우,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계획 다시 생각하기, 수용, 자기비난을 사용할수록 용서가 촉진된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수치심과 용서의 관계에서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그 하위요인인 긍정적 초점변경, 긍정적 재평가, 수용이 조절효과를 보였다. 즉, 수치심을 경험하는 경우,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긍정적 초점변경, 긍정적 재평가, 수용을 사용할수록 용서가 촉진된다고 할 수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복합외상 경험자들이 경험하는 외상관련 정서와 용서와의 관계에서 있어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조절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밝혀, 높은 수준의 외상관련 정서로 용서에 어려움을 느끼며, 이 때문에 심리적 어려움을 겪는 복합외상 경험자들의 치료적 개입에 있어 외상관련 정서와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등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대학생 자녀의 대인관계문제에서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주혜원,배희분 한국가족관계학회 2020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25 No.2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Methods: For this study, a total of 514 students, attending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Korea, were analyzed. The resulting data was interpret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First,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ha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Second,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were verified to have mediating effects under the influence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Third,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were confirmed. Conclusion: The finding hold significance in that they provid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of undergraduate students with corresponding complaints at the site of counseling, while they also work as useful reference in solving these problems. 본 연구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대학생 자녀의 대인관계문제에서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중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 그 경로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 인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부모의 심리적통제척도, 대인관계문제척도,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척도,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최종 514명의 자료를 SPSS 21.0 프로그램과 Mplus 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로는, 첫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대인관계문제는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자녀의 대인관계문제에서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부분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부모의 심리적 통제는 대학생 자녀의 대인관계문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 만 아니라,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통해서도 자녀의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즉 부모의 심리적 통제는 성인형성기의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에 중. 고등시기의 자녀와 다르지 않게 여전히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있는 대학생 자녀의 대인관계문제의 발생과 유지에 기여하는 주요한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이는 상담현장에서 이러한 대인관계문제를 호소하는 대학생 내담자의 상담 시 환경적 요인이라 할 수 있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 보다는 인지적 변인인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에 개입하는 것이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를 해결하는데 더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순차적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대인관계문제관계에서 완벽주의적 자기제시는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가속화하거나 촉진함으로써 대학생 자녀의 대인관계문제를 심화시키는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부모의 심리적 통제 수준이 높을수록 성격적 변인인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성향이 높아지고, 높아진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성향은 인지적 변인이라 할 수 있는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높여 결과적으로 대학생 자녀의 대인관계문제가 심화될 수 있다는 것과 성인형성기의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에 부모의 심리적 통제는 여전한 영향을 끼치는 주요한 변인임을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친밀감이 주요 과업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끼치는 변인을 종합적으로 살펴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개인의 성격적 변인인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인지적 변인이라 할 수 있는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단계를 거쳐 대학생 자녀의 대인관계문제로 이르는 경로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이에 대인관계문제를 호소하는 대학생들의 대인관계문제를 상담현장에서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그 문제를 해결하는데 적절하고 유용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 연구의 의의를 두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과의 관계 :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김지연(Kim, Jiyeon) 한국동서정신과학회 2020 동서정신과학 Vol.23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is purpose, 487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eoul were enrolled in the study. The measurement tools were self-report questionnaire for three areas of psychological addiction tendency of adolescent toward smart-phone, psychological control of mothers perceived by elementary students, and adaptiv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being us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we analyzed using SPSS 23.0 statistical program and Mplus7. In order to examine the general tendency of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and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measurement variables perceived by elementary student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descriptive statistics and each variables. In order to evaluate the mediating effect, we presume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divided it into adaptive cognitive emotional control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al contro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and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Especially, mother s psychological control factors were highly correlated with criticism. On the other hand,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adaptiv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but statistically significant statistical impact on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al control strategy. Seco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have a correlative effect on the tendency to addicted to smart-phone. Among them, there was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the accusations of other people and the weakness of smart-phone addiction. In addition, adaptiv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the tendency to addicted to smart-phones. Third, as a result of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and the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the partial mediation effect of the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al control strategy in the path from the mother s psychological control to the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was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higher the perceived mother s psychological control, increases the maternal perception of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the tendency of addiction of smart-phone is increased. It is meaningful to provide empirical evidence of parental control and understanding of maternal and emotional control of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s by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 and child s emotional control and emotional awareness of the tendency of mothers to influence their addiction to older adults. 본 연구는 초등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과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의 초등학생 487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측정도구로는 청소년용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 초등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 인지적 정서조절의 세 가지 영역에 대해 질문하는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SPSS 23.0 통계 프로그램과 Mplus7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초등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그리고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 측정 변인의 일반적 경향을 살펴보기 위해 기술통계분석, 각 변인들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한 상관분석을 하였고,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추정하고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로 나누어 매개효과를 검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들 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은 유의미한 상관이 있고 특히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 요인 중 인신공격이 높은 상관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한편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는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한 반면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주었다. 둘째,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은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타인비난과 파국화가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과 정적인 상관이 나타났다. 또한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은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인 영향을 보였다. 셋째,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나누어 매개 효과를 각각 살펴 본 결과,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에서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으로 가는 경로에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부분매개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지각된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높을수록 부적응적 인지정서조절이 증가하고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부적응적 인지정서조절의 매개효과의 관계를 밝힘으로써 스마트폰 과다 사용 예방 및 중재 프로그램 개발에서 자녀측면에서의 접근 방법과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는 경험적 증거를 제공하고, 부모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청소년의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대인관계문제의 매개효과

        김혜원,오인수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6 청소년상담연구 Vol.2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problem between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For this purpose, a survey from 290 high school students was analyzed by a series of regression. The results are as followings. Firstly, psychological well-being was significantly predicted by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interpersonal problem. The interpersonal problem showed the highest influence, while the negativ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showed the lowest influence. Secondly, social inhibition and assertiveness out of interpersonal problems, positive reappraisal, putting into perspective, refocus planning out of adaptiv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and catastrophizing out of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significantly influenced psychological well-being in terms of sub-factors of independent variables. Thirdly, interpersonal problem was identified as medi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mplications for effective counseling interventions enhancing adolescents’psychological well-being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in terms of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and interpersonal problems. 본 논문은 청소년의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부정적 사건인 대인관계문제의 매개효과 분석에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고등학교 1~2학년 남·여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290명의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일련의 회귀분석 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인지적 정서조 절전략과 대인관계문제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대인관계문제의 영향력이 가장 컸으며 부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심리적 안녕감에 가장 적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대인관계문제,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부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하위변인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대인관계문제의 하위변인 중 사회적 억제와 비주장성이,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하위변인 중 긍정적 재평가, 조망확대, 계획다시 생각하기,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 략의 하위변인 중 파국화가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하위변인으로 확인되 었다. 셋째,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두 차원인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과 부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대인관계문제가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의 증진을 위한 상담적 개 입방법을 정서조절전략과 대인관계 문제의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적응유연한 청소년의 정서인식 명확성과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에 관한 연구

        김민아,권경인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08 청소년상담연구 Vol.16 No.1

        As the title suggests, this research is a study on the emotional clarity and th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of resilient adolescents mainly focused on 487 high school students of the 11th grade, involved both the humane and the industrial, in Korea. Firstly, the researcher has classified all those students into three groups through the levels of risk factors and resilience; one group of 73 resilient adolescents, another of 46 competent adolescents, and the other of 40 fragile adolescents. Secondly, I have analyzed what differences the resilient adolescents appeared from the other groups in the emotional clarity and th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Finally, I have aimed at studying a interrelation between the emotional clarity and th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In order to classify the resilient adolescents group, the researcher has used Family Adversity Scale for their undergoing adversities and Korean Youth Self-Report: K-YSR for their resilience levels. And I have used Trait Meta Mood Scale: TMMS for emotional clarity an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 CERQ for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 One-Way ANOVA analysis reveal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motional clarity between the resilient adolescents and the competent adolescents; but that the resilient adolescents had significantly higher emotional clarity than the fragile adolescents. As to th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among the tree groups; while the resilient adolescents were significantly less active than the fragile adolescents in using the non-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bu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with the competent adolescents. A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only between the emotional clarity and the 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of the resilient adolescents; while both the competent adolescents and the fragile adolescents showed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emotional clarity and th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And only catastrophizing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emotional clarity as well as with the non-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Therefore, it seems that the resilient adolescents characteristically recognize their emotion clearly, and that they are significantly less active in using the non-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than the adolescents who are fragile in adversity. In addition, it seems that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emotional clarity and the 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of the resilient adolescents. 본 연구는 적응유연한 청소년의 정서인식 명확성과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에 관해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이 를 위해 487명의 고등학교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위험요소의 수준과 적응수준에 따라 적응유연 청소년7 3 명, 유능 청소년 46명, 취약 청소년 40명으로 세 집단을 분류하였다. 이 중 적응유연한 청소년들의 정서인식 명확성과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은 나머지 두 집단과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지 분석하고 각 집단별로 정서 인식 명확성과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간에 어떠한 상관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적응유연한 청소년 집단을 구 분하기 위해 청소년이 처한 역경은 가정환경 역경 척도(신현숙, 2004), 적응수준은 청소년 자기행동 평가 척 도(김수주, 2002)로, 정서인식 명확성은 한국판 특성 상위기분 척도(K-TMMS, 이수정, 이훈구, 1997)로,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은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척도(김소희, 2004)를 실시하여 살펴보았다. 일원변량분석 결과, 적응 유연한 청소년은 정서인식명확성에 있어서 유능한 청소년과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지 않으나 취약한 청소년과 비교해 보았을 때는 유의미하게 높은 정서인식 명확성을 보였다.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중 적응적 정서조절 전략의 사용은 세 집단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으나, 부적응적 정서조절 전략의 사용 에 있어서는 적응유연한 청소년은 취약한 청소년과 비교해 유의미하게 낮은 부적응적 정서조절 전략을 사 용하고 있었고, 유능한 청소년과는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상관분석 결과, 적응유연한 청소년의 정서인식 명확성과 적응적 정서조절 전략만이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고, 유능한 청소년과 취약한 청소 년은 모두 정서인식 명확성과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상관이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중 취약한 청소년의 정 서인식 명확성과 부적응적 정서조절 전략 중 파국화만이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따라서 적응유연한 청소년은 자신의 정서를 명확하게 인식하는 특성을 지녔고, 역경에 취약한 청소년들보다 부적응적인 정서조 절 전략을 유의미하게 적게 사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적응유연한 청소년의 정서인식 명확성과 그들이 사용하는 적응적 정서조절 전략은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대학생의 자기불일치와 우울이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된 매개효과

        김태곤,이수진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Vol.1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through dep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screpancy and SNS addiction tendency. A total of 501 Korean college students(Males: 191/Females: 310) from two colleges in Seoul and Chung-Nam, participated in this study by responding to the following questionnaires: SNS Addiction Proneness Scale for College Students, Actual and Ideal Selves Questionnaire, 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Depressions(CES-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 (CERQ), The data analysis was done using SPSS Statistics 18.0 VERSION and SPSS Process macro version 2.16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SNS addiction tendency, self-discrepancy, depression an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NS addiction tendency, self-discrepancy, depression.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NS addiction tendency, self-discrepancy, depression. Second, a mediating model show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screpancy and SNS addiction tendency was partially mediated by depression. Thir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d slope analysis, the moderation effect of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screpancy and depression was found, but not for adap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Finally,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lso moderate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discrepancy on SNS addiction tendency through depression. In this study, the pathway leading to the SNS addiction tendency was examined jointly, including self-discrepancy, depression and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effectively utilized in counseling and prevention education practice for SNS addiction. Also,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기불일치와 SNS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와 자기불일치와 우울의 관계를 조절하는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충남 소재의 4년제 대학교 재학생 501명(남학생 191명, 여학생 310명)을 대상으로 자기불일치척도, 우울척도, SNS중독경향성 척도,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인들 간의 상호 관련성을 확인한 결과 SNS중독경향성, 자기불일치, 우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모든 변인들 간 상관이 유의미하였다. 그 중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은 자기불일치, 우울, SNS중독경향성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은 자기불일치, 우울, SNS중독경향성과 각각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자기불일치와 SNS중독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우울은 자기불일치와 SNS중독의 관계를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불일치와 우울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고,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자기불일치와 우울의 관계를 유의미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자기불일치와 SNS중독의 관계를 우울이 매개하고, 자기불일치와 우울의 관계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조절하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SNS중독 상담에서 적용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생도생활 스트레스와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자기자비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윤영 한국임상심리학회 2021 한국심리학회지: 임상심리 연구와 실제 Vol.7 No.2

        본 연구에서는 육군사관학교 생도가 경험하는 생도생활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매개하고,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자기자비가 조절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육군사관학교 생도 1,054명을 대상으로 생도생활 스트레스 요인 척도,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척도, 우울 척도, 자기자비 척도를 실시하고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도생활 스트레스,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우울, 자기자비 간 상호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매개효과 검증결과, 생도생활 스트레스가 우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정적으로 부분매개하였다. 셋째,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우울 간 자기자비의 조절효과 검증결과, 자기자비는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유의한 상호작용을 나타냈다. 넷째, SPSS PROCESS Macro (version 3.5)를 이용하여 조절된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생도생활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매개하고,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우울의 관계가 자기자비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를 살펴보고 생도 정신건강 향상과 적응 및 후속 연구의 시사점에 대해 논하였다.

      • KCI등재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청소년의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홍경화,홍혜영 한국청소년학회 2011 청소년학연구 Vol.18 No.5

        본 연구는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조절변인으로 작용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지역에 재학 중인 남녀 중학생 440명(남자 202, 여자 238)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사회불안 간에는 정적 상관을 보였다. 그리고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사회불안사이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조절변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은 조절변인역할을 하였으나 부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은 조절효과를 나타내지 못했다. 하지만 그 하위요인인 타인비난은 조절변인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사회불안과 관련이 있다는 것과 어느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경감시킬 수도 증가시킬 수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whether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erves as a parameter in the relation between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social anxiety respectively. To this end, Seoul and Gyeonggi area middle school students enrolled in the survey was conducted in 440 student(male 202, female 238). The result were as follows.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fear of negative evaluation,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and social anxiety. and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erved as moderating variable in the relation between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social anxiety. Also, adaptive emotion regulation had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 between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social anxiety, but its subfactors didn't have moderating effect. In conclusion, the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re related to social anxiety and the effect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on social anxiety can be various whether the fear of negative evaluation u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