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빅토르 세갈렌 :이국취향, 다양함의 미학

        김용현 한국불어불문학회 2006 불어불문학연구 Vol.0 No.65

        빅토르 세갈렌의 작품세계는 많은 부분 이국취향이라는 개념에 바탕하고 있다. 이 용어는 그 당시 유행하던 로티류의 이국취향과는 다른 것으로 단순한 소재의 이국적 환기가 아닌 타 문화와 타자, 다양성을 대하는 자아의 자세를 가리키는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다. 논문은 먼저 동양과 서양이 맺어 온 관계 속에서 서구인들이 동양에 대해 가졌던 인식의 변화와 여기에서 생겨난 여행문학의 특성을 고찰한다. 18세기부터 동양에 대한 유럽 사회의 관심이 증대되기 시작하지만 본격적인 관계는 19세기 말에서야 이루어진다. 특히 1869년 수에즈 운하의 개통과 함께 지중해권과 소아시아 지역만을 가리키던 동양이라는 개념이 극동을 포함하는 지역으로 바뀌게 된다. 이러한 역사적 맥락 속에서 세갈렌이 정의하는 이국취향에 대해 알아본다. 그의 이국취향은 기본적으로 차이와 다양성이라는 개념에 기초한다. 세갈렌의 이국취향은 여행에만 한정되지 않고 다른 부분으로까지 확장된다. 즉 공간과 시간, 예술의 여러 장르들 내에서 그리고 나아가 문학작품을 이루는 다양한 글쓰기 요소들 사이에서 나타나는 이타성까지도 포괄한다. 마지막으로 이국취향 개념이 그의 작품 속에서 구체적으로 어떻게 형상화되는지 『비석』을 통해 알아본다. 이 작품의 가장 큰 특징은 비석의 건축 구조가 시의 형식에 도입되고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작품의 배경이 되는 중국 또한, 세갈렌이 목격한 근대의 중국이 아니라 고대의 문헌에서 생겨난 상상의 중국이다. 또한 시 속에 불어와 중국 한자가 동시에 사용됨으로써 생겨나는 두 언어 체계의 긴장이 미적 긴장으로 승화되면서 이국취향에 바탕한 『비석』은 프랑스 문학사에서도 매우 독창적인 시 형태를 선보이고 있다. 세갈렌의 이국취향은 적용 대상이 확장되면서 개념의 정의가 모호해지는 문제점이 있기도 하지만 타문화와 타자에 대한 논의에 새로운 사유를 던져 준다는 점에서 큰 가치가 있다. 특히 세계화가 급속도로 이루어지고 있는 오늘날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 KCI등재

        『가라데혼도진구라(中華手本唐人蔵)』의 이국취향과 패러디

        김지영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4 비교일본학 Vol.30 No.-

        어떤 문화가 다른 사회에 전달되는 과정을 거치면서 기존 문화와의 융합과 충돌을 거치면서 새로운 형태로의 문화 변용이 발생한다. 어느 시대든 교류가 이루어지는 시점 에서 이국의 문화를 수용하는 행위는 타자로 인식되는 이국에 대한 두려움과 기대감이 동시에 표출된 문화 작용이다. 江戸시대 형성된 이국에 대한 강한 호기심은 이국취미의 유행과 이것을 응용한 오락 형태로 수용된 이국의 문화를 체험함으로써 대중화현상을 생성해냈다. 이와 같은 현상은 당시 최고의 화제이자 이슈였던 주신구라를 패러디한 작품으로 등 장하였고 대중은 에도 문예 속에서 이국문화 교류의 영향력과 이국문물에 대한 관심을 배경으로 본격적으로 유입된 신문화를 수용하기 시작하였다. See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Japanese longing for exotic and exotic entertainment called civilization through the stimulation of Is easy for anyone to created a culture where you can enjoy. Open feeling of the times Each culture is reflected in the time leading to the creation of a new form as the station. This is a visual representation of the exotic to the public through the media distribution And was commercialized. Juryo Morishima did not miss the attention of the public. The topic that is preferred by the public grid and exotic civilization had taped together The new work will be completed. One popular method of rendering time Using exotic civilization was the way the story works out to solve security Are enough to make a new civilization to satisfy the curiosity of the public shares Groups would have been sufficient.

      • KCI등재후보

        근대 계몽기 서사의 이국취향을 통해 본 문화의 재배치 과정—최찬식의 소설을 중심으로

        곽승미 한국고전연구학회 2008 한국고전연구 Vol.0 No.17

        This study has aimed at examining closely the cultural identity of people who lived in the modern period of enlightenment, on the case of the New Novel by Choi, Chan-Sik. The moving abroad and foreign taste which be applied repeatedly in his novel is the representation to show civilization and enlightenment visibly to readers who didn't know it, through imagination. Therefore, This get to be the motive that the outside of Chosun is the center and inside is the others on the contrary. The confusion of identity to be inevitably resulted from regarding a inside as a outside is represented as a mad girl student who is a outsider and a victim on his novel. The tragedy which makes top-down exoticism by grading the world for standard of civilization and rationalizes the polygamy(two-wives) by recalling the traditional morals, sew up the spilt of identity of Chosun peoples in that period. 이 연구는 최찬식의 소설을 중심으로 근대 계몽기를 살아가는 일상인의 의식과 그 발현으로서의 문화적 정체성의 실제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최찬식의 소설에서 반복해서 채용하는 이국행과 이국취향은 인식 불가능한 근대상을 상상적으로 재현함으로써 계몽을 가시적으로 보여주는 표상이다. 이는 외부 세계를 중심화하고 조선 내부를 타자화하는 기재가 된다. 내부를 타자화함으로써 필연적으로 귀결되는 자기의식의 혼란이 소설에서는 희생양이자 이방인인 광기의 여학생으로 표상된다. 이러한 자기의식의 혼란을 극복하는 서사적 전략으로 세계를 위계화하기 위한 하향식 이국취향을 주조하고, 전통 윤리를 재소환하여 이처(二妻)를 합리화함으로써 정체성의 분열을 봉합한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이국취향의 요인과 현대패션에 나타난 이국취향

        김수경 服飾文化學會 2003 服飾文化硏究 Vol.11 No.3

        This study aims to analyse a trend of exoticism which is often mentioned inthe contemporary western fashion. I analyse the internal elements of the exoticism in the fashion. By applying these elements to the exoticism of modern fashion, I intended to make it a useful instrument for interpreting modern fash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The internal elements of exoticism are summarized as escapism, curiosity, fantasy, hybridism and pluralism. 1. From the 19th century to the 1960s : The exoticism shown in the western fashion are influenced by such elements as curiosity and escapism. And diverse and plural exotic elements added a fantastic element to the exoticism. 2. After 1960s : Escapism acted much more because people thought exoticism offer a refuge from overall social problems of modern consumer society. Late in the 20th century, fantastic and hybrid element became more prominent in exoticism. And I found pluralistic view point was the other element of exoticism.

      • KCI등재

        이효석 문학의 연속성과 시문학의 근대적 특질

        이민호 ( Min Ho Lee ) 한민족문화학회 2008 한민족문화연구 Vol.24 No.-

        본고는 이효석의 시를 대상으로 이효석 문학의 연속성을 고구해 보았다. 통상 이효석의 문학은 두 기로 나누어 전기는 동반자 작가로서 경향적 소설을 쓴 시기이고, 후기는 이로부터 전향하여 탐미주의적인 소설을 쓴 시기로 보고 있다. 이러한 단절론적 시각은 이효석의 후기 문학에서 노정하고 있는 성과 자연과 이국취향을 단순히 도피적 경향으로 파악하는 것으로 귀결된다. 이처럼 기존 연구는 이효석의 문학을 총체적으로 바라보지 못하고 그의 문학을 편협하게 축소한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본고는 이효석의 후기 문학의 도피적 경향이 이미 초기 시세계에서 발견되는 지속성임을 밝혔다. 특히 이러한 자질은 1920, 30년대 한국 시의 흐름 속에서 파악되는 자기회복의 근대적 인식이라는 점을 확인하였다. 그래서 이효석의 문학이 펼치는 에로티시즘은 보편적 주체를 인식한 자기회복의 리얼리티이며, 자연은 근대 도시의 사회적 환타지를 기의로 하는 개인의 욕망을 표출한 것이며, 이국취향은 생활의 기호와 취미 속에서 추구한 보편적 정서라 할 수 있다. 이 모든 자질은 이효석의 문학세계에서 단순히 현실을 도피하려는 낭만적 취향이 아니라 현실 경험을 통한 자기회복의 근대적 서정이라는 측면에서 연속성을 갖는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overcome the Discontinuity of the literature of Lee Hyo Seok and to present a clue of the continuity through the poetry of Lee Hyo Seok. Therefore, lyricism contained in the literature of Lee, Hyo-Seok was considered as the characteristic of the literature of Lee Hyo Seok in the Korean literature history not the naturalism originated by the western influence or the tendency of escaping from the colony reality. It is discussed that the novel literature of Lee Hyo Seok was changed to the aestheticism or exotic atmosphere from the proneness of the early period. But, whatever it was the active participation, deviation or acceptance about the pro literature, the point is that the early literature world of Lee Hyo Seok has been denied or criticized compared to the late literature. Accordingly,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continuity of the literature of proneness was absorbed in his poetry by considering the poetry of Lee Hyo Seok in the relation with the poetry-literature of 1920`s not in the relation with the proneness which prescribed the early literature of proneness.

      • 일제강점기 한국 근대문학에 나타나는 다방공간의 재현 양상 : 소설장르를 중심으로

        임영봉 선문대학교 문학이후연구소 2021 문학이후 Vol.1 No.-

        일제강점기 다방 혹은 카페 공간의 문학적 재현 양상은 서구의 차(茶) 와 커피문화가 유입되고 발전해나가는 문화사적 배경 속에서 이해될 필 요가 있다. 1910년대 이후, 본격적으로 유입되는 홍차와 커피 중심의 ‘다 방문화’는, 술과 여급이 중심이 되는 일본식 ‘카페문화’의 대두 현상에 의해 서서히 퇴조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다방공간의 재현 양상도 초기의 근대적인 감수성과 이국적 정취 중심의 상상적 내면적 의미를 띠는 이미지에서, 술과 여급이 등장하는 유흥 중심의 일상적이고 퇴행적인 의식을 담고 있는 이미지로 변화해 나갔다. 이광수의 신문연재소설 「개척자」(1917)는 커피라는 서구적 기호품이 수용되는 과정의 풍속과 현실을 잘 보여주고 있는 경우이다. 1920년대에 발표된 박영희의 「백수의 탄식」과 정지용의 「카페・프란스」는 서구적 감 수성과 이국 취향의 정서에 지배되는 다방문화 수용 초기의 이미지를 보여주고 있다. 이 두 편의 시 작품은 근대적 문화공간에 대한 수용이 이념에 따라 굴절되는 이후의 양상을 예고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요구한다. 일제강점기 소설의 다방공간에 대한 재현은 이광수와 염상섭, 채만식같은 작가를 비롯하여 ‘카프계열’의 박영희와 김남천, ‘동반자 작 가’였던 유진오와 이효석, ‘구인회’의 박태원과 이태준, 이상 등의 작품에 서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일제강점기 한국 근대소설에 그려진 다방공간은 인간 존재가 뿌리를 내리고 안주할 수 있는 원초적 장소의 상실 국면, 즉 ‘집’이면서 ‘고향’이 거나 ‘조국’으로도 상징될 수 있는 삶의 장소 상실에 대응하는 정신적 표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일제강점하의 상황에서 다방이라는 공간은 뿌 리를 상실하고 떠도는 존재의 피난처인 동시에 자신의 내밀한 꿈을 보호 하고 실현해나가는 내면적 상상적 장소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박태원 의 <방란장 주인>에 나타나는 헤테로토피아적인 이상향의 이미지는 이 러한 측면을 잘 보여주고 있는 경우이다. The literary representation of tea rooms or café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needs to be understood from the cultural background of the introduction and growth of Western tea culture in Korea. The “tea room culture” (based on black tea and coffee), which was introduced in earnest starting in the 1910s, slowly disappeared with the emergence of the Japanese “café culture,” featuring mostly alcohol and barmaids. Accordingly, the representation of the tea room underwent a transformation from its early image with an imaginative, inner meaning centered on the modern sensibility and an exotic atmosphere to a quotidian and decadent image centered on entertainment, permeated by the odor of alcohol served by barmaids. The first work identified thus far featuring the tea room is Lee Kwang-soo’s Pioneer(1917), a serial novel published in a newspaper. This work illustrates the customs and reality of a time when the Western culture of coffee was introduced. Park Young-hee’s Sigh of the Jobless and Jung Ji-yong’s Café France, published in the 1920s, show images of the early years of the tea room culture when it was dominated by Western sensibility and exotic tastes. These two poems call for attention because they foretell how the introduction of modern cultural spaces is affected by ideology. Representations of the tea room during the colonial era are found in different forms in works such as those of Lee Kwang-soo, Yeom Sang-seop, and Chae Man-sik; Park Young-hee and Kim Nam-cheon of the Korean Federation of Proletarian Art (KAPF); Yoo Jin-oh and Lee Hyo-seok, who were sympathizer writers; and Park Tae-won, Lee Tae-joon, and Lee Sang of the Guinhoe (Nine Person Association). The tea room depicted in novels during the colonial era corresponds to a mental representation expressing the loss of the primal place where people can take root and settle down, i.e., the loss of a living space symbolized as a “house,” “home,” or “fatherland.” Under colonial rule, the tea room signified a temporary shelter for wandering people without roots and an inner, imaginary place that protects and realizes one’s intimate dreams. The heterotopian image in Park Tae-won’s The Owner of Bangranjang is a case in point.

      • KCI등재

        《碧空無限》(1941)에 나타난 이효석의 異國취향

        김미영(Kim Mee-young) 우리말글학회 2007 우리말 글 Vol.39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how to represent exoticism in Byuk Gong Moo Han(1941) written by Lee Hyo Seok and What is the meaning of exoticism in the late period of Japanese Imperialism ruled Korean Peninsula. The narrative of Byuk Gong Moo Han is developed through the achievement for Chon Il Ma as a Korean man & Naaza as a Russian Woman to have accomplished happy international marriage and financial lives. Chon Il Ma as the main character in Byuk Gong Moo Han had been Harbin in China in order to invite Harbin Symphony Orchestra to Kyeng Soeng as the capital of ChoSun as an culture agent of Huain Dae Il Bo. In there He had met Naaza as a beautiful Russian woman. Lee Hyo Seok as a writer had described Harbin as a civilized city which had been so many department stores and dance halls, racecourses, lottery systems. Lee also had described positively foreigner, foreign culture, and international marriage, specially foreign women & classic music too. He said those are realized the universal beauty. This paper makes clear Lee has very exotic, modern and cosmopolitan taste of everything. His thought of literature runs parallel with opinions of the Japanese Colonialists. That's why his works specially Byuk Gong Moo Han are not to avoid a suspicion as pro-Japanese literature in special times in Korean history.

      • KCI등재

        1950년대 대중소설에 등장하는 데이트 코스를 통해 본 대중문화와 연애풍경

        강옥희 대중서사학회 2015 대중서사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1950년대 대표적인 대중소설에 등장하는 데이트 코스를 분석하여 당대 대중문화의 양상과 연애문화의 변화를 살피는 것이다. 분석의 대상으로 삼은 작품은 정비석의 <자유부인>, 김래성의 <인생화보>, <실락원의 별>, 박계주의 <별아 내 가슴에>이다1950년대 대중소설은 변화해가는 당대의 모습을 잘 보여주는데 특히 대중연애소설의 서사가 전개되는 연애장소, 데이트 코스는 이야기를 흥미롭게 만든다. 그들의 연애동선을 따라가다 보면 당대인들의 삶의 양상, 의식, 심지어 문화를 향유하고 소비하는 패턴까지도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대중소설에 등장하는 연애문화나 당대 삶의 실상을 리얼리스틱하게 볼 수 있다. 1950년대 대중소설에 등장하는 데이트 코스는 고궁, 교외, 다방, 중국집, 극장, 무도장, 유원지, 바닷가 해수욕장, 온천장, 골프장, 백화점 그릴, 약수터 등 다양하다. 작중인물들이 연애하는 장소는 당대 사람들의 삶의 모습을 보여주고, 나아가 유행이나 사람들의 인식을 반영하는데, 어떤 데이트 코스를 가느냐에 따라 그들의 의도와 행위의 양상이 달라지는 것은 무척 흥미롭다. 즉 작중 주인공들이 살아 숨 쉬는 공간은 단순한 소비 공간일 때도 있고, 순수한 사랑의 표상공간으로 기능하기도 하며, 때로는 육욕에 불타는 욕망을 발현하는 곳 등 다양한 의미표지로 등장한다. 본 연구는 이상의 작품을 통해 대중소설에 자주 등장하는 데이트 코스가 단순하게 그들의 움직임을 알려주는 동선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50년대 대중의 문화적인 취향 및 새로운 문화적 체험을 재구성하는 공간임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각각의 장소가 가지고 있는 의미망들을 통해 대중소설에 반영된 대중의 욕망을 읽어 낼 수 있었다. 새로운 문화의 장이며 때로는 육욕의 공간으로 형상화되는 댄스홀이나 헐리우드 영화를 통해 받아들이게 된 근대적이고 새로운 이국체험을 소비하게 한 공간으로서 극장, 그릴이나 골프장 등 새로운 공간을 체험하면서 대중은 이국적인 정서와 문화의 호흡을 통해 새로운 세상을 볼 수 있었고 거기에 열광 할 수 있었다.

      • KCI등재

        1930년대 후반~1950년대 한국과 일본의 대중음악을 통해 본 제국의 기억과 망각

        조형근 한국사회사학회 2017 사회와 역사 Vol.0 No.116

        제국일본의 붕괴 후 한국과 일본은 뒤얽힌 과거와 단절하고 별개의 국민국가로서 문화적 정체성을 만들어가야 한다는 과제에 부딪혔다. 한국에서는 유행가 비판을 포함한 왜색일소운동과 새로운 국민가요운동이, 일본에서는 군국주의 음악문화와 단절하려는 시도들이 일어났다. 두 나라 모두에서 미국 대중음악의 영향이 밀어닥쳤다. 하지만 1930년대 말 이후의 대중음악의 양상은 단절되지 않고 지속되었다. 애상조의 유행가 장르는 여전히 인기를 끌었고, 대중음악의 사회적 목적성도 계속 강조되었으며, 노래는 전쟁에 봉사하거나 전쟁을 추억하는 매개로 기능했다. 제국일본의 팽창과 동반했던 이국 취향 노래도 여전히 유행했다. 1930년대 후반에서 1950 년대의 한국과 일본 대중음악에는 통시적 연속성과 공시적 동형성이 존재했다. 애상조의 유행가와 이국 환상의 노래들은 아시아태평양전쟁기에 시작되어 한국에서는 분단과 내전으로, 일본에서는 패전과 점령으로 이어진 비극적 현실에 대한두 국민의 자기 연민과 현실 도피 욕구에 부응했다. 하지만 그 의미에는 차이가보인다. 한국인의 자기 연민과 이국 환상이 압도적이고 가혹한 현실 앞에서의 무기력의 표현에 가까웠다면, 일본인의 그것은 가해자가 아니라 피해자로 자처하는 전략적 선택의 표현으로 보인다. After the collapse of imperial Japan, Korea and Japan had to break with their shared pasts and tried to build cultural identities as separate nation-states. While Korea launched its Anti-Japanese Culture Movement and the National Song Movement, which criticized Japanese style popular song genres, e.g., Trot, Japan focused on breaking away from its militaristic music culture. Although American popular music influenced the musical trends of both countries, the impact of popular music since the late 1930s lingered on persistently in the two countries. Korean Trot and Japanese Enka, which share musical origins and sensitivities, were still at the heart of popular music. Songs served as the instruments of propaganda during the Korean War and as memory of Japanese experiences during the Asia-Pacific War. Exotic songs which had been accompanied by the expansion of imperial Japan were still in popularity. From the late 1930s to the 1950s, diachronic continuity and synchronic homomorphism characterize the music of both countries. In Korea, the popularity of sorrowful Trot songs reflected a type of self-pity Korean people experienced through severe wars and finally the division of their country. Exotic songs offered fantasy, providing a momentary amnesia of their tragic realities. Although similar tendencies existed in Japan, Japanese songs exhibit subtle differences in sensitivities aimed at representing Japanese people as sorrowful victims as opposed to brutal persecu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