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이질적 지하철승객 기반의 동적 출발시간선택모형 개발 (도심을 목적지로 하는 단일 지하철노선을 중심으로)

        김현명,임용택,신동호,백승걸 대한교통학회 2001 大韓交通學會誌 Vol.19 No.5

        본 연구에서는 지하철망에서 각 노선을 운행하는 차량과 승객을 동적으로 시뮬레이션 할 수 있는 동적 지하철차량 시뮬레이션 모형과 동적 지하철승객 시뮬레이션 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이용해 통행자 기반의 동적 지하철 출발시간 선택 알고리듬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모형은 개별적인 통행자들의 행태를 이질적(Heterogeneous)으로 설정해 기존에 이용되던 통행자간의 동질성 가정을 완화하였다. 또한, 통행자들은 불완전한 정보와 제한적인 합리성을 가진다고 가정하여 보다 현실적인 시뮬레이션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간단한 예제 가로망에 대해 모형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통행자들을 이질적으로 가정한 경우와 동질적으로 가정한 경우간에 출발시간선택에 명확한 차이를 보였다. 통행자들을 동질적으로 가정한 경우 출발시간선택과정에서 기종점에 관련된 특성들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반면 이질적으로 가정한 경우 개별 통행자의 선호특성이 출발시간 선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통행자들을 동질적으로 가정할 경우 출발시간 선택결과가 비현실적으로 나타날 수 있음도 보였다. 또, 기존의 확률과정과 달리 선택 차원이나 선택 대안의 수가 많아질 경우 추가적인 고려가 있어야 학습과정을 보다 현실적으로 모형화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모형에서는 지하철 통행자의 동적 출발시간 선택과정을 묘사하기 위해 인지 및 의사결정과정으로서 추론과정과 귀납적인 선호형성과정을 학습모형에 포함시킴으로써 보다 현실적인 분석결과가 도출되도록 하였다. 각 승객들은 충분한 학습을 거친 뒤에도 합리적인 선택을 하기보다는 자신의 경험에 따라 형성되는 선호의 영향을 받아 임의적으로 출발시간을 선택하는 문제도 나타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런 분석결과는 기존의 전통적인 교통수요모형(이용자균형 통행배정모형 등)들에서 주로 이용되는 통행자의 완전한 정보, 합리성 및 동질성 가정 등에 따른 집계적인 수요추정결과가 실제로 나타나는 개별적인 통행행태와 다를 수도 있음을 보여 주는 것이다. This paper proposed a dynamic transit vehicle simulation model and a dynamic transit passengers simulation model, which can simultaneously simulate the transit vehicles and passengers traveling on a transit network, and also developed an algorithm of dynamic departure time choice model based on individual passenger. The proposed model assumes that each passenger's behavior is heterogeneous based on stochastic process by relaxing the assumption of homogeneity among passengers and travelers have imperfect information and bounded rationality to more actually represent and to simulate each passenger's behavior. The proposed model integrated a inference and preference reforming procedure into the learning and decision making process in order to describe and to analyze the departure time choices of transit passengers. To analyze and evaluate the model an example transit line heading for work place was used. Numerical results indicated that in the model based on heterogeneous passengers the travelers' preference influenced more seriously on the departure time choice behavior, while in the model based on homogeneous passengers it does not. The results based on homogeneous passengers seemed to be unrealistic in the view of rational behavior.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aggregated travel demand models such as the traditional network assignment models based on user equilibrium, assuming perfect information on the network, homogeneity and rationality, might be different from the real dynamic travel demand patterns occurred on actual network.

      • KCI등재

        시간 변동 위험회피성향과 적응적 신념시스템에 기초한 자산 가격 동역학

        박범조 한국은행 2012 經濟分析 Vol.18 No.3

        본 논문은 자산 가격의 행태를 연구하기 위하여 기존 연구들과는 다르게 시간 변동위험회피성향을 갖는 이질적 에이전트 모형인 적응적 신념시스템을 고려한다. 즉, 차티스트(혹은 잡음거래자)의 쏠림현상의 변화로 인해 에이전트 그룹 간의 위험회피성향의 차이가 단기적으로 변화함으로써 최근 자산시장에서 빈번히 관찰되는 수익률의 급격한 변화뿐만 아니라 변동성의 지속성을 유발하게 됨을 제안한다. 그리고 이를 입증하기 위해 차티스트의 시간 변동 위험회피성향을 반영하여 제한적 합리성을 갖는 이질적 에이전트를 가정한 적응적 신념시스템을 확장하고, 이모형의 정상 상태(steady state)의 존재와 안정성(stability)을 이론적으로 증명한다. 그리고 수치분석을 통해 차티스트의 시간변동 위험회피성향이 자산 가격의 급격한 변동을 초래할 수 있음을 밝히고, 시뮬레이션된 시계열 자료와 실제 일별 KOSPI 시계열 자료를 이용한 실증분석을 수행하여 시간변동 위험회피성향이 자산 가격의 행태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입증한다. This paper, unlike previous studies on price behavior in asset markets, suggests an adaptive beliefs system which is a heterogeneous agent model with time-varying risk aversion tendency. The dynamic herding of chartists and the time-varying risk aversion in the short term cause sharp changes in returns and persistence of volatility. This paper also extends adaptive beliefs system with the assumptions of bounded rationality and heterogeneous agents, and theoretically prove the existence of steady state of in the deterministic model and their stability. The empirical analysis using daily data of KOSPI and simulated time series data also provides a valuable evidence that the time-varying difference between levels of risk aversion for agent groups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dynamics of asset prices.

      • KCI등재

        1950년대 김수영과 김춘수 시의 헤테로토피아

        김지율 한국문학회 2022 韓國文學論叢 Vol.91 No.-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nd poetic sensitivity of the space revealed in poems by Kim Soo-Young and Kim Chun-Soo in the 1950s through heterotopia. Critical reflections on the history and reality of the two poets who not only started their literary career but also went through both prison and prison life at the same time are evident in heterotopia. Heterotopia revealed in poems by Kim Soo-Young as the prison camp, the library, and the city streets under modern planning carries out the meaning of denial to the social life of fatigue or despair of urban life. On the other hand, Kim Chun-soo's absence consciousness by prison life in Sedagayashi, Japan, and the absence consciousness due to the loss of hometown after the war show the appearance of a original form of heterotopia, such as a childhood hometown or a mythical space as a return to nature. The two different heterotopias that are revealed in poems by the two poets were a space of resistance and opposition to overcome the history of threatening the true ethical existence of individuals and the fear or anxiety of the empirical self in the reality of postwar ruins. Furthermore, they are critical reflections on the absurdity of modern times that threat human values and life by juxtaposing the experiential reality that people have experienced in the same period. Heterotopia as a heterogeneous place will be a new research method to approach the incomprehensibility revealed in the poems by the two poets. 이 연구에서는 1950년대 김수영과 김춘수 시에 드러나는 공간과 현실에 대한 인식을 헤테로토피아를 통해 고찰하고자 한다. 등단 시기뿐 아니라 감옥이나 수용소 생활을 동시에 겪은 두 시인의 역사와 현실에 대한 비판적 성찰들이 이질적이고 반(反)배치의 장소인 헤테로토피아에서 잘 드러나고 있다. 김수영 시의 포로수용소와 도서관 그리고 거리와 같은 규율화된 공간이나 현실의 다성적 표상의 헤테로토피아는 비판과 대안의 여지를 함축하고 있다. 이에 반해 김춘수는 일본 세다가야서(署)에서의 감옥 생활과 전후 고향과 같은 근원 상실의 장소들은 자연 회귀로서의 신화와 원형적 상상을 통해 잃어버린 세계에 대한 실존적 성찰들을 보여주고 있다. 두 시인의 시에 드러나는 헤테로토피아는 각각 현재와 과거의 시간과 관계되는 부정과 원형의 장소이다. 그것은 개인들의 윤리적 실존을 위협했던 역사와 전후 폐허의 현실에서 시적 자아의 불안이나 공포를 극복하기 위함이었다. 나아가 이것은 동시대에 겪었던 경험적 현실을 병치시킴으로써 인간의 가치와 생명을 위협하는 근대의 부조리함에 대한 비판적 성찰인 것이다. 따라서 이질적인 탈장소로서의 헤테로토피아는 두 시인의 시에 드러나는 불가해성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법이 될 것이다.

      • KCI등재

        『대설, 남』에 나타난 크로노토프의 특성과 ‘만국활계남조선(萬國活計南朝鮮)’의 의미화

        김난희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서강인문논총 Vol.0 No.50

        『Big Story, South』, by Kim, Jiha, can be a work that newly pushed the boundaries of the people literature in 1980’s by securing the key words of ‘life’ and ‘people’ together through originative Chronotope and a type of character. Even though 『Big Story, South』showed Chronotope and a type of character unusual in the poetic history since the modern age, it is still thought as an experimental work in times past without any spotlight in the science of literature, which will narrow a range of the people literature for itself. This study takes ‘Chronotope’ as a literarily analyzing frame for 『Big Story, South』 trying to implement the ideology of ‘The ideology to save all the people in the world will come from the south’ literarily which demands a new revolution (the Great opening) using ‘life’ and ‘people’ as keywords. Using the frame, this study will look at signifying aspect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ideology to save all the people in the world will come from the south’. By regarding the vastness of space and time, complexity, crossing, chance, simultaneousness and images of popular characters shown in 『Big Story, South』 as the characteristics of Chronotope internally correlating with ‘The ideology to save all the people in the world will come from the south’ which is the theme of『Big Story, South』, this study will examine how the structure and the organization of each Chronotope are linked in the signifying process of ‘The ideology to save all the people in the world will come from the south’, and then investigate how aesthetic characteristics are realized in the linking process. This study will try to access literarily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Big Story, South』, which was published in a new literary form of the 1980’s and almost could have been a great key factor, but rarely did it receive appropriate literary spotlight. 본고에서는 민중을 중심으로 새로운 혁명(후천개벽)을 실천해야 한다는 ‘만국활계남조선(萬國活計南朝鮮)’사상을 문학적으로 구현하고자 시도한 『대설, 남』의 크로노토프Chronotope 특성을 통해 이것이 『대설, 남』의 주제라 할 수 있는 ‘만국활계남조선(萬國活計南朝鮮)’의 의미화 과정에 어떻게 간여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대설, 남』에서 볼 수 있는 시공간적 복잡성과 동시성 및 생명의 담지자로서의 민중적 인물 크로노토프 등은 김지하가 이 작품을 쓸 당시 주장했던 ‘생명으로서의 민중관’을 문학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선택된 것인 만큼, 그 구성적 특성이‘만국활계남조선(萬國活計南朝鮮)’의 의미화에 여하히 연동되는지, 그 문학적 효과는 여하히 발휘되는지 살펴보는 과정으로 진행될 것이다. 이를 통해 1980년대의 새로운 문학 양식으로 발표되어 민중문학의 지평을 넓힌 작품으로 자리매김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에 걸맞은 평가를 찾아보기 힘든『대설, 남』에 대한 문학 내적(內的)인 접근을 시도해보고자 한다. 이 시도는 단순히 ‘한 시대의 실험작’차원으로만 묻혀지기에는 『대설, 남』이 묘사와 재현이 주류를 이루었던 당대 민중문학의 스펙트럼을 넓힐 수 있는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그 특성은 1980년대 민중문학의 다양성 차원에서도 짚고 넘어가야 한다는 필요성에서 출발한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