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행기업의 의사소통환경이 종사원만족과 이직의도에미치는 구조적 영향분석

        유정선 ( Jeong Sun Yoo ),김창수 ( Chang Soo Kim ) 대한관광경영학회 2014 觀光硏究 Vol.29 No.3

        본 연구는 여행기업 종사원의 의사소통환경이 종사원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와 종사자만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실증분석을 바탕으로 여행기업 종사원의 만족과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의사소통환경 요소와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종사원만족 요소를 파악하여 인적자원관리측면의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본 연구의 가설 검정을 위하여 선행연구를 기초로 설문지를 구성하여 서울지역의 여행기업과 여행사 대리점의 종사자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의사소통환경과 종사원만족의 영향관계에서 수직적 의사소통은 종사원만족의 모든 요소에 영향을 미치며, 이중 직무, 인사고과, 급여 및 복리, 교육 및 전달, 업무량 및 시간의 만족에는 가장 크게 정(+)의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수평적 의사소통은 종사원만족 중 직무, 인사고과, 급여 및 복리, 교육 및 전달에 대한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비공식적 의사소통은 직무, 동료, 교육 및 전달, 업무량 및 시간에 대한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데 이중, 비공식적인 의사소통은 동료만족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침을 보여 주었다. 둘째, 종사원만족과 이직의도의 영향 관계에 대한 연구결과, 선행연구에서 종사원만족의 6가지 요소 중 급여 및 복리만족, 직무만족이 종사원의 이직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데, 급여 및 복리만족은 이직의도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의사소통환경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수직적 의사소통만이 이직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여행기업 종사원의 만족을 높이고 이직의도를 낮추기 위한 의사소통환경 측면의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Communication Environment, Employee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in Tourism and Travel organization. Communication Environment was consisted with Horizontal, Vertical, and Informal Communication. Employee Satisfaction was consisted with Job satisfaction, Evaluation & Promotion satisfaction, Salary & Welfare satisfaction, Colleague satisfaction, Education & information satisfaction, Workload & Office hours satisfaction. The self-Communication method was adopted to collect the data for this survey. The overall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 showed follows. As a result, Vertical communication effect positively to all Employee Satisfaction factors. Horizontal Communication effect positively to Job satisfaction, Evaluation & Promotion satisfaction, Salary & Welfare satisfaction, and Education & information satisfaction among Employee satisfaction factors. However, Informal communication effect positively to Job satisfaction, Colleague satisfaction, Education & information satisfaction, and Workload & Office hours satisfaction. Secondly, only two factors of Employee Satisfaction effect negatively to Turnover Intention, which were orderly Salary & Welfare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Finally, Not Horizontal Communication and Informal Communication, but only Vertical Communication effect negatively to Turnover Intention. Above results would suggest strategic methods for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business achievement.

      • KCI등재

        초등학교 교감의 의사소통유형이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윤창희,김왕준 한국교원교육학회 2016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3 No.3

        이 연구는 교사들의 인식을 통해 초등학교 교감의 의사소통유형이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연구결과 초등학교 교감의 의사소통 유형은 독단성은 낮고 사교성은 높은 지원형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교감의 의사소통 유형 인식은 학교규모에 따라 독단성과 사교성 영역 모두에서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교사의 직무만족도를 측정한 결과, 교사의 직무만족도는 전체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의사소통성향의 하위영역인 독단성과 사교성간에는 부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의사소통 영역과 직무만족도 하위요인간의 상관관계는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의사소통성향의 하나인 독단성과 직무만족도의 하위변인들은 전체적으로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반면에 의사소통성향의 하위영역인 사교성과 직무만족도의 하위변인들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의사소통유형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것을 뜻한다. 교감의 의사소통유형이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중다회귀분석한 결과, 지원형인 교감에 비해 사려형, 지휘형, 감정형의 교감과 근무하는 교사의 직무만족도를 감소시켰다. 또한, 지휘형은 직무만족도의 모든 영역에서 가장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vice principals’ communication types and teachers’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eachers' responses on vice principals’ communication types, the number of the supportive type which less dominant and more sociable was highest. The next higher type was the command type. The emotional type was least.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dogmatism and sub-factors of job satisfaction.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ociability and sub-factors of job satisfaction. Teachers' job satisfaction who worked for the supportive type vice principals was highest. As results, to improve job satisfac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vice principals need to use supportive type communication. To lead the vice principals’s communication type to right direction, training programs should be instituted for them.

      • KCI등재

        직장인의 의사소통 능력과 의사소통 만족도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송기현,안귀여루 한국심리치료학회 2013 한국심리치료학회지 Vol.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의사소통 이론을 중심으로 의사소통 능력과 의사소통 만족도, 직무 만족 간의 관계성 을 알아보고, 더불어 의사소통 만족도가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에 소재한 일반 회사 및 기업에 근무하고 있는 직장인 230여명으로 설문지를 통해 자료수집 이 이루어졌다. 측정도구는 의사소통 능력 척도, 의사소통 만족도 척도, 직무만족도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의사소통 능력과 의사소통 만족도 간에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둘째, 의사소통 능력은 직 무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의사소통 능력은 직무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침으로써 의사소통 능력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의사소통 만족도와 직무만 족도 간에는 유의한 영향이 있으므로 의사소통 만족도가 높을수록 직무만족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 났다. 넷째, 의사소통 능력과 직무만족도 간 의사소통 만족도는 변인들 간에 영향을 주고받으며 유의미 한 매개변수로써 부분매개 역할을 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시사하는 바와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민간경비원의 의사소통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주일엽(Joo Il Yeob),조광래(Cho Kwang Rae) 한국민간경비학회 2009 한국민간경비학회보 Vol.14 No.-

        본 연구는 민간경비원의 의사소통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민간경비원 200명을 표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민간경비원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의사소통 유형은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다 민간경비원의 개인적 특성(연령)에 따라 의사소통 유형(수평적)은 차이가 있고, 민간경비원의 개인적 특성(결혼)에 따라 의사소통 유형(수평적 · 하향적)은 차이가 있다 둘째, 민간경비원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의사소통 내용은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다 민간경비원의 개인적 특성(경력)에 따라 의사소통 내용(업무관계)은 차이가 있다 셋째, 민간경비원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직무만족은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다 민간경비원의 개인적 특성(학력)에 따라 직무만족(급여 업무수행)은 차이가 있고 민간경비원의 개인적 특성(결혼)에 따라 직무만족(업무수행)은 차이가 있다 민간경비원의 개인적 특성(경력)에 따라 직무만족(승진)은 차이가 있고 민간경비원의 개인적 특성(소득)에 따라 직무만족(동료 급여 업무수행)은 차이가 있다 넷째, 민간경비원의 의사소통 유형은 직무만족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민간경비원의 의사소통 유형(상향적 수평적)은 직문만족(승진)에 각각 정(+), 부(-)의 영향을 미치고 민간경비원의 의사소통 유형(수평적 · 하향적)은 직무만족(동료)에 각각 정(+), 부(-)의 영향을 미친다 민간경비원의 의사소통 유형(상향적 ·하향적)은 직무만족(급여)에 각각 정(+), 부(-)의 영향을 미치고 민간경비원의 의사소통 유형(상향적 수평적 하향적)은 직무만족(업무수행)에 각각 정(+), 부(-), 부(-)의 영향을 미친다 다섯째, 민간경비원의 의사소통 내용은 직무만족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민간경비원의 의사소통 내용(업무관계)은 직무만족(업무수행)에 부(-)의 영향을 미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gress the effect of private guard's communication on job satisfaction The sample was drawn from 200 private guards worked at private security companies in Daejeon and Chungnam The questionnaire based on previous study was designed to measure the effect of private guard's communication and job satisfaction The following was the result of the study First, Private guard's communication style shows differences partially to their individuality Private guard's communication style(Horizontal) shows differences to their individuality(Age), and their communication style(Horizontal · Downward) shows differences to their individuality(Marriage) Private guard's communication style(Downward) shows differences to their individuality(Career), and their communication style(Horizontal · Downward) shows differences to their individuality(Income) Second, Private guard's communication content shows differences partially to their individuality Private guard's communication content(Job Relation) shows differences to their individuality(Career) Third, Private guard's job satisfaction shows differences partially to their individuality Private guard's job satisfaction(Income · Job Processing) shows differences to their individuality(Attainment in Scholarship), Their job satisfaction(Job Processing) shows differences to their individuality(Marriage) Private guard's job satisfaction(promotion) shows differences to their individuality(Career), Their job satisfaction(Co-worker · Income · Job Processing) shows differences to their individuality(Income) Fourth, Private guard's communication style affect partially on their job satisfaction Private guard's communication style(Upward · Horizontal) affect positively(+), negatively(-) on their job satisfaction(promotion) separately, their communication style(Horizontal · Downward) affect positively(+), negatively(-) on their job satisfaction(Co-worker) separately Private guard's communication style(Upward · Downward) affect positively(+), negatively(-) on their job satisfaction(Income) separately, their communication style(Upward Horizontal Downward) affect positively(+), negatively(-) negatively(-) on their job satisfaction(Job Processing) separately Fifth, Private guard's communication content affect partially on their job satisfaction Private guard's communication content(Job Relation) affect negatively(-) on their job satisfaction(Job Processing)

      • KCI등재

        조직 의사소통 만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공식화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정민(Jeongmin Kim),고혜원(Hyewon Koh),이상호(Sangho Lee) 대한경영학회 2020 大韓經營學會誌 Vol.33 No.2

        본 연구는 조직 의사소통 만족과 조직몰입의 관계 및 그 관계에 대한 공식화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조직 의사소통 만족을 정보적 차원과 관계적 차원으로 구분하고, 그 각각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설과 공식화의 조절효과에 대한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 일반기업(대기업 및 중소기업), 금융기관, 그리고 언론사에 종사하는 구성원들로부터 155부의 유의한 설문응답을 확보하고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첫째, 구성원이 인지하는 정보적 의사소통 만족과 관계적 의사소통 만족은 각각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식화는 정보적 의사소통 만족과 관계적 의사소통 만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부(-)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공식화가 높을수록 정보적 또는 관계적 의사소통 만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이 약화되며 공식화가 낮을수록 정보적 또는 관계적 의사소통 만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이 강화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조직 의사소통 만족을 정보적 차원과 관계적 차원으로 나누어 조직몰입과의 관계를 살펴보았으며, 그 관계에서 공식화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였다는 것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최근 유연하고 기민한 조직구조가 강조되고 공식화가 낮아지는 조직구조의 특성을 고려하면, 본 연구의 결과는 구성원의 의사소통 만족에 더 많은 관심과 주의를 기울이는 관리가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Employees are important assets for organizational success and communication play a crucial role in organizational functioning. From this perspective, it is argued that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re key factors to improve organizational performance. Many researchers have concerned with the constructs of employee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studied their relationships. Along with this line of research, this study purport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formalization on their relationship. We divided the concept of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into two sub-dimensions, informational and rel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set up four hypotheses. As shown in research model below, the first two hypotheses concern with the relationships between informational or rel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last two hypotheses concern with the moderating effect of formalization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informational or rel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o test the hypotheses, 155 valid questionnaires were obtained from employees in various types of companies. The results supported all the hypotheses. First, each of informational and rel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positively related to organizational commitment(β=550, p<0.01) and β=515, p<0.01, respectively). Second, formalization negativel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tional or rel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β=--.939, p<0.5 and β=-1.035, p<0.5, respectively). The negative moderating effect of formalization implies that the effect of informational or rel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s strengthened as formalization is low, and vice versa. <그림 본문 참조>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s the importance of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by examining informational and rel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separately in relation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Especially, this study provides meaningful findings by identifying formalization as a key moderat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Considering a recent trend emphasizing flexible and agile structure with low formalization, management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increase employees’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to increase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 KCI등재

        보호자와의 의사소통이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의 직무몰입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김동현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2023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Vol.13 No.3

        목적 : 본 연구는 치매안심센터에 근무하고 있는 작업치료사와 치매질환자 보호자와의 의사소통 경험 및 정도가 작업 치료사의 직무몰입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22년 12월부터 2023년 2월까지 선정기준에 부합한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 68명을 대상으로 보호자와의 의사소통, 직무몰입, 직무만족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보호자와의 의사소통이 직무몰입과 직무만족에 미치 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통계적 분석을 실시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 : 첫째,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몰입의 비교에서는 근무경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의 비교에서는 근무경력에서 유의미한 차이 가 있었고 근무경력이 많을수록 직무만족이 높았다. 셋째, 치매안심센터 치매질환자 보호자와의 의사소통은 작업치 료사의 직무몰입 및 직무만족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국가지원 치매기관인 치매안심센터에 법적 인력인 작업치료사의 조직환경은 작업치료사의 직무역할 수행에 중 요한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작업치료사의 직무와 관련 된 필수요소 중 하나인 의사소통이 직무몰입과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고 인지기능이 저하된 치매질환자의 경우 보호자와의 의사소통의 중요성 을 작업치료 직무에서 고려할 사항임을 알 수 있었으며 의사소통의 긍정적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기관의 의사소통 훈련 프로그램 운영의 필요성을 알 수 있었다. Objective :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out how the degree of communication between occupational therapists working at the Dementia Care Center and protectors of dementia patients affects the job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of occupational therapists. Methods : From December 2022 to February 2023, a survey was conducted on 68 occupational therapists at the Dementia Care Center who met the selection criteria on communication with protectors, job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impact of communication with protectors on job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Resutls :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work experience in the comparison of job commitment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occupational therapists at the Dementia Care Center.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work experience in the comparison of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Dementia Care Center occupational therapists, and the more work experience,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Third, communication with dementia patient protectors at the Dementia Care Center was found to affect both job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of occupational therapists. Conclusion : The organizational environment of occupational therapists, which is a legal manpower in the Dementia Care Center, a state-sponsored dementia institution, can have an important impact on the job performance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communication, one of the essential factors related to the job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 affects job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For dementia patients with reduced cognitive function,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with their protectors was considered in the job of occupational therapy, and the necessity of operating an communication training program of an institution that can promote positive improvement in communication.

      • KCI등재

        상급 종합병원 내 의사, 간호사 간 의사소통 인식에 대한 조사연구

        유미자 대한산업경영학회 2022 산업융합연구 Vol.20 No.1

        본 연구는 전문 의료인인 의사와 간호사간 의사소통 인식 정도와 의사소통에 대한 세부 영역과 만족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자료수집은 C시의 종합병원 의사, 간호사 372명을 대상으로 2021년 3월부터 5월까지 수집하 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평균과 표준편차, t-검정, ANOVA, Scheffe test, 상관관계 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의사와 간호사 간 의사소통 인식의 차이가 있었으며, 의사가 인식한 의 사소통과 간호사가 인식한 의사소통 세부영역 중 개방성(t=9.91), 직종 간 상호이해(t=5.25), 만족도(t=8.13)에서 통계적으 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의사소통 세부영역에서 간호사와 의사 그룹 모두 의사소통 세부영역과 만족도는 양의 상관관계 가 있었다. 간호사는 개방성(r=.72, p< .001), 직종 간 상호이해(r=.71, p< .001)가 의사소통 만족도와 높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의사는 직종 간 상호이해(r=.79, p< .001), 적시성(r=.73, p< .001)이 의사소통 만족도와 높은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환자안전을 보장하고 양질의 의료를 제공할 수 있도록 간호사, 의사 직종 간 상호이해, 개방성 등 취약부분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의사소통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understand the level of communication awareness between doctors and nurses, who are professional medical professionals, and the detailed areas and satisfaction of communica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372 doctors and nurses at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C city from March to May 2021.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Scheffe 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using the SPSS/WIN 20.0 program. As a resul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awareness level of communication between doctor and nurse groups. Specifically, out of the detailed areas of communication recognized by doctors and nurse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openness(t=9.91),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occupations(t=5.25), and satisfaction(t=8.13) between the two groups. In addition, a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detailed areas and the communication satisfaction in both groups, showing that nurses have higher communication satisfaction with the higher openness(r=.72, p<.001),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occupations(r=.71, p<.001) and similarly, doctors also have higher communication satisfaction with the higher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occupations(r=.79, p<.001), timeliness(r=.73, p<.001). Therefore, these result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ommunication program that can effectively improve the weak areas such as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occupations and openness in nurses and doctors in order to ensure patient safety and provide quality medical care.

      • KCI등재

        성 의사소통 훈련을 혼합한 부부대화법 프로그램의 결혼 및 성 만족에 미치는 효과

        연우석,채규만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14 인지행동치료 Vol.14 No.1

        본 연구에서는 주관적으로 결혼 불만족을 보고하는 부부를 대상으로 성 의사소통 훈련을 혼합한 부부대화법 집단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인터넷을 통해 두 차례에 걸쳐 모집한 부부들을 대상으로 첫 번째 모집한 부부들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6쌍씩 무선할당 하였고, 두 번째 모집한 부부들은 각각 3쌍씩 무선할당 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의 연령은 30세~48세의 범위를 보였다(M=37.43, SD=5.07). 실험집단 피험자를 대상으로 휴식시간 포함하여 150분씩 주 1회, 총 6회기의 프로그램을 실시한 반면,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를 가하지 않았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한국형 결혼 만족도 검사(K-MSI), 의사소통 유형 척도 단축형(CPQ-SF), 성 만족도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결혼만족도의 경우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전반적 결혼 불만족, 정서적 의사소통 불만족, 문제해결 의사소통 불만족에서 유의미한 감소를 보였다. 또한 공유시간 갈등과 경제적 갈등에 대해서는 실험집단의 경우, 반복측정에 따라 통제집단 보다 크게 감소하는 유의미한 상호작용이 나타났다. 그리고 전반적 결혼 만족, 정서적 의사소통 불만족, 그리고 공유시간 갈등에 있어서 프로그램의 효과는 사후검사에서 나타나 6주 후 추후검사 때까지도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문제해결 의사소통 불만족과 경제적 갈등의 경우는 프로그램 종료 후 추후검사에서 그 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의사소통 유형의 경우, 상호 요구/철회 의사소통 유형에 대해서는 실험집단의 경우, 반복측정에 따라 통제집단 보다 크게 감소하는 유의미한 상호작용이 나타났으며 그 효과는 프로그램 종료 후 6주 후 추후검사에서 나타났다. 결과에 대한 논의와 함께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innesota Couple Communication Program-based Couple Communication Program in combination with Sexual Communication Training on the marital and sexual satisfaction for the distressed couples. The 18 couples for this study were recruited twice from the internet web sites that introduced and explained the couple communication program. The 18 couple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control group received no treatment. The length of each session was 150 minutes. Pre-post test scales were Korean-Marital Satisfaction Inventory (K-MSI), The Communication Patterns Questionnaire-Short Form (CPQ-SF), and The Sexual Satisfaction Scal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K-MSI sub-scales there wer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of Global Distress, Affective Communication, Problem-Solving Communication, Time together, and Disagreement About Finances for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is improvement lasted for the next six-week period after termination of the programs. Seco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for the alternate demanding /withdrawal communication pattern sub-scales of dysfunctional communication pattern of CPQ-SF for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control group. Thir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of The Sexual Satisfaction for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control group. This effects was maintained for following six weeks after the termination of this program. In conclusion, the study demonstrated that Couple Communication program in combination with Sexual Training Communication Program can be helpful for the marital satisfaction, and beneficial for distressed couples.

      • KCI등재

        모바일 의사소통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능력 요인에 관한 연구

        임명성 국제e-비즈니스학회 2022 e-비즈니스 연구 Vol.23 No.6

        본 연구는 모바일 의사소통 욕구 만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연구를수행하기 위해서 2-요인 모형을 기반으로 연구모형을 수립하고 실증적으로 분석했다. 분석 결과, 2개의 의사소통 만족을 촉진하는 요인은 의사소통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나타났다. 반면, 의사소통 억제 요인으로 제시한 부끄러움과 모바일 의사소통 두려움은 모바일 의사소통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개의 의사소통 만족 촉진 요인은 의사소통 만족에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지만, 의사소통 억제 요인을 통해 간접적으로 의사소통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서 중요한 것은 대면 소통을 선호하는 사람들과 비대면을 선호하는 사람들, 또는 비대면사회적 기술이 뛰어난 사람과 대면 사회적 능력이 뛰어난 사람들은 모바일 의사소통 상황에서 대면과는다른 반응을 보일 수 있다는 점을 실증 분석을 통해 규명했다는 점이다. Research Purpose: This study is trying to identify factors that can influence the satisfaction of mobile communication needs. Research Methods: In order to conduct the research, a research model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2-factor model and empirically analyzed by using data. Results in Research: As a result of the analysis, we found that the two communication satisfaction enabler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ommunication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shyness and (mobile) communication apprehension, proposed as communication inhibito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mobile communication satisfaction. Also, the two communication satisfaction drivers did not directly influence communication satisfaction, but they did effect on communication satisfaction via communication inhibitors. Research Conclusion: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people who prefer face-to-face (FtF) communication and those who prefer non-face-to-face communication, or those with excellent non-face-to-face social skills and people with high face-to-face social skills, are able to communicate through mobile communication. Suggestion in Research: The fact that it can show a different reaction from face-to-face in a situation is an important significance discovered through empirical analysis. The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are discussed the final section.

      • KCI등재

        모바일 의사소통 동기가 의사소통 만족 및 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임명성 한국비즈니스학회 2024 비즈니스융복합연구 Vol.9 No.4

        본 연구의 모바일 의사소통 동기가 동기의 결과물인 의사소통 만족과 의사소통 두려움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서 CMC(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역량 모형을 기반으로 연구모형을 수립했다. 설문을 통해서 133개의 유용한 자료를 수집하여 제안한 연구모형을 실증적으로 분석했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바일 의사소통 동기는 사회적 기술 부족과 개인의 적응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모바일 의사소통 동기는 의사소통 만족이나 의사소통 불안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기술 부족은 의사소통 만족과 불안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개인의 적응력은 의사소통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의사소통 불안감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모바일 의사소통 동기는 개인의 적응력을 통해 의사소통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를 위해 매개효과 검정을 통해 개인의 적응력의 매개 역할을 실증적으로 규명했다. 따라서 모바일 의사소통에서 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먼저 소통에 대한 동기가 분명해야 하며, 동기가 모바일 의사소통 환경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어야 하고, 개인의 적응력을 통해 만족을 유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 볼 수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impact of mobile communication motivation on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communication fear, which are the outcomes of motivation. To this end, this study established a research model based on the CMC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competency model. Through survey techniques, 133 useful data were collected and the proposed research model was empirically analyze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obile communication motiva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social skill deficit and individual adaptability. However, mobile communication motivation did not appear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ommunication satisfaction or anxiety. Second, lack of social skills did not appear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anxiety. Third, personal adaptabilit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ommunication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effect on communication anxiety.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mobile communication motiv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ommunication satisfaction through individual adaptability. This empirically identified the mediating role of individual adaptability through a mediation effect test.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satisfaction in mobile communication, the motivation for communication must first be clear, and the motivation must be able to help one adap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environment, and it can be expected that satisfaction can be generated through the individual's adaptability. there 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