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축제 서비스스케이프가 정서적 이미지를 매개로 하여 지역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심상욱(Sim, Sangug) 한국상품학회 2011 商品學硏究 Vol.2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influences of the cognitive servicescape image on the regional image in festival settings. For the analysis, the model consisted of five constructs: the cognitive services cape image, the two affective images of pleasure and arousal, the satisfaction, and the regional image. The model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 cognitive-affective image models of previous studies. First, the direct influence of the cognitive services cape image on the regional image was analysed, and next, the indirect influence mediated by the satisfaction and the affective image was analysed. For the empirical test of the model, 10 hypotheses were constructed, and 670 samples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s given to the visitors of Yungam Wangin Cultural Festival and Goryung Deagaya Experience Festival in 2009, in consideration of the ratio of the sex and age cohorts. The SPSS 14.0 and AMOS 7.0 were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From the sample results, the following six points were confirmed. First, the cognitive services cape image directly and significantly influences the regional image. It may be assumed that visitors will associate the regional image with the perceived physical environment, the services cape. Second, the cognitive services cape image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affective festival images, the pleasure and the arousal. According to the effectiveness analysis, it is clear that the direct influence of the cognitive services cape image on the pleasure is equal to the indirect influence through the arousal. Third, the cognitive services cape image has a significant direct influence on the satisfaction of the visitors, and also has a significant indirect influence through the pleasure, but the arousal doesn't have a significant indirect influence. The amount of the direct influence is equal to the indirect. Fourth, for the relation between affective festival images and the regional image, the pleasure has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regional image, but the arousal has a significant negative influence. Fifth, the satisfaction of the visitors has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regional image, and this means that the satisfaction is a mediator between the cognitive services cape image and the regional image. Sixth, concerning the influence of the cognitive services cape on the regional image, there is a moderating effect between the first visitor group and the multi-visitor group. For the first visitor group, the direct effect is stronger than the indirect effect, but for the multi-visitor group, the indirect effect is stronger than the direct effect. 본 연구는 축제의 서비스 스케이프인지적 이미지가 지역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축제의 서비스 스케이프인지적 이미지, 축제의 정서적 이미지 중 즐거움과 각성, 만족행동의도, 지역이미지를 변수로 한 구조모형을 수립하여 분석을 하였다. 그리고 추가적인 분석으로 방문회수에 따른 지역이미지에 대한 영향의 차이를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축제의 서비스 스케이프인지적 이미지는 지역이미지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둘째, 축제의 서비스 스케이프인지적 이미지는 축제의 정서적 이미지를 매개로 하여 지역이미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셋째, 축제의 서비스 스케이프인지적 이미지는 만족행동의도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즐거움을 통하여 간접적으로도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넷째, 축제의 정서적 이미지 중 즐거움은 지역이미지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나, 각성은 유의 한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다섯째, 만족행동의도는 인지적 이미지의 지역이미지에 대한 영향에 매개적 역할을 하고 있다. 여섯째, 축제의 서비스 스케이프인지적 이미지가 지역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 방문자의 방문회수는 조절효과를 나타내고 있으며, 처음 방문자는 직접적인 효과가 큰데 비하여 재방문자는 간접적인 효과가 큰 것이 밝혀졌다.
미술치료에서 이미지의 인지적 기능과 그 치료적 측면에 관한 연구 : 콜라주 인터뷰 분석을 중심으로
이모영,김은영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4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0 No.2
본 논문은 콜라주 인터뷰 분석을 중심으로 최근에 새롭게 관심을 끌고 있는 이미지의 인지적 기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우선 이미지가 어떤 인지적 기능을 수행하는지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위해 기존의 미학 연구, 예술심리학 연구 그리고 최근에 새롭게 떠오르고 있는 예술기반 연구 또는 이미지 기반 연구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 후 이와 같은 이미지의 인지적 기능이 실제 미술치료에서 구체적으로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콜라주 미술치료 사례를 분석하고, 이미지의 인지적 기능이 미술의 치료적 효과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이미지는 표현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둘째로, 이미지는 대화를 촉발하고 재구성하는 기능을 한다. 셋째로, 이미지는 새로운 방식으로 사물에 주의를 기울이게 한다. 넷째로, 이미지는 활성화하는 기능을 한다. 마지막으로 이미지는 공감적 이해를 촉진하는 기능을 한다. 미술치료에서 이미지의 인지적 기능에 대한 논의는 미술의 치료적 효과를 더욱 설득력 있게 주장할 수 있는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고, 심리치료와 차별화할 수 있는 미술의 치료적 측면을 제공함으로써 미술치료의 학문적 정체성을 더욱 강화하는 데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thesis investigated the cognitive functions of images which is newly attracting attention these days, focused on collage interview analysis. For theoretical discussion on which cognitive functions images can have, existing studies on aesthetics, psychology of art, and the recently emerging art-based research or image-based research were examined. Then, to look into the specific appearances of these cognitive functions in art therapy, collage art therapy cases were analyzed and the relations of the cognitive functions of images with the therapeutic effects of art were explored. The findings from this thesis are as follows: Firstly, images could be used to facilitate expressions. Secondly, images could be used to evoke and reconstruct dialogues. Thirdly, images make people pay attention to things in new ways. Fourthly, the function of activation could be performed through images. Finally, images could enhance empathetic understanding. Discussion on the cognitive functions of images in art therapy will greatly contribute to the reinforcement of the academic identity of art therapy by providing the theoretical basis for more persuasive arguments about the therapeutic effects of art and also by presenting the therapeutic aspects of art therapy that are differentiated from psychotherapy.
도시관광의 인지적.정서적 이미지와 시티투어버스 이용경험의 : 구조적 관계 연구
염수길(Yeum, Sookil),김태희(Kim, Taehee) 대한관광경영학회 2021 관광연구 Vol.36 No.7
본 연구는 도시관광의 물리적 요소를 평가하는 인지적 이미지의 구성요인이 정서적 이미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 도시 관광객의 시티투어 경험에 따른 조절효과를 검증하여 도시관광 마케팅 환경에서 시티투어 프로그램의 실증적 역할검증과 긍정적인 도시이미지를 강화시키기 위한 기본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도시관광의 인지적 이미지와 정서적 이미지의 관계에 대한 구조방정식모형을 설정하여 분석하였고, 시티투어버스 이용경험에 따른 집단을 분류하여 인지적 이미지가 정서적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한 설문조사는 서울과 부산을 관광한 경험이 있는 대상으로 2021년 01월 15일부터 03월 20일까지 온라인조사를 통하여 총 4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이 가운데 383개 유효설문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결과를 종합하면 첫째, 인지적 이미지 구성요인 가운데 관광지원, 인프라, 경제성이 정서적 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관광지원에 대한 평가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침으로써, 도시 관광객은 도시가 보유하고 있는 관광자원의 매력성을 높게 평가할수록 긍정적인 정서가 가장 크게 형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도시관광의 인지적 이미지가 시티투어버스 이용경험과 상호작용하여 정서적 이미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해 본 결과, 경험 유․무에 따라 정서적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은 서로 다른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대적으로 이용경험이 있는 집단에서 더 큰 영향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도시마케터는 도시이미지 제고와 관광 유인력을 높이기 위한 마케팅전략의 일환으로서 시티투어 프로그램을 적극 활용하고 질적 향상을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role of the city tour bus exper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gnitive image and affective image of tourism destinations for planing the fundamental urban tourism marketing strategies.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is study, two main hypotheses were tested. First, the influence of cognitive image on the affective image of tourism destinations. Second, the moderating role of city tour bus exper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gnitive image and affective image of tourism destinations. The survey was conducted in online between January 15 and March 20, 2021 on 400 urban tourists of Seoul city and Busan city, and 383 vali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cognitive image of destination has partially significant effects on affective image of destination, an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influence of cognitive image on the affective image between the experience group and inexperience group of city tour bus, and results revealed that the experience group has more strong affective responses than inexperience group. Therefore, efforts should be made for the promotions and managements of the city tour program as means to improving the image of urban tourism.
김난영(Nan Young Kim) 한양대학교 관광연구소 2012 觀光硏究論叢 Vol.24 No.1
아산시의 관광은 시간 소비형 실버관광객들에 의해 주도되고 있는 가운데, 관광시장의 다각화를 추구하기 위해 보다 차별화된 관광 이미지 구성을 위한 노력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아산시의 이미지를 구성하고 있는 인지적 이미지, 정서적 이미지, 전반적 이미지는 어떠한 영향 관계를 나타내는지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아산시의 인지적 이미지는 6개 유형으로 구분되었으며, 이러한 인지적 이미지는 정서적 이미지와 전반적 이미지에 부분적으로 정(+)의 영향을 미치며, 정서적 이미지는 전반적 이미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지적 이미지와 전반적 이미지 관계에서 정서적 이미지가 부분적인 완전매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In recent years Asan tourism has been mainly led by elderly tourists. In the mean time, the need for diversifying tourism services has been brought in as well in order to make a distinctive tourism image for Asa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three types of images: cognitive image, affective image and the overall image of Asa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dentify six cognitive image types and these factors partly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both affective image and overall image. Affective image has a positive influence on overall image. Furthermore, the affective image partly has a perfect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image and overall image. The results suggest several managerial implications.
도시마케팅을 위한 도시의 인지적 이미지, 정서적 이미지와만족 간의 구조모형분석: 아산시를 사례로
이정란 한국지역학회 2009 지역연구 Vol.25 No.2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the determinants of cognitive image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cognitive image on affective image and satisfaction for city marketing. And to identify the mediation roles of affective image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cognitive image and satisfaction. For these purposes the author developed a structural model which consists of several variables. The data were collected 409 city residents and analyzed using SPSS Win/PC 14.0 and LISREL 8.5W.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gnitive image has a positive effect on positive affective image and satisfaction. Specially, symbolism, public service, development capability and facilities furtherance has a positive effect on positive affective image and satisfaction. Second, affective image has a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Third, cognitive image has a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through mediating role of affective image. At the end of this paper, discussions and city image's managerial implications for city marketing. Also the limitations and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suggested. 본 연구는 인지적 이미지의 각 차원이 정서적 이미지와 만족에 직․간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구조모형분석으로 규명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 핵심 인지적 이미지 속성을 밝혀내고자 한다. 특히 도시가 갖는 고유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국내 전체 도시의 일반적 특성보다 특정 도시를 선택함으로써 해당 도시의 보다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도시마케팅을 위한 정책 제안을 제시하는 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연구목적을 위해 아산시에 거주하고 있는 20대 이상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 중 409부를 최종분석에 활용하였으며, SPSS Win/PC 14.0 프로그램과 LISREL 8.5W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한 도시의 인지적 이미지는 문화성, 상징성, 구조성, 전통성, 공공서비스, 혁신성, 발전가능성, 시설조성, 환경성, 경제성, 교육성과 시민성의 12개 차원으로 도출하였고 실증분석을 통해 문화성, 상징성, 구조성, 전통성, 공공서비스, 발전가능성과 시설조성의 7개 차원으로 재정리되었다. 실증모형에 따르면 제안모형은 만족스러운 모형 적합도를 보여주었으며 도시의 인지적 이미지는 정서적 이미지와 만족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서적 이미지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적 이미지 차원별 영향력은 상징성, 공공서비스, 발전가능성과 시설조성이 정서적 이미지에 직접적으로 정(+)의 영향을 미치며, 정서적 이미지를 통해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지적 이미지는 만족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해당 도시의 도시마케팅과 관련된 도시이미지 제고 방안들을 제안하였으며 연구의 한계점을 언급하였다.
카지노 방문경험이 인지적 이미지와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박소영,이미순 한국관광학회 2013 관광학연구 Vol.37 No.8
본 연구는 카지노에 대한 인지적이미지가 카지노 방문 경험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인지적이미지가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카지노 산업의 이미지 개선 전략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2012년 12월 23일부터 12월 31일까지 9일간 부산지역의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인지적 이미지를 경제적 이미지, 관광 편의적 이미지, 사회적 이미지, 문화적 이미지, 복지적 이미지의 5가지 요인으로 추출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제적 이미지 요인, 문화적 이미지 요인에 대해 카지노를 방문한 경험이 있는 관광객들이 카지노의 긍정적인 효과에 대해 인식하게 될 가능성이 크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또한 사회적 이미지 요인에 대해서는 카지노를 경험해보지 못한 응답자들이 카지노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부정적인 이미지를 상대적으로 크게 인지하고 있었는데 이러한 결과는 언론매체에서 제공하는 지식이나 정보를 통해 카지노 산업의 사회적 부작용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가 주관적인 이미지로 확립되어 카지노를 직접 경험하기 전까지는 이미지 변화가 생기지 않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카지노의 인지적 이미지 요인이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경제적, 관광·편의적, 문화적 이미지가 높을수록 카지노를 방문하고자 하는 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카지노 방문 경험이 카지노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 형성에 영향을 미치며, 긍정정인 이미지가 방문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의미한다. 따라서 카지노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를 형성하는 요인이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긍정적인 이미지 개선을 위한 전략과 정책을 마련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연구가 진행 되어야 할 것이다. The topic of cognitive destination image has received substantial attention in tourism research for the last decade but there has been almost no research was done for the casino industry. The professionals' efforts to change the perception of these images from negative to positive have not been conducted.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improve the images of casino industry by anlaysing the perception of people.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first to classify factors that form cognitive images of the casino industry and second to evaluate how visit experience affect to establish cognitive images and visit intentions.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a sample of 260 respondents in Busan(Busan Train Station, Bus Terminals, Airport and Luxury Hotels) and used 245 questionnaires for data analysis. Five considerations, titled ‘economical,’ ‘tourism and convenience,’ ‘social’, ‘cultural’ and ‘welfare,’ were identified b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This result suggests that this scale would be suitable for evaluating cognitive images which are affecting visit intentions in the Korean casino industry.
한국의 국가이미지, 관광지 인지적 및 정서적 이미지, 의료관광 이미지 간의 관계
임정우 ( Jung Woo Lim ),이교은 ( Kyo Eun Lee ),하동현 ( Dong Hyun Ha ) 대한관광경영학회 2013 관광연구 Vol.28 No.3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effect of Korea`s national image on cognitive and emotional image as tourist destination and medical tourism image with perception of foreign tourists. This study also investigates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and emotional image as tourist destination and medical tourism image. This study used the 2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Korea`s national image consists of three factors(safety, environment, welfare) and Korea`s cognitive image as tourist destination, consists of three factors(tourism resource, cost, amenities) and emotional image, two factors(atmosphere, attractiveness).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ly, Korea`s national image influenced its cognitive and emotional image, but it didn`t influence its medical tourism image. However, Korea`s national image influenced its medical image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1. Secondly, Korea`s cognitive image as tourist destination influenced its medical tourism image negatively. Thirdly, Korea`s emotional image didn`t influence its medical tourism image. Based on these findings, Korea`s medical tourism needs innovation. Countries of Asia regards Korea as having good medical tourism, but other countries of other continents see Korea as having poor medical tourism. From now on, Korea needs to setup medical tourism based on high medical skills.
점포이미지와 충성도 관계에서 인지적 만족과 감정적 만족의 역할
최철재(Chul-Jae Choi) 한국콘텐츠학회 200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9 No.10
본 연구에서는 백화점을 대상으로 상품이미지, 점포환경이미지, 판매원서비스이미지, 촉진활동이미지, 물리적시설이미지, 사후서비스이미지 등 점포이미지 구성요인과 인지적만족, 감정적만족 및 충성도 간의 경로상의 관계를 검증하고 만족의 역할을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선행연구에서 점포이미지가 충성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거나 혹은 만족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지만 본 연구에서는 점포이미지 구성요인에 따라서 인지적만족, 감정적만족, 충성도에 각기 다르게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즉 상품이미지와 물리적시설이미지는 인지적만족에, 판매원서비스이미지와 사후서비스이미지는 감정적만족에 그리고 촉진활동이미지는 두 변수 모두에게 영향을 주었으며, 점포환경이미지는 직접적으로 충성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판매원서비스이미지, 촉진활동이미지 및 사후서비스이미지 등 서비스와 관련된 점포 이미지는 감정적만족를 매개하여 충성도를 구축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고객에게 점포이미지를 형성하여 충성도를 가져오기 위해서는 점포이미지 구성요소를 기능적속성과 심리적속성으로 분리하여 만족을 유도하여야 하며 궁극적으로 충성도를 형성하는 변수들을 중심으로 점포이미지를 형성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is to identify how merchandise quality, store environment, personnel service, sales promotion, store amenities and supporting service which is considered to store image components influence on satisfaction and loyalty and examine the role of satisfaction in explaining relationships between store image and loyalt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each components of store image influence on cognitive satisfaction or emotionally based satisfaction or loyalty. (2) merchandise quality and store amenities have influence on cognitive satisfaction and emotionally based satisfaction is affected by personnel service and supporting service, but store environment has directly influence on loyalty. (3) store image components that is concerned with service in the store e. g. personnel service, supporting service build customer loyalty by mediating emotionally based satisfaction. In order to build strong customer loyalty, marketer have to formed through store image components that is much stronger on loyalty.
국가이미지가 와인이미지와 와인선호도,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와인관여도를 조절변수로 -
김은경,황조혜 한국관광학회 2015 관광학연구 Vol.39 No.8
Despite the increase and diversification of the wine market, there is a scarcity of image-related study in the wine indust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 three folds: first, to develop wine image measurement scale; seco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country image, their wine image, preferences, and purchase intentions; and third, to examine a moderating effect of wine involvement in those relationships. A survey study was conducted, and 444 responses were collected from a convenience sample of wine consum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country image affected their wine image which in turn affected wine preferences and purchase intentions. Additionally, affective image had stronger effects on consumer responses than cognitive image. Interestingly, wine involvement did not have moderating effects on those relationships. This study provides academic insights for wine-related research as well as practical marketing implications for the wine industry. 국내 수입와인 시장규모는 최근 10년 사이 꾸준한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소비자들은 품질이 우수한 외국산 와인을 다양하게 접할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는 현재 수많은 와인에 대한 정보파악이 어려운 가운데 그 대리적 지표로 생산국에 대한 이미지가 사용되며, 이러한 국가이미지와 제품이미지가 선호도와 구매의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와 함께 제품관여도의 조절효과에 대한 연구도 다수 진행되었다. 이러한 영향이 와인이미지에도 적용되는지 분석하기 위하여 와인이미지 측정을 위한 문항을 도출하였고, 이미지의 두 가지 하위 구성요소의 상대적 영향력을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에 거주하는 20세 이상 한국인 성인 남녀 중, 와인 음용 경험자를 대상으로 2014년 11월 8일부터 11월 17일까지 총 480부의 설문지를 무작위로 배포하였으며, 총 444부가 실증분석 자료로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국가이미지와 와인이미지, 와인선호도, 구매의도 간에 정(+)의 영향관계가 존재하며, 이러한 관계에 와인관여도의 조절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국가이미지와 와인이미지의 하위 구성요소 중, 정서적이미지가 인지적이미지에 비해 보다 큰 영향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마케팅적 관점에서 기존의 와인 자체에 대한 마케팅과 더불어 와인생산국의 긍정적 이미지와 감성을 자극하는 홍보 전략을 최대한 활용하는 것이 더욱 효율적일 것이라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해외골프투어 이용객들의 인지적이미지와 정서적이미지가 사전기대, 선택결정만족 및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임영삼,구창모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008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Vol.2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해외골프투어 참가자들의 인지적 이미지와 정서적 이미지가 사전기대, 선택결정만족 및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으로는 2008년 1월 태국 방콕에 위치한 W, B, T C.C. 각 3 곳의 골프장을 이용한 266명이다. 이를 규명하기 위하여 SPSSWIN Ver.15.0과 Amos 7.0을 활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인지적 이미지는 사전기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적 이미지는 사전기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지적 이미지는 선택결정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정서적 이미지는 선택결정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사전기대는 선택결정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사전기대는 재방문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선택결정만족은 재방문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look into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in which cognitive image and emotional image might have an effect on predetermined expectations, satisfaction with their choice, and intention of re-particip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66 adults who participant at the overseas golf tour participants in Bangkok Thailand as of 2008. To clarify this, this research used SPSSWIN Ver.15.0 and Amos 7.0 and obtained the results as follows: First, the cognitive image was reveal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predetermined expectations. Second, the emotional image was also reveal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predetermined expectations. Third, the cognitive imag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with users' decision in choice. Fourth, the emotional imag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with their decision in choice. Fifth, the predetermined expectation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satisfaction with decision in choice. Sixth, the predetermined expectation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ir intention of re-visit. Seventh, the satisfaction with decision in choic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ir intention of re-vis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