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운문사 주변 ‘이무기’ 전승의 실제와 지역사적 맥락

        천혜숙(Chun, Hye-Sook) 실천민속학회 2017 실천민속학연구 Vol.29 No.-

        운문사 주변 지역의 이무기 전승은 크게는 ‘佛[僧]: 龍’의 대립 구조로 실현되는 용신관련 사찰설화군의 범주에 속하면서도, 몇 가지 점에서 대단히 흥미로운 특징을 보이고 있다. 특히 용이 아니라 이무기의 명명이 유지된다는 점, 불승보다 이무기의 능력이 우월하다는 점, 불승과의 대립에서 이무기가 죽거나 驅逐되지 않는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문헌 및 구전자료 간의 同異 또는 變異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공통되게 나타나는 특징들이다. 삼국유사의 ‘보양이목’ 기사는 동 문헌의 다른 용신관련 사찰설화에서는 볼 수 없는 ‘이목’의 명명과 함께 이목의 降雨 단락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현지 구전자료와도 근접한다. 이는 ‘보양이목’ 기사의 기술을 위해 일연이 주로 참고한 원천 자료가 당시 청도 지역 鄕豪들의 諺傳을 기록한 <郡中古籍裨補記>의 ‘古人消息及諺傳記載’였던 것과도 관계가 있다. 더 나아가 현지 구전자료들에는 다른 지역의 구전에서 볼 수 없는 이무기의 潛行과 移住, 祈雨 대상신으로서의 영험과 같은 특징들이 더 보태진다. 지역 자료가 보여주는 이러한 특징들은 지역사의 맥락들과도 연관된 것으로 보인다. 우선 이 지역에는 6~7세기 경부터 이미 五岬의 사찰들이 존재하였고, 그 중 하나인 가슬갑사를 중심으로 원광이 占察寶와 世俗五戒 등의 포교를 펼친 역사가 있다. 이 오갑은 후삼국의 난리로 무너졌지만, 고려 태조와 보양선사의 정치적 결연에 의해 운문선사로 중창되고 원응국사에 의해 다시 중흥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막대한 사원전을 소유한 지역의 대찰로 거듭나게 된다. 한편, 청도의 穴禮山과 荊山城에서는 신라 때 大祀와 中祀가 행해진 기록이 있고, 烏禮山[혈례산], 巨淵, 李木淵, 臼淵[호박소] 등에는 祈雨를 위한 龍壇이 있었던 것을 보면, 재래신앙과 문화도 불교신앙 못지 않게 강했던 지역임을 알 수 있다. 보양과 일연도 이렇듯 강력한 재래신앙을 간과할 수는 없었을 것이다. 더욱이 사원전의 규모가 대단했다고는 하나, 후삼국 난리 후 亡田化된 것을 운문사의 소유 또는 收租地로 바꾸는 과정에서 무리와 반발이 빈발했을 터이고, 실제 사원전 경영에서도 경작의 주체인 사원의 노비나 佃戶들의 토속신앙과 세계관을 일방적으로 무시하기 어려웠으리라 짐작된다. 이 지역의 이무기 전승에서 나타나는, 상좌로 위장한 이무기, 강우 등의 비범한 능력을 지닌 이무기, 호박소로 移住하는 이무기, 꽝철이가 되어 가뭄을 가져오는 이무기, 祈雨 대상신으로 섬겨지는 이무기 등의 형상들은 이러한 배경에서 이루어진 것이다. 불교신앙과 용신신앙이 오래 공존해 온 역사 속에서 사원전의 경영 또는 농경문화의 역사를 둘러싸고 벌어졌음직한 두 신앙 간의 상호우위적 대립이 그러한 양가적 형상과 중의적 구조로 실현되었으리란 뜻이다. 한편으로 청도 밀양 지역은 신라 수도인 경주로 들어오는 요충지였던 관계로 고려 통합과정에서 후삼국 세력들 간의 쟁패가 심했던 곳이다. 고려에 들어와서는 같은 지정학적 이유로 ‘신라부흥’과 ‘반고려’를 표방한, ‘雲門賊’이라 일컬어진 민란의 거점이 되기도 했다. 특히 지역의 구비전승에서 이무기가 인격화되는 동시에 비범한 神人的 존재로 형상화되는 양상은 이러한 정치사적 맥락과 관계가 있는 것이 아닌가 짐작된다. 이무기의 潛行, 승천의 좌절과 移住의 행적 등은 반체제 영웅 전설들과도 많이 닿아 있다. 물론 역사적 고구가 더 필요한 부분이다.

      • KCI등재

        한국 설화 속 ‘이무기’ 표상 연구

        이예지 민족문학사연구소 2024 민족문학사연구 Vol.84 No.-

        본 연구는 한국 설화에 등장하는 요괴(妖怪) ‘이무기’ 표상의 변모 과정을 탐구하여 ‘이무기’의 근본적인 정체와 성격을 밝히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먼저, 이무기에 대한 총체적 논의를 진행하기 위해 『삼국유사(三國遺事)』 「보양이목(寶壤梨木)」을 중심으로 관련된 문헌 및 구비 전승되는 텍스트를 비교・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보양이목」에 나타나는 이무기 표상의 의미와 이무기 표상이 변화한 과정과 이유에 대해 확인하였다. 그 후, 「보양이목」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던 논의를 확장하여 『구비문학대계』에 등장하는 이무기 설화 자료를 확인한 후, 이를 유형별로 분류하여 구비 전승되는 이무기 설화의 양상과 그 특징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이무기라는 표상의 특징을 ‘물과 관련된 존재’, ‘양면성을 지닌 존재’, ‘다른 표상들을 흡수하는 존재’, ‘계속해서 생성되고 변화하는 존재’라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이무기 표상의 변모 과정이 일어난 이유를 찾기 위해 크게 ‘용이란 표상에 의한 종속화’와 ‘이무기에 의한 종속화’라는 방향에서 변모 과정을 정리하였다. 그 중 ‘용이라는 표상에 의한 종속화’가 어떻게 일어나는지 살펴보기 위해 ‘호명에 의한 변모’와 ‘재현에 의한 변모’라는 두 가지 방법으로 현상을 바라보았다. 이를 통하여 이무기는 원래 ‘물’과 관련된 표상으로, 한자와 불교 같은 외래문화의 유입에 의하여 ‘이무기’라는 존재가 종속되고 하위화되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속화 현상은 ‘이무기’에게만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확인하기 위해 ‘이무기에 의한 종속화’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이무기 유형의 다양한 호명들을 분석했으며, 그 결과 ‘강철이’와 ‘이시미’의 경우 이무기와 그 층위 부분에서 이무기와 확연한 차이를 보인다는 것을 증명했다. 이를 통해 한국 설화에서 ‘이무기’가 지닌 성격과 의미를 다양한 측면에서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이무기’ 표상을 총체적으로 살펴본 후, 그 특징과 의미를 규명한 것은 한국의 대표 요괴이지만 한 번도 총체적으로 다뤄지지 않았으며, 그 정체가 불분명하던 ‘이무기’의 표상에 주목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Imugi’ through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the representation of ‘Imugi’, a representative Korean monster in Korean folklore. The dictionary definition of ‘Imugi’ is a legendary animal, a hornless dragon. A large, aged serpent that lives in the water, unable to become a dragon by some curse. With this dictionary definition, Imugi has been equated with a dragon or a snake. However, for all its recognition and fame, the Imugi has rarely been the subject of collective attention for its characteristics or meaning. The earliest known reference to the existence of ‘Imugi’ is in the work Boyangimok(寶壤梨木,The Bo-Yang Monk and the Pear Tree) of the Samgukyusa(三國遺事,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However, the ‘Imugi’ in the Samgukyusa is very different from the ‘Imugi’ that is currently transmitted. This study focuses 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appearance of ‘Imok’ in the Samgukyusa and ‘Imugi’ in the present day. Since there is a long time distance between Samgukyusa and the current ‘Imugi’ tale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idea that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the current ‘Imugi’ tales in the Boyangimok of the Samgukyusa is important to explore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Imugi’. Therefore, this study was analyzed in the following order: reviewing the target data - presenting the reasons for the change - and confirming the meaning of Imugi. First, Chapter II examines the most important text, the Boyangimok of the Samgukyusa.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compare and contrast the Wonkwangjeon(圓光傳, The Story of Monk WonKwang) of Haedonggoseungjeon(海東高僧傳, The story of Korea’s spiritual monks), a text related to the Samgukyusa, with the Korean oral tales of Unmunsa(Temple of Unmun)/Hobakso Imugi. In addition, since there are various types of imugi tales besides the Boyangimok in the Samgukyusa, in order to review ‘Imugi’ tales, it is necessary to review all of the ‘Imugi type tales’ in the Korean Oral Folklore to classify their types and identify their characteristics. Through this process, it was confirmed that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Imugi’ was transformed by ‘subordination’ in relation to the dragon. Chapter III explores the phenomenon of ‘subordin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naming’ and ‘representation’ in order to reveal how it occurred. Through this, it was found that the meaning of ‘Imugi’ changed as its ‘Naming’ changed with the introduction of language systems, and that the representation of ‘Imugi’ changed and was ‘represented’ as people’s perceptions changed due to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and language systems. It was also confirmed that subordination by naming and representation did not only occur with ‘Imugi’, but also with other Monster of the Imugi type (Kangcheoli, Isimi). With this review process, Chapter IV identified the features and meanings of the ‘Imugi’ in Korean folklore. First, ‘Imugi’ is an existence of “Folk Belief”. While the power of ‘Imugi’ as a Folk Belief has waned with the influx of foreign religions and changing human perceptions of nature as a material object, Imugi still exists in the realm of Folk Beliefs as a Monster that represents “Water” itself. Next, ‘Imugi’ is a Monster, but It is not a Monster. This means that It is not the supposedly “evil” Monster, but rather a multifaceted existence. Sometimes It is portrayed in folklore as evil beings that eat humans or curse them, sometimes It is portrayed as helping humans, and sometimes they are portrayed as great humans in history. In other words, ‘Imugi’ is not the evil Monster that is commonly perceived, and It has many different layers. Finally, ‘Imugi’ is a changing representation. As times have changed, the transmission of traditional folklore has decreased, ...

      • KCI등재

        운문사 주변 ‘이무기’ 전승의 실제와 지역사적 맥락

        천혜숙 실천민속학회 2017 실천민속학연구 Vol.29 No.-

        운문사 주변 지역의 이무기 전승은 크게는 ‘佛[僧]: 龍’의 대립 구조로 실현되는 용신관련 사찰설화군의 범주에 속하면서도, 몇 가지 점에서 대단히 흥미로운 특징을 보이고 있다. 특히 용이 아니라 이무기의 명명이 유지된다는 점, 불승보다 이무기의 능력이 우월하다는 점, 불승과의 대립에서 이무기가 죽거나 驅逐되지 않는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문헌 및 구전자료 간의 同異 또는 變異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공통되게 나타나는 특징들이다. 삼국유사의 ‘보양이목’ 기사는 동 문헌의 다른 용신관련 사찰설화에서는 볼 수 없는 ‘이목’의 명명과 함께 이목의 降雨 단락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현지 구전자료와도 근접한다. 이는 ‘보양이목’ 기사의 기술을 위해 일연이 주로 참고한 원천 자료가 당시 청도 지역 鄕豪들의 諺傳을 기록한 <郡中古籍裨補記>의 ‘古人消息及諺傳記載’였던 것과도 관계가 있다. 더 나아가 현지 구전자료들에는 다른 지역의 구전에서 볼 수 없는 이무기의 潛行과 移住, 祈雨 대상신으로서의 영험과 같은 특징들이 더 보태진다. 지역 자료가 보여주는 이러한 특징들은 지역사의 맥락들과도 연관된 것으로 보인다. 우선 이 지역에는 6~7세기 경부터 이미 五岬의 사찰들이 존재하였고, 그 중 하나인 가슬갑사를 중심으로 원광이 占察寶와 世俗五戒 등의 포교를 펼친 역사가 있다. 이 오갑은 후삼국의 난리로 무너졌지만, 고려 태조와 보양선사의 정치적 결연에 의해 운문선사로 중창되고 원응국사에 의해 다시 중흥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막대한 사원전을 소유한 지역의 대찰로 거듭나게 된다. 한편, 청도의 穴禮山과 荊山城에서는 신라 때 大祀와 中祀가 행해진 기록이 있고, 烏禮山[혈례산], 巨淵, 李木淵, 臼淵[호박소] 등에는 祈雨를 위한 龍壇이 있었던 것을 보면, 재래신앙과 문화도 불교신앙 못지 않게 강했던 지역임을 알 수 있다. 보양과 일연도 이렇듯 강력한 재래신앙을 간과할 수는 없었을 것이다. 더욱이 사원전의 규모가 대단했다고는 하나, 후삼국 난리 후 亡田化된 것을 운문사의 소유 또는 收租地로 바꾸는 과정에서 무리와 반발이 빈발했을 터이고, 실제 사원전 경영에서도 경작의 주체인 사원의 노비나 佃戶들의 토속신앙과 세계관을 일방적으로 무시하기 어려웠으리라 짐작된다. 이 지역의 이무기 전승에서 나타나는, 상좌로 위장한 이무기, 강우 등의 비범한 능력을 지닌 이무기, 호박소로 移住하는 이무기, 꽝철이가 되어 가뭄을 가져오는 이무기, 祈雨 대상신으로 섬겨지는 이무기 등의 형상들은 이러한 배경에서 이루어진 것이다. 불교신앙과 용신신앙이 오래 공존해 온 역사 속에서 사원전의 경영 또는 농경문화의 역사를 둘러싸고 벌어졌음직한 두 신앙 간의 상호우위적 대립이 그러한 양가적 형상과 중의적 구조로 실현되었으리란 뜻이다. 한편으로 청도 밀양 지역은 신라 수도인 경주로 들어오는 요충지였던 관계로 고려 통합 과정에서 후삼국 세력들 간의 쟁패가 심했던 곳이다. 고려에 들어와서는 같은 지정학적 이유로 ‘신라부흥’과 ‘반고려’를 표방한, ‘雲門賊’이라 일컬어진 민란의 거점이 되기도 했다. 특히 지역의 구비전승에서 이무기가 인격화되는 동시에 비범한 神人的 존재로 형상화되는 양상은 이러한 정치사적 맥락과 관계가 있는 것이 아닌가 짐작된다. 이무기의 潛行, 승천의 좌절과 移住의 행적 등은 반체제 영웅 전설들과도 ... The ‘Imuki’(이무기) legends appearing around ‘Unmun’(운문) temple are very interesting in several respects. It has similar face and other face at the same time, compared with stories about building temlple that contains the confrontation between monk and dragon. In other respects, I would like to say that it has the name ‘Imuki’, it has power over monk, and it is not defeated unilaterally in a confrontation between the two. These three features are characteristic of both documentary records and oral traditions. In addition, I would like to add the very important feature, which is seen in only oral traditions, that is, it moves to another place [‘Hobak’ pond/호박소]. These features are deeply related to the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 of the region. First of all, there are temples in this area in the 6th or 7th century, and Wonkwang(원광) already preached in one temple, ‘Kasulgap’ Temple(가슬갑사). In 10th century, Boyang(보양) rebuilt Unmun Temple and while Woneung(원응) was reviving the temple again, Unmun temple became a large temple with huge land. On the other hand, in Chungdo(청도) area, there are mountains that have offered rituals nationally and ponds that prayed for rain to the dragon, since shilla period. It can be seen that not only Buddism but also traditional beliefs and cultures were very strongly preserved. In addition to that, since the slaves and peasants belonging to the temple cultivated the land owned by the temple, it is presumed that there would be conflict and confrontation between the temple and the farmers cultivated the temple’s land. Therefore Unmun’s monks could not dismiss their faith and world view, unilaterally. In the ‘Imuki’ legends of the region, ‘Imuki’ has various shapes, such as a ‘Imuki’ disguised as a deacon of a chief monk, a ‘Imuki’ power over the monk, ‘Imuki’ that moves to another place, ‘Imuki’ that rains, ‘Imuki’ that thunders. Those shapes are related to the context of religious history in which the two religions in the region have conflicted and fused. I think that the conflict between the Buddism and traditional beliefs that have long coexisted in this area, and between the two culteres that would have spread over the land cultivation of the temple have been realised with such an ambivalent shapes and structures. Cheongdo and Miryang areas were key points for entering Gyeongju, the capital of shilla, so in the early days of Koryeo, there was a controvercy among the various political powers, which are called ‘late three nations(후삼국)’. In the Koryeo period, it was also the base of rebellions crying to 'Shilla revival' and ‘anti-Koryeo’ for the same geopolitical reason. It seems to be related to the local poliYunmunsa Temple, Dragon-related Buddhist tales, legends related to the creation of temples, hidden passages, hidden dragons, immigration, frustration of ascensiontical history, mentioned above, that the ‘Imuki’s subordination, his frustration of the ascension, and his migration are seen in the tradition of this region. For this reasoning, more historical reflection is needed.

      • KCI등재

        야류 · 오광대 ‘영노’의 정체에 대한 시론

        김국희(Kim, Kuk-Hee)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9 한국민족문화 Vol.71 No.-

        이 글에서는 경남지역의 민속극인 야류와 오광대에 등장하는 영노의 정체를 밝히고, 그 의미를 고찰했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영노의 정체를 새와 이무기 중 하나에 중점을 두었지만, 가면극에 나타나는 영노의 특성 및 이와 관련되는 이무기 설화를 고찰한 결과, 민간에서는 영노를 이무기로도 새로도 인식할 수 있음을 밝혔다. 이처럼 영노를 이무기와 새로 인식하는 이유는 농경의 바탕이 되는 여신 신앙에서 찾았다. 고대 건국신화에서 천손의 상대인 유화와 알영은 수신계인 용과 관련되면서 새의 속성 또한 지니고 있었다. 여신 신앙의 쇠퇴와 함께 새와 용은 여신과 함께 언급되지는 않지만, 여전히 시조, 고승, 영웅 등의 남성을 생명과 위업의 길로 인도하는 모성적이면서도 신성한 역할을 보여 주었다. 오랜 세월을 거치며 여신 신앙은 쇠퇴했지만, 풍요를 기원하는 농경의 공간에서는 여전히 유효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농경의 공간에서 행해진 가면극인 야류와 오광대에서 영노는 벽사와 풍요를 기원하는 대상으로 그 원형을 여신에 둘 수 있으며, 새로도 이무기로도 상상할 수 있는 것이다. This research reveals the identity of Youngno shown in Yaryu and Okwangdae, folk dramas in Kyoungnam province, and its meaning. Although the existing studies have focused the identity of Youngno on a bird or a dragon (or a monster serpent), as a result of the survey of the character of Youngno in the mask dramas and its related monster serpent tales, it is believed that people at that time thought of Youngno as a monster serpent or a bird. Likewise, the reason a monster serpent is same as a bird was found in a goddess myth based on agriculture. In a ancient nation-founding myth, Yoohwa and Alyoung, Chunson(Heavenly descendant)’s spouses, had a relationship with a dragon in sea god world and then got the feature of a bird. Thereafter, the bird and the dragon were not described along with a goddess, but they still played the motherly and divine roles of guiding the men-founders, high priests, heroes and so on-toward the road of life and feat. Though the goddess myth has declined over many years, it still holds good in fertility-friendly agriculture. Consequently, as Youngno in Yaryu and Okwangdae, the mask dramas in the background of agriculture was the target which people had set to ward off ghosts and to wish good harvest, its prototype could originate in a goddess and it can be a bird or a monster serpent.

      • KCI등재

        수용자의 해석과 설화의 다층적 의미 -〈박장군과 이무기〉설화의 해석을 중심으로

        이인경 국문학회 2012 국문학연구 Vol.0 No.25

        This paper examines the various interpretations of the folktale named Park Jang-goon and Imoogi by critically analyzing the reports of younger generation who appreciated the story. The folktale is a story about "Park Jang-goon" living in a village which almost got flooded because "Imoogi" blocked the river. By shooting an arrow, Park Jang-goon could make Imoogi leave and keep the village safe. Since then, Park Jang-goon kept his eyes on its revenge. Nevertheless, Park Jang-goon was eventually killed because of the incident. According to academic analysis, this folktale includes not only the mythical sanctity of the water-diety(Imoogi), but also the legendary tragedy of the hero(Park Jang-goon)'s death. The young appreciators have many different opinions for the story. Usually they interpret the messages which the story carries, from the perspective of an anthropocentric values, which shows a change in the young appreciators' perception of the mythical thinking. That is, these days, Imoogi is not considered to be a sacred water-deity any more. Many appreciators pointed it out that Mr. Park's death had resulted from his violence against the Imoogi; also it taught us to be considerate of the powerless minorities in society, in case of a conflict between the public good of majority and the needs of minority. Such interpretations of the story effectively teach us lessons about solving the problems in our modern society. By the way, the other appreciator supposed that general Park's death had not come from the revenge of Imoogi, but it had been caused by his nagging anxiety neurosis which had became strongly obsessional through out his lifetime. This supposition let us realize the importance of healing for psychological trauma, and the usefulness of literature therapy, as well. In conclusion, with this study, it is proved again that the folktales still have classic values by modern bearers to interpret, which can create new and serious messages for now. 본 연구는 <박장군과 이무기>설화에 대한 신세대 수용자들의 해석을 통해 구비설화의 다층적 의미와 고전적 가치를 점검한 것이다. 이 구비설화는 홍수가 났을 때 강의 흐름을 가로막고 있던 이무기를 물리쳐서 마을을 구한 박장군이 결국 이 일로 인하여 죽게 된다는 내용으로, 이무기라는 水神에 대한 신화적 신성성과 박장군이라는 영웅의 죽음을 둘러싼 전설적 비극성이 내포되어 있다. 이 설화에 대한 수용자의 해석은 다채로운데, 水神에 대한 신성성이 약화되고 인간중심의 세계관으로 전환되어 가는 전승 의식의 변화를 엿보게 한다. 수용자들은 주로 이무기를 他者인 동물이 아닌, 욕망을 실현하기 위해 집요하게 도전하는 주체적 존재로 바라본다. 또한 박장군의 파멸에 대해 무력으로 약자를 제압하려는 강자의 폭력성에서 기인한 것으로 해석하는 경우는, 사회공동체의 公益과 사회적 소수자의 욕망이 충돌할 때 약자에 대한 배려가 필요하다는 주장을 도출해 내고 있다. 특히 박장군의 죽음이 이무기의 복수가 아니라 박장군 자신의 편집증적 강박증에서 야기된 것이라는 독창적인 해석이 주목을 끄는데, 이는 이 설화의 가치와 효용을 새롭게 조명함과 동시에 문학치료학적 관심을 환기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구비설화가 갖는 의미의 개방성의 편폭이 확대되는 현장을 신세대 수용자들의 다양한 해석을 통해 추적해 보았다. 수용자들의 재해석 과정을 거쳐 새로운 의미와 가치를 창출해 갈 수 있다는 점에서, 구비설화는 현재적 의미를 지닌 인문학적 사유의 寶庫임을 재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온고지신(溫故知新)의 교육학적 오독(誤讀) : 이무기 같은 공자의 삶과 스승의 파라독스

        엄태동(Taedong, Eom) 한국교육원리학회 2021 교육원리연구 Vol.26 No.1

        온고지신은 논어에 나오는 말 중에서도 가장 유명한 구절 가운데 하나다. 이는 ‘온고이지신 가이위사의(溫故而知新 可以爲師矣)’라는 문장 속의 한 구절로서 스승이 지녀야 하는 능력을 가리키는 말이다. 그런데 종래의 논어 해석에서는 온고지신을 ‘옛것을 소홀함이 없이 습득하고, 새것도 알 수 있어야 한다’라는 뜻으로 풀이하고 있다. 이렇게 되면 온고지신은 스승이 지녀야 하는 회화(誨化)의 능력이 아니라 제자에게 필요한 학시습(學時習)의 능력이 되고 만다. 이 글은 온고지신을 스승의 회화 능력을 가리키는 말로 재해석하기 위한 것이다. 엄밀히 말하면, 단순한 재해석을 넘어서 스승이 지녀야 하는 회화의 능력을 담은 말이 되도록, 교육학의 관점에서 온고지신을 창조적으로 오독(誤讀)한다. 이를 통해 온고(溫故)는 스승이 자신의 옛 앎에 열정을 담아 다루는 능력을 의미하며, 지신(知新)은 회화의 어려움을 해소하는 다양한 능력들을 새롭게 습득하는 일을 뜻한다는 논의를 펼친다. 나아가 온고지신하는 스승은 제자의 눈에 파라독스적인 존재로 비치기 마련이며, 공자가 자신을 ‘이무기’에 비유한 까닭도 여기에 있다는 점을 밝힌다. This study is to try an educational misreading about Ongojisin in the original context of Confucian Analects. Ongojisin is almost always understood to mean ‘cherishing or restudying old and acquiring new knowledge.’ Although it is generally recognized as predominant understanding, this is very dubious and questionable. Ongojisin originally means the abilities of teachers. But cherishing or restudying old and acquiring new knowledge is definitely the abilities of learners. In order to clarify the educational meaning and significance of Ongojisin, this study deconstructs and re-interprets original and relevant sentences of Analects with constant reference to various recent educational inquiries and theorie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ing: to be able to teach others, one must see his old knowledge with passion as if it is new knowledge. This passion for old knowledge is Ongo(溫故) as an ability of teachers. In order to teach others, one must newly acquire various teaching abilities such as communicating knowledge by containing it into appropriate words, diagnosing learner’s level, exemplifying knowledge with his own living, and enjoying the unique pleasure of teaching. These abilities are contents of Jisin(知新) teachers have to acquire. Teachers who can do this kind of Ongojisin are projected as paradoxical beings onto the eyes of their learners.

      • KCI등재

        청도지역의 견훤전승과 사실 또는 형상의 역사

        천혜숙 실천민속학회 2019 실천민속학연구 Vol.33 No.-

        청도지역의 견훤관련 전설은 소략한 편이지만 신라 왕경과 경계인 운문면에 분포한 데다 흥미로운 변이를 보여주고 있어, 전설과 역사의 관계 해명에서 유의미한 사례가 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대체로 세 가지 관점에서 이 주제를 다루었다. 하나는 전설의 전승과 분포 자체가 역사적 사실의 반영임을 확인하는 것이고, 둘은 전설적 사실들이 기록에서 부재하는 역사를 부분이나마 보완할 수 있는가를 탐색하는 것이며, 마지막으로는 전설의 전승과정에서 이루어진 형상과 구조의 역사, 그 역사적 진실의 실체에 다가가 보는 것이다. 우선 청도는 신라 왕경의 기전(畿甸) 지역으로 왕경의 수호를 위해 서기정(西畿停)이 배치되어 있던 곳이다. 또한 전설군이 채록된 운문면 신원리는 왕경의 서쪽 경계지역으로 일찍부터 한반도 서남부에서 이곳으로 들어가는 교통로가 개척되어 있었다. 따라서 나말려초 후백제와 고려가 경상도 공략에 힘을 쏟았을 당시, 이 지역에서도 공략과 교전이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없지 않다. 전설 전승의 사실 자체가 그러한 가능성을 담보하고 있다. 『삼국유사』의 ‘견성싸움’ 기사는 당시 청도지역의 전쟁사를 읽는 데 결정적인 단서가 된다. 태조는 이 싸움을 계기로 선종계열의 승려 보양과 밀양 호족 손긍훈 장군과의 삼자 연대를 통해 작갑사[운문사]를 중창하고 청도지역을 우회적으로 공략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비해 견훤의 경우는 견성싸움 기사의 ‘산적’ 외에는 달리 공략을 읽을 만한 어떤 단서도 없다. 견훤이 쌓았다는 지룡산성이 이 미궁의 역사를 풀어줄 수 있는 유일한 코드이다. 당시 후백제와 고려간에 벌어진 전쟁사의 흐름을 따라가 보면, ‘견훤의 지룡산성 축조’와 ‘태조의 운문사 중창’은 청도지역에서 이루어진 양국간의 대립적 공략을 상징적으로 말해주는 사건임을 알 수 있다. 다만 승자의 비호를 받은 운문사는 고려조 이래 사세가 크게 확장된 데 비해, 패자의 지룡산성은 거의 무너진 채 몇 편의 전설로 그 역사적 기억을 전하고 있을 뿐이다. 한편으로, 견훤전승이 담아낸 역사적 진실은 나말려초의 사실적 역사에 머무르지 않는다. 사실적 기억은 전설의 전승과정에서 형상화되고 구조화되는 경향이 강하다. 이 지역의 견훤전승에서는 후백제 왕 견훤이 점차 망각되고 지렁이 또는 ‘지룡’으로 바뀌는 현상이 나타난다. 지룡의 언표와 형상은 지렁이를 용신격으로 인식한 결과이다. 그러나 이 지역유형의 지룡은 신이한 능력으로 거사 도모를 위해 산성을 쌓았지만 그 정체가 노출되어 실패하는 존재이다. 이렇게 지렁이/지룡의 정체 노출-거사 실패의 구조가 두드러지면서 동 지역의 이무기전승과도 접맥되는 흥미로운 변이가 나타난다. 때로 지룡이나 이무기의 실패가 죽음으로 끝나지 않고 이주나 잠행으로 유보되는 변이도 확인되는데, 이는 민중의 정신세계가 자주 패배한 영웅의 재귀나 귀환을 기대하는 것과 무관하지 않다. 이러한 민중적 세계관이야말로 전설적 형상과 구조를 통해 드러날 수 있는 역사적 진실이다. There are not many legends related to Kyeunhuen in Cheongdo, but it seems to be a meaningful example in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egend and history in that it shows interesting variations. This study covered this topic from generally three perspectives. The first is to confirm that the distribution of legends is a reflection of historical facts. The second is to explore how legendary facts can partially supplement the absence of history. Finally, we will look closer at the history of the figures and structure made in the legendary tradition. First of all, Cheongdo was the nearest area of the Capital of Shilla, and there was a corps for protecting the Capital. Yunmoon area in Cheongdo, where legends are recorded, was the western boundary of the Capital of Shilla, where a traffic route from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was pioneered. Therefore, I think that post Baekje and Goryeo were troubled about the attack on this area, and there would be actually some battles between the two countries. We can see it from the fact that related legends are handed down in this area. The record of the ‘Battle in the ‘Kyeun Castle’(견성싸움)’ of “Samguk Yusa(삼국유사)” is a crucial clue to reading the history of war in Cheondo. As a result of this fight, Taejo(태조) cooperated with Bongyang, a monk of the Zen sect family, and General Shon Kunghoon, a nobleman of Miryang, to build a Yunmunsa temple and made it the base for a roundabout attack to Cheondo. On the other hand, Kyeunhuen’s attack has no other clues other than the expression of ‘bandit’ in articles of the the Battle in the ‘Kyeun Castle’. The only code that can unlock the history of this labyrinth is remains and legends about the Castle of the earth Dragon’ (지룡산성) which was built by Kyeunhuen. Following the flow of the war history between post Baekje and Koryo at that time, it can be seen that the construction of Castle of the earth Dragon and the construction of Yunmunsa Temple by Taejo symbolize the confrontational attacks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Cheongdo region. Yunmunsa, which received the victory of the winner, has greatly developed as a large temple since Goryeo, while Castle of the loser has been ruined with several legends. However, the historical truths of Kyeunhuen’s legends are not limited to complementing the real history of the time. The memory of fact tends to be shaped and structured in the tradition of legend. In Kyeunhuen’s legends of Cheongdo, Kyeunhuen as King of the post Baekjae was forgotten, instead it was transformed into earthworm or was shaped as an ‘earth dragon’. There is an ambivalent perception about earthworms, but the figure of the earth dragon means a God dragon. The dragon has built a Castle for revolution with its superior ability, but the identity was exposed and faied. In addition, legends of the region show a structure in which the revolution was failed due to the exposure of identity, and there are interesting variations that are wedged and mixed with the Imugi legends (이무기 전설) of the same area. Sometimes the failure of an earth dragon or Imugi does not end with death, but shows up as an immigration or a hiding, because the spirit of the people expects the recurrence or return of the defeated hero. I think this popular world view is the historical truth that can be revealed through the legendary figures and structure These variants identified in the Cheongdo area may not be easily understood, because the Kyeunhuen has been recognized as negative since the Goryeo reunification. These variations can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the regional history of the dispute over the possession of the Yunmunsa temple given by the patronage of Taejo and of the revolt for the revival of Silla or the anti-Goryeo.

      • KCI등재

        부산지역 도시전설의 전승양상과 성격

        류경자(Ryu, Kyung-Ja) 한국문학회 2017 韓國文學論叢 Vol.77 No.-

        이 글은 부산지역의 노년층에 전승되고 있는 도시전설을 중심으로 그 전승양상과 성격에 대해 살핀 것이다. 부산지역의 도시전설은 주로 6.25 전쟁의 피난처였던 도시의 역사적 배경과, 국가적 차원의 경제개발계획 과 맞물린 사회적 배경을 바탕에 깔고 전승되고 있다. 부산지역의 도시전설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형태는 지킴이 이야기인데, 여기에는 우리나라 전래의 지킴이 신앙이 그대로 계승 되고 있다. 이 이야기들은 개발붐으로 인해 부산에 아파트가 건립되고 도로가 확장되는 등 도시 전반적인 변혁의 물결이 밀어닥침으로 인해 전통적 공동체문화가 해체되는 지점에서 생겨나고 있다. 그 대상이 가택 (家宅)은 물론 산, 공동묘지, 공동우물, 연못 등 다양한 공간에 걸쳐있어 지킴이 신앙의 팽배함을 보여주고 있다. 다음으로 눈여겨 볼 부분은 용(龍) 신앙의 내재인데, 학교전설에서 그 모습을 찾아볼 수 있다. 그러나 그 모습은 불완전하여 비를 내리게 하는 용의 수신적(水神的) 능력이 용이 못된 이무기에게로 전이되고 있어 용 신앙의 파편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부산지역 도시전설의 특징적인 모습은 도시의 역사적 배경과 근대 이후 도시민의 현실적 삶을 기반으로 형성된 이야기들에서 잘 드러난다. 부산지역은 6.25전쟁의 피난처였던 만큼 몰려든 피난민으로 인해 주택의 수요와 공급 간에 큰 차질을 빚게 되었고, 그로 인해 양택(陽宅)이 음 택(陰宅)을 침범하는 일까지 발생한다. 이로 인해 공동묘지 위에 세워진 마을을 대상으로 전승되는 이야기들에는 음택 훼손에 대한 두려움과 공포, 그리고 영혼불멸 사상에 기반한 사령(死靈)에 대한 죄책감 등이 응집되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도시전설들에는 농경문화의 전통적 사유체계와 가속화되는 산업화 속의 현대적 사유체계가 맞물려 있다. 때문에 전통적 윤리관과 현실 삶의 충돌로 인해 빚어지는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 또한 전통적 방식에 의존하여 풀어나가고 있다. 이로 인해 설화세대인 노년층에 전승되고 있는 도시전설은 지구촌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오늘날의 학생들이나 젊은 세대들의 도시괴담과는 대조를 이룬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legends passed down by the elders based on cities of the Busan area and the developing traditons as well as its personality. The urban legends of the Busan area has developed based on the societal context of the time when Busan became a refuge for the Korean war but at the same time an economically developing area in the nation’s grand scheme. One of the prominent urban legend of the Busan area is the “Jikimi” which means the guard, keeps tue to our traditional folk belief the “Jikimi.” These stories began to develop around the time when due to a development boom, Busan started to develop their city such as apartment constructions and road developments. In the process the traditional sense of community started to crumble. The subject of the legends include houses, mountains, public graveyards, public wells, pond and other varieties of areas which shows the prevailing nature of the “Jikimi” belief. The next prominent part of the legend is the integration of the dragon myths and it is in the school myths that one can find its existence. However the form of the legend is unstable and the dragon‘s nature as the water god who can give rain to the people, has been deformed into a “Imoogi” or a snake that could not turn into a dragon, which shows the fragmented status of the belief. The city legends of the Busan area meticulously express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city and the real contemporary lives of the people living in the city. Due to the fact that the Busan area was a refuge for the Korean war, there was a great rift between the supply and demand for the residential areas, due to this the Yangtaek(a house - an east asian belief of energy in the soil) had become invaded by the Eumtaek(a grave - another east asian belief concerning energies of the soil. It has a counter active nature with the Yangtaek). Thus the development of towns over the public graveyards, created legends about the tales of the everlasting vengeful spirits which stemmed from their fear and regrets about the desecration of the Eumtaek. Such urban legends are the overlapping aspect between the agricultural and the rapid industrial societal beliefs. Therefore the solution to the, clash between the ethical beliefs of the traditional ways and the realities of the contemporary, is also found in the traditional ways. As a result the urban legends passed on from the generation of story tellers, are in sharp contrast to the urban legends of today’s younger generations.

      • KCI등재

        부산지역 도시전설의 전승양상과 성격 - 부산진구의 노년층 이야기를 중심으로

        유경자 한국문학회 2017 韓國文學論叢 Vol.77 No.-

        This paper focuses on the legends passed down by the elders based on cities of the Busan area and the developing traditons as well as its personality. The urban legends of the Busan area has developed based on the societal context of the time when Busan became a refuge for the Korean war but at the same time an economically developing area in the nation’s grand scheme. One of the prominent urban legend of the Busan area is the “Jikimi” which means the guard, keeps tue to our traditional folk belief the “Jikimi.” These stories began to develop around the time when due to a development boom, Busan started to develop their city such as apartment constructions and road developments. In the process the traditional sense of community started to crumble. The subject of the legends include houses, mountains, public graveyards, public wells, pond and other varieties of areas which shows the prevailing nature of the “Jikimi” belief. The next prominent part of the legend is the integration of the dragon myths and it is in the school myths that one can find its existence. However the form of the legend is unstable and the dragon‘s nature as the water god who can give rain to the people, has been deformed into a “Imoogi” or a snake that could not turn into a dragon, which shows the fragmented status of the belief. The city legends of the Busan area meticulously express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city and the real contemporary lives of the people living in the city. Due to the fact that the Busan area was a refuge for the Korean war, there was a great rift between the supply and demand for the residential areas, due to this the Yangtaek(a house - an east asian belief of energy in the soil) had become invaded by the Eumtaek(a grave - another east asian belief concerning energies of the soil. It has a counter active nature with the Yangtaek). Thus the development of towns over the public graveyards, created legends about the tales of the everlasting vengeful spirits which stemmed from their fear and regrets about the desecration of the Eumtaek. Such urban legends are the overlapping aspect between the agricultural and the rapid industrial societal beliefs. Therefore the solution to the, clash between the ethical beliefs of the traditional ways and the realities of the contemporary, is also found in the traditional ways. As a result the urban legends passed on from the generation of story tellers, are in sharp contrast to the urban legends of today’s younger generations. 이 글은 부산지역의 노년층에 전승되고 있는 도시전설을 중심으로 그 전승양상과 성격에 대해 살핀 것이다. 부산지역의 도시전설은 주로 6.25전쟁의 피난처였던 도시의 역사적 배경과, 국가적 차원의 경제개발계획과 맞물린 사회적 배경을 바탕에 깔고 전승되고 있다. 부산지역의 도시전설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형태는 지킴이 이야기인데, 여기에는 우리나라 전래의 지킴이 신앙이 그대로 계승되고 있다. 이 이야기들은 개발붐으로 인해 부산에 아파트가 건립되고 도로가 확장되는 등 도시 전반적인 변혁의 물결이 밀어닥침으로 인해 전통적 공동체문화가 해체되는 지점에서 생겨나고 있다. 그 대상이 가택(家宅)은 물론 산, 공동묘지, 공동우물, 연못 등 다양한 공간에 걸쳐있어 지킴이 신앙의 팽배함을 보여주고 있다. 다음으로 눈여겨 볼 부분은 용(龍) 신앙의 내재인데, 학교전설에서 그 모습을 찾아볼 수 있다. 그러나 그 모습은 불완전하여 비를 내리게 하는 용의 수신적(水神的) 능력이 용이 못된 이무기에게로 전이되고 있어 용 신앙의 파편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부산지역 도시전설의 특징적인 모습은 도시의 역사적 배경과 근대 이후 도시민의 현실적 삶을 기반으로 형성된 이야기들에서 잘 드러난다. 부산지역은 6.25전쟁의 피난처였던 만큼 몰려든 피난민으로 인해 주택의 수요와 공급 간에 큰 차질을 빚게 되었고, 그로 인해 양택(陽宅)이 음택(陰宅)을 침범하는 일까지 발생한다. 이로 인해 공동묘지 위에 세워진 마을을 대상으로 전승되는 이야기들에는 음택 훼손에 대한 두려움과 공포, 그리고 영혼불멸 사상에 기반한 사령(死靈)에 대한 죄책감 등이 응집되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도시전설들에는 농경문화의 전통적 사유체계와 가속화되는 산업화 속의 현대적 사유체계가 맞물려 있다. 때문에 전통적 윤리관과 현실 삶의 충돌로 인해 빚어지는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 또한 전통적 방식에 의존하여 풀어나가고 있다. 이로 인해 설화세대인 노년층에 전승되고 있는 도시전설은 지구촌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오늘날의 학생들이나 젊은 세대들의 도시괴담과는 대조를 이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