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4차 산업 혁명 시대 인쇄 산업 육성을 위한 교육과정 개편 필요성

        문길환,방태원,정명식,한형열,박혁진,류형준 한국인쇄학회 2021 한국인쇄학회지 Vol.36 No.1

        한국은 인쇄문화의 종주국이다. 유네스코 기록유산인 현존하는 세계 최고의 금속활자 본인 ‘직지심체요절’과 ‘고려대장경판’(팔만대장경) 등으로 대표되는 오래된 인쇄문화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역사가 증명하듯이 인쇄 산업은 보통의 일반적인 개별 산업과 달리 한 나라의 정치와 경제, 사회, 문화 등 전체적인 분야에 걸쳐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가치는 오늘날에 이르러서도 마찬가지다. 새로운 산업 생태계를 만드는 데 인쇄 산업은 큰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시대의 변화에 따라 4세대인 디지털인쇄 시대 를 넘어 5세대인 인쇄전자 분야로 응용 분야가 확대되어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문, 잡지, 서적 등의 출판물을 제작하는 것이 인쇄라는 편견 때문에 인쇄 산업의 무 궁무진한 가치가 제대로 알려지지 못하고, 인쇄 기술 발전에 발목이 잡혀 있는 것이 현 실이다.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시대의 변화와 발전 과정 속에서 기존 인쇄 산업의 변화를 살펴본 후, 4차 산업 혁명 시대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에 인쇄 기술이 영향을 미치는 분 야와 응용 가능 분야를 알아보고 인쇄 기술의 잠재적인 고부가가치를 발굴하여 인쇄전 자 분야의 주요 산업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육성하기 위한 인식 전환의 필요성과 중요 성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Korea is called the cradle of printing culture. This is because it has a long-lasting printing culture represented by the world’s best metal movable type, ‘Baegun Hwasang Chorok Buljo Jisimche Yojeol’(Jikjisimcheyojeol) and ‘The Tripitaka Koreana’(The Tripitaka Koreana). As history proves, the printing industry, unlike any other individual industry, has had a wide impact on the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of a country as a whole. These values are still the same today. The printing industry can play a big role in creating a new industrial ecosystem, and the field of application is expanding beyond the 4th generation digital printing era to the 5th generation printed electronics field. Nevertheless, the inexhaustible value of the printing industry is not known properly because of the prejudice that printing is the production of publications such as newspapers, magazines, and books, and the reality is that the development of printing technology is hindered.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nges of the existing printing industry in the process of change and development of the times, to examine the fields and applicable fields that print technology affects the new paradigm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and to suggest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the recognition transition to foster the potential high value-added of printing technology to lead to major industries in the printing and electronics sector.

      • KCI등재후보

        한국 출판정책에 대한 분석적 고찰 - 제1기(2003-2007) 출판ㆍ인쇄문화산업 진흥발전계획을 중심으로 : 한국 출판정책에 대한 분석적 고찰

        이용준(Lee Yong-Jun) 한국출판학회 2006 한국출판학연구 Vol.0 No.50

        본 논문의 목적은 참여정부에 들어와서 시작된 제1기 출판인쇄문화산업 진흥발전계획의 성과와 문제점을 점검하고, 앞으로 수립될 한국출판문화정책의 효율적인 방안을 모색해 보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가 필요한 이유는 〈출판 및 인쇄진흥법〉의 제정으로 그 어느 때보다 출판진흥을 위한 획기적인 전기가 마련되었고, 또한 이 법에 의해 매 3년마다 문화관광부 장관이 출판진흥정책을 수립하여 시행해야 하기 때문이다. 연구결과, 현재의 출판문화정책은 전반적으로 진흥을 위한 노력이 돋보이며, 문화산업 영역에서 가장 큰 규모를 가지고 있는 출판영역에 대한 다각적인 지원정책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출판진흥정책의 기조는 앞으로 계속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그러나, 가시적이고 즉각적인 효과가 나타나는 사업의 지원에 초점이 맞춰진 점, 종합적이고 장기적인 로드맵이 부재한 점, 생산자 중심에서 수요자 중심으로의 출판정책이 방향을 선회해야 하는 점, 문화적 차원의 고려가 미비된 채 출판정책이 추진되는 점 등은 향후 보완되어야 할 측면으로 나타났다. 또한, 앞으로 출판문화정책이 효율적으로 추진되기 위해서는 근본적이고 장기적인 관점의 접근이 필요하고, 전문가 집단의 포괄적인 의견 수렴, 독서진흥정책 등이 수립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업무를 총괄적으로 담당하는 출판산업과의 조직과 업무도 조정되어야 효율적인 정책의 집행이 이루어질 수 있다. The aims of this paper are analysing the Korean Government"s policy for publishing culture, and exploring suitable policies on expansion of korean publishing culture. The Korean Government has been starting the first developing plan for publishing and printing industries from 2003. Some results of the plan are showing successful and the conditions of korean publishing culture become higher. From now on, the Ministry of Korean Culture and Tourism makes plan for developing publishing and printing industries by the publishing promoting law every three year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Korean Government"s basic policy for publishing culture is pertinent, and should be continued toward developing korean publishing culture. But it should be gradually reformed that the policy focuses on the visible immediate effects and the industrial areas to the exclusion of cultural sides. In addition, It is essential that the Korean Government follows professional group"s opinions, proceeds the policy with a long term point of view, and starts a campaign for reading book.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undertaking the policy for publishing culture, should be changed in organization and roles for successful pursuing developement of the Korean publishing 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