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1955~1967년 이범석의 정치 활동

        이재석(Lee, Jae-Seok)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20 충청학과 충청문화 Vol.29 No.1

        본고는 1955년부터 1967년까지 이범석의 정치 활동을 고찰한 글이다. 1950년대 중반 남한 정치사에서 여당과 야당 구도는 정착하고 있었다. 이범석은 기존 정치 구조에서 ‘준여당적 정당’을 모색했으나 실패했다. 이승만과의 관계는 이범석에게 계속해서 문제가 되었다. 1960년 4월 혁명으로 이범석은 기회를 얻었다. 이범석은 충청남도 참의원 선거에서 당선되었다. 그러나 5.16 쿠데타의 발발로, 이범석의 정치 활동은 중단되었다. 1963년 정치 활동이 재개되자 이범석은 정당을 조직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정당이 난립했고, 이범석은 박정희에 대항하여 단일 야당을 추진하였다. 국민의당이 창당되었고, 1963년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사실상의 야권 후보 단일화가 성사되었다. 그러나 대통령 선거 결과 박정희가 당선되었다. 1963년 이후 이범석은 재야 원로로서 다시 한 번 단일 야당을 추진하였다. 이범석은 신민당의 출범을 이끌었다. 이 과정에서 일부 재야인사들은 정당 정치에 발을 들여 놓였다. 반면 이범석은 자신의 역할을 다했다고 생각하고 재야로 갔다.

      • KCI등재

        해방 직후 이범석의 민족지상・국가지상론

        임종명 호남사학회 2012 역사학연구 Vol.45 No.-

        Basically, the space time of Korea right after its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ism was a kind of amorphous one where the seemingly hegemonic ideology of nationalism and its aspirations were cast doubts on,and criticized and disputed by other contemporarily scaturient desires and projects of all kinds. Facing the post-liberation situation, Yi Pŏm-sŏk,based upon his own perspective of society and history, theoretically argued for national and state supremacy in his The Nation and the Youth. And yet, his argument was a nationalist one in that it suggested the state as an apparatus which should serve the development of national welfare. Following his nationalism, The Nation and the Youth eulogized the Korean nation as the most ideal of all the nations on the ground that the Korean nation was a single-race nation. The Korean people, he asked, should sacrifice everything that belonged to them for the nation and the state. This shows that his theory of national and state supremacy was a structured argument for the self-sacrificing devotion of the Korean people to the nation and the state. In terms of what has been introduced thus far, we can say that his theory of national and state supremacy meant to absolutize the primary nationalist agenda of the nation and the state, and establish the discourse of sacrifice in the space time of amorphism. This constituted the meaning of his theory and its nationalist implication in the post-liberation Korean history. Within his theory, there existed not a few of tensions and contradictions, and fissures and implosions. His blood nationalism was contradicted by his following argument that ‘common territory, culture, and fate’ played a more decisive role than ‘blood’ in the construction of the nation. Also, there emerged two contradictory images of the Korean nation. One was the ideational image of the nation constructed as ‘the loftiest of all’ and the other was the experiential representation of the nation who suffered from self-destructive inveterate and chronic diseases. This contradiction determined the authentic characteristic of his nationalism. In front of the contradiction, Yi’s nationalism meant to realize the ideational nation in the actual world by asking the Korean people in the actual world to sacrifice all they had for the ideational nation. Moreover, his theory of national and state supremacy carried within itself the logical contradiction between national supremacy and the supremacy of the state. In front of two contradictory supremacies, his theory was not able to specify which was supreme. This reflected the post-War space time that nationalism and the idea of democracy reigned over the post-liberation Korea like a kind of Zeitgeist. In other words, the historical situations after the World War Ⅱ and Korean liberation brought forth the obscurantism inherent in his theory. This obscurantism determined another characteristic of his theory, expressing contemporary Korean and global history. 해방 공간은 기본적으로 민족주의적 열망과 민족·민족국가의 가치가 당시분출하고 있던 여타의 다양한 욕망과 기획에 의해 의심되고 비판・반박되고 있던 ‘무정형’(無定型)의 시・공간이었다. 이와 같은 해방 공간에서 조선민족청년단 단장이었던 이범석은 자신의 역사・사회관에 입각하여, 民族과 靑年에서민족과 국가를 지상화하였다. 그의 민족・국가지상론은 국가를 ‘민족의 복리 발전에 복무하는 기구’로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기본적으로 민족주의적 입론이었다. 이러한 위에서, 民族과 靑年은 단일 민족이라는 것을 이유로 한민족을가장 이상적인 민족으로 상찬한다. 이와 같은 민족과 국가를 위해 그의 동료한국인들이 자신들의 모든 것을 희생할 것을 그의 책은 요구하였다. 이러한 것들은 이범석의 민족・국가지상론과, 이범석의 대중 헌신 요구가 논리적으로 구조화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내용의 민족・국가지상론은 무정형의 해방 공간에서 민족・국가라는 민족주의의 핵심적 의제(議題, agenda)를 절대화하면서 대중에게 그에 대한 헌신을 요구할 수 있는 담론을 확립한다는 의미를지닌다. 바로 이것이 해방 공간에서 이범석의 민족・국가지상론이 가지고 있는역사적 의미였고, 또한 민족주의적 함의였다. 이와 같은 의미의 이범석의 민족・국가지상론 내부에는 적지 않은 긴장과충돌, 균열과 내파가 존재하였다. 먼저, 그의 혈연 중심 민족론은 논의의 진행과정에서 혈연이 ‘영역’이나 ‘문화’, ‘운명’에 비해 부차화되면서, 그 결과 민족형성에 있어 혈연의 중심성이 부인된다. 또한, 이범석의 민족주의에서는 이념형으로 제시된, “가장 完全”한 민족과 경험태로서 재현된, ‘자기 파괴적 숙질(宿疾)’에 신음하는 민족이 동시에 나타나고 있었다. 이와 같은 민족상의 충돌이 이범석의 민족주의의 실제 내용이자, 특성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충돌 앞에서, 이범석의 민족주의는 이념상의 한민족을 현실에서 실현하고자지상의 것으로 관념화 민족을 위해 잠재적 민족 구성원인 현실의 한국인들에게 그들의 모든 것을 바칠 것을 요구하고 있었다. 또한 그의 민족지상・국가지5집상론은 민족지상과 국가지상의 주장이 논리적으로 배리(背理)의 것이자, 지상화된 민족과 지상화된 국가가 상호 배척적(排斥的) 관계라는 점에서 내부 충돌이 발생하고 있었다. 두 개의 상충하는 지상의 것들 앞에서 그의 이론은 민족과 국가 양자 중에서 ‘어느 것이 지상의 것인지’를 명시하지 못하였다. 이것은 민족주의와 함께 민주주의가 일종의 시대정신(Zeitgeist)처럼 해방 직후의한국을 지배했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역사의 표현이었다. 다시 말해서 전후・탈식민지의 역사적 상황이 그의 이론의 애매함을 낳았다. 바로 이러한 애매함이 이범석의 민족지상・국가지상론이 가진 또 하나의 특성이었고, 그 특성은 당대 역사적 상황의 표현이었다.

      • KCI등재

        연구논문 : 해방 직후 이범석의 민족지상,국가지상론

        임종명 ( Chong Myong Im ) 호남사학회(구-전남사학회) 2012 역사학연구 Vol.45 No.-

        해방 공간은 기본적으로 민족주의적 열망과 민족·민족국가의 가치가 당시 분출하고 있던 여타의 다양한 욕망과 기획에 의해 의심되고 비판·반박되고 있던 ``무정형``(無定型)의 시·공간이었다. 이와 같은 해방 공간에서 조선민족청년단 단장이었던 이범석은 자신의 역사·사회관에 입각하여, 『民族과 靑年』에서 민족과 국가를 지상화하였다. 그의 민족·국가지상론은 국가를 ``민족의 복리 발전에 복무하는 기구``로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기본적으로 민족주의적 입론이었다. 이러한 위에서, 『民族과 靑年』은 단일 민족이라는 것을 이유로 한민족을 가장 이상적인 민족으로 상찬한다, 이와 같은 민족과 국가를 위해 그의 동료 한국인들이 자신들의 모든 것을 희생할 것을 그의 책은 요구하였다. 이러한 것들은 이범석의 민족·국가지상론과, 이범석의 대중 헌신 요구가 논리적으로 구조화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내용의 민족·국가지상론은 무정형의 해방 공간에서 민족·국가라는 민족주의의 핵심적 의제(議題, agenda)를 절대화하면서 대중에게 그에 대한 헌신을 요구할 수 있는 담론을 확립한다는 의미를 지닌다. 바로 이것이 해방 공간에서 이범석의 민족·국가지상론이 가지고 있는 역사적 의미였고, 또한 민족주의적 함의였다. 이와 같은 의미의 이범석의 민족·국가지상론 내부에는 적지 않은 긴장과 충돌, 균열과 내파가 존재하였다. 먼저, 그의 혈연 중심 민족론은 논의의 진행과정에서 혈연이 ``영역``이나 ``문화``, ``운명``에 비해 부차화되면서, 그 결과 민족 형성에 있어 혈연의 중심성이 부인된다. 또한, 이범석의 민족주의에서는 이념형으로 제시된, "가장 完全"한 민족과 경험태로서 재현된, ``자기 파괴적 숙질(宿疾)``에 신음하는 민족이 동시에 나타나고 있었다. 이와 같은 민족상의 충돌이 이범석의 민족주의의 실제 내용이자, 특성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충돌 앞에서, 이범석의 민족주의는 이념상의 한민족을 현실에서 실현하고자 지상의 것으로 관념화 민족을 위해 잠재적 민족 구성원인 현실의 한국인들에게 그들의 모든 것을 바칠 것을 요구하고 있었다. 또한 그의 민족지상·국가지상론은 민족지상과 국가지상의 주장이 논리적으로 배리(背理)의 것이자, 지상화된 민족과 지상화된 국가가 상호 배척적(排斥的) 관계라는 점에서 내부 충돌이 발생하고 있었다. 두 개의 상층하는 지상의 것들 앞에서 그의 이론은 민족과 국가 양자 중에서 ``어느 것이 지상의 것인지``를 명시하지 못하였다. 이것은 민족주의와 함께 민주주의가 일종의 시대정신(Zeitgeist)처럼 해방 직후의 한국을 지배했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역사의 표현이었다. 다시 말해서 전후·탈식민지의 역사적 상황이 그의 이론의 애매함을 낳았다. 바로 이러한 애매함이 이범석의 민족지상·국가지상론이 가진 또 하나의 특성이었고, 그 특성은 당대 역사적 상황의 표현이었다. Basically, the space time of Korea right after its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ism was a kind of amorphous one where the seemingly hegemonic ideology of nationalism and its aspirations were cast doubts on, and criticized and disputed by other contemporarily scaturient desires and projects of all kinds. Facing the post-liberation situation, Yi Pom-sok, based upon his own perspective of society and history, theoretically argued for national and state supremacy in his The Nation and the Youth. And yet, his argument was a nationalist one in that it suggested the state as an apparatus which should serve the development of national welfare. Following his nationalism, The Nation and the Youth eulogized the Korean nation as the most ideal of all the nations on the ground that the Korean nation was a single-race nation. The Korean people, he asked, should sacrifice everything that belonged to them for the nation and the state. This shows that his theory of national and state supremacy was a structured argument for the self-sacrificing devotion of the Korean people to the nation and the state. In terms of what has been introduced thus far, we can say that his theory of national and state supremacy meant to absolutize the primary nationalist agenda of the nation and the state, and establish the discourse of sacrifice in the space time of amorphism. This constituted the meaning of his theory and its nationalist implication in the post-liberation Korean history. Within his theory, there existed not a few of tensions and contradictions, and fissures and implosions. His blood nationalism was contradicted by his following argument that ``common territory, culture, and fate`` played a more decisive role than ``blood`` in the construction of the nation. Also, there emerged two contradictory images of the Korean nation. One was the ideational image of the nation constructed as ``the loftiest of all`` and the other was the experiential representation of the nation who suffered from self-destructive inveterate and chronic diseases. This contradiction determined the authentic characteristic of his nationalism. In front of the contradiction, Yi`s nationalism meant to realize the ideational nation in the actual world by asking the Korean people in the actual world to sacrifice all they had for the ideational nation. Moreover, his theory of national and state supremacy carried within itself the logical contradiction between national supremacy and the supremacy of the state. In front of two contradictory supremacies, his theory was not able to specify which was supreme. This reflected the post-War space time that nationalism and the idea of democracy reigned over the post-liberation Korea like a kind of Zeitgeist. In other words, the historical situations after the World War II and Korean liberation brought forth the obscurantism inherent in his theory. This obscurantism determined another characteristic of his theory, expressing contemporary Korean and global history.

      • KCI등재

        李範奭의 생애와 독립운동

        김민호(Kim, Min-Ho)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13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0 No.44

        이범석은 만주와 중국대륙에서 독립군·중국군·광복군으로 활동한 독립운동가이다. 그는 항일무장투쟁의 최선봉에서 활약하였고, 그 활동은 역동적이었다. 이 논문은 일제강점기 만주와 중국대륙에서 독립운동을 전개했던 이범석의 활동상과 역할을 살펴본 것이다. 1900년 10월 20일 서울에서 출생한 이범석은 중국망명을 통해 운남강무학교 제12기 기병과에 입학하여 우수한 기병장교로 성장하였다. 그는 1919년 10월 신흥무관학교 교관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항일무장투쟁에 뛰어들었다. 1920년 3월부터는 북로군정서의 교관으로 활동하며 독립군 양성에 전력을 기울였다. 그리고 솔밭관 한족공산당 군대와 고려혁명군 기병대장으로 활동하였다. 한편 1931년 만주사변 이후 이범석은 소병문 부대에서의 활동을 시작으로 마점산·양호성·한복거·조복림 등의 휘하에서 중국군으로 복무하며 대일항전을 전개하였다. 뿐만 아니라 1934년 낙양군관학교 한인특별반의 교관으로 부임하여 독립군을 양성하였으며, 1939년 6월에는 중국국민당 중앙훈련단의 중대장과 교관으로 복무하였다. 1940년 임시정부에서 한국광복군 창설을 준비하자, 이범석은 한국광복군에 참여하였다. 그는 여러 임시정부 요인들과 함께 총사령부를 구성하고, 참모장에 임명되었다. 한편 1942년 10월에는 참모장을 사임하고 제2지대장에 부임하여 제2지대를 광복군의 주력부대로 증강시켰다. 뿐만 아니라 OSS와의 공동작전을 통해 국내진입작전을 추진하였다. 그러나 일제의 패망으로 국내진입작전이 실현되지 못하게 되자, 이범석은 정진대 파견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마침내 1945년 8월 18일 정진대의 일원으로 국내로 들어올 수 있게 되었다. 이후 이범석은 중국에서 광복군의 확군활동과 교포들의 귀국을 도왔다. 그리고 1946년 6월 3일 광복군 대원들을 이끌고 인천항을 통해 환국했다. 이처럼 이범석은 30여년 가까운 세월을 항일무장투쟁의 길을 걸으며 조국독립을 위해 투신하였다. 그는 독립군·중국군·광복군으로 활동하며 무장투쟁이라는 일관된 노선을 견지하였다. 한국독립운동사에서 항일무장투쟁을 대표하는 인물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철기 이범석 장군의 군인정신에 관한 고찰 (청산리 전투에서 보여준 군인정신을 중심으로)

        이정구 국방정신전력원 2024 정신전력연구 Vol.- No.76

        본 연구는 ‘청산리전투의 영웅’이자 ‘국군건설의 아버지’, ‘애국애족 무인 정신의 상징’ 철기 이범석(1900∼1972) 장군의 군인정신에 관한 글이다. 연구 중점은 그의 생애 중 중국으로 망명(16세)하기 전 민족의식과 항일무장투쟁의식이 어떻게 형성되었으며, 이후 청산리전투에서 직접 지휘관으로 참가하여 보여준 군인정신(개인적 차원의 가치관)이 어떻게 발현되었는지를 조망해 보고, 그것이 한국군에게 주는 함의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암담하고 암울한 시기에 중국으로 망명한 이범석 장군이 청산리 전투(백운평·천수평·어랑촌 전투)에서 보여준 군인정신은 오늘을 살아가는 국군장병들에게 많은 교훈을 준다. 첫째, 이범석은 항일무장투쟁 준비와 청산리전투에서 백병전을 치르면서 구차하게 안일을 추구하지 않았다(명예). 둘째, 이범석은 조국 독립을 위해 진실된 마음과 신념으로 상관(김좌진 장군)에 대한 충성과 조국에 대한 충성, 나아가 자신의 행동과 선택을 통해 헌신하는 자신에 대한 충성을 보여주었다(투철한 충성심). 셋째, 이범석은 전투현장에서 지휘관으로서 비록 열세한 전력에도 불구하고 한발 물러섬이 없이 두려움을 극복하고 백병전까지 펼치면서 진두지휘함으로서 전투에서 대승할 수 있었다(진정한 용기, 필승의 신념, 임전무퇴의 정신, 책임완수). 넷째, 이범석은 전투 현장에서 지휘관으로서 자기의 희생과 헌신을 전제로 한 애국애민의 정신이 가슴속 깊이 내재해 있었기에 청산리 전투에서 승리할 수 있었다(애국애민). 이범석 장군이 2일간 약 36시간 동안 청산리 전투에서 보여준 진정한 군인정신은 오늘을 살아가는 국군장병들의 표상이자 본보기로서 부족함이 없을 것이다. 그리고 그의 군인정신에 대한 장병 정신교육을 통해 정신전력을 한층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This study is about the military spirit of General Lee Beom-seok (1900-1972), the ‘hero of the Battle of Cheongsan-ri’, the ‘father of the construction of the national army’ and the ‘symbol of the patriotic military spirit’. The focus of the study is how his national consciousness and sense of anti-Japanese armed struggle were formed before he defected to China (at the age of 16), and how the military spirit (personal values) that he showed by directly participating as a commander in the Battle of Cheongsanri was expressed. I would like to take a look at it and present its implications for the Korean military. The military spirit that General Lee Beom-seok, who defected to China during a dark and gloomy time, showed in the Battle of Cheongsanri (Battles of Baekwoon-pyeong, Cheonsu-pyeong, and Eorangchon) offers many lessons to South Korean soldiers living today. First, Beom-seok Lee did not pursue complacency (honor) while preparing for the anti-Japanese armed struggle and fighting in close combat at the Battle of Cheongsanri. Second, Lee Beom-seok showed loyalty to his superior (General Kim Jwa-jin) and his country with a sincere heart and belief for the independence of his country, and further, loyalty to himself through his actions and choices (utter loyalty). Third, as a commander at the battlefield, Lee Beom-seok was able to win the battle by overcoming fear and leading the way in close combat without taking a step back, despite his inferior strength (true courage, belief in sure victory, spirit of never giving up, responsibility). completed). Fourth, Lee Beom-seok was able to win the Battle of Cheongsanri because the spirit of patriotism and love for the people, which presupposed self-sacrifice and dedication as a commander at the battlefield, was deeply embedded in his heart. The true military spirit that General Lee Beom-seok showed during the Battle of Cheongsanri for about 36 hours over two days is not lacking as a symbol and example for the soldiers of the ROK Armed Forces living today. And I hope that his military spirit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to further strengthen his mental strength through mental education for soldiers.

      • KCI등재

        해방 후 이범석 정치노선의 성격 - 파시즘 논의와 국제정치적 배경을 중심으로 -

        이택선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8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94

        This dissertation raises the necessity of review on existing studies of Yi Pom-sok, which focused on fascism discussions. First, the majority of existing studies have accepted Richard Robinson and Gregory Henderson’s work, which pointed to the correlation between Korean Youth Corps and Nazism. However, the recent study of Bruce Cummings and Fujii Takeshi emphasizes the influence of the Chinese Kuomintang who accepted fascism instead. Then, they emphasizes the nature of indigenous nationalism located between fascism and Third Worldism. Second, fascist discussions overseas also classify non-Western regions as authoritarian conservatism or military dictatorship, which imitate only the appearance of Western fascism. First of all, since fascism appears after the failure of democracy, it shows that it is impossible to apply it to Asian countries where democracy has not yet been firmly established. Furthermore, this study increases the objectivity of considering the Yi Pom-sok’s Political line after liberalization by using international sources. The four stages developed as the following. ①Participation in independence movement and eagle project: Cooperation with China and the United States, as well as insistence on the expansion against with the Soviet Union → ②Return to Korea and Activities of Korean Youth Corps: Focusing on Ethnic Nationalism→③Participation in government establishment and Inauguration as the first Prime Minister→ ④Focus on military imbalance between two Koreas and national security response At the Conclusion, it summarize the Yi Pom-sok’s political orientation around Pusan Political Upheaval on 1952 as the authoritarian conservatism which close to Korean expression of the third Worldism. Of course, Pusan Political Upheaval took place because of Yi Pom-sok’s desire for power. Meanwhile, this is because he recognized democracy as similar to the traditional minyubangbon. Accordingly, he assumed the Korean people, South Korea and Rhee Syngman as main elements. Lastly, it was the Pusan Political Upheaval that he tried to save all the third party. 본 연구는 이범석에 관한 기존의 연구동향과 해외 파시즘 논의들에 대한 검토를 통해 기존의 파시즘 중심 논의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함을 지적하였다. 먼저, 대다수의 기존 연구들은 족청과 나치즘 간의 상관관계를 지적한 로빈슨과 핸더슨의 연구를 그대로 수용하였었다. 하지만 최근의 커밍스와 후지이 다케시의 연구는 이를 대신하여 파시즘을 수용 한 중국 국민당이 미친 영향을 강조하는 한편 파시즘과 제3세계주의 사이에 위치한 자생적 민족주의의 성격을 강조하고 있다. 다음으로 해외의 파시즘 논의들 역시 서구 파시즘만의 외양만을 모방한 비 서구지역의 경우를 권위주의적 보수주의나 군사 독재로 분류하고 있으며 파시즘은 민주주의의 실패 이후에 나타나기 때문에 민주주의가 아직 제대로 정착되지도 못했던 아시아 국가들에게 적용하는 것은 무리임을 보여주고 있음을 기술한 것이다. 이와 함께 기존 연구들에서 잘 사용되지 못 했었던 소련문서를 포함한 외국문서들을 중심으로 해방 후 이범석의 정치노선을 재구성함으로써 연구의 객관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이범석의 정치노선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독립운동과 독수리작전 참여: 중국, 미국과의 협력과 소련의 팽창저지 주장을 중심으로 → 국내 입국과 조선민족청년단 활동: 종족적 민족주의의 관점을 중심으로 → 정부수립 참여와 초대 국무총리 취임→ 남북한 군사적 불균형과 국가안보 대응집중이 바로 그것이다. 결론에서는 1952년 부산정치 파동을 전후한 이범석의 정치적 지향점을 권위주의적 보수주의에 가까운 제3세계주의의 한국적 표출로 요약하였다. 그리고 이는 정치인 이범석이 지녔던 권력욕뿐만 아니라 민주주의를 전통적 민유방본과 유사한 것으로 인식한 이범석이 한국 국민(백성)과 대한민국(국가), 이승만(군주, 최고 통치자)을 주요 요소로 상정하고, 삼자 모두를 살린다는 명분으로 감행한 것이 부산국회파동이었다고 유추하였다.

      • KCI등재

        한국광복군의 항일투쟁과 중국현대문학(1917~1949) - 이범석의 항일투쟁을 반영한 작품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

        김재욱(Kim, Jae Ug)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21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 No.74

        중국현대문학사에 나타난 광복군의 항일투쟁은 광복군 참모장 이범석의 항일투쟁을 묘사한 작품, 한국청년전지공작대의 문예활동을 반영한 작품, 한국청년전지공작대 기관지 『한국청년』에 투고한 중국 작가의 글 등을 통해 확인된다. 이 글은 이범석의 항일투쟁을 묘사한 작품과 그 번역본, 『우둥불』에 주목하였다. 이범석의 항일투쟁을 묘사한 작품은 광복군 소속 다른 독립운동가를 묘사한 작품과 달리 사전 기획된 것으로 중국은 물론 광복 후 한국의 사회·문화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고, 이범석의 문학적 욕망도 직접적으로 표출되었다는 특징을 보인다. 중국문학사 전체에서 보아도 아주 이례적인 문학현상이다. 한국청년전지공작대는 나월환·한유한이라는 걸출한 인물과 부대원의 헌신적인 노력, 그리고 기관지 『한국청년』 발간으로 많은 중국인들에게 광복군의 항일투쟁을 알렸다. 또한 광복군에 편입된 조선의용대, 충칭(重慶)·시안(西安) 등 임시정부와 광복군의 주요 활동지에서 활동하던 독립운동단체·독립운동가가 조국의 독립과 항일을 위해 분투한 모습도 중국 작가의 눈에 포착되어 관련 작품이 발표되었다. 총 31편에 이르는 이러한 작품은 부록에서 목록을 제시하였다. The anti-Japanese struggle of Korea’s Independence Army can be found in the history of modern Chinese literature through works depicting the anti-Japanese struggle of Lee Beom-seok, who was the chief of staff at the Independence Army, works reflecting the literary activities of Korean Youths Battlefield Mission Corps( KYBMC), and works by Chinese writers submitted to KYBMC’s bulletin, Korean Youths. This study focused on Woodeungbu, which describes Lee’s anti-Japanese struggle, and its translations. The works depicting his anti-Japanese struggle were planned in advance unlike works depicting other independence fighters in the Independence Army. They had direct impacts on the society and culture of Korea after it took back its independence as well as China and expressed Lee’s literary desire directly. It is such an unprecedented literary phenomenon in the entire history of Chinese literature. KYBMC promoted the anti-Japanese struggle of Independence Army to many Chinese people through its prominent figures including Na Wol-han and Han Yu-han, the commitment of its members, and the publication of its bulletin, Korean Youths. Chinese authors captured the strenuous efforts of the Korean Volunteer Corps incorporated into Independence Army and also the Independence Movement groups and activists that were active in major venues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and Independence Army including Chongqing and Xian for the sake of Korea’s independence and anti-Japanese struggle, publishing works related to them. Total 31 of these works were presented on a list in the appendix.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초강 이범석(1925~1983)의 생애와 인도주의 활동 – 대한적십자사 활동을 중심으로 -

        유상수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24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119

        초강 이범석은 1960년대 외무부 공무원으로 채용된 후 통일원, 외무부장관 등을 역임하였다. 외무부장관으로 역임하던 1983년 미얀마 아웅산국립묘지에서 북한의 테러에 의해 희생되었다. 공직생활을 하면서도 이범석이 추진한 주요활동은 인도주의에 기반한 남북대화업무였다. 그의이런 활동은 대한적십자사에서의 인도주의 활동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그가 대한적십자사와 인연을 맺게 된 것은 한국전쟁 당시 미국적십자사통역 경험이 계기가 되었다. 미국적십자사의 통역으로 대한적십자사와깊은 관계를 맺고 있던 이범석은 포로교환문제에 있어 대한적십자사의대표로 참여하게 되었다. 포로교환이 종료된 후에는 대한적십자사에서청소년적십자 활동에 주력하였다. 한국정부에서는 학도호국단 이외에학내 조직은 불허하고 있었기 때문에 한국은 청소년적십자활동에 있어불모지나 다름없는 상태였다. 이런 어려운 여건 속에서 그는 미국적십자사의 통역으로 활동하며 경험한 타국의 적십자활동을 토대로 청소년조직을 결성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였다. 적십자활동에 대한 이해도가 부족했던 한국에서 중고생을 중심으로 강습회 등을 개최하며, 청소년적십자단을 초석을 마련했다. 이외에도 미국적십자사 활동을 토대로 국제협력활동을 수행하였다. 미국, 캐나다, 일본 등과의 국제협력을 담당했을 뿐만 아니라 국제적십자위원회 회의에 한국대표로 참석하며 대한적십자사의 인도주의 활동을 뒷받침하였다. 이런 경험은 1961년 공직으로 진출했던 그가 1972년 남북적십자회담 당시 대한적십자사로 복귀하여 남북적십자회담 수석부대표로 활동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Chogang Lee Bum-Suk was recruited as a civil servant by the Foreign Ministry in the 1960s and later served as the head of the Center for Reunification and later as the Foreign Minister. While serving as the foreign minister, he was killed in an explosion caused by North Korean agents at the Rangoon National Cemetery in Myanmar in 1983. Besides his official duties, Lee's major initiative was humanitarian-based inter-Korean dialogue. His involvement stemmed from his association with the Red Cross. Lee's connection originated during the Korean War when his experience as an interpreter for the American Red Cross led to a deep relationship with the Korean Red Cross. After the ceasefire in July of 1953, Lee became the Red Cross representative for prisoner exchanges (Operation Big Switch). After the conclusion of prisoner exchanges, Lee focused on junior Red Cross activities. It was a challenging environment as youth activities were severely curtailed due to the government not allowing any on-campus organizations other than the nationalistic student homeland protection association. Despite these difficult conditions, Lee made efforts to establish a youth organization based on his experience with other nation’s Red Cross groups from his time as an interpreter. Conducting workshops and holding lectures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he laid the foundation for the Youth Red Cross, filling a void in Korea's humanitarian landscape. Beyond this, he engaged in international cooperation activities based on his experience with the American Red Cross. He not only coordinated international cooperation with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Canada, and Japan, but also attended the International Committee of the Red Cross (ICRC) meeting as a representative of the Korean Red Cross in New Delhi in 1957. His public service lasted from 1961 to 1972, whereupon he returned to the Korean Red Cross where he served as the South Korean chief delegate to the inter-Korean Red Cross talks which were humanitarian dialogues pursued by both Koreas.

      • KCI등재

        ‘청산리전투’를 둘러싼 기억과 망각술 - ‘청산리전투’에 대한 이범석의 자기서사와 항(반)일=반공의 회로 -

        공임순 국제어문학회 2018 국제어문 Vol.0 No.76

        This paper is about a particular memory and oblivion surrounding ‘the Battle of Cheongsan-ri’. As a part of this, this paper focuses on Lee Beom-seok’s rewriting of ‘the Battle of Cheongsan-ri’. Although ‘the Battle of Cheongsan-ri’ is recognized as an unprecedented victory for the Japanese Imperial Army at least in the Korean History, the place of ‘the Battle of Cheongsan-ri’ was an uncertain zone of Asia where the Soviet Union immediately after the Russian Revolution and the semi-colonies of China and Colonial Chosun bordered each other. In a place where so-called national sovereignty could not be fully exercised due to the unstable conditions of the First World War, an imaginative geography, indicating expectations and frustrations for the “north” of individual actors, was reconstructed. In particular, this paper aims to examine what Lee Beom-seok, who narrated ‘the Battle of Cheongsan-ri’ after liberation, had chosen to include in his narration and what had been excluded from it. In other words, what is important to this paper is the choice and exclusion in Lee Beom-seok’s rewriting of ‘the Battle of Cheongsan-ri’ that follows from the 『Anger of Korea (한국의 분노)』, this paper shows that Lee Beom-seok’s rewriting of ‘the Battle of Cheongsan-ri’ was linked to anti-communism through anti-Japan based on the Korean nationalism. This paper reexamines that ‘the Battle of Cheongsan-ri’ contained the possibility and frustration of the post-colonialization and liberation of the individual actors who came to the uncertain zone of Asia and the need to reflect on the historical meaning of it in the present context. 이 글은 ‘청산리전투’를 둘러싼 어떤 특정한 기억과 망각술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이 글은 이범석의 ‘청산리전투’에 관한 다시쓰기에 주목했다. ‘청산리전투’는 적어도 한국의 국가사에서 식민 종주국인 일본군을 대상으로 한 전례 없는대승으로 인식되고 있지만, 이 ‘청산리전투’가 벌어진 현장은 갓 러시아혁명을 치룬 소비에트연방과 (半)식민지의 중국 및 식민지 조선이 맞대고 있던 접경지대였다. 제 1차 세계대전의 불안정한 정세와 맞물려 이른바 국가주권의 전일한 행사가불가능했던 이곳에서, 개별 행위자들의 ‘북방’을 향한 꿈과 이상 및 기대와 좌절의심상지리가 창출되고 재구성되어졌다. 이 글은 특히 해방 이후 ‘청산리전투’를 자기화한 이범석을 중심으로 그가 무엇을 선택하고 무엇을 상대적으로 누락/삭제했는지를 살피고자 했다. 그의 이 특정한 기억과 망각술은 ‘청산리전투’가 일본의 시베리아전쟁이 열어놓은 간도 출병의 연쇄 효과이자 중국과 조선의 반일(연대)투쟁의 결과물일 수 있다는 (동)아시아적 시선과 지평을 일국적으로 가두는데 효과적으로 기여했다. 이 글은 『한국의 분노: 청산리 혈전 실기』- 『혈전: 청산리 혈전 실기』- 「청산리의 항전」- 『우둥불』의 「청산리의 혈전」으로 이어지는 ‘청산리전투’에 관한 이범석의 다시쓰기가 조국애의 항(반)일을 거쳐 반공과 결부되는 양상을 다루었다. 더불어 이 과정에서 소련 행을 택한 홍범도의 또 다른 루트가 ‘청산리전투’ 를 통어하고 있음도 밝히고자 했다. 이 글은 ‘청산리전투’가 (동)아시아의 불확정적인 지대를 오간 개별 행위자들의 탈(脫)식민과 해방의 가능성과 좌절을 담지하고 있었음을 재론하는 한편, 그것이 지닌 역사적 의미를 현재적 맥락에서반추하고 성찰해야 할 필요성을 4장의 결론 삼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