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중섭 신화에 대한 메타비평 -바르트의 신화론을 중심으로

        허나영 ( Na Young Hur ) 한국미학예술학회 2012 美學·藝術學硏究 Vol.36 No.-

        한국근현대미술사의 대표작가라 할 수 있는 이중섭에 관한 논의는 근 60년 동안 계속되어 왔다. 그 과정에서 이중섭은 대중에게 잘 알려져 있는 작가가 되었으며, 그의 작품에 대한 가치평가가 무의미하게 여겨질 정도로 이중섭의 신화는 공고해졌다. 이러한 점에서 많은 비평가들은 이중섭 신화가 그의 작품에 대한 평가를 가리고 있다는 점을 비판한다. 하지만 본고에서는 이러한 이중섭 신화가 부정적인 관점으로만 해석이 되어야 하는 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고자 하였다. 먼저 신화 개념을 고찰하였다. 신화는 여러 연구를 통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연구되어 왔다. 로고스(Logos)의 한계를 보완하는 뮈토스(Mythos)로서 새로운 사상적 시각을 제시하였고, 민족학 및 인류학적 시각에 따른 신화의 법칙이 연구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신화는 서사적인 이야기 구조를 가졌다는 점에서 기호학과 연계가 된다. 이러한 기호학과 신화의 연계는 바르트(R. Barthes)에 이르러, 더욱 그 대상이 확장된다. 바르트는 신화를 단지 신의 이야기나 민족적인 특성을 가진 특정한 이야기에 국한 하지 않고, 일반적인 문화현상으로 확대시킨다. 특히 다양한 질료를 가진 파롤(parole)을 문화 속에서 추출하고 그 속에서 이루어지는 신화를 분석한다. 바르트가 보는 신화는 기호학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간 이중체계를 가진 구조의 의미작용 구조를 통하여 밝혀진다. 이러한 바르트가 말한 신화의 의미작용 구조를 이중섭 신화에 적용해보고자 한다. 그리고 이를 위하여 이중섭 신화의 의미작용이 일어난 이중섭의 비평문을 분석대상으로 하고자 한다. 이는 메타비평적 태도로, 이중섭 작품에 대한 직접적인 분석이 아닌 이중섭 사후 60여 년 동안 이루어져온 비평문을 그 대상으로 한다. 메타비평적 시각에는 다양한 연구방법이 적용될 수 있으나 본고에서는 이중섭 신화의 의미작용 구조를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하기 때문에, 보다 객관적이고 형식적인 신비평의 시각을 따랐다. 이러한 점은 바르트가 보는 신화분석의 관점과도 맞물리기 때문이다. 바르트의 ``신화론(Mythologies)``과 메타비평적 시각을 바탕으로 하여 살펴본 결과, 이중섭 신화를 내포하고 있는 여러 파롤을 추출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세 가지 신화를 찾을 수 있었다. 첫 번째는 ``천재화가`` 신화이다. 일제강점기 시절, 조선인임에도 불구하고 현실적 한계를 극복할 만큼 뛰어난 화가로 인정을 받았다. 그리고 피난시절, 궁핍한 상황에서도 ``은지화``라는 독창적인 작품으로 인정을 받기도 했다는 점에서 시대를 대표할 천재화가의 신화가 된다. 두 번째는 삶을 희생할 수밖에 없었던 비극적인 인생에 대한 신화이다. 암울한 시대를 살면서, 가족과도 헤어지고 병을 얻을 만큼 빈곤한 상황을 맞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끊임없이 작품을 제작하였는데, 이러한 점에서 평자들은 이중섭의 비극적인 삶을 근거로 작품의 의미를 해석한다. 세 번째는 결국은 실현하지 못한 불가능한 꿈에 대한 신화이다. 이중섭의 작품은 현실적으로는 힘든 상황에서도 밝게 그려졌다. 작품 속에 등장하는 아이들의 행복한 웃음에 대하여 평자들은 이중섭이 그리워한 가족과의 이상향을 표현한 것이라 본다. 그렇지만 이러한 꿈이 결국은 이루어지지 못했다는 점에서 비극적인 신화가 형성된다. 이중섭의 생애에 관한 이러한 파롤들은 여러 비평문에서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었다. 그러한 만큼 우리가 여러 비평문을 통하여 이중섭 신화를 체득하게 된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라 볼 수 있다. 그리고 바르트가 말한 신화의 원리처럼, 이중섭 신화는 역사적 사실이 아닌 자연이 된 것이다. 또한 신화의 의미작용 구조를 한국미술에도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생각해볼 수 있었다. The debate on Lee Joong Seop who will be represent of Korean modern art history has been continuously over 60 years. In this way, he became well knew to the general public and was as stable as nobody should be How to evaluate his art works. In this regard, many people argue critically that the myth of Lee Joong Seop overshadows the fair criticism of his works. As such, this article tries to raise a question of whether the myth of Lee Joong Seop should only be interpreted negatively. First of all, the concept of myth is discussed. Myth has been studied in a variety of ways in many research works. In such research, while novel ideological views have been proposed as mythos that complements the limitation of logos, the rules of myth according to ethnological and anthropological views have also been studied. In these processes, myth is linked to semiology in that it has a narrative structure. Such link between semiology and myth is extended more in terms of subjects when it comes to Roland Barthes. Barthes extended the concept of myth to the general cultural phenomenon without limiting it within the context of stories of gods or specific narratives of ethnic characters. Especially, he extracted paroles that have various substances from cultures and analyzed myth that was formed within such. Myth, as Barthes sees it, is identified through the significant structure that has double systems, which are a step forward from semiology. We tried to apply the significant structure of myth, as Barthes discussed, to the myth of Lee Joong Seop. In addition, we took critical writings on Lee Joong Seop, in which the signification process of his myth occurred, as our text for such applications. This is a meta-critical attitude, which does not analyze works of Lee Joong Seop but the criticisms on him and his works that have been written for 60 years since his death. While there are many research methods on employing meta-critical views, this article adopts more objective and formal New-Critical views since it aims to analyze the significant structure of the myth of Lee Joong Seop and this view is in agreement with that of Barthes in the analysis of myth. As a result from examining on the basis of Barthes` Mythologies and meta-critical views, several paroles implying the myth of Lee Joong Seop could be extracted and three myths should be found through this. The first is the myth of a genius artis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despite a Korean, he got recognized to overcome the age limitation. And he painted creative works, like the paintings on silver papers for the period of refuge. The second is the myth of tragic life that cannot but sacrifice his living. Living in the Dark Age, parting a family, he lived poorly to get sick. However, he produced works continually. Critics have analyzed his works base on his tragic life. The third is the myth of impossible dream that was not realistic. His works are in a bright mood in spite of hard conditions. He expressed a utopia with missing family regarding happy kids on them ideally. Such paroles with respect to the life of Lee Joong Seop can be easily seen in many critical writings. Therefore, it has not been surprising that we have learned the myth of Lee Joong Seop through various writings about him. Just as in the principle of myths that Barthes suggested, the myth of Lee Joong Seop became the nature rather than historic facts. And It is possible for the significant structure that apply to the Korean art.

      • KCI등재후보

        이중섭의 서귀포 시대 연구

        전은자 ( Eun Ja Jeun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11 탐라문화 Vol.0 No.39

        이중섭은 한국의 국민화가라는 명성에 걸맞게 어느 예술가보다도 파란만장한 삶을 살았다. 평안남도에서 태어난 이중섭은 일제강점기에 일본 문화학원 재학시절부터 자유미술가협회에 작품을 출품하여 호평을 받았다. 귀국 후에 원산을 중심으로 활동하던 이중섭은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가족과 함께 원산에서 부산을 거쳐 서귀포로 피난을 와 어려운 현실에도 불구하고 창작을 멈추지 않았다. 이중섭의 서귀포 시대는 11개월 정도에 불과하지만 그 기간은 이중섭의 예술세계에서 결코 간과할 수 없는 중요한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이중섭의 서귀포 시대 소재로는 섬, 게, 물고기, 아이들, 가족, 귤, 소 등을 들 수 있다. 이 소재들은 서귀포 시대는 물론 그 이후에도 이중섭의 유화나 드로잉, 은지화에 자주 등장하면서 이중섭 그림의 중요한 모티브가 되었으며, 이중섭의 대표작을 탄생시키는 데에도 적잖은 영향을 끼쳤다. 그러나 이중섭의 서귀포 시대가 그의 예술세계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함에도 불구하고, 이중섭을 조명한 여러 권의 연구서에서는 이중섭의 서귀포 시대가 매우 미약하게 다뤄지고 있다. 이것은 다른 지역에 비해 체류기간이 상대적으로 짧았던 서귀포 시대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데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중섭의 서귀포 시대를 재조명하는 데에 의미를 두고 있다. 이중섭의 서귀포 시대 관련 그림들에서 발견할 수 있는 특징적인 요소로는 따뜻하고, 해학적이고, 즐겁고, 포근한 사랑, 그리고 유토피아적인 환상 등을 들 수 있다. 결국 이중섭이 가족의 사랑을 더욱 심도 있게 표현할 수 있었던 것도 바로 서귀포 시대가 있었기 때문이다. 이번 연구에서 또 한 가지 중요한 것은 이중섭의 학창시절에 관한 문화학원 동창생들의 증언이다. 이것은 이중섭 연구에 미진한 부분을 보강한다는 점에서 서귀포 시대와 더불어 큰 의의를 갖는다. Lee Joong-Seop is adored as a people`s artist of Korea. But his life was checkered despite his posthumous fame unparalleled by many other artists. He was born in Southern Pyeongan province in northwest Korea and studied in the Japanese School of Culture during the forced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While at the school, he was favorably noticed following his first submission of paintings to the Free Artists Association while at school. After returning to Korea, his artwork was mainly based around the area of Wonsan in northeast Korea. Upon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he fled from Wonsan with his family through Busan to Seogwipo on Jeju Island. The life in refuge was not easy but he persistently continued to paint. The Seogwipo period of Lee Joong-Seop lasted only about eleven months. But it was the finest time of his artwork. He painted a variety of objects that he saw living on the island, such as, an island, a crab, children, family, tangerines, and cows. These objects remain as important motives for his paintings even after his Seogwipo period. They frequently appear in his oil paintings and drawings, as well as, drawings on silver foil paper. It is very clear that the Seogwipo period definitely influenced the birth of the major pieces of Lee Joong-Seop`s artwork. Despite the significance of the Seogwipo period in his art world, research papers on Lee Joong-Seop give only a meager touch of the period. The influence of the Seogwipo period is perceived as insignificant because his time in Seogwipo was relatively short, compared to the time he lived in other regions. Accordingly, the study sheds a new light on the Seogwipo period of Lee Joong-Seop. The notable characteristics of the paintings from his Seogwipo period arebe described as warm, witty, merry, loving, and a fantasy like Utopia. The in-depth depiction of family love in his paintings was possible because of his time in Seogwipo. Another important point of this study is given to the testimonies of his school mates from the Japanese School of Culture. Since the testimonies will corroborate the missing parts in research on Lee Joong-Seop, the significance should be equally important to his Seogwipo period.

      • 李仲燮의 群童畵를 中心으로한 兒童化 要素 硏究

        이혜정 한국아동미술학회 2016 아동미술교육 Vol.15 No.-

        우리에게 이중섭은 소를 그렸던 위대한 화가로 알려져 있지만, 그가 소보다 더 많은 아이들 그림을 그렸다는 사 실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 2016년 이중섭 사후 60년을 맞이하여 ‘100년의 신화전’의 개최되었는데 이 전시회 에서 그전에 볼 수 없었던 많은 개인 소장품들이 전시되었고 특히 많은 군동화들이 눈길을 끌었다. 그의 군동화 는 첫 아들의 죽음으로부터 시작된다. 그는 아들이 하늘에서 행복한 삶을 살라는 기원으로 아들의 관에 아이들 과 도교에서의 영원한 삶의 상징인 복숭아 그림을 그려서 넣어 주었다. 이후부터 그의 작품 속에는 많은 어린이 들이 등장하기 시작한다. 그의 군동화들에는 특이한 특징이 있는데 10살 정도로 추정되는 아이들의 모습은 모두 아기의 얼굴로 표현되며 이 아이들과 그림 속 개체들(어린이, 물고기, 동물, 새, 게, 나무, 꽃)은 모두 서로 연결되 어 있다. 이러한 원형 구도는 평화롭고 편안한 분위를 주고 있으며, 아이들의 모습은 전통적인 상감 청자속에 있 는 동자상과 유사한 모습이다. 그는 군동화 작품 속에 우리 민족 고유의 전통 정서를 반영하고 전통 기법을 사 용하며 고구려의 벽화의 역동적인 선들을 본따서 그만의 아름다움을 창조하였다. 또한 이중섭의 군동화는 어린 이의 상상력과 환상을 표현하며 아이들처럼 특별한 내면의 세계를 표현하고 있다. 아동화는 아이들의 발달과정 을 반영하는 무의식적인 산물이지만, 중섭의 작품은 의식의 논리적 과정을 통해 만들어졌다. 이중섭의 작품들은 일본에서 주류를 이루던 서양 미술 사조속에서 현대적인 모더니즘과 민족성이 공존하는 미술을 추구하고 있다. 그는 일제 식민 치하, 한국전쟁 등 힘든 시기를 살았지만 그는 작품속에서 민족적 자긍심을 잃지 않았다. 이중섭 이 일제 강점기와 한국 전쟁기가 아닌 다른 시대에 살면서 활동했다면 아트 딜러나 미술 수집가의 후원을 받았 을 것이고 어쩌면 피카소처럼 국제적으로 유명해졌을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는 불행하게도 어려운 시대의 가난한 나라에서 태어나서 고생하다 외롭게 죽었다. 이중섭은 비록 살아있는 동안 그의 진정한 작품의 가치를 인정받지 못했지만 군동화속에서 보여주는 그의 순수함과 상상력의 위대함은 그가 한국을 대표하는 예술가임을 증명해 보이고 있다. Lee Jung Seop is known to most as the great national artist who painted the cattle, but most are unaware that he painted more children than cattle. A special exhibition of Lee Jung Seop’s works entitled, ‘The Myth of the Century Year’ held to commemorate the 60th anniversary of his death in 2016. This exhibition displayed many private collection paintings that have not been seen until now; the paintings of children were especially eye-catching. His paintings of children started with the death of his first son. He painted children with a heavenly peach, the symbolic food of eternal life in Taoism, and put this representation in his son’s coffin with the hope that his son would live a happy life in heaven. It was after this tragic loss that many children started to appear in Lee Jung Seop’s works. His paintings have something more unusual in common, however: objects (like children, fish, animals, birds, crabs, trees and flowers) are all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circle and the children are given baby faces even though they are about 10 years old. The circle composition creates a peaceful and comfortable atmosphere in the paintings and the baby faces, similar to those in traditional inlaid celadon, allude to childish innocence. The content of his painting reflects the influence of Korean folk materials and the common sentiment of the Korean people, while Lee’s intense brush lines, typical of murals in the Goguryeo Age, create a dynamic and rhythmic beauty. Lee Jung Seop expressed imagination and illusion through his children and built a distinctive inner world without restrictions, much like that of a child. While the art of children is an unconscious product of their development process, however, Lee Jung Seop’s works were created through a logical process of consciousness. Lee Jung Seop’s paintings are the works of a trailblazer in modern painting who separated himself from the popular Western art, so popular in Japan, in which modernity intersected with ethnicity. He went through the very hard times that many Koreans endured under Japanese colonialism and during the Korea War but never lost his national identity, as is evident in his paintings. While Lee could have been internationally famous like Picasso and painted much more had he been discovered by an art collector or dealer in a different period, he was unfortunately born in the wrong century, in a poor nation. He thus lived a poor life and died lonely.

      • KCI등재

        김춘수 시의 ‘순수성’의 발현 양상과 시작 기법 : ‘이중섭 연작시’의 객관적 진술 태도에 선재(先在)된 주관적 시각을 중심으로

        김명철(Kim, Myung-Cheol) 한국시학회 2014 한국시학연구 Vol.- No.39

        이 글은 김춘수의 시작 기법에 대한 이해가 현대시를 창작하거나 감상하는 데 있어서 하나의 단서가 될 수 있음에 주목한다. 김춘수가 말하는 ‘시의 순수성’은 객관적 진술 태도와 깊은 연관이 있다. 그런데 이 ‘순수성’은 오히려 시적 주체의 주관적 시각이 전제되어야 가능할 것이다. 김춘수의 ‘이중섭 연작시’ 9편은 시인이 이중섭의 삶과 그림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바탕으로 작성한 것이다. 따라서 이 시들의 시적 주체와 시적 대상에 대한 충실한 이해는 시적 언어가 표출되는 방식과 그 의의를 포착하게 해줄 것이다. 「이중섭 2」는 김춘수의 시에서 서사성이 은폐되는 방식을 보여준다. 이는 시인이 시적 주체의 순수성을 확보하여 객관적 진술 태도를 견지하려는 시도이다. 이 시에서 시적 주체는 대상의 ‘서사’와 주체의 ‘정서’의 파괴와 변형을 통해 주관적 진술에서 벗어나려고 한다. 「이중섭 4」와 「이중섭 6」 및 「이중섭 7」에서는 동심(童心)과 그들의 무심한 행위가 천진난만하게 표출된다. 이는 아이들의 순진성을 표출하여 대상의 순수성을 드러내기 위한 방식이 된다. 「이중섭 6」에서는 주체와 대상은 물론 대상과 대상 간 연계성의 단절이 나타난다. 이를 통해 언어의 순수성이 시적 개연성의 파괴로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시의 전개가 이미지의 긴밀한 연계로 나타나면 사실성이 노출되며 이는 사회성과 역사성의 범주에서 탈피할 수 없음을 드러내는 셈이다. 「이중섭 8」을 보면 ‘시의 순수성’이 객관적 진술 태도로 나타나지만 이 순수성들은 시인의 주관적 판단을 토대로 하지 않을 수 없다. 객관성 확보를 위해 주관적 판단의 ‘의도’가 내재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중섭 3」에 출현하는 새로운 대상의 돌발적인 등장은 시의 주제의식을 약화시키면서 시의 의미를 흐트러뜨리는 효과를 낸다. 시에서 의미가 제거된다면 시인의 주관성이 제거되는 셈이며 결과적으로 시는 객관적 묘사의 형태를 띠게 된다. 그러나 대상의 돌발적인 첨가는 시적 주체의 면밀한 주관성이 내재될 수밖에 없다. 「이중섭 1」, 「이중섭 2」, 「이중섭 4」는 시적 언어 또한 시인의 주관적 선택과 판단에서 자유로울 수 없음을 보여준다. 특히 이 시들에서는 청유형 표현이 부각되고 있는데 이는 시적 주체의 대상에 대한 심정적 단정과 대상을 향한 주관적 의지의 노출인 셈이다. 결국 김춘수의 시에서 시나 언어의 순수성은 사회성이나 역사성 혹은 이데올로기 등 주관성의 배제를 전제로 하고 있으나 이는 표면적일 뿐 그 이면에는 오히려 시적 주체의 주관적 판단과 선택이 선재(先在)된 것이다. 그러나 김춘수의 이러한 시작 기법들은 현대시의 확장적 해석과 언어의 폐쇄성이 극복된 시적 의미의 확산 및 현실적 속박을 탈피한 개방성의 획득이라는 우리 현대시의 주요 특질들을 보여준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view that what understand Kim Chun-su’s poetical techniques can give a clue for writing and appreciating modern poetry. One of Kim Chun-su distinct features, ‘the poetic purity’, is deeply related to the objective statement attitude. But this ‘purity’ would be possible only if the subjective viewpoint of a poetic subject were premised. The interpretation of 「Lee Jung-seop 2」 shows the method how the contents of the poetic narration were concealed. This indicates that the poet tried to keep the objective statement attitude by securing the purity of the poetic subject. In this poem, the poetic subject tries to escape from the subjective statement by destroying and transforming the poetic object ‘narration’ and the poetic subject ‘emotion’. 「Lee Jung-seop 4, 6, and 7」 show the childlike innocent actions. This is a method for expressing the poetic subject purity. 「Lee Jung-seop 6」 shows that the dictional purity is revealed by destroying the poetic probability. The reality results from the close link of poetic images, which make the poems stay within the category of history and sociality. 「Lee Jung-seop 8」 shows that the poetic ‘purity’ reveals the objective statement attitude, but this purity is based on the poet’s ‘intentional’ and subjective judgement. 「Lee Jung-seop 3」 shows that the sudden appearance of the poetic subject brings the effect weakening the meaning and theme for the poems. However, this method is bound to have the inherent subjectivity of the poetic subject. 「Lee Jung-seop 1, 2, and 4」 shows that the poetic diction can not be free from the poet’s subjective choice and judgment. Particularly, in these poems, the requesting forms are emphasized, which means that the poetic subject exposes his will to lead his objects active. After all, Kim Chun-su’s ‘poetic purity’ is the pre-existing subjectivity of the poetic subject.

      • 흰 새에 담은 이중섭의 희망

        허나영(Hur, Na-Young) 인물미술사학회 2017 인물미술사학 Vol.- No.13

        특정한 소재를 반복적으로 그렸다는 점에서 소재별로 이중섭의 작품을 구분해 볼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이중섭의 작품에서 비교적 자주 등장하지만 그간 단독으로 다루어지지 않았던 흰 새의 이미지에 주목하였다. 흰 새는 이중섭의 작품 중 채색화나 편지화에서 찾아볼 수 있다. 비둘기와 같은 형상을 띄기도 하고 특정한 종을 지칭하지 않는 새의 형상을 갖기도 하지만, 이중섭 특유의 단순화한 형태로 이루어져있다. 이러한 흰 새가 적지 않은 작품에서 드러나는 만큼 그 의미를 조금 더 면밀히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이중섭의 그림 속에서 새는 일본 유학시절의 작품에서부터 드러난다. 그 만큼 오랫동안 다루어진 소재이다. 하지만 흰 새는 다른 새의 표현들과 다르게, 대부분 주인공인 아닌 부수적인 역할을 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흰 새의 이미지를 찾아보고, 이에 대한 의미를 분석해보았다. 이를 위해 먼저 이중섭의 작품 속에서 자주 등장하는 닭과 까마귀와 같은 새의 이미지를 먼저 살펴보고, 이어 흰 새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흰 새 이미지 중 여러 점은 오광수의 평가처럼 비둘기로 해석해 볼 수 있다. 이중섭의 비둘기 스케치를 참고해보았을 때 그 형태에 있어서 이중섭이 생각한 비둘기의 양식화한 형태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비둘기의 의미는 일반적인 관점으로 보았을 때의 ‘평화’라는 것을 유추해볼 수 있었다. 비둘기는 일제강점기 때 이미 일본과 한반도에서 전서구로 활용되었다. 더욱이 이중섭이 깊은 관심을 두었던 피카소는 평화의 상징으로 1949년부터 비둘기를 평화 혹은 반전의 메시지를 위한 소재로 사용하였다. 종합해보면 이중섭에게도 비둘기는 평화의 의미였을 것이다. 또한 비둘기 외에, 이외 유사하거나 다른 형태를 가진 흰 새도 표현된다. 이 역시 가족과 함께 즐겁게 노는 모습으로 그려져 있기 때문에, 이중섭이 표현한 흰 새는 평화와 희망, 그리고 이상향의 즐거움을 드러내 주는 긍정적인 의미이다. 여기서 흰 새는 아이들과 함께 노는 물고기나 게와 같이 친근성을 가진 소재로 이중섭이 만든 상상의 세계에서 존재하는 이상향 속 동물이다. 마지막으로 일부 외로움의 감정을 느낄만한 풍경 속의 흰 새를 통하여 자신의 감정을 드러내거나 민화적 요소로 표현하는 예외적인 경우도 있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하여 이중섭의 작품 속에서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소재인 흰 새에 대해 분석하였다. 하나로 그 의미를 단정 짓거나 묶기는 힘들지만, 현실을 벗어난 이상향을 표현하고자 한 이중섭의 예술세계를 다시 한번 생각해볼 기회가 되었다. 또한 이번 기회를 바탕으로 이중섭의 또 다른 소재들에 대한 관심과 분석이 계속 되기를 기대해본다. The art works of Lee, Joong-Seop can be characterized by the repetition of specific motives. Therefore, I focused on the images of white birds that appeared in Lee, Joong-Seop’s. Though these images have not been discussed in previous research and articles, these images of white birds appear relatively often in his paintings. These images of white birds can be found in the paintings and illustrations of letter to send for his family. Some images look like doves, while the other images have a bird-like shape that does not refer to a specific species. In addition, these images are made up of a simplified form unique to Lee, Joong-Seop. As these white birds are revealed in few works, it is necessary to think about their meaning a bit more closely. In the paintings of Lee, Joong-Seop, the birds came from the works he created while studying in Japan. They art images that he worked on for so long. However, unlike other birds" expressions, white birds usually play ancillary roles in his painting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images of these white birds were examined and their meanings were analyzed. For this purpose, I first looked at the image of birds such as chickens and crows that frequently appear in the work of Lee, Joong-Seop. Many of the images of white birds can be interpreted as doves. When you look at the sketch of the dove, you can see it as a stylized form of the dove that Lee, Joong-Seop imagined. Also, the meaning of the dove is analogous to “peace” when viewed from a general point of view. The dove was already used as carrier pigeons in Japan and Kore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owever, Picasso, an artist Lee, Joong-sup was very interested in, used the dove as a motif for the message of peace or antiwar in 1949. In conclusion, the dove became a symbol of peace. In addition to doves, white birds with similar or different forms are also represented in his work. They are depicted as delightfully playing with the family, so the white bird expressed by Lee, Joong-sup is a positive meaning that reveals the pleasure of peace, hope, and utopia. Here, white birds are animals with an intrinsic character that exist in the imaginary world created by Lee, Joong-sup, who was familiar with children playing with fish and crabs. Finally, there are exceptional cases in which some feelings of loneliness are exposed through the white bird in the landscape, which are also expressed in Korean folk paintings. Through this research, I analyzed the white birds produced by Lee, Joongsup. Although it is hard to conclude the meaning of the birds, I was able to feel a sense of peace that was expressed throughout the works of Lee, Joong-sup. I look forward to continuing the interest and analysis of Lee, Sang-sup’s other motives based on this opportunity.

      • 이중섭 심리부검

        손성은(Sohn, Sung-en) 인물미술사학회 2016 인물미술사학 Vol.- No.12

        이중섭의 죽음에 대한 심리 부검차원에서 사망과 관련된 상황을 살펴보기 위해, 입원시 보였던 정신증상을 분석하였다. 발병 전 삶에서의 편지와 그림, 그리고 주변 사람들의 증언을 통해 감정변화를 추적해 우울증과 조증 상태의의 감정기복을 발견하고, 진단명을 재고찰하여 조현병(정신분열병)보다, 양극성 정동장애(조울병) 진단의 가능성이 있음을 밝혔다. 정신분석적 관점에서 이중섭의 삶을 분석해, 어린 시절 아버지의 부재가 가져온 외디푸스 콤플렉스적 갈등이 이중섭 작품 전반에 걸쳐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처벌자로서의 게, 이중섭의 또 다른 자아인 소, 새가 갖는 상징성을 살펴보았고, 아버지와 아들 사이의 갈등을 그림 속에서의 통합과 해학으로 해소해 나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병동에서의 그림 분석을 통해서는 주치의와의 관계의 변화, 마음 속에서 불안감이 감소되고 치유되는 경과를 살펴보았다. 퇴원 이후부터 사망 전까지의 심리 또한 작품을 통해 분석해 보면서 정신증이 그에게 거세적인 의미로 작용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고단한 삶에서 아이로 퇴행하고 싶은 마음과 모성회귀의 심리를 읽을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중섭이 당시 받았던 치료를 고찰해보면서 1956년 당시 우리나라의 정신치료의 현장을 살펴보았고, 현재 가능한 치료적 접근 방법 또한 몸, 마음, 사회적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렇게 그의 삶과 심리를 분석해서 그의 작품을 살펴보는 것은, 그의 죽음 뿐 아니라 이중섭의 작품을 더 잘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며, 이 시대의 예술가들의 정선건강을 지키는데도 도움이 될 것이다. For the purpose of a psychological autopsy of Lee Jung Sup"s death, I analyzed his psychological symptoms on his admission to the psychiatric ward and discovered his mood swings (the depressive and manic phases) by chasing emotional changes in his premorbid letters, paintings and the testimony of his acquaintances. This led me to re-diagnose Lee"s illness as a Bipolar disorder, not as schizophrenia. Also I analyzed his life and paintings in the psychoanalytic view, and found oedipal conflicts, caused by an absent father in his early days, repeatedly expressed throughout his paintings. Specifically, I identified some significant symbolic meanings : Crab symbolizing a castrator; Cow, his male alter-ego; and Bird, his young identity or his son. I could see that he resolved the oedipal conflicts and tension using a humoristic and unified manners in his work. Furthermore, by closely examining Lee"s scribbles and drawings during hospitalization, I observed the relational changes with his psychiatrist and the progress of anxiety reduction and recovery. Through an analysis of his mentality and paintings in the period after discharge from hospital until death, I could see that the psychotic episode affected Lee to be psychologically castrated and I also captured his psychological regression and the desire to go back to the mother figure. Finally I examined the condition of psychotherapy in Korea at the time by studying Lee"s treatment process in 1956 and suggested the possible therapeutic modalities at present in terms of the mind, body, and social relationships. I hope this work can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Lee"s paintings and also promote the psychological health of contemporary artists.

      • KCI등재후보

        이중섭 문화거리에 대한 방문객의 이미지유형에 관한 연구

        이진희 ( Jin Hee Lee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11 탐라문화 Vol.0 No.39

        문화관광거리는 역사적인 사건이나 역사적인물의 생가가 있던 곳이나 작가·음악가·화가·과학자·정치가 중에 저명인의 생가나 집필지 등으로 어느 정도 관광 명소화되어 있거나 사회적인 지명도가 높은 지역, 연극이나 공연이 일어나든지, 아니면 특정계통의 활동이 집중되는 지역 등지에 선정된다. 화가 이중섭은 한국전쟁이 한창이던 1951년 봄, 원산에서 부산을 거쳐 제주로 피난 와서 서귀포에 1년 가까이 머물면서 그림을 그렸다. 이곳에서 ``서귀포의 환상``을 비롯해 ``섶섬이 보이는 풍경``, ``바닷가와 아이들`` 등을 그렸다. 이중섭과 서귀포의 인연은 서귀포시 서귀동에 이중섭 미술관과 이중섭 문화거리를 형성 되게 하였다. 지난 2002년에 문을 연 서귀포시 이중섭 미술관은 2004년 1종 미술관으로 승격되었다. 국내에서 단 한 곳뿐인 이중섭 미술관은 개관 이후 2010년 말 현재 관광객 수가 112,678명을 기록하고 있다. 침체되어가고 있는 서귀포시 구도심권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이중섭 문화 거리가 갖고 있는 문화자원을 활용하는 것이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구도심권의 활성화에 필요한 기초자료로서 이중섭 문화거리에 대한 방문객의 이미지유형에 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Artist Lee Jung-seop passionately immersed himself in painting and took refuge Jeju island during the Korean War. Seogwipo City has designated his residence with a monument as "Lee Jung-seop Street" to mark the genius of this artist. Because the image of tourist in place is prior to their visit, it is a crucial elements in their decision-making process when they are trying to determine tourism destination. Therefore this can be used as an effective marketing tool. This study deals with image types of tourist`s in Lee Jung-Seop cultural street for data provision to marketing strategies establishment. With 348 effective responses gathered from an on-site survey.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data was conducted using techniques of correlation analysis,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and discriminant analysis. The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tourism behaviors and tourism motives were identified with image types by Chi-Square Analysis and anova analysis.

      • KCI등재

        시적 화자의 위치에 대한 연구 - 이중섭과 그의 그림을 소재로 한 시를 중심으로

        조수윤(Cho Suyun),이승하(Lee Seung-ha) 한국비평문학회 2020 批評文學 Vol.- No.77

        이중섭과 그의 그림을 소재로 한 시에서 화자는 시인이 이중섭과 그의 그림에서 얻은 영감을 재연하는 효과적인 도구가 된다. 시에 드러난 각각의 화자들은 이중섭 일생의 단면을 보여줌으로써 이중섭의 인간상, 그림의 특징을 집약적으로 보여주고, 회화를 문자화해서 보여주고, 그림을 통해서는 쉽게 느낄 수 없는 메시지를 전달했다. 본고는 화자의 유형을 화자가 시인일 경우, 이중섭일 경우, 드러나지 않는 경우, 회화작품 속 등장인물인 경우의 네 가지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시인 자신이 화자가 될 경우, 시인의 그림 감상이나 이중섭의 생애를 이해한 것이 화자에게 투영되었고, 시인이 겪은 감정은 화자를 통해 대상을 대하는 태도가 됨으로써 대상에 대한 시인의 주관을 집약적으로 보여준다. 화자가 이중섭인 경우, 화자는 시인과 동일인물인 ‘나’라는 화자가 가질 수 없는 어조로 발화하며, 사전정보로 화자가 처한 상황 속에서 시인이 말하려는 주제를 전달한다. 따라서 이중섭처럼 극적인 인물을 화자로 삼을 경우 시인이 표현하려는 메시지에 어울리는 색다른 어조를 갖고 있으므로 보다 효과적인 전달이 이루어졌다. 화자가 시 속에 드러나지 않는 경우, 회화에 근거한 객관적 사실만을 썼기 때문에 시행이 간략한데 감상보다 그림의 형태 요소가 중요한 것으로 간주되었기 때문이다. 이는 그림 자체에 대한 감상자의 해석을 입증하는 것이며, 언어로 그림을 형상화하는 효과를 준다고 볼 수 있다. 그림 속 화자가 진술하는 경우, 시는 화자의 독백에 의해서 전개되는데 화가의 의도, 특정한 형태로 명시할 수 없는 관념적인 메시지, 관념적인 주제를 진술함으로써 독자를 깨우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독백은 독자로 하여금 화자의 목소리에 집중할 수 있게 하는데 가시적인 것을 전달하기보다 가청적인 것을 전달할 때 효과적이었다. 시적 화자는 대상과의 거리를 통해서 시에 그림의 의미를 드러낸다. 시인은 그림과 감상자 사이에서 화자를 통해 1차 비평을 제시하고, 정제된 메시지로 감상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시인은 언어로 미술과 대중의 연결고리가 되어줌과 동시에 시가 비평적 역할을 수행하게 하고, 문학 영역의 확대를 꾀하고 있다. In a poem about Lee Jung-seob and his paintings, the speaker becomes an effective tool for the poet to reenact the inspiration from Lee Jung-seob and his paintings. Each narrator in the poem represented Lee Jung-seob’s image of the ideal human being by showing one aspect of his life, expressed paintings through literation, and conveyed messages that were not easily felt through the paintings. This paper analyzed the types of narrators in four categories: i) when the narrator is a poet, ii) when the narrator is Lee Jung-seob, iii) not revealed, and iv) when the narrator is a character in the painting. When the narrator is the poet himself/herself, opinions of the paintings or understandings of Lee Jung-seob"s life are projected to the narrator, and the feelings poet experienced shows the poet"s interpretation of the subject intensively through the narrator’s attitude. When the narrator is Lee Jung-seob, the narrator speaks in a tone that “I”, meaning the poet, cannot have and delivers the topic that the poet is trying to say through prior information. Thus, when a dramatic person like Lee Jung-seob was used as a , the message is delivered more effectively because it has a different tone to match the message the poet was trying to express. When the narrator is not revealed in the poem, the implementation is brief since he can only write objective facts based on the painting. This is because the elements of the painting"s shape were considered more important than appreciating it. This proves the viewer"s interpretation of the painting itself and can be seen as having the effect of shaping the picture through language. When the narrator is a character in the painting, the poem is developed by the narrator’s monologue, which serves to enlighten the reader by stating the artist"s intention, ideological messages that cannot be specified in a particular form, and ideological topics. The monologue is also effective when delivering what is audible rather than tangible, allowing the reader to focus on the narrator"s voice. The poetic narrator reveals the meaning of the painting in the poem through distance from the subject. The poet presented the first criticism between the painting and the viewer through the narrator, allowing them to appreciate it with a refined message. By using language, the poet becomes a link between art and the public while allowing poetry to play a critical role, and seeks to expand the literary realm.

      • KCI등재후보

        통영지역에서의 이중섭 문화콘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

        박동호 한국예술경영학회 2014 예술경영연구 Vol.0 No.31

        The Painter Lee Jung-Seop reigns supreme in the history of Korean modernart and the match of his life and his arts along with a tragic history has beenreevaluated with diversified. Recently various cultural contents which make useof Lee’s cultural resources have been developed in Seogwipo and in Busan. Butthere’s no place which impact highly on Lee’s art works than Tongyeong. It iswithin bounds to say that most of his paintings which are left with us weredrawn in Tongyeong period. Indeed many places and buildings where Lee livedor worked have still remained in Tongyeong city, which means that variouscultural contents based on Lee’s life & works can be developed in Tongyeong. But these historical contents have not evaluated properly because people havenot been aware of the importance of Lee’s Tongyeong period. In this study, I reviewed the life of Lee Jung-Seop in Tongyeong andconsidered activation plans of using his cultural contents. Firstly, I studied hislife and art works during Tongyeong period to provide possibility and validityof developing cultural contents regarding him in Tongyeong. I reviewed therelevant example ‘Hokusai Street-town developing Association’, which usedresources of Katsusika Hokusai who was one of the famous Japanese paintersand suggested activation plans to develop Tongyeong city as Lee, Jung-Seop’sfocal place by developing diverse cultural contents using his historical resources. 화가 이중섭의 예술세계와 비루했던 삶의 일치는 오늘날까지 많은 이에게 주목받고있다. 특히 최근에는 서귀포와 부산에서 그가 남긴 문화자원을 활용한 다양한 문화콘텐츠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그의 작품세계에 있어 통영시절만큼 지대한 영향을미친 시기는 없을 것이다. 실제로 그가 남긴 작품 대부분이 통영시절 그려진 것이라해도 과언이 아니다. 게다가 통영에는 당시 이중섭이 활동하였던 장소와 건축물들이고스란히 남아있다. 그러나 이러한 역사문화자원이 그 가치를 제대로 평가받지 못하고 있으며, 이중섭을 조명한 여러 연구서에서도 통영시절은 매우 미약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이것은 통영시절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부족에서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중섭의 통영시절을 재조명하여 향후 통영에서 그를 활용한 다양한 문화콘텐츠 개발 방안을 고찰하였다. 먼저, 통영시절 이중섭의 행적과 작품을살펴봄으로써 통영에서의 이중섭 관련 문화콘텐츠 개발 가능성과 타당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보다 효과적인 문화콘텐츠 개발을 위해 일본의 화가 가츠시카 호쿠사이(葛飾北齋)를 활용한 ‘호쿠사이 거리 마을 만들기회(北齋通りまちづくり会)’의 사례를 고찰하여, 통영이 이중섭을 대표하는 지역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이중섭 <소> 그림 속 표현의 의미

        허나영 미술사학연구회 2016 美術史學報 Vol.- No.47

        For 60 years, since Lee Joong-Seop died, his life stories and works have been the primary subject matter in a variety of studies, critics, exhibitions, books, concerts and etc. In the meanwhile, they have a limit which is a certain myth coming from Lee Joong-Seop’s personal life. In this study I focused on the significant analysis of Lee Joong-Seop’s <Bull> paintings themselves. The property of <Bull> paintings is even more expressive than symbolic comparing with the others. While on analyzing these paintings, Fontanilles’s Sémiotique du visible which is the methodology to figure out meanings of visible things is a main tool to understand his works. With this I have studied Lee Joong-Seop’s <Bull> paintings which are the outstanding property and meaning in his works. 이중섭 사후 60년이 지나는 동안, 수많은 연구와 비평, 전시, 책, 연극, 공연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중섭은 주요한 소재가 되어왔다. 하지만 대부분 개인사에 기초한 신화라는 점에서 한계 역시 지적되어 왔다. 그러한 점에서 본고에서 이중섭의 작품 자체의 의미분석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중섭의 <소> 그림은 다른 작품들에 비해 상징적 의미보다는 표현적 특성이 강하다. 이러한 <소> 그림의 표현에 대해 퐁타니유의 ‘가시적인 것의 기호학’을 중심으로 기호학적 의미 분석을 해보았다. 빛에 의한 가시성에 주목한 퐁타니유의 연구는 <소> 그림에 드러나는 표현적 특질에서 유의미한 의미를 읽어내기 위한 중요한 방법론이다. 이를 통해 <소> 그림이 이중섭의 작품 세계에서 가지는 차별적 특성과 의미를 해석해보았다. <소> 그림이 서로 유사한 듯하지만, 분석결과 작품 간 차이점을 가지고 있었고 그리움이나 충만함, 덧없음과 같은 감정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확장적인 해석 역시 가능했다. 또한 이를 통해 이중섭이 다른 작품에서 이상적인 모습을 표현했던 것과 다르게 <소> 그림에서는 보다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