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공렴의 日鮮雜歌 연구 -문화의 번역과 전이-

        노혜경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22 東洋學 Vol.- No.88

        This study is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Hyun Gongryeom’s writing Ilseon Japga(日鮮雜歌) . Various works such as poetry and prose tales, such as Japanese waka, are included in Ilseon Japga . The composition method of Ilseon Japga refers to the composition method of the japga collection published in Japan at that time. The biggest purpose of the composition method of Ilseon Japga is to increase its popularity. Except for the explanation of Waka in the beginning, most of the Ilseon Japga uses bilingual notation consisting of Japanese and Korean. Ilseon Japga presents two examples of Korean translation divided into ‘literal translation’ and ‘paraphrase’. It is the first attempt in this book to divide a single Japanese sentence into a ‘literal translation’ and a ‘paraphrase’. The bilingual notation of Ilseon Japga is different from the cases he tried in the past. This shows that the writing style is changing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times and the type and level of readers. The commonality of the contents of Waka published in Ilseon Japga is that it is based on seasons such as spring and summer. The contents of these works express the spirit of Japan or praise the reign of the Emperor. These contents can be found not only in Waka but also in other genres such as such as other miscellaneous songs. Ilseon Japga shows the translation and transition of colonial culture. And it shows the writer’s methodological anguish related to it. 본 논문은 현공렴의 이중언어 저술 일선잡가 부 재담(日鮮雜歌附才談) (이하 일선잡가 )의 특질을 연구하고 그 문화사적 의미를 논의한 것이다. 일선잡가 에는 일본의 와카 등 시가뿐만 아니라 산문 재담 역시 다양하게 수록되어 있다. 일선잡가 의 구성법은 당시 일본에서 간행된 잡가집의 구성법을 참고한 것이다. 이러한 일선잡가 의 구성 방식의 가장 큰 목적과 효용성은 대중성을 높이는 일에 있었다. 일선잡가 는 수록된글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표기 양상을 보여주는데, 본문 서두의 와카에 대한 설명을 제외하면 기본적으로는 일본어와 조선어를 병기한 이중언어 표기를 사용하고 있다. 일선잡가 는 조선어 번역문 표기에서 ‘직역’과 ‘의역’으로 나눈 두 가지 사례를 제시하고 있다. 하나의 일본어문을 이처럼 ‘직역’과 ‘의역’으로 구분하여 명시한것은 여기서 처음 시도된 것으로 다른 자료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최초의 사례이다. 일선잡가 의 이중언어표기 방식은 그가 과거에 시도하던 사례들과는 적지 않은 차이가 있다. 일선잡가 의 다양한 표기 형태는 이중언어 표기 방식이 시대적 흐름 및 독자의 유형과 수준에 따라 변화하고 있음을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일선잡가 에 실린 와카는 내용 면에서 보면 봄과 여름 등 계절을 소재로 삼고 있다는 공통점을 지닌다. 그러나, 이러한 외형적 소재의 공통성보다 더 주목해 보아야 할 것은 이들 작품의 내용이 이른바 일본의 정신을 표현하거나 천황의 치세를 칭송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내용들은 와카뿐만 아니라 기타 잡가 및 나니와부시등 여타 장르의 작품들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현공렴은 일본 정신을 표현하기 위해 이들 작품의 내용을 미묘하게 변화시키기도 했다. 일선잡가 는 식민지 시기 문화의 번역과 전이 현상 및 그에 따른 저술가의 방법론적 고뇌를 실증적으로 보여주는 의미 있는 자료이다

      • KCI등재

        이중언어 현상과 고전문학의 듣기·말하기·읽기·쓰기에 대한 연구

        이강옥(Lee Kang-ok) 한국어문학회 2009 語文學 Vol.0 No.106

        In this article I investigated the diglossia phenomena in Hyangga(향가), chinese poetry(한시), chinese classic novel(한문소설), korean classic novel(한글소설), Gasa(가사), Sijo(시조), Yadam(야담), anecdote(일화), and joke. Hyangga was created through recitation. To record the recited works of Hyangga, people of Silla dynasty devised Hyangchal. Hyangchal made it possible to record every syllables of the works of Hyangga. Hyangga written by Hyangchal and chinese poetry written by chinese characters proves that the diglossia existed in the Silla dynasty. I also argue that the diglossia existed in the writings of Sadaebu. Sadaebu were able to use chinese characters easily and comfortably. So they wrote chinese poetry to express their own emotion. But they also wrote Gasa and Sijo in korean. Jeongcheol and Lee Whang were representative writers. The reason why they wrote Gasa and Sijo was not simple. First of all, they wrote them for the purpose of better communication between the writers and their low class readers. Korean language was the only media which enabled that kind of communication. So sadaebu had to choose the korean language genre, Gasa and Sijo. Sadaebu also created the chinese classic novel. For the low class people and women who could not read it, the chinese classic novel had to be translated into korean. There were two ways of reading the korean classic novel. First, reading alone without making any sound. Second, a reciter reads loudly and interestingly, the audience listen to it and respond. In Chosun dynasty, the latter was dominant circumstance. In the case of Yadam, the integration between speaking, listening, hearing and writing occurred. To explain the diglossia in korean classic literature, we will have to focus on the case of Yadam and korean classic novel. In the cases of anecdote and joke, the diglossia was used to explore artistic possibilities of works.

      • KCI등재

        근대초기 일선어 신소설 연구 - 현공렴의 『동각한매』와 『죽서루』를 중심으로

        노혜경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20 東洋學 Vol.0 No.79

        This study i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and the literature history meaning of Ilseoneo novel, which is the work with bilingual notation used in the early modern age. Specifically, the process of the creation of Donggakhanmae and Jukseoru, Ilseoneo new style novels of Hyeon Gongr-yeom, is trac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contents and forms are researched. In this process, the study proves that Jukseoru is the creative work of Hyeon Gong-ryeum, and it was created in Japanese and then was translated into Korean. Donggakhanmae is a work based on Bunshichimotoi, Japanese classical Rakugo. However, Bunshichimotoi and Donggakhanmae have a lot of difference in organization, character formation, background and theme. The work was transformed in the process of being written in bilingual after translation. The remarkable features of 『Jukseoru』, the creative novel of Hyeon Gong-ryeom, are as follows. First, it has strong feature of travel essay. Second, it not only introduces the custom of enlightened world actively but also shows the author’s critical perspectives selectively. Third, it shows considerable interest in the situation of Joseon’s industry. These features come from the fact that the purpose of writing this novel is to enlighten readers instead of providing simple entertainment. If 1900s is considered as the era of serious new style novels in the history of modern literature in Korea, 1910s is the era of active translation relatively. The period when Hyeon Gong-ryeom’s Donggakhanmae and Jukseoru appeared is slightly earlier than the period when translated novels such as Jo Jung-hwan’s novels started. From the big picture, Donggakhanmae and Jukseoru lie between new style novels that appeared in 1900s and translated novels that appeared in early 1910s. These two novels can be considered as very original works that maintain the enlightening feature in the differentiated area from novels of the prior era while securing popular appeal. 본 논문의 목적은 근대 초기 이중언어 표기를 활용한 저작물인 일선어 소설을 연구함으로써 그 특질과 문학사 적 의미를 구명해 내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현공렴의 일선어 신소설 『동각한매』와 『죽서루』의 탄생 과정을 추적하고 그 내용과 형식상의 특질에 대해 탐구하였다. 이 과정에서 『죽서루』가 현공렴의 창작물이며, 일본어로 먼저 창작한 후 한글로 다시 번역한 작품이라는 점 또한 새롭게 논증했다. 『동각한매』는 일본의 고전 라쿠고 『분시치못토이』에 토대를 둔 작품이다. 그러나 『분시치못토이』와 『동각한매』는 구성, 인물조형, 배경, 주제 면에서적지 않은 차이를 보인다. 번역되어 이중언어로 표기되는 과정에서 작품이 변용된 것이다. 현공렴의 창작 소설 『죽서루』의 주목할 만한 특징은 첫째, 기행문적 성격이 강하다는 점, 둘째, 개화한 세상의 풍속을 적극적으로 소개할 뿐만 아니라 이에 대한 작가의 비판적 시각 역시 선별적으로 드러내 보여 준다는 점, 셋째, 조선의 실업 상황에 적지 않은 관심을 드러낸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죽서루』의 창작 목적이 독자에게 단순한 오락거리를 제공하려는 데 있지 않고, 그들을 계몽하려는 의도가 있었던 것에서 비롯된 것이다. 한국 근대문학사에서 1900년대를 본격적인 신소설의 시대라 한다면, 1910년대는 상대적으로 번역과 번안이 활성화되는 시대이다. 현공렴의 일선어 신소설 『동각한매』와 『죽서루』가 출현한 시기는 조중환 류의 번안소설의 출발기보다 다소 앞선다. 큰 틀에서 보면, 1900년대 출현한 신소설들과 1910년대 초반 출현한 번안소설의 사이에 현공렴의 일선어 신소설 『동각한매』와 『죽서루』가 자리를 잡고 있는 것이다. 『동각한매』와 『죽서류』는 대중성을 확보하면서도 앞 시기 소설들과는 차별화된 영역에서 계몽성을 유지해간 매우 독특한 저작물들이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