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중의 감염병 위험인식 수준이 예방행위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자기 효능감·반응 효능감·집단 효능감의 조절효과 분석

        진범섭 한국소통학회 2021 한국소통학보 Vol.20 No.1

        헬스커뮤니케이션에서 위험인식 및 효능감은 예방행동을 결정짓는 주요 개념들이다. 본 연구에서는 위험인식의 두 가지 수준을 분류하여 각 위험인식이 효능감 변인들의 수 준에 따라 예방행위 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기존의 연구들은 위험 인식을 둘러싼 미디어·커뮤니케이션의 내용, 유형, 프로그램 등에 초점을 두었다. 그러 나 본 연구는 결핵에 대한 개인적·사회적 수준의 위험인식이 예방행동 의도에 끼치는 영향력이 개인적·집단적 수준의 효능감에 의해 조절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편의표집된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를 통해 사회적 수준의 결핵 위험인식이 개인적 수준의 결핵 위험인식보다 예방행위 의도에 더 큰 영향 력을 확인하였으며, 자기·반응집단 효능감 모두 예방행위 의도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입 증하였다. 위계적 다중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예방행위 의도에 대하여 개인적 수준의 위험인식이 미치는 영향력은 자기·반응 효능감에 조절되지 못함을 검증하였다. 그러나 예방행위 의도에 사회적 수준의 위험인식이 미치는 영향은 집단 효능감에 의해 조절되는 경향을 밝혔다. 즉, 집단 효능감이 높은 집단은 그렇지 못한 집단보다 사회적 수준의 위 험인식이 예방행위 의도에 더욱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본 연구의 이론적·실무적 시사점 은 헬스커뮤니케이션 학자들과 실무가들이 감염병 예방 캠페인 전략 개발에 위험인식 및 효능감을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해야 한다는 사실이다. 특히, 위험인식의 개인적·사회적 수준을 이해함으로써 각 수준에 맞는 캠페인 타겟층의 효능감을 파악해야 할 것이다. In health communication research perceived risk and efficacy beliefs are thought to be significant concepts. This study aimed to explore whether risk perceptions could affect preventive behavioral intent according to the levels of efficacy beliefs variables by categorizing risk perceptions into the personal vs societal level. Past research focused on the contents, types, and programs of media and communication regarding risk perception. However, the study examined whether the personal- and societal-level risk perceptions of TB on preventive behavioral intent could be moderated by the personal and collective level of efficacy beliefs. To this end the study used a survey method with a convenience sample of undergraduate students in Korea. Results found that the effect of societal-level risk perception on the TB preventive behavioral intent would be more likely to occur than the personal-level risk perception, while both self and response efficacy beliefs significantly affected the behavioral intent. Moreover, hierarchical moderate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the impact of personal-level risk perception on the behavioral intent was not moderated by self and response efficacy, whereas the impact of societal-level risk perception was significantly moderated by collective efficacy. That is, for those with high perceived collective efficacy, the societal-level risk perception is more likely to affect the preventive behavioral intent, compared to those with low perceived collective efficacy. The study suggest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that health communication scholars and practitioners should more effectively utilize risk perceptions and efficacy beliefs to develop infectious diseases prevention campaign strategies. In particular, they need to figure out the proper level of efficacy beliefs of campaign target audiences by identifying the personal- and societal-level risk perception.

      • KCI등재

        지적장애학생의 직업전환을 위한 고용능력 및 생활기술에 대한 교사의 인식수준

        정성은 ( Jung Sung-eun ),박영근 ( Park Yung-keun ),김재천 ( Kim Jae-cheon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7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6 No.3

        이 연구는 지적장애학생들의 효과적인 직업전환을 위한 고용능력 및 생활기술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수준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적장애학생의 효과적인 직업전환을 위한 고용기술 및 생활기술에 대한 특수교사의 중요도 인식 수준은 상당히 높지만 수행도 인식수준은 중요도에 비해 낮다. 중요도 인식수준에서는 자조 기술을 8가지 고용능력 및 생활기술영역 중에서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작업태도에 대한 인식수준이 가장 낮다. 역시 자조 기술은 고용능력과 생활기술의 가르치는 수행도 인식수준에서도 인식수준이 제일 높은 반면 작업태도에 대한 인식수준이 제일 낮다. 게다가 지적장애학생의 성공적인 직업전환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10가지 수행요구항목을 고용기술 및 생활기술영역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간의 인식수준 차이를 분석하여 제시했다. 둘째, 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른 지적장애학생의 효과적인 직업전환을 위한 고용능력 및 생활기술에 대한 교사의 인식수준에서 중요도 인식수준은 5년 미만의 교직경력을 가진 특수교사에 비해 10년 이상의 교직경력을 가진 특수교사의 인식수준이 높고, 대학 졸업 특수교사에 비해 대학원 졸업 특수교사가 중요도를 높게 인식한다. 수행도 인식수준에서는 특수학급 특수교사보다는 특수학교 특수교사가, 고등부 특수교사보다는 전공과 특수교사가, 5년 미만의 교직경력을 가진 특수교사보다 10년 이상의 교직경력을 가진 특수교사가, 대학 졸업 특수교사보다는 대학원 졸업 특수교사의 수행도 인식수준이 높다. 특수교사의 인식을 파악하는 이 연구의 결론은 효과적인 직업전환을 위해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졸업이후 성공적인 직업전환이 필요한 지적장애학생에게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on vocational ability and life skills which are required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or vocational trans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mportance of teaching vocational ability and life skills for vocational transition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as highly perceived by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but the level of implementation perception was relatively low.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regards of background variables among groups of them. When it comes to perception levels of the importance of teaching vocational ability and life skills, teachers who have over 10 years teaching experience perceived them higher than teachers who have less than 5 years. Teachers who finished graduate school perceived them higher than teachers who graduated from undergraduate school. Regarding teachers' perception levels of implementation, teachers who work in special schools were higher than teachers who work in special classes, the post-high school vocational classroom teachers had perception levels higher than the high school teachers, and teachers who have above 10 years teaching experience had higher levels than teachers who have less than 5 years. Also, teachers who finished graduate school perceived the levels of implementation higher than teachers who graduated from undergraduate school.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that is to investigat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on the importance and implementation of teaching vocational ability and life skills provides fundamental data for effective transition education. It will be able to be used by special education teachers to help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ith their successful vocational transition after graduation.

      • KCI등재

        초등 과학 영재 학생들의 자연선택 개념 이해를 위한 논변 활동에서 나타난 인식적 이해와 논변활동 수준 분석

        박철진,차희영,Park, Chuljin,Cha, Heeyoung 한국과학교육학회 2017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7 No.4

        이 연구에서는 초등 과학 영재 학생들을 대상으로 자연선택 핵심개념 논변 활동 담화에서 드러난 인식적 이해와 논변활동 수준을 분석하였다. 논변활동에 참여한 학생들은 광역시 소재 영재교육원 6학년 학생 20명이었는데, 그 중 적극적으로 논변활동에 참여한 소집단 중 담화에서 인식적 이해가 드러나며, 개념에 따라 소집단 구성원의 인식적 이해 수준이 서로 달랐던 세 명으로 구성된 소집단을 목적표집하여 그들의 담화를 분석하였다. 담화에서 드러난 인식적 이해의 요소는 본성, 일반성, 정당화, 청중의 범주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논변활동 수준은 논변의 구성과 비평을 중심으로 내재적 인지 부하에 따라 만들어진 논변활동 학습발달과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의 논변활동에서 드러난 인식적 이해는 자연선택 하위 개념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자연 선택 하위 개념 모두 실천적 인식적 이해의 본성 측면에서는 모두 높게 나타났으나 일반성, 정당화, 청중 범주에서는 높거나 낮았으며, 그 수준이 담화에서 드러나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 지식의 일반성 측면에서 높게 드러난 변이의 유전개념에서 획득형질의 유전에 반대하는 다양한 현상과의 연결은 다양한 아이디어를 생성하여 논변활동 참여를 촉진하는 요소로 활용되어 세 학생 모두 논변활동 수준은 비판 제시 수준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정당화와 청중 범주에서 실천적 인식적 이해 수준이 낮게 드러난 개념들의 학생의 논변 활동 수준은 그 보다 낮았다. 학생들이 최종 자연선택 핵심 개념인 종분화 개념 논변 시 모두 인식적 이해 수준이 높았던 개념들을 이용하여 종분화 과정을 설명하려 하였으며, 반대로 인식적 이해 수준이 낮았던 개념은 설명 요소로 포함시키지 않았다. 이 연구결과 학생들은 다양한 인식론적 자원을 통해 맥락에 따라 활용되는 인식론적 자원은 다르며 학생들이 왜, 어떻게 인식론적 결정을 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요인들을 분석할 필요성을 제안한다. 인식론적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 분석은 논변 활동의 질과 수준을 높일 수 있는 교수자의 중재 요소가 될 수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epistemic considerations and the argumentation level revealed in the discourse of the key concept of natural selection for science-gifted elementary students. The paper analyzes and discusses the results of a three-student focus group, drawn from a cohort of twenty gifted sixth-grade elementary students. Nature, generality, justification, and audience were used to analyze epistemic consideration. Learning progression in scientific argumentation including argument construction and critique was used to analyze students' scientific argumentation level.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Epistemic considerations in discourse varied between key concepts of natural selection discussed. The nature aspect of epistemic considerations is highly expressed in the discourse for all natural selection key concepts. But the level of generality, justification and audience was high or low, and the level was not revealed in the discourse. In the heredity of variation, which is highly expressed in terms of generality of knowledge, the linkage with various phenomena against the acquired character generated a variety of ideas. These ideas were used to facilitate engagement in argumentation, so that all three students showed the level of argumentation of suggestions of counter-critique. Second, students tried to explain the process of speciation by using concepts that were high in practical epistemic considerations level when explaining the concept of speciation, which is the final natural selection key concept. Conversely, the concept of low level of epistemic considerations was not included as an explanation factor.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tudents need to analyze specific factors to understand why epistemological decisions are made by students and how epistemological resources are used according to context through various epistemological resources. Analysis of various factors influencing epistemological decisions can be a mediator of the instructor who can improve the quality and level of the argumentation.

      • KCI등재

        가구의 경제적 수준이 복지인식에 미치는 영향

        이홍기(Lee, Hong Gi),박영준(Park, Young Joon)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15 비판사회정책 Vol.- No.48

        본 연구는 가구의 경제적 수준이 복지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들 간의 관계에서 정치태도와 교육수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다른 나라와 달리 한국사회에서 경제적 수준에 따라 복지인식이 명확히 구분되지 않는 원인을 정치태도와 교육수준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복지패널 8차 데이터의 복지인식 부가조사 문항을 활용하였으며 분석대상은 연구모형의 변인에 대한 결측값이 없는 3,378명이다. 분석방법은 구조모형검증을 실시하였다. 독립변수로는 가구의 경제적 수준, 매개변수로는 정치태도와 교육수준, 종속변수로는 복지인식을 사용하였으며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구의 경제적 수준은 복지인식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둘째, 가구의 경제적 수준은 정치태도와 교육수준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가구의 경제적 수준과 복지인식 간의 관계에서 정치태도와 교육수준은 매개효과를 가졌다. 이상의 결과는 가구의 경제적 수준이 복지인식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것과 경제적 수준이 높을수록 정치태도와 교육수준을 통해 복지인식이 높다는 점, 경제적 수준이 낮을수록 정치태도와 교육수준을 통해 복지인식이 낮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인의 복지인식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몇 가지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conomic level of the household impact on the well-being attitudes. And it tried to verify the political attitudes and educational level of the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Unlike other countries, depending on the cause economic levels in Korea are being recognized not clearly identified to evaluate through a political attitude and education levels. In this study, being aware of the 8th Korea Welfare Panel data were utilized for additional research questions are analyzed are 3378 people with no missing values for the variables in the research model.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structural model. Economic level of the household as an independent variable, a parameter is a political attitude and level of education, welfare dependent variable was used to recognize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economic level of the households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the welfare attitudes. Second, the economic level of household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olitical attitudes and level of education.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tical attitudes and levels of education and household welfare level of economic attitudes has had a mediating effect. The result is more than the economic level of households do not have a direct impact on the welfare recognized as being recognized that the higher the higher the economic level through the political attitudes and educational level, the lower level of economic well-being through a political attitude and level of education This recognition can be seen that the low point. Measures to increase attitudes of the Korean welfare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a few suggestions.

      • KCI등재

        도시부 간선도로 운전자의 인식서비스수준에 대한 영향요인분석

        김태호,이용택,고준호,Kim, Tae-Ho,Lee, Yong-Taeck,Ko, Jun-Ho 한국도로학회 2008 한국도로학회논문집 Vol.10 No.4

        본 연구는 비디오영상에 의한 간접설문조사방식을 통하여 도시부 간선도로의 운전자들이 주행 시 느끼는 인식서비스수준과 도로용량편람(KHCM)에 의해 산정된 실제서비스수준간의 차이를 확인하고, 운전자가 인식하는 서비스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요인을 규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실제서비스수준과 인식서비스수준간의 인식률 차이를 검증한 결과, 신호교차로구간의 경우 40.8%, Mid-block구간의 경우 59.2%가 두 서비스수준을 동일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두 서비스수준간의 동질성 검정(F통계검정, t통계검정)결과에서도 두 서비스수준 간의 차이가 뚜렷이 나타났다. 둘째, 신호교차로구간에서 인식서비스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교통류(26.4%), 신호운영(23.1%), 기하구조(18.1%), 이용행태(15.9%) 도로경관(10.0%), 유지관리(4.4%), 교통정보(2.2%) 요인을 순서대로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중 교통류 등 상위 3개 요인이 정량적 요인으로 67%를, 이용행태, 도로경관요인과 같은 정성적 요인이 26%를 점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Mid-block구간에서 인식서비스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기하구조(25.3%), 경관(20.0%), 신호운영(19.2%), 교통류(15.3%), 이용행태(9.7%), 유지관리(6.4%) 교통정보(4.2%)순으로 분석되었으며, 특히 이중에서 정성적 요인에 해당하는 도로경관이 신호교차로구간 10.6%보다 높은 20.0%로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서비스수준 산정을 위한 분석 시에는 운전자가 실질적으로 인식하는 정성적인 요인 (이용행태, 도로경관 등)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LOS(Level of Service) concept are popularly used in many countries as the MOEs to evaluate the road construction and operation plans. However, MOEs such as travel time and delay only measure quantitative factors describing traffic flow, although qualitative factors such as scenic, comfort and reliable factors are very important for roadway drivers to define the LOS. Therefore, this paper are focusing on verifying the difference between perceived LOS and LOS in KHCM, and proving qualitative factors affecting Drivers' Perceived LOS in Urban Arterial. As a result, following outputs are obtained; (1) verifying the difference between perceived LOS(PLOS) and LOS in KHCM (2) proving that qualitative factors such as scenic and driver behavior factors affects PLOS (3) suggesting that qualitative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in MOEs of LOS

      • KCI등재

        공과대학 신입생의 핵심역량 인식수준을 통한 공학교육방향 연구

        이경희(Gyeounghee Lee),권혁홍(Hyukhong Kwon),이정례(Jeongrye Lee),이성진(Sungjin Lee) 한국공학교육학회 2010 공학교육연구 Vol.13 No.6

        연구는 대학교육을 통하여 획득해야 하는 핵심역량들을 추출하여 공과대학 신입생들이 인식하는 현재의 역량수준과 기대하는 역량수준을 조사하고 공과대학 교육의 방향성을 탐색해 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핵심역량에 대한 문헌분석을 통해 서, ‘전공능력’, ‘교양능력’, ‘외국어능력’, ‘기초수학능력’, ‘인간소통능력’의 5가지를 공학교육의 목표와 내용이 되어야 할 핵심 역량으로 추출하였다. 이를 연구도구화 한 뒤, C대학교 공과대학 신입생 584명을 대상으로 핵심역량에 대한 현재인식수준과 기대인식수준을 조사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신입생들은 모든 역량에서 현재 역량수준이 낮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특히 ‘외국어 역량’에 대한 인식수준이 가장 낮았다. 기대인식수준에 대한 교육요구도 ‘외국어능력’이 가장 높았고, ‘전공능력’은두 번째로 높았다. 둘째, 신입생들의 하위특성을 성별, 고등학교 계열별, 출신고등학교의 지역별, 대학입학전형 유형별, 수능 수리유형별로 차이검증을 실시한 결과, 하위특성별로 현재인식수준과 기대인식수준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공과대학 교육의 방향으로 외국어(영어)교육의 강화, 학습자의 하위 특성에 따른 개인차 해소를 위한 다양한 교육프로그램 설계 및 실행, 전공능력뿐 아니라 교양능력 및 인간소통능력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제고와 관련 프로그램의 강화, 교수-학습과정에 대한 피드백 자료 축적을 통한 공학 교육프로그램의 지속적인 수정 보완작업, 공학교육과정과 특별프 로그램을 통한 진로교육의 활성화를 제언하였다.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current competency and expected competency of engineering freshmen by extracting core competencies acquired from university education. It also aims to suggest proper way for engineering university education. This study extracts competencies in the following five areas as core competencies: ‘knowledge on major area’, ‘cultural ability’, ‘foreign language ability’, ‘basic learning ability’, ‘intercommunication ability’.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surveyed ‘C’ university engineering department freshmen (584 students) with questionnaires about their perception of core competenc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ngineering freshmen perceived current competencies were weak in every area, especially their capacities in ‘foreign language ability’ area were perceived to be weakest. Their demand for education is the highest in ‘foreign language ability’ area, and the second higher in ‘knowledge on major area’. Secondly, there exists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perception of current competency and expected competency depending on the gender, high school department (science/liberal arts), high school location, types of college admissions, and types of mathematics in NAST. According to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enhancement of foreign language (English) education in engineering department,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various educational program to overcome individual difference, promoting importance of competencies in the ‘cultural abilty’ and ‘intercommunication abilty’, necessity of continuous adjustment and complementation for engineering educational program through accumulation of feedback processes, activation of career education through engineering education and special programs.

      • KCI등재

        대기업의 전략적 인적자원개발(SHRD)에 대한 중요도 및 수행수준 인식에 대한 탐색

        송영수(Young Soo Song),황영아(Young Ah Hwang) 한국경영학회 2010 Korea Business Review Vol.14 No.1

        본 연구는 국내 대기업 중심의 전략적 인적자원개발(SHRD) 주요영역 및 핵심과제를 바탕으로 SHRD에 대한 중요도 및 수행수준 인식을 분석하고 향후 SHRD 수행을 위해 요구되는 시사점 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주요 대기업 HRD 담당자 27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SHRD 주요영역 및 핵심과제에 대한 중요도 및 수행수준에 대한 인식을 업종별, 직급별로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로는 첫째, SHRD의 중요도 및 수행수준 인식을 분석한 결과 전기·전자·자동차, 서비스·금융보험, 석유·화학·제철, IT·웹·통신 등 4개 업종 모두 조직문화 공유 및 확산 영역이 중요도 및 수행 수준에 대한 인식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요도와 수행수준 간의 인식차이가 가장 큰 영역은 차세대 리더 및 핵심인재 양성 영역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SHRD 주요영역별 핵심과제 중 미래가치 창출을 위한 CEO(최고경영자)와의 전략적 파트너십 형성, 후계자 양성 지원(succession plan), 조직 개발(OD) 및 활성화, 교육효과 및 성과측정(ROI)은 4개 업종 모두 중요도 및 수행수준 인식에 있어 상대적으로 가장 낮은 수준을 나타낸 과제들로 분석되었다. 넷째, 업종별 SHRD의 중요도 및 수행수준 인식을 분석한 결과 전기?전자?자동차 등 글로벌 비즈니스에 대한 노출이 심하고 경쟁이 치열한 기업일수록, 그리고 경쟁우위를 갖춘 선진형 대기업일수록 SHRD에 대한 중요도 및 수행수준 인식도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직급이 높을수록 SHRD에 대한 중요도 인식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HRD 부문 종사자에게는 해당 업종의 현 좌표를 제시해줄 뿐만 아니라 대기업의 SHRD 수행수준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HRD 부서의 현위치 파악(수준 분석) 및 업종별 벤치마킹 등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cognition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levels of Strategic Human Resource Development (SHRD) based on SHRD major domains and its critical tasks in large Korean enterprises. The survey was conducted to 270 HRD practitioners working in domestic businesses so recognition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levels of SHRD about its major domains and critical tasks were analyzed through the type of industries and staff level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sharing and spreading organization culture is the highest one in the recognition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levels in four industries (electrical·electronics·automobile, financial and insurance services, energy·chemical·steel, IT·Web·Telecommunications). Secondly, talent management is the big gap in recognition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levels. Thirdly, the lowest SHRD’s critical tasks are building partnership with CEO (Chief Executive Officer), supporting succession plan, spreading organizational development, and training effectiveness and ROI (Return on Investment) in four industries. Fourth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cognition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levels through the type of industries, the more the enterprises exposure to global business environment, the higher th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levels are shown in conglomerate. Lastly, the importance recognition level is high depending on the staff level. This research results for HRD practitioners show where they are and check the recognition of performance levels of SHRD. It is expected that this result will be used for understating current situation of HRD (analyzing the levels of performance) and benchmarking through the type of industries.

      • KCI등재

        문화복지수준에 대한 인식 및 전망 차이에 관한 연구

        신원우(Shin, Won Woo) 한국문화산업학회 2016 문화산업연구 Vol.1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삶의 질 향상과 문화에 대한 욕구 증가로 인해 우리나라 국민의 문화복지수준에 대한 인식과 전망을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함으로써 문화복지 정책의 방향 수립과 확대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에 일반가구와 저소득가구를 조사한 한국복지패널의 2012년 7차년도 자료의 가구의 경제상활 및 복지수준에 대한 인식 및 전망으로 여가·문화생활에 대한 인식 및 전망을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년 전에 비해 여가·문화생활에 대한 상황이 비슷하다고 인식한 응답 비율이 72.9%로 가장 높았으며, 대다수의 응답자들이 크게 변화되지는 않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년 후에 현재보다 여가·문화생활이 비슷할 것이라고 전망한 응답 비율이 67.5%로 가장 높았으며, 부정적 전망보다는 긍정적 전망이 좀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응답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연령, 학력, 결혼상태, 기초생활수급여부, 거주지역, 소득계층인지 차이에 따라 여가·문화생활에 대한 인식 및 전망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젊은 세대일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비수급자일수록, 대도시에 거주할수록, 소득계층이 상위층이라고 인식할수록 여가·문화생활에 대한 인식 및 전망이 좀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문화복지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정책의 목표와 표적 대상에 대한 명확한 이해가 필요하다는 정책적 함의를 제기하고 있다. 정책의 목표와 관련하여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문화복지 정책의 방향 정립이 필요하며, 정책의 표적 대상과 관련하여 문화복지 정책의 우선 대상을 저소득계층을 포함한 문화소외계층으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understanding of difference of perception and prospect of cultural welfare level in Korea in order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about cultural welfare policy development. This research analyzed the data of 12,460 individuals who were aged 15 and over on 7th wave Korea Welfare Panel Study (KOWEPS). The content of KOWEPS is composed of socio-economic information, welfare status, and attitude on welfare or something for individual and household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most of respondents perceived no change of recreational and cultural life in comparison with last year. In addition, the majority of respondents thought that their recreational and cultural life in next year would be better than now.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 differences of perception and prospect of cultural welfare level by age, education level, marriage status, national basic lifehood security status, populated areas and income status. These findings can provide policy implication about clear goal and policy target of cultural welare policy to develop effective and efficient cultural welfare policy. 본 연구의 목적은 삶의 질 향상과 문화에 대한 욕구 증가로 인해 우리나라 국민의 문화복지수준에 대한 인식과 전망을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함으로써 문화복지 정책의 방향 수립과 확대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에 일반가구와 저소득가구를 조사한 한국복지패널의 2012년 7차년도 자료의 가구의 경제상활 및 복지수준에 대한 인식 및 전망으로 여가·문화생활에 대한 인식 및 전망을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년 전에 비해 여가·문화생활에 대한 상황이 비슷하다고 인식한 응답 비율이 72.9%로 가장 높았으며, 대다수의 응답자들이 크게 변화되지는 않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년 후에 현재보다 여가·문화생활이 비슷할 것이라고 전망한 응답 비율이 67.5%로 가장 높았으며, 부정적 전망보다는 긍정적 전망이 좀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응답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연령, 학력, 결혼상태, 기초생활수급여부, 거주지역, 소득계층인지 차이에 따라 여가·문화생활에 대한 인식 및 전망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젊은 세대일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비수급자일수록, 대도시에 거주할수록, 소득계층이 상위층이라고 인식할수록 여가·문화생활에 대한 인식 및 전망이 좀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문화복지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정책의 목표와 표적 대상에 대한 명확한 이해가 필요하다는 정책적 함의를 제기하고 있다. 정책의 목표와 관련하여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문화복지 정책의 방향 정립이 필요하며, 정책의 표적 대상과 관련하여 문화복지 정책의 우선 대상을 저소득계층을 포함한 문화소외계층으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understanding of difference of perception and prospect of cultural welfare level in Korea in order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about cultural welfare policy development. This research analyzed the data of 12,460 individuals who were aged 15 and over on 7th wave Korea Welfare Panel Study (KOWEPS). The content of KOWEPS is composed of socio-economic information, welfare status, and attitude on welfare or something for individual and household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most of respondents perceived no change of recreational and cultural life in comparison with last year. In addition, the majority of respondents thought that their recreational and cultural life in next year would be better than now.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 differences of perception and prospect of cultural welfare level by age, education level, marriage status, national basic lifehood security status, populated areas and income status. These findings can provide policy implication about clear goal and policy target of cultural welare policy to develop effective and efficient cultural welfare policy.

      • KCI등재

        교양영어 수준별 수업 설계를 위한 비수도권 대학 학습자 인식 조사 사례 연구

        배경진(Kyungjin Bae) 한국영미어문학회 2024 영미어문학 Vol.- No.152

        본 연구의 목적은 수준별 영어 수업에 대한 비수도권 대학 학습자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대학 영어 교육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수준별 수업의 필요성과 교육적 효과를 평가하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에는 434명의 학습자가 응답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들은 이전 설문조사 결과와 비교했을 때 수준별 수업의 필요성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학습자들은 필요성에 대해서는 부정적 인식이 높았으나 수준별 수업의 효과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셋째, 수준별 수업의 필요성 인식 차이에 따라 수준별 수업 효과에 따른 견해 차이를 보인다. 이에 수준별 수업의 필요성을 느끼는 학습자들이 수준별 수업의 효과에 대해 더 높은 수준으로 응답하였다. 수준별 수업의 효과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이나 필요성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인식이 높은 분석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수준별 수업에 관한 부정적인 인식 개선, 정의적 영역을 고려한 교양영어 교육과정 설계, 평가 방식 개선, 분반 배치 개선을 수준별 수업 설계 방안으로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erceptions of students in a non-metropolitan university regarding level-differentiated general English classes with a primary objective of identifying strategies to improve a college English program. To achieve the goal, a surve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necessity and educational effects of level-differentiated classes, and 434 students responde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nearly half of the students disapproved the level-differentiated instruction. Second, the students exhibited more positive responses on the effectiveness of level-differentiated instruction. Third, perception on the effectiveness of level-differentiated instruction differed depending on the students’ views of its necessity. Those who feel the need for level-differentiated instruction are in favor of the effects of level-differentiated instruction. Based on the findings and analysis of the survey, pedagogic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were provided to improve the college English program in the university without differentiated English classes.

      • 초등학교 교사들의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 연구

        진상우(Sang-Woo Jin),최미정(Mi-Jung Choi),최성광(Sung-Kwang Choi)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0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0 No.5

        이 연구는 G광역시 초등학교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교사들의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과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 자기평가 결과를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초등학교 교사들의 국가수준 교육과정 평균은 정 인식은 3.48점, 국가수준 교육과정 인식에 대한 자기평가는 3.75점으로 국가수준 교육과정 인식에 대한 자기평가 점수가 국가수준 교육과정 인식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대상자들의 특성에 따른 인식 차이를 비교해 본 결과, 소규모학급에 근무한다던지 연구학교나 혁신학교에 근무한 경험이 있는 교사들의 평균점수가 유의하게 높아 교사들이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더 많이 접근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될 때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이 향상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eachers" awareness of the national curriculum and their percept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for teachers at the G Metropolitan elementary school. As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average national curriculum for primary school teachers was 3.48 points for national-level curriculum recognition, a self-assessment score for national-level curriculum recognition was 3.75, and the self-assessment score for curriculum recognition at the national level was higher than the national level curriculum recognition. In addition, comparing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the characteristics of subjects resulted in significantly higher average scores for teachers working in small classes, research schools, and innovation schools, which improved awareness of the national curriculum when teachers had more access to the national curricul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