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형편방 (異形偏旁)의 결합 (結合)에 의한 회의형 (會意型) 이체자 (異體字) 생성 (生成)원인 (原因)연구 (硏究)

        리규갑 한국중국언어학회 2013 중국언어연구 Vol.0 No.47

        本文章屬於對異文結合而成會意型異體字而成會意型異體字之硏究. 一般會意型異體字乃合體字,造字方式則以與其字意通之偏旁代替本字偏旁以作異體字. 然異文結合會意型異體字卽爲表現其正字意, 以與其正字偏旁不同他文結合而成異體字,例如人之異體人, 歸之異體歸, 添之異體益, 如此會意型異體字造字其與一般會意型異體字不同之處述之則如下三矣. 其一,一般會意型異體字造字目的不明,只書寫過程爲字形簡化而成,然異文結合會意型異體字造字目的甚確者多. 其二,一般會意型異體字向簡趨移,然而異文結合合會意型異體字繁化傾向.使用度頗低.一般會意型異體字用途不偏一處, 然而異文結合合會意型異體字造字目的分明,斯故其字多用於特定部門, 因以使用度自然降低.

      • KCI등재

        동형이체자(同形異體字)의 유형(類型) 및 조자과정(造字過程) 고찰(考察)

        이규갑 한국중국언어학회 2011 중국언어연구 Vol.0 No.37

        本文主要考察字形相同却從不同的正字變形而來的異體字, 卽對擁有兩個以上正字的異體字從多個角度進行分類, 倂考察其變化過程。一個異體字擁有不同正字時大多是擁有兩個, 但考察結果顯示擁有三個正字的也有, 甚至從四個正字變化而來的情況也有。령外, 從正字變形成分方面考察各個異體字的變形, 考察結果顯示此類異體字和一般異體字一樣是筆劃和偏旁在變, 倂沒有特別之處。但是, 存在異體字的兩個正字變形成分不同的情形。卽一個是筆劃成分變形, 而령一個則是偏旁成分變形, 最終變成相同字形。最後, 從各個異體字開始成形的開端方面考察各個異體字的變形, 考察結果顯示大部分是從隸書、楷書階段開始變形, 然而有一部分却是從甲骨文、金文或者古文階段開始變形的, 這一點可稱得上是有些特別。

      • KCI등재

        『異形偏旁의 結合에 의한 會意型 異體字 生成 原因 硏究』

        이규갑 한국중국언어학회 2013 중국언어연구 Vol.0 No.47

        本文章屬於對異文結合而成會意型異體字之硏究。一般會意型異體字乃合體字,造字方式則以與其字意通之偏旁代替本字偏旁以作異體字。然異文結合會意型異體字卽爲表現其正字意,以與其正字偏旁不同他文結合而成異體字,例如人之異體,歸之異體,添之異體,如此會意型異體字其與一般會意型異體字不同之處述之則如下三矣。其一,一般會意型異體字造字目的不明,只書寫過程爲字形簡化而成,然異文結合會意型異體字造字目的甚確者多。其二,一般會意型異體字向簡趨移,然異文結合會意型異體字則繁化傾向。其三,使用度頗低。一般會意型異體字的用途不偏一處,然而異文結合會意型異體字造字目的分明,斯故其字多用於特定部門,因以使用度自然降低。

      • KCI등재

        지급인의 착오로 인한 자금이체의 효력

        서희석(Heesok Seo) 한국비교사법학회 2013 비교사법 Vol.20 No.3

        전자자금이체는 은행에 계좌를 가지고 있는 자(지급인)가 그 은행 또는 다른 은행에 계좌를 가지고 있는 자(수취인)에게 은행의 시스템을 이용하여 자금을 이동시키는 것을 말한다. 이것은 신속하고 안전하게 자금을 이동시키는 이점이 있는 반면, 전자적 방법에 의해 순식간에 이체정보가 이동하기 때문에 입력실수 등에 의하여 애초에 의도하지 않았던 자금이체(착오이체)가 일어날 가능성이 상존한다는 문제가 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인터넷의 발달로 개인이나 단체가 컴퓨터 등으로 전자자금이체를 실현하는 예가 증가하면서 착오이체를 둘러싼 대법원의 판결도 급증하고 있다. 착오이체의 유형에는 그 주체에 따라 지급인이 착오이체를 하는 경우와 은행이 착오이체를 하는 경우로 나눌 수 있고, 각각 수취인을 잘못 지정하는 경우와 금액을 잘못 지정하는 경우가 존재한다. 현재까지 대법원판결의 압도적인 다수는 지급인이 수취인을 잘못 지정하여 일어나는 착오이체의 유형이다. 본고의 목적은 2004년 이래 2012년까지 거의 매년 하나씩 등장하고 있는 "지급인에 의한 수취인착오로 인한 자금이체"에 관한 대법원판결을 분석하여 이를 이론적으로 체계화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데에 있다. 검토의 결과 대법원의 판례법리는 "지급인이 원인관계없는 수취인에게 착오로 자금이체를 한 경우에도 수취인은 수취은행에 예금채권을 취득한다"는 법리를 중심축으로 하여 형성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취인이 예금채권을 유효하게 취득하기 때문에, 수취은행이 수취인에 대한 채권을 자동채권으로 하고 수취인이 착오로 취득한 예금채권을 수동채권으로 하여 상계하는 것도 허용되며, 수취인의 채권자에 의한 수취인 예금채권의 압류 내지 강제집행도 허용된다. 다만 지급인은 법률상 원인없이 이익을 얻은 수취인에 대하여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을 취득하게 되는바 이를 통하여 착오이체로 인한 손해를 전보받아야 한다. 그러나 수취인이 도산하여 예금계좌가 지급정지된 경우나 수취은행이 상계를 함으로써 무자력상태인 경우, 수취인의 채권자가 수취인의 예금채권을 압류한 경우 등에는 현실적으로 착오이체금을 반환받을 방법이 없기 때문에 착오이체자의 보호문제가 등장하게 된다. 짧은 기간 안에 착오이체를 둘러싼 대법원 판례가 쏟아져 나온 것은 착오이체 사안이 대단히 많이 발생하고 있지만 은행실무를 통한 해결에 납득하지 못하는 착오이체자(지급인)가 소송을 통하여 구제받고자 하는 경우가 그만큼 많았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그 결과는 대부분 원고측 패소로 귀착되었다. 착오에 의해 이체를 하였으므로 그 불이익을 스스로 부담하여야 한다는 규범적 평가는 타당한 것이지만, 착오이체자의 손해로 생긴 다른 이해당사자들(수취인, 수취은행, 수취인의 채권자)의 '불로소득'을 정당하다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인지 의문이 없지 않다는 점에서 착오이체자의 보호문제에 대하여 고민할 시점이 되었다고 생각한다. 향후 착오이체자 보호를 위한 논의들이 진행되기를 기대해본다. Electronic funds transfer (hereinafter the "EFT") refers to shift of funds via system of bank from a party (a payer) having an account at a bank to another party (a payee) having an account in the bank or in other bank. While this has a merit of shifting the funds quickly and safely, there is a problem of an ever-present possibility that unintended transfer of funds (mistaken transfer), caused by input mistake for example, may take place because information of the transfer is electronically shifted in an instant. With growing number of cases where individuals or companies fulfill the EFT through computers along with the advance of the internet in Korea, the number of rulings made by the Supreme Court has been also rapidly increasing. The mistaken transfer is to be classified into (1) one made by payers and (2) another made by banks according to who is the subject of the act, and each includes (a) a case when they incorrectly designate a payee and (b) a case when they incorrectly enter the amount of funds. Overwhelming majority of the Supreme Court cases to date belong to a type of mistaken transfer when a payer incorrectly designate a payee. The aim of this paper is to accomplish the work of theoretical systemization based on analysis of the Supreme Court cases related to "funds transfer made by a payer due to his mistake concerning payee", each of which is filed almost every year from 2004 through 2012. It was able to ascertain, as a result of the review, that the judicial precedents of the Supreme Court have been formed around a legal principle that "the payee obtains deposit claim from a recipient bank even in case a payer made the transfer of funds by mistake to an illegitimate payee." Because the payee legitimately obtains the deposit claim, a set-off is allowed in which the claim of the recipient bank against the payee constitutes an active claim and the deposit claim of the payee acquired by the payer's mistake constitutes a passive claim, and seizure and compulsory execution of the payee's deposit claim by a creditor of the payee are also allowed. Here, the payer should get compensated for damages from the mistaken transfer via claim for restitution of unjust enrichment, which is obtained against the payee who acquired profit without legal ground. However, in case the (1) payee's bank account is suspended, (2) the payee is insolvent due to implementation of the set-off by the recipient bank, or (3) creditors have already seized the deposit claim of the payee, an issue on protection of the mistaken transferor (or the payer) as a practical problem requires attention as there is no means in practice to retrieve the mistakenly transferred money. The fact that Supreme Court cases have poured out in a short period of time is because mistaken transferors (or the payers) who could not be convinced of the abovementioned legal principle provided by the Supreme Court intended to seek a remedy by lawsuit. However, the result has mostly ended up with rulings against complainants. While normative assessment that disadvantage derived from the transfer by mistake should be imposed to the payer is valid, it is questionable that the unearned profit acquired by other involved parties (payees, recipient banks, creditors of the payees) can be also really justifiable, and therefore, it is time that we should consider the issue of protection for mistaken transferor. It is expected that discussions for the protection of mistaken transferors are developed henceforth.

      • KCI등재

        特殊異體字 硏究

        金愛英,金始衍 중국어문학회 2002 中國語文學誌 Vol.12 No.-

        本論文幷不僅僅把硏究的重点放在筆劃和偏旁上, 而是根据中國傳統的文字分析法--六書的理論再次進行深入地硏究, 以《中華字海》中收錄的異體字爲硏究對象, 考察這些異體字的發展規律。 一般來說, 漢字是從獨體字向合體字、 表意字向表音字發展的, 然后又傾向于强化字形簡化。 考察結果表明: 異體字的形成、 變化的過程也和大部分漢字發展的一般規律相類似。 當然也有與一般漢字的發展規律相違背的異體字, 這樣的異體字叫特殊異體字。 在《中華字海》的8万5千多개字漢字中只조到124개特殊異體字。 從數量上看, 這些特殊異體字在全體異體字中所古的比率幷不大, 大部分的異體字還是沿襲漢字發展的一般規律, 傾向于合體化、 表音化。

      • 예금이체에 의한 컴퓨터사용 사기죄에 있어 친족상도례의 적용

        강동범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2007 法學論集 Vol.11 No.2

        개인용컴퓨터와 인터넷이 널리 보급되고 금융기관업무의 많은 부분이 무인화·자동화되면서 예금의 인출과 이체가 현금자동입출금기(ATM: Automatic Teller's Machine), 현금지급(인출)기(Cash Dispenser) 또는 인터넷뱅킹을 이용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타인의 예금을 예금주의 의사에 의하지 아니하고 인출하거나 이체하는 위법행위의 모습도 변화하고 있따. 즉 과거에는 에금주의 통장과 도장을 갖고 해당 금융기관에 가서 예금주 명의로 청구서를 작성한 후, 창구직원에게 마치 자신이 진정한 예금주인 것처럼 가장하여 통장 등을 제시함으로써 인출·이체하였지만, 요즘에는 현금자동입출금기나 인터넷뱅킹을 이용하여 비밀번호 들을 입력함으로써 인출이나 이체가 가능하게 되었다. 이와 같이 은행원이 개입되지 않고 이루어지는, 변화된 위법행위에 적절하게 대처하기 위해 1995년의 형법개정을 통해 컴퓨터사용 사기죄(제347조의2)가 신설되었다. 권한 없이 타인의 예금계좌에서 행위자나 제3자의 계좌로 이체하는 경우 창구직원을 속이는 방법에 의하면 사기죄가, ATM이나 CD기 또는 인터넷뱅킹을 이용하면 컴퓨터사용 사기죄가 성립한다는 점에 대하여는 다툼이 없다. 그런데 사기죄와 컴퓨터사용 사기죄에 대하여 친족상도례가 적용(제 354조, 제 328조)되기 때문에 일정한 친족 사이에서 예금이체에 의해 이들 범죄가 행하여진 경우에도 친족상도례가 적용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예금은 민법상 소비임치(민법 제 702조)에 해당하여, 일반의 법의식과 달리 법률상으로는 예금한 금전의 소유권은 은행에게 위속되고 예금주는 예금액에 대한 반환청구권을 가질 뿐이므로, 누가 피해자인가에 따라 친족상도례의 적용 여부가 좌우된다. 예컨대 아들이 아버지의 현금카드를 사용하여 아버지의 예금계좌에서 일정 금액을 자신의 예금계좌로 이체한 경우 아버지가 피해자라면 친족상도례가 적용되지만, 금융기관이 피해자라면 친족상도례가 적용될 수 없을 것이다. 은행직원과 대면하지 않고 현금카드와 비밀번호입력 등의 간단한 방법으로 예금이체가 가능해 짐에 따라 친족 사이에서도 컴퓨터사용 사기행위가 다수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이 문제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컴퓨터사용 사기죄의 피해자가 재산상 손해를 입은 자에 한정되는가 아니면 시스템 운영주체까지 피해자가 되는 가에 따라서도 친족상도례의 적용이 달라진다. 이와 관련하여 컴퓨터사용 사기죄의 경우 피해자가 누구인가 그리고 친족상도례에서 친족관계의 존재범위의 문제를 살펴본 후 예금이체에 의한 컴퓨터사용 사기죄에 있어서의 친족상도례의 적용문제에 대하여 검토하기로 한다. Führt die Nutzung von rechtswidrig erlangten fremden Codenummern beim Bankautomaten,etwa mittels echter oder gefälschter EC Karte, dazu, daß dem Täter oder dem Dritten vomfremden Sparkonto Buchgeld abgebucht wird, dann liegt ein Computerbetrug vor. Entscheidend ist die Frage, wer der Verletzte ist, weil Haus- und Familiendiebstahl (StGB §328) ensprechende Anwendung auch für Computerbetrug finden (StGB §354). Der Verletzteeines Computerbetrugs ist nicht der EDV Betreiber, sondern der Vermögensgeschädigte, weil derTatbestand des Computerbetrugs sowie des Betrugs schützt den Vermögenswert. Im Fall eines Computerbetrugs durch die Abbuchung vom fremden Konto fragt sich, ob der Vermögensgeschädigte das Kreditinstitut oder der Kontoinhaber ist, weil der Spareinlagevertrag ein unregelmäßiger Verwahrungsvertrag ist, für den die Vorschriften über das Darlehen entsprechendgelten (BGB §702). In Deutschland geht die h. M. davon aus, daß der Vermögensgeschädigte der Kontoinhaber ist. Denn der Computer bleibt ein Hilfsmittel des Systembetreibers und dasKreditinstitut steht zum Kontoinhaber in einem Näheverhältnis. In Japan findet dagegen die h. M.,daß der Vermögensgeschädigte das Kreditinstitut ist, weil dieses die Gefahr trägt, das abgebuchte Buchgeld doppelt auszugeben. Der koreanische höchste Gerichtshof hat die Meinung vertreten, daß der Vermögensgeschädigte das Kreditinstitut ist, weil dieses der Eigentümer des Spargeldes wegen des unregelmäßigen Verwahrungsvertrags ist. Ich schliesse mich der Meinung, das Kreditinstitut sei der Vermögensgeschädigte, ausfolgenden Gründen an:① Das Eigentum und der Besitz des Buchgeldes gehören zumKreditinstitut. ②Trotz der Legitimationswirkung (BGB §470) muss das Kreditinstitut die Gefahrtragen, das abgebuchte Buchgeld doppelt auszugeben. ③Dieser Fall ist in Anlehnung an dieAbbuchung vom fremden Sparkonto mittels gefälschter EC Karte zu behandeln. ④Ein Geschädigte im strafrechtlichen Sinne ist nicht immer ein Geschädigter im zivilrechtlichen Sinne.

      • KCI등재

        『新撰字鏡(신찬자경)』 주요 聲符(성부)의 異體(이체) 現像(현상) 考察(고찰)

        김령경 ( Lyoungkyoung Kim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5 漢字 漢文敎育 Vol.37 No.-

        필자는 지금까지 일본 헤이안 시대의 자서인 『新撰字鏡』에 수록된 이체자의 이체 유형과 부건을 분석하고, 각종 중요한 이체자, 특히 중국의 대형 자전에서도 다루지 않은 難字들을 가려내어 그 계통을 밝히는 작업을 해 왔다. 이 과정에서 新撰字鏡』의 이체자들이 중국의 이체자와 자형 변천 과정에서 기본적으로는 동일한 양상을 보이지만, 일반적인 이체 규율로 규정지을 수 없는 독특한 이체자들도 즐비하다는 사실을 누구보다 잘 알게 되었다. 이처럼 독특한 이체자형은 한편으로는 이 책의 가치를 높여주는 장점이 되지만 다른 각도에서 보면 이 책이 널리읽히고 연구되는 데 저해요소가 되기도 한다. 따라서 필자는 『新撰字鏡』 연구의 첫 단계는 반드시 자형에 대한 연구, 특히 이체자에 대한 식자율을 높이고 정확한자형을 판별해내는 일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필자 본인을 비롯한 『新撰字鏡』을 접하는 독자들이 이 책에 수록된 이체자를 좀 더 쉽게 알아보고 이해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글자들에서 나타나며, 이체현상이 활발하게 일어나 다양한 이체자형을 보존하고 있으며, 중국의 자서에서도 잘 나타나지 않는 독특한 이체자형이 많으면서도 그 이체현상이 문자학적으로 분석할 가치가 높은 것들을 우선적으로 가려 뽑아 그 이체 현상을 상세하게 분석하였다. The author has been studying in a word book during Japan Heian period, entitled Sinsenjikyo. This study analysed and counted Chinese variant forms of type and configuration. Besides, important variant forms, especially difficult words which has not yet received in a large dictionary in China were analyzed in this study. Finally, the etymology and evolution of word shape were also analyzed. In the course of all these studies, the author realized that variant forms in Sinsenjikyoare basically similar with Chinese variant forms. But using a general theory about to study variant forms is not a good method. This book, which has many unique Chinese words, have higher academic value. It has become blocked researcher or the general reader approaching in turn. Therefore, the author think that the first step of Sinsenjikyo research must begin in the study of shape. The largest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et we know and understand the book Sinsenjikyo. The author has chosen words deliberately in a wide range of species and saved a wide range of Chinese variant forms. Finally, the author conducted a detailed and theoretical analysis of variant forms on the phenomenon of its sound character.

      • KCI등재후보

        무권한 전자자금이체로 인한 손실의 부담

        정봉진 가천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가천법학 Vol.6 No.2

        경제의 원활한 흐름을 위해서는 신속·정확한 지급수단의 존재가 필수적이다. 종래 수표는 그와 같은 지급수단으로서의 기능을 휼륭하게 수행해 왔다. 그러나 오늘날 수표는 새로운 지급수단인 전자자금이체에 의하여 점차 대체되어 가고 있다. 현금자동입출금기, 직불카드, 폰뱅킹, 인터넷뱅킹 등과 같은 전자자금이체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문제 중의 하나는 무권한 전자자금이체로 인한 손실을 누가 부담하느냐 하는 것이다. 무권한 전자자금이체는 사기로 인한 전자자금이체와 같이 권한없는 자의 이체지시에 의하여 이루어진 전자자금이체를 의미한다. 오늘날 우리나라에서는 보이스 피싱, 파밍, 스미싱 등과 같은 무권한 전자자금이체가 증가 일로에 있어 큰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현재 미국, 독일 등 외국에서는 무권한 전자자금이체로 인한 손실 부담 문제를 비롯한, 전자자금이체와 관련된 문제들을 종합적이고 포괄적인 의회 입법에 의하여 규제하고 있다. 그 대표적인 국가인 미국에는 전자자금이체를 규율하는 두 개의 성문법이 있다. 통일상법전(“UCC”) 제4A조와 1978년도 전자자금이체법(“EFTA”)이 바로 그것이다. 전자는 은행 상호간, 은행과 대기업 간의 대량의 전자자금이체를 대상으로 하는 “도매 (거액) 전자자금이체거래” 분야의 입법이고, 후자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소매 (소액) 전자자금이체 거래” 분야의 입법으로서 소비자 보호를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전자금융거래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고 전자금융거래 관련 법률관계를 명확히 할 목적으로 전자금융거래법을 제정하여, 2007년 1월 1일부터 시행하고 있는데, 동 법 제9조와 제10조가 무권한 전자자금이체에 관하여 규율하고 있다. 그러나 이 법은 무권한 전자자금이체 관련 법률문제를 해결하기에는 그 내용이 너무 불충분하다. 이에 이 논문은 전자자금이체 관련 법제가 많이 발달하여 있고, 세계 각국의 전자자금이체 관련법에 많은 영향을 미친 미국의 전자자금이체에 관한 입법례(즉, EFTA와 UCC 제4A조)를 검토해 보고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This article is concerned with who bears the loss resulting from unauthorized electronic funds transfers under the Korean Electronic Financial Transactions Act(“the Act”). The most common types of electronic funds transfers(“EFT”) are point-of-sale transfers and automated teller machine transactions. An EFT is unauthorized if the transfer is initiated by a person without actual authority to initiate the transfer and the consumer did not receive a benefit from the transfer. ETF does have one critical problem. It is the risk of fraud. ETF is easily subject to a third party fraud because it is not a face-to-face transaction. Recently, unauthorized EFT including fraudulent EFT is on the rise in Korea. Fraudsters use increasingly advanced methods for accessing personal financial information to execute unauthorized EFT, including “phishing,” “pharming,” and “smishing.” The allocation of losses resulting from unauthorized EFT has traditionally been one of the basic legal issues concerning the EFT system. Under the U.S. law, the Electronic Funds Transfers Act(“EFTA”), which applies to consumer EFT, provides that the consumer is liable for unauthorized transactions made with the card and some means of identification. However, this liability is limited to the lesser of fifty dollars or the sum withdrawn before the customer notifies the financial institution of the loss of the card or of the existence of unauthorized transactions. If the customer does not report the loss of the card within two days of knowledge, or does not report unauthorized transactions within sixty days, he may be liable for greater amounts. The approach for regulating unauthorized electronic fund transfers under UCC Article 4A is entirely different from that of EFTA. Article 4A of the Uniform Commercial Code includes a strict liability standard for the account holder if the receiving bank has created a commercially reasonable security procedure pursuant to which the transaction is executed. The manner in which Article 4A handles unauthorized EFT should be of vital interest to all banks and customers involved in EFT. Existing legal frameworks under the Act are inadequate for the purpose of equitably defining the rights and liabilities of the parties to unauthorized EFT transactions. It is suggested that the Act be amended taking into account the EFTA and UCC Article 4A.

      • KCI등재

        고지도(古地圖) 서울 사대문(四大門) 안 지역 이체자(異體字)의 유형ㆍ특색과 가치 - 규장각(奎章閣) 고지도 지명 검색의 오류를 겸하여 논함 -

        이경원 ( Lee Kyeong-won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9 비교문화연구 Vol.55 No.-

        본 논문은 서울 고지도에 나타난 한자 이체자 자형의 유형을 귀납정리하고, 더불어 그 특색과 가치를 살펴보고, 최종적으로 규장각 원문보기의 지명검색의 오류를 교감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서울 고지도 9종에 나타난 이체자의 유형을 크게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①필획을 소폭으로 증감한 것, ②자형의 일부를 간략화 한 것, ③자형의 일부를 부호화 한 것, ④자형의 반쪽을 부호화 한 것, ⑤성부를 동음의 글자로 교체한 것, ⑥자형의 윤곽만 채택한 것, ⑦형성자를 후기 회의자로 바꾼 것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서울 고지도 이체자의 특색은 ①기존 이체자의 계승, ②이체자의 발전, ③이체자의 진화 등이 있다. 가치로는 ‘이체자 생성의 새로운 루트의 존재’를 제공해주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현재 규장각에서 제공하는 고지도 『靑邱要覽』의 원문보기의 「지명검색」의 오류를 발견하였다. ‘魚物廣(廛)’을 ‘魚物廣’으로 오인하여 ‘어물광’으로 오기, ‘米廣(廛)’을 ‘미엄’으로 오기, ‘蠶(蠶)頭’를 ‘천두’로 오기, 관공서 ‘∼寺’를 ‘∼사’로 오기, ‘廣智門’을 ‘문지경’으로 오기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특기할 사항은 『靑邱要覽』에서 ‘廛’의 이체자로 ‘廣’을 사용하였는데, 중국 역대의 이체자형에 발견되지 않은 매우 독특한 활용 방안이다. 이는 우리나라 이체자의 혁신적인 활용방안이 적용된 진화된 이체자형으로 간주된다. This paper focuses on collecting and examining (types of) variant forms of Chinese characters written in nine old Korean maps, and correcting problems in using the “searching for original material” service at the website of Kyujanggak. Types of variant forms in the maps are classified as follow: i) Adding or subtracting a few strokes, ii) Simplifying the part of the characters, iii) Coding the parts of the characters, iv) Coding the half of the characters, v) Replacing the original character with another character with the same sound, vi) Adopting only the outlines of the characters, and vii) Replacing phonetic-semantic compounds (形聲) with the late combined ideograms (會意). Features of various types of variant forms are summarized as below: i) Succession of the existing variant forms, ii) Development of the variant forms, and iii) Evolution of the variant forms. In addition, I also find out the existence of new routes of the genesis of new variant forms. I also discovered errors in “searching place names” for the Map Book of Korea (靑邱要覽) provided by the website of the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For example, the searching service renders “魚物廣” and “米廣” of the original map as “魚物廣”, “米廣”, respectively, where 廣 in the Map Book of Korea is, in fact, the variant form of 廛. Furthermore, “蠶 (蠶)頭” is rendered as “천두”, “관공서(寺)” as “~사”, “廣智門” as ‘문지경’ and so on. Last but not least, this variant form (廣) is assumed to be the highly rare variant form that is not found in variant forms used in Chinese literature. It can be considered as an evolutional variant form that the innovational way to render the variant forms of Korea is applied.

      • 國際 標準 漢字의 異體字 硏究

        朴鍾寓(Park Jong-woo)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 2005 동아한학연구 Vol.- No.1

        유니코드가 국제 표준코드로 제정된 이래 각종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응용 소프트웨어 개발 등 폭넓은 분야에서 채택ㆍ사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고전 전산화 사업에서도 예외는 아니어서 유니코드에 수록된 2만 여자에 달하는 한자는 한적 자료의 전산화에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그런데 유니코드는 그 자체에 다양한 異體字를 수용하고 있다. 이는 유니코드 제정 당시 韓ㆍ中ㆍ日 각국에서 사용되던 한자를 통합하는 과정에서 초래된 것으로 각국의 한자 사용 습관과 한자의 音이나 義와는 무관하게 지나치게 形을 중심으로 통합ㆍ분리ㆍ재배열 하도록 한 데에서 기인한다. 하나의 코드체계 내에 다양한 자형을 수용할 경우, 인쇄ㆍ출판 등에 도움을 줄 수 있지만, 대단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경우에는 입력과 검색에 심각한 문제점을 초래할 수 있다. 특히 국가 차원의 고전 전산화 사업이 연차적으로 확대 수행되는 현 시점에서, 異體字 인코딩 및 異體字 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은 시급한 과제라 하겠다. 이 논문은 이와 같은 기존의 성과를 바탕으로 유니코드 Ext.B 한자의 異體字에 대한 효율적인 정보 처리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먼저 문자코드연구센터에서 기존에 구축한 유니코드 BMP 영역 한자의 異體字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소개하였다. 다음으로 유니코드 Ext.B 한자의 異體字에 대하여 그 유형을 분석하고, 아울러 異體字 데이터베이스를 구축 방안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우선, 유니코드 BMP 영역 한자의 異體字 정보 DB 구축에 있어서 작업 경위, 異體字ㆍ通用字의 구분과 적용 원칙, 데이터베이스 구축의 예를 정리하였고, 유니코드 Ext.B 한자의 異體字 유형 분석 및 DB 구축 방안에 있어서 Super CJK와 유니코드 Ext.B 한자, 유니코드 Ext.B 한자의 이체자 유형, 유니코드 한자의 이체자 정보 DB 구축 방안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러한 유니코드 한자의 이체자 정보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면, 첫째로 고전 전산화 사업에서 입출력은 물론 이미 구축된 고전 자료 데이터베이스를 효율적으로 검색할 수 있는 정보 환경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Unicode is a standard for developing all kinds of database and software nowadays. So we apply Unicode to digitalizing Korean classical texts. But Unicode has many variations〔異體字〕 on some of Chinese characters. This could make serious problems of developing database so that we will provide for the future work. This is a study for make a efficient data processing about Unicode variations. First we presented some informations of 'Unicode BMP characters and Ext.B characters database' developed by Character Code Research Center〔문자코드연구센터〕. Second we analyzed a pattern of Unicode BMP characters and Ext. B characters. Lastly we discussed the developing methods of Unicode variations and Unicode variation code ta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