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한국인 청소년에서 출생체중, 현재체중 및 체중변화와 인슐린저항성과의 관계

        김철식,김똘미,김대중,안철우,차봉수,이관우,이현철,허갑범 대한비만학회 2003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12 No.3

        연구배경: 본 연구는 한국인 청소년들에서 태아 및 신생아시기의 영양상태와 이후 영양상태가 인슐린저항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기 위해 타가시기의 영양상태를 반영하는 출생체중과 현재의 비만상태 그리고 출생 시와 현재의 비만상태의 변화와 인슐린저항성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방법: 서울소재 중학생 660명을 대상으로 가정통신을 통한 설문을 시행하여 출생체중을 파악하여 저출생 체중아군(2.5 kg 미만) 13명, 정상출생 체중아군 (2.5 이상 및 4.2kg 미만) 135명, 그리고 과출생 체중아군(4.2 kg 이상) 17명 등 165명을 무작위 선발하여 성별 출생 시 체중 및 신장, 현재의 신체계측, 혈압. 그리고 인슐린저항성 및 대사증후군과 관계된 생화학 및 내분비검사를 시행하였으며 차상 군을 출생체중 및 현재체중. 성장과정 동만의 체중변화 별로 인슐린저항성을 측정하였다. 결과: 출생체중과 인슐린저항성과의 뚜렷한 상관관계가 없었으나, 출생 이후 성장과정에서 비만해지는 군에서 인슐린저항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 경우 특히 출생체중이 낮은 경우에 인슐린저항성이 더욱 높게 나타났다. 현재 비만한 군에서 인슐린저항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현재 과체중군에서도 출생체중이 낮을수록 인슐린저항성이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출생 이후 급격한 체중의 변화가 없었던 군에서 출생 및 현재 체중에 따른 인슐린저항성의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저출생 체중아는 정상출생 체중아나 과출생 체중아에 비해 인슐린저항성이 높아질 가능성이 높아 대사증후군의 발생 위험이 증가하는 고위험군으로 분류할 수 있다. 따라서 저출생 체중차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임신부의 적절한 영양섭취가 필요하며, 저출생 체중아로 출생한 아이들은 생활습관, 특히 식사와 운동요법을 철저히 시행해야 대사증후군으로 발전하지 않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Low birth weight is associated with insulin resistance and type 2 diabetes in adult. The fetal programming hypothesis has taught that insulin resistance and its associated metabolic disturbances result from poor gestational environment, for which low birth weight is a surrogate. We have investigated the relevance of birth weight, current weight and weight change to insulin resistance in 165 contemporary Korean adolescence. Methods: A cohort of 165 boys and girls were measured birth weight and current anthropometric data (weight, height, body mass index, body fat component, waist circumference), blood pressure, lipid profile and insulin resistance at age 12-15 who have lived at Seoul in South Korea. We also investigated the effects of birth weight, current weight and weight change on insulin resistance. Results: This study makes some important observations. Insulin resistance wasn't related to birth weight although the factors of metabolic syndrome, such as blood pressure, lipid profile, fasting glucose, tended to decreased with birth weight. But insulin resistance is high in current over-weighted or catch-up growth groups. Conclusion: Low birth weight may predict the risk of the insulin resistance syndrome and its progression over age, and this effect may be more pronounced in those who exhibited excess current weight or so-called catch-up growth. So, adequate gestational nutrition is necessary to prevent low birth weight and also childhood overnutrition should be avoided especially in those who had a low birth weight.

      • KCI우수등재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QUICKI법을 이용하여 측정한 인슐린 저항성과 비만도와의 관계

        성윤경,최웅환,이창범,박용수 대한비만학회 2003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12 No.3

        연구배경: 인슐린 저항성은 제2형 당뇨병의 중요한 병인으로서 비만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이와 연관된 고지혈증. 고혈압의 발생은 결과적으로 혈관 합병증의 빈도를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제2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새로운 인슐린 저항성 평가법인 QUICKI법을 이용하여 인슐린 저항성을 측정하고, 이와 비만도 및 체지방 분포, 지질 등의 대사성 인자들과의 상관 관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 대상은 2000년 5월부터 2002년 10월까지 한양대학병원 내분비대사내과에서 당뇨병으로 치료 받은 환자 중 인슐린과 경구혈당 강하차를 투여하지 않은 103명을 차상으로 하였으며, 인슐린 저항성은 공복시 측정한 인슬린치와 포도당치를 이용하여 계산하는 QUICKI법을 이용하였다. 비만도는 입원시 키와 몸무게를 통하여 체질량지수를 측정하였으며, 체지방의 정량화와 분포를 알아보기 위하여QDR4500의 DEXA system (Hlologic, USA)을 이용하여 지방량과 건체중. 총 체지방률, 복부 지방률 등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는 평균, 표준편차, 백분율 등으로 제시하였고 남녀간평균값의 비교 분석은 independent t-test를 시행하였다. 인슐린 저항성과 각 변수들과의 상관 관차는Pearson 상관 차수를 통해 비교하였고, 단계별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인슐린 저항성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평가하였다. 이상의 모든 통계 분석은 SPSS (version 11.0)를 사용하였으며, 통계학적 유의 수준은 p값을 0.05 이하로 하였다. 결과: (1) 평균 연령은 55.7±12.8세, HbA_(IC)는 9.9±2.7%로 측정되었고, 체질량지수는 23.8±3.7kg/㎡', QUICKI값은 0.38±0.07로 계산되었다. (2) 남녀간에 체질량지수. EHA_(IC), 연령 등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던 반면 QUICKI값. 총 체지방량 및 복부 지방량. 총 체지방률과 복부 지방률, 그리고 각각의 지질치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QUICKl법으로 측정된 인슐린 저항성은 HDL 콜레스테롤과 양호한 양의 상관 관계(r=0.456, p<0.01)를 보인 반면, 체질량지수(r=0.407, p<0.001), 총 체지방량(r=0.458, p<0.001), 복부 지방량((r=0.475, p<0.001), 총 체지방률(r=0.438, p<.0.01), 복부 지방률(r=0.457, p<0.01) 그리고 건체중과 대비한 총 체지방량(r=0.392, p<0.01)과 복부 지방량(r=0.423, p<0.01)과도 양호한 음의 상관 관계를 보였으며, 총 콜레스테롤(r=0.281, p<0.01), TG (r=0.333, p<0.01), LBL 콜레스테롤(r=0.326, p<0.01)과도 음의 상관 관계를 보였다. 그러나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 HbA_(IC)와는 유의한 상판 관차를 보이지 않았다. 한편, 이러한 대사성 인자들과 QUICKI값과의 상관 관계의 정도는 HOMA_(IR)값과의 상관 관계에 비해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단계별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인슐린 저항성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분석한 결과 복부 지방률(R²=0.209, p<0.001), HDL 콜레스테롤(R²=0.135, p<0.001), 총 콜레스테롤 (R²=0.056, p<0.01) 등의 기여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한국인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인슐린 저항성을 QUICKI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단순한 체질량지수나 전체 및 복부의 절대적인 지방량 보다는 복부를 구성하는 체성분중 지방이 차지하는 비율인 복부 지방률과 혈중HDL 콜레스테롤 및 총 콜레스테롤 수치가 인슐린 저항성을 가장 잘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인자들에 대한 개선 노력은 인슐린 저항성의 개선 및 제2형 당뇨병 발현의 억제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Background : Insulin resistance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pathophysiology of diabetes and is associated with obesity and cardiovascular disea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insulin resistance generated by quantitative insulin sensitivity check index(QUICKI) and regional adiposity, body mass index (BMI), and serum lipid profile in Korean type 2 diabetic patients. Method: Study subjects included fat mass and lean body mass by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DEXA) system. Insulin resistance was estimated by the QUICKI. Result :50 were women and 53 were men, with a mean (±SD) age of 54.2 years(±12.8). The mean(±SD) score of QUICKI was 0.38(±0.07). Insulin resistanc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otal body fat percent, abdominal fat percent, BMI, total cholesterol, LDL-cholesterol, and triglyceride,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HDL-cholesterol. In multivariate model, the predicting variables on insulin resistance were abdominal fat percent, HDL cholesterol, and total cholesterol. Conclusion: In this study, we observed that the abdominal fat percent, HDL cholesterol and total cholesterol were meaningful variables correlated with insulin resistance among variables. Therefore, to improve insulin sensitivity in Korean type 2 diabetic patients, we should reduce the abdominal fat percent and total cholesterol and increase the level of HDL-cholesterol.

      • KCI우수등재

        골격근 미토콘드리아와 인슐린저항성: 운동의 역할

        곽효범 ( Hyo Bum Kwak ) 대한비만학회 2015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24 No.2

        골격근, 간, β-세포, 지방세포, 위장, α-세포, 신장 그리고 뇌에서의 인슐린저항성은 비만 및 제2형 당뇨병 유발의 중요한 요인들이다. 이중에서 체중의 40-50%를 차지하고 있는 골격근의 인슐린저항성은 골격근 안으로의 포도당 흡수를 감소시킨다. 많은 선행연구들에 의하면 제2형 당뇨병 환자나 인슐린저항성이 있는 비만한 환자들은 정상인에 비해 골격근 내 적은 미토콘드리아가 존재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하지만 골격근 내 미토콘드리아가 인슐린저항성을 유발하는 원인인지에 대해서는 많은 논쟁이 되고 있다. 먼저 골격근의 인슐린저항성이 미토콘드리아의 기능장애와 관련되어 있다는 주장은 다음과 같은 가설에 근거하고 있다. 1) 비만 또는 제2형 당뇨병은 골격근의 지방산화 능력을 감소시키고 인슐린저항성을 유발하는 지방형성 중간물질들(예, FA-CoA, DAG, ceramide)의 축적을 증가시킨다. 2) 비만 또는 고지방섭취에 의한 인슐린저항성은 골격근 내 미토콘드리아의 과부하와 불완전한 지방산화에 의해 야기된다. 3) 골격근 내 미토콘드리아에서 생성된 산화적 스트레스(예, H2O2)가 비만 및 고지방섭취에 의한 인슐린저항성을 유발한다. 하지만 골격근 내 미토콘드리아의 기능장 애는 인슐린저항성을 유발하지 않는다는 상반된 주장도 다음과 같은 이유로 제기되고 있다. 1) 고지방섭취 동물은 인슐린저항성 유발뿐만 아니라 골격근 내 미토콘드리아의 증가도 야기한다. 2) 제2형 당뇨병과 인슐린저항성이 있는 비만한 환자들은 정상인에 비해 높은 골격근 지방산화능력을 나타낸다. 그러나 여러 가지 형태의 운동(일회성vs. 장기간, 유산소 vs. 저항성)은 비만과 제2형 당뇨병에 의해 야기되는 인슐린저항성을 처치하고 예방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Insulin resistance in skeletal muscle, liver, β-cells, fat cells, the gastrointestinal track, α-cells, kidneys, and brain represents the core defect in obesity or type 2 diabetes (T2D). Among them, skeletal muscle insulin resistance due to obesity or T2D is manifested by decreased glucose uptake because skeletal muscle comprises 40-50% of the total human body mass. Many previous reports indicate that T2D patients or obese insulinresistant individuals have less mitochondria in their skeletal muscles than lean control subjects. Whether or not mitochondria in skeletal muscle play a causal role in insulin resistance has been debated. A large number of studies demonstrated that skeletal muscle insulin resistance is associated with mitochondrial deficiency including 1) reduced fatty acid oxidation and increased accumulation of lipid intermediates (e.g., FA-CoA, DAG, ceramide), 2) increased mitochondrial overload and incomplete fatty acid oxidation, and 3) increased mitochondrial oxidative stress (e.g., H2O2) in skeletal muscle. In contrast, some studies demonstrated that mitochondrial dysfunction in skeletal muscle is not responsible for insulin resistance, suggesting that 1) the development of insulin resistance in high-fat diet animals occurs with increased muscle mitochondria, and 2) fatty acid oxidation is higher in T2D patients and obese insulin-resistant individuals compared with lean control subjects. However, various types of exercises (acute vs chronic, aerobic vs resistance) are critical in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insulin resistance in obesity and T2D.

      • KCI등재

        저항성운동 트레이닝이 비만 여자 대학생의 신체구성, 인슐린저항성 및 혈관 염증 인자에 미치는 영향

        김남수,김승환 한국스포츠학회 2018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6 No.4

        The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s of resistance exercise training on body composition, insulin resistance and vascular inflammation factors of obese college female students. Nineteen obese college female students were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as subjects, and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resistance exercise training(n=10) or control group(n=9). The subjects in resistance exercise program for intensity of 60% 1RM, three times per week for 10 weeks, whereas subjects in control were asked to maintain their normal life pattern for the same intervention period. All subjects were asked not to change their physical activity pattern and energy intake throughout the intervention period. Main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1) Weight, BMI, fat mass and % body fat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resistance exercise training group. 2) Insulin and insulin resistance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resistance exercise training group. but Insulin and insulin resistanc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control group. 3) The concentration of adiponectin in vascular inflammation factors significantly increased in resistance exercise training. It was concluded that 10 weeks of resistance exercise training would be beneficial for blood lipid, insulin resistance and vascular inflammation factors of obese college female students 본 연구에서는 비만 여자 대학생 19명을 대상으로 10주간 저항성운동 트레이닝이 신체구성, 인슐린저항성 그리고 혈관 염증 인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얻은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저항성운동 트레이닝 집단의 체중, 체질량지수 체지방량 그리고 체지방률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반면, 통제 집단은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저항성운동 트레이닝 집단의 인슐린과 인슐린 저항성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반면 통제 집단의 경우 인슐린과 인슐린 저항성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마지막으로 저항성운동 트레이닝의 혈관 염증 인자 중 아디포넥틴에서만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반면, 통제 집단의 경우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에서 기술한 결과를 종합해 보면, 저항성운동 트레이닝에 의하여 체중, 체질량지수, 체지방량 그리고 체지방률은 감소와 인슐린과 인슐린 저항성의 감소 및 아디포넥틴의 감소는 대사성 질환과 면역 기능의 개선에 긍정적으로 기인한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 KCI등재

        한국인에서 담석증과 인슐린 및 인슐린 저항성과의 관계

        김정미 ( Jung Mi Kim ),이항락 ( Hang Lak Lee ),문원 ( Won Moon ),고동희 ( Dong Hee Koh ),이오영 ( Oh Young Lee ),윤병철 ( Byoeng Chul Yoon ),최호순 ( Ho Soon Choi ),함준수 ( Joon Soo Hahm ),이민호 ( Min Ho Lee ),이동후 ( Dong Hoo 대한소화기학회 2007 대한소화기학회지 Vol.50 No.3

        고인슐린혈증과 인슐린 저항성은 허혈 심질환이나, 대장암과 같은 여러 병의 중요한 원인인자로 알려졌으나, 담석증과의 관계는 불확실하다. 이전의 많은 연구에서 이미 당뇨 환자에서는 당뇨 자체가 담석 발생의 위험인자이며, 고인슐린혈증과 담석증이 관련이 있다고 밝혀졌으나, 당뇨가 없는 환자에서 담석증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미하며 국내에서는 아직 없다. 이에 한국인에서 당뇨의 과거력이 없으며, 금식 후 혈장 혈당이 126 mg/dL 미만인 환자를 대상으로 담석증과 인슐린 또는 인슐린 저항성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당뇨 과거력이 있거나, 금식 후 혈장 혈당이 126 mg/dL 이상인 환자는 제외한 11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29명의 담석증이 있는 환자군과 89명의 담석증이 없는 정상 대조군을 나누어 비교하였다. 키, 체중, 허리와 엉덩이둘레, 체지방률, 체질량지수[체중(kg)/키의 제곱(m2)], 공복 혈청 인슐린, 혈당,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저밀도 콜레스테롤을 측정하였다. 담석증 여부는 복부 초음파 검사를 통해 결정하였으며, 인슐린 저항성의 지표로는 homeostasis model assessment of insulin resistance (HOMA-IR)을 사용하였다. 결과: 담석증을 가진 환자군이 정상 대조군보다 혈중 인슐린, HOMA-IR 지수, 중성지방, 체질량지수, 체지방률이 더 높게 나왔으나,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것은 혈중 인슐린(p=0.037), HOMA-IR 지수(p=0.024), 체질량 지수(p=0.024)이며, 중성지방은 p=0.076으로 경계값에 있었다. 유의하게 나타난 인자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혈중 인슐린(p=0.014, odds ratio=1.376)과 HOMA-IR 지수(p=0.013, odds ratio=2.006)가 담석증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한국인에서 당뇨가 없으며, 정상 혈당을 가진 사람에서도 혈중 인슐린 수치가 높거나, 인슐린 저항성이 있으면 담석증 빈도가 높으며, 담석증 발생 위험이 증가한다. Background/Aims: Diabetes is one of the risk factors of gallstone diseases. Many studies found a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insulin and gallstones in individuals with diabetes. However, this association is unclear in non-diabetes. So we conducted a case-control study for the evaluation of the association between gallstone diseases and fasting serum insulin level, insulin resistance in non-diabetic Korean general population. Methods: This study was a prospective case-control study on 118 Korean subjects which included clinical examination, abdominal ultrasound, and blood chemistries. Serum fasting insulin level were determined by radioimmunoassay and concentrations of cholesterol, glucose, and triglycerides by standard enzymatic colorimetric methods. Insulin resistance was determined by the homeostasis model assessment (HOMA-IR). Body mass index (BMI), percentage of body fat, and waist hip ratio were also measured. Results: We studied 118 subjects with no clinical evidence of diabetes mellitus and serum glucose <126 mg/dL. Compared with controls (n=89), cases (n=29) had higher levels of serum insulin, glucose, triglyceride levels, and BMI. In t-test and chi-square test for variables, the association between gallstone disease and serum insulin, HOMA-IR index, and BMI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In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gallstone disease risk increased with the level of serum insulin (p=0.024, odds ratio=1.376) and HOMA-IR index (p=0.013, odds ratio=2.006). Conclusions: We suggest that hyper-insulinemia and insulin resistance could be associated with gallstone formation in individuals without clinical diagnosis of diabetes mellitus and with normal serum glucose level. (Korean J Gastroenterol 2007;50:183-187)

      • KCI우수등재

        원저 : 한국인 비당뇨 성인에서 대사증후군과 관련된 인슐린 저항성 지표의 기준치

        권혁춘 ( Hyeok Choon Kwon ),우성일 ( Seong Ill Woo ),김연경 ( Yeon Kyeong Kim ),안상미 ( Sang Mi Ahn ),송경은 ( Kyoung Eun Song ),정선혜 ( Sun Hye Jung ),김대중 ( Dae Jung Kim ),정윤석 ( Yoon Sok Chung ),이관우 ( Kwan Woo Lee ) 대한비만학회 2005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14 No.2

        연구배경: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성인에서 대사증후군과 관련된 인슐린 저항성 지표의 기준치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한국 대사증후군 연구(Korean Metabolic Syndrome Study)의 일환으로 수행되었으며, 30세에서 79세까지 976명(남자 484명과 여자 492명)의 비당뇨 성인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나이, 성별, 체질량지수를 보정한 후 독립변수로서 공복 인슐린, homeostasis model assessment for insulin resistance (HOMA-IR), quantitative insulin sensitivity check index (QUICKI)의 사분위에 따라 대사증후군 이환에 대한 교차비를 조사하였다. 대사증후군의 이환율이 증가하는 공복 인슐린, HOMA-IP, QUICKI의 기준치를 알기 위해 receiver-operating characteristic (ROC) 분석을 하였다. 결과: 전체 대상자의 상위 사분위에 해당하는 값을 인슐린 저항성으로 볼 때 공복 인슐린이 12.94 μU/mL, HOMA-IP 이 3.04, QUICKI의 하위 사분위에 해당하는 기준치는 0.32였다. 최하위 사분위와 비교하였을 때, 공복 인슐린, HOMA-IR, QUICKI의 최상위 사분위에서 대사증후군의 이환율에 대한 보정 교차비는 각각 1.95(1.26~3.01), 2.27(1.45~3.56), 2.27(1.45~3.56)이었다. ROC 분석에 의하면 대사증후군과 관련된 인슐린 저항성 지표로서 공복 인슐린의 기준치는 10.57 μU/mL (민감도 58.5%, 특이도 66.8%), HOMA-IR의 2.34(민감도 62.8%, 특이도 65.7%), QUICKI의 기준치는 0.33 (민감도 61.2%, 특이도 66.8%)였다 (P<0.001). 결론: 공복 인슐린, HOMA-IP, QUICKI는 한국인 비당뇨 성인에서 인슐린 저항성에 대한 좋은 지표로 활용할 수 있으며, 이 연구를 통해 만들어진 기준치를 한국인 비당뇨 성인에서 인슐린 저항성을 조사하고 대사증후군을, 예측하는데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We investigated the cutoff values of surrogate measures of insulin resistance for diagnosing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adults. Research Design and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as part of the Korean Metabolic Syndrome (KMS) Study. The data from 976 non-diabetic individuals (484 men and 492 women) aged 30~79 years were analyzed. We determined the odds ratios for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ccording to the quartiles of fasting insulin, homeostasis model assessment for insulin resistance (HOMA-IR), and quantitative insulin sensitivity check index (QUICKI) as independent variables, while adjusting for age, sex, and body mass index. The areas under the receiver-operating characteristic (ROC) curves for fasting insulin, HOMA-IR, and QUICKI for increased metabolic syndrome were compared, and the cutoff values of fasting insulin, HOMA-IR, and QUICKI were estimated. Results: The cutoff points for defining insulin resistance are a fasting insulin level of 12.94 μU/mL, HOMA-IR=3.04 as the 75th percentile value, and QUICKI = 0.32 as the 25th percentile value. Compared with the lowest quartile, the adjusted odds ratios for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in the highest quartiles of fasting insulin, HOMA-IR, and QUICKI were 1.95(1.26~3.01), 2.27(1.45~3.56), and 2.27(1.45~3.56), respectively. The respective cutoff values for fasting serum insulin, HOMA-IR, and QUICKI by ROC analysis were 10.57μU/mL (sensitivity 58.5%, specificity 66.8%), 2.34(sensitivity 62.8%, specificity 65.7%), and 0.33(sensitivity 61.2%, specificity 66.8%). Conclusions: Fasting insulin, HOMA-IR, and QUICKI are good surrogate measures of insulin resistance in Korean non-diabetic adults. We suggest that the cutoff values using these simple methods could be applied to evaluate insulin resistance and predict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non-diabetic adults.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폐경 여성에서 인슐린저항성의 예측인자

        최희정 ( Hee Jeong Choi ),윤경은 ( Kyung Eun Yun ) 대한폐경학회 2010 대한폐경학회지 Vol.16 No.2

        연구목적: 이 연구는 폐경 후 여성에서 비만, 높은 alanine aminotransferase (ALT)와 인슐린저항성 간에 연관성을 알아보고, 대사증후군과 비교하여 이들 두 요인이 인슐린저항성을 예측하는 정도를 비교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이 연구는 건강증진센터를 방문한 606명의 폐경 후 여성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지와 문진을 통해 병력과 생활습관에 대해 조사하였고 신체계측과 혈압을 측정하였다. 검사실 검사로는 공복 혈당과 인슐린, 간 기능검사, 지질 검사 등을 하였고, 혈당과 인슐린 농도를 이용하여 호마지수를 계산하였다. 대사증후군은 NCEP-ATP III의 정의에 따라 분류하였다. 호마지수를 사분위수로 나누어 최고 사분위수에 해당하는 군을 인슐린저항성이 있는 군으로 정의하여 각 요인의 인슐린저항성에 대한 교차비를 구하였다. 결과: 비만과 높은 ALT의 빈도는 호마지수가 높을수록 의미 있게 증가하였다. 연령, 흡연, 운동을 보정하고 비만과 높은 ALT는 각각 인슐린저항성의 위험을 의미 있게 증가시켰으며, 비만과 높은 ALT을 모두 가지는 여성 (OR=5.87; 95% CI 2.93∼11.74)은 대사증후군이 있는 여성 (OR=3.43; 95% CI 2.18∼5.41)에 비해 인슐린저항성의 위험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폐경 후 여성에서 비만과 높은 ALT는 인슐린저항성과 연관이 있으며, 이 두 요인이 모두 있는 경우 대사증후 군보다 인슐린저항성을 더 잘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Objectives: Insulin resistance plays an important role in cardiovascular diseases, type 2 diabetes, and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association between obesity and elevated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with insulin resistance and compare these factors with metabolic syndrome in postmenopausal women. Methods: We analyzed 606 postmenopausal women who had visited the Health Promotion Center. The medical history and lifestyle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 and history taking. Anthropometric parameters and blood pressure were measured. Laboratory tests included fasting glucose and insulin levels, and liver and lipid profiles. Metabolic syndrome was defined based on NCEP-ATP III criteria. As a maker of insulin resistance, the homeostatic model assessment-insulin resistance (HOMA-IR) was calculated. We grouped all subjects into four groups, based on the quartiles of HOMA-IR. The top fourth quartile group was defined as the group with insulin resistance. We performed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for the odds ratio of the risk for insulin resistance. Results: The prevalence rates of obesity (body mass index ≥ 25 kg/㎡) and elevated ALT (≥ 34 U/L) increased with increased HOMA-IR. Obesity and elevated ALT were associated with insulin resistance, after adjusting for age, smoking status, and exercise. Women with co-existing obesity and elevated ALT were at increased risk for insulin resistance (OR=5.87; 95% CI, 2.93∼11.74) compared to women with metabolic syndrome (OR=3.43; 95% CI, 2.18∼5.41). Conclusion: Obesity and elevated ALT are associated with insulin resistance in postmenopausal women. A combination of these factors is superior to metabolic syndrome in predicting insulin resistance.

      • KCI등재

        걷기 운동이 비만 중년 여성의 인슐린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

        이신호 ( Shin Ho Lee ),진영윤 ( Young Yoon Jin ),조진경 ( Jin Kyung Cho ),김태경 ( Tae Kyung Kim ),김태운 ( Tae Woon Kim ),김동현 ( Dong Hyun Kim ),안의수 ( Eue Soo Ann ),강현식 ( Hyun Sik Kang ) 한국운동생리학회(구-한국운동과학회) 2010 운동과학 Vol.1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24주간의 유산소 걷기 운동 프로그램 참여가 비만 중년 여성의 인슐린 저항성과 인슐린 저항성 유발 기전일 것으로 판단되는 에너지 대사 조절 네트워크의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었다. 연구의 대상자는 30-50세의 중년여성 총 32명으로 선정하였고 모든 피험자를 대상으로 BMI, 허리둘레, 경구당부하검사의 결과를 기준으로 정상 집단과 비만 인슐린 저항성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24주간의 최대산소섭취량의 65% 수준에서 실시한 걷기 운동 프로그램에 따라 정상 집단과 비만 인슐린 저항성 집단에 상관없이 비만지표(체중, 체질량지수, 체지방율, 허리둘레), 심폐체력, 혈당의 항상성 조절 능력(Hba1c, MPG, FBG, FBI, HOMA-IR, AUC glucose)이 유의(p<.05)하게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24주간의 유산소 운동 중재 프로그램은 정상 집단과 비만 인슐린 저항성 집단에 상관없이 복부피하지방의 에너지 대사 조절 네트워크 중 AMPK pathway와 mTOR pathway를 통계적으로 유의(p<.015, p<.008)하게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나, insulin pathway와 hexosamine pathway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개선효과는 없었지만 개선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최대산소섭취량 65%에서 실시한 24주 걷기 운동 프로그램은 처치 집단에 상관없이 비만 지표와 인슐린 저항성 지표들을 개선시키고 비만으로 인한 인슐린 저항성 기전일 것으로 판단되는 에너지 대사 조절 네트워크를 개선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erobic walking exercise on insulin resistance and energy metabolic regulatory networks in subcutaneous adipose tissues between non-obese(NO) and obese+insulin resistance(OI) groups. A total of 32 middle-aged women was classified as either NO group or OI group based on body mass index(BMI), waist circumference(WC), and oral glucose tolerance test, and they participated in a 24-week well-monitored exercise intervention program. Both of the NO and OI groups had significant(p<.05) improvements in obese indices (weight, BMI, BF, waist), CRF, insulin resistance indices(HbA1c, MPG, FBI, HOMA-IR, AUC glucose) following the 24-week exercise intervention program, with no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With respect to mRNA expressions, both groups had significant(p<.05) improvements in AMPK pathway(AMPK) and mTOR pathway(mTOR), with no significant changes in insulin pathway(i.e., IRS, PDK, GLUT4), hexosamine pathway(GFAT), S6K, PPAR, JNK, and MAPKKK. In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e current study indicate that aerobic walking is an effective means of improving obesity and insulin resistance.

      • KCI등재

        저항성 운동이 비만 여자 대학생의 혈중지질, 렙틴, 아디포넥틴 및 인슐린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

        김승환 한국체육교육학회 2019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4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11 weeks of resistance exercise on blood lipid, leptin, adiponectin and insulin resistance of obese female college students. Methods: Eighteen obese college female students were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as subjects, and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resistance exercise group(n=9) or control group(n=9). The subjects in resistance exercise program for intensity of 60% 1RM, four times per week for 11 weeks, whereas subjects in control were asked to maintain their normal life pattern for the same intervention period. All subjects were asked not to change their physical activity pattern throughout the intervention period. Results: Main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1) Triglycerides(TG)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resistance exercise group(p<0.5). but high density lipoprotein(HDL-C)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resistance exercise group(p<0.5). 2) Lepti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resistance exercise group(p<0.5). 3) Adiponecti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resistance exercise group(p<0.5). 4) Insulin and insulin resistance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resistance exercise group. but Insulin and insulin resistanc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control group(p<0.5). Conclusion: It was concluded that 11 weeks of resistance exercise would be beneficial for blood lipid, leptin, adiponectin and insulin resistance in obese female college students. 본 연구의 목적은 비만 여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11주간의 저항성 운동이 혈중지질, 렙틴, 아디포넥틴 및 인슐 린저항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G시 소재 S대학에 재학 중인 20대 비만 여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저항성 운동집단(9명)과 통제집단(9명)으로 구성하였다. 운동방법은 1RM의 60 %의 강도 로 운동 부하를 설정하고 종목당 3세트씩 40분간 주 3회 빈도로 11주간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 요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TG와 HDL-C의 검사는 주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저항성 운동 집단에서 TG 변인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HDL-C 변인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2) 렙틴 검사는 주효과와 집 단과 검사의 상호작용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저항성 운동 집단에서 렙틴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3) 아디포 넥틴 검사는 주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저항성 운동 집단에서 아디포넥틴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4) 공 복 인슐린과 HOMA-IR 검사는 집단과 검사의 상호작용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저항성 운동 집단에서 공복 인 슐린과 HOMA-IR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통제집단에서 공복 인슐린과 HOMA- IR은 유의하게 감소하였 다. 그러나 저항성 운동 집단과 통제 집단에서 공복 글루코스는 유의한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 를 종합해 보면, 저항성 운동 트레이닝은 비만 여자 대학생의 혈중지질, 렙틴, 아디포넥틴 및 인슐린 저항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