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간안보 개념의 시민교육적 위계구조 분석

        김용신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16 국제지역연구 Vol.19 No.4

        Human security can be defined by disputes with multi-dimensions. It has a comparative perspective in terms of military centered approach that is designated national security based on historical views. It means a security concept that has sustained after appearance of nation-state system and focuses on protection of national sovereignty, territory, and its people from invasion or risk of other countries. This is a typical hard security concept. Human security emerges at post cold war era and has been expanded for global security concept. It persists on a soft security concept that composed of political, economic, social, cultural, healthy,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in behalf of a decent human life. Human security comprises national security concept in view of people’s safety in ordinary life. Therefore, human security becomes ambiguous, unstable, and impractical concept. Human security of UNDP is consisted of economic, food, health, environment, individual, community, and political security. These are categories mutual overlapped, and increase conceptual stretching. It has a realistic utility and rightness for freedom from fears and wants, but conceptual disagreements. Hence, human security concept needs a systematic reconceptualization and a theoretical insurance of power to explanation. Human security could be classified personal, social, national, international, and global security in reference to soft-hard and minimum-maximum dimensions. These are connected with hierarchical structures in civic education for human security. Consequently, legal, minimal, active, and transformative citizenship are constructed together with personal, social, national, and international security in global aspects. 인간안보에 대한 개념정의는 다양한 차원에서 논의되고 있다. 먼저, 전통적인 군사력 중심의 국가안보와 비교하는 관점이 있다. 이것은 주로 역사적인 해석에 기초한다. 국가안보는 국민국가체제의 등장 이후 지금까지 유지되어온 안보 개념으로 외부의 침략이나 위해 요인으로부터 국가의 주권과 영토,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한다는 경성안보 논리를 강조한다. 이에 비해 인간안보는 탈냉전 이후 등장한 글로벌 시대의 안보 개념이다. 적정 수준의 인간다운 삶을 구현하기 위해서 필요한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보건, 환경적 요건들을 총체적 관점에서 조망하는 연성안보 개념을 지향한다. 인간안보는 국가안보를 포괄하면서 개인의 안전한 일상생활을 보장하는 개념으로 규정하는 관점이 성립되는 것이다. 인간안보의 개념적 경계가 거의 무한대로 확장되는 현상이 나타나게 마련이다. UNDP가 제시한 인간안보의 영역별 범주는 개념의 희석 현상으로 이어져 모호성을 증가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경제안보, 식량안보, 위생안보, 환경안보, 개인안보, 공동체안보, 정치안보는 상호 중첩적인 개념 범주들이다. 여기에 더하여 인간안보 개념이 결핍으로부터의 자유와 공포로부터의 자유를 어디까지 포함하는 것인가의 문제는 인간안보 개념이 지향하는 현실적 유용성과 정당성에도 불구하고 개념적 혼란 상황을 가중시키고 있다. 인간안보는 체계적으로 재개념화되어 이론적인 타당성과 설명력을 확보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여기서는 인간안보 개념을 연성과 경성, 최소와 최대 차원을 준거로 개인안보, 사회안보, 국가안보, 국제안보, 글로벌안보로 분류하였다. 이러한 개념적 범주는 인간안보를 위한 시민교육 관점에서 시민성의 위계와 연결될 수 있다. 법적, 최소, 능동, 변환 시민성은 총체적인 성격의 글로벌안보를 전제로 각각 개인, 사회, 국가, 국제안보 개념 범주와 연계되어 인간안보 개념과 접선된 시민교육의 위계구조가 구축될 수 있다.

      • KCI등재

        인간의 존엄성, 그리고 도덕적 권리의 실정법으로의 변형

        한스요르크잔트퀼러 ( Hans Jorg Sandkuhler )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2007 철학연구 Vol.0 No.34

        나는 철학자의 주장이라고 하면 어떤 사람들을 놀라게 할지도 모르는 다음과 같은 테제를 옹호할 것이다. 인간의 존엄성을 실정법의 원리, 개념 및 규범으로 개념화시키는 것만이 존엄성의 보장에 의해 보호되어야 하는 것 다시 말해 인간인 모든 이의 자유와 평등에 대한 적절한 이해를 허용한다는 것이다. 나의 테제는 두 가지 전제를 갖는다. 우선 인간들은 그들이 개인들인 한해서 인간들이다. 존엄성은 과거, 현재 및 미래에 존재하는 이 특정한 개인, 이 특정한 인격체로부터 박탈된다. 즉 개인들이 그들의 존엄성을 옹호할 만큼 충분히 강하지 못하고, 바로 이러한 힘을 가진 개인들로 구성되는 사회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박탈되는 것이다. 두 번째 전제는 첫 번째 전제 다시 말해 인간들은 그들이 개인들인 한해서 인간들이라는 전제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실정법과 국가는 인간의 존엄성과 인권을 강제로 실행하기 위해 공통적으로 확립된 그러한 권위들이다. 그러므로 인권이 국가보다 우위에 있다. 개인들이 서로에 관해서 소유하고 있는 도덕적 권리들은 국가에 의해 실정법상의 (그 내용상) 동일한 권리들로 변형된다. 인간의 존엄성이 존중되고 보호되어야 한다는 언명은 존엄성의 침해에 기인한다. 존엄성의 개념은 삶의 불확실성에 개입한다. ``존엄성``은 실체적 개념이 아니라 기능적 개념이다. 그 개념은 말, 개념, 규칙, 원리 및 규범들에 의해 조화와 질서를 창조하려고 함으로써 작동한다. 그 개념은 자유가 위험에 처해 있을 때, 모든 역사적 경험에도 불구하고 인간이 궁극적으로 파괴될 수 없다는 확실성에 대한 열망의 표시, 다시 말해 존엄성이 그 자체로는 보호될 수 없고 제도적이고 법적인 보호를 필요로 한다는 표시를 알리는 기능을 갖는다. 나는 코페르니쿠스적 전환을 제안한다. 이제까지 철학자들은 인간의 존엄성이 개별적 사람들에게 존엄성을 부여하는 가능성의 선험적 조건이었다고 가정해 왔다. 단지 이러한 관계의 역전만이 존엄성의 담지자에 대한 적절한 개념을 허용한다. 존엄성의 원리는 목적 자체로서의 인간, 인격체(person)로 정의된 개인의 수준에서 실천적인 작동원리가 된다. 인간의 존엄성은 권리의 기초이자 목표이다. 실정법은 인간의 존엄성을 보호하기 위한 수단이다. 국가 및 국제기구들은 이러한 권리를 유효하게하고 존중하며 보호해야 한다. I will defend a thesis which may surprise some people as the thesis of a philosopher. Only the conceptualization of human dignity as a principle, concept and norm of positive law allows an appropriate understanding of what should be protected by the guarantee of dignity: i.e. the freedom and equality of everyone who is a human being. Firstly: men are men insofar as they are individuals. Dignity is taken away from this particular individual, this particular person -in the past, present and future, as long as individuals are not strong enough to defend their dignity, and as long as there do not exist societies consisting of individuals with precisely this strength. The second premise is closely connected with the first one: i.e. men are men insofar as they are individuals. Positive law and the state are those authorities established in common in order to enforce human dignity and human rights. Therefore, there is a human right to a state. The moral rights that individuals possess with respect to one another are transformed by the state into the very same rights (with regard to their content) of positive law. The statement that human dignity must be respected and protected is due to its violation. The concept of dignity intervenes in the uncertainty of life. ``Dignity`` is not a substantial concept, but a functional concept. It operates by trying to create compatibility and order by means of words, concepts, rules, principles and norms. It has the function of declaring when freedom is in danger, a sign of longing for the certainty that man cannot ultimately be destroyed, in spite of all historical experiences - a sign that dignity cannot protect itself but needs an institutional and legal protection. I suggest a Copernican turn: Up until now philosophies have assumed that the dignity of humanity was the transcendental condition for the possibility of attributing dignity to individual people. Only an inversion of this relation allows an appropriate conception of the bearer of dignity. The principle of dignity becomes a practical and operational principle at the level of man as an end in himself, of the individual defined as a person. Human dignity is the basis and the goal of rights. Positive laws are the means for its protection; states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must implement, respect and protect these rights.

      • KCI등재

        기획논문 : 부정 인문학 ; 부정인간학 시론

        오용득 ( Yong Deuk Oh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09 石堂論叢 Vol.0 No.45

        이 시론의 목적은 `부정신학`과 비교할만한 `부정인간학`의 기초를 세우는 데 있다. 이 작업은 인간을 개념적으로 정의(개념화)할 수 있다고 본 지금까지의 인간 논의들(긍정인간학)이 특정한 인간을 타자화하거나 인간 자체를 제한하는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고 진단했기 때문에 기획된 것이다. 부정인간학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먼저 그것의 학적 기초가 마련되지 않으면 안 된다. 부정신학의 학적 기초가 신의 무한성에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부정인간학의 학적 기초는 인간의 무한성에 있다. 그리하여 우리는 먼저 무한성에 대한 변증법적, 현상학적, 해석학적 고찰을 통해 인간의 무한성을 해명함으로써 부정인간학의 학적 기초를 수립하고자 한다. 이러한 기초 위에서 성립된 부정인간학은 인간을 개념화할 수 있다는 생각이 부당하다는 사실을 깨우칠 수 있는 실천적 효력을 발휘할 수 있을 것이다. 그것은 인간의 개념화에 의거하여 행사되어온 억압과 폭력을 부당한 것으로 폭로하고 인간에 대한 한층 개방된 이해를 통해 인간 상호간의 소통을 더욱 증진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바로 여기에 부정인간학의 실천적 가치가 있다. This essay aims to set up a new philosophical discourse on the human being. The reason is that the traditional discourses on the human being may be a theoretical ground to suppress some people who have not the essential properties of human being. A new discourse which we will to set up is named `the negative anthropology` that is to be comparable `the negative theology`. The negative theology has a practical significance in so far as God is an infinite substance. To set up the negative anthropology, we have to get it`s theoretical foundation. It is to confirm the infinity of human being. We have elucidated this problem in terms of the dialectical, phenomenological and hermeneutical explanations on the infinity of human being. The negative anthropology has a practical significance; it will to deconstruct the conceptual definitions of human being maintained by the traditional positive anthropologies. So it will be able to set free some people who have been suppressed by a substantial power to conceptualize human being in a certain form. And it will give us a chance to accept the individual particularity of the others and to promote the communications to understand the otherness.

      • KCI등재

        부정인간학 시론

        오용득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09 石堂論叢 Vol.0 No.45

        This essay aims to set up a new philosophical discourse on the human being. The reason is that the traditional discourses on the human being may be a theoretical ground to suppress some people who have not the essential properties of human being. A new discourse which we will to set up is named ‘the negative anthropology’ that is to be comparable ‘the negative theology’. The negative theology has a practical significance in so far as God is an infinite substance. To set up the negative anthropology, we have to get it's theoretical foundation. It is to confirm the infinity of human being. We have elucidated this problem in terms of the dialectical, phenomenological and hermeneutical explanations on the infinity of human being. The negative anthropology has a practical significance; it will to deconstruct the conceptual definitions of human being maintained by the traditional positive anthropologies. So it will be able to set free some people who have been suppressed by a substantial power to conceptualize human being in a certain form. And it will give us a chance to accept the individual particularity of the others and to promote the communications to understand the otherness. 이 시론의 목적은 ‘부정신학’과 비교할만한 ‘부정인간학’의 기초를 세우는 데 있다. 이 작업은 인간을 개념적으로 정의(개념화)할 수 있다고 본 지금까지의 인간 논의들(긍정인간학)이 특정한 인간을 타자화하거나 인간 자체를 제한하는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고 진단했기 때문에 기획된 것이다. 부정인간학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먼저 그것의 학적 기초가 마련되지 않으면 안 된다. 부정신학의 학적 기초가 신의 무한성에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부정인간학의 학적 기초는 인간의 무한성에 있다. 그리하여 우리는 먼저 무한성에 대한 변증법적, 현상학적, 해석학적 고찰을 통해 인간의 무한성을 해명함으로써 부정인간학의 학적 기초를 수립하고자 한다. 이러한 기초 위에서 성립된 부정인간학은 인간을 개념화할 수 있다는 생각이 부당하다는 사실을 깨우칠 수 있는 실천적 효력을 발휘할 수 있을 것이다. 그것은 인간의 개념화에 의거하여 행사되어온 억압과 폭력을 부당한 것으로 폭로하고 인간에 대한 한층 개방된 이해를 통해 인간 상호간의 소통을 더욱 증진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바로 여기에 부정인간학의 실천적 가치가 있다.

      • KCI등재

        아들러 독서교육철학의 토대로서 인간 존재론 연구

        홍윤택,이병승 한국교육사상학회 2022 敎育思想硏究 Vol.36 No.1

        Adler recognizes that the difference between humans and animals is radical in kind. According to him, the uniqueness of human nature lies in its intellect as an immaterial power. The intellectual operates as follows. First, whether an object is perceived, human beings can conceptually think, which is the ability to grasp and understand it as a specific kind. Conceptual thought, as the basis of reasoning or judging, is distinguished from the perceptual abstraction of animals that can recognize only directly perceived objects. Second, humans can exercise propositional languages. They can develop intellect as a conceptual thought by learning various propositional languages and language skills. Third, human beings are the only beings who have freedom of choice. Through freedom of choice, humans can determine their own destiny and control their instincts or irrational desires adequately. Reading education contributes to realizing human nature as an intellectual being. Reading enables us to develop our conceptual thoughts and broad perspectives and further form moral characters to live ‘a good life as a whole’. Human beings are the only beings with intellect and reading education essentially aimed at developing their intellect. Therefore, reading education can realize human nature. 아들러는 인간과 동물이 나타내는 차이가 근본적인 종류의 차이라고 본다. 이러한 그의 관점은 인간의 독특한 본성이 단지 심리적 기제나 뇌의 작용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비물질적 능력으로서의 지성을 지니고 있음을 상정한다. 인간이 지닌 비물질적 능력으로서의 지성은 다음과 같이 발현된다. 첫째로, 인간은 대상이 지각되든 그렇지 않든 간에, 그것을 특정한 종류로서 파악하고 이해하는 능력인 개념적 사유가 가능하다. 이러한 개념적 사유는 인간이 추론하거나 판단함으로써 추상적으로 사유할 수 있는 토대로서, 오직 직접적으로 지각된 대상만 인식하거나 식별 가능한 동물의 지각적 추상화와 구분된다. 둘째로, 인간은 명제적 언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인간은 명제적 언어를 학습함으로써 그의 개념적 사유 능력을 발달시키며, 개념적 사유 능력은 다시 그의 언어 사용 능력을 발달시킴으로써 그의 지성을 계발해 나아간다. 셋째로, 인간은 자유롭게 선택함으로써 자신의 운명을 스스로 개척해 나아갈 수 있는 유일한 존재이다. 인간이 동물이 지닌 본능이나 비합리적인 욕구를 적절히 통제할 수 있는 이유는 바로 선택의 자유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독서교육은 지성적 존재로서 인간의 본성을 실현하는 데 기여한다. 우리는 독서를 통해 개념적 사유능력을 계발하고, 다양한 관점을 이해하는 폭넓은 안목을 갖출 수 있으며, 나아가 윤리적 삶을 살아갈 수 있는 올바른 가치관을 형성할 수 있다. 요컨대, 인간은 지성을 소유하고 있는 유일한 존재이며, 독서교육은 본질적으로 지성의 계발을 목적으로 한다는 점에서 인간의 본성을 실현하기 위한 중요한 도구가 된다.

      • KCI등재

        르코르뷔지에의 회화에 나타나는 인간개념에 관한 연구

        박성용 한국미학예술학회 2024 美學·藝術學硏究 Vol.72 No.-

        본 연구의 목적은 르코르뷔지에의 회화 작업을 중심으로 인간개념을 살펴봄으로써, 그의 예술관이 단순히 기계미학과 기능주의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점과 인간개념을 중심으로 지속적인 변천 과정을 갖는다는 점을 논증하는 것이다. 연구는 르코르뷔지에 인간개념의 가치척도 측면과 조형적 측면에 대한 고찰로 나뉜다. 가치척도 측면은 ‘이성적 정신’, ‘비례척도’, ‘조형적 가치의 위계’를 살펴보았으며, 조형적 측면은 그의 회화 작품에서 발견되는 조형의 ‘항구적인 것’과 인간개념의 관계, 기계미학과 인간개념과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사물(비유기체)에서 인간(유기체)으로 변모해 가는 변천 과정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르코르뷔지에의 회화 작업은 단순한 기하학 형태에 대한 묘사에서, 조형의 진수로 추출된 선들의 유기적 융합으로 나아가는데, 그 과정에서 ‘공간의 인간화’와 ‘사물의 의인화’를 추구하며, 사물과 인간의 통합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변천 과정은 르코르뷔지에 회화 작업의 가치척도와 조형적 측면을 관통하는데, 이는 일견 모순되어 보이던 그의 기계미학과 인간개념이 거시적인 예술관 안에서는 하나의 발전 양상으로 이해될 수 있음을 말해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human concept in Le Corbusier’s paintings, with the aim of revealing how his artistic vision extends beyond mere machine aesthetics and functionalism and develops centered on the human concept. The research is divided into two aspects: the value and formal aspects. The value aspects examine “rational mind,” “scale of proportion,” and “the hierarchy of formal values,” while the formal aspects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variables” in his paintings and the human concept,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machine aesthetics and the human concept in order to reveal a transformation from non-organic (objects) to organic (huma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Le Corbusier’s paintings progress from simple geometric forms to an organic fusion of lines extracted as the essence of form. This process involves “the humanization of space” and “the personification of objects,” leading to an integration of objects and humans. This result suggests that what appeared as contradictory aspects of his machine aesthetics and human concept can be understood as one developmental aspect within a broader artistic view.

      • KCI등재

        《교과내용학》 : 공자사상에서 "사랑"의 의미 고찰 - "인(仁)"의 개념사와 철학적 인간학-

        장승희 ( Seung Hee Jang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4 윤리교육연구 Vol.0 No.34

        이 글은 고대에서 현대까지 ``사랑``에 대한 일련의 연구 중 하나로, 공자사상의 사랑을 인(仁)으로 이해하고 이에 주목한 것이다. 사랑은 동양과 서양이 개념에 차이가 있고, 그리스도교(기독교)의 사랑, 불교의 자비(慈悲), 유교의 인(仁)은 넓은 의미로 사랑이지만 내포와 외연에 차이가 있다. 그럼에도 유교의 인(仁)은 보편적 의미에서 사랑이라고 이해되는데, 공자의 인(仁)에 대한 선행연구는 워낙 많아, 본 연구에서는 최근 학문영역의 하나인 개념사를 바탕으로 접근하였다. ``개념사``는 하나의 ``개념``이 역사의 행간에서 어떻게 영향을 주고, 행위자들이 개념을 사용하며 표현하려 했던 의미의 성층을 분석하여 경험, 세계관, 가치관, 사고방식, 희망과 공포 등을 읽어내고자 한다. 개념사에 근거하면, ``사랑``[인(仁)]의 개념도 역사적 변화를 거듭하며 철학적 인간학적으로 다양하게 파악된다. ``철학적 인간학``은 인간 주체에 대한 물음에서 출발하여 인간 자신에 대한 해석학적 이해와 전(前)이해를 전제로 현존재를 세계와의 관계 속에서 이해하려고 한다. 공자사상에서 ``인간다움`` 또는 인간에 대한 사랑으로 해석되는 인(仁)은, 사람이면 누구나 지녀야 하는 보편적인 품성이지만 공자 이전과 이후의 이해에 차이가 있다. 공자의 생애, 역사의식, 역사적 사명감에 대한 철학적 인간학적 이해를 바탕으로 할 때, 그가 왜 유교를 형성하고 유교이념으로 인(仁)을 강조하였는지 잘 알 수 있다. 공자의 인(仁)은 본질적 이해를 넘어 역사에 대한 미래 비전을 바탕으로 ``탈중심성``과``초월성``으로 확대되어 이후 유교사상의 기본 방향을 설정하는 데 핵심 이념이 되고 있다. 그 핵심은 인간다움이며, 그것은 바로 인간에 대한 사랑이자 그것의 확대임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Confucius` love conception, that is In[仁] as one of a series of love studies from ancient times to today. The preceding researches on In[仁] conception of Confucius so many that we could not count. Therefore, this study approaches In[仁] on the based ``the history of conception`` as a recently significant field of study. The study by through has the advantage of knowing for us the concept how influences space between the lines of history, reading for us the meaning, experience, the view of world, the sense of values, way of thinking, aspiration and fear of them what expresses conductors in history by using that concept. By the history of conception, ``love`` is everlasting not at all. As well one concept is diversely understood from a different standpoint of the subject in history. This understanding is based on the philosophical anthropology. The philosophical anthropology begins with question about human being, seeks transcendental understanding in order to grasping the substantial understanding of the extant being. The understanding is presupposing analytic understanding and previous understanding related with the world. In[仁] of Confucius is Being a human of loving human, universal personality that human being have to take with. His In[仁] has de-centralism and transcendentalism on the based future vision. His In[仁] concept differs pre and after his times. The organic system of In[仁] is building his historical cognition and the sense of duty. This comes to the conclusion that confucianism idea is In[仁].

      • KCI등재

        문제중심 성서학습이 대학생의 하나님 이미지와 자기개념 명료성 및 인간관계에 미치는 영향

        조윤옥 한국실천신학회 2012 신학과 실천 Vol.0 No.30

        본 논문은 문제중심 성서학습이 대학생의 하나님 이미지와 자기개념 명료성 및 인간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그 결과를 기초로 해서 앞으로 기독교 대학에서 대학생들에게 어떻게 성서수업을 효율적으로 진행 할 것인지에 대한 실제적인 도움을 주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대전시에 소재하고 있는 H대학의 기독교교양과목인 성서과목을 수강 신청한 대학생 81명이다. 이들에게 문제중심 성서학습을 12주 동안 주2회 전체학습과 주1회 자율학습으로 실시하였으며, 사전․사후에 하나님 이미지 척도와 자기개념 명료성 척도 및 인간관계 척도를 사용하여 사전․사후 t-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하나님 이미지는 하나님 이미지 전체와 하위영역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자기개념 명료성은 자기개념 명료성 전체와 하위영역 중 자기 확신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인간관계는 인간관계 전체와 하위영역인 민감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문제중심 성서학습을 실시한 전․후에 하나님 이미지, 자기개념 명료성, 인간관계의 상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피어선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 문제중심학습 이후 세 개의 척도 간에 상호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는 세 가지 중 어느 하나의 변화가 또 다른 것의 변화를 가져오는데 역동적으로 작용하면서 서로 상관관계의 변화를 일으키는데 긍정적으로 작용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하나님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가지게 됨으로서, 자기정체성에 대한 불명확성으로 갈등을 겪는 대학생들이 내가 누구인가에 대한 자기개념이 더 명료해졌고, 이는 나아가 타인을 배려하고 존중하는 인간관계의 향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문제중심 성서학습이 대학생의 하나님 이미지, 자기개념 명료성 및 인간관계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 한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primarily to examine the effect of Problem-Based Bible Learning(PBL) on the Image of God, Self-Concept Clarity and Human Relationship of Christian university students, and to provide them with practical information and support to effectively follow bible lecture courses in a Christian university. The object of this study is 81 university students who applied for the course of "contemporary people and the Bible" as a Christian liberal arts subject in the H-university located at Daejeon city. The students were given two formal classes and one autonomic class every week during totally 12 weeks under the PBL. Before and after the PBL a paired t-test was practiced on the basis of three checklists composed of the Image of God, Self-Concept Clarity and Human Relationship. As a result it was recognized that for the Image of God the total score and the scores of all sub-categories reveal difference of significance, while for Self-Concept Clarity the total score and the score of sub-categories of Self-Confirmation differ significantly, and for Human Relationship the total score and a sub-category score of Sensitivity show difference of significance. Before and after practicing PBL, the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know relations between each two categories of Gods Image, Self-Concept Clarity and Human Relationship, and the result shows that each two categories are significantly correlated, particularly, after the PBL. It was recognized that any change within one category among three mutually related ones, eventually triggers change in correlations with other categories. It means that the students struggling with an uncertainty of self-identity, once obtaining the positive image of God through the PBL, make clear of Self-Concept as to "who I am", and further influence positively on the improvement of Human Relationship by treating others in a considerable and respectful way. Therefore the PBL will positively enhance the Image of God, Self-Concept Clarity and Human Relationship of university students.

      • KCI등재

        포스트휴먼 담론과 새로운 인간상의 형성

        김휘택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23 다문화콘텐츠연구 Vol.- No.4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human images that arise in discussions surrounding posthumanism. Posthuman scholars' research involves artificial intelligence managing, controlling, and potentially annihilating humans in the future. However, what humans should be concerned about is the loss of their “humanity”, meaning the inability to choose their own work. Next, the paper explores the concept of engineered humans. Humanities and arts take a different approach from science in creating a human image. In the field of humanities and arts, they justify the manipulated body but question the ideal modern human image with balance and proportion. Conversely, science presents an image of humans with engineered bodies through genetic technology, augmented humans, cyborgs, and other means. The paper delves into the conceptualization of the body using Latour's experienced body and Haraway's denaturalized body as frameworks. These concepts strongly influence societal perceptions of the body. However, they can lead to the alienation of the real body and idealization of the body as a simulacrum. As the alienation of the biological body intensifies, theories emerge that deny the identity that humans have through their bodies. As science and technology continue to advance, the design of a new human image becomes bolder, raising significant ethical and philosophical questions about the future of humanity. 본 논문의 목적은 포스트휴먼 논의와 관련하여 만들어진 인간상들을 살펴보는 데 있다. 포스트휴먼 학자들이 수행하는 연구에서 인공지능이 장래에 인간을 관리하고 통제하며 궁극적으로 말살하는 모습을 상상하지만, 인간이 우려해야 할 것은 스스로 자신의 일을 선택할 수 없는 ‘인간성’의 상실일 것이다. 다음으로 우리는 조작된 인간에 대해 알아보았다. 우선, 인문・예술 분야는 과학과 인간상 형성에 있어서 다른 길을 걷는다. 인문・예술 분야에서는 균형과 비례를 갖춘 이상적인 근대의 인간상을 의심하면서 조작된 몸을 정당화한다. 다른 한편으로 과학은 유전자 기술, 강화 인간, 사이보그 등의 형태로 조작된 몸을 가진 인간의 형상을 대중에게 각인시킨다. 우리는 라투르의 경험되는 몸, 해러웨이의 탈 자연화된 몸을 통해 몸의 개념화를 살펴보았다. 이 몸의 개념화는 사회 구성원들의 몸에 대한 관념을 강력히 구조화한다. 이러한 개념들은 실제 몸의 소외를 초래하고, 시뮬라크르로서의 몸만을 이상화한다. 생물학적 몸의 소외가 심화하면서 인간이 가지는 몸을 통해 가지는 정체성을 부정하는 학설도 등장한다. 과학기술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지금, 새로운 인간상에 대한 설계는 더욱 과감해지고 있다.

      • KCI등재

        인간 : 미완의 기획

        이태수(Lee Tae-Soo) 인제대학교 인간환경미래연구원 2008 인간 · 환경 · 미래 Vol.- No.1

        이 글은 우선 ‘인간’이란 말이 일상적인 용법으로도 어느 정도 규범적 의미를 가진 말로 쓰일 수 있다는 사실에 주목하면서 인간의 한 중요한 본질적인 면모를 밝혀내고자 시도한다. 이 사실은 무엇보다도 인간이 자신의 정체성을 자신이 규범적인 모델로 설정한 것과 동일시하려는 경향이 있음을 반영하고 있다. 그리고 그런 경향은 humanitas라는 개념이 인간의 본성과 동시에 이상적 인간이 지닌 특성을 동시에 의미하면서 서구 문화사의 형성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게 된 중요한 배경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러나 인간의 정체성은 차라리 그런 규범적 모델을 실현하려는 노력 또는 그 노력의 역사가 만들어낸 내러티브에서 찾아져야 한다. 정체성에 관한 이와 같은 생각은 일찍이 중세 철학자 룰루스가 인간을 animal homificans 즉 인간을 만들어내는 동물로 정의한 데에서 드러나고 있다. 이 글을 그의 착상을 출발점으로 삼아 ‘인간’을 어떤 실체를 지시하는 이름이 아니라 차라리 인간이 자신의 정체성을 형성해가는 기획의 이름으로 이해할 수 있는 가능성을 검토한다. 그리고 그 검토는 인간을 탐구한다는 인문학의 학문적 성격이 실상은 이미 존재하는 인간의 속성에 관한 연구라기보다는 인간의 정체성을 형성해가는 기획의 일부로 파악해야 한다는 생각으로 이어진다. In this paper I try to illuminate an essential feature of the human being first by paying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evaluative usage of term 'human' is quite familiar in the everyday communication. This usage reveals our tendency to seek our identity in a normative model of idealized human beings. It is largely on account of this tendency that the concept humanitas, which represents the normative model of human beings and at the same time their essential property, could play such a determining role in the cultural tradition of the West. However, the real identity of human beings is not to be sought in their idealistic self-understanding. Rather, it consists in the endeavor to form their identity, or in the narrative of this endeavor. Now, leaning upon Raimundus Lullus, a Catalan thinker of 14<SUP>th</SUP> century, who defines the human being as animal homificans, that is, animal creating human being, I propose to take the possibility seriously to conceive the term 'human' not as referring to a substance with a fixed set of static properties, but a never-ending project of forming self-identity. The conception of humanitas should be also accordingly modified; it should be taken as meaning the contents of the project called 'human'. This has also an important consequence for our understanding of humanities, such disciplines as literature, history and philosophy; although these disciplines are known as undertakings engaged in research of human beings, they are concerned more with the project of forming the identity of human beings than with researching factual truths about human nature or their past do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