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간의 자유의지에 과학기술의 도전과 현행 법체계의 향방

        김태명 전북대학교 부설법학연구소 2023 法學硏究 Vol.73 No.-

        최근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과학기술은 분명 인간의 자유의지를 전제로 하는 현행 법체계에 대한 심각한 도전이 아닐 수 없다. 과거에는 인간의 자유의지를 부정하는 주장이 철학적 차원에서 제기되는데 그쳤으나, 이제는 과학적 지식과 연구성과를 토대로 한 주장들이 제기되고 있다. 그리고 최근 급속도로 발전한 인공지능 기술로 인해 인공지능이 인간에 준하거나 또는 인간 이상의 지능을 갖진 인공지능의 출현에 대한 기대가 커짐으로써, 자유의지는 더 이상 인간의 전유물이 아니라는 생각을 갖게 만들다. 이러한 최근의 변화들로 인해 자유의지를 바탕으로 하는 인간의 존엄과 가치 그리고 그것을 전제로 하여 구축된 현행 법체계를 유지하는 것이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 과연 인공지능이 현재의 예상대로 인간 못지않은 또는 인간을 능가하는 존재로 거듭날 수 있을지 현재로서는 여전히 의문이 아닐 수 없다. 우리는 인공지능이라는 브레이크 없는 기술 앞에서 지구상에서 자유의지를 가진 유일한 존재라는 지위를 인공지능에게 양보해야 할지, 아니면 아무리 똑똑하다고 하더라도 결국 인간이 만들어낸 기계에 지나지 않은 인공지능에 대해 인간이 주인으로 남아야 할지는 결국 자유의지를 갖고 있다고 믿고 있는 우리가 판단하고 결정해야 할 과제이다. 본 논문은 우리의 법체계가 과연 인간의 자유의지를 전제로 하여 구축되어 있다고 할 수 있는지 그리고 인간의 자유의지 부정론 내지는 회의론의 주장에 대해 검토해 보고, 인간의 자유의지를 바탕으로 하는 현행 법체계의 향방을 가늠해 보았다. Free will is the foundation of modern law and constitutes the framework of all laws, including the Constitution, criminal law, and civil law. However belief in free will is constantly being challenged due to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such as evolutionary psychology and brain science. And with the recent rapid development of computer and information technology, the argument that free will is no longer the exclusive property of humans is growing stronger. Artificial intelligence is developing rapidly as machine learning, which began in the 1950s, and reinforcement learning, developed in the 1980s, advanced in the 2000s. Scholars call the moment when artificial intelligence develops dramatically and surpasses human intelligence as the ‘singularity,’ and many artificial intelligence scholars and futurists predict that the singularity will occur around 2029. Contrary to the rosy outlook on artificial intelligence, many people point out its limitations. The realistic problem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is that it can cause various harm to humans. And the range of harm to humans is very wide, from the smallest issues at the level of social norms to life. In the face of unbreakable technology called artificial intelligence, it is questionable whether we should give up our status as the only being on earth with free will to artificial intelligence. No matter how smart it is, whether humans should remain the masters of artificial intelligence, which is ultimately nothing more than a machine created by humans, is a task that we who believe in free will must decide. [Key Words] Artificial Intelligence, Free Will, Science and Technology, Legal Personhood, Human Dignity and Worth.

      • KCI등재

        人間의 尊嚴과 價値ㆍ幸福追求權

        전찬희(Chan-Hui Jeon) 한국콘텐츠학회 201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0 No.4

        인간의 존엄과 가치의 존중은 모든 기본권의 이념적 전제인 동시에 모든 기본권 보장의 목적이므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는데 필요한 자유와 권리는 그 어느 것이나 보장되어야 한다. 인간의 존엄과 가치의 실현이라는 목적 달성을 방해하는 행위는 금지되어야 한다.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를 가진다.”는 개인대 국가의 관계에서 국가는 개인을 위하여 존재한다는 반 전체주의적 이념을 선언한 것이며, 헌법의 각 조항과 법령의 효력이 문제될 경우 그에 관한 궁극적 해석기준이 된다. 또한 행복추구권은 인간이 행복을 추구하는데 필요한 것이며 헌법에 열거되지 아니한 자유와 권리까지도 그 내용으로 하는 포괄적 기본권으로 보고 있으나, 최소한의 수준에서 사회적 기본권과 같은 적극적 권리성의 성격도 볼 수 있다. 헌법재판소의 결정례에 따르면 행복추구권은 일반적 행동의 자유권, 개성의 자유로운 발현권, 자기결정권의 영역으로 범주화되고 있기에 의의와 연혁입법례를 통해 행복추구권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The respect for human dignity and worth is to purpose both the ideological premise and the guarantee of all the fundamental rights at the same time. Both freedom and rights which are necessary for obtaining those purposes should be guaranteed. A human has dignity and worth as a human being is that a nation exists for an individual between an individual and a nation. It declares democratic ideology. It becomes a ultimate standard to solve a problem of the interpretation of an article of a law and the effect of a law. The right to pursue one's happiness is necessary to persue one's happiness. The rights comprehensively covers even the freedom and the right without in an article of a law. It shows a positive rights like a social fundamental rights in a minimum level of a law. According to the precedent of the Constitutional Court, as the right to pursue one's happiness is in area of a common action, the free manifestation of the authoritative individuality, and self-determination in category, this study is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he right to pursue one's happiness throughout its meaning and the precedent of history legislation.

      • KCI등재

        헌법상 성적 자기결정권의 의미에 관한 재검토

        소은영(Eun-Young Soh) 이화여자대학교 젠더법학연구소 2019 이화젠더법학 Vol.11 No.3

        성적 자기결정권에 대하여 헌법학계 및 헌법재판소 결정은 이를 ‘성행위 여부 및 그 상대방을 결정할 권리’라고 이해한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해석이 성적 자기결정권의 향유 및 행사의 국면에서 섹슈얼리티를 둘러싼 젠더권력관계를 간과하는 점 및 성적 자기결정권의 내용은 다양한 층위에 걸쳐 있음에도 그 내용을 성행위에 관련된 것으로만 협소하게 이해하였다는 점을 비판한다. 나아가 성적 자기결정권의 이해를 폭넓게 하기 위하여, 이 글에서는 성적 자기결정권의 인격권적 측면에 초점을 맞춘다. 성적 자기결정권은 내밀한 사적 영역에서의 행위에 머무르는 권리가 아니라, 헌법재판소가 설시한 대로 우리 「헌법」 제10조제1문의 인격의 존엄과 가치 및 행복추구권이 보장하는 인격권에서 도출되는 권리로서, 개인의 인격으로서의 섹슈얼리티 실현과 밀접한 관련을 갖는다. 이러한 관점에서 성적 자기결정권의 주체는 근대 헌법에서 상정하는 인격주의적 인간에서 더 나아가, 때로는 차이가 있고 평등하지 않은 사회적 관계 속에서 동등한 구체적인 개인으로 상정된다. 성적 자기결정권의 내용도 성행위로서의 성뿐만 아니라 성적 지향, 성별 정체성을 토대로 한 성(sexuality)의 실천을 위한 다양한 층위의 다양한 행위를 포함한다. 그리고 차이를 갖는 동등한 개인이 각자의 성적 자기결정권을 행사함에 있어 타인을 성적 대상화하지 않고 그의 타인의 성적 자기결정권을 인정하며, 이를 존중하면서 자신의 권리를 행사하여야 한다. 인간의 성적 행동은 단순한 생물적·신체적 활동이 아니라 인간의 내면에 뿌리를 둔 그 인격과도 깊이 관련되는 정신적 활동이기 때문에, 성적 자기결정권은 통합성을 갖는 권리라고 하겠다.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interprets the right to sexual self-determination as the freedom to choose sexual activities(focusing on sexual intercourse) and partners. This article criticizes the above perspective as follows; overlooking gendered contexts over sexuality, narrowly understanding it only as related to sexual activities. Based on this criticism, this article focuses on the ‘personal right’ aspects of sexual self-determination. Sexual self-determination is closely related to the realization of sexuality as an individual"s personal right under Article 10 of the Korean Constitution which promotes the right to personality and right to pursue happiness. The subject of sexual self-determination goes further than the individual human beings envisaged in the modern constitution, and is assumed to be equivalent, concrete individuals in differing and unequal social relations. The contents of sexual self-determination include not only sexual activities but also various practices of sexuality based on sexual orientation and gender identity. And the individual shall exercise his or her rights by acknowledging and respecting the other person"s rights to sexual self-determination.

      • KCI등재

        헌법상 연명치료중단에 관한 자기결정권 입론의 비판적 검토

        노동일(Noh, Dong-Ill) 한국헌법학회 2010 憲法學硏究 Vol.16 No.4

        헌법재판소의 결정과 그에 앞선 대법원 판결이 헌법 제10조에 근거를 둔 헌법상 기본권으로서 연명치료에 관한 자기결정권을 인정한 것은 중요한 진전이다. 헌재의 의견은 연명치료중단에 관한 자기결정권이 죽음에 임박한 환자에게 인정되는 기본권이며 생명단축의 권리, 곧 죽을 권리를 인정한 것으로 오해의 여지가 있는 논리를 펴고 있다. 향후 더욱 심도 있는 논의를 펴기 위해서는 기본권으로서의 연명치료거부권이 모든 국민(환자)에게 인정되는 기본권이라는 인식이 전제되어야 한다. 또한 연명치료 중단은 생명권과 밀접한 연관이 있지만 생명단축의 권리, 존엄사 혹은 죽을 권리의 인정여부와는 관련이 없음을 분명히 해야 한다.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hereinafter "the Court") rendered a historical and landmark decision in 2008HunMa385 case decided on November 26, 2009. In that case, the Court recognized the right of self-determination to refuse life-sustaining treatment as one of the constitutional fundamental rights of a patient based on Article 10 of the Korean Constitution which guarantees all citizens the human dignity and worth and the right to pursue happiness. Prior to the decision of the Court, the Supreme Court of Korea, in Supreme Court en banc Decision 2009Da17417 decided May 21, 2009, also concluded that a patient who reaches the irrevocable death stage is allowed to ask discontinuance of life-sustaining treatment exercising the constitutional fundamental right of self-determination. Therefore, it is now settled in the Korean constitutional law that there is a 'constitutional fundamental right of self-determination to refuse life-sustaining treatment (hereinafter "the right")' even though discontinuance of the treatment may result in the death of the patient. However, it is the author's view that the Constitutional Court has erred, advertently or inadvertently, in the process of conceptualizing the right as a constitutional fundamental right in two folds. The Court first characterized that the patient who reaches the irrevocable death stage should be recognized to have the right and his/her intention to exercise the right can be inferred from the past records such as expression of the intention to family members, his/her religion, life style, side effect of the treatment, etc. However, as long as the right is regarded as a constitutional fundamental right, the right should be that of all citizens like any other fundamental rights, not just that of a patient who reaches the irrevocable death stage. Next, the Court, while explaining how to exercise the right, characterized the right as a right to shorten the patient's life and therefore many scholars deem the decision to recognize the right to die, the death with dignity, and/or the involuntary (passive) euthanasia. However, the author argues that the decision specifically states the right as a right to refuse(discontinue) treatment and it should not be regarded as a right to die, right of death with dignity and/or any forms of euthanasia. If the Court inadvertently used the word 'right to shorten the patient's life', they should make it clear that the right has nothing to do with the right to die, etc. because the constitutional right to life does not include the right to give up his/her life, i.e., the right to die. The author fully sympathizes with the reasons behind the death with dignity argument, there should be no right of death with dignity since there is no constitutional right to die. Instead, it is enough to say that all citizens have the right to pursue the human dignity and worth, as the Court itself states in the decision.

      • KCI등재

        미성년 자녀가 있는 성전환자의 성별(性別)정정 허가 및 판단 기준

        신윤주 사법발전재단 2023 사법 Vol.1 No.63

        The Supreme Court, through Supreme Court en banc Order 2020Seu616 dated November 24, 2022, ruled that when determining whether a transsexual who has a minor child can be allowed to rectify his/her gender entered in the family relations register, not only should the transsexual’s fundamental rights under the Constitution including human worth and dignity and the right to pursuit of happiness (former sentence of Article 10) and the right to equality (Article 11(1)) be ensured but the welfare of a child such as the right to receive protection and care should also be kept in mind, and in such a case, the following overall circumstances: the age and physical and mental state of the minor child; the consent or understanding of the minor child about the gender rectification of his/her father or mother; the transsexual’s way of performing his/her role as a father or mother for protecting and nurturing the minor child; the relations and bonds that have been formed and maintained between the transsexual and other family members including the minor child; and other family environments as well as whether the general standards for permission necessary in allowing the rectification of gender for a transsexual are satisfied should be considered and, thereby, altered Supreme Court en banc Order 2009Seu117 dated September 2, 2011. Previously, the Supreme Court paved the way for a transsexual to be able to reconcile his/her actual gender with the gender entered in the family relations register by allowing the gender rectification of a transsexual for the first time through Supreme Court en banc Order 2004Seu42 dated June 22, 2006. However, the Supreme Court ruled that where a transsexual is married or has a minor child, the rectification of his/her gender is not allowed through Supreme Court en banc Order 2009Seu117 dated September 2, 2011 and, thereby, disapproved the rectification of gender entered in the family relations register by viewing the above two circumstances, respectively, as an independent requirement not to allow the rectification of gender. However, since Supreme Court en banc Order 2009Seu117 decided September 2, 2011, there have been many criticisms over whether deeming the circumstance of a transsexual who is married or has a minor child as an independent requirement not to allow the rectification of gender is reasonable under the Constitution,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and comparative law. The subject case involves where the petitioner is presently divorced and has a minor child, and in this case, whether the rectification of gender can be disapproved by viewing the circumstance where a transsexual has a minor child as an independent negative element became an issue, which was also dealt with in Supreme Court en banc Order 2009Seu117 dated September 2, 2011. The Supreme Court, through the subject case, ruled that by clarifying that; every human being has the right to develop a personality and lead a life in accordance with his/her gender identity; a transsexual should be able to realize his/her personality and individuality based on his/her gender identity and live a life, pursuing happiness with other persons as an equal member of our society; and to exercise such rights fully, a transsexual has the right to legally confirm gender according to his/her gender identity as his/her true gender, when determining whether the rectification of gender can be allowed for a transsexual who has a minor child, various circumstances for the balance of legal interests to enable the protection of the fundamental rights of the transsexual to be in harmony with the protection and welfare of his/her minor child should be comprehensively considered and substantially determined, and the rectification of gender should not be disapproved on the sole basis of the circumstance where the transsexual has a minor child. Moreover, the Supreme Court, by determining that: the subject case is just a natural process in which the w... 대법원은 2022. 11. 24. 자 2020스616 전원합의체 결정에서 미성년 자녀를 둔 성전환자의 성별정정을 허가할지 여부를 판단할 때에는 성전환자 본인의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 및 행복추구권(헌법 제10조 전문), 평등권(제11조 제1항) 등 헌법상 기본권을 최대한 보장함과 동시에 미성년 자녀가 갖는 보호와 배려를 받을 권리 등 자녀의 복리를 염두에 두어야 하고, 이때에는 성전환자의 성별정정에 필요한 일반적인 허가 기준을 충족하였는지 외에도 미성년 자녀의 연령 및 신체적·정신적 상태, 부 또는 모의 성별정정에 대한 미성년 자녀의 동의나 이해의 정도, 미성년 자녀에 대한 보호와 양육의 형태 등 성전환자가 부 또는 모로서 역할을 수행하는 모습, 성전환자가 미성년 자녀를 비롯한 다른 가족들과 형성·유지하고 있는 관계 및 유대감, 기타 가정환경 등 제반 사정을 고려하여야 한다고 판시하여 대법원 2011. 9. 2. 자 2009스117 전원합의체 결정을 변경하였다. 종래 대법원은 2006. 6. 22. 자 2004스42 전원합의체 결정을 통하여 최초로 성전환자의 성별정정을 허가하여 성전환자가 실재하는 성과 공부상 성을 일치시킬 수 있는 길을 열었다. 그러나 대법원은 2011. 9. 2. 자 2009스117 전원합의체 결정에서 성전환자가 혼인 중에 있거나 미성년자인 자녀가 있는 경우에는 성전환자의 성별정정은 허용되지 않는다고 함으로써 위 두 가지 사정을 각 성별정정 허가의 독자적인 소극 요건으로 보아 성별정정을 불허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대법원 2009스117 전원합의체 결정 이후 성전환자가 혼인 중에 있거나 미성년 자녀가 있다는 사정을 성별정정 허가의 독자적인 소극 요건으로 보는 것이 헌법, 국제인권규범 및 비교법적으로 타당한 것인지에 관하여 많은 비판이 이어졌다. 대상결정은 신청인이 이혼한 상태이고 미성년 자녀를 두고 있는 경우로서 대법원 2009스117 전원합의체 결정 중 성전환자에게 미성년 자녀가 있다는 사정을 독자적인 소극 요건으로 보아 성별정정을 불허가 할 수 있는지가 문제 된 사안이다. 대법원은 대상결정을 통하여 인간은 누구나 자신의 성정체성에 따른 인격을 형성하고 삶을 영위할 권리가 있고, 성전환자도 자신의 성정체성을 바탕으로 인격과 개성을 실현하고 우리 사회의 동등한 구성원으로서 타인과 함께 행복을 추구하며 살아갈 수 있으며, 이러한 권리를 온전히 행사하기 위해서 성전환자는 자신의 성정체성에 따른 성을 진정한 성으로 법적으로 확인받을 권리를 가짐을 확인하면서, 미성년 자녀가 있는 성전환자의 성별정정 허가 여부를 판단할 때에는 성전환자의 기본권의 보호와 미성년 자녀의 보호 및 복리와의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법익의 균형을 위한 여러 사정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실질적으로 판단하여야 하고, 단지 성전환자에게 미성년 자녀가 있다는 사정만을 이유로 성별정정을 불허하여서는 아니 된다고 판시하였다. 또한 대상결정은 부 또는 모의 성전환이라는 사실의 발생에 따라 부모의 권리와 의무가 실현되는 모습이 그에 맞게 변화하는 자연스러운 과정이고, 이렇게 형성되는 부모자녀 관계와 가족질서 또한 전체 법질서 내에서 똑같이 존중받고 보호되어야 하며, 미성년 자녀를 둔 성전환자도 여전히 그의 부 또는 모로서 그에 따르는 권리를 행사하고 의무를 수행하여야 하며 이를 할 수 있다고 판시하여 성전환자의 가족도 국가와 사회에서 당연히 존중 ...

      • KCI등재

        이사야 벌린의 소극적 자유론과 한국헌법 제10조

        안준홍 한국법철학회 2010 법철학연구 Vol.13 No.3

        The division into the negative concept of liberty as “the absence of interference” and the positive concept of liberty as “self-government” which Berlin has given the main role in the concepts of liberty has a classical meaning among the modern theories and debates on liberty. There are critics who suggest the single concept of liberty as one and the same triadic relation of agents, preventing conditions, and aims, or as the negative freedom which designates the positive one for its own value. However, first, the negative concept of liberty is an opportunity-concept, whereas the positive one is an exercise-concept. Secondly, we can admit both as concepts of liberty according to our ordinary and general linguistic usage. Thus, individuality and validity as a concept of liberty can be applied to both concepts. Moreover, one can argue that it does not matter whether there exists one, two or even more concepts of liberty. What is important is that there are differing concepts(or conceptions) of liberty representing different views of the man and the world. Accordingly, Berlin's two concepts of liberty are beneficial to understanding the differing positions on liberty. Berlin has accentuated the rivalry of the two concepts, but the relation between the negative and the positive liberty cannot be conceived wholly opposed to each other. Both concepts are interdependent and complementary since the negative liberty is a condition of the positive liberty whereas the positive liberty can and must be the value of the negative liberty to some extent. So a synthetic concept of liberty is the appropriate one. The debates on the concept of freedom relate to the value of freedom. The differing positions on the value of freedom may be divided broadly into two distinct categories. One category views it as a means to want-satisfaction, and the other as a condition of autonomy. In general, negative liberty relates to the former, and positive liberty relates to the latter. Berlin has found the value of freedom in the human condition in which a man transforms himself through choices among incommensurable and absolute claims. Thus, Berlin’s view can be read to belong to the want-satisfaction theory, but his unique contribution to the theory is his emphasis on the value of freedom as a condition of the human being’s self-determination. The autonomy- based doctrine of freedom allows discrimination between more valuable and less valuable freedoms, according to their contribution to the ideal of autonomy. But it cannot accept the various kinds of human lives as broadly as the want-satisfaction doctrine does. Thus, the basic value of liberty must be seen as a means to want-satisfaction. Thereafter, the autonomy theory can and should play the secondary role of making the freedoms orderly. This can be viewed as a two-step theory on the value of freedom. Article 10 of the Korean Constitution provides “Human dignity and worth”. It is the leading ideal of the constitution, and the other constitutional rights serve to guarantee it. Thus the interpretation of “human dignity and worth” relates to the debate on the value of freedom. In Korea, some autonomy-based interpretations have been raised. But according to the conclusions above-mentioned, it is appropriate to interpret the clause basically as meaning that human “self-determination” which conceives the autonomy as an option for choices and permits even irrational choices. This makes the clause more effective by permitting broader ranges of human lives to be acceptable. The autonomy can and should be the secondary criterion which makes the various human lives thus accepted orderly.

      • KCI등재

        부작위에 의한 양심실현의 자유 : 양심적 부작위는 거의 절대적으로 보호되어야 한다

        오승철(Oh Sung Chol) 한국헌법학회 2009 憲法學硏究 Vol.15 No.2

        양심적 병역거부에 관하여는 그 동안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그렇지만, 다른 양심적 부작위들도(예: 국가보안법상 불고지죄) 양심적 병역거부의 경우 못지않게 많은 사람들의 인권을 심각하게 침해하고 있으며 그 해결 또한 시급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양심적 병역거부의 문제와 별도로 양심적 부작위 일반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필자는 ‘부작위에 의한 양심실현의 자유’가 거의 절대적으로 보장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 근거로 (1)양심적 부작위가 ‘양심의 자유’와 ‘인간의 존엄과 가치’의 본질적 내용과 필연적으로 그리고 매우 절박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것과, (2)양심적 부작위권이 정신적 자위권으로 인정되어야 한다는 것을 증명한다. 이 글에서 말하는 “양심적 부작위”는 일반적으로 거론되는 양심적 부작위의 일부만을 포함한다. 필자는 이것을 ‘좁은 의미의 양심적 부작위’라고 부르고, 그 구체적 내용을 제시한다. 끝으로, 양심적 부작위권에 대하여 실제로 존재하거나 예상되는 아홉 가지 반론들을 소개하고 이를 하나씩 반박한다. Lately in Korea there have been many discussions on the conscientious objection to the military service. However, the other types of conscientious objection, such as refusal to report a suspected violation of National Security Act to the authorities or refusal to solute Korean flag, infringe human rights as seriously as the case of the conscientious objection to the military service; and accordingly is necessary the discussions on the conscientious objection in general. The author argues that the conscientious objection in the narrow sense should be guaranteed with little qualification as if it is the essential part of the freedom of conscience. To prove the argument, the author shows (1) that the conscientious objection is necessarily and crucially connected with the essential part both of the freedom of conscience and of 'the dignity and worth of the human person,' and (2) that the conscientious objection should be protected as a right of mental self-defense. The author calls the conscientious objection in the narrow sense the “conscientious abstention,” and gives its detailed description. The author also recommends that the court draw on the Korean Penal Code Article 20 to avoid the conflict between her personal conscience and her professional conscience, in case where the Constitutional Court declares the applicable law that the court believes unconstitutional is constitutional. Finally, the author contradicts some real or hypothetical counterarguments against his theory.

      • KCI등재

        가정폭력 피해자의 보호에 관한 헌법적 연구

        이나혜,김상겸 동국대학교 비교법문화연구소 2022 比較法硏究 Vol.22 No.1

        가정폭력범죄는 오랫동안 형사처벌의 대상에서 제외되었다가 1997년 12월 가정폭력처벌법과 가정폭력방지법이 제정되면서 형사법의 영역에 들어오게 되었다. 그리고 20여 년의 세월이 지났지만, 가정폭력범죄는 여전히 기승을 부리고 있다. 헌법 제36조 제1항이 혼인과 가족생활에서 개인의 존엄과 양성의 평등을 기초로 한다고 하고 있지만, 가정폭력은 사회변화 속에서 매년 20만 건이 넘게 경찰에 신고되고 5만 명 전후로 입건되고 있다. 이렇게 가정폭력범죄가 많이 발생하면서 가정폭력 피해자의 보호문제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비화되고 있다. 가정폭력 관련 법제의 구축으로 피해자의 보호 문제도 진일보해 왔지만 여전히 피해자 보호문제는 국가의 과제이면서 입법과제로 남아있다. 물론 그동안 과거에 비하여 가정폭력범죄에 대한 통일되지 않은 수사기관의 대응과 실질적인 법적용의 미비문제는 상당부분 개선되었다. 그럼에도 가정폭력사건에 대한 보다 적절한 대응을 위한 가정폭력 피해자에 대한 처우를 위해 다양한 개선책의 실현을 위해 관련 법체계 전반에 걸친 검토와 개선방안이 필요하다. 가정폭력사건의 실질적 개선을 위해서는 피해자의 실제적 안전과 보호를 위해 최초 직접대응이 가능한 경찰단계에서의 긴급임시조치의 실효성을 위해 임의동행의 강제권한의 현실화가 요구된다. 그리고 우리 형사절차에서 검사가 갖는 선의권 행사에서 고려되는 피해자의 의사의 반영보다 가해자에 대한 심리적인 예속 현상으로 인해 피해자가 가해자의 선처를 요구하게 만드는 불합리한 상황의 근본적 개선을 위해 미국의 경우와 같이 검사가 의무적으로 가해자를 기소할 수 있도록 관련 규정의 개선이 필요하다. 더 나아가 수사기관과 법원 그리고 보호관찰소의 강화된 협력체계 마련으로 지속적 사후관리를 시도하고 수사기관에서도 필요시 피해자의 심리상담이 가능하도록 관련 전문인력을 확충을 통한 실질적인 대책마련이 필요하다. 그리고 제3의 형사제재로 부각되고 있는 회복적 사법에 관한 절차적 도입규정을 마련하여 효과적 대응체계를 구축하여야 한다. 현재 우리 사회는 가정폭력에 대한 강력한 처벌을 요구하는 목소리만 크게 나오고 있지만, 이러한 여론을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인 대응만으로는 가정폭력의 본질적 해결이 어렵다. 처벌의 강화는 지금의 제도에서 일부 피해자 보호를 위한 사항 위주로만 족할 것이다. 가정폭력의 심각성에 대한 오늘날의 사회적 분위기 조성과 사법기관의 인식 전환은 물론 관련 규정의 정비가 상당 수준 개선되었으므로 단계별 절차를 위한 법령의 개정과 각 기관별 협력관계만 잘 마련된다면 상기의 대안의 접목을 통해 가정폭력의 근본적 문제해결이 한층 개선될 것이다. Domestic violence crimes were excluded from criminal punishment for a long time, but in December 1997, when the Domestic Violence Punishment Act and the Domestic Violence Prevention Act were enacted, they entered the realm of criminal law. And even after 20 years have passed, domestic violence crimes are still on the rise. Although Article 36 Paragraph 1 of the Constitution states that individual dignity and gender equality in marriage and family life are the basis, domestic violence is reported to the police every year more than 200,000 cases amid social change, and around 50,000 people are arrested. With such a large number of domestic violence crimes, the problem of protecting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has become a serious social problem. With the establishment of a domestic violence-related legal system, the protection of victims has progressed, but the issue of protecting victims remains a national and legislative task. Of course, compared to the past, the non-uniform response of investigative agencies to domestic violence crimes and the inadequacy of practical legal application have been significantly improved. Nevertheless, for the realization of various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treatment of domestic violence victims for a more appropriate response to domestic violence cases, it is necessary to review and improve the overall relevant legal system. For the practical improvement of domestic violence cases, for the actual safety and protection of victims, the realization of the compulsory authority for voluntary companionship is required for the effectiveness of emergency and temporary measures at the police stage where direct response is possible. In addition, as in the case of the United States, prosecutors want to fundamentally improve the unreasonable situation that causes victims to demand leniency from the perpetrator due to the phenomenon of psychological subordination to the perpetrator rather than the reflection of the victim's will, which is considered in the exercise of the prosecutor's good faith in our criminal procedure. Relevant regulations need to be improved to make it mandatory for governments to prosecute perpetrators.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system of strengthened cooperation between the investigative agencies, the courts, and the probation office to continue follow-up management, and to prepare practical countermeasures by expanding the relevant professional manpower so that the investigation agency can provide psychological counseling to the victims if necessary.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effective response system by preparing procedural introduction rules for restorative justice, which is emerging as a third criminal sanctions. Currently, in our society, there are only a lot of voices demanding strong punishment for domestic violence, but it is difficult to solve the essential problem of domestic violence only by responding uncritically to such public opinion. Intensification of punishment will be sufficient mainly for the protection of some victims in the current system. Since the creation of today's social atmosphere on the seriousness of domestic violence and the change in the perception of judicial institutions as well as the reorganization of related regulations have been significantly improved, the above alternatives can be grafted as long as the laws are amended for step-by-step procedures and cooperative relationships are established for each institution. The solution to the fundamental problem of domestic violence will be further improved.

      • KCI등재

        미술치료의 헌법적 근거에 관한 연구

        김상겸(KIM Sang Kyum),김나연(KIM Na Yeon) 유럽헌법학회 2015 유럽헌법연구 Vol.19 No.-

        대형사고가 발생하여 많은 사람들이 다치고 사망한 경우, 구조된 생존자들은 사고에 대한 트라우마와 사망한 동료들에 대한 감정 등 정신적 고통으로 인하여 극단적인 행동을 보일 가능성이 많다. 생존자들은 오랫동안 사고로 인한 후유증에 시달릴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에 지속적인 관찰과 상담 및 치료가 필요하다. 대형사고 뿐만 아니라 전쟁이나 재난으로부터 생명을 구한 생존자나 참전군인들의 경우 정신적인 고통에 시달리는 경우가 많다. 이들을 보호하고 치료하여 건강한 국민으로 생활활 수 있도록 국가와 사회는 노력해야 한다. 이 외에도 현대사회는 과학기술의 눈부신 발달로 변화가 빨리 진행되어 적응하기가 쉽지 않다. 그래서 일상생활에서도 정신적 치료의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치료하기 위하여 의학적 방법뿐만 아니라 비의학적 다양한 방법이 개발되어 활용되기도 한다. 그런 방법 중에 하나가 예술치료로, 예술장르인 미술, 음악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여 정신적인 문제를 해결하고 치료한다. 미술적 방법이 정신적 치료에 활용되기 시작한 것은 역사적으로 그리 오래된 것은 아니다. 우리나라에서 미술치료의 경우 약 20여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그 동안 미술치료는 지역복지관, 병원, 학교 등에서 주로 아동과 청소년, 노인 등을 대상으로 사회복지서비스의 일환으로 시행되어왔다. 최근에는 미술치료에 대한 사회적 관심의 증가로 인하여 적용대상과 적용분야가 점차 확대되어 가고 있다. 미술치료는 예술적 장르인 미술을 통하여 심리치료로 건강한 상태로 되돌린다는 점에서 사회복지의 한 내용이라 할 수 있으며, 국민의 보건 내지 건강보장과도 연결된다. 오늘날 국가는 헌법이 요청하고 있는 것처럼 국민의 복지향상을 최우선의 목표로 설정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관련 법규를 제정하고 이를 시행하고 필요한 재정을 지원하는 등의 모든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미술치료는 인간의 권리를 보장하기 위하여 사회복지차원에서 필요성이 있다. In a big accident where a large number of people are dead or injured, it is very likely that survivors consider extreme choices due to trauma and the mental distress they go through regarding the victims. Survivors need constant observation and care in order to address the aftermath of the accidents. Survivors not only of big accidents, but also of war or natural disaster often suffer from mental distress. The state and society should come up with protection and treatment which can rehabilitate them. Non-medical measures are also necessary to help the survivor adapt to daily lives, because the modern society nowadays changes every minute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Arts therapy which diagnoses and treats mental disorder with various artistic means like arts and music is one of such measures. It has not been historically long since artistic measures were utilized for mental therapy. In Korea, arts therapy has about a 20 year long history. It has been implemented as part of a social welfare service toward children, youth and the elderly. With the increase of interest in arts therapy, its target population and utilized area are expanding more and more. Arts therapy can be considered as social welfare service, and also as healthcare policies in that it rehabilitates people in need through psychological treatment with arts. The state nowadays should put its utmost effort through legislation and funding to realize the welfare of people as stated in the constitution. Arts therapy is necessary to guarantee the human rights in terms of social welfare.

      • KCI등재

        사회적 불승인으로서의 형벌: 에밀 뒤르켐의 적극적 일반예방론

        김도현 ( Do Hyun Kim ) 법과사회이론학회 2014 법과 사회 Vol.0 No.47

        Theory of crime and punishment is the mainstay of Emile Durkheim’s sociology of law.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emonstrate that his theory of punishment has much in common with the theory of puishment as ‘positive general prevention’, recently advocated in Germany by Gunter Jakobs, Winfried Hassemer and many others, and rapidly gathering supporters here in Korea as well. There seems to be no excessiveness in saying that Durkheim was a precursor of the recent theory of positive general prevention. Durkheim conceives of punishment as a reaction of society to express and communicate social morality (conscience collective) to the general public as well as to the criminal. In a word, punishment is a social disapproval or blame, of which pain is not an essential element. This conception of punishment as a social disapproval is the key feature of the theory of positive general prevention, in which Jakobs’ theory differs quite a bit from that of Hassemer. While Jakobs puts stress on the protection of society, Hassemer’s theory has its distinctive feature in the humanitarian relationship with the crime. Among these divergent opionions, Durkheim’s theory, at least his theory on the punishment in modern society, seems to have much more in common with Hassemer’s. Collective consciousness in modern society, according to Durkheim, is a product of long-term development of morality evolving from the religious to the individual. By this individualism, or “cult of the individual”, harsh punishment has been repealed, prison has become almost the only kind of punishment, and corporal punishment in school, he says, should be entirely prohibited. Durkheim’s sociological thoery of law and punishment has abundant stimulating suggestions and lessons, which hopefully can contribute to the communication between sociology and legal sci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